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2380A - 배관의 막힘여부 확인 및 막힘을 제거하는 자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관의 막힘여부 확인 및 막힘을 제거하는 자동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2380A
KR20210072380A KR1020190162633A KR20190162633A KR20210072380A KR 20210072380 A KR20210072380 A KR 20210072380A KR 1020190162633 A KR1020190162633 A KR 1020190162633A KR 20190162633 A KR20190162633 A KR 20190162633A KR 20210072380 A KR20210072380 A KR 20210072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ir
flow
foreign substanc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탁진수
장수영
이남용
Original Assignee
탁진수
이남용
장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탁진수, 이남용, 장수영 filed Critical 탁진수
Priority to KR1020190162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2380A/ko
Publication of KR20210072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3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 E03C1/304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using fluid under pressure
    • E03C1/308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using fluid under pressure by means of a pump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의 막힘여부 확인 및 막힘을 제거하는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체의 흐름을 제공하는 배관; 상기 배관내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유체의 흐름에 방해가 생겨 관내 수위 상승하게 되면 부력에 의해 상승하는 에어라인; 상기 에어라인에 설치되어 일정 시간 이상 설정 압력값이 지속되는 경우 신호를 전달하는 유압센서; 및 상기 유압센서의 신호에 의해 에어 펌프(미도시)를 작동시켜 고압의 에어로써 이물질을 밀어내는 공기압 분사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배관의 사용수명증대와 배관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장치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기존의 보수 방법에 비해서 관로 내의 흐름을 정상화하는 시간이 절감되고, 자동화로 인한 빠른 대처를 통해 큰 피해를 줄이고 역류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관의 막힘여부 확인 및 막힘을 제거하는 자동화 시스템{Automatic system for preventing blockage of pipe}
본 발명은 배관 막힘여부 확인 및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물질에 의해 배관 내의 수압이 높아지면 에어라인에 부착된 유압센서가 작동되어 공기압 분사구에 의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배관의 막힘여부 확인 및 막힘을 제거하는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로서 배관 이물질 제거장치(출원인 : 주식회사 포스코)는, 배관 내에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제공되되 상기 배관을 압박하도록 팽창되는 팽창수단 및 상기 배관을 팽창압박하는 상기 팽창수단이 상기 배관 외측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배관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팽창수단을 인출시키는 인출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배관의 이물질에 의한 오염상태를 체크한 후 오염된 위치에서 팽창부재가 배관을 압박하도록 팽창하여 인출수단에 의해 배관 외측으로 인출됨으로서, 배관 내의 슬러지와 같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의 로봇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였는데, 이는 이물질이 쌓였을 때마다 로봇을 투입하여 보수를 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과 시간적인 측면의 문제점을 발견했다.
또한, 종래의 다른 기술로서 물과 공기압을 이용하여 배관 내 이물질을 제거하는 배관세척장치가 포함된 배관 세척시스템(출원인 : 민경국)은 세척수 유입관과 세척되는 배관에 연결설치되는 세척수 유출관이 유출입 연결관으로 연결 설치된 세척수 유출입기와 공기를 소정압력으로 가압시키는 공기 압축기와 가입된 공기를 'T' 형상으로 압축공기 배출관과 압축공기 유입관에 각각 분기 배출시키는 압축공기 분기관이 구비되며, 상기 압축공기 유입관은 세척수 유출관과 연결설치되어 세척수와 압축공기를 세척하고자 하는 배관에 배출하는 배관세척장치 및 상기 배관세척장치의 세척수 유출관과 연결되어 세척되는 배관 외면부에 부착설치되는 고정모듈로 이루어지는 물과 공기압을 이용하여 배관 내 이물질을 제거하는 배관세척장치가 포함된 배관 세척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의 시스템을 부착한 배관에서만 세척을 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이점을 착안하여 긴 와이어 형식으로 배관의 이물질 제거 범위를 넓힌 아이디어를 고안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이디어를 생각해보았다. 선행조사 및 특허조사를 참조하여 개선한 본 아이디어는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물질이 쌓여 배관의 압력이 높아졌을 때마다 자동적으로 공기압을 분사하여 이물질의 제거 및 방지를 실현하는 배관의 막힘여부 확인 및 막힘을 제거하는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긴 와이어 형식으로 배관의 이물질 제거 범위를 넓혀 경제성과 여러 가지 배관형상에 높은 호환성을 가지는 배관의 막힘여부 확인 및 막힘을 제거하는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의 막힘여부 확인 및 막힘을 제거하는 자동화 시스템은 유체의 흐름을 제공하는 배관; 상기 배관내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유체의 흐름에 방해가 생겨 관내 수위 상승하게 되면 부력에 의해 상승하는 에어라인; 상기 에어라인에 설치되어 일정 시간 이상 설정 압력값이 지속되는 경우 신호를 전달하는 유압센서; 및 상기 유압센서의 신호에 의해 에어 펌프(미도시)를 작동시켜 고압의 에어로써 이물질을 밀어내는 공기압 분사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유압센서와 근접한 공기압 분사구에서만 공기압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관의 사용수명증대와 배관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장치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보수 방법에 비해서 관로 내의 흐름을 정상화하는 시간이 절감되고, 자동화로 인한 빠른 대처를 통해 큰 피해를 줄이고 역류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약 150,0000 (업체를 통한 가정용 배관의 1회 수리비용) × N (막힘 발생 횟수) 의 비용을 고려하면 자동화 시스템을 갖추는 비용은 염가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한 번의 설치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막힘문제를 해결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용도의 배관에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관 이물질 제거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물과 공기압을 이용하여 배관 내 이물질을 제거하는 배관세척장치가 포함된 배관 세척시스템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의 막힘여부 확인 및 막힘을 제거하는 자동화 시스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의 평소 수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이 배관을 막은 뒤 수위가 상승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펌프 작동 후 수위가 하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의 막힘여부 확인 및 막힘을 제거하는 자동화 시스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의 평소 수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이 배관을 막은 뒤 수위가 상승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펌프 작동 후 수위가 하강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관의 막힘여부 확인 및 막힘을 제거하는 자동화 시스템은 크게 배관(1), 에어라인(10), 유압센서(20) 및 공기압 분사구(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상적인 배관(1)의 경우 물이 잘 흘러가게 되어 정상적으로 유동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10)내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유체의 흐름에 방해가 생겨 관내 수위 상승한다. 그러면 부력에 의해 에어라인(20) 상승(압력 상승)하게 되어 유압센서(20)에 일정 시간 이상 설정 압력값이 지속되는 경우 신호를 전달하게 되는데, 이때 물의 유동이 정상적으로 흐를 때와 이물질에 의해 관로가 막히는 것을 구분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에어 펌프(미도시)가 작동하여 연결된 공기압 분사구(30)에 의해 고압의 에어로써 이물질을 밀어낸다.
특히,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유압센서(20)와 근접한 공기압 분사구(30)에서만 공기압을 분사하게 된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1)내의 유체의 흐름이 정상화되어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 에어 펌프의 작동 중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설치가 용이하다. 기존의 배관을 교체하지 않더라도 에어라인(10)과 펌프의 설치만으로 막힘방지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다. 둘째, 유지 및 보수가 쉽다. 압력센서가 고장난 경우, 에어라인(10)만 추출해내어 유압센서(20)를 교체할 수 있다. 셋째, 구조가 간단하다. 넷째, 모든 상하수도 배관에 (아파트, 상가, 폐수처리시설 등) 사용하여 막힌 구역의 위치 특정 및 간단한 이물질 처리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배관 3. 물
10. 에어라인 20. 유압센서
30. 공기압 분사구 S. 슬러지

