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2770A - 염증성 신경계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염증성 신경계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2770A
KR20210072770A KR1020217010313A KR20217010313A KR20210072770A KR 20210072770 A KR20210072770 A KR 20210072770A KR 1020217010313 A KR1020217010313 A KR 1020217010313A KR 20217010313 A KR20217010313 A KR 20217010313A KR 20210072770 A KR20210072770 A KR 20210072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ns
amino acid
acid transporter
inhibitor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0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프리 후앙
마리나 베이듀크
Original Assignee
조지타운 유니버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지타운 유니버시티 filed Critical 조지타운 유니버시티
Publication of KR20210072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Oxazoles
    • A61K31/423Ox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85Brain, e.g. brain implants; Spin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r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중추 신경계(CNS)에서 강화된 염증으로 표시된 병태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CNS에 존재하는 염증 세포 내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를 CNS에서 강화된 염증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 세포 내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조성물은 포유동물의 CNS로 직접 투여하기 위해 제형화된다.

Description

염증성 신경계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연방 지원 연구 또는 개발에 관한 성명
본 발명의 개발 중에 수행된 작업의 일부는 국립 보건원 보조금 번호 5R21NS091890-02 및 1R01NS107523-01에 따라 미국 정부 자금을 사용했다. 미국 정부는 본 발명에 대한 특정 권리를 갖는다.
발명의 분야
본 출원은 중추 신경계(CNS)에서 강화된 염증으로 표시된 병태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방법 및 조성물은 CNS에 존재하는 염증 세포 내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 사용에 관한 것이다.
다발성 경화증(MS)은 탈수초화, 축삭 손상 및 진행성 신경퇴행을 특징으로 하는 CNS의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흥미롭게도 질환의 초기 단계에서 희소돌기아교세포(oligodendrocyte)는 자발적으로 재생되고 손상 후 수초를 복원할 수 있다. "재수초화(remyelination)"라고 불리는 이 과정은 성인 CNS에 풍부하고 널리 분포되어 있는 희소돌기아교세포 전구체 세포(OPC)가 손상 부위로 이동하고, 희소돌기아교세포로 분화하고, 이전에 탈수초화된 축삭 주위에서 수초를 재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그러나 질환의 진행 단계에서 재수초화는 점점 비효율적이 되고 궁극적으로 실패한다. 수초를 재생하지 못하면 축삭 기능이 손상되고, 신경퇴행이 진행되어 환자에게 돌이킬 수 없는 장애가 축적된다.
CNS로의 말초 면역세포 침윤을 표적으로 하는 현재의 면역조절 요법은 재발-완화 형태의 질환에서 재발 및 질환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치료법은 CNS 염증이 폐쇄된 혈뇌장벽 뒤의 뇌 구획 내부에 "갇혀있는" 것처럼 보이는 질환의 진행성 형태에서는 대체로 효과가 없다. 사실, CNS에서 발생하는 염증에는 주변의 염증과 비교하여 뚜렷한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CNS 염증은 미세아교세포/대식세포 및 T 세포 림프구의 활성화를 포함하는 반면, 말초 염증은 순환하는 단핵구/대식세포 및 림프구의 활성화를 포함한다.
1차 진행성 MS(PPMS) 및 2차 진행성 MS(SPMS)와 같은 진행성 형태의 MC에서, 미세아교세포/대식세포 활성화를 통한 병변의 느린 확장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smoldering) 염증은 질환 진행에 기여한다. 실제로 진행성 MS 환자의 사후 뇌 절편 분석은 고-등급 염증, 활성 탈수초화, 불완전한 재수초화 및 심각한 축삭 손실을 나타내는 천천히 팽창하는 플라크(slowly expanding plaques)를 나타낸다. MS의 진행 단계에서 재수초화가 실패하는 정확한 이유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고령, 조절되지 않는 염증, 비효율적인 세포/수초 파편 제거, 축삭 이영양증 또는 OPC가 분화할 수 없는 등 MS에서 재수초화가 손상될 수 있는 몇 가지 가능성이 있다.
여러 이전 연구에서, 즉, 미세아교세포/대식세포 활성화를 통한 CNS 염증이 재수초화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입증했다. 예를 들어, 클로드로네이트-리포좀 또는 미노사이클린을 탈수초화 마우스 모델에 주입하여 대식세포 고갈은 희소돌기아교세포 계통의 세포의 병변 진행을 방지하여 재수초화를 심각하게 억제한다. 더욱이, 만성적으로 탈수초화된 축삭에서 염증의 유도는 OPC 분화와 재수초화를 유발한다. 역설적으로, 염증은 또한 재수초화 실패와 관련이 있다. 특히, 성숙 희소돌기아교세포 및 재수초화가 결핍된 진행성 MS 병변에서 높은 등급 또는 만성 염증이 자주 관찰되었다. 더욱이, MS 환자의 림프구를 탈수초화된 마우스 CNS로 이식하면 미세아교세포/대식세포 활성화가 향상되어 OPC 증식이 발생하지만 재수초화를 위해 희소돌기아교세포로 분화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만성 MS 병변은 탈수초성 손상에 대한 반응으로 병변에 모집된 OPC가 풍부하지만 미해결 염증 환경에서 재수초성 희소돌기아교세포로 분화할 수 없었다. 종합적으로, 이러한 연구는 병변에 OPC 모집 및 증식을 동원하는 데 있어 염증의 유익한 효과에도 불구하고 효율적인 희소돌기아교세포 계통 세포 진행 및 재수초화를 보장하기 위해 결국 염증을 해결해야 함을 시사한다.
발명의 개요
본 출원은 CNS에서 강화된 염증으로 표시된 병태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CNS에 존재하는 염증 세포 내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를 CNS에서 강화된 염증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은 또한 전염증 세포 내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조성물은 포유동물의 CNS로 직접 투여하기 위해 제형화된다.
도 1은 CNS 병변 내 면역세포에서의 Slc7a5의 발현을 도시한다.
도 2는 유도된 실험적 자가면역 뇌척수염(EAE)이 있는 마우스에 복강 내 주사를 통해 연속 5일 동안 JPH203의 투여를 도시한다.
도 3은 CNS 병변에서 JPH203에 의한 Slc7a5의 약리학적 억제를 도시한다.
