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2544A -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2544A
KR20210072544A KR1020190162944A KR20190162944A KR20210072544A KR 20210072544 A KR20210072544 A KR 20210072544A KR 1020190162944 A KR1020190162944 A KR 1020190162944A KR 20190162944 A KR20190162944 A KR 20190162944A KR 20210072544 A KR20210072544 A KR 20210072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light
light emitting
reg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3285B1 (ko
Inventor
김승겸
이소정
이수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2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285B1/ko
Publication of KR20210072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01L51/5203
    • H01L27/3211
    • H01L27/324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발광층에서 방출된 빛은 넓은 각도로 추출되고, 제2 발광층에서 방출된 빛은 좁은 각도에서 추출되도록 하는 제2 절연막 및 제1 전극을 구비하고, 서로 이격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전극을 구비하여 광시야각 모드와 협시야각 모드를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는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 플라즈마 표시장치, 유기발광표시장치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들은, 표시장치를 시청하는 방향을 변경하여도 표시 품질이 균일하게 유지될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다만, 휴대용 표시장치의 경우에는 표시장치의 크기가 작고 표시장치의 위치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어 표시장치를 시청하는 각도가 정면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휴대용 표시장치 등에 있어서는 정면에서의 시청을 제외한 측면에서의 시청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오히려 측면에서의 시청하여도 우수한 표시품질을 유지하는 표시장치의 경우에는 사생활이 침해되는 문제가 있다.
표시장치의 시청 과정에서 사생활이 침해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표시장치의 시야각을 용도에 따라 제한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발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용도에 따라서 시야각을 변경하여 일반 모드에서 사생활 보호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액티브영역에 배치된 제1 서브픽셀, 기판, 제1 절연막, 제2 절연막, 제1 전극, 뱅크, 발광층, 제2 발광층, 제2 전극 및 보조전극을 포함하는 표시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절연막은 기판 상에 위치한다.
전술한 제2 절연막은, 제1 절연막 상에 위치하고, 제1 서브픽셀 내에서 경사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제1 전극은, 제1 서브픽셀 내에서 제1 절연막 및 제2 절연막 상에 위치한다.
전술한 뱅크는, 제1 전극 상부에 위치하고, 제1 서브픽셀 내에서 제1 개구영역 및 제2 개구영역을 포함한다. 제2 개구영역은 전술한 경사부에 의해 둘러싸인다. 즉, 전술한 제2 절연막의 경사부는 뱅크의 제2 개구영역을 둘러싸면서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발광층은, 뱅크의 제1 개구영역에 위치하며, 제1 전극 상에 위치한다. 즉, 제1 발광층은 뱅크의 제1 개구영역에서 드러난 제1 전극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발광층은 제1 색상의 빛을 방출한다.
전술한 제2 발광층은, 뱅크의 제2 개구영역에 위치하며, 제1 전극 상에 위치한다. 즉, 제2 발광층은 뱅크의 제2 개구영역에서 드러난 제1 전극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발광층은 제2 색상의 빛을 방출한다.
전술한 제2 전극은 서로 이격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제1 부분은 제1 발광층 상에 위치하고, 제2 부분은 제2 발광층 상에 위치한다.
전술한 보조전극은, 제2 전극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위치한다. 전술한 보조전극은, 제2 전극의 제1 부분 및 제2 전극의 제2 부분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액티브영역에 배치된 제1 서브픽셀을 포함하고, 표시패널 및 전술한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은,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패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표시장치를 시청할 수 있는 각도가 넓은 광시야각 모드와 표시장치를 시청할 수 있는 각도가 좁은 협시야각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제1 발광층에서 방출된 빛은 넓은 각도로 추출되고, 제2 발광층에서 방출된 빛은 좁은 각도에서 추출되도록 하는 제2 절연막 및 제1 전극을 구비하고, 서로 이격된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전극을 구비하여 광시야각 모드와 협시야각 모드를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는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패널의 서브픽셀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일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표시장치의 X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3의 표시장치의 Y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3 의 표시장치의 A-B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Z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3 의 표시장치의 A-C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3 의 A-D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3의 A-B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패널의 시청면에서의 발광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한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구성 요소들의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등이 된다고 기재된 경우,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될 수 있지만, 둘 이상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가 더 "개재"되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다른 구성 요소는 서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둘 이상의 구성 요소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될 수도 있다.
구성 요소들이나, 동작 방법이나 제작 방법 등과 관련한 시간적 흐름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 또는 흐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성 요소에 대한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예: 레벨 등)가 언급된 경우,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는 각종 요인(예: 공정상의 요인, 내부 또는 외부 충격, 노이즈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DL) 및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GL)이 배치되고,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DL) 및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GL)에 의해 정의되는 다수의 서브픽셀들(120)이 배열된 표시패널(110)과,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DL)을 구동하는 데이터 구동회로(DDC)와,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GL)을 구동하는 게이트 구동회로(GDC)와, 데이터 구동회로(DDC) 및 게이트 구동회로(GDC)를 제어하는 컨트롤러(D-C914) 등을 포함한다.
컨트롤러(D-C914)는, 데이터 구동회로(DDC) 및 게이트 구동회로(GDC)로 각종 제어신호(DCS, GCS)를 공급하여, 데이터 구동회로(DDC) 및 게이트 구동회로(GDC)를 제어한다.
이러한 컨트롤러(D-C914)는, 각 프레임에서 구현하는 타이밍에 따라 스캔을 시작하고, 외부에서 입력되는 입력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회로(DDC)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신호 형식에 맞게 전환하여 전환된 영상 데이터(Data)를 출력하고, 스캔에 맞춰 적당한 시간에 데이터 구동을 통제한다.
컨트롤러(D-C914)는, 데이터 구동회로(DDC)와 별도의 부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데이터 구동회로(DDC)와 함께 통합되어 집적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회로(DDC)는, 컨트롤러(D-C914)로부터 영상 데이터(Data)를 입력 받아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DL)로 데이터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DL)을 구동한다. 여기서, 데이터 구동회로(DDC)는 소스 구동회로라고도 한다.
이러한 데이터 구동회로(DDC)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 Sourc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는,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 래치 회로(Latch Circuit), 디지털 아날로그 컨버터(DAC: Digital to Analog Converter), 출력 버퍼(Output Buff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는, 경우에 따라서,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ADC: 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회로(GDC)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GL)로 스캔 신호를 순차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GL)을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여기서, 게이트 구동회로(GDC)는 스캔 구동회로라고도 한다.
