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468B1 - 가청주파수내의 고주파수 음원으로 제작한 뇌파유도장치 및 신호발생방법 - Google Patents

가청주파수내의 고주파수 음원으로 제작한 뇌파유도장치 및 신호발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468B1
KR101187468B1 KR1020090006963A KR20090006963A KR101187468B1 KR 101187468 B1 KR101187468 B1 KR 101187468B1 KR 1020090006963 A KR1020090006963 A KR 1020090006963A KR 20090006963 A KR20090006963 A KR 20090006963A KR 101187468 B1 KR101187468 B1 KR 101187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beat
binaural
pulse
binaural b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6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7902A (ko
Inventor
김주철
Original Assignee
김주철
김정주
주홍철
신의자
주홍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75425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8746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철, 김정주, 주홍철, 신의자, 주홍찬 filed Critical 김주철
Priority to KR1020090006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468B1/ko
Publication of KR20100087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06B3/2605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with frames permanently mounted behind or within each other, each provided with a pane or screen
    • E06B2003/262Frames made of plastic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청주파수내의 고주파수 음원으로 제작한 뇌파유도장치 및 신호발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제어하는 키입력부(18)와, 외부 음원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입력부(12)와, 가청주파수 내의 고주파수 음원으로 생성되어 뇌파를 유도하는 바이노널 비트 또는 펄스 비트 내부음원발생부(15)와, 상기 외부 음원과 바이노널 비트 또는 펄스 비트 내부음원을 믹스시켜 출력하는 믹스부(25)와, 상기 외부 음원이 입력되면 바이노널 비트 또는 펄스 비트 내부음원발생부(15)에서 바이노널 비트 또는 펄스 비트 내부음원을 발생시켜 믹스부(25)에서 믹스시키도록 출력하게 하는 제어부(20)로 구성된다.
뇌파,바이노널,가청주파수

