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4483A - 오디오신호 분리제어방법 및 그것이 적용된 진동의자용 진동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신호 분리제어방법 및 그것이 적용된 진동의자용 진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4483A
KR20190004483A KR1020170084756A KR20170084756A KR20190004483A KR 20190004483 A KR20190004483 A KR 20190004483A KR 1020170084756 A KR1020170084756 A KR 1020170084756A KR 20170084756 A KR20170084756 A KR 20170084756A KR 20190004483 A KR20190004483 A KR 20190004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audio signal
signal
user
magnit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상윤
Original Assignee
(주)브이비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이비알 filed Critical (주)브이비알
Priority to KR1020170084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4483A/ko
Publication of KR20190004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4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2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 G10L19/022Blocking, i.e. grouping of samples in time; Choice of analysis windows; Overlap factoring
    • G10L19/025Detection of transients or attacks for time/frequency resolution switch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72Voice signal sepa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신호 분리제어방법 및 그것이 적용된 진동의자용 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오디오신호 기반의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장치에 있어서, 음원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저주파 대역의 신호를 상기 오디오신호에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저주파 대역의 신호에 기초하여 진동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저주파 진동 제어부; 상기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상기 오디오신호를 소리 형태로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출력부; 및 상기 진동의자에 탑재되거나 일측에 부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오디오신호의 크기와는 독립적 특성의 크기를 갖는 진동을 출력하는 저주파 진동부를 포함한다. 이로 인하여, 개별 사용자의 진동감지 능력이나 사용자 성향에 맞는 사용자 특성별 진동을 출력할 수 있고, 오디오신호의 크기와는 독립된 크기의 진동을 공급함으로써 사용자가 진동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Description

