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2192A - 포밍 성형 캠가이드 형상을 갖는 서브프레임 - Google Patents

포밍 성형 캠가이드 형상을 갖는 서브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2192A
KR20210072192A KR1020190161587A KR20190161587A KR20210072192A KR 20210072192 A KR20210072192 A KR 20210072192A KR 1020190161587 A KR1020190161587 A KR 1020190161587A KR 20190161587 A KR20190161587 A KR 20190161587A KR 20210072192 A KR20210072192 A KR 20210072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guide
fastening hole
forming
bracket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1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호상
Original Assignee
서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1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2192A/ko
Publication of KR20210072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1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7/00Means on vehicles for adjusting camber, castor, or to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밍 성형 캠가이드 형상을 갖는 서브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멤버부; 상기 멤버부 일측에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며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체결부를 포함하는 브라켓; 상기 한 쌍의 체결부 사이에 부쉬가 결합되는 암부; 상기 체결부 각각의 외면에 형성되어 캠볼트가 삽입되는 체결홀; 및 상기 체결홀의 주위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캠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캠가이드부는 상기 체결홀 주위에 상기 브라켓과 일체로 포밍 성형되고, 상기 캠가이드부는 상기 체결홀과 특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체결홀 주위를 둘러 싸도록 형성되는 포밍성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밍 성형 캠가이드 형상을 갖는 서브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밍 성형 캠가이드 형상을 갖는 서브프레임{Subframe with Forming type cam guide}
본 발명은 포밍 성형 캠가이드 형상을 갖는 서브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서브프레임은 서스펜션멤버라고도 하며, 차체에 결합되는 동시에 현가장치를 이루는 각종부재가 연결된다.
이러한 서브프레임에는 자동차 바퀴의 직진성 및 주행성 향상을 확보하기 위해 토각과 캠버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어시스트암 및 로워암이 편심된 캠볼트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캠볼트는 캠가이드에 안내에 의해 회전되어 토각과 캠버각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캠 볼트(4)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캠볼트(4)가 브라켓(10)에 결합된 서브프레임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종래 별도의 캠가이드(6)가 용접된 브라켓(1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95-0031563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고 합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59869호(이하, 종래기술 2라고 합니다.)에 게재된 것이 있다.
종래기술 1에서는, 리어크로스멤버의 양선단부 전후면에 다소 경사지게 장공이 형성되고, 이 장공 주위에 캠가이드가 부착되면서, 이 캠가이드 내에 편심된 개구부를 갖춘 캠이 개재된 상태에서 제1, 제2래터럴링크의 선단에 있는 부쉬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래터럴링크의 고정위치인 캠의 개구부 위치를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리어콜센터의 높이와 트래드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종래기술 2에서는, 차체의 서브프레임에 고정된 지지브라켓트와, 상기 지지브라켓트에 조인트수단을 매개로 일단부가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차륜을 설치하는 너클을 장착하는 로어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수단은 상기 지지브라켓트의 양쪽 측벽부에 형성된 1쌍의 개구부에 각각 고정 설치된 캠가이드와, 상기 캠가이드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마름모꼴 형태의 편심캠을 양단부에 갖추고서 상기 로어아암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캠연결바아로 이루어지며, 상기 캠가이드는 일측에 중앙이 오목하면서 상하로 경사진 "V"자 형태의 슬립면과, 상기 슬립면과 대향되는 타측에 중앙이 볼록하면서 상하로 오목한 "3"자 형태의 가이드면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 1에서는 별도의 캠가이드가 리어크로스멤버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종래기술 2에서는 별도의 지지브라켓트가 서브프레임에 고정되는 것과 더불어 별도의 캠가이드가 지지브라켓트의 개구부에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서브프레임에 캠가이드를 적용함에 있어서 캠가이드 형성 부위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동시에 부품 수 및 공정이 늘어나게 되어 전체적인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 1,2와 같이 캠가이드를 별도의 부품으로 아크 용접하게 되는 경우 용접부 부식에 의한 암 이탈발생, 별물 용접 적용에 의한 투자비, 원가가 비싸지며 중량이 커지게 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용접을 위한 최소공간 확보가 필요하며, 용접불향에 의한 제품 불량률이 과다한 단점이 존재한다.
도 4a는 종래 렌싱 성형공법으로 캠 가이드부가 형성된 브라켓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4b는 도 4a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싱 성형공법을 통해 브라켓(10)과 캠가이드(7)를 일체 성형을 할 수 있으나, 성형을 위한 최소영역 확보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렌싱 성형공법을 적용하게 되는 경우, 렌싱 성형 끝단 내구 취약에 의한 크랙이 발생되며, 최소 성형 좌면 필요에 따른 공간 확보가 필요한 단점이 존재한다.
KR 10-1995-0031563 A KR 10-0559869 B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협소부에 별물의 캠가이드를 용접하지 않고, 멤버부에서 브라켓이 연결되는 부분, 브라켓, 단차부, 돌출부 및 캠가이드부를 일체 포밍 성형하게 됨으로써 캠가이드부 형성 부위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공정 및 부품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전체적인 비용절감이 가능한 포밍성형 캠가이드 형상을 갖는 서브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멤버부; 상기 멤버부 일측에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며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체결부를 포함하는 브라켓; 상기 한 쌍의 체결부 사이에 부쉬가 결합되는 암부; 상기 체결부 각각의 외면에 형성되어 캠볼트가 삽입되는 체결홀; 및 상기 체결홀의 주위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캠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캠가이드부는 상기 체결홀 주위에 상기 브라켓과 일체로 포밍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밍 성형 캠가이드 형상을 갖는 서브프레임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캠가이드부는 상기 체결홀과 특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체결홀 주위를 둘러 싸도록 형성되는 포밍성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밍성형부는 상기 체결홀과 특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체결홀 주위를 둘러 싸도록 만곡되어 형성되는 단차부와, 상기 단차부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밍성형 캠가이드 형상을 갖는 서프프레임에 따르면, 공간협소부에 별물의 캠가이드를 용접하지 않고, 멤버부에서 브라켓이 연결되는 부분, 브라켓, 단차부, 돌출부 및 캠가이드부를 일체 포밍 성형하게 됨으로써 캠가이드부 형성 부위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공정 및 부품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전체적인 비용절감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캠 볼트의 사시도,
