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2871A - 고 저항을 이용한 직류 저 전류계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고 저항을 이용한 직류 저 전류계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2871A
KR20210072871A KR1020190162969A KR20190162969A KR20210072871A KR 20210072871 A KR20210072871 A KR 20210072871A KR 1020190162969 A KR1020190162969 A KR 1020190162969A KR 20190162969 A KR20190162969 A KR 20190162969A KR 20210072871 A KR20210072871 A KR 20210072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ance
measuring
resistor
resistor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9949B1 (ko
Inventor
강전홍
유광민
이상화
Original Assigne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표준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표준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62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949B1/ko
Publication of KR20210072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5/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R35/005Calibrating; Standards or reference devices, e.g. voltage or resistance standards, "golden" referen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20Modifications of basic electric elements for use in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Structural combinations of such elements with such instruments
    • G01R1/203Resistors used for electric measuring, e.g. decade resistors standards, resistors for comparators, series resistors, shu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20Modifications of basic electric elements for use in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Structural combinations of such elements with such instruments
    • G01R1/206Switches for connection of measuring instruments or electric motors to measuring loa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08Measuring resistance by measuring both voltage and curr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Resistance Or Imped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류 전압원에서 발생되는 직류 전압을 저항에 인가하면 오옴의 법칙(
Figure pat00004
)에 의해 전류가 발생하므로 고가의 전류 발생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개발된 측정장치를 통해 전류를 측정할 수 있으며, 저항체를 교체할 수도 있으므로, 저항체가 열화되어 저항값이 변하는 저항체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고 저항을 이용한 직류 저 전류계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직류전압을 발생시켜 인가하는 직류전원부와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서로 다른 고저항값을 가지는 다수의 저항체; 상기 다수의 저항체와 연결되어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장치와 연결되는 측정부; 상기 연결부와 다수의 저항체 간 및 다수의 저항체와 측정부 간에 각각의 저항체를 선택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스위치; 상기 저항체를 고정 및 교체되도록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연결부 및 측정부가 고정되는 본체부 및 상기 연결부와 측정부에 연결되어 스위치를 통해 선택되는 저항체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해당 저항체의 저항값을 확인하도록 하는 저항 측정장치를 포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 저항을 이용한 직류 저 전류계 교정장치{Direct current low current meter calibration using high resistance}
본 발명은 고 저항과 직류 전압원을 이용한 직류 저 전류계(picoammeter, electrometer)의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직류 전압원으로 부터 직류 전압을 교정장치의 입력단에 인가하면 교정장치의 출력단에서 전류가 발생하는 원리로 종전 고가의 저 전류 발생장치(picoampere current source)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저 전류계를 교정할 수 있는 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교정장치는 직류 전압원과 고저항 측정기를 사용하여 오옴의 법칙(
Figure pat00001
)에 따라 자체 전류의 소급(교정)이 가능하므로 저 전류계의 성능을 확인 하거나 쉽고 정확하게 교정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교정장치는 저가의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종전 고가의 저 전류 발생장치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pA나 nA의 저 전류를 측정하려면 일반적인 전류계로는 측정할 수 없으므로, 고가의 저 전류계를 사용해야 하며, 이러한 저 전류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차가 커지게 되는데 이를 교정해야만 정확한 저 전류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저 전류계(picoammeter)를 교정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저 전류 발생장치(picoampere current source)를 따로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 저 전류 발생장치는 국가표준기관이나 국가교정기관으로부터 반드시 교정받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특허는 열전형 변환기를 기본으로 하여 전압, 전류, 전력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다기능 전력계를 개발하며 전력계를 구성하는 정밀 전류, 전압 및 전력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소정의 전류와 전압을 각각 출력하는 변압기와 변류기; 소정의 직류 전압원; 변압기와 변류기와 연결되는 측정모드와 직류 전압원와 연결되는 교정모드 사이를 전환하는 제 1 스위치: 제 1 스위치와 각각 연결되어 전압모드, 전류모드, 전력모드 중 하나를 전환하는 모드전환 스위치; 모드전환 스위치의 각 출력신호를 가산하는 가산수단과 감산하는 감산수단을 가진 제 1 증폭수단; 제 1 증폭수단에 의해 증폭된 각 증폭신호를 각각 수신받으며, 직렬로 연결된 제 3, 4 열전형 변형기; 제 3, 4 열전형 변형기의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입력에 비례하는 출력값을 생성하는 제 2 증폭수단; 및 제 2 증폭수단에 의해 증폭된 모드전환 스위치로 피드백하는 피드백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는 정밀한 전압 및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측정장치를 교정하는 장치의 구성이 아니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되는 측정장치의 오차를 교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 : 한국 등록특허 공보 제10-0724095호(2007.05.25.)
