KR20210074867A - 악테오사이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 Google Patents

악테오사이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4867A
KR20210074867A KR1020190165986A KR20190165986A KR20210074867A KR 20210074867 A KR20210074867 A KR 20210074867A KR 1020190165986 A KR1020190165986 A KR 1020190165986A KR 20190165986 A KR20190165986 A KR 20190165986A KR 20210074867 A KR20210074867 A KR 20210074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eoside
articular cartilage
arthritis
expression
degene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7333B1 (ko
Inventor
김도경
김재성
윤영희
최예용
오득실
조승식
임향이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65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333B1/ko
Publication of KR20210074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3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having at least one amino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carbocyclic ring, e.g. streptomycin, gentamycin, amikacin, validamycin, fortimic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heu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ology (AREA)
  • My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악테오사이드(Acteoside) 또는 이의 약학적·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련된 것으로서, 관절염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악테오사이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Functional Food Containing Acteoside}
악테오사이드 또는 이의 약학적·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퇴행성관절염은 대표적인 노인퇴행성 관절질환으로써 점진적인 관절연골퇴행성으로 기인된 만성관절통증을 동반하게 된다. 65세 이상 노령인구의 약 85%이상이 겪고 있는 질환으로 남성과 비교하여 여성에서 30%이상 높은 발병율을 나타내고 있다. 퇴행성관절염에 대한 명확한 병리학적 원인은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최근 연구는 자연적인 노화과정으로 기인된 생체 내 염증 증가로 인한 관절연골퇴행성이 제기 되고 있다. 또한 당뇨 및 고혈압 등의 만성대사질환을 포함하여, 비만으로 인한 무릎관절 내 초과 하중, 무리한 관절운동, 개인적인 유전적 특징 및 외과적 관절손상 등이 관절연골퇴행성과 밀접한 병리적 관련성이 있음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퇴행성관절염 병리적 인자들이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에 따라 퇴행성관절염에 대한 명확한 병리적 기전이 불분명하여 현재까지 이에 대한 임상적 치료제 또한 부재한 실정이다. 현재 퇴행성관절염에 대한 치료는 만성관절통증을 완화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를 위한 체중감량, 관절물리치료 및 외과적 인공관절치환술 등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퇴행성관절염은 관절연골퇴행성 예방을 통한 만성관절통증 발생 예방과 관련된 예방의학적 측면이 부각되고 있다.
퇴행성관절염 예방은 생체 내 관절연골퇴행성관련 유도인자의 발현억제를 통한 관절연골퇴행성효소(cartilage degrading enzymes) 발현억제로 관절연골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점진적인 파괴를 예방하거나, 관절연골의 세포외기질 구성물질인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 소실 억제 또는 증가시키는 방법이 고려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관절연골퇴행성 억제를 통한 만성관절통증 발생을 억제하는데 있다. 관절연골퇴행성 유도물질로써는 자연적인 노화과정(폐경을 포함)으로 인하여 생체 내 증가되는 NO, iNOS, COX-2, 및 PGE2 등을 포함하는 염증유도물질과 이로 인하여 증가되는 IL-1β 및 IL-6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증가로 매개되는 관절연골퇴행성 효소 발현으로 관절연골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외기질의 점진적인 파괴로 인해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증가된 염증유도물질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다양한 생체경로를 통하여 염증성 관절통증 유발물질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퇴행성관절염에 대한 예방의학적 방법으로써 생체 내 염증유도물질 발현억제를 통한 다양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시켜 관절연골퇴행성효소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관절연골보호 및 만성관절통증 완화가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퇴행성관절염의 경우 자가면역질환으로 기인된 류마티스 관절염과 달리 노화과정에 기초하여 매개되는 질환으로써 장기간의 생체 내 투여가 요구됨에 따라 퇴행성관절염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식·의약소재의 경우 높은 수준의 장·단기 생물학적 안전성이 요구된다.