이러한 게이트 구동회로(GDC)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구동회로 집적회로(GDIC: Gate Driv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각 게이트 구동회로 집적회로(GDIC)는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 레벨 시프터(Level Shif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GDIC)는, 테이프 오토메티드 본딩(TAB) 방식 또는 칩 온 글래스(COG) 방식으로 표시패널(110)의 본딩 패드(Bonding Pad)에 연결되거나, GIP(Gate In Panel) 타입으로 구현되어 표시패널(110)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표시패널(110)에 집적화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각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GDIC)는 표시패널(110)과 연결된 필름 상에 실장 되는 칩 온 필름(COF)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게이트 구동회로(GDC)는, 컨트롤러(D-C914)의 제어에 따라, 온(On) 전압 또는 오프(Off) 전압의 스캔 신호를 다수의 게이트 라인들(GL)로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회로(DDC)는, 게이트 구동회로(GDC)에 의해 특정 게이트 라인이 열리면, 컨트롤러(D-C914)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DATA)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다수의 데이터 라인들(DL)로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회로(DDC)는, 표시패널(110)의 일측(예: 상측 또는 하측)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구동 방식, 패널 설계 방식 등에 따라 표시패널(110)의 양측(예: 상측과 하측)에 모두 위치할 수도 있다.
게이트 구동회로(GDC)는, 표시패널(110)의 일 측(예: 좌측 또는 우측)에만 위치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구동 방식, 패널 설계 방식 등에 따라 표시패널(110)의 양측(예: 좌측과 우측)에 모두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유기발광표시장치, 액정표시장치, 플라즈마 표시장치 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가 유기발광표시장치인 경우, 표시패널(110)에 배열된 각 서브픽셀(120)은 자발광 소자인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트랜지스터(Driving 914ansistor) 등의 회로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서브픽셀(120)을 구성하는 회로 소자의 종류 및 개수는, 제공 기능 및 설계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패널의 서브픽셀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서브픽셀(120)은,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게이트 노드에 해당하는 제1 노드(N1)로 데이터 전압(VDATA)을 전달해주기 위한 제1 트랜지스터(T1)와, 영상 신호 전압에 해당하는 데이터 전압(VDATA) 또는 이에 대응되는 전압을 한 프레임 시간 동안 유지하는 스토리지 캐패시터(C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OLED)는 제1 전극(210, 애노드 전극 또는 캐소드 전극), 발광층(220) 및 제2 전극(230, 캐소드 전극 또는 애노드 전극)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유기발광소자(OLED)의 제2 전극(230)에는 기저 전압(EVSS, 240)이 인가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DRT)는 유기발광소자(OLED)로 구동 전류를 공급해줌으로써 유기발광소자(OLED)를 구동해준다.
구동 트랜지스터(DRT)는 제1 노드(N1), 제2 노드(N2) 및 제3노드(N3)를 갖는다.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1 노드(N1)는 게이트 노드에 해당하는 노드로서, 제1 트랜지스터(T1)의 소스 노드 또는 드레인 노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2 노드(N2)는 유기발광소자(OLED)의 제1전극(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소스 노드 또는 드레인 노드일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3노드(N3)는 구동 전압(EVDD)이 인가되는 노드로서, 구동 전압(EVDD)을 공급하는 구동전압 라인(DVL: Driving Voltage Lin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드레인 노드 또는 소스 노드일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DRT)와 제1 트랜지스터(T1)는, n 타입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p 타입으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데이터 라인(DL)과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1 노드(N1)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게이트 라인을 통해 스캔 신호(SCAN)를 게이트 노드로 인가 받아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트랜지스터(T1)는 스캔 신호(SCAN)에 의해 턴-온 되어 데이터 라인(DL)으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전압(VDATA)을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1 노드(N1)로 전달해줄 수 있다.
스토리지 캐패시터(C1)는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1 노드(N1)와 제2 노드(N2)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리지 캐패시터(C1)는,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제1 노드(N1)와 제2 노드(N2) 사이에 존재하는 내부 캐패시터(Internal Capacitor)인 기생 캐패시터(예: Cgs, Cgd)가 아니라, 구동 트랜지스터(DRT)의 외부에 의도적으로 설계한 외부 캐패시터(External Capacitor)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장치(100)는 드라이버 집적회로(DI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100)에 포함된 표시패널(110)은, GIP(Gate In Panel) 타입으로 구현된 게이트 드라이버 집적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100)의 액티브영역(111)은 제1 전극물질 배치영역(3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물질 배치영역(311)은, 상술한 서브픽셀(120)에 포함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구성하는 제1 전극(910)과 동일한 물질이 배치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전극물질은, 제1 전극물질 배치영역(311)의 전부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표시장치(100)의 액티브영역(111)은 또한 제2 전극물질 배치영역(331)을 포함한다. 제2 전극물질 배치영역(331)은, 상술한 서브픽셀(120)에 포함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구성하는 제2 전극(230)과 동일한 물질이 배치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전극물질은, 제2 전극물질 배치영역(331)의 전부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살펴본 것처럼 제2 전극(230)에는 기저전압(EVSS)이 인가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표시장치는 기저전압(EVSS)을 인가하기 위한 기저전압전극(240)을 포함할 수 있다. 기저전압전극(240)은 제1 기저전압전극(341) 및 제2 기저전압전극(3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저전압전극(341)은 제2 전극(230)의 제1 부분 및 제2 전극(230)의 제2 부분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제2 기저전압전극(342)은 제2 전극(230)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 중 나머지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극(230)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이 별도의 제1 기저전압전극(341)과 제2 기저전압전극(342)에 연결됨으로써, 서로 이격된 제2 전극(230)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제2 기저전압전극(342)은 제2 전극물질 배치영역(331)을 가로지르는 다수의 보조전극(340)을 통하여 제2 전극(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보조전극(340)은 제2 기저전압전극(342)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보조전극(340)과 연결되는 제2 전극(230)은 제2 기저전압전극(342)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기저전압전극(341)은 제1 전극물질 배치영역(11)에 형성된 제1 전극물질을 통하여 제2 전극(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X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기판(410) 상에 기저전압전극(240) 및 평탄화층(420)이 위치할 수 있다. 평탄화층(420)은 기판(410) 상에 형성된 회로 구성요소들을 평탄화하는 절연층으로서,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저전압전극(240)은 제1 기저전압전극(341)일 수 있다.
기저전압전극(240)은 평탄화층(420)에 형성된 홀을 통해 노출되며, 평탄화층(420) 상에 형성된 제1 전극물질(412)이 상기 홀을 통해 기저전압전극(24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물질(412)은, 기판(410) 상에 제1 전극(230)이 형성되는 공정단계에서 제1 전극(210)과 함께 형성되는 전극으로서, 제1 전극(210)에 포함되는 일부 물질로 구성된 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물질(412) 및 평탄화층(420) 상에는 뱅크(440)가 위치할 수 있다. 뱅크(440) 상에는 제2 전극물질(432)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전극물질(432)은, 기판(410) 상에 제2 전극(230)이 형성되는 공정단계에서 제2 전극(230)과 함께 형성되는 전극으로서, 제2 전극(230)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제2 전극물질(432)은 뱅크(440)에 형성된 홀을 통해 제1 전극물질(412)과 컨택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전극물질(432)과 연결된 제2 전극(230)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 중 어느 하나는, 제1 전극물질(412)을 통하여 기저전압전극(24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표시장치의 Y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는, 임의의 색상을 가지는 광을 방출하는 서브픽셀을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 있어서 3종의 서브픽셀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도시한 것이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3종의 서브픽셀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는 제1 색상 서브픽셀(521), 제2 색상 서브픽셀(522) 및 제3 색상 서브픽셀(5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서브픽셀은 제1 서브픽셀(921), 제2 서브픽셀(1122) 및 제3 서브픽셀(1223)로 구별될 수 있다. 도 5에 따르면, 제1 서브픽셀(921), 제2 서브픽셀(1122) 및 제3 서브픽셀(1223)은 제1 색상 서브픽셀(521)에 해당한다.