본 발명은 직류 전압원으로부터 직류 전압(100 mV ∼ 100 V)을 교정장치 내에 있는 각각의 고 저항에 인가하면 각각의 고저항 범위에 해당하는 전류가 발생하므로 쉽고 정확하게 저 전류계의 성능을 확인하거나 교정할 수 있는 장치이다.
즉, 직류 전류의 발생 원리는 오옴의 법칙(
Figure pat00002
)에 따라 전류는 전압과 저항 비에 비례하여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고가의 저 전류 발생장치(picoampere current source)를 사용하지 않아도 저 전류계의 성능을 확인 하거나 교정할 수 있도록 하며, 저 전류의 범위에 해당하는 다수개의 고 저항이 있어서 저항 값에 해당하는 직류 전압(100 mV ∼ 100 V)을 교정장치의 입력단에 인가하면 저 전류계의 전류 범위전류범위(pA ∼ nA)에 해당하는 전류를 출력단으로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저 전류계의 성능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교정할 수 있는 고 저항을 이용한 직류 저 전류계 교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 저항을 이용한 직류 저 전류계 교정장치는, 직류전원을 발생시켜 인가하는 직류전원부와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서로 다른 고저항값을 가지는 다수의 저항체; 상기 다수의 저항체와 연결되어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장치와 연결되는 측정부; 상기 연결부와 다수의 저항체 간 및 다수의 저항체와 측정부 간에 각각의 저항체를 선택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스위치; 상기 저항체를 고정 및 교체되도록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연결부 및 측정부가 고정되는 본체부 및 상기 연결부와 측정부에 연결되어 통해 선택되는 저항체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해당 저항체의 저항값을 확인하도록 하는 저항 측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스위치는 연결부와 다수의 저항체 간 및 다수의 저항체와 측정부 간에 각각 형성되어 연결부와 연결되는 저항체와 측정부와 연결되는 저항체를 스위치를 통해 저항 측정장치로 각각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저항의 정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은 직류전원을 발생시켜 인가하는 직류전원부(1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부; 상기 다수의 연결부와 각각 연결되며, 각각 다른 기준값을 가지는 저항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저항체; 상기 다수의 저항체와 연결되어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장치와 연결되는 측정부; 상기 저항체를 고정 및 교체되도록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 및 측정부가 고정되는 본체부 및 상기 연결부와 측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저항체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해당 저항체의 저항값이 정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저항 측정장치(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직류 전압원으로부터 교정장치의 입력단자에 직류 전압(100 mV ∼ 100 V)을 인가하면 각각의 저항 범위에 맞는 출력 전류(pA ∼ nA)가 발생하므로, 고가의 저 전류 발생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저 전류계의 성능을 확인하거나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항체가 열화 되어 저항값이 변한 경우 정상적인 저항체로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 저항을 이용한 직류 저 전류계 교정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 저항을 이용한 직류 저 전류계 교정장치의 결합부와 측정부 간에 스위치가 다수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 예에 따른 고 저항을 이용한 직류 저 전류계 교정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 저항을 이용한 직류 저 전류계 교정장치의 저항체가 본체부의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직류전원을 발생시켜 인가하는 직류전원부(10)와 연결되는 연결부(21); 상기 연결부(21)와 각각 다른 기준값을 가지는 저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21)와 연결되는 서로 다른 고저항값을 가지는 다수의 저항체(50); 상기 다수의 저항체(50)와 연결되어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장치(30)와 연결되는 측정부(24); 상기 연결부(21)와 다수의 저항체(50) 간 및 다수의 저항체(50)와 측정부(24) 간에 각각의 저항체(50)를 