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1443A - 음원 신호 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 - Google Patents

음원 신호 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1443A
KR20210071443A KR1020190161617A KR20190161617A KR20210071443A KR 20210071443 A KR20210071443 A KR 20210071443A KR 1020190161617 A KR1020190161617 A KR 1020190161617A KR 20190161617 A KR20190161617 A KR 20190161617A KR 20210071443 A KR20210071443 A KR 20210071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music
signal
sound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1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1340B1 (ko
KR102371340B9 (ko
Inventor
박용선
이동명
김용희
홍승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라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라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라젬
Priority to KR1020190161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1340B1/ko
Priority to PCT/KR2020/017579 priority patent/WO2021112599A2/ko
Priority to US17/112,506 priority patent/US11712563B2/en
Priority to CN202011409871.0A priority patent/CN112927717B/zh
Publication of KR20210071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1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1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340B1/ko
Publication of KR10237134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1340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4Control systems specified by the stimulation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25Digital circuitry features of electrotherapy devices, e.g. memory, clocks, proces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72Voice signal separat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78Detection of presence or absence of voi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2Electromedical brushes, combs, massag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제1 음원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복수의 제1 음원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는 음원 신호 분리기와, 저주파 신호를 생성하는 저주파 신호 생성부와, 음원 신호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음원 신호에 따라 저주파 신호의 세기 및 주파수를 조절하는 뮤직 싱크부를 포함하는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원 신호 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SOUND SOURCE SIGNAL SEPARATOR AND MUSIC SYNC LOW FREQUENCY STIMULATO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원 신호 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음원 신호 중 음악 신호만 분리하여 음악에 연동되는 저주파 신호를 생성하는 음원 신호 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저주파 자극을 이용하여 인체의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는 저주파 자극기가 개발되어 있다.
저주파 자극기는 저주파를 생성하여 이를 전극 패드에 출력하고 전극 패드가 인체에 접촉되면 저주파 자극이 인체에 전달되도록 한다.
이러한 저주파 자극기는 전극 패드를 인체의 경혈 부위 또는 근육통을 느끼는 부위 등에 접촉시켜 치료의 효과를 얻는데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저주파 자극기는 정해진 패턴에 맞추어 저주파를 발생시켜 이를 인체에 전달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할 경우 오히려 지루하기까지 하여 치료의 효과를 보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체중을 감소시키고 몸매를 아름답게 할 수 있고, 신진 대사를 활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로를 풀어줄 수 있는 음원 신호 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을 청취하면서 저주파 마사지 또는 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음악에 연동되는 저주파 신호를 생성하고 이 저주파 신호로 효과적인 마사지 또는 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음원 신호 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제1 음원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와, 복수의 제1 음원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는 음원 신호 분리기와, 저주파 신호를 생성하는 저주파 신호 생성부와, 음원 신호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음원 신호에 따라 저주파 신호의 세기 및 주파수를 조절하는 뮤직 싱크부를 포함하는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음원 신호 분리기는, 복수의 음원으로부터 복수의 제1 음원 신호를 입력 받아 이를 스피커로 출력하되, 제2 음원 신호는 뮤직 싱크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원 신호 분리기는, 스피커로 출력되는 제1 음원 신호가 뮤직 싱크부로 입력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음원 신호 분리기는, 복수의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단자와, 복수의 제1 음원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단자와,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전압 추종기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전압 추종기는, 제2 음원 신호가 분리되는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제1 전압 추종기는 연산 증폭기를 포함하고,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단자에는 음원 및 뮤직 싱크부가 연결되고, 연산 증폭기의 반전 단자에는 스피커가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는, 음원 신호 분리기 및 상기 스피커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음원 신호 증폭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뮤직 싱크부는, 제2 음원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노드에 연결되는 제2 전압 추종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뮤직 싱크부는, 제2 전압 추종기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원 신호를 디지털 음원 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디지털 음원 신호에 따라 저주파 신호의 세기 및 주파수가 조절된 뮤직 싱크 저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뮤직 싱크부는, 제2 전압 추종기 및 컨버터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음원 신호 증폭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음원 신호는, 음악 신호, 부저 및 음성 안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원 신호 분리기는, 복수의 제1 음원 신호에서 음악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뮤직 싱크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원 신호 분리기는, 복수의 음원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음악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제1 음원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음원 신호를 뮤직 싱크부로 출력하는 음원 신호 분리기로서, 복수의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단자와, 복수의 제1 음원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단자와, 제2 음원 신호가 분리되는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전압 추종기를 포함하는 음원 신호 분리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음원 신호 분리기는, 복수의 음원으로부터 복수의 제1 음원 신호를 입력 받아 이를 스피커로 출력하되, 제2 음원 신호는 뮤직 싱크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뮤직 싱크부는, 제2 음원 신호에 따라 저주파 신호의 세기 및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압 추종기는 스피커로 출력되는 복수의 제1 음원 신호가 뮤직 싱크부로 입력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압 추종기는 연산 증폭기를 포함하고,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단자에는 음원 및 뮤직 싱크부가 연결되고, 연산 증폭기의 반전 단자에는 스피커가 연결된다.