악테오사이드(Acteoside; 이명 Verbascoside, Kusaginin; Orobanchin)는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레몬버베나(Aloysia triphylla), 누리장나무(개똥나무; Clerodendron trichotomum Thumb./Clerodendrum fargesii Dode), 지황(Rehmannia glutinosa (Gaertn.) Libosch. ex Steud.), 육종용(Cistanche deserticola), 초석잠(Stachys sieboldii Miq.) 및 목서(Osmanthus fragrans Lour) 등 다양한 약용 식물에 존재하는 카페오일 페닐에타노이드 글리코시드(caffeoyl pheylethanoid glycoside)이다. 악테오사이드에 의한 항염증활성이 보고되었으나, 이의 관절염 예방, 관절연골퇴행성 예방 및 지연 효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32552호
악테오사이드 또는 이의 약학적·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태로서, 악테오사이드(Acteoside)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악테오사이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
일 양태로서, 악테오사이드(Acteoside) 및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악테오사이드는 천연으로부터 유래될 수도 있고, 공지의 화학적 합성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악테오사이드 함유 약용식물의 추출물 형태이어도 무방하다. 악테오사이드는 미선나무, 레몬버베나, 누리장나무, 지황, 육종용, 초석잠 및 목서 등 다양한 약용식물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약용식품의 추출물은 통상 식물의 줄기, 가지, 열매, 뿌리, 꽃 또는 잎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악테오사이드의 함량을 높일 수 있도록 추가적으로 분획을 실시하는 것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추출물을 악테오사이드 성분을 파괴시키지 않고 농축하거나 건조하는 등 보관, 유통 및 사용이 편리한 형태로 가공하는 것 역시 통상의 추출물의 가공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악테오사이드의 약학적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예를 들면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드화수소산, 아질산 또는 아인산과 같은 무기산류와 지방족 모노 및 디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와 같은 무독성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 또는 식품학적으로 무독한 염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니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을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 1,4-디오에이트, 핵산 -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를투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톡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 -2-설포네이트 또는 만델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악테오사이드를 과량의 산 수용액 중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수화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메탄을, 에탄을,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악테오사이드 및 물 중의 산 또는 알코올을 가열하고,이어서 이 혼합물을 증발시켜서 건조시키거나 또는 석출된 염을 흡입 여과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웅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은염(예를 들어,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상기 "예방"이란, 관절염을 억제시키거나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상기 "치료"란, 관절염의 의심 및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여 약학적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의약적으로 허용되는"이란 상기 조성물에 노출되는 세포나 인간에게 독성이 없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종래에 알려져 있는 관절염의 치료물질과 혼합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가지는 공지의 화합물과 병행하여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투여"란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개체"란 관절염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쥐, 생쥐, 가축 등의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로,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공지의 항골질환 화합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항골질환 화합물로는 신코닌, 갈색거저리 추출물, 알로에-이모딘 및 오메가-3 지방산, 아르테아뉴인 B, 인돌-2-카르복실레이트 유도체, 유포비아 인자 L1, 스컬캅플라본 유도체, 프락시넬론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이 포함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효과적인 흡수경로를 선택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구강투여를 택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상기 조성물은 0.01 ~ 1000mg/kg/day로, 바람직하게는 0.1 ~ 500㎎/kg/day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그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 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담체, 희석제, 부형제 및 첨가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분말제, 캡슐제 및 액제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로 제형될 수 있다. 상기 악테오사이드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제,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에 더 포함될 수 있는 첨가제로는, 천연 탄수화물, 향미제,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풍미제(합성 풍미제, 천연 풍미제 등), 착색제, 충진제(치즈, 초콜렛 등), 팩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화제 및 과육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기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천연 과일 쥬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희석제 및 첨가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락토즈, 덱스트로즈, 슈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에리스리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미세결정성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셀룰로즈, 물, 설탕시럽, 메틸셀룰로즈, 메틸 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트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상기 관절염으로서 골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통풍 관절염, 소아 관절염 및 반응성 관절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퇴행성 관절염일 수 있으나, 당업계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관절염으로 포괄될 수 있는 질환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해당될 수 있고, 특별히 상기 질환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양태로서 제공하는 악테오사이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은 관절염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A, 1B는 각각 세포독성평가에 사용되는 마우스 섬유아세포 L929 세포주 및 랫트 무릎관절유래 초대배양 연골세포(Rat primary chondrocytes)에서 악테오사이드를 0 내지 100 μM 농도로 투여하여 세포독성을 분석한 실험결과를 나타내 것이다. 일반적 세포독성평가 방법인 MTT 세포독성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세포독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도 1C는 Cell Live/Dead assay 결과를 나타낸 사진(녹색: 살아있는 세포, 붉은색: 사멸된 세포)으로, 마우스 섬유아세포 L929 세포주 및 초대배양 랫트 무릎관절유래 초대배양 연골세포에서 대조군과 비교 시 악테오사이드에 의한 세포 사멸이 없음을 확인하는 이미지이다.
도 2는 대표적인 관절연골퇴행성 유도인자인 IL-1β가 처리된 랫트 무릎관절유래 초대배양 연골세포에서 악테오사이드에 의한 관절연골구성물질인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 소실이 농도의존적 억제되는 효능을 제시하는 이미지이다.
도 3은 대표적인 관절연골퇴행성 유도인자인 IL-1β가 처리된 랫트 무릎관절로부터 적출된 관절연골조직에서 악테오사이드를 7일간 투여하여 관절연골구성물질인 proteoglycan 손실억제를 통한 퇴행성관절염 예방 효능을 검증한 조직학적 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왼쪽은 hematoxylin & eosin(H&E) 염색을 통한 관절연골의 형태변화 유무를 검증한 사진이고, 오른쪽은 관절연골의 프로테오글리칸을 선택적으로 염색시키는 safrainin-O(붉은색) 및 fast green(주변 뼈 조직을 녹색으로 염색) 염색을 수행하여 대표적인 관절연골퇴행성 유도인자인 IL-1β은 관절연골구성물질인 프로테오글리칸의 손실을 증가시키는 반면 악테오사이드은 IL-1β에 의한 관절연골 구성물질인 프로테오글리칸의 손실을 억제시키는 관절연골퇴행성 억제 효능 검증한 조직학적 분석 결과이다.