각각의 서브픽셀은 보조전극(340)을 포함하는데, 보조전극(340)을 경계로 서브픽셀에 포함된 발광층은 서로 다른 발광특성을 보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이를 묘사하기 위하여 제1 색상 서브픽셀(521)이라도 보조전극(340)을 경계로 하나의 영역은 진하게, 하나의 영역은 연하게 도시하였다. 진하게 표시한 영역은 전술한 제1 발광층에서 방출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발광영역과 대응될 수 있으며, 연하게 표시한 영역은 제2 발광층에서 방출된 빛에 의해 형성되는 발광영역과 대응될 수 있다.
Y 부분은 제2 전극물질 배치영역(331)의 일부분이며, 도 5에 도시한 부분에는 제2 전극(230)이 배치된다. 제2 전극의 제1 부분(532)과 제2 전극의 제2 부분(533)이 보조전극(340)을 경계로 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전극의 제1 부분(532)과 제2 전극의 제2 부분(533)이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의 제1 부분(532)과 제2 전극의 제2 부분(533)은, 액티브영역(111)에서 교대로 반복되어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액티브영역(111)은 전면 발광영역과 정면 발광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 발광영역은, 액티브영역(111)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픽셀에 있어서 제1 발광층에서 방출된 빛에 의해 형성된 발광영역일 수 있다. 정면 발광영역은, 액티브영역(111)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픽셀에 있어서 제2 발광층에서 방출된 빛에 의해 형성된 발광영역일 수 있다.
전면 발광영역은, 넓은 시야각에서 관찰되는 빛을 방출하는 제1 발광층이 구동되는 영역으로서, 제1 발광층을 구동할 수 있는 제2 전극의 제1 부분(532)에 대응될 수 있다. 전면 발광영역이 제2 전극의 제1 부분(532)에 대응된다는 것은, 전면 발광영역이 평면도 상에서 제2 전극의 제1 부분(532)이 위치하는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정면 발광영역은, 좁은 시야각에서 관찰되는 빛을 방출하는 제2 발광층이 구동되는 영역으로서, 제2 발광층을 구동할 수 있는 제2 전극의 제2 부분(533)에 대응될 수 있다. 정면 발광영역이 제2 전극의 제2 부분(533)에 대응된다는 것은, 정면 발광영역이 평면도 상에서 제2 전극의 제2 부분(533)이 위치하는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가 제1 색상 서브픽셀, 제2 색상 서브픽셀 및 제3 색상 서브픽셀을 포함할 경우, 제1 색상 서브픽셀, 제2 색상 서브픽셀 및 제3 색상 서브픽셀의 배치가 도 5에 도시한 배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 있어서, Y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제1 색상 서브픽셀(621), 제2 색상 서브픽셀(622) 및 제3 색상 서브픽셀(623)이 도 5에 도시한 실시예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 있어서, Y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제1 색상 서브픽셀(721), 제2 색상 서브픽셀(722) 및 제3 색상 서브픽셀(723)이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실시예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 있어서, Y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제1 색상 서브픽셀(821), 제2 색상 서브픽셀(822) 및 제3 색상 서브픽셀(823)이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실시예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서브픽셀들의 배치 방법은 단순히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서브픽셀들 배치에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편의상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서브픽셀들이 배치된 경우를 대표적인 예시로 하여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도 3의 표시장치의 A-B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는, 액티브영역에 배치된 제1 서브픽셀(921)과, 기판(410)과,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1 절연막(930)과, 제1 절연막(930) 상에 위치하는 제2 절연막(940)과, 제1 서브픽셀(921) 내에서 제1 절연막(930) 및 제2 절연막(940) 상에 위치하는 제1 전극(910)과, 제1 전극(910) 상부에 위치하고 제1 개구영역(961)과 제2 개구영역(962)을 포함하는 뱅크(960)와, 뱅크(960)의 제1 개구영역(961)에 위치하며 제1 전극(910) 상에 위치하는 제1 발광층(971)과, 뱅크(960)의 제2 개구영역(962)에 위치하고 제1 전극(910) 상에 위치하는 제2 발광층(972)과, 제1 발광층(971) 상에 위치하는 제1 부분(932)과 제2 발광층(972) 상에 위치하는 제2 부분(933)을 포함하는 제2 전극(230)과, 제2 전극(230)의 제1 부분(932)과 제2 부분(933) 사이에 위치하는 보조전극(340)을 포함한다.
기판(410)의 일명 상에는 표시패널(110)을 구성하는 회로소자들이 위치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박막 트랜지스터(TFT) 기판일 수 있다. 기판(410)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유리기판이나 폴리이미드 등의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표시장치는 액티브영역(111)에서, 기판(410) 상에 위치한 트랜지스터(414) 및 트랜지스터(4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유기발광소자(OLED)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414)는, 액티브층(414a), 게이트 전극(414c), 소스 전극(414d) 및 드레인 전극(414e)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OLED)는 제1 전극(910), 발광층(220) 및 제2 전극(2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전극(910)은 애노드 전극일 수 있고, 제2 전극(230)은 캐소드 전극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층(220)은 제1 발광층(971) 및 제2 발광층(972)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410) 상에 버퍼층(411)이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411) 상에는 트랜지스터(414)의 액티브층(414a)이 배치될 수 있다. 액티브층(414a)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414b)이 배치되고, 게이트 절연막(414b) 상에는 게이트 전극(414c)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액티브층(414a)은 채널영역을 포함하고, 액티브층(414a)의 채널영역은 게이트 절연막(414b) 및 게이트 전극(414c)과 중첩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414b)과 게이트 전극(414c)은 액티브층(414a)의 채널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414c) 상에는 층간 절연막(412)이 배치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412) 상에는 소스 전극(414d)과 드레인 전극(414e)이 배치될 수 있다. 소스 전극(414d)과 드레인 전극(414e)은 층간 절연막(412) 상에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소스 전극(414d)과 드레인 전극(414e) 각각은 층간 절연막(412)에 형성된 홀을 통해 액티브층(414a)과 컨택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기판(410) 상에 트랜지스터(414)가 배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트랜지스터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기판(410) 상에 게이트 전극(414c)이 배치되고, 게이트 전극(414c) 상에 액티브층(414a)이 배치되며, 액티브층(414a) 상에서 액티브층(414a)의 일 단과 중첩하도록 소스 전극(414d)이 배치되고, 액티브층(414a)의 타 단과 중첩하도록 드레인 전극(414e)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티브 영역(111)에는 스토리지 캐패시터(415)가 배치될 수 있다. 스토리지 캐패시터(415)는 게이트 전극(414c)과 동일층에 배치된 제1 스토리지 캐패시터 전극(415a)과 소스 전극(414d) 및 드레인 전극(414e)과 동일층에 배치된 제2 스토리지 캐패시터 전극(415b)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스토리지 캐패시터(415)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트랜지스터(414) 또는 스토리지 캐패시터(415)를 덮으면서 보호막(413)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막(413) 상에는 제1 절연막(93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막(930)은, 트랜지스터(414) 등의 회로소자가 형성된 기판(410)을 평탄화하는 층일 수 있다.