선택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스위치(22); 상기 저항체(50)를 고정 및 교체되도록 다수의 결합홈(25)이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22), 연결부(21) 및 측정부(24)가 고정되는 본체부(20) 및 상기 연결부(21)와 측정부(24)에 연결되어 스위치(22)를 통해 선택되는 저항체(50)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해당 저항체(50)의 저항값을 확인하도록 하는 저항 측정장치(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스위치(22)는 연결부(21)와 다수의 저항체(50) 간 및 다수의 저항체(50)와 측정부(24) 간에 각각 형성되어 연결부(21)와 연결되는 저항체(50)와 측정부(24)와 연결되는 저항체(50)를 스위치(22)를 통해 저항 측정장치(40)로 각각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저항의 정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은 직류전원을 발생시켜 인가하는 직류전원부(1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부(21); 상기 다수의 연결부(21)와 각각 연결되며, 각각 다른 기준값을 가지는 저항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저항체(50); 상기 다수의 저항체(50)와 연결되어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장치(30)와 연결되는 측정부(24); 상기 저항체(50)를 고정 및 교체되도록 다수의 결합홈(25)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21) 및 측정부(24)가 고정되는 본체부(20) 및 상기 연결부(21)와 측정부(24)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21)를 통해 연결되는 저항체(50)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해당 저항체(50)의 저항값이 정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저항 측정장치(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 저항을 이용한 직류 저 전류계 교정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직류전원을 발생시켜 인가하는 직류전원부(10)과 연결되는 연결부(21), 연결부(21)와 각각 다른 기준값을 가지는 저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21)와 연결되는 서로 다른 고저항값을 가지는 다수의 저항체(50), 다수의 저항체(50)와 연결되어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장치(30)와 연결되는 측정부(24), 연결부(21)와 다수의 저항체(50) 간 및 다수의 저항체(50)와 측정부(24) 간에 각각의 저항체(50)를 선택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스위치(22), 저항체(50)를 고정 및 교체되도록 다수의 결합홈(25)이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22), 연결부(21) 및 측정부(24)가 고정되는 본체부(20) 및 연결부(21)와 측정부(24)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22)를 통해 선택되는 저항체(50)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해당 저항체(50)의 저항값이 정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저항 측정장치(4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 저항을 이용한 직류 저 전류계 교정장치의 결합부와 측정부 간에 스위치가 다수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직류 전원부(10)는 각각의 저항값에 해당하는 임의의 전압인 100 mV ∼ 100 V를 저항체(50)에 인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직류 전원부(10)는 각각의 저항값에 따라 직류 전압을 인가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저 전류계의 1 nA range에서 1.000 00 nA의 기준 전류를 인가하기 위해서는 저항측정기로 측정한 저항체(50) 1개의 저항값이 1.000 15 GΩ이라면 1.000 15 V의 직류 전압을 인가하면 오옴의 법칙(
Figure pat00003
)에 의해 전류는 1.000 00 nA가 출력 된다.
이러한 상기 직류전원부(10)는 발생되는 전원의 전압에 따른 전류값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직류전원부(10)의 발생 전압을 직류 전압계로 확인해야 한다.
이를 위해 연결부(21)와 다수의 저항체(50) 및 측정부(24)가 형성되는 본체부(20)가 형성되고, 연결부(21)에 직류전원부(10)가 연결되며, 측정부(24)에 측정장치(30)가 연결되어 이를 위해 연결부(21)와 다수의 저항체(50) 및 측정부(24)가 형성되는 본체부(20)가 형성되고, 연결부(21)에 직류전원부(10)가 연결되며, 측정부(24)에 측정장치(30)가 연결되어 직류 전원부(10)에서 저항체(50)에 직류 전압을 인가하여 측정장치(30)에서 전류를 측정하게 된다.