도 4는 대표적인 관절연골퇴행성 유도인자인 IL-1β가 처리된 랫트 무릎관절유래 초대배양연골세포에서 악테오사이드에 의한 관절연골퇴행성 효소 발현과 활성화 억제 효능을 통한 퇴행성관절염 예방 효능을 분석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랫트 무릎관절유래 초대배양 연골세포에서 관절연골퇴행성 유도인자인 IL-1β로 인하여 증가되는 관절연골 퇴행성효소인 MMP-13, MMP-1 및 MMP-3 단백질 발현이 악테오사이드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되는 관절연골퇴행성 억제 효능을 나타낸 결과이고, 도 4B, 4C는 랫트 무릎관절유래 초대배양 연골세포에서 관절연골퇴행성 유도인자인 IL-1β로 인하여 증가되는 관절연골 퇴행성효소인 MMP-13, MMP-1 및 MMP-3 유전자 발현이 악테오사이드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되는 관절연골퇴행성 억제되는 현상을 각각 중합효소연쇄반응 및 실시간중합효소연쇄반응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이며, 도 4D는 투명한 색으로 나타나는 관절연골퇴행성효소 활성도를 검증한 방법으로 랫트 무릎관절유래 초대배양 연골세포에서 관절연골퇴행성 유도인자인 IL-1β로 인하여 관절연골퇴행성효소가 매우 높게 활성화된 반면 악테오사이드에 의하여 농도의존적으로 관절연골퇴행성효소 활성도가 감소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5는 대표적인 관절연골퇴행성 유도인자인 IL-1β가 처리된 랫트 무릎관절유래 초대배양연골세포에서 악테오사이드에 의한 관절연골퇴행성유도 관련 염증성 바이오마커인 NO, PGE2, iNOS, COX-2 등 발현 억제를 통한 관절연골퇴행성 예방 효능 검증한 결과이다. 도 5A는 랫트 무릎관절유래 초대배양 연골세포에서 대표적인 관절연골퇴행성 유도인자인 IL-1β가 처리된 랫트 무릎관절유래 초대배양연골세포에서 증가된 관절연골퇴행성 유도 관련 염증성 바이오마커인 iNOS, COX-2 및 PTGS2 mRNA가 악테오사이드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5B는 랫트 무릎관절유래 초대배양 연골세포에서 대표적인 관절연골퇴행성 유도인자인 IL-1β가 처리된 랫트 무릎관절유래 초대배양연골세포에서 증가된 관절연골퇴행성 유도 관련 염증성 바이오마커인 iNOS 및 COX-2 단백질 발현이 악테오사이드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5C는 랫트 무릎관절유래 초대배양 연골세포에서 대표적인 관절연골퇴행성 유도인자인 IL-1β가 처리된 랫트 무릎관절유래 초대배양연골세포에서 증가된 관절연골퇴행성 유도 관련 염증성 바이오마커인 NO의 발현농도가 악테오사이드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5D는 랫트 무릎관절유래 초대배양 연골세포에서 대표적인 관절연골퇴행성 유도인자인 IL-1β가 처리된 랫트 무릎관절유래 초대배양연골세포에서 증가된 관절연골퇴행성 유도 관련 염증성 바이오마커인 PGE2의 발현농도가 악테오사이드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6은 관절연골퇴행성 유도인자인 IL-1β이 처리된 랫트 무릎관절유래 초대배양연골세포에서 악테오사이드 처리 시 IL-1β에 의해 증가되었던 GM-CSF, INF-γ, IL-1α, IL-1β, IL-4, IL-6, MCP-1, MIP-3α, β-NGF, CINC-2, CINC-3, CNTF, Fractalkine 등이 감소됨으로써 관절연골퇴행성이 예방됨을 제시한 사이토카인 어레이 결과이다.
도 7은 관절연골퇴행성 유도인자인 IL-1β가 처리된 랫트 무릎관절유래 초대배양연골세포에서 관절연골퇴행성효소 발현과 밀접하게 관련된 NFκB, ERK, JNK,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활성을 악테오사이드가 억제시킴으로써 관절연골퇴행성을 억제하는 결과이다.
도 8은 관절연골퇴행성 유도인자인 IL-1β 처리 시 랫트 무릎관절유래 초대배양연골세포의 세포질 존재하는 NFκB가 활성화되어 핵 내로 이동 후 관절연골퇴행성효소 유전자발현하여 관절연골퇴행성효소 발현을 증가시키는 기전에서 악테오사이드가 NFκB 활성을 억제하여 핵 내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관절연골퇴행성을 억제하는 결과이다.