제1 절연막(930)은 유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절연막(930)은 제2 절연막(40)과 이격된 택홀을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컨택홀을 통하여 제1 절연막(930) 상에 위치하는 제1 전극(910)이 트랜지스터(4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절연막(940)은 제1 절연막(93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절연막(940)은 표시패널(110)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브픽셀들 중 하나인 제1 서브픽셀(921) 내에서 경사부(941)를 포함한다. 경사부(941)는 제2 절연막(940)의 평탄부(942)를 둘러쌀 수 있다. 즉, 제2 절연막(940)은 발광층이 위치하는 평탄부(942)를 포함하며, 평탄부(942)를 둘러싸는 경사부(9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막(940)의 평탄부(942)는 제2 절연막(940)이 기판(410) 표면과 평행하면서, 제2 발광층(972)이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다. 경사부(941)는 평탄부(941)를 둘러싸면서, 표면이 기판(410)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갖는 제2 절연막(940)의 일부분일 수 있다. 즉, 경사부(941)의 표면은 기판(410)의 표면과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절연막(930) 상에 경사부(941)를 포함하는 제2 절연막(940)을 형성할 경우, 경사부(941)가 가지는 각도를 더욱 크게 할 수 있으며, 경사부(941)를 의도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기 더욱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제1 전극(910)은, 제2 절연막(940) 상에 위치하며, 제1 절언막(930) 상에도 위치할 수 있다. 제1 전극(910)은, 전술한 제2 절연막(940)의 경사부(941) 및 평탄부(942)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제1 전극(910)은, 평탄부(942)와 중첩되는 영역에서, 제1 전극(910)의 상면이 기판(410)의 표면과 평행한 제1 부분(911)과, 제1 부분(911)에서 연장되어 제1 전극(910)의 상면이 기판(410)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경사부(941)와 중첩되는 부분인 제2 부분(91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전극(910)의 제2 부분(912)의 표면은 기판(410)의 표면과 평행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전극(910)은 제2 부분(212)에서 연장되어, 제1 절연막(930) 상에도 형성되며, 제1 절연막(930)에 형성된 컨택홀까지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1 전극(910)은 제1 서브픽셀(921) 내에서, 전술한 컨택홀을 통해 트랜지스터(4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극(910)은 트랜지스터(414)의 소스 전극(414d) 또는 드레인 전극(414e)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 전극(910)은 반사성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제1 전극(910)이 단일층인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극(910)이 다중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층은 반사성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극(910)은 알루미늄(Alumium), 네오듐(Neodium), 니켈(Nickel), 티타늄(Titanium), 탄탈륨(Tantalium), 구리(Cu), 은(Ag), 그리고, 알루미늄 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뱅크(960)는, 제1 전극(910)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뱅크(960)는 제1 절연막(930) 및 제2 절연막(940) 상부에도 위치할 수 있다.
뱅크(960)는 제2 절연막(940)에 구비된 평탄부(942) 및 경사부(941)의 일부와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1 전극(910) 상에 배치된 제1 부분(963)과 제2 절연막(940)에 구비된 경사부(941)의 주변부와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1 전극(910) 및 제2 절연막(940) 상에 배치된 제2 부분(964)을 포함할 수 있다.
뱅크(960)는, 제1 개구영역(961) 및 제2 개구영역(962)을 포함한다. 제1 개구영역(961)은, 평탄부(942)의 일부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개구영역(961)이 평탄부(942)의 일부에 대응된다는 것은, 제1 개구영역(961)이 제1 서브픽셀(921)에서 평탄부(942)의 일부와 중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서브픽셀(921)은 제1 전극(910)이 뱅크(960)와 미 중첩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뱅크(960)는 제1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뱅크(960)가 갖는 제1 색상은, 제1 발광층(971) 및 제2 발광층(972)이 방출하는 제1 색상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색상일 수 있다.
뱅크(960)는, 예를 들면, 안료 및 염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제1 색상을 가지는 컬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C.I pigment(Color Index pigment) Red 177, C.I pigment Yellow 139, C.I pigment Green 7, C.I pigment Yellow 185 및 C.I pigment Yellow Blue 15:6 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염료는 V23, Vdye일 수 있다.
뱅크(960)가 제1 발광층(971) 및 제2 발광층(972)이 방출하는 제1 색상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1 색상을 띨 경우, 제1 발광층(971) 및 제2 발광층(972)을 포함하는 제1 서브픽셀(921)에서 방출되는 광의 색순도가 개선될 수 있다.