또한, 복수의 제1 음원 신호는, 음악 신호, 부저 및 음성 안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음원 신호 분리기는, 복수의 제1 음원 신호에서 음악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뮤직 싱크부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주파를 인체에 작용시킴으로써 근육 및 혈관 등에 적당한 자극을 줄 수 있게 되어 해당 부위의 체지방을 분해하여 체중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몸매를 아름답게 할 수 있게 되며,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 신진 대사를 활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로를 풀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악 신호, 부저 및 음성 안내 신호를 스피커로 모두 출력하되, 음악 신호만 따로 분리하여 뮤직 싱크부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선호하는 음악을 청취하면서 저주파 마사지 또는 치료를 받을 수 있는 동시에 부저 및 음성 안내 신호가 저주파 신호에 반영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음악에 연동되는 저주파 신호를 생성하고 이 저주파 신호를 통해 효과적인 마사지 또는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신호 분리기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뮤직 싱크부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는, 스피커(110), 음원 신호 분리기(120), 저주파 신호 생성부(130), 뮤직 싱크부(140) 및 음원 신호 증폭기(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110) 및 음원 신호 증폭기(150)는 각각의 모듈로 구성되거나,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음원 신호 분리기(120) 및 뮤직 싱크부(140)도 각각의 모듈로 구성되거나,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는, 스피커(110)를 통해 음악을 송출함과 동시에 뮤직 싱크부(140)를 통해 음악에 연동되는 저주파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인 마사지 또는 치료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저주파란 낮은 주파수의 진동 또는 파동을 총칭하거나 특정한 주파수의 전파를 가리키는 것으로, 통신 공학 분야에서는 무선 통신에 사용하는 고주파에 대하여 20Hz 내지 20kHz범위의 가청(可聽)주파를 저주파라고 하며, 전파법에서는 30kHz 내지 300kHz의 전파를 저주파로 정의한다.
한편, 전력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50Hz 또는 60Hz의 저주파를 상용(商用) 주파수라 하기도 하며, 이러한 저주파는 발전기, 진공관, 트랜지스터 등을 이용하여 쉽게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저주파 중에서 1Hz 내지 5000Hz 정도의 저주파를 인체에 작용시키게 되면 근육 및 혈관 등에 적당한 자극을 줄 수 있게 되므로 해당 부위의 체지방을 분해하여 체중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몸매를 아름답게 할 수 있게 되며,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 신진 대사를 활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로를 풀어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스피커(110)는 복수의 제1 음원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거나 이들 신호 모두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1 음원 신호는 음악 신호, 부저(Buzzer) 및 음성 안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신호는 다양한 음악 장르(예컨대, 클래식, 발라드 및 재즈 등)를 포함하는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음악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빅데이터 기반으로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자동으로 음악이 자동으로 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부저 및 음성 안내 신호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의 동작 과정을 알리는 신호 및 동작 과정에 대한 안내 및 설명을 포함하는 신호일 수 있다.
한편, 스피커(110)에서 복수의 제1 음원 신호가 모두 함께 출력하는 경우에는 별 문제 없지만, 뮤직 싱크부(140)로 복수의 제1 음원 신호가 모두 입력되는 경우에는, 음악 신호뿐만 아니라 부저 및 음성 안내 신호도 저주파 신호에 반영되기 때문에, 음악에 연동되는 저주파 신호를 출력함에 있어 노이즈가 발생된다. 즉, 음악에 연동되는 저주파 신호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저주파 신호도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에 따라, 효과적인 마사지 또는 치료를 수행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음원 신호 분리기(120)는 복수의 제1 음원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한다. 즉, 음원 신호 분리기(120)는 복수의 음원(10)으로부터 복수의 제1 음원 신호를 입력 받아 이를 스피커(110)로 출력하되, 복수의 제1 음원 신호에서 분리한 제2 음원 신호는 뮤직 싱크부(140)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음원 신호 분리기(120)는 음악 신호, 부저 및 음성 안내 신호를 스피커(110)로 모두 출력하되, 음악 신호만 따로 분리하여 뮤직 싱크부(140)로 출력함으로써, 부저 및 음성 안내 신호가 저주파 신호에 반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음악에 연동되는 저주파 신호를 생성하여, 효과적인 마사지 또는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음원 신호 분리기(120)는 스피커(110)로 출력되는 복수의 제1 음원 신호가 다시 뮤직 싱크부(140)로 입력되는 것을 차단한다.