상기 측정장치(30)는 저 전류를 측정하는 저 전류계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21)는 본체부(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직류 전원부가 연결되며, 다수의 저항체(50)가 스위치(22)를 통해 연결되어 스위치(22)를 통해 선택되어 저항체(50)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고 저항값을 가지는 저항체(50)는 각각의 저항체마다 연결부(21)가 각각 구비되어 각각 연결되거나 선택식 스위치(22)가 형성되어 스위치(22)로 선택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다수의 저항체(50)는 각각 다른 값의 저항값을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직류 전원부(10)에서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저 전류가 발생하도록 다양한 저항값을 가지고 본체부(20)의 결합홈(25)에 결합된다.
상기 다수의 저항체(50)는 본체부(20)의 결합홈(25)에 쉽게 결합되고 분리될 수 있도록 끼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다수의 저항체(50) 양단에는 전극(51)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본체부(20)의 결합홈(25)에는 이와 대응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어 돌출된 전극(51)이 슬라이드되어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다수의 저항체(50)를 본체부(20)의 결합홈(25)에 수직 슬라이드 결합되어 쉽게 본체부(20)에 결합되며, 교체도 쉽게 이루어진다.
상기 다수의 저항체(50)를 교체하는 이유는 저항체(50)가 오랫동안 사용으로 열화되어 저항값이 변하므로, 이를 새로운 저항체(50)로 교체하기 위한 것이며, 다른 이유로는 측정하고자 하는 전류에 따른 저항값 변화를 위해 저항체(50)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다수의 저항체(50) 타측은 측정부(24)와 연결되며, 다수의 스위치(22)를 통해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다수의 저항체(50)가 각기 다른 고저항값을 갖도록 구성되므로, 연결부(21)와 저항체(50) 간을 구분하여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선택스위치(22) 또는 별도의 연결부(21)로 이루어지는 구성이 다수의 저항체(50)와 측정부(24) 간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저항체(50)와 연결부(21) 또는 측정부(24)와 연결시키는 스위치(22)는 각 저항체(50)와 연결부(21) 또는 각 저항체(50)와 측정부(24) 간에 형성되어 각각의 저항체(50)를 선택하여 연결부(21)와 측정부(24)에 연결시키도록 한다.
상기 본체부(20)는 일측에 연결부(21)가 형성되고, 타측에 측정부(24)가 형성되며, 중앙에 다수의 저항체(50)가 결합되는 결합홈(25)이 형성되고, 결합홈(25)의 일측단과 연결부(21) 간 및 결합홈(25)의 타측단과 측정부(24) 간에 각각의 저항이 개별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다수의 스위치(22)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20)는 고저항값 군을 형성하는 저항체(50)를 구분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다수의 스위치(22) 또는 별도의 연결부(21)와 측정부(24)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측정부(24)에는 측정장치(30)가 연결된다.