제1 발광층(971)은 제1 전극(9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발광층(971)은 뱅크(960) 상에도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발광층(971)은 적어도 뱅크(960)의 제1 개구영역(961)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발광층(971)이 적어도 뱅크(960)의 제1 개구영역(961)에 위치한다는 것은, 제1 발광층(971)이 뱅크(960)의 제1 개구영역(961)에 의해 드러난 제1 전극(910)의 일부분 상에 위치하면서, 뱅크(960)의 제1 개구영역(961) 외의 부분까지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2 발광층(972)은 제1 전극(9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발광층(972)은 뱅크(960) 상에도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발광층(972)은 적어도 뱅크(960)의 제2 개구영역(962)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발광층(972)이 적어도 뱅크(960)의 제2 개구영역(962)에 위치한다는 것은, 제2 발광층(972)이 뱅크(960)의 제2 개구영역(962)에 의해 드러난 제1 전극(910)의 일부분 상에 위치하면서, 뱅크(960)의 제2 개구영역(962) 외의 부분까지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1 발광층(971) 및 제2 발광층(972)은, 제1 색상의 빛을 방출한다. 즉, 제1 발광층(971)과 제2 발광층(972)은 동일한 색상의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뱅크(440)와 미 중첩된 제1 전극(910) 상에는, 즉 뱅크(440)의 제2 개구영역(962)에는 유기발광소자(OLED)의 제2 발광층(972)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발광층(972)은 제1 전극(910)과 뱅크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발광층(971) 및 제2 발광층(972) 상에는 제2 전극(230)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전극(230)은, 제1 발광층(971) 상에 위치하는 제1 부분(932) 및 제2 발광층(972) 상에 위치하는 제2 부분(9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932)과 제2 부분(933)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분(932)과 제2 부분(933)이 제1 서브픽셀(921) 내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서, 제1 서브픽셀(921)에 포함된 제1 발광층(971) 및 제2 발광층(972)을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제1 전극(910)과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에 전압이 인가될 경우 제1 발광층(971)에서 빛이 방출될 수 있으며, 제1 전극(910)과 제2 전극의 제2 부분(933)에 전압이 인가될 경우 제2 발광층(972)에서 빛이 방출될 수 있으므로, 제1 발광층(971)과 제2 발광층(972)을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제2 발광층(972)은 제2 절연막(940)의 경사부(941)가 둘러싸고 있으므로, 제2 발광층(972)에서 방출된 빛의 일부는 제2 절연막(940)의 경사부(941) 상에 위치하는 제1 전극(910)의 제2 부분(212)에 의해 반사될 수 있으며, 제2 발광층(972)에서 방출되는 광은 시야각이 제1 발광층(971)에서 방출되는 광의 시야각보다 좁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발광층(971)을 구동할 경우에는 표시장치가 광시야각 모드로 구동하며, 제2 발광층(972)을 구동할 경우에는 표시장치가 협시야각 모드로 구동하여 사생활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유기발광소자(OLED)의 발광층(971, 972)은 직진성을 갖는 증착 또는 코팅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광층(971, 972)은 Evaporation 공정과 같은 물리적 증착 방법(Physical Vapor Deposition: PVD)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 발광층(971, 972)은, 기판(410) 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갖는 영역에서의 두께가 기판(410)과 평행한 영역에서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경사부(941)와 대응된 영역에 배치된 제2 발광층(972)의 두께는 뱅크(440)에 의해 노출된 제1 전극(910) 상면에 배치된 제2 발광층(972)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이에, 유기발광소자(OLED)가 구동되면, 제2 발광층(972)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 영역, 즉, 경사부(941)와 대응된 영역에서 전류밀도가 가장 높게 걸리고, 경사부(941)와 대응된 영역에서 전기장이 강하게 걸릴 수 있다.
따라서, 경사부(941)과 대응된 영역에서의 유기발광소자(OLED)의 발광 특성과 평탄부(942)와 대응된 영역에서의 유기발광소자(OLED)의 발광 특성이 상이해질 수 있고, 소자의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뱅크(960)가 경사부(941)를 덮도록 배치됨으로써, 경사부(941)와 대응되는 영역에서 소자의 열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영역별로 발광 특성이 상이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발광층(972)의 두께 조건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발광층(972)의 두께는 위치마다 대응되는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제2 전극(230)은 광이 투과되거나 반투과되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인듐 주석 아연 산화물(Indium Tin Zinc Oxide, ITZO), 아연 산화물(Zinc Oxide) 주석 산화물(Tin Oxide) 등과 같은 투명 전도성 산화물을 적어도 한 종류 포함하거나, 마그네슘(Magnesium), 은(Ag) 또는 마그네슘과 은의 합금 등과 같은 반투과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극(230)이 반투과 금속을 포함할 경우, 제2 전극(230)의 두께는 제1 전극(910)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제2 전극(230)은 서로 이격된 제1 부분(932) 및 제2 부분(933)을 포함한다. 제1 부분(932)과 제2 부분(933)이 서로 이격되었다는 것은, 제1 서브픽셀(921) 내에서 제1 부분(932)과 제2 부분(933)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은 제1 발광층(971) 상에 위치한다. 제2 전극의 제2 부분(933)은 제2 발광층(972) 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1 발광층(971)은 제1 전극(910)과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에 인가된 전압에 의하여 제1 색상을 가지는 빛을 방출할 수 있으며, 제2 발광층(972)은 제1 전극(910)과 제2 전극의 제2 부분(933)에 인가된 전압에 의하여 제2 색상을 가지는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제2 발광층(972)에서 방출된 빛(L2)은 제2 절연막(940)의 평탄부(942)를 둘러싸는 경사부(941) 상에 위치하는 제1 전극(910)에서 반사되므로, 시청면(VP)에서 더 작은 시야각을 가진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청면"은, 표시장치의 기판(410)과 평행하면서 발광층(971, 972)에서 발생한 빛이 방출되는 방향으로 표시장치의 외부에 위치하는 일면 또는 표시장치의 액티브영역과 평행한 일면을 지칭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발광층(972)에서 방출된 빛(L2)은 표시장치의 시청면(VP)의 법선을 기준으로 좁은 각도에서만 인지될 수 있다. 제2 발광층(L2)에서 방출된 빛은 정면 발광영역을 구성한다.
반면, 제1 발광층(971)에서 방출된 빛(L1)은, 제1 발광층(971) 주변에 제2 절연막(940)의 경사부(941)가 위치하지 않으므로, 제1 전극(910)에 의하여 중앙 부분으로 집광되지 않고 표시장치 외부로 방출되어 넓은 시야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발광층(971)에서 방출된 빛(L1)은 전면 발광영역을 구성한다.
따라서,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 및 제2 전극의 제2 부분(933) 중 어느 것에 전압을 인가하느냐에 따라 광시야각 모드와 협시야각 모드 사이를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과 제1 전극(910)에 전압을 인가할 경우 표시장치가 광시야각 모드로 작동할 수 있으며, 제2 전극의 제2 부분(933)과 제1 전극(910)에 전압을 인가할 경우에는 협시야각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과 제2 부분(933)에 동시에 전압을 인가할 경우에는 표시장치가 고휘도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보조전극(340)은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과 제2 부분(933) 사이에 위치한다. 보조전극(340)은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 및 제2 부분(933)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연결된 제1 부분(932) 또는 제2 부분(933)에 전압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제2 전극의 제2 부분(933)이 보조전극(340)과 연결된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보조전극(340)이 제2 전극의 제2 부분(933)에만 연결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발광소자(OLED)의 제2 전극(230) 상에는 적어도 1층의 봉지층(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봉지층은 유기발광소자(OLED) 상에 배치되어 유기발광소자(OLED)에 수분 또는 이물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터치스크린 내장형 표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봉지층 상에 터치 전극, 터치 라인 등의 터치 센서 메탈이 위치하는 TOE 구조(Touch Sensor on Encapsulation)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봉지층 상부에는 편광판(미도시)이 위치할 수 있다. 편광판은 표시장치의 외부에서 표시장치에 조사된 빛이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에서 반사되어 표시장치의 시인성이 떨어지는 것을 개선할 수 있다.
전술한 편광판 상부에는 커버글래스(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커버글래스는, 예를 들면, 유리 기판일 수 있으나 고분자 플라스틱 기판일 수도 있다.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과 제2 부분(933)은 서로 이격된다. 도 9에 도시한 실시예는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과 제2 부분(933)이 격벽 구조물에 의하여 이격된 것이다.
격벽 구조물은, 뱅크(960) 및 보조전극(340) 상에 위치하는 제3 절연막(9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절연막(950)은, 보조전극(340)의 일부만을 덮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3 절연막(950)에 의하여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과 제2 부분(933)이 분리될 수 있다.