음원(10)은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메모리,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 외부에 구비되는 외부 메모리 또는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에 착탈 가능한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1 음원 신호 중 음악 신호는 내부 메모리 및 USB 메모리(예컨대, MP3)에서 유선으로 출력되거나, 외부 메모리에서 무선(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BT)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원 신호 분리기(120)는 복수의 음원(10)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음악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복수의 제1 음원 신호 중 부저 및 음성 안내 신호는 설정자에 의해 내부 메모리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신호 분리기의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원 신호 분리기(120)는, 복수의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단자(121)와, 복수의 제1 음원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단자(122)와, 입력 단자(121) 및 출력 단자(122)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전압 추종기(Voltage follower)(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단자(121)에는 음악 신호(예컨대, MP3, 블루투스(BT)), 부저 및 음성 안내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제1 전압 추종기(123)는 복수의 입출력 단자(121, 122) 중 제2 음원 신호가 분리되는 입력 단자(121) 및 출력 단자(122) 사이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전압 추종기(123)는, 연산 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 OP-Amp)(123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산 증폭기(123a)의 비반전 단자(+)에는 음원(10) 및 뮤직 싱크부(140)가 연결되고, 연산 증폭기(123a)의 반전 단자(-)에는 스피커(110)가 연결된다.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123a)는 입력 저항이 무한대(∞)이고, 출력 저항이 0인 특성을 갖는다.
여기서, 가상 단락 원리에 의해 비반전 단자(+)의 전압 신호는 그대로 연산 증폭기(123a)의 출력 단자에 전달된다. 그러나, 출력 단자에서 비반전 단자(+)로 전압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제1 전압 추종기(123)는 음악 신호가 입출력되는 입력 단자(121) 및 출력 단자(122) 사이에는 연결되지만, 부저 및 음성 안내 신호가 입출력되는 입력 단자(121) 및 출력 단자(122)에는 연결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스피커(110)로는 음악 신호, 부저 및 음성 안내 신호가 모두 출력되지만, 뮤직 싱크부(140)로는 음악 신호만 출력되게 된다. 또한, 제1 전압 추종기(123)의 출력단(122)으로 출력되는 부저 및 음성 안내 신호는 뮤직 싱크부(140)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한편, 음원 신호 분리기(120)의 일 예를 전압 추종기(123)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제1 음원 신호 중 음악 신호만 분리하여 출력할 수 있고, 부저 및 음성 안내 신호의 유입은 차단할 수 있는 회로 구성이면 족하다.
제1 음원 신호 증폭기(150)는 음원 신호 분리기(120) 및 스피커(110) 사이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음원 신호 분리기(120)를 통과한 제1 음원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110)에 전달할 수 있고, 스피커(110)는 사용자에게 음악을 송출함으로써, 사용자는 선호하는 음악을 청취하면서 저주파 마사지 또는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음원 신호 분리기(120)는 복수의 제1 음원 신호에서 음악 신호를 분리하여 뮤직 싱크부(140)로 출력하고, 저주파 신호 생성부(130)는 저주파 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뮤직 싱크부(140)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뮤직 싱크부(140)는 음원 신호 분리기(120)에 의해 분리된 음악 신호에 따라 저주파 신호의 세기 및 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음악에 연동된 저주파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뮤직 싱크부(140)에 출력되는 저주파 신호는 전극 패드(20)로 출력되고, 사용자는 이 전극 패드(20)를 인체의 경혈 부위 또는 근육통을 느끼는 부위 등에 접촉시킴으로써 저주파 자극에 따른 마사지 또는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는, 음악 신호, 부저 및 음성 안내 신호를 스피커(110)로 모두 출력하되, 음악 신호만 따로 분리하여 뮤직 싱크부(140)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선호하는 음악을 청취하면서 저주파 마사지 또는 치료를 받을 수 있는 동시에 부저 및 음성 안내 신호가 저주파 신호에 반영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음악에 연동되는 저주파 신호를 생성하고 이 저주파 신호를 통해 효과적인 마사지 또는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뮤직 싱크부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뮤직 싱크부(140)는 제2 전압 추종기(141), 제2 음원 신호 증폭기(142), 컨버터(143) 및 제어부(1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전압 추종기(141)는 제2 음원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노드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2 전압 추종기(141)는, 연산 증폭기(141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산 증폭기(141a)의 비반전 단자(+)로는 제2 음원 신호가 입력되고, 연산 증폭기(141a)의 반전 단자(-)는 연산 증폭기(141a)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다.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141a)는 입력 저항이 무한대(∞)이고, 출력 저항이 0인 특성을 갖는다.
