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2552A - 전동 댐퍼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전동 댐퍼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2552A
KR20210072552A KR1020190162960A KR20190162960A KR20210072552A KR 20210072552 A KR20210072552 A KR 20210072552A KR 1020190162960 A KR1020190162960 A KR 1020190162960A KR 20190162960 A KR20190162960 A KR 20190162960A KR 20210072552 A KR20210072552 A KR 20210072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low path
electric damper
opening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기
박현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90162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2552A/ko
Publication of KR20210072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5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0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58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using re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동 댐퍼는, 구 형상의 내부공간을 가지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을 중심으로 상이한 방향으로 각각 분기되도록 연결되어 공기가 흐르는 공기 유로를 구현하는 복수의 유로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로관 중 하나는 공기조화기의 유입구 및 배출구와 연결되는 몸체; 회전을 통해 상기 복수의 유로관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닫거나 열도록 상기 연결관 내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는 개폐수단; 및 상기 개폐수단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 회전하며 상기 복수의 유로관 중 임의의 유로관을 닫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공간이 구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 댐퍼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MOTORIZED DAMP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동 댐퍼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에 따라 대기오염이 심각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대기오염으로부터 건강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공기조화기가 개발되고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간의 온도, 습도 등을 조절하여 활동하기에 쾌적한 분위기를 조성하며, 나아가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실내공기에 포함된 분진 등을 여과집진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에는 공기토출구와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실내공기가 공기흡입구를 통해 흡입되어 온도와 습도가 조절된 후에 공기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며, 공기흡입구와 공기토출구에는 댐퍼장치가 설치되어 배출 및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거나 폐쇄한다.
이러한 댐퍼장치는 댐퍼블레이드의 작동방향에 따라서 덕트를 개폐하거나 공기 흐름의 방향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댐퍼블레이드가 덕트의 중앙에 회전구동되게 배치됨에 따라서 유입 또는 토출되는 공기와 충돌하게 되어 댐퍼블레이드 주변에는 와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와류는 부하로서 작용하여 공기 흐름을 방해하게 되어 공기가 원활하게 흐름을 유지하지 못하게 하며, 이는 소음 발생 및 효율저하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로 내부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아 무부하 공기 유로를 구현하는 전동 댐퍼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동 댐퍼는, 구 형상의 내부공간을 가지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을 중심으로 상이한 방향으로 각각 분기되도록 연결되어 공기가 흐르는 공기 유로를 구현하는 복수의 유로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로관 중 하나는 공기조화기의 유입구 및 배출구와 연결되는 몸체; 회전을 통해 상기 복수의 유로관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닫거나 열도록 상기 연결관 내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는 개폐수단; 및 상기 개폐수단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 회전하며 상기 복수의 유로관 중 임의의 유로관을 닫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공간이 구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연결관의 중앙을 가로지르며 연장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서 상기 유로관을 향해 돌출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돌출된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의 상기 유로관과 연통하는 개구를 덮는 차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일측 단부는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연결관의 구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곡률진 구조를 가지며, 상기 차폐부재의 곡률은 상기 연결관이 가지는 곡률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연결관의 개구가 가지는 단면 크기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회전에 의해 제1영역과 제2영역을 통과하면서 상기 유입되는 공기에서 수분을 흡착하거나 상기 흡착된 수분을 상기 배출되는 공기로 방출하는 제습로터가 구비되며,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을 통과하는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를 구비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전동 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 댐퍼는 제1실내공간과 제2실내공간 중 일측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상기 유입구로 안내하고,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제1실내공간과 상기 제2실내공간 중 일측으로 선택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댐퍼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유로 내부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아 무부하 상태로 원활한 공기 흐름을 유지할 수 있으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건물의 세탁실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도 1의 공기조화기에서 본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도 1의 공기조화기에서 전동 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전동 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전동 댐퍼에서 차폐부재가 유로관을 차단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공기조화기가 공기청정모드인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공기조화기가 빨래모드인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은 공기조화기가 오프(off)인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상부', '상면', '하', '하부', '하면', '측면'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실제로는 소자나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동 디퓨져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건물의 세탁실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기조화기에서 본체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1의 공기조화기에서 전동 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전동 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전동 댐퍼에서 차폐부재가 유로관을 차단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건물의 세탁실(또는 다용도실)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본체부(10)와 전동 댐퍼(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유입구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실내유입구(121a)와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실외유입구(122a)를 포함하고, 배출구는 실내로 공기를 배출하는 실내배출구(121b)와 실외로 공기를 배출하는 실외배출구(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유입구(121a)와 실내배출구(121b)는 본체부(10)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실외유입구(122a)와 실외배출구(122b)는 본체부(10)의 타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는 일단과 타단이 실내와 각각 연통하는 제1공기유로(121) 및 일단과 타단이 실외와 각각 연통하는 제2공기유로(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공기유로(121) 일단과 타단은 각각 실내유입구(121a)와 실내배출구(121b)에 연결되고, 제2공기유로(122)의 일단과 타단은 각각 실외유입구(122a)와 실외배출구(122b)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는 제1공기유로(121)와 제2공기유로(122)의 교차점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유로전환부(127), 제1공기유로(121) 상에 구비된 급기송풍기(110a), 제2공기유로(122) 상에 구비된 배기송풍기(110b), 제1공기유로(121)를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습로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공기유로(121) 상에는 제1공기유로(121)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제1가열부(125)가 구비될 수 있고, 제2공기유로(122) 상에는 제2공기유로(122)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제2가열부(126)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공기유로(121)와 제2공기유로(122) 상에는 각각 필터(123, 124)가 설치될 수 있다.