제3 절연막(950)은, 역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역 테이퍼 형상이란, 기판(4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제3 절연막(950)의 너비가 증가하는 형상을 의미할 수 있다. 제3 절연막(950)이 역 테이퍼 형상을 가질 경우,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과 제2 부분(933)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으며, 보조전극(340)과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 및 제2 부분(933) 중 어느 하나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뱅크(960) 상에 보조전극(340)을 형성하고, 제3 절연막(950)을 형성한 후에, 제1 발광층(971) 및 제2 발광층(972)을 구성하는 유기물을 증착하고, 제2 전극물질을 증착함으로서 서로 이격된 제1 부분(932) 및 제2 부분(933)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제3 절연막(950)이 역 테이퍼 형상을 가지면서 보조전극(340)의 일부를 덮지 않도록 위치하므로, 제2 전극물질을 증차하여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 및 제2 부분(933)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보조전극(340)과 제1 부분(932) 및 제2 부분(933) 중 어느 하나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절연막(950) 상에는 제2 전극의 제3 부분(934)이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제3 절연막(950)을 형성한 후 제2 전극물질을 증착하는 공정을 수행할 경우, 제3 절연막(950) 상에 제2 전극의 제3 부분(934)이 위치하게 된다.
제2 전극의 제3 부분(934) 상에는 제1 발광층(971) 및 제2 발광층(972)에 포함되는 유기물과 동일한 유기물을 포함하는 유기층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과 제2 부분(933)을 제1 서브픽셀(921)에서 이격시키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10은 도 9의 Z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절연막(940)의 경사부(941)의 높이(H1)는 0.7㎛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경사부(941)의 높이(H1)는 평탄부(942)의 표면에서 기판(410)의 표면과 평행하게 연장된 선으로부터 경사부(941)의 최고점까지의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
경사부(941)의 높이(H1)는 경사부(941)의 주변부 상에 배치된 뱅크(960)의 높이 보다 높을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 경사부(941)의 높이(H1)는 뱅크(960)의 제2 부분(964)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사부(941)의 높이(H1)가 높게 형성될수록 제1 전극(910)의 제2 부분(212)에서 반사되는 광량이 증가되므로,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H1은, 예를 들면, 0.7μm 이상 1.2μm 이상, 1.4μm 이상 또는 2μ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H1이 클수록 제1 전극(910)의 제2 부분(212)이 높게 형성되어 집광 성능이 향상되므로, H1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10 μm 이하 또는 5 μ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제1 오목부(443)의 경사부(941)가 기판과 평행한 일면과 이루는 각도(a)는 27° 이상 내지 80° 미만일 수 있다. a가 전술한 범위를 만족할 경우 제1 전극(910)의 제2 부분(212)이 제2 발광층(972)에서 방출된 빛(L4)을 효과적으로 반사할 수 있다.
또한, 제1 오목부(443)의 경사부(941)와 대응되는 영역에서 뱅크(960)의 두께(W1)는 3.2㎛ 이하, 2.6㎛이하 또는 2.0㎛이하일 수 있다. W1은, 예를 들면, 평탄부(942)에서 기판과 평행한 방향으로 측정된 뱅크(960)의 두께일 수 있다.
W1이 작을수록, 제2 개구영역(962)의 면적이 확장될 수 있고, 제1 전극(910)의 제2 부분(212)에서 반사되어 추출되는 광의 광로를 줄여줌으로써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W 값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W의 하한은 0.1㎛ 이상, 0.3㎛ 이상 또는 0.5㎛ 이상일 수 있다.
W1, H1 및 a를 상술한 범위 내로 조절함으로써, 제2 발광층(972)에서 방출된 빛(L3, L4)이 형성하는 발광영역이 제1 발광영역 및 제2 발광영역을 포함하여 표시패널의 휘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발광영역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W1, H1 및 a를 상술한 범위 내로 조절할 경우, 제2 절연막(940)이 경사부(941)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표시패널 외부로 추출되지 못할 빛(L4)이 표시패널 외부로 추출될 수 있으므로, 표시패널의 휘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경사부(941)를 갖지 않는 경우보다 제2 발광층(972)에서 방출된 빛을 집광할 수 있으므로, 제2 발광층(972)에서 방출된 빛(L3, L4)이 정면 발광영역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도 3의 표시장치의 A-C 부분의 단면도이다.
표시장치(100)는 제1 서브픽셀(921)과 인접한 제2 서브픽셀(112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제2 서브픽셀(1122) 영역에 대해서 설명하나, 제1 서브픽셀(921) 영역에 대해 설명한 것과 동일한 내용(구성요소 및 효과)은 생략될 수 있다.
제2 서브픽셀(1122) 내에 위치하는 제2 절연막(940)은 경사부(9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픽셀(1122) 내에 위치하는 제2 절연막(940)은, 도 11에 도시한 것처럼 제1 서브픽셀(921) 내에 위치하는 제2 절연막(940)이 연장되어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서브픽셀(1122) 영역에 위치한 제1 전극(910)은 제1 서브픽셀(921) 영역에 위치한 제1 전극(910)과 서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제2 서브픽셀(1122)의 제1 전극(910)은, 제1 절연막(930) 및 제2 절연막(940) 상에 위치한다. 제1 서브픽셀(921)에 위치하는 제1 전극(910)과 제2 서브픽셀(1122)에 위치하는 제1 전극(910)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뱅크(960)는 제1 개구영역(961) 및 제2 개구영역(962)을 포함한다. 제2 개구영역(962)은 경사부(941)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1 발광층(971)은 제1 개구영역(961)에 위치하고, 제1 전극(910) 상에 위치한다.
제2 발광층(972)은 제2 개구영역(962)에 위치하고, 제1 전극(910) 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2 서브픽셀(1122) 에서도 제2 발광층(972)을 둘러싸고 경사부(941)가 위치할 수 있다.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은 제1 발광층(971) 상에 위치하며, 제2 전극의 제2 부분(933)은 제2 발광층(97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제2 서브픽셀(1122)의 제2 전극의 제2 부분(933)은 제1 서브픽셀(921)의 제2 전극의 제2 부분(933)이 연장되어 위치하는 것일 수 있으며, 제1 서브픽셀(921)의 제2 전극의 제2 부분(933)과 제2 서브픽셀(1122)의 제2 전극의 제2 부분(933)은 동일한 하나의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서브픽셀(921)의 제2 전극의 제2 부분(933)과 제2 서브픽셀(1122)의 제2 전극의 제2 부분(933)이 동일한 하나의 전극이라는 것은, 제1 서브픽셀(921)의 제2 전극의 제2 부분(933)과 제2 서브픽셀(1122)의 제2 전극의 제2 부분(933)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어느 하나에 전압이 인가될 경우 나머지 부분에도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2는 도 3의 표시장치의 A-D 부분의 단면도이다.
표시장치(100)는 제2 서브픽셀(1122)과 인접한 제3 서브픽셀(1223)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제3 서브픽셀(1223) 영역에 대해서 설명하나, 제1 서브픽셀(921) 영역에 대해 설명한 것과 동일한 내용(구성요소 및 효과)은 생략될 수 있다.