당 업계에서 종종 "미해결 염증"으로 지칭되는 강화된 염증은 급성 염증의 두 가지 반대 경로, 즉 항염증 및 전염증 경로 사이의 불균형으로, 면역 체계의 전체적인 보호 특성의 파괴를 초래한다. 용어 "강화된 염증" 및 "미해결 염증"은 본원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지속적인 미해결 염증은 만성 염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합병증이나 질환 병태로 이어질 수 있다. 당업자는 본원에 사용된 미해결 염증 또는 강화된 염증이라는 용어를 쉽게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염증은 항염증 및 전염증 반응의 위치에 따라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미해결 염증과 만성 염증은 염증 부위에 따라 다른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CNS 내의 염증은 CNS에서만 발견되는 별개의 면역세포인 미세아교세포를 포함한다. 반면에, 미세아교세포는 CNS에서만 발견되기 때문에 CNS 외부의 염증은 미세아교세포를 포함할 수 없다.
미세아교세포는 CNS의 "상주 면역세포"이며, CNS 외부에서 발견되지 않는다. 미세아교세포는 CNS 외부의 다른 유형의 면역세포와 표현형적으로, 그리고 기능적으로 상이하다. 예를 들어, 미세아교세포는 일반적으로 CNS 외부의 다른 대식세포 집단에서 전형적으로 발현되는 mRNA 전사체를 발현하지 않거나, 낮은 수준의 발현을 갖는다. 그러나 미세아교세포는 일반적으로 산화 대사와 관련된 유전자에 대해 비정상적으로 높은 발현 수준의 mRNA를 나타낸다. 문헌[Perry, V. 및 Teeling, J., Semin. Immunopathol., 35(5): 601-612(2013)]을 참조하며, 이는 참조로 포함된다.
CNS 염증에서 미세아교세포의 역할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CNS 염증 동안 미세아교세포의 유익하거나 해로운 효과에 대한 상충되는 데이터가 있다. 예를 들어, Yin, J, et al., J. Immunology Res., Vol. 2017, Article ID 5150678, (doi: 10.1155/2017/5150678)은 활성화된 미세아교세포가 MS 동안 신경보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고 최근 리뷰 기사에서 보고한다. 문헌[Bogie, F., et al., Acta Neuro -Pathologica, 128(2): 191-213(2014)]을 참조한다. 다른 한편으로, 활성화된 미세아교세포는 MS 진행 중에 신경독성 효과를 가질 수도 있다. 이 시점에서, 미세아교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이 CNS 내 염증으로 고통받는 환자에게 치료적 완화를 제공할 것인지, 또는 미세아교세포의 증식 및/또는 활성화를 촉진하는 것이 CNS 내 염증으로 고통받는 환자에게 치료적 완화를 제공할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본 출원은 CNS에서 강화된 염증으로 표시된 병태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치료 방법) 및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료 방법은 CNS에 존재하는 염증 세포 내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를 CNS에서 강화된 염증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특정 구현예에서, 치료 방법은 CNS에서 강화된 염증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미세아교세포 내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CNS에서 강화된 염증으로 표시되는 병태는 CNS의 백질 또는 회색질에서 뉴런의 탈수초화에 의해 표시된다. 탈수초화 과정은 당 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뉴런을 둘러싸고 있는 수초(myelin sheath)의 분해, 손상 또는 완전성 상실과 관련된 병리이다. 일 구현예에서, 탈수초화는 정상적이고 건강한 수초가 그 완전성을 잃고/하거나 화학적 독소, 바이러스 또는 박테리아 감염 또는 면역계의 불균형과 같은 손상에 의해 파괴되는 탈수초성 골수쇄성 질환이다. 탈수초성 골수쇄성 질환에서 적어도 초기에는 염증 반응이 나타나고, 이 염증은 결국 해결되지 않거나 강화되어, 보다 광범위한 탈수초화로 이어질 수 있다.
선택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치료할 수 있는 탈수초화가 발생하는 CNS에서 강화된 염증에 의해 표시되는 병태는 임상적으로 단리된 증후군(CIS)을 포함하는 MS, 재발 진행성 MS, 일차 진행성 MS, 이차 진행성 MS, 종양성 MS, 공동 병변이 있는 MS, 골수피질 MS, 데빅병(Devic's disease), 발로(Balo) 동심성 경화증, 쉴더 미만성(Schilder's diffuse) 경화증 및 마르부르크 MS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치료될 수 있는 탈수초화가 발생하는 CNS에서 염증이 강화된 것으로 표시되는 다른 병태에는 시신경 척수염(NMO), 시신경척수염 범주 장애(NMOSD), 자가면역성 뇌염,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 급성 출혈성 백혈구염, 수초 희소돌기아교세포 당단백질 항체-관련 탈수초화(항-MOG), HTLV-I 관련 골수병증(HAM), 횡단 골수염, 만성 재발성 염증성 시신경염(CRION) 및, 참조로 포함되는, 문헌[
Figure pct00001
, R. and Lassmann, H., "Inflammatory demyelinating disease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in Handbook of Clinical Neurology, Kovacs, G. and Alafuzoff, I., Eds., Vol 145, pp. 263-283 (2018)]에 논의된 바와 같은 기타 염증성 탈수초화 질환이 포함되며,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치료될 수 있는 CNS에서 강화된 염증으로 표시되는 다른 병태는 탈수초화가 반드시 발생하지 않는 병태,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암 치료 후 방사선-유발 손상, 뇌졸중, 외상성 뇌 손상(TBI), 바이러스 감염, 척수 손상, 시신경 손상 및 뇌성 마비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물론 탈수초화는 CNS의 근본적인 염증으로 인해 나열된 모든 병태에서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대상체의 CNS에서 강화된 염증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방법(예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방적 방법은 CNS에서 강화된 염증의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CNS에 존재하는 염증 세포내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특정 구현예에서, 예방 방법은 CNS에서 강화된 염증의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미세아교 세포 내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대상체의 CNS에서 염증을 감소시키는 방법; CNS에서 강화된 염증으로 표시된 병태를 갖는 대상체의 CNS에서 뉴런의 재수초화를 증가시키는 방법; 및 CNS에서 강화된 염증으로 표시된 병태를 갖는 대상체의 CNS에서 희소돌기아교세포의 재수초화 희소돌기아교세포로의 분화를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들 방법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 CNS에 존재하는 염증 세포 내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를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치료 및/또는 예방 방법은 CNS에서 강화된 염증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CNS에 존재하는 다른 유형의 염증 세포,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대식세포, T-세포, B-세포 및 내피 세포 내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CNS에 존재하는 이러한 유형의 대식세포, T-세포, B-세포 및 내피 세포는 이들의 표현형 및 기능에 대해 당업자에 의해 쉽게 식별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미세아교세포에서만 아미노산 수송체를 억제한다. 또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미세아교세포의 아미노산 수송체뿐만 아니라 CNS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유형의 염증 세포, 예컨대 비제한적으로 대식세포, T-세포, B-세포 및 내피 세포를 억제한다. 또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미세아교세포에서 아미노산 수송체 및 CNS에 존재하는 대식세포를 억제한다. 또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미세아교세포의 아미노산 수송체 및 CNS에 존재하는 T-세포를 억제한다. 또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미세아교세포의 아미노산 수송체 및 CNS에 존재하는 B-세포를 억제한다. 또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미세아교세포의 아미노산 수송체 및 CNS에 존재하는 내피 세포를 억제한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치료 및/또는 예방 방법은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를 CNS에 존재하는 염증 세포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대상체 또는 환자는 포유동물이다. 대상체 및 환자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하나의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치료 및/또는 예방 방법은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를 CNS에 존재하는 염증 세포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대상체 또는 환자는 인간, 비-인간 영장류, 마우스, 랫트, 개 또는 고양이이다.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가 투여되는 비-인간 대상체는 일반적으로 동물 모델 연구에서 염증이 유도된 동물일 것이다.