Description

가청주파수내의 고주파수 음원으로 제작한 뇌파유도장치 및 신호발생방법{BRAIN WAVES INDUCING APPARATUS USING HIGH FREQUENCY INSIDE OF AUDIO FREQUENCY RANGE AND THE SIGNAL PRODUCING METHOD}
본 발명은 가청주파수 내의 고주파수로 생성된 뇌파 유도 비트 음원을 오디오 신호와 믹스하여 출력하기 위한 가청주파수내의 고주파수 음원으로 제작한 뇌파유도장치 및 신호발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일반적으로 15~30Hz 사이의 뇌파를 베타파라고 하고 일상생활 상태에서 주로 나타난다. 8~14Hz 사이의 뇌파는 알파파라고 하며 명상이나 휴식 상태에서 주로 많이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사람에게 이로운 뇌파로 알려져 있다. 4~7Hz 사이의 뇌파는 세타파라고 하며 초학습 상태, 약간 졸린 상태, 높은 창의력 상태 등에서 주로 관찰된다. 그리고, 3Hz 이하의 뇌파는 델타파라고 하며 대부분 깊은 수면 상태에서 발생한다.
뇌파조절 기술은 이러한 연구 관찰을 바탕으로 뇌파가 원하는 주파수에 동조되도록 하는 기술이다.
현대정신의학, 신동균, 서광윤, 이병윤 공저, 1993년을 특히 참고바란다.
시장에 나와 있는 기존 제품들은 청각적으로 인식이 잘 되는 중저역대 주파수 음원으로 제작된 것들로 알파파, 베타파, 델타파 등등 뇌파를 유도 하긴 하지만 "뚜뚜뚜“ 하는 비트 음이 발생되므로 이를 싫어하는 사람들이 많고, 동영상 강의 학습 프로그램을 많이 선호하는 요즘 동영상 강의 학습과 뇌파 유도를 동시에 진행시킬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삭제
본 발명은 학습능력 증대를 위한 뇌파 유도장치로서 기존 시장에 있는 중저역대 주파수를 사용하여 바이노럴 비트를 생성 유도 시키는것이 아니라 가청 주파수내의 고 주파수 음을 사용하여 "뚜뚜뚜"하는 비트음을 싫어하는 사람도 편하게 사용할수 있으며, 외부 동영상 혹은 음성 강의를 기기 입력부에 연결하여 내부 바이노럴 비트와 믹스하여 강의의 원음을 전혀 해하지 않은 채로 알파파를 유도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청주파수내의 고주파수 음원으로 제작한 신호발생방법으로서,
외부 음원이 오디오신호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단계와,
바이노널 비트 또는 펄스 비트 내부음원발생부에서 가청주파수 내의 고주파수 음원으로 생성되어 뇌파를 유도하는 바이노널 비트 또는 펄스 비트를 내부음원으로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외부 음원과 바이노널 비트 또는 펄스 비트 내부음원을 믹스시키는 단계와,
상기 외부 음원이 입력되면 바이노널 비트 또는 펄스 비트 내부음원발생부에서 바이노널 비트 또는 펄스 비트 내부음원을 발생시켜 믹스부에서 믹스시키도록 출력하게 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키입력부는 이어폰 모드 및 스피커 모드로 나누어 각기 출력기기의 특성에 맞춰 뇌파 유도에 효과적인 비트음을 발생하도록 이어폰 모드로는 바이노널 비트음을, 스피커 모드로는 펄스 비트음을 재생시킴으로써 이어폰, 헤드폰, 스피커 모두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청주파수내의 고주파수 음원으로 제작한 신호발생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제어하는 키입력부와,
외부 음원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입력부와,
가청주파수 내의 고주파수 음원으로 생성되어 뇌파를 유도하는 바이노널 비트 또는 펄스 비트 내부음원발생부와,
상기 외부 음원과 바이노널 비트 또는 펄스 비트 내부음원을 믹스시켜 출력하는 믹스부와,
상기 외부 음원이 입력되면 바이노널 비트 또는 펄스 비트 내부음원발생부에서 바이노널 비트 또는 펄스 비트 내부음원을 발생시켜 믹스부에서 믹스시키도록 출력하게 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키입력부는 이어폰 모드 및 스피커 모드로 나누어 각기 출력기기의 특성에 맞춰 뇌파 유도에 효과적인 비트음을 발생하도록 이어폰 모드로는 바이노널 비트음을, 스피커 모드로는 펄스 비트음을 재생시킴으로써 이어폰, 헤드폰, 스피커 모두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뇌파 유도 제품들에서 나오는 비트음(뚜뚜뚜-)을 싫어하는 사람들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의 오디오신호입력부로 다른 기기의 오디오 신호를 받아들인 후 알파파 유도음과 믹스하여 출력되므로 어떤 강의나 학습에도 원음을 손상시키지 않고 알파파를 유지한 상태로 학습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능력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이어폰과 헤드폰 착용을 싫어하는 사람을 위해 “이어폰”, “스피커” 모드로 나누어 각각의 기기에서 최대 효과를 불러일으키는 비트음을 따로 적용해 조용한 공간에서 스피커로 학습 및 숙면을 유도시킬 수 있다.
삭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청주파수내의 고주파수 음원으로 제작한 뇌파유도장치는 사용자가 제어하는 키입력부(18)와, 외부 음원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입력부(12)와, 가청주파수 내의 고주파수 음원으로 생성되어 뇌파를 유도하는 바이노널 비트 또는 펄스 비트 내부음원발생부(15)와, 상기 외부 음원과 바이노널 비트 또는 펄스 비트 내부음원을 믹스시켜 출력하는 믹스부(25)와, 상기 외부 음원이 입력되면 바이노널 비트 또는 펄스 비트 내부음원발생부(15)에서 바이노널 비트 또는 펄스 비트 내부음원을 발생시켜 믹스부(25)에서 믹스시키도록 출력부(30)로 출력하게 하는 제어부(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뇌파유도장치는 오디오신호입력부(12)를 통해 들어오는 외부 음원이 키입력부(18)와 제어부(20)를 통하여 가청주파수 내의 고주파수 음원으로 제작된 뇌파를 유도하는 바이노널 비트 또는 펄스 비트 내부음원과 믹스되어 출력됨으로써, 외부 오디오 신호의 원음을 일체 손상시키지 않고 뇌파를 유도한다.
본 발명의 뇌파를 유도음인 바이노럴 비트(binaural beat)는 학습능력 증대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써 가청주파수(20~20,000hz) 내에 있는 주파수이지만 청각적으로 쉽게 인식하기 어려운 높은 주파수를 의미한다.
사람이 청각적으로 전혀 인식 못하는 20,000hz를 넘는 비가청주파수를 사용하여 음원을 만들고 그것을 의료기기에 적용시켜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럴 경우 반드시 20,000hz 이상의 주파수를 출력시키는 장치를 사용하여야만 인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바이노널 비트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어폰이나 헤드폰의 대부분의 사양이 가청주파수(20~20,000hz)로 한정되어있기 때문에 비가청주파수를 이용했을 경우 실질적인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때문에 본 발명은 가청주파수 내에 있는 주파수 중 청각적으로 쉽게 인식하기 힘든 높은 주파수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바이노널 뇌파유도 비트음은 틴벨(가청주파수내의 고주파수로 만든 벨소리)과 같이 10대처럼 청각부분이 건강한 사람들에겐 청각적으로 아주 미세하게 인식이 되어지고, 그렇지 않은 사람에겐 인식이 잘 되지 않는다.
청각적으로 인식이 잘 되지 않아도 20,000hz 이상의 비가청주파수로 제작된 음원을 출력해내는 장치를 갖춘 의료기기가 인체에 영향을 주어 치료를 하는 것처럼, 본 발명의 바이노널 비트 또는 펄스 비트 내부음원 주파수를 충분히 출력해주는 이어폰과 헤드폰 그리고 포터블 스피커로 출력을 하면 음의 진동이 인체에 영향을 주어 뇌파를 유도해낸다. 바이노널 비트 또는 펄스 비트 내부음원은 음압이 높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으로 뇌파를 유도해낸다.
실제로 음이 거의 들리지 않은 20~30대 성인을 대상으로 고가에 비해 비교적 재생력이 많이 떨어지는 저가의 2~3만원대 이어폰, 헤드폰 그리고 포터블스피커로 본 발명의 뇌파 유도음을 실험해본 결과 음의 진동이 인체에 영향을 주어 뇌파를 유도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기존의 뇌파 유도 제품들에서 나오는 비트음(뚜뚜뚜-)을 싫어하는 사람들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의 오디오신호입력부(12)에서 다른 기기의 오디오 신호를 받아들인 후 기기 내부의 알파파 유도음과 믹스하여 출력시켜 어떤 강의나 학습에도 원음을 손상시키지 않고 알파파를 유지한 상태로 학습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능력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출력부(30)의 이어폰과 헤드폰 착용을 싫어하는 사람을 위해 “이어폰”, “스피커” 모드로 나누어 각각의 기기에서 최대 효과를 불러일으키는 비트음을 따로 적용해 조용한 공간에서 스피커로 학습 및 숙면을 유도시킬 수 있다.
이하, 키입력부(18)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어폰/스피커 모드에서 “이어폰” 모드로는 바이노널 비트음을, “스피커” 모드로는 펄스 비트음을 재생한다. 내부 비트음원이 재생되기전 음원의 재생여부와 음량 확인을 위해 쉽게 인지되는 주파수의 단음 음원이 재생된다.
"study" 버튼을 누르면 알파파를 유도하는 바이노럴 또는 펄스 비트 음원이 재생된다.
"sleep" 버튼을 누르면 델타파를 유도하는 바이노럴 또는 펄스 비트 음원이 재생된다.
"awake" 버튼을 누르면 베타파를 유도하는 바이노럴 또는 펄스 비트 음원이 재생된다.
"stop" 버튼을 누르면 재생되던 음원이 멈춘다.
위 “study" , "sleep" , "awake" 는 바이노럴 비트 또는 펄스 비트 음원이 외부 오디오 신호와 믹스되어 출력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청주파수내의 고주파수 음원으로 제작한 뇌파유도장치의 블럭도