제3 서브픽셀(1223) 내에 위치하는 제2 절연막(940)은 경사부(9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서브픽셀(1223) 영역에 위치한 제1 전극(910)은 제2 서브픽셀(1122) 영역에 위치한 제1 전극(910)과 서로 이격되어 위치한다. 제3 서브픽셀(1223)의 제1 전극(910)은, 제1 절연막(930) 및 제2 절연막(940) 상에 위치한다. 제2 서브픽셀(1122)에 위치하는 제1 전극(910)과 제3 서브픽셀(1223)에 위치하는 제1 전극(910)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뱅크(960)는 제1 개구영역(961) 및 제2 개구영역(962)을 포함한다. 제2 개구영역(962)은 경사부(941)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1 발광층(971)은 제1 개구영역(961)에 위치하고, 제1 전극(910) 상에 위치한다.
제2 발광층(972)은 제2 개구영역(962)에 위치하고, 제1 전극(910) 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3 서브픽셀(1223) 에서도 제2 발광층(972)을 둘러싸고 경사부(941)가 위치할 수 있다.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은 제1 발광층(971) 상에 위치하며, 제2 전극의 제2 부분(933)은 제2 발광층(97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제3 서브픽셀(1223)의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은 제2 서브픽셀(1122)의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이 연장되어 위치하는 것일 수 있으며, 제2 서브픽셀(1122)의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과 제3 서브픽셀(1223)의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은 동일한 하나의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서브픽셀(1122)의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과 제3 서브픽셀(1223)의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은 동일한 하나의 전극이라는 것은, 제2 서브픽셀(1122)의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과 제3 서브픽셀(1223)의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 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어느 하나에 전압이 인가될 경우 나머지 부분에도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3은 도 3의 표시장치의 A-B 부분의 단면도이다.
후술하는 설명에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내용(구성, 효과 등)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실시예들은,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한 실시예와는 상이한 방법으로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과 제2 전극의 제2 부분(933)을 이격시킨 것들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표시패널(110)은 제1 전극(910) 상에 위치하고, 제1 발광층(971)과 제2 발광층(972) 사이에 위치하는 제4 절연막(136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4 절연막(1360) 상에는 보조전극(340), 뱅크(960), 제1 발광층(971), 제2 발광층(972), 제2 전극(932, 933)이 위치할 수 있다.
보조전극(340)은 제4 절연막(1360) 상에 위치하면서,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 및 제2 부분(933)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실시예들은 보조전극(340)이 제2 전극의 제2 부분(9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조전극(340) 상에는 제5 절연막(1370)이 위치할 수 있다. 제5 절연막(1370)은,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5 절연막(1370)은 뱅크(960)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5 절연막(1370)이 상기한 것과 같이 위치함으로서, 제2 전극이 제1 부분(932)과 제2 부분(933)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언더컷(undercut) 구조라 지칭할 수 있다.
제5 절연막(1370)의 두께는 보조전극(340) 상에 위치하는 제2 전극의 제2 부분(933)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제5 절연막(1370)이 상술한 것과 같은 두께를 가질 경우, 언더컷 구조에 의한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과 제2 부분(933)의 이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패널의 시청면에서의 발광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표시패널(110)은 시청면(VP)에서 발광영역과 비발광영역(1430)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영역은, 전면 발광영역(1410) 및 정면 발광영역(14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면 발광영역(1410)은, 제1 발광층(971)에서 발생한 빛이 방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전면 발광영역(1410)은,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에 대응될 수 있다. 전면 발광영역(1410)이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에 대응된다는 것은, 전면 발광영역(1410)에서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을 통과한 빛이 방출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정면 발광영역(1420)은, 제2 발광층(972)에서 발생한 빛이 방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정면 발광영역(1420)은, 제2 전극의 제2 부분(933)에 대응될 수 있다. 정면 발광영역(1420)이 제2 전극의 제2 부분(933)에 대응된다는 것은, 정면 발광영역(1420)에서 제2 전극의 제2 부분(933)을 통과한 빛이 방출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제1 서브픽셀(921)에는 제1 발광층(971)과 제2 발광층(972)이 위치하므로, 제1 서브픽셀(921)은 전면 발광영역(1410 및 정면 발광영역(1420)에 중첩될 수 있다.
전면 발광영역(1410)은 정면 발광영역(1420) 보다 넓은 시야각을 가지며, 정면 발광영역(1420)은 전면 발광영역(1410) 보다 좁은 시야각을 가진다. 또한, 상술하였듯이 제1 발광층(971)과 제2 발광층(972)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2 전극의 제1 부분(932)과 제2 부분(933)이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전면 발광영역(1410)과 정면 발광영역(1420)에 배치된 발광층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어 표시장치가 광시야각 모드 또는 협시야각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정면 발광영역(1420)은 제1 발광영역(1421) 및 제2 발광영역(14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영역(1421)은, 정면 발광영역(1420)을 구성하는 주요 영역일 수 있다. 제1 발광영역(1421)은 제2 개구영역(962)에 위치한 제2 전극의 제2 부분(933)을 통해 빛이 방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발광영역(1421)은, 도 10에 도시한 L3로 표시한 광이 주로 방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발광영역(1422), 정면 발광영역(1420)을 구성하는 보조 영역일 수 있다. 제2 발광영역(1422)은, 제1 발광영역(1420)을 둘러싸고 위치할 수 있다. 제2 발광영역(1422)은, 경사부(941) 상에 위치하는 제1 전극(910)에 반사된 빛이 방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발광영역(1422)은, 도 10에 도시한 L4로 표시한 광이 주로 방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정면 발광영역(1420)이 제1 발광영역(1421)과 제2 발광영역(1422)을 포함할 경우, 표시패널이 우수한 휘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발광영역(1421)은, 뱅크(960)의 제2 개구영역(962)에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2 발광영역(1422)은, 경사부(941)에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1 발광영역(1421)에서 방출되는 광과 제2 발광영역(1422)에서 방출되는 광은 색좌표 및 휘도 중 하나 이상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제1 발광영역(1421)은 주로 L3 광이 방출되며, 제2 발광영역(1422)은 L4 광이 방출되므로, 광경로가 상이하여 색좌표 및 휘도 중 하나 이상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2 발광영역(1422)은 제1 서브픽셀(921) 내에서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발광층(972)에서 방출되는 광의 파장에 따라서, 제2 발광영역(1422)은 하나의 연속적인 폐곡선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나,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섬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표시패널은 시청면(VP)에서 보조전극영역(1440)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전극영역(14440)은, 보조전극(340)이 위치하는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보조전극영역(1440)에 의하여, 전면 발광영역(1410)과 정면 발광영역(1420)이 구별될 수 있다. 보조전극영역(1440)은, 시청면(VP)에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보조전극(340)이 배치된 경우, 보조전극영역(1440) 또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전면 발광영역(1410)은, 시청면(VP)에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발광층(971)이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된 경우, 전면 발광영역(1410) 또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정면 발광영역(1420)은, 시청면(VP)에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발광층(972)이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된 경우, 정면 발광영역(1420) 또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들은,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장치(100)는, 표시패널(110) 및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구동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 있어서, 표시패널은 전술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패널(110)과 동일하므로, 표시패널(11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에 포함되는 구동회로에 대한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장치
110: 표시패널
120: 제1 서브픽셀
210, 910: 제1 전극
220: 발광층
230: 제2 전극
410: 기판
930: 제1 절연막
940: 제2 절연막
960: 뱅크
971: 제1 발광층
972: 제2 발광층

Claims (19)

  1. 액티브영역에 배치된 제1 서브픽셀을 포함하는 표시패널에 있어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1 절연막;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서브픽셀 내에서 경사부를 포함하는 제2 절연막;
    상기 제1 서브픽셀 내에서 상기 제1 절연막 및 상기 제2 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서브픽셀 내에서 제1 개구영역 및 제2 개구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개구영역은 상기 경사부에 의해 둘러싸인 뱅크;
    상기 뱅크의 제1 개구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전극 상에 위치하고, 제1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제1 발광층;