상기 본체부(20)의 결합홈(25)에 결합되는 저항체(50)는 열화 또는 다른 저항값을 가지는 저항체(50)로 변경을 위해 교체가 되는데 이러한 저항체(50)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저항측정장치(40)가 본체부(20)에 연결되어 스위치(22)를 통해 연결부(21)와 측정부(24)에 연결되는 저항체(50)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저항체(50)의 정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 예에 따른 고 저항을 이용한 직류 저 전류계 교정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 저항을 이용한 직류 저 전류계 교정장치의 저항체가 본체부의 결합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때, 상기 저항체(50)는 측면에 전극(51)이 형성되어 본체부의 결합홈(25) 양측에 형성된 전극홈에 상측에서 슬라이드 삽입되어 접촉되므로 쉽게 결합되고, 상측으로 저항체(50)를 들어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정부(24)에서 전류를 측정할 때에는 전압값과 저항값을 통해 산출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직류 전압(100 mV ∼ 100 V)을 인가하는 직류전원부(1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부(21), 다수의 연결부(21)와 각각 연결되며, 각각 다른 기준값을 가지는 저항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저항체(50), 다수의 저항체(50)와 연결되어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장치(30)와 연결되는 측정부(24), 저항체(50)를 고정 및 교체되도록 다수의 결합홈(25)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21) 및 측정부(24)가 고정되는 본체부(20) 및 연결부(21)와 측정부(24)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21)를 통해 연결되는 저항체(50)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해당 저항체(50)의 저항값이 정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저항측정장치(4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21)는 직류 전압(100 mV ∼ 100 V)을 인가하는 직류 전원부(10)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다수로 형성되며, 각각 저항값이 다른 저항체(50)에 각각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21)와 각각 연결되는 저항체(50)는 다수로 이루어져 각각 다른 기준값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저항체(50)는 본체부(20)에 삽입결합 되는데, 이러한 본체부(20)는 저항체(50)를 고정 및 교체되도록 다수의 결합홈(25)이 형성되고, 타측에 측정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측정부(24)는 다수의 저항체(50)와 하나로 연결되어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장치(30)와 연결된다.
즉, 상기 측정장치(30)와 연결되는 하나의 측정부(24)가 타측에 형성되고, 다수의 연결부(21)가 일측에 형성되어 직류 전원부(10)와 연결됨으로서, 다수의 저항체(50)를 선택적으로 직류 전원부(10)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저항 측정장치(40)는 연결부(21)와 측정부(24)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21)를 통해 연결되는 저항체(50)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해당 저항체(50)의 저항이 정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직류 전압원으로부터 교정장치의 입력단자에 직류 전압(100 mV ∼ 100 V)을 인가하면 각각의 저항 범위에 맞는 출력 전류(pA ∼ nA)가 발생하므로, 고가의 저 전류 발생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저 전류계의 성능을 확인하거나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항체가 열화 되어 저항값이 변한 경우 정상적인 저항체로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고 저항을 이용한 직류 저 전류계 교정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 예들은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 : 직류전원부
20 : 본체부 21 : 연결부
22 : 스위치 23 : 선택 스위치
24 : 측정부 25 : 결합홈
30 : 측정장치 40 : 저항 측정장치
50 : 저항체 51 : 전극

Claims (3)

  1. 직류전원을 발생시켜 인가하는 직류전원부(10)와 연결되는 연결부(21);
    상기 연결부(21)와 각각 다른 기준값을 가지는 저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21)와 연결되는 서로 다른 고저항값을 가지는 다수의 저항체(50);
    상기 다수의 저항체(50)와 연결되어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장치(30)와 연결되는 측정부(24);
    상기 연결부(21)와 다수의 저항체(50) 간 및 다수의 저항체(50)와 측정부(24) 간에 각각의 저항체(50)를 선택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스위치(22);
    상기 저항체(50)를 고정 및 교체되도록 다수의 결합홈(25)이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22), 연결부(21) 및 측정부(24)가 고정되는 본체부(20) 및
    상기 연결부(21)와 측정부(24)에 연결되어 스위치(22)를 통해 선택되는 저항체(50)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해당 저항체(50)의 저항값을 확인하도록 하는 저항 측정장치(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저항을 이용한 직류 저 전류계 교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스위치(22)는 연결부(21)와 다수의 저항체(50) 간 및 다수의 저항체(50)와 측정부(24) 간에 각각 형성되어 연결부(21)와 연결되는 저항체(50)와 측정부(24)와 연결되는 저항체(50)를 스위치(22)를 통해 저항 측정장치(40)로 각각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저항의 정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저항을 이용한 직류 저 전류계 교정장치.