유로전환부(127)는 2개의 입구와 2개의 출구 및 유동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유로전환부재(127a)로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입구와 출구는 환기모드(급기모드)와 공기청정모드 시 유로전환부재(127a)의 방향 전환에 의해 그 연결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제습로터(130)는 제1공기유로(121) 상에 구비된 제1영역(131)과 제2공기유로(122) 상에 구비된 제2영역(132)을 포함하며, 회전에 의해 제1공기유로(121)를 유동하는 공기에서 수분을 흡수하고, 흡수된 수분을 제2공기유로(122)에서 방출할 수 있다.
제습로터(130)에는 내부에 수분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재가 구비된다. 흡착재는 제1영역(131)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제습하고, 제2가열부(126)에 의해 가열된 공기에 의해 제2영역(132)에서 수분을 방출함으로써 재생되도록 구성된다.
제1공기유로(121)의 실내배출구(121b) 측에 구비된 급기송풍기(110a)는 공기청정모드 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다시 실내로 배출하며, 환기모드와 급기모드 시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배출할 수 있다.
제2공기유로(122)의 실외배출구(122b) 측에 구비된 배기송풍기(110b)는 환기모드 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10)는 세탁실 또는 다용도실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본체부(10)는 제어장치(30)와 연결되어 제어장치(30)를 통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전동 댐퍼(20)는 본체부(10)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실내유입구(121a) 및 실내배출구(121b)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내는 공기조화기(1)가 설치되는 세탁실 또는 다용도실에 해당하는 제1실내공간(S1)과, 거실 또는 방에 해당하는 제2실내공간(S2)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전동 댐퍼(20)는 제1실내공간(S1)과 제2실내공간(S2) 중 일측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실내유입구(121a)로 안내하고, 실내배출구(121b)로 배출되는 공기를 제1실내공간(S1)과 제2실내공간(S2) 중 일측으로 선택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즉, 전동 댐퍼(20)는 공기조화기(1)의 작동 모드에 따라서 공기 유로(AF)의 방향을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빨래 모드인 경우에 전동 댐퍼(20)는 제1실내공간(S1)의 공기를 실내유입구(121a)로 안내하여 본체부(10)로 유입시키고, 본체부(10) 내에서 제습처리되어 실내배출구(121b)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제1실내공간(S1)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모드인 경우에 전동 댐퍼(20)는 제2실내공간(S2)의 공기를 실내유입구(121a)로 안내하여 본체부(10)로 유입시키고, 본체부(10) 내에서 제습처리되어 실내배출구(121b)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제2실내공간(S2)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동 댐퍼(20)는 3방향(3-way) 전동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동 댐퍼(20)는 몸체(200), 개폐수단(300) 및 구동모터(4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200)는 구 형상의 내부공간(212)을 가지는 중공의 연결관(210)이 중앙에 배치되고, 원통 형상의 양 단부가 개방된 복수의 유로관(220)이 연결관(210)을 중심으로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각각 분기되도록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유로관(220)이 연결관(110)에서 분기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유로관(220)은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유로관(220)은 연결관(210)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공기가 흐르는 공기 유로(AF)를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유로관(220) 중 제1 유로관(221)은 본체부(10)의 실내유입구(121a)와 실내배출구(121b)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유로관(222)과 제3 유로관(223)은 각각 제1실내공간(S1) 또는 제2실내공간(S2)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유입구(121a)에 연결되는 전동 댐퍼(20)의 제2 유로관(222)은 제1실내공간(S1)과 연결되고, 제3 유로관(223)은 제2실내공간(S2)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실내배출구(121b)와 연결되는 전동 댐퍼(20)의 제2 유로관(222)은 제2실내공간(S2)과 연결되고, 제3 유로관(223)은 제1실내공간(S1)과 연결될 수 있다.