오디오신호 분리제어방법 및 그것이 적용된 진동의자용 진동장치{AUDIO SIGNAL SEPARATION CONTROLLING METHOD AND VIBRATION DEVICE OF CHAIR APPLYING THE SAME}
본 발명은 오디오신호 분리제어방법 및 그것이 적용된 진동의자용 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게임산업의 발전과 함께 게임의 즐거움을 더하기 위하여 게임프로그램에 연동되도록 움직이는 의자가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65839호(2016. 06. 09. 공개일)(이하, 선행기술이라 함)는 착좌 위치로 사용되도록 의도된 체감 음향 장치가 제공되며, 이때, 상기 체감 음향 장치의 인클로져(enclosure)는, 직물 인클로져, 고분자 인클로져 또는 플라스틱 인클로져이다. 다른 실시예들은 상기 음향장치 또는 인클로져를, 의자에 고정시키기 위한 끈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음향 장치 또는 인클로져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의자들을 통합하기 위한 클래스프들(clasps)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조 기간 동안, 또는 상기 음향 장치의 판매 후에, 시트(예를 들어, 컴퓨터 의자 또는 자동차 좌석) 내부에 내장될 수 있는, 자체-내장형(self-contained) 체감 음향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따르면 오디오신호의 크기와 연동하여 진동팩에 구비된 진동자가 제공되고 있으나, 사용자의 진동 감도를 고려하거나, 오디오신호의 크기와 다르게 사용자가 희망하는 진동의 크기를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6583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신호로부터 개별 사용자의 진동감지 능력이나 사용자 성향에 맞는 사용자 특성별 진동을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분리제어방법 및 그것이 적용된 진동의자용 진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디오신호와는 독립된 세기의 진동을 공급함으로써 사용자가 진동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정도의 사용자 특성별 진동을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분리제어방법 및 그것이 적용된 진동의자용 진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오디오신호 기반의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장치에 있어서, 음원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저주파 대역의 신호를 상기 오디오신호에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저주파 대역의 신호에 기초하여 진동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저주파 진동 제어부; 상기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상기 오디오신호를 소리 형태로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출력부; 및 상기 진동의자에 탑재되거나 일측에 부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오디오신호의 크기와는 독립적 특성의 크기를 갖는 진동을 출력하는 저주파 진동부;를 포함하는 진동의자용 진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자신의 진동 감지 능력이나 희망 진동크기에 따라 상기 저주파 진동부의 진동출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진동크기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원으로부터 상기 오디오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원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저주파 대역의 신호를 상기 오디오신호에서 분리하는 저주파신호 분리단계; 상기 분리된 저주파 대역의 신호에 기초하여 진동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진동신호 생성단계; 및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오디오신호의 크기와는 독립적 특성의 크기를 갖는 진동을 진동자를 통하여 출력하는 진동공급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신호 분리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진동공급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자신의 진동 감지 능력이나 희망 진동크기에 따라 상기 저주파 대역의 진동출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오디오신호 분리제어방법 및 그것이 적용된 진동의자용 진동장치는 개별 사용자의 진동감지 능력이나 사용자 성향에 맞는 사용자 특성별 진동을 출력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오디오신호 분리제어방법 및 그것이 적용된 진동의자용 진동장치는 오디오신호의 크기와는 독립된 크기의 진동을 공급함으로써 사용자가 진동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정도의 진동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신호 분리제어방법이 적용된 진동의자용 진동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시예들에 따른 오디오신호 분리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신호 분리제어방법이 적용된 진동의자용 진동장치가 적용된 진동의자의 시스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신호 분리제어방법이 적용된 진동의자용 진동장치가 탑재된 진동의자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단수로 기재된 용어도 복수의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신호 분리제어방법이 적용된 진동의자용 진동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시예들에 따른 오디오신호 분리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신호 분리제어방법이 적용된 진동의자용 진동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오디오신호 기반의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장치에 있어서, 음원(1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저주파 대역의 신호를 상기 오디오신호에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저주파 대역의 신호에 기초하여 진동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저주파 진동 제어부(120); 상기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상기 오디오신호를 소리 형태로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출력부(111); 및 상기 진동의자에 탑재되거나 일측에 부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오디오신호의 크기와는 독립적 특성의 크기를 갖는 진동을 출력하는 저주파 진동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의자용 진동장치(100)는 적어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자신의 진동 감지 능력이나 희망 진동크기에 따라 상기 저주파 진동부의 진동출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진동크기 조절부(130) 또는 음원(10)으로부터 상기 오디오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통신부(11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시예들에 따른 오디오신호 분리제어방법은 음원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S110) 저주파 대역의 신호를 상기 오디오신호에서 분리하는 저주파신호 분리단계(S120); 상기 분리된 저주파 대역의 신호에 기초하여 진동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진동신호 생성단계(S130);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오디오신호의 크기와는 독립적 특성의 크기를 갖는 진동을 상기 진동의자를 통하여 출력하는 진동공급 단계(S140)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공급 단계(S140)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자신의 진동 감지 능력이나 희망 진동크기에 따라 상기 저주파 진동부의 진동출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이로써 개별 사용자의 진동감지 능력이나 사용자 성향에 맞는 사용자 특성별 진동을 출력할 수 있고, 오디오신호의 크기와는 독립된 크기의 진동을 공급함으로써 사용자가 진동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신호 분리제어방법이 적용된 진동의자용 진동장치가 적용된 진동의자의 시스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신호 분리제어방법이 적용된 진동의자용 진동장치가 탑재된 진동의자의 측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디오신호 분리제어방법이 적용된 진동의자용 진동장치가 적용되는 진동의자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진동의자 시스템은 음원(10)으로써 일반적으로 PC(personal computer)를 사용하며, PC(10)는 영상신호를 영상출력장치(40)로 보내고 오디오신호를 신호 송수신기(50)를 사용하여 유무선으로 오디오신호를 오디오신호 출력장치(60)와 진동의자용 진동장치(100)가 탑재된 진동의자(30)로 전송한다.
신호 송수신기(50)는 유선으로 오디오신호 출력장치인 스피커(60)를 통하여 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는 스피커(60)에 연결된 해드셋(70)를 통하여 오디오신호를 들을 수 있다.
신호 송수신기(50)는 무선으로 진동장치(100)로 오디오신호를 전송하면, 진동장치(100)는 수신한 오디오신호에서 저주파 신호를 분리한다. 즉, 저주파 신호 즉, 저주파 진동 제어부(120)는 가청주파수 대역의 신호인 오디오신호에서 20Hz ~ 250Hz 사이의 저주파 대역 신호를 분리한다.
종래기술과 달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분리된 저주파 대역신호를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진동크기 조절부(130)를 이용하여 오디오신호의 크기와 연동하지 않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독립적인 크기로 충분한 진동이 발생할 수 있도록 저주파 대역신호를 신호를 증폭한다.
사용자가 진동크기 조절부(130)로 통하여 입력한 값에 따라 조절된 진동 발생신호를 진동의자(30)에 탑재된 저주파 진동부(140)로 공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착석한 진동의자(140)의 등받이 부분에서는 진동을 느끼지만, 스피커 또는 헤드셋 등의 사운드 출력장치(20)를 통해서는 음악신호를 듣는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저주파 진동부(140)가 진동의자(30)의 등받이 부분에 탑재되어 있으나, 그 위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엉등이 부분, 머리 받침 부분 등의 다양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저주파 진동부(140)는 스피커의 원리를 이용하여 오디오신호에서 20Hz ~ 250Hz 사이의 저주파 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110 : 무선통신부 111 : 오디오신호 출력부
120 : 저주파 진동 제어부 130 : 진동 크기 조절부
140 : 저주파 진동부