Claims (2)

  1. 유체의 흐름을 제공하는 배관(1);
    상기 배관(1)내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유체의 흐름에 방해가 생겨 관내 수위 상승하게 되면 부력에 의해 상승하는 에어라인(10);
    상기 에어라인(10)에 설치되어 일정 시간 이상 설정 압력값이 지속되는 경우 신호를 전달하는 유압센서(20); 및
    상기 유압센서(20)의 신호에 의해 에어 펌프(미도시)를 작동시켜 고압의 에어로써 이물질을 밀어내는 공기압 분사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막힘여부 확인 및 막힘을 제거하는 자동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센서(20)와 근접한 공기압 분사구(30)에서만 공기압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막힘여부 확인 및 막힘을 제거하는 자동화 시스템.
KR1020190162633A 2019-12-09 2019-12-09 배관의 막힘여부 확인 및 막힘을 제거하는 자동화 시스템 KR202100723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633A KR20210072380A (ko) 2019-12-09 2019-12-09 배관의 막힘여부 확인 및 막힘을 제거하는 자동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633A KR20210072380A (ko) 2019-12-09 2019-12-09 배관의 막힘여부 확인 및 막힘을 제거하는 자동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380A true KR20210072380A (ko) 2021-06-17

Family

ID=76603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633A KR20210072380A (ko) 2019-12-09 2019-12-09 배관의 막힘여부 확인 및 막힘을 제거하는 자동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23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1641B2 (en) Pump system and its controlling method for cleaning strainer
KR100441267B1 (ko) 하수관작업용순환배수장치
US10087610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drain jetting
KR102313700B1 (ko) Ict 모니터링 기반의 상수관망 자동드레인 밸브 시스템
CN110242312A (zh) 一种防堵结构、一种盾构机排污防堵装置及其应用
KR20210072380A (ko) 배관의 막힘여부 확인 및 막힘을 제거하는 자동화 시스템
CN209743871U (zh) 一种热力管道除污放水装置
JP4295416B2 (ja) 排水管閉塞自動回避設備
JP4702614B2 (ja) 管内濁質除去装置
KR100906681B1 (ko) 압력식 유송배관 시스템
CN203750281U (zh) 反冲洗过滤系统
KR101350969B1 (ko) 오폐수처리설비의 상향배관 축적물 자동제거방법
CN105170578A (zh) 一种自动清除废液排放管路堵塞的装置
CN202199202U (zh) 供水系统
JP4416069B2 (ja) 下水管作業用バイパス排水装置
KR20150109095A (ko) 파이프라인의 누수검사장치 및 그 방법
CN216560247U (zh) 工艺水供应控制报警系统
CN211116835U (zh) 一种直排式水泵房引水过滤装置
CN218608521U (zh) 分离设备和压缩机组
CN206019377U (zh) 关断门管路系统集中冲洗和系统介质回收装置
KR20120112948A (ko) 동축 스크린형 스트레이너
CN220405002U (zh) 一种具备自动切换功能的反冲洗装置
KR102666127B1 (ko) 고속수류 및 맥동에 의한 수도관 세척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도관 세척 방법
KR101208947B1 (ko) 자연유하식 오폐수 이송배관의 세척시스템.
CN207794282U (zh) 一种带杂质分离功能的预制泵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