도 9는 내측반월판(medial meniscus) 절개를 통하여 제작된 관절염 마우스에 5 mg/Kg/Day 및 10 mg/Kg/Day 농도의 악테오사이드를 8주간 구강투여 후 조직학적 분석을 통한 in vivo 관절연골퇴행성 억제 효능을 분석한 결과이다. 악테오사이드가 구강투여된 퇴행성관절염 마우스와 투여되지 않은 퇴행성관절염 마우스의 무릎을 대상으로 safranin-O 및 fast green 염색을 통한 조직학적 분석결과 악테오사이드가 투여되지 않은 퇴행성관절염 마우스의 무릎 연골조직에서 심각한 프로테오글리칸 손실이 확인된 반면, 악테오사이드가 구강투여된 퇴행성관절염 마우스 무릎 연골조직 내 프로테오글리칸 손실이 상대적으로 미미함을 확인했다.
이하,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악테오사이드의 세포독성 평가
도 1A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정상세포로 사용되는 마우스 섬유아세포 L929 세포주에 2.5, 5, 10, 25, 50 및 100μM의 악테오사이드(Acteoside)를 투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 후 일반적인 세포독성분석법인 MTT법을 적용하여 세포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대조군(100.02 ± 5%) 대비 각각 94.79 ± 7%, 93.56 ± 8%, 100 ± 5%, 103.86 ± 6%, 126.11 ± 6%, 및 122.69 ± 5%로 확인되었다. 즉, 2.5 내지 25μM 악테오사이드에 대한 세포생존율은 대조군과 비교시 유의성이 없었으며, 50 및 100μM 악테오사이드에서 대조군과 비교시 p < 0.01 이하의 유의적인 세포증식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제시된 악테오사이드 농도에서 정상세포로 사용된 마우스 섬유아세포 L929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이 없음을 제시하는 것이다.
도 1B에 제시된 바와 같이 랫트(rat) 무릎관절유래 초대배양 연골세포에 2.5, 5, 10, 25, 50 또는 100μM 악테오사이드를 투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 후, 일반적인 세포독성분석법인 MTT법을 적용하여 세포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대조군(100.44 ± 3%) 대비 각각 114.07 ± 3%, 117.79 ± 4%, 123.86 ± 6%, 132.59 ± 6%, 153.05 ± 8% 및 142.12 ± 7%로 각각 확인되었다. 2.5μM 악테오사이드에 대한 세포생존율은 대조군과 비교 시 p < 0.05 이하의 유의성이 확인되었으며, 5 내지 100 μM 악테오사이드에서 대조군과 비교시 p < 0.01 이하의 유의적인 세포증식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제시된 악테오사이드 농도에서 랫트 무릎관절유래 초대배양연골세포에서 세포독성이 없음을 제시하는 것이다.
도 1C는 도 1A 및 1B의 결과를 2차로 검증하기 위하여 세포막 투과성을 지니고 있으며 살아있는 세포의 세포질에 존재하는 에스테라아제(esterase)에 의해 분해된 후 녹색의 형광을 나타내는 green calcein AM과 세포사멸로 인하여 형성된 세포막 및 핵막의 결손부위를 통하여 염색체 내 DNA와 결합하여 세포핵을 붉은색 형광으로 염색시키는 ethidium homodimer-1을 활용한 Cell Live/Dead assay를 수행하하였다. 각각 마우스 섬유아세포 L929 세포주 및 랫트 무릎관절유래 초대배양 연골세포에 50 또는 100μM 악테오사이드를 투여하여 24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Cell Live/Dead assay를 시행한 결과 도 1C에 제시된 바와 같이 50 또는 100μM 악테오사이드가 투여된 마우스 섬유아세포 L929 세포주 및 랫트 무릎관절유래 초대배양 연골세포에서 붉은 형광으로 염색된 사멸된 개체수와 녹색 형광으로 염색된 살아있는 개체수가 대조군과 비교시 유사함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제시된 농도의 악테오사이드는 정상세포 및 관절연골세포에서 제시된 악테오사이드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없음을 제시하는 것이다.
실시예 2. 악테오사이드의 프로테오글리칸 소실 억제능 평가
1. Dimethymethylene Blue Assay
관절염은 관절강의 활액 내 과발현된 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 및 관절연골퇴행성효소(cartilage degrading enzymes)에 의한 관절연골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주요 구성성분인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의 점진적인 분해 및 소실로부터 기인한다. 따라서 관절연골을 구성하고 있는 프로테오글리칸의 분해 및 소실 억제는 중요한 관절염 예방 효능의 척도가 된다. 관절연골퇴행성 예방 및 지연효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관절연골은 그 특성상 장기적인 합성 또는 소실 여부 확인이 필요하다. 따라서, 장기적인 세포배양 시 관절연골세포의 분화를 막기 위하여 랫트의 무릎관절연골로부터 분리된 초대배양연골세포를 알기산(Alginate)에 현탁한 후 칼슘수용액에 침지하여 초대배양연골세포가 함유된 구체를 제조하였다. 이후 50 또는 100μM 악테오사이드와 더불어 대표적인 관절연골퇴행성 유도관련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1 ng/mL의 Interleukin-1β에 50 또는 100μM 악테오사이드를 투여조건으로 하여 48시간마다 1회 투여하여 21일간 장기 배양 실시하여 통상적으로 세포외 기질 내 프로테오글리칸 함량을 분석하는 Dimethylmethylene Blue Assay(DMMB)를 수행하였다.