본 발명의 치료 및/또는 예방 방법은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를 CNS에 존재하는 염증 세포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억제되는 아미노산 수송체는 큰 아미노산 수송체 작은 서브유닛1(LAT1)이다.
LAT1 단백질은 Slc7a5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고, 페닐알라닌, 티로신, 류신, 아르기닌 및 트립토판과 같은 "대형" 중성 아미노산의 나트륨-독립적인 고친화성 수송체이다. 전 세계 웹 사이트 uniprot.org/uniprot/Q01650에서 사용 가능한 UniProt Record Q01650을 참조하며, 이는 참조로 포함된다. LAT1 단백질은“성인 폐, 간, 뇌, 골격근, 태반, 골수, 고환, 휴지 림프구 및 단핵구, 태아 간”에서 풍부하게 발현된다. UniProt Record Q01650. LAT1 단백질은 또한 "흉선, 각막, 망막, 말초 백혈구, 비장, 신장, 결장 및 림프절"에서 훨씬 적은 정도로 발현된다. UniProt Record Q01650. LAT1 단백질은 희소돌기아교세포에서는 발현되지 않으며, 현재 미세아교세포 내 LAT1 단백질의 발현을 입증하는 알려진 보고서 또는 데이터가 없다. 또한, CNS에 위치한 대식세포, T-세포 또는 B-세포 내 LAT1 단백질의 발현을 입증하는 알려진 보고서 또는 데이터가 없다.
물론, 본 치료 및/또는 예방 방법이 비-인간 포유동물에서 실행되는 경우, 그 방법은 인간 LAT1의 올소로그(ortholog)의 억제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치료 또는 예방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는 JPH20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JPH203 화합물은 C23H19Cl2N3O4의 분자식을 갖는 (S)-2-아미노-3-(4-((5-아미노-2-페닐벤조[d]옥사졸-7-일)메톡시)-3,5-디클로로페닐)프로판산이다. JPH203 화합물은 또한 염산염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는 JPH203이다. 일 구현예에서,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는 JPH203 염이다. 한 특정 구현예에서,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는 JPH203 염산염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JPH203"은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치료 및/또는 예방 방법에 사용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은 CNS에 전신적으로 또는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한 특정 구현예에서, JPH20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CNS에 전신적으로 또는 국소적으로 투여된다.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전신 투여되는 경우, 본 발명의 방법은 정맥 내, 경구, 복강 내, 근육 내, 피내, 척수강 내, 피하 및 비강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투여 경로를 통해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특정 구현예에서, JPH20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정맥 내, 경구, 복강 내, 근육 내, 피내, 척수강 내, 피하 및 비강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투여 경로를 통해 전신 투여된다.
본원에 사용된 "치료" 또는 "치료하는"은 CNS에서 염증의 개선 또는 이의 적어도 하나의 검출 가능한 증상을 지칭한다. 대안으로, "치료" 또는 "치료하는"은 뉴런의 탈수초화와 같은(이에 제한되지는 않음) CNS의 염증에 의해 유발되는, 환자가 반드시 식별할 수 있는 것은 아닌 적어도 하나의 측정 가능한 물리적 매개변수의 개선을 지칭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치료" 또는 "치료하는"은 물리적으로, 예를 들어 식별 가능한 증상의 안정화, 생리학적으로, 예를 들어 물리적 매개변수의 안정화 또는 둘 모두의, 질환 또는 장애의 진행을 억제하는 것을 지칭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CNS에서 염증의 영향에 대한 예방 조치로서 환자, 예를 들어 인간에게 투여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예방"은 CNS의 염증과 관련하여 활성 화합물이 대상체에게 투여되어 대상체가 CNS에서 염증의 영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억제하거나 겪을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물론, 용어 "예방하다"는 또한 CNS의 염증과 관련된 임의의 관련 증상이 검출 가능하게 나타나는 것을 완전히 금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화합물(들)이 치료 목적으로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경우, 대상체는 CNS에서 염증으로 표시된 병태, 예를 들어 MS로 이미 진단되었다. 치료 방법은 적어도 CNS에서 염증의 진행을 늦추거나 CNS에서 염증의 영향을 늦추기 위한 것이다. CNS의 염증과 관련하여 "진행을 늦춘다"라는 문구는 이미 CNS에서 하나 이상의 염증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에서 하나 이상의 증상의 검출 가능한 출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억제하도록 설계된 절차를 의미하는 데 사용되며, 또한 CNS에 이미 존재하는 염증 증상이 대상체에서 악화되는 것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의미하는 데 사용된다. 물론,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은 또한 CNS에서 염증의 진행 또는 CNS에서 염증의 영향을 중지하거나 심지어 역전시키도록 의도될 수 있다.
화합물(들)이 예방 목적으로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경우, 화합물(들)은 일반적으로 검출 가능한 탈수초화 증상의 개시 전에 투여된다. 따라서, 대상체는 CNS에 존재하는 전염증성 세포 내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를 투여함으로써 "전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대상체의 CNS에서 강화된 염증의 효과를 전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CNS에 존재하는 염증 세포 내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를 CNS에서 강화된 염증의 전처리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처리 방법은 일반적으로 대상체가 CNS에서 어떠한 염증 증상도 나타내지 않을 때 아미노산 수송체, 예를 들어 JPH20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억제제의 투여를 포함할 것이다. 선택된 구현예에서,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 예를 들어 JPH20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투여는 대상체가 CNS에서 염증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손상을 앓은 후, 즉 대상체가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를 투여하기 전에 CNS에서 염증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손상을 앓은 후에 발생할 수 있다.