    상기 뱅크의 제2 개구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전극 상에 위치하고, 제1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제2 발광층;
    상기 제1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서로 이격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전극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애노드 전극이고, 상기 제2 전극은 캐소드 전극인 표시패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반사성 금속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뱅크 및 상기 보조전극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전극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분리하는 제3 절연막을 추가로 포함하는 표시패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3 절연막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과 이격된 제3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발광층과 상기 제2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4 절연막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보조전극은 상기 제4 절연막 상에 위치하며, 상기 보조전극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전극의 제2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보조전극 상에 위치하고 상기 뱅크의 하부 및 상기 제2 전극의 제1 부분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5 절연막을 추가로 포함하는 표시패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절연막의 두께는 상기 보조전극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전극의 제2 부분의 두께보다 두꺼운 표시패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시청면에서 상기 제1 발광층에서 발생한 빛이 방출되는 전면 발광영역 및 상기 제2 발광층에서 발생한 빛이 방출되는 정면 발광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발광영역에서 방출되는 빛은 상기 정면 발광영역에서 방출되는 빛보다 시야각이 넓은 표시패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발광영역은 상기 제2 개구영역에 위치한 제2 전극의 제2 부분을 통해 빛이 방출되는 제1 발광영역 및 상기 경사부 상에 위치하는 제1 전극에 반사된 빛이 방출되는 제2 발광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영역은 상기 제2 개구영역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표시패널.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영역은 상기 경사부에 대응되도록 위치하는 표시패널.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영역에서 방출되는 광과 상기 제2 발광영역에서 방출되는 광은 색좌표 및 휘도 중 하나 이상이 서로 상이한 표시패널.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영역은, 상기 제1 서브픽셀 내에서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섬 형상을 가지는 표시패널.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픽셀과 인접한 제2 서브픽셀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서브픽셀 내에서,
    상기 제2 절연막은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절연막 및 상기 제2 절연막 상에 위치하고,
    상기 뱅크는 제1 개구영역 및 상기 경사부에 의해 둘러싸인 제2 개구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발광층은 상기 제2 개구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전극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발광층은 상기 제1 개구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전극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전극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발광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전극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발광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전극의 제2 부분은 상기 제1 서브픽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전극의 제2 부분과 동일한 하나의 전극인 표시패널.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픽셀과 인접한 제3 서브픽셀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3 서브픽셀 내에서,
    상기 제2 절연막은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절연막 및 상기 제2 절연막 상에 위치하고,
    상기 뱅크는 제1 개구영역 및 상기 경사부에 의해 둘러싸인 제2 개구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발광층은 상기 제1 개구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전극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발광층은 상기 제1 개구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전극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전극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발광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전극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발광층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전극의 제1 부분은 상기 제2 서브픽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전극의 제1 부분과 동일한 하나의 전극인 표시패널.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의 제1 부분과 상기 제2 전극의 제2 부분은, 상기 액티브영역에서 교대로 반복되어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치되는 표시패널.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시청면에서 전면 발광영역 및 정면 발광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발광영역은 상기 제2 전극의 제1 부분에 대응되며,
    상기 정면 발광영역은 상기 제2 전극의 제2 부분에 대응되는 표시패널.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전극은 상기 제2 전극의 제1 부분과 상기 제2 전극의 제2 부분 사이에 위치하며,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치되는 표시패널.
  19. 제1 서브픽셀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1 절연막; 상기 제1 절연막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서브픽셀 내에서 경사부를 포함하는 제2 절연막; 상기 제1 서브픽셀 내에서 상기 제1 절연막 및 상기 제2 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서브픽셀 내에서 제1 개구영역 및 제2 개구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개구영역은 상기 경사부에 의해 둘러싸인 뱅크; 상기 뱅크의 제1 개구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전극 상에 위치하고, 제1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제1 발광층; 상기 뱅크의 제2 개구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전극 상에 위치하고, 제1 색상의 빛을 방출하는 제2 발광층; 상기 제1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서로 이격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전극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190162944A 2019-12-09 2019-12-09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613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944A KR102613285B1 (ko) 2019-12-09 2019-12-09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944A KR102613285B1 (ko) 2019-12-09 2019-12-09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544A true KR20210072544A (ko) 2021-06-17
KR102613285B1 KR102613285B1 (ko) 2023-12-21

Family

ID=76603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944A KR102613285B1 (ko) 2019-12-09 2019-12-09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328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1538A (ko) * 2014-10-22 2017-06-23 아큘러스 브이알, 엘엘씨 제어가능한 시야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서브픽셀
KR20180135342A (ko) * 2017-06-12 2018-12-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1538A (ko) * 2014-10-22 2017-06-23 아큘러스 브이알, 엘엘씨 제어가능한 시야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서브픽셀
KR20180135342A (ko) * 2017-06-12 2018-12-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3285B1 (ko)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438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0381415B2 (en) Display device
US8907327B2 (en) Display device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connection part for electronically connecting different levels of conductors
CN107664862B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20210376283A1 (en) Display device
US20220005994A1 (en) Display device
KR20200066934A (ko) 플렉서블 전계 발광 표시장치
US960172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2545527B1 (ko) 투명표시장치
US11257895B2 (en) Display panel comprising a sealing member, a first conductive line, and a second conductive line
CN111916474A (zh) 显示装置
US11276740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display device
CN112783360A (zh) 触摸显示装置
KR20230037531A (ko) 터치표시장치
CN109728187B (zh) 电致发光显示装置
US11723251B2 (en) Display panel with improved luminance or efficiency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200072745A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를 포함한 개인 몰입형 표시장치
US10559775B2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US20220320472A1 (en) Display device
KR102613285B1 (ko)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20091214A (ko) 표시 장치
KR102098068B1 (ko) 마이크로 캐비티 구조를 적용한 화이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US11630529B2 (en) Display device
KR20210070132A (ko)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20240172512A1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