도 2는 캠 볼트가 브라켓에 결합된 서브프레임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종래 별도의 캠가이드부가 용접된 브라켓의 사시도,
도 4a는 종래 렌싱 성형공법으로 캠 가이드부가 형성된 브라켓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A-A 단면도,
도 5는 종래 별물 캠가이드부가 용접된 브라켓의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밍성형 캠가이드부를 갖는 브라켓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B-B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크로스 멤버의 포밍성형 캠가이드부에 장착된 후륜 로워암 조립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크로스 멤버의 포밍성형 캠가이드부에 장착된 후륜 어시스트암 조립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밍 성형 캠가이드 형상을 갖는 서브프레임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5는 종래 별물 캠가이드부가 용접된 브라켓의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밍성형 캠가이드부를 갖는 브라켓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의 B-B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크로스 멤버의 포밍성형 캠가이드부에 장착된 후륜 로워암 조립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 크로스 멤버의 포밍성형 캠가이드부에 장착된 후륜 어시스트암 조립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구조 캠가이드 형상을 갖는 서브프레임은, 멤버부(1)와, 이러한 멤버부(1) 일측에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며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체결부(11)를 포함하는 브라켓(10)과, 한 쌍의 체결부(11) 사이에 부쉬(3)가 결합되는 암부(2)와, 체결부(11) 각각의 외면에 형성되어 캠볼트(4)가 삽입되는 체결홀(12)과, 이러한 체결홀(12)의 주위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캠가이드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캠가이드부(20)는 체결홀(12) 주위에 브라켓(10)과 일체로 포밍 성형되게 된다.
또한, 캠가이드부(20)는 체결홀(12)과 특정간격 이격되어 체결홀(12) 주위를 둘러 싸도록 형성되는 포밍성형부(20)로 구성되며, 이러한 포밍성형부(20)는 체결홀(12)과 특정간격 이격되어 체결홀(12) 주위를 둘러 싸도록 만곡되어 형성되는 단차부(21)와, 단차부(21)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멤버부(1)는 복수 개의 멤버가 용접 등으로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차체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멤버부(1)는 리어 크로스 멤버일 수 있다. 리어 크로스 멤버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각각 사이드프론트와 사이드리어로 구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멤버와, 일단이 어느 하나의 사이드프론트에 연결되고 타단이 다른 하나의 사이드프론트에 연결되는 프론트멤버와, 일단이 어느 하나의 사이드리어에 연결되고 타단이 다른 하나의 사이드리어에 연결되는 리어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1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멤버부(1) 일측에 결합되며 서로 마주보며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체결부(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브라켓(10)은 서로 좌우대칭되도록 멤버부(1)에 한 쌍이 형성된다.
좌측 브라켓(10)과 우측 브라켓(1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서 좌우대칭되어 있다.
브라켓(10)에는 캠볼트(4)에 의해 너트(5)가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브라켓(10)은 서로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판형상을 갖는 한 쌍의 체결부(11)를 포함한다.
한 쌍의 체결부(11)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있으며, 전후로 이격되어 있다. 체결부(11) 각각은 사이드프론트의 측면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고, 전면과 후면이 넓게 형성된 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체결부(11) 사이 공간에는 부쉬(3)가 결합되는 암부(2)가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체결부(11) 각각에는 캠볼트(4)가 삽입되어지는 체결홀(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체결홀(12)의 주위에는 캠가이드부(20)가 형성된다. 이러한 캠가이드부(20)에 의해 캠볼트(4)의 위치를 고정하여 차량의 휠 얼라이먼트를 조절하게 된다. 즉, 캠볼트(4)는 캠가이드부(20)의 안내에 의해 회전되어 토각과 캠버각이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캠가이드부(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0)과 일체로 포밍 성형되며, 체결홀(12)과 특정간격 이격되어 체결홀(12)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포밍성형부(20)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포밍성형부(20)는 브라켓(10)의 제조시 포밍성형 공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며 체결홀(12)과 특정간격 이격되어 체결홀(12) 주위를 둘러싸게 되며 체결부(11)의 평면방향에서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구성된다.
이러한 포밍성형부(20)로 구성되는 캠가이드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홀(12)과 특정간격 이격되어 체결홀(12) 주위를 둘러싸도록 만곡되어 형성되는 단차부(21)를 포함하며, 이러한 단차부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캠볼트(4)는 이러한 포밍성형부(20) 내측에 장착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밍성형 캠가이드 형상을 갖는 서프프레임에 따르면, 공간협소부에 별물의 캠가이드를 용접하지 않고, 멤버부에서 브라켓이 연결되는 부분, 브라켓, 단차부, 돌출부 및 캠가이드부를 일체 포밍 성형하게 됨으로써 캠가이드부 형성 부위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공정 및 부품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전체적인 비용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멤버부
2:암부
3:부쉬
4:캠볼트
5:너트
6:별물 캠가이드
7:렌싱 성형 캠가이드
10:브라켓
11:체결부
12:체결홀
20:캠가이드부, 포밍성형부
21:단차부
22:돌출부