  3. 직류전원을 발생시켜 인가하는 직류전원부(1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부(21);
    상기 다수의 연결부(21)와 각각 연결되며, 각각 다른 기준값을 가지는 저항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저항체(50);
    상기 다수의 저항체(50)와 연결되어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장치(30)와 연결되는 측정부(24);
    상기 저항체(50)를 고정 및 교체되도록 다수의 결합홈(25)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21) 및 측정부(24)가 고정되는 본체부(20) 및
    상기 연결부(21)와 측정부(24)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21)를 통해 연결되는 저항체(50)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해당 저항체(50)의 저항값이 정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저항 측정장치(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저항을 이용한 직류 저 전류계 교정장치.
KR1020190162969A 2019-12-09 2019-12-09 고 저항을 이용한 직류 저 전류계 교정장치 KR102279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969A KR102279949B1 (ko) 2019-12-09 2019-12-09 고 저항을 이용한 직류 저 전류계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969A KR102279949B1 (ko) 2019-12-09 2019-12-09 고 저항을 이용한 직류 저 전류계 교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871A true KR20210072871A (ko) 2021-06-18
KR102279949B1 KR102279949B1 (ko) 2021-07-22

Family

ID=76623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969A KR102279949B1 (ko) 2019-12-09 2019-12-09 고 저항을 이용한 직류 저 전류계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94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7381U (ko) * 1988-09-29 1990-04-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중저항 선택박스를 이용한 저항 선택회로
JPH08178973A (ja) * 1994-12-27 1996-07-12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流測定装置
KR100724095B1 (ko) 2005-10-21 2007-06-04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정밀 전류, 전압 및 전력 측정장치
KR20150069893A (ko) * 2013-12-16 2015-06-24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고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JP2019060767A (ja) * 2017-09-27 2019-04-18 日本電産リード株式会社 抵抗測定装置の校正方法、抵抗測定装置、基板検査装置、及び基準抵抗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7381U (ko) * 1988-09-29 1990-04-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중저항 선택박스를 이용한 저항 선택회로
JPH08178973A (ja) * 1994-12-27 1996-07-12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流測定装置
KR100724095B1 (ko) 2005-10-21 2007-06-04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정밀 전류, 전압 및 전력 측정장치
KR20150069893A (ko) * 2013-12-16 2015-06-24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고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JP2019060767A (ja) * 2017-09-27 2019-04-18 日本電産リード株式会社 抵抗測定装置の校正方法、抵抗測定装置、基板検査装置、及び基準抵抗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949B1 (ko) 202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2486A (ko) 조전지 총전압 검출 및 리크 검출장치
EP2270520A1 (en) Resistance bridge architecture and method
US8358143B2 (en) Internal self-check resistance bridge and method
US1015177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ccuracy improvement in current comparators
US7482829B2 (en) Electric power applying circuit and test apparatus
KR101057555B1 (ko) 유량계에 있어서의 온도계측회로
Voljc et al. Direct measurement of AC current by measuring the voltage drop on the coaxial current shunt
KR102279949B1 (ko) 고 저항을 이용한 직류 저 전류계 교정장치
KR100974650B1 (ko) 저항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US6803776B2 (en) Current-comparator-based four-terminal resistance bridge for power frequencies
CN110068372B (zh) 磁感应式流量测量仪
US7550981B2 (en) Circuit and method for determining potentiometer wiper resistance
KR101563592B1 (ko) 고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US10031537B2 (en) Differential probe with common-mode offset
JPH1172529A (ja) コンデンサの絶縁抵抗測定装置
JP4941164B2 (ja) 基準電圧校正回路及び方法
CN105224003A (zh) 集成电路
JP3716308B2 (ja) 高抵抗測定方法および高抵抗測定装置
KR101851968B1 (ko) 전압 변성기 비교기의 평가 장치
CN211375012U (zh) 一种输入电流的测试设备及服务器
RU2468334C1 (ru)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результатов измерения тензометрическим мостовым датчиком с инструментальным усилителем
Klonz et al. Micropotentiometers providing low output impedance for millivolt AC–DC transfer
JPH02287163A (ja) 抵抗値の測定方法
JPS649594B2 (ko)
JPH04315062A (ja) 抵抗体の抵抗値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