전처리 방법의 선택된 구현예에서, CNS에서 염증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손상은 암 치료후 방사선-유발 손상, 뇌졸중, 외상성 뇌 손상(TBI), 바이러스 감염, 척수 손상 및 시신경 손상 중 하나일 수 있다.
전처리 방법의 선택된 구현예에서,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 예를 들어 JPH20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손상 후 약 7일 이내에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보다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 예를 들어, JPH20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손상 후 약 6일 이내에, 손상 후 약 5일 이내에, 손상 후 약 4일 이내에, 손상 후 약 3일 이내에, 손상 후 약 48시간 이내에, 손상 후 약 36시간 이내에, 손상 후 약 24시간 이내에, 손상 후 약 12시간 이내에, 손상 후 약 6시간 이내에, 손상 후 약 2시간 이내에, 또는 손상 후 약 1시간 이내에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JPH203 또는 그 염의 작용 메커니즘은 본 발명의 치료 및/또는 전처리 방법에 중요하지 않다. 그러나, 한 특정 구현예에서, JPH20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CNS에서 염증의 치료 또는 전처리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될 때, CNS에 존재하는 염증 세포 내 mTOR(라파마이신의 기계적 표적) 신호전달을 선택적으로 억제한다. 한 특정 구현예에서, JPH203 또는 그의 염은 CNS에서 염증의 치료 또는 전처리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될 때 미세아교세포 내 mTOR 신호전달을 선택적으로 억제한다. 당업자가 알고 있는 바와 같이, mTOR는 세포주기, 증식 및 세포 생존을 조절하는 데 관여하는 키나아제이다. mTOR 활성화의 효과는 세포 유형에 따라 다르지만, 아미노산은 mTOR 활성화에 필요하다.
따라서, 한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치료 및/또는 전처리 방법은 JPH20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대상체에게 투여함으로써 CNS에서 염증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CNS에 존재하는 염증 세포 내 mTOR 키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JPH203 또는 그의 염을 대상체에게 투여함으로써 CNS에서 염증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CNS의 미세아교세포 내 mTOR 키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의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JPH203 또는 그의 염을 대상체에게 투여함으로써 CNS에서 염증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CNS 내 대식세포, T-세포, B-세포 및/또는 내피 세포 내 mTOR 키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치료 또는 전처리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CNS의 염증 세포 내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를 투여하면 희소돌기아교세포 전구체 세포(OPC)(또는 희소돌기아교세포 전구 세포)의 대상체의 CNS 내 재수초화 희소돌기아교세포로의 분화가 증가하거나 촉진될 수 있다. 희소돌기아교세포 세포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신경 축삭을 덮는 수초 생성에 관여하는 세포이다. 대부분의 희소돌기아교세포는 배아발생 동안 형성되지만, 성인에서 OPC는 CNS의 병변에 동원되고 더 성숙한 수초-생성 희소돌기아교세포로 분화할 수 있다.
그러나, 만성 염증 또는 지속적인 미해결 염증의 경우, OPC는 병변에 동원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초-생성 희소돌기아교세포로 분화하지 못할 수 있다. 활성화된 미세아교세포 또는 CNS에 존재하는 다른 활성화된 염증 세포는 OPC가 성숙 희소돌기아교세포로 분화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한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JPH20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대상체에게 투여함으로써 CNS의 염증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CNS에서 재수초화 희소돌기아교세포로의 OPC의 분화를 촉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치료 및/또는 전처리 방법은 JPH20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대상체에게 투여함으로써, CNS에서 염증의 치료 또는 전처리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CNS 내 뉴런의 재수초화를 촉진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뇌와 척수의 수초 함량 측정 또는 시각화에는 수초 수분 비율, 자화 전달 비율(MTR), 제한된 양성자 비율 f(정량적 MTR에서 가져옴), 확산 텐서 영상(DTI) 측정항목,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 이미징이 포함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탈수초화 및/또는 재수초화의 수준 및 정도를 평가하는 측면에서 수초 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이러한 기술은 당 업계에 잘 알려져있다. 문헌[Mallik, S., et al., J. Neurol . Neurosurg . Psychiatry, 85: 1396-1404(2014)(doi: 10.1136/jnnp-2014-307650)]을 참조하며, 이는 참조로 통합된다.
당 업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뉴런 축삭의 재수초화는 뉴런 이영양증을 감소시키고/거나 뉴런 변성(neuronal degeneration)을 감소시킬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치료 및/또는 전처리 방법은 JPH20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대상체에게 투여함으로써 CNS 내 염증의 치료 또는 전처리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CNS의 신경 이영양증 감소 및/또는 CNS의 뉴런 변성 감소를 포함한다.
본 출원은 또한 전염증 세포 내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조성물은 포유동물의 CNS에 투여하기 위해 제형화된다. 한 특정 구현예에서, CNS의 전염증 세포 내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는 JPH20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화합물"은 아미노산 수송체, 예컨대 JPH203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활성 억제제를 의미하는 데 사용된다.
본원에 사용된 "CNS로의 투여"라는 문구는 활성 화합물을 CNS로 직접 국소 투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거나, 활성 화합물이 혈액 뇌 장벽을 가로질러 CNS로 통과할 수 있는 경우 화합물의 전신 투여를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JPH203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혈액 뇌 장벽을 통과할 수 있다.