도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50 또는 100 μM 악테오사이드가 처리된 실험군의 프로테오글리칸 함량은 각각 88.18 ± 16% 및 86.76 ± 21%으로 대조군(100.81±34%) 대비 유의성은 없었다. 그러나 1 ng/mL의 IL-1β가 21일 동안 투여된 실험군의 프로테오글리칸 함량은 37.05 ± 19%로 대조군과 비교 시 p < 0.01 이하의 유의적인 프로테오글리칸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관절연골퇴행성이 이루어짐을 제시하고 있다. 반면 1 ng/mL의 IL-1β와 각각 50 또는 100 μM 악테오사이드가 처리된 실험군의 프로테오글리칸 함량은 각각 56.93 ± 14% 및 64.03 ± 16%로 1 ng/mL의 IL-1β가 투여된 실험군(37.05±19%)과 비교하여 p < 0.01이하의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관절연골퇴행 상황에서 악테오사이드가 관절연골퇴행을 예방 또는 관절 보호 효능을 제시하는 것이다.
2. 조직학적 분석
관절연골조직 내 프로테오글리칸의 분해 및 소실 억제에 대한 조직학적 확인이 필요하다. 따라서 실험동물의 무릎관절로부터 관절연골조직을 적출하여 10 ng/mL IL-1β, 100 μM 악테오사이드, 10 ng/mL IL-1β + 100 μM 악테오사이드를 투여조건으로 하여 48시간마다 1회 투여하여 14일간 기관배양(organ culture)를 수행하였다. 이후 각각의 투여조건에 배양된 관절연골조직을 회수한 후 조직을 고정하였다. 고정된 조직은 파라핀을 이용하여 조직절편을 제작하였으며, 관절연골조직 내 연골세포(chondrocyte)의 형태학적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Hematoxylin & Eosin 염색을 수행한 결과 각각의 투여조건에서 배양된 관절연골조직 내 연골세포의 특이적인 형태변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관절연골조직 내 프로테오글리칸의 변화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Safranin-O & fast green 염색을 수행한 결과 대조군에서는 Safranin-O에 의해 붉은색으로 염색된 관절연골 내 프로테오글리칸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100 μM 악테오사이드가 투여된 관절연골조직 내에서도 대조군과 비교 시 현저한 프로테오글리칸 소실은 확인되지 않았다. 10 ng/mL IL-1β가 투여된 관절연골조직 내에서는 대조군 및 100 μM 악테오사이드가 투여된 관절연골조직 과 비교 시 현저한 프로테오글리칸 소실을 통한 관절연골퇴행성이 확인되었다. 반면, 10 ng/mL IL-1β + 100 μM 악테오사이드가 투여된 관절연골조직 내 프로테오글리칸은 10 ng/mL IL-1β가 투여된 관절연골조직과 비교 시 현저하게 높은 수준의 프로테오글리칸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관절연골조직에서 프로테오글리칸 소실을 억제함으로써 관절염 예방 및 지연시키는 악테오사이드의 관절연골보호효능을 보여주는 것이다(도 3).
실시예 3. 악테오사이드의 관절연골퇴행성효소 발현 또는 활성 억제능 평가
관절염은 관절강의 활액 내 과발현된 관절연골퇴행성효소에 의한 관절연골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외기질의 점진적인 분해 및 소실로부터 기인한다. 대표적인 관절연골 퇴행성효소로는 MMP-13, MMP-3, 및 MMP-1 등이 있다. 따라서, 이들 관절연골퇴행성효소의 발현억제는 중요한 퇴행성관절염 예방 효능의 척도가 된다.
이에 따라 랫트의 무릎연골조직으로부터 분리된 초대배양 연골세포를 단층배양시킨 후 50 또는 100 μM 악테오사이드와 더불어 10 ng/mL IL-1β에 50 또는 100 μM 악테오사이드를 투여조건으로 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각각 세포로부터 RNA분리 후 cDNA를 합성하여 랫트의 MMP-13, MMP-3, 및 MMP-1 유전자를 기반으로 제작된 각각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qPCR(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도 4B) 및 qRT-PCR(quantitative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도 4C)을 수행하여 이들 관절연골퇴행성효소관련 유전자들의 발현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배양여액을 회수하여 배양여액 내 관절연골퇴행성효소 발현 및 활성도를 분석하기 위한 웨스턴 블롯팅(Western blotting; 도 4A) 및 젤라틴 자이모그래피(Gelatin zymography; 도 4D)를 수행하였다.