개폐수단(300)은 회전을 통해 복수의 유로관(220)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닫거나 열도록 연결관(210) 내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수단(300)은 내부공간(212) 내에서 회전하며 복수의 유로관(220) 중 임의의 유로관(220)을 닫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내부공간(212)이 구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폐수단(300)은 연결관(210)의 중앙을 상하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연장되는 회전축(310), 회전축(310)에서 유로관(220)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부재(320), 연결부재(320)의 돌출된 단부에 연결되어 연결관(210)의 유로관(220)과 연통하는 개구(213)를 덮는 차폐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재(330)는 연결관(210)의 구 형상에 대응하여 대략 부분 반구 형상으로 곡률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차폐부재(330)의 곡률(R2)은 연결관(210)이 가지는 곡률(R1)과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차폐부재(330)는 연결관(210)의 개구(213)가 가지는 단면 크기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부재(330)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차폐부재(330)의 테두리가 구현하는 원이 가지는 지름(D2)의 크기는 연결관(210)의 개구(213)가 가지는 지름(D1)보다 더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폐부재(330)는 볼록하게 돌출된 면(331)이 연결관(210)의 내측면(211)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폐부재(330)는 볼록하게 돌출된 면(331)을 통해 연결관(210)의 내측면(211)을 따라 회전하며 선택된 유로관(220)을 연결하는 개구(213)를 가리도록 하여 해당 유로관(220)을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차폐부재(330)는 오목하게 함몰된 면(332)을 통해 연결관(210)의 내측면(211)과 함께 내부공간(212)을 연속하는 구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기 유로(AF)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내부공간(212) 내에 배치되는 차폐부재(330)가 공기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다시 말해, 차폐부재(330)는 연결관(210) 내에서 연결관(2110)의 내측면(211)에 대략 밀착된 구조로 배치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차폐부재(330)의 오목하게 함몰된 면(332)이 연결관(210)의 내측면(211)과 연속하여 구 형상의 내부공간(212)을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차폐부재(330)는 제1 유로관(221)을 따라서 연결관(21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오목하게 함몰된 면(332)을 따라서 제2 유로관(222) 또는 제3 유로관(223)으로 연속하여 흐르도록 하여 원활한 공기 흐름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무부하 공기 유로를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폐부재(330)의 테두리 영역에는 오링(O-ring)과 같은 밀폐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구동모터(400)는 개폐수단(300)을 회전구동시킬 수 있다. 구동모터(400)는 몸체(200) 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회전축(310)의 일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모터(400)는 제어장치(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장치(30)의 제어에 따라서 차폐부재(330)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공기청정모드에서는 실내유입구(121a) 측의 전동 댐퍼(20)는 제2 유로관(222)을 차폐하도록 차폐부재(330)를 회전시켜 제2실내공간(S2)의 공기를 본체부(10)로 유입시키고, 실내배출구(121b) 측의 전동 댐퍼(20)는 제3 유로관(223)을 차폐하도록 차폐부재(330)를 회전시켜 본체부(10)에서 처리된 공기를 제2실내공간(S2)으로 안내하도록 공기 유로(AF)를 전환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거실 또는 방에 대한 공기청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빨래 모드에서는 실내유입구(121a) 측의 전동 댐퍼(20)는 제3 유로관(223)을 차폐하도록 차폐부재(330)를 회전시켜 제1실내공간(S1)의 공기를 본체부(10)로 유입시키고, 실내배출구(121b) 측의 전동 댐퍼(20)는 제2 유로관(222)을 차폐하도록 차폐부재(330)를 회전시켜 본체부(10)에서 처리된 공기를 제1실내공간(S1)으로 안내하도록 공기 유로(AF)를 전환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제1실내공간(S1) 내의 빨래가 건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종료 모드에서는 실내유입구(121a) 측의 전동 댐퍼(20)와 실내배출구(121b) 측의 전동 댐퍼(20) 모두 제1 유로관(221)을 차폐하도록 차폐부재(330)를 회전시켜 공기조화기(1)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공기조화기 10: 본체부
20: 전동 댐퍼 30: 제어장치
110a: 급기송풍기 110b: 배기송풍기
121: 제1공기유로 121a: 실내유입구
121b: 실내배출구 122: 제2공기유로
122a: 실외유입구 122b: 실외배출구
123, 124: 필터 125: 제1가열부
126: 제2가열부 127: 유로전환부
127a: 유로전환부재 130: 제습로터
131: 제1영역 132: 제2영역
200: 몸체 210: 연결관
211: 내측면 212: 내부공간
213: 개구 220: 유로관
221: 제1 유로관 222: 제2 유로관
223: 제3 유로관 300: 개폐수단
310: 회전축 320: 연결부재
330: 차폐부재 400: 구동모터

Claims (6)

  1. 구 형상의 내부공간을 가지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을 중심으로 상이한 방향으로 각각 분기되도록 연결되어 공기가 흐르는 공기 유로를 구현하는 복수의 유로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로관 중 하나는 공기조화기의 유입구 및 배출구와 연결되는 몸체;
    회전을 통해 상기 복수의 유로관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닫거나 열도록 상기 연결관 내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는 개폐수단; 및
    상기 개폐수단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 회전하며 상기 복수의 유로관 중 임의의 유로관을 닫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공간이 구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연결관의 중앙을 가로지르며 연장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서 상기 유로관을 향해 돌출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돌출된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의 상기 유로관과 연통하는 개구를 덮는 차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의 일측 단부는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댐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연결관의 구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곡률진 구조를 가지며, 상기 차폐부재의 곡률은 상기 연결관이 가지는 곡률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댐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연결관의 개구가 가지는 단면 크기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댐퍼.