투여 경로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의 적합한 투여량 범위는 일반적으로 체중 킬로그램 당 본 발명의 화합물 약 0.0001 밀리그램 내지 2000 밀리그램이다. 하나의 특정 구현예에서, 용량은 체중 킬로그램 당 약 0.001 밀리그램 내지 약 1500 밀리그램, 더욱 구체적으로 체중 킬로그램 당 약 0.01 밀리그램 내지 약 1000 밀리그램, 더욱 구체적으로 체중 킬로그램 당 약 0.1 밀리그램 내지 약 500 밀리그램, 및 더욱 구체적으로 체중 킬로그램 당 약 1 밀리그램 내지 약 100 밀리그램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조성물은 또한 임의의 경로, 예를 들어 주입 또는 볼루스 주사, 상피 또는 점막 내벽(예를 들어, 구강 점막, 직장 및 장 점막 등)을 통한 흡수에 의해 투여될 수 있으며, 이들은 다른 생물학적 활성제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투여는 전신적 또는 국소적일 수 있다. 다양한 전달 시스템, 예를 들어 리포좀, 마이크로입자, 마이크로캡슐, 캡슐 등의 캡슐화가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투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치료가 필요한 부위에 국소적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제한이 아닌 경막 외 주사와 같은 국소 주입에 의해; 피부 또는 점막층을 통해 흡수될 수 있는 국소 적용에 의해; 카테터와 같은 주사에 의해; 좌약으로; 또는 임플란트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며, 임플란트는 막, 예컨대 실라스틱 막 또는 섬유를 포함하는, 다공성, 비-다공성 또는 젤라틴성 물질로 구성되며,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흡입기 또는 분무기의 사용 및 에어로졸화제를 사용한 제형화, 또는 플루오로카본 또는 합성 폐 계면활성제에서의 관류를 통해 폐 투여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트리글리세라이드와 같은 전통적인 결합제 및 비히클과 함께 좌약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치료적 유효량의 아미노산 수송체 억제제, 예컨대 JHP20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적합한 양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비히클과 함께 함유하여 환자로의 적정한 투여를 위한 형태를 제공할 것이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은 동물, 특히 인간에서 사용하기 위해 연방 또는 주 정부의 규제 기관에 의해 승인되거나 미국 약전 또는 기타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약전에 등재된 것을 의미한다. 용어 "비히클"은 본 발명의 화합물이 투여되는 희석제, 보조제, 부형제 또는 담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약제학적 비히클은 석유, 동물성, 식물성 또는 합성 기원의 것을 포함하는 물 및 오일과 같은 액체, 예컨대 땅콩 유, 대두유, 광유, 참기름 등일 수 있다. 약제학적 비히클은 식염수, 아카시아 검, 젤라틴, 전분 페이스트, 탈크, 케라틴, 콜로이드 실리카, 우레아 등일 수 있다. 또한 보조제, 안정화제, 증점제, 윤활제 및 착색제가 사용될 수 있다. 환자에게 투여될 때,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비히클은 바람직하게는 무균이다. 무균 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정맥 내로 투여될 때 비히클이 될 수 있다. 식염수 용액과 수성 덱스트로스 및 글리세롤 용액도 액체 비히클, 특히 주사용 용액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 비히클은 또한 부형제, 예컨대 전분, 글루코스, 락토스, 수크로스, 젤라틴, 맥아, 쌀, 밀가루, 초크, 실리카겔, 나트륨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탈크, 염화나트륨, 건조 탈지유,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물, 에탄올 등을 포함한다. 원하는 경우, 본 조성물은 또한 소량의 습윤제 또는 유화제, 또는 pH 완충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제형은 용액, 현탁액, 에멀젼, 정제, 알약, 펠릿, 캡슐, 액체를 함유하는 캡슐, 분말, 서방성 제형, 좌약, 에멀젼, 에어로졸, 스프레이, 현탁액, 또는 사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및/또는 조성물은 인간에게 정맥 내 투여하도록 개조된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일상적인 절차에 따라 제형화된다. 전형적으로, 정맥 내 투여를 위한 본 발명의 화합물 및/또는 조성물은 멸균 등장성 수성 완충액 중의 용액이다. 필요한 경우, 조성물은 또한 가용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정맥 내 투여용 조성물은 주사 부위의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리그노카인과 같은 국소 마취제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제형의 성분은 단위 투여 형태로 개별적으로 공급되거나, 예를 들어 건조 동결건조 분말 또는 물이 없는 농축물로서 활성제의 정량이 표시된 앰플 또는 사체트와 같은 밀폐 용기에 함께 혼합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주입에 의해 투여되는 경우, 예를 들어 멸균된 약제학적 등급의 물 또는 식염수를 함유하는 주입 병으로 분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주사로 투여되는 경우, 주사용 멸균 수 또는 식염수의 앰플이 제공되어, 투여 전에 성분들이 혼합될 수 있다.
한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투여될 수 있다. 경구 전달을위한 제형은 예를 들어 정제, 로젠지,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과립, 분말, 에멀젼, 캡슐, 시럽 또는 엘릭서의 형태일 수 있다. 경구 투여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선택적 제제, 예를 들어 감미제, 예컨대 프룩토스, 아스파탐 또는 사카린; 향미제, 예컨대 페퍼민트, 윈터그린 오일, 또는 체리; 착색제; 및 보존제를 함유하여, 약제학적으로 입맛에 맞는 제제를 제공한다. 더욱이, 정제 또는 알약 형태의 경우, 조성물은 위장관에서의 붕해 및 흡수를 지연시키기 위해 코팅되어,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인 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삼투 활성 구동 화합물을 둘러싸는 선택적 투과성 막은 또한 본 발명의 경구 투여 화합물에 적합하다. 하나의 특정 플랫폼에서, 캡슐을 둘러싼 환경으로부터의 유체는 구동 화합물에 의해 흡수되고, 이는 팽창하여 개구를 통해 제제 또는 제제 조성물을 변위시킨다. 이러한 전달 플랫폼은 즉시 방출 제형의 급증된 프로필과는 반대로 본질적으로 0차 전달 프로필을 제공할 수 있다.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시간 지연 물질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경구용 조성물은 만니톨, 락토스, 전분,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나트륨 사카린, 셀룰로오스,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표준 비히클을 포함할 수 있다.
CNS 내 염증의 치료에 효과적이게 될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양은 염증의 성질 또는 정도에 따라 달라질 것이며, 표준 임상 기술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최적의 투여량 범위를 확인하기 위해 시험관 내 또는 생체 내 분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에 사용되는 정확한 용량은 또한 투여 경로 및 병태의 정도에 따라 달라질 것이며, 투여량은 의사의 판단과 각 환자의 상황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서, CNS 내 전염증성 세포에서 수송되는 아미노산 억제제의 적어도 경구 용량은 체중 킬로그램 당 약 0.01 밀리그램 내지 약 100 밀리그램, 또는 체중 킬로그램 당 약 0.1 밀리그램 내지 약 50 밀리그램, 또는 체중 킬로그램 당 약 0.5 밀리그램 내지 약 20 밀리그램, 또는 체중 킬로그램 당 약 1 밀리그램 내지 약 10 밀리그램이다.