도 4A를 참조하면, 10 ng/mL IL-1β에 의해 대표적 관절연골퇴행성효소 MMP-13, MMP-1, 및 MMP-3 단백질이 배양여액 내 증가된 반면, 50 또는 100 μM 악테오사이드를 각각 동시 투여 시 관절연골퇴행효소 단백질의 발현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됨을 웨스턴블롯팅을 통해 확인하였다.
도 4B 및 4C를 참조하면, 10 ng/mL IL-1β에 의해 관절연골퇴행성효소 MMP-13, MMP-1, 및 MMP-3 mRNA가 관절연골세포 내 증가된 반면, 50 또는 100 μM 악테오사이드를 각각 동시 투여 시 이들 관절연골퇴행효소 유전자들의 발현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됨을 각각 qPCR 및 qRT-PCR을 통해 확인하였다.
도 4D는 10 ng/mL IL-1β에 의해 관절연골퇴행성효소가 높은 수준 활성화 되어 아크릴아마이드 젤 내에 포함된 젤라틴을 분해시킨 반면 50 또는 100 μM 악테오사이드를 각각 동시에 투여시 이들 관절연골퇴행효소의 활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시키고 있음을 젤라틴 자이모그래피를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악테오사이드에 의한 관절연골퇴행성효소 발현 및 활성 억제를 통한 관절염 예방 및 관절보호 효능을 제시하고 있다.
실시예 4. 악테오사이드의 염증유도인자 발현 억제능 평가
1. iNOS, COX-2 및 PGE 2
대표적인 관절연골퇴행성 유도 및 통증전달물질은 iNOS, COX-2 및 PGE2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랫트의 무릎연골조직으로부터 분리된 초대배양 연골세포를 단층배양시킨 후 50 또는 100 μM 악테오사이드와 더불어 10 ng/mL IL-1β에 50 및 100 μM 악테오사이드를 투여조건으로 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각각 세포로부터 RNA분리 후 cDNA를 합성하여 랫트의 iNOS, COX-2, PTGS-2 유전자를 기반으로 제작된 각각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qPCR(도 5A)하였다. 또한 세포로부터 단백질을 회수하여 iNOS 및 COX-2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웨스턴블롯팅(도 5B)을 수행하여 이들 단백질 발현변화를 분석하였으며, 배양여액을 회수하여 각각 NO 및 PGE2의 함량을 분석하기 위한 효소면역분석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도 5C, 5D)을 시행하였다.
도 5A를 참조하면, 10 ng/mL IL-1β에 의해 관절연골퇴행성 유도 관련 염증유도인자인 iNOS, COX-2 및 PTGS-2 mRNA가 연골세포 내 증가된 반면, 50 또는 100 μM 악테오사이드를 각각 동시에 투여시 이들 유전자의 발현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됨을 qPCR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도 5B를 참조하면, 10 ng/mL IL-1β에 의해 관절연골퇴행성 유도 관련 염증유도인자인 iNOS 및 COX-2 단백지 발현이 연골세포에서 증가된 반면, 50 또는 100 μM 악테오사이드를 각각 동시에 투여시 이들 단백질의 발현이 농도의존적으로 감소됨을 웨스턴블롯팅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도 5C를 참조하면, 10 ng/mL IL-1β에 의해 관절연골퇴행성 유도 관련 염증유도인자 NO의 농도가 대조군(100.04 ± 4%)과 비교시 285.23 ± 12%로 p < 0.01이하의 유의적 증가를 확인하였다. 반면, 10 ng/mL IL-1β에 50 또는 100 μM 악테오사이드를 각각 동시에 투여시 241.23 ± 9% 및 171.04 ± 15%로 10 ng/mL IL-1β의 NO 농도와 비교시 p < 0.01이하의 유의적인 NO 농도의 감소가 확인되었다.
도 5D를 참조하면, 10 ng/mL IL-1β에 의해 관절연골퇴행성 유도 관련 염증유도인자 PGE2의 농도가 대조군(101.94 ± 18%)과 비교시 249.47 ± 37%로 p < 0.01이하의 유의적 증가를 확인하였다. 반면, 10 ng/mL IL-1β에 50 또는 100 μM 악테오사이드를 각각 동시 투여 시 179.28 ± 43% 및 147.15 ± 29%로 10 ng/mL IL-1β의 PGE2 농도와 비교 시 p < 0.05이하의 유의적인 PGE2 농도 감소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악테오사이드에 의한 관절연골퇴행성유도 관련 염증유도인자 발현 억제를 통한 관절염 예방 및 관절보호 효능과 더불어 관절염으로 기인된 염증성통증완화에도 기여하고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2. GM-CSF, INF-γ, IL-1α, IL-1β, IL-4, IL-6, MCP-1, MIP-3α, β-NGF, CINC-2, CINC-3, CNTF 및 CX3CL1
관절염은 관절강 내 염증성 인자의 증가로 인하여 관절연골퇴행성효소 발현을 통한 점진적인 관절연골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외기질의 파괴로 기인되게 된다. 따라서 관절연골조직 내 염증성 인자의 발현억제는 관절연골퇴행성 예방을 위한 중요한 지표인자가 되게 된다. 이에 따라 랫트의 무릎연골조직으로부터 분리된 초대배양 연골세포를 단층배양시킨 후 10 ng/mL IL-1β 및 10 ng/mL IL-1β + 100 μM 악테오사이드의 투여조건으로 24시간 동안 배양 후 이들 실험군으로부터 각각 단백질을 회수하고 평량시킨 후 rat cytokine antibody array C1(RayBiotech, Inc., Norcross, GA, USA)을 이용하여 제조사의 분석방법에 따라 분석을 시행하였다.