여기서, 가상 단락 원리에 의해 비반전 단자(+)의 전압 신호 즉, 아날로그 음원 신호는 그대로 연산 증폭기(141a)의 출력 단자에 전달된다. 그러나, 출력 단자에서 비반전 단자(+)로는 전압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2 전압 추종기(141)는, 뮤직 싱크부(140)의 부하 효과를 방지하여 아날로그 음원 신호를 정확히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뮤직 싱크부(140)에서 발생되는 외부 노이즈 및 왜란이 스피커(11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컨버터(143)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로서 제2 전압 추종기(14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원 신호를 디지털 음원 신호로 변환한다.
제어부(144)는 컨버터(143)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음원 신호에 따라 저주파 신호의 세기 및 주파수가 조절된 뮤직 싱크 저주파 신호를 전극 패드(20)로 출력한다.
제2 음원 신호 증폭기(142)는 제2 전압 추종기(141) 및 컨버터(143) 사이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2 음원 신호 분리기(142)를 통과한 아날로그 음원 신호는 증폭되어 컨버터(143)에 전달될 수 있고, 컨버터(143)는 이 아날로그 음원 신호를 정확한 디지털 음원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신호 분리기(120)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신호 분리기(120)는 복수의 제1 음원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음원 신호를 뮤직 싱크부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단자(121)와, 복수의 제1 음원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단자(122)와, 제2 음원 신호가 분리되는 입력 단자(121) 및 출력 단자(122)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전압 추종기(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1 음원 신호는 음악 신호, 부저 및 음성 안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음원 신호 분리기(120)는 복수의 음원으로부터 복수의 제1 음원 신호를 입력 받아 이를 스피커(110)로 출력하되, 분리한 제2 음원 신호는 뮤직 싱크부(140)로 출력한다.
여기서, 뮤직 싱크부(140)는, 분리된 제2 음원 신호에 따라 저주파 신호의 세기 및 주파수를 조절한다.
제1 전압 추종기(123)는 스피커(110)로 출력되는 제1 음원 신호가 뮤직 싱크부(140)로 다시 입력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압 추종기(123)는 연산 증폭기(123a)를 포함하고, 연산 증폭기(123a)의 비반전 단자(+)에는 음원(10) 및 뮤직 싱크부(140)가 연결되고, 연산 증폭기(123a)의 반전 단자(-)에는 스피커(110)가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 및 연결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음원 신호 분리기(120)는 복수의 제1 음원 신호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음악 신호를 분리하여 뮤직 싱크부(140)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신호 분리기(120)는, 음악 신호, 부저 및 음성 안내 신호를 스피커(110)로 모두 출력하되, 음악 신호만 따로 분리하여 뮤직 싱크부(140)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선호하는 음악을 청취하면서 저주파 마사지 또는 치료를 받을 수 있는 동시에 부저 및 음성 안내 신호가 저주파 신호에 반영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음악에 연동되는 저주파 신호를 생성하고 이 저주파 신호를 통해 효과적인 마사지 또는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스피커
120: 음원 신호 분리기
130: 저주파 신호 생성부
140: 뮤직 싱크부
150, 141: 제1 및 제2 음원 신호 증폭기
123, 141: 제1 및 제2 전압 추종기

Claims (20)

  1. 복수의 제1 음원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복수의 제1 음원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는 음원 신호 분리기;
    저주파 신호를 생성하는 저주파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음원 신호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음원 신호에 따라 상기 저주파 신호의 세기 및 주파수를 조절하는 뮤직 싱크부
    를 포함하는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신호 분리기는
    복수의 음원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1 음원 신호를 입력 받아 이를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되, 상기 제2 음원 신호는 상기 뮤직 싱크부로 출력하는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신호 분리기는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는 상기 제1 음원 신호가 상기 뮤직 싱크부로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신호 분리기는
    상기 복수의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단자;
    상기 복수의 제1 음원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단자; 및
    상기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전압 추종기
    를 포함하는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 추종기는
    상기 제2 음원 신호가 분리되는 상기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 추종기는 연산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단자에는 상기 음원 및 상기 뮤직 싱크부가 연결되고, 상기 연산 증폭기의 반전 단자에는 상기 스피커가 연결되는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신호 분리기 및 상기 스피커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음원 신호 증폭기