비경구용 활성 화합물의 적합한 투여량 범위, 예를 들어 정맥 내 투여는 체중 킬로그램 당 0.01 밀리그램 내지 100 밀리그램, 체중 킬로그램 당 0.1 밀리그램 내지 35 밀리그램, 및 체중 킬로그램 당 1 밀리그램 내지 10 밀리그램일 수 있다. 비강 내 투여를 위한 활성 화합물의 적합한 투여량 범위는 일반적으로 약 0.01 pg/kg 체중 내지 1 mg/kg 체중이다. 좌약은 일반적으로 체중 킬로그램 당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 0.01 밀리그램 내지 50 밀리그램을 함유한다. 국소 투여를 위한 활성 화합물의 적합한 용량은 화합물이 투여되는 영역에 따라 0.001 밀리그램 내지 1 밀리그램 범위이다. 유효 선량은 시험관내 또는 동물 모델 테스트 시스템에서 파생된 용량-반응 곡선에서 외삽될 수 있다. 이러한 동물 모델 및 시스템은 당 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로 채워진 하나 이상의 용기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팩 또는 키트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그러한 용기(들)와 관련된 것은 의약품 또는 생물학적 제품의 제조, 사용 또는 판매를 규제하는 정부 기관이 규정한 형식의 통지일 수 있으며, 이 통지는 인간 투여를 위한 제조, 사용 또는 판매 기관의 승인을 반영한다.
실시예
실시예 1 - LAT1을 코딩하는 mRNA의 발현
중심 탈수초화는 1% 리솔레시틴(Sigma-Aldrich)을 각 성별의 8~12주령 C57Bl/6 마우스의 척수 전삭에 주입함으로써 유도되었다. 병변후(dpl) 5일 및 10일 후, 마우스를 4%(w/v) 파라포름알데히드(PFA; Sigma)로 심장 내로 관류시켰다.
병변 및 비-병변 척수 절편에서 Slc7a5 mRNA의 발현을 결정하기 위해, GenBank 수탁 번호 NM_011404.3의 서열을 표적화하도록 설계된 특정 프로브에 의해 표지된 slc7a5 mRNA를 검출하기 위해 형광 현장 혼성화(RNAscope)를 사용하였다(Advanced Cell Diagnostics, ACD, Hayward, CA). 고정 냉동 조직 절편에 대한 RNAscope 다중 형광 검정법(Multiplex Fluorescent Assay)은 제조업체의 지침(Advanced Cell Diagnostics, ACD, Hayward, CA)에 따라 수행되었다. 간단히 말해서, 병변 척수의 12.5 μm 두께 관상 절편(5 및 10 dpl에 수집)을 함유하는 슬라이드를 끓는 1x 표적 복구 완충액(ACD)에 5~10분 동안 담근 다음, 프로테아제 III 처리(ACD)를 40℃에서 30분 수행하였다. 하이브리드화 및 신호 증폭 단계를 위한 ACD 프로토콜에 따라 슬라이드를 T-세포(CD-3) 및 미세아교세포/대식세포(CX3CR1-GFP)-특정 마커를 사용하여 후속 면역조직화학(IHC)에 적용했다. Zeiss LSM 880 공초점 현미경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했다. mRNA puncta는 Imaris 소프트웨어(Bitplane, Oxford Instruments)를 사용하여 정량화되었다.
IHC를 수행하기 위해, 마우스를 4% PFA(Sigma)로 관류-고정시켰다. 척수를 해부하고, 4℃에서 4% PFA에서 30분 동안 후고정하고, 하룻밤동안 PBS 중의 20%(w/v) 수크로스(Sigma)에서 동결보호한 후, 드라이 아이스 표면상에서 O.C.T에서 동결하였다. 12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척수 절편을 저온유지장치(Leica CM1900)를 사용하여 절단하고, SuperFrostPlus 슬라이드(VWR International)에서 수집하고, 30분 동안 건조되도록 둔 후, -80℃에서 보관하였다. IHC의 경우, 섹션을 차단 용액(0.1% TritonTM X-100 및 PBS 중 10% FBS)에서 1시간 동안 실온(RT)에서 배양하였다. 1차 항체를 차단 용액에 희석하고, 4℃에서 밤새 적용했다. 형광 염료가 결합된 2차 항체는 Life Technologies에서 입수했으며,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사용되었다.
도 1은 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도 1a는 Slc7a5 mRNA의 정량화를 보여주며, 반대측성 비-병변 백질(n=2)과 비교하여 5 및 10 dpl에의 병변의 밀도 증가를 보여준다. 도 1b 및 1c는 5dpl에 Slc7a5 전사체와의 공동-면역염색이 CNS 병변 내의 (1b) CD-3 + T-세포 및 (1c) Cx3cr1-GFP + 미세아교세포/대식세포 내 Slc7a5 검출을 보여준다. 도 1d는 인접한 비-병변 조직에서 휴지 미세아교세포에서 검출되는 Slc7a5 puncta가 거의 없음을 보여준다. 스케일 바, 10 μm.
실시예 2 - 실험 동물 모델에서 JPH203 투여 분석
10~12주령의 C57BL/6 암컷 마우스(Charles River)는 실험적 자가면역 뇌척수염(EAE)을 유도하기 전에 7일 동안 순응되었다. EAE는 Hooke Laboratories 프로토콜(hookelabs.com/protocols/eaeAI_C57BL6.html의 월드 와이드 웹)에 따라 EAE 키트(Hooke Laboratories, Cat. No: EK-2110)를 사용하여 유도되었다. 간단히 말해서, 마우스를 두 부위에 피하 주사한 완전 프로인트 아쥬반트(CFA)에서 MOG35-55의 에멀젼(0일)으로 면역화한 다음, 백일해 독소(PTX)를 면역화 당일(0일)에 1차로 복강 내 투여한후, 다음 날(1일차) 다시 2차로 투여하였다. 2회의 PTX 투여 각각에 대해 약 115 ng의 PTX가 사용되었다.
마우스는 Hooke Laboratories의 프로토콜에 따라 EAE 7일부터 적어도 EAE 30일까지 블라인드로 그리고 매일 점수를 매겼다. 사용된 점수 시스템은 다음과 같았다: 0.0 = 운동 기능에 명백한 변화 없음; 0.5 = 꼬리 끝이 늘어짐; 1.0 = 늘어진 꼬리; 1.5 = 늘어진 꼬리 및 뒷다리 어색; 2.0 = 늘어진 꼬리 및 뒷다리의 쇠약 또는 머리 기울임의 징후; 2.5 = 늘어진 꼬리 및 뒷다리의 끌림 또는 강한 머리 기울임; 3.0 = 늘어진 꼬리 및 뒷다리의 완전한 마비 또는 한쪽 앞다리와 한쪽 뒷다리 마비와 함께 늘어진 꼬리; 3.5 = 늘어진 꼬리 및 뒷다리의 완전한 마비 플러스 마우스를 옆으로 눕힐 때 스스로 바로 잡을 수 없음; 4.0 = 늘어진 꼬리, 완전한 뒷다리 및 부분적인 앞다리 마비, 마우스는 최소한으로 움직이지만 경계하면서 먹이를 먹는 것처럼 보임; 4.5 = 완전한 뒷다리 및 부분 앞다리 마비, 케이지 주변의 움직임 없음, 마우스가 경계하지 않음; 5.0 = 마우스가 마비로 죽은 것으로 발견되거나 마우스가 심한 마비로 인해 안락사됨
실험이 끝날 때까지 마우스의 임상 점수 및 체중을 매일 기록하였다. EAE에서 자발적으로 회복되었거나, 3.0점에 도달하지 않은 마우스는 치료 연구 분석에서 고려되지 않았다. 각 실험에 대해 각 그룹에서 8 내지 10마리의 마우스를 분석했다.