Claims (3)

  1. 멤버부;
    상기 멤버부 일측에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며 특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체결부를 포함하는 브라켓;
    상기 한 쌍의 체결부 사이에 부쉬가 결합되는 암부;
    상기 체결부 각각의 외면에 형성되어 캠볼트가 삽입되는 체결홀; 및
    상기 체결홀의 주위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캠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캠가이드부는 상기 체결홀 주위에 상기 브라켓과 일체로 포밍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밍 성형 캠가이드 형상을 갖는 서브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가이드부는 상기 체결홀과 특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체결홀 주위를 둘러 싸도록 형성되는 포밍성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밍 성형 캠가이드 형상을 갖는 서브프레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밍성형부는 상기 체결홀과 특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체결홀 주위를 둘러 싸도록 만곡되어 형성되는 단차부와, 상기 단차부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밍 성형 캠가이드 형상을 갖는 서브프레임.
KR1020190161587A 2019-12-06 2019-12-06 포밍 성형 캠가이드 형상을 갖는 서브프레임 KR202100721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587A KR20210072192A (ko) 2019-12-06 2019-12-06 포밍 성형 캠가이드 형상을 갖는 서브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587A KR20210072192A (ko) 2019-12-06 2019-12-06 포밍 성형 캠가이드 형상을 갖는 서브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192A true KR20210072192A (ko) 2021-06-17

Family

ID=76603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587A KR20210072192A (ko) 2019-12-06 2019-12-06 포밍 성형 캠가이드 형상을 갖는 서브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21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157A1 (ko) * 2022-06-20 2023-12-28 광성기업 주식회사 마운팅 홀을 포함하는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1563A (ko) 1994-05-13 1995-12-18 한승준 차량의 후륜현가장치
KR100559869B1 (ko) 2003-11-03 2006-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가장치의 로어 아암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1563A (ko) 1994-05-13 1995-12-18 한승준 차량의 후륜현가장치
KR100559869B1 (ko) 2003-11-03 2006-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가장치의 로어 아암 연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157A1 (ko) * 2022-06-20 2023-12-28 광성기업 주식회사 마운팅 홀을 포함하는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80455B1 (en) Twist beam axle
US8764037B2 (en) Wheel axle suspension having clamp bodies with a protrusion for attaching an indented tubular axle to trailing arms
CN101678861B (zh) 后车身结构
US5725247A (en) End section of frame member
US20150231940A1 (en) Chassis Component Comprising a Stop for an Eccentric Disc
US10315484B2 (en) Vehicle twist axle assembly
US20150115565A1 (en) Axle fixation for a sprung vehicle axle
EP3461653B1 (en) Axle clamping arrangement
KR20210072192A (ko) 포밍 성형 캠가이드 형상을 갖는 서브프레임
KR101833907B1 (ko) 일체형 캠가이드부 적용 서브프레임
KR102200777B1 (ko) 복합 구조 캠가이드 형상을 갖는 서브프레임
KR20210072191A (ko) 플랜지 타입 구조 캠가이드 형상을 갖는 서브프레임
US20020071740A1 (en) Off-set adjusting nut
CN101023220A (zh) 桥接设备
US20130168940A1 (en) Wheel Axle Suspension
KR100764504B1 (ko) 버스용 리어 프레임 연결구조
US20070257462A1 (en) Die cast stabilizer bar ends
JPH0143283Y2 (ko)
FR3003805A1 (fr) Palier de barre anti-devers de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e bride avec un percage allonge
JP2716149B2 (ja) 自動二輪車のリヤアームの車軸支持構造
JP2005219563A (ja) 車体フレームの結合構造
KR102608462B1 (ko) 알루미늄 압출과 인서트를 적용한 하이브리드 로어암 및 그 제조방법
JP3196008B2 (ja) バンプストッパの取付構造
CN207481640U (zh) 一种车架用发动机区域加强护板
JPH09175103A (ja) 自動車のフロントアクス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