Claims (5)

  1. 사용자에게 오디오신호 기반의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장치에 있어서,
    음원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저주파 대역의 신호를 상기 오디오신호에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저주파 대역의 신호에 기초하여 진동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저주파 진동 제어부;
    상기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상기 오디오신호를 소리 형태로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출력부; 및
    상기 진동의자에 탑재되거나 일측에 부착되고, 상기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오디오신호의 크기와는 독립적 특성의 크기를 갖는 진동을 출력하는 저주파 진동부;를 포함하는 진동의자용 진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자신의 진동 감지 능력이나 희망 진동크기에 따라 상기 저주파 진동부의 진동출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진동크기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의자용 진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으로부터 상기 오디오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의자용 진동장치.
  4. 음원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저주파 대역의 신호를 상기 오디오신호에서 분리하는 저주파신호 분리단계;
    상기 분리된 저주파 대역의 신호에 기초하여 진동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진동신호 생성단계; 및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오디오신호의 크기와는 독립적 특성의 크기를 갖는 진동을 진동자를 통하여 출력하는 진동공급단계;를 포함하는 음성진동신호 분리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공급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자신의 진동 감지 능력이나 희망 진동크기에 따라 상기 저주파 대역의 진동출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진동신호 분리제어방법.
KR1020170084756A 2017-07-04 2017-07-04 오디오신호 분리제어방법 및 그것이 적용된 진동의자용 진동장치 KR201900044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756A KR20190004483A (ko) 2017-07-04 2017-07-04 오디오신호 분리제어방법 및 그것이 적용된 진동의자용 진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756A KR20190004483A (ko) 2017-07-04 2017-07-04 오디오신호 분리제어방법 및 그것이 적용된 진동의자용 진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483A true KR20190004483A (ko) 2019-01-14

Family

ID=65027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756A KR20190004483A (ko) 2017-07-04 2017-07-04 오디오신호 분리제어방법 및 그것이 적용된 진동의자용 진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44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443A (ko) * 2019-12-06 2021-06-16 주식회사 세라젬 음원 신호 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443A (ko) * 2019-12-06 2021-06-16 주식회사 세라젬 음원 신호 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
WO2021112599A3 (ko) * 2019-12-06 2021-07-22 주식회사 세라젬 음원 신호 분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뮤직 싱크 저주파 자극기
US11712563B2 (en) 2019-12-06 2023-08-01 Ceragem Co., Ltd. Sound source signal separator and music sync low frequency stimulator compri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3139B2 (en) Tactile transducer with digital signal processing for improved fidelity
KR102138104B1 (ko) 능동 피드백 시스템을 갖는 촉각 사운드 장치
JP2022009793A (ja) 音響再生装置
US813980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ptic sound
US9105261B2 (en) Sound outputting device
US20080112581A1 (en) Vibrating earphone with enhanced base sound effect
MX2010006067A (es) Sillon y sistema para transmitir sonido y vibracion.
US20180124513A1 (en) Enhanced-bass open-headphone system
CN104871563A (zh) 适配双侧听力假体系统
CN110199347A (zh) 声音和振动的主动控制
JP2554224B2 (ja) リラクゼイションシステム
JP2022125275A (ja) 振動装置、振動装置の駆動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90004483A (ko) 오디오신호 분리제어방법 및 그것이 적용된 진동의자용 진동장치
CN112888409A (zh) 带有噪声衰减和生成的耳眼罩
WO2019155650A1 (ja) スピーカ装置、及び制御方法
KR20150143908A (ko) 진동판과 스피커가 구비된 입체의자 및 상기 입체의자가 복수로 구동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JP6865126B2 (ja) 音声発生装置
KR20190004488A (ko) 진동의자를 구비한 컴퓨터게임시스템
JPH05285182A (ja) 音響振動装置付き椅子
JP2003102086A (ja) オーディオ再生椅子
KR102357809B1 (ko) 진동자 스피커 메커니즘을 이용한 진동 체감형 의자 시스템
BE1024020B1 (nl) Hoofdtelefoon en het gebruik ervan
KR102113928B1 (ko) 골전도 스피커의 진동을 이용하여 소리를 전달하는 소리전달 기기 및 골전도 스피커를 내장한 이어셋
JPWO2006085401A1 (ja) 音響体感装置
KR20200074059A (ko) 골전도 스피커의 진동을 이용하여 소리를 전달하는 소리전달 기기 및 골전도 스피커를 내장한 이어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