도 6에 제시된 바와 같이 관절연골퇴행성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이 처리된 랫트 무릎관절유래 초대배양연골세포에서 악테오사이드 처리 시 IL-1β에 의해 증가되었던 GM-CSF, INF-γ, IL-1α, IL-1β, IL-4, IL-6, MCP-1, MIP-3α, β-NGF, CINC-2, CINC-3, CNTF, Fractalkine(CX3CL1) 등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는 악테오사이드는 GM-CSF, INF-γ, IL-1α, IL-1β, IL-4, IL-6, MCP-1, MIP-3α, β-NGF, CINC-2, CINC-3, CNTF, Fractalkine 중 하나 이상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관절연골퇴행성을 예방하고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3. MAPK 및 NFκB
NFκB의 활성화(인산화)는 COX-2 및 iNOS의 발현을 유도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ERK, JNK 및 p38 MAPK가 활성화(인산화)되게 되면 NFκB를 활성화 시키기 이는 COX-2와 iNOS의 발현을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 MAPK 및 NFκB의 활성화 억제는 관절연골퇴행성유도 관련 염증유도인자발현억제를 통한 관절염예방 및 관절보호 효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랫트의 무릎연골조직으로부터 분리된 초대배양 연골세포를 단층배양시킨 후 50 및 100 μM 악테오사이드와 더불어 10 ng/mL IL-1β에 50 및 100 μM 악테오사이드를 투여조건으로 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이들 실험군으로부터 각각 단백질을 회수하고 단백질 농도를 평량하여 각각의 MAPK 및 NFκB 특이적 항체를 이용하여 웨스턴블롯팅을 수행하였다.
도 7에 제시된 바와 같이, 10 ng/mL IL-1β에 의해 NFκB를 비롯한 MAPK의 인산화가 증가된 반면 50 또는 100 μM 악테오사이드를 각각 동시 투여시 이들의 인산화가 농도의존적으로 억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도 8A를 참조하면, 연골세포에 10 ng/mL IL-1β을 투여 시 연골세포의 세포질에 있던 NFκB(녹색형광)가 활성화되어 핵(녹색형광) 내로 유입되어 염증성유도인자 발현억제관련 신호전달경로를 개시하게 되는 반면, 50 또는 100 μM 악테오사이드를 각각 동시 투여시 세포질 내 NFκB의 인산화가 억제되어 핵 내로 유입되지 못하여 염증성유도인자 발현을 억제시키고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보다 증명하기 위하여 랫트의 무릎연골조직으로부터 분리된 초대배양 연골세포를 단층배양시킨 후 50 또는 100 μM 악테오사이드와 더불어 10 ng/mL IL-1β에 50 또는 100 μM 악테오사이드를 투여조건으로 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각각의 투여조건으로 처리된 연골세포를 회수하여 세포질 및 핵단백질로 분리한 후 단백질 농도를 평량하여 웨스턴블롯팅을 수행하였다. 도 8B의 상단에 제시된 바와 같이 회수된 핵단백질에서는 10 ng/mL IL-1β에 의해 핵 내로 유입된 활성화된 NFκB가 높은 반면 50 또는 100 μM 악테오사이드를 각각 동시 투여 시 핵 내로 유입된 활성화된 NFκB가 감소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도 8B의 하단에 제시된 바와 같이 회수된 세포질 단백질에서는 10 ng/mL IL-1β에 의해 활성화된 NFκB가 핵 내로 위치이동 됨에 따라 대조군에 비교하여 감소된 반면 50 또는 100 μM 악테오사이드를 각각 동시 투여 시 10 ng/mL IL-1β에 의한 NFκB 활성화를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여 NFκB의 핵 내로 위치이동을 억제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웨스턴블롯팅 결과는 악테오사이드가 MAPK 및 NFκB의 활성화 억제시킴으로써 관절연골퇴행성 유도와 밀접하게 관련된 염증성유도인자 발현억제하여 관절염예방 및 관절보호 효능을 나타내고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다.