EAE 마우스는 점수 1.0 및 3.0에서 시작하여, L-형 아미노산 수송체 1(LAT1) 억제제 JPH203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 처리되었다. 도 2를 참조한다. PBS에 용해된 JPH203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는 25 mg/kg, 주입량 200 ul/동물로 복강 내 주사를 통해 매일 5일 동안 투여되었다. 대조군은 동일한 부피의 1X PBS로 처리하였다. 각 그룹의 동물들의 임상 점수는 첫 번째 주사 후 1~7일에 기록되었다.
JPH203의 치료 효능은 임상 점수 3.0에서 시작하여 마우스에서 시험하였다(도 2a). 예방 효능은 임상 점수 1.0에서 시작하여 마우스에서 시험하였다(도 2b). 두 점수에서 JPH203의 투여는 PBS 대조군과 비교하여 운동 회복을 가져왔다(그룹당 n=6). 더욱이, 점수 1.0에서 시작하는 JPH203 예방 치료는 점수 3.0 이상으로 진행된 PBS 대조군에 비해 EAE의 더 높은 점수로의 진행을 방지했다(도 2b).
실시예 3 - CNS 병변에서 JPH203의 약리학적 효과
1% 리솔레시틴을 주입하여 국소 탈수초화를 유도하였고, JPH203 또는 PBS 대조군을 5~9 dpl에 복강 내 주입하였다. 마우스는 4% PFA(Sigma)로 심장 내로 관류시켜 10 dpl에 희생되었다. IHC는 이전에 설명한대로 수행하였다. 12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고정 척수 절편을 저온유지장치(Leica CM1900)를 사용하여 절단하고, SuperFrostPlus 슬라이드(VWR International)에서 수집하고, 30분 동안 건조되도록 둔 후, -80℃에서 보관하였다. IHC의 경우, 섹션을 차단 용액(0.1% TritonTM X-100 및 PBS 중 10% FBS)에서 1시간 동안 실온(RT)에서 배양하였다. 1차 항체를 차단 용액에 희석하고, 4℃에서 밤새 적용했다. 1차 항체의 공급원 및 희석액은 다음과 같았다: 토끼 항-Olig2(1:300; Millipore), 마우스 항-CC1(1:200; Sigma). 형광 염료가 결합된 2차 항체는 Life Technologies에서 입수했으며,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사용되었다.
항원 복구는 Olig2 및 마우스에 대해 CC1용 M.O.M.™ 키트(Vector Laboratories)를 사용하여 마우스 항원 복구에 사용하였다. DAPI 핵 카운터스테인은 fluoromount-G(Southern-Biotech)로 섹션을 장착하기 전에 사용되었다. ImageJ(NIH)를 사용하여 Olig2 + CC1 + 세포를 정량화하였다.
도 3은 PBS 대조군(3a)과 비교하여 JPH203 주사가 병변(3b)에서 성숙한 희소돌기아교세포의 수를 증가시켰음을 보여준다. 도 3c는 또한 희소돌기아교세포의 2-배 증가의 정량화를 보여주고, 도 3d는 많은 수의 활성화된 Iba1 + iNOS + 미세아교세포/대식세포를 포함하는 PBS 처리된 병변을 보여준다. 도 3e는 전염증성 iNOS 발현이 극적으로 감소된 JPH203 처리된 병변을 보여준다. 더 높은 배율에서, (3F) iNOS + 대식세포는 대조군 병변에서 둥근 아메보이드/거품 모양을 나타낸 반면, JPH203 처리 병변(3G)에서 대식세포는 iNOS 표지가 매우 적고, 더 많은 분지된 모양을 나타내어 감소된 염증 활성을 나타냈다(n=3 치료 그룹당). *P <0.05
실시예 4 -
염증 및 재수초화에 대한 Slc7a5 억제의 효과를 특성화하기 위해, 탈수초화 전(예방적 접근) 대 탈수초화 후(치료적 접근) JPH203의 전신 투여를 수행한다. 더욱이, Slc7a5는 희소돌기아교세포 계통 세포에서 발현되지 않기 때문에, 이 접근법은 희소돌기아교세포 계통 세포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CNS 병변에서 미세아교세포/대식세포를 선택적으로 표적화하여 JPH203이 재수초화를 촉진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방적 치료를 위해, JPH203(그룹 1) 또는 비히클(그룹 2)은 리솔레시틴-유도된 탈수초화 전 2일 연속 및, 탈수초화 후 3일 연속 복강 내 주사를 통해 야생형 마우스에 전달된 후, 10dpl에 희생될 것이다. 치료적 치료를 위해, JPH203(그룹 3) 또는 비히클(그룹 4)은 탈수초화 후 5 내지 9dpl에 복강 내 주사로 전달되고, 10dpl에서 희생될 것이다. 10dpl 시점은 JPH203이 희소돌기아교세포 분화를 가속화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선택된다. 마우스는 또한 중성 적색(NR) 주사를 받은 후 2시간 후 병변 식별 및 분석을 위해 희생될 것이다.

Claims (35)

  1. 대상체의 중추 신경계(CNS)에서 강화된 염증으로 표시되는 병태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CNS에 존재하는 염증 세포 중의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NS에서 강화된 염증으로 표시되는 병태가 다발성 경화증(MS), 염증성 탈수초성 질환, 뇌졸중, 외상성 뇌 손상(TBI), 바이러스 감염, 척수 손상, 시신경 손상 및 뇌성 마비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CNS에서 강화된 염증으로 표시되는 병태가 염증성 탈수초성 질환인,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탈수초성 질환이 자가면역 뇌염인,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NS에 존재하는 염증 세포가 미세아교세포, 대식세포, T-세포, B-세포 및 내피 세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NS에 존재하는 염증 세포가 미세아교세포인,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되는 아미노산 수송체가 큰 아미노산 수송체 작은 서브유닛 1(LAT1)인, 방법.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가 JPH20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방법.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가 전신 투여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신 투여 경로가 정맥 내, 경구, 복강 내, 근육 내, 피내, 척수강 내, 피하 및 비강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가 CNS에 국소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포유동물인, 방법.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의 투여가 대상체의 CNS 내에서 희소돌기아교세포(oligodendrocyte)의 재수초성 희소돌기아교세포로의 분화를 증가시키는, 방법.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의 투여가 대상체의 CNS에서 뉴런의 재수초화를 증가시키는, 방법.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의 투여가 감소된 신경 이영양증 또는 감소된 뉴런 변성(neuronal degeneration)을 초래하는, 방법.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의 투여가 대상체의 CNS에서 감소된 염증을 초래하는, 방법.