    를 더 포함하는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뮤직 싱크부는
    상기 제2 음원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노드에 연결되는 제2 전압 추종기
    를 포함하는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뮤직 싱크부는
    상기 제2 전압 추종기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원 신호를 디지털 음원 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터; 및
    상기 디지털 음원 신호에 따라 상기 저주파 신호의 세기 및 주파수가 조절된 뮤직 싱크 저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뮤직 싱크부는
    상기 제2 전압 추종기 및 상기 컨버터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음원 신호 증폭기
    를 더 포함하는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음원 신호는
    음악 신호, 부저 및 음성 안내 신호를 포함하는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신호 분리기는
    상기 복수의 제1 음원 신호에서 상기 음악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뮤직 싱크부로 출력하는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신호 분리기는
    복수의 음원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음악 신호를 입력 받는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
  14. 복수의 제1 음원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며, 분리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음원 신호를 뮤직 싱크부로 출력하는 음원 신호 분리기로서,
    상기 복수의 제1 음원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단자;
    상기 복수의 제1 음원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단자; 및
    상기 제2 음원 신호가 분리되는 상기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전압 추종기
    를 포함하는 음원 신호 분리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신호 분리기는
    복수의 음원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1 음원 신호를 입력 받아 이를 스피커로 출력하되, 상기 제2 음원 신호는 상기 뮤직 싱크부로 출력하는
    음원 신호 분리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뮤직 싱크부는
    상기 제2 음원 신호에 따라 상기 저주파 신호의 세기 및 주파수를 조절하는
    음원 신호 분리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 추종기는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는 상기 복수의 제1 음원 신호가 상기 뮤직 싱크부로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음원 신호 분리기.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 추종기는 연산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단자에는 상기 음원 및 상기 뮤직 싱크부가 연결되고, 상기 연산 증폭기의 반전 단자에는 상기 스피커가 연결되는
    음원 신호 분리기.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음원 신호는
    음악 신호, 부저 및 음성 안내 신호를 포함하는
    음원 신호 분리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신호 분리기는
    상기 복수의 제1 음원 신호에서 상기 음악 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뮤직 싱크부로 출력하는
    음원 신호 분리기.
KR1020190161617A 2019-12-06 2019-12-06 음원 신호 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 KR102371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617A KR102371340B1 (ko) 2019-12-06 2019-12-06 음원 신호 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
PCT/KR2020/017579 WO2021112599A2 (ko) 2019-12-06 2020-12-03 음원 신호 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
US17/112,506 US11712563B2 (en) 2019-12-06 2020-12-04 Sound source signal separator and music sync low frequency stimulator comprising the same
CN202011409871.0A CN112927717B (zh) 2019-12-06 2020-12-04 声源信号分离器及包括其的音乐同步低频刺激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617A KR102371340B1 (ko) 2019-12-06 2019-12-06 음원 신호 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443A true KR20210071443A (ko) 2021-06-16
KR102371340B1 KR102371340B1 (ko) 2022-03-07
KR102371340B9 KR102371340B9 (ko) 2023-05-11

Family

ID=76162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617A KR102371340B1 (ko) 2019-12-06 2019-12-06 음원 신호 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12563B2 (ko)
KR (1) KR102371340B1 (ko)