실시예 5. 악테오사이드의 구강투여를 통한 in vivo 효능평가
악테오사이드의 구강투여에 의한 관절연골퇴행성 효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동물의 내측 반월판절개를 통하여 관절염동물모델(Destabilization of medial meniscus osteoarthritis animal model; DMM-OA)을 제작하였다. 이후 제작된 DMM-OA 동물에 각각 5 mg/Kg/Day 및 10mg/Kg/Day로 8주간 구강투여 하였다. 이후 실험동물로부터 무릎관절조직을 회수하여 고정시킨 후 파라핀을 활용한 조직절편을 제작하였다. 이후 관절연골을 구성하고 있는 프로테오글리칸을 염색시키기 위하여 Safranin-O & Fast green 염색을 수행하였다. 이후 확립된 관절연골퇴행성 정도를 구분하는 Mankin's grading system (정상 0점, 낮은 정도의 퇴행성 1점, 중등 단계의 퇴행성 2점, 심각한 관절연골 손상 3점)에 의해 관절연골퇴행성 정도를 분석하였다.
도 9에 제시된 바와 같이 외과적 DMM이 시행된 관절연골 정상대조군(Naive)와 비교 시 심각한 프로테오글리칸 소실과 더불어 관절연골표면이 손상되어있는 반면, 각각 5 mg/Kg/Day 및 10mg/Kg/Day로 8주간 구강투여된 DMM-OA 동물군에서는 DMM-OA동물군과 비교 시 유의적인 관절연골퇴행성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5)

  1. 악테오사이드(Acteoside)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절염은 골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통풍 관절염, 소아 관절염 및 반응성 관절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경구투여용인 조성물.
  4. 악테오사이드(Acteoside) 및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관절염은 골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통풍 관절염, 소아 관절염 및 반응성 관절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건강기능식품.
KR1020190165986A 2019-12-12 2019-12-12 악테오사이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2507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986A KR102507333B1 (ko) 2019-12-12 2019-12-12 악테오사이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986A KR102507333B1 (ko) 2019-12-12 2019-12-12 악테오사이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867A true KR20210074867A (ko) 2021-06-22
KR102507333B1 KR102507333B1 (ko) 2023-03-07

Family

ID=76600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986A KR102507333B1 (ko) 2019-12-12 2019-12-12 악테오사이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3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6762A (zh) * 2016-08-12 2016-12-21 成都中医药大学 松果菊苷和麦角甾苷的新用途
CN106617063A (zh) * 2016-12-30 2017-05-10 浙江海洋大学 一种预防关节炎的藻类提取物保健品及其制备方法
KR20190044025A (ko) * 2018-12-24 2019-04-2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nf-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tnf 활성 억제 방법
KR20190132552A (ko) 2011-12-09 2019-11-27 메타볼릭 파마슈티칼즈 피티와이 엘티디 성장 호르몬 단편들의 사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2552A (ko) 2011-12-09 2019-11-27 메타볼릭 파마슈티칼즈 피티와이 엘티디 성장 호르몬 단편들의 사용
CN106236762A (zh) * 2016-08-12 2016-12-21 成都中医药大学 松果菊苷和麦角甾苷的新用途
CN106617063A (zh) * 2016-12-30 2017-05-10 浙江海洋大学 一种预防关节炎的藻类提取物保健品及其制备方法
KR20190044025A (ko) * 2018-12-24 2019-04-2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nf-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tnf 활성 억제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MC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Vol. 19, No. 264, pp. 1-8 (2019.10.0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333B1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2832B1 (ko) 조골 및 파골 세포의 분화 억제용 조성물 및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US10286021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rthritis, containing Sargassum serratifolium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1793379B1 (ko) 조각자 가시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2102109B1 (ko) N-벤즈히드릴 퀴뉴클리딘 유도체를 포함하는 나트륨 누출 채널 억제용 조성물
KR101458061B1 (ko) 항암용 조성물
KR102507333B1 (ko) 악테오사이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200145757A (ko) 아피오스 아메리카나 괴경 추출물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위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46425A (ko) 천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위염 또는 위궤양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KR20200091925A (ko) 칠엽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0759468B1 (ko) 자색 고구마로부터 분리된 자색 색소를 함유하는 통풍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20610B1 (ko) Stat3 저해활성을 갖는 토목향 헥산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방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129596A (ko)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52583B1 (ko) 현사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허혈성 뇌혈관 질환 예방용 조성물
KR102352936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99510B1 (ko) 푸니칼라진을 포함하는 par2 활성 억제용 조성물
KR101624586B1 (ko) 스틸벤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113186A (ko) 생약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22627B1 (ko) 소나무 담쟁이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49093B1 (ko) 마테 및 황칠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변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96753B1 (ko) 좁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기능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5448B1 (ko) 검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0756052B1 (ko) 2&#39;-벤조일-옥시신남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암 예방 조성물
KR20140086240A (ko) 말뱅이나물 종자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KR20210149516A (ko) 피조티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51293B1 (ko) 은방울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