  5. 일단과 타단이 실내와 각각 연통하는 제1공기유로, 일단과 타단이 실외와 각각 연통하는 제2공기유로, 상기 제1공기유로와 상기 제2공기유로의 교차점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유로전환부, 상기 제1공기유로 상에 구비된 급기송풍기, 상기 제2공기유로 상에 구비된 배기송풍기, 상기 제1공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습로터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공기유로의 유입구 및 배출구와 연결되는 전동 댐퍼;
    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 댐퍼는 제1항에 따른 전동 댐퍼를 포함하며, 제1실내공간과 제2실내공간 중 일측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상기 유입구로 안내하고,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제1실내공간과 상기 제2실내공간 중 일측으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하고, 내부에 회전에 의해 제1영역과 제2영역을 통과하면서 상기 유입되는 공기에서 수분을 흡착하거나 상기 흡착된 수분을 상기 배출되는 공기로 방출하는 제습로터가 구비되며,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을 통과하는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를 구비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전동 댐퍼;
    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 댐퍼는 제1항에 따른 전동 댐퍼를 포함하며, 제1실내공간과 제2실내공간 중 일측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상기 유입구로 안내하고,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제1실내공간과 상기 제2실내공간 중 일측으로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90162960A 2019-12-09 2019-12-09 전동 댐퍼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202100725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960A KR20210072552A (ko) 2019-12-09 2019-12-09 전동 댐퍼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960A KR20210072552A (ko) 2019-12-09 2019-12-09 전동 댐퍼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552A true KR20210072552A (ko) 2021-06-17

Family

ID=76603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960A KR20210072552A (ko) 2019-12-09 2019-12-09 전동 댐퍼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25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379B1 (ko) * 2021-10-22 2023-02-24 (주) 쏘노 환기 시스템
KR102524280B1 (ko) * 2022-04-29 2023-04-21 (주)에이피 결로 방지기능 및 냄새 제거기능을 구비하는 가정용 환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379B1 (ko) * 2021-10-22 2023-02-24 (주) 쏘노 환기 시스템
KR102524280B1 (ko) * 2022-04-29 2023-04-21 (주)에이피 결로 방지기능 및 냄새 제거기능을 구비하는 가정용 환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838B1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100610671B1 (ko) 제가습장치 및 환기시스템
JP2006125824A (ja) 換気装置
KR20090058446A (ko) 공기 청정 및 가습 장치
KR20150028171A (ko) 제습기
KR20210072552A (ko) 전동 댐퍼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0657808B1 (ko) 환기장치
KR100640799B1 (ko) 공기 청정 겸용 환기장치
KR20170092887A (ko) 공기청정기능을 포함한 개별 모드의 상호 전환 운전이 가능한 전열교환기의 제어방법 및 그 전열교환기
JPH09296948A (ja) 空気調和装置
KR100707348B1 (ko) 조습장치 및 조습시스템
JP2022060875A (ja) 空気調和機
KR100600773B1 (ko) 공기조화기
WO2022172485A1 (ja) 換気装置及び換気装置を備える空気調和機
KR20020001137A (ko) 환기 및 자동습도조절 장치
KR102371827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
JP3716089B2 (ja) 空気調和機
JPH10309429A (ja) 除湿換気装置
KR100600108B1 (ko) 가습 및 제습장치와 상기 가습 및 제습장치의 제어방법
KR100624729B1 (ko) 공기조화기
CN216159230U (zh) 一种空气调节装置
KR100568524B1 (ko) 환기장치
KR100352430B1 (ko) 실내 제습 시스템과 실내 가습 시스템을 갖는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방법
CN216132009U (zh) 用于除湿的装置
CN215336792U (zh) 湿度调节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