WO (1) WO202111259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7420A1 (ko) * 2022-03-04 2023-09-07 주식회사 세라젬 음원을 이용하여 저주파 자극을 생성할 수 있는 저주파 자극 생성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2858A (ko) 2003-10-02 2005-04-08 조희윤 저주파 자극기와 저주파 자극 방법
KR20060125442A (ko) * 2005-06-02 2006-12-06 주식회사 뷰닉스 음악과 동기화된 저주파 자극장치
KR20120066388A (ko) * 2010-12-14 2012-06-22 이상석 휴대용 음향기기를 이용한 혈도 자극 장치
KR101256565B1 (ko) * 2012-01-10 2013-04-19 정중환 음원을 이용한 등받이 진동장치
KR20190004483A (ko) * 2017-07-04 2019-01-14 (주)브이비알 오디오신호 분리제어방법 및 그것이 적용된 진동의자용 진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57897C2 (de) * 2000-11-22 2002-12-05 Texas Instruments Deutschland Schaltungsanordnung zur Verbreiterung der Stereobasis bei der Wiedergabe stereophoner Tonsignale
KR20040009619A (ko) * 2002-07-24 2004-01-31 노용숙 오디오신호를 이용한 마사지 장치
KR100846179B1 (ko) * 2006-06-21 2008-07-14 이상규 음악 파일에 연동된 저주파 치료기
KR101135663B1 (ko) 2010-07-01 2012-04-19 (주)밴엔지니어링 흡음 천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5957810B2 (ja) * 2011-06-06 2016-07-27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
JP2014155518A (ja) 2013-02-14 2014-08-28 Ya Man Ltd 低周波刺激装置
US9317120B2 (en) * 2013-09-06 2016-04-19 Immersion Corporation Multiplexing and demultiplexing haptic signals
US9881467B2 (en) * 2016-02-22 2018-01-30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effects conflict avoidance
US10620704B2 (en) * 2018-01-19 2020-04-14 Cirrus Logic, Inc. Haptic output systems
US10832537B2 (en) * 2018-04-04 2020-11-10 Cirrus Logic,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a haptic signal to a haptic transducer
US11269415B2 (en) * 2018-08-14 2022-03-08 Cirrus Logic, Inc. Haptic output system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2858A (ko) 2003-10-02 2005-04-08 조희윤 저주파 자극기와 저주파 자극 방법
KR20060125442A (ko) * 2005-06-02 2006-12-06 주식회사 뷰닉스 음악과 동기화된 저주파 자극장치
KR20120066388A (ko) * 2010-12-14 2012-06-22 이상석 휴대용 음향기기를 이용한 혈도 자극 장치
KR101256565B1 (ko) * 2012-01-10 2013-04-19 정중환 음원을 이용한 등받이 진동장치
KR20190004483A (ko) * 2017-07-04 2019-01-14 (주)브이비알 오디오신호 분리제어방법 및 그것이 적용된 진동의자용 진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67420A1 (ko) * 2022-03-04 2023-09-07 주식회사 세라젬 음원을 이용하여 저주파 자극을 생성할 수 있는 저주파 자극 생성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12599A2 (ko) 2021-06-10
KR102371340B1 (ko) 2022-03-07
WO2021112599A3 (ko) 2021-07-22
US11712563B2 (en) 2023-08-01
CN112927717A (zh) 2021-06-08
US20210170171A1 (en) 2021-06-10
KR102371340B9 (ko)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33229A1 (en) Music-synchronized low frequency stimulator
CN109364370B (zh) 一种声电互相调控、跟随耦合刺激的方法及装置
KR102371340B1 (ko) 음원 신호 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
EP0204525B1 (en) Low-frequency therapeutic device
US11691000B2 (en) Bone conduction apparatus having tens therapy function
US20190313184A1 (en) Headphone with transdermal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KR101441820B1 (ko) 주파수 추종 반응을 이용한 감성조절 장치
WO2018068402A1 (zh) 一种可穿戴式脑波引导助眠催眠装置
CN112927717B (zh) 声源信号分离器及包括其的音乐同步低频刺激器
KR101648195B1 (ko) 오디오형 tens 치료 장치 및 방법
US8308666B2 (en) Neuromuscular therapeutic device
KR100416966B1 (ko) 뇌파학습기
KR101236365B1 (ko) 휴대용 음향기기를 이용한 혈도 자극 장치를 갖는 복부 진동벨트
KR20210084636A (ko) 음장감을 개선한 바이노럴 비트의 음향 출력 장치 및 그 방법
CN113117214A (zh) 一种可穿戴式抑郁症治疗仪
KR101187468B1 (ko) 가청주파수내의 고주파수 음원으로 제작한 뇌파유도장치 및 신호발생방법
KR20040009619A (ko) 오디오신호를 이용한 마사지 장치
KR100578397B1 (ko) 음악의 전기적신호를 이용한 미용치료기
US20240029694A1 (en) Method for layering and mixing monaural beats to help sleep
RU2786615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лучшения самочувствия живых существ
WO2021245882A1 (ja) ワイヤレスイヤホン
JPH0724069A (ja) α波増強誘導装置
RU99706U1 (ru) Прибор для снятия усталости
KR20060107363A (ko) 뇌파유도디바이스
KR200301267Y1 (ko) 음악의 전기적신호를 이용한 미용치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