  1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의 투여가 CNS에 존재하는 염증 세포 내 mTOR 신호전달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방법.
  1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가 1회 이상 투여되는, 방법.
  19. 전염증 세포 내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포유동물의 중추 신경계(CNS)에 투여하기 위해 제형화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억제되는 아미노산 수송체가 큰 아미노산 수송체 작은 서브유닛 1(LAT1)인, 약제학적 조성물.
  21. 청구항 19 또는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전염증 세포 내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가 JPH20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약제학적 조성물.
  22. 대상체의 중추 신경계(CNS)에서 강화된 염증의 효과를 전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CNS에 존재하는 염증 세포 내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의 투여 전에 CNS에서 염증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손상을 앓고 있는, 방법.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를 투여하기 전에 CNS에서 어떠한 염증 증상도 나타내지 않는, 방법.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손상이 암 치료 후 방사선-유발 손상, 뇌졸중, 외상성 뇌 손상(TBI), 바이러스 감염, 척수 손상 및 시신경 손상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가 손상 후 약 48시간 이내에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방법.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가 손상 후 1시간 미만 내에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방법.
  28. 청구항 22 내지 청구항 2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가 대상체에게 1회 이상 투여되는, 방법.
  29. 청구항 22 내지 청구항 2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가 대상체에게 처음 투여될 때 CNS 내 뉴런의 탈수초화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 방법.
  30. 청구항 22 내지 청구항 2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되는 아미노산 수송체가 큰 아미노산 수송체 작은 서브유닛 1(LAT1)인, 방법.
  31. 청구항 22 내지 청구항 3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가 JPH203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방법.
  32. 청구항 22 내지 청구항 3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가 전신 투여되는, 방법.
  33.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전신 투여 경로가 정맥 내, 경구, 복강 내, 근육 내, 피내, 척수강 내, 피하 및 비강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34. 청구항 22 내지 청구항 3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 수송체의 억제제가 CNS에 국소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35. 청구항 22 내지 청구항 3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포유동물인, 방법.
KR1020217010313A 2018-10-02 2019-10-02 염증성 신경계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202100727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40175P 2018-10-02 2018-10-02
US62/740,175 2018-10-02
PCT/US2019/054245 WO2020072608A1 (en) 2018-10-02 2019-10-02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inflammatory neurological disord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770A true KR20210072770A (ko) 2021-06-17

Family

ID=70055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0313A KR20210072770A (ko) 2018-10-02 2019-10-02 염증성 신경계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20000842A1 (ko)
EP (2) EP4321216A3 (ko)
JP (1) JP2022501413A (ko)
KR (1) KR20210072770A (ko)
CN (1) CN112805024A (ko)
AU (1) AU2019353005A1 (ko)
CA (1) CA3114893A1 (ko)
DK (1) DK3860639T3 (ko)
ES (1) ES2971705T3 (ko)
WO (1) WO20200726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88035A1 (en) * 2019-08-30 2022-09-15 J-Pharma Co., Lt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cancer used for a patient having specific genetic mark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82236A1 (en) * 1998-11-06 2000-05-06 Peter Stys The use of excitatory amino acid transporter inhibitors to protect against cns white matter injury
DK2947066T3 (da) * 2013-01-21 2019-01-02 Univ Osaka Phenoxyalkylaminforbindelse
ES2763339T3 (es) * 2013-05-28 2020-05-28 Sarah Herzog Memorial Hospital Ezrat Nashim Ass Uso de agonistas de NMDAR para el tratamiento de disfunción de receptores glutamatérgicos autoinmune
JP2017155023A (ja) * 2016-03-04 2017-09-07 ジェイファーマ株式会社 Lat1阻害活性を有する芳香族アミノ酸誘導体を含有する注射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01413A (ja) 2022-01-06
ES2971705T3 (es) 2024-06-06
EP3860639B1 (en) 2023-12-06
EP4321216A2 (en) 2024-02-14
EP4321216A3 (en) 2024-05-01
DK3860639T3 (da) 2024-01-29
US20220000842A1 (en) 2022-01-06
WO2020072608A1 (en) 2020-04-09
CA3114893A1 (en) 2020-04-09
EP3860639A4 (en) 2022-06-08
EP3860639A1 (en) 2021-08-11
AU2019353005A1 (en) 2021-04-29
CN112805024A (zh) 2021-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43374B2 (ja) 虚血のための組み合わせ療法
US10046060B2 (en) Co-administration of an agent linked to an internalization peptide with an anti-inflammatory
US20100222280A1 (en) PEPTIDES WITH THE CAPACITY TO BIND TO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 (TGF-beta 1)
JP6279483B2 (ja) くも膜下出血および虚血の治療法
AU691349B2 (en) Glial Cell Line-Derived Neurotrophic Factor As A Neuroprotective Agent
KR20210072770A (ko) 염증성 신경계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US10517926B2 (en) Oligopeptide having proinflammatory cytokine secretion-inhibiting activity
JP6709493B2 (ja) 進行性骨化性線維異形成症治療剤
US20230073781A1 (en) Systemic administration of peptides for the treatment of spinal cord injury and/or for remyelination
WO2008007131A2 (en) Treatment for demyelinating disease
EP3420087B1 (en) Peptide-based methods for treating neurological injury
CN116981482B (zh) 使klf4去乙酰化以促进其转录活性的作用剂的用途、维持肺动脉内皮细胞功能的方法和治疗肺动脉高压的方法
US20180256686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Ischemia
WO2023230593A1 (en) Ptp1b inhibitors for treating lung injury
JP2024502463A (ja) 治療指数を改善するためのプラスミン耐性ペプチド
WO2016060158A1 (ja) 細胞障害抑制剤、前記細胞障害抑制剤を含む低酸素血症によって生じる臓器障害の予防又は治療用医薬組成物、及び前記細胞障害抑制剤を含む虚血性脳血管障害の予防又は治療用医薬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