Claims (6)

  1. 삭제
  2. 외부 음원이 오디오신호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단계와,
    바이노널 비트 또는 펄스 비트 내부음원발생부에서 가청주파수 내의 고주파수 음원으로 생성되어 뇌파를 유도하는 바이노널 비트 또는 펄스 비트를 내부음원으로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외부 음원과 바이노널 비트 또는 펄스 비트 내부음원을 믹스시키는 단계와,
    상기 외부 음원이 입력되면 바이노널 비트 또는 펄스 비트 내부음원발생부에서 바이노널 비트 또는 펄스 비트 내부음원을 발생시켜 믹스부에서 믹스시키도록 출력하게 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청주파수내의 고주파수 음원으로 제작한 신호발생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이어폰 모드 및 스피커 모드로 나누어 각기 출력기기의 특성에 맞춰 뇌파 유도에 효과적인 비트음을 발생하도록 이어폰 모드로는 바이노널 비트음을, 스피커 모드로는 펄스 비트음을 재생시킴으로써 이어폰, 헤드폰, 스피커 모두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키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청주파수내의 고주파수 음원으로 제작한 신호발생방법.
  4. 삭제
  5. 사용자가 제어하는 키입력부와,
    외부 음원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입력부와,
    가청주파수 내의 고주파수 음원으로 생성되어 뇌파를 유도하는 바이노널 비트 또는 펄스 비트 내부음원발생부와,
    상기 외부 음원과 바이노널 비트 또는 펄스 비트 내부음원을 믹스시켜 출력하는 믹스부와,
    상기 외부 음원이 입력되면 바이노널 비트 또는 펄스 비트 내부음원발생부에서 바이노널 비트 또는 펄스 비트 내부음원을 발생시켜 믹스부에서 믹스시키도록 출력하게 하는 제어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청주파수내의 고주파수 음원으로 제작한 뇌파유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이어폰 모드 및 스피커 모드로 나누어 각기 출력기기의 특성에 맞춰 뇌파 유도에 효과적인 비트음을 발생하도록 이어폰 모드로는 바이노널 비트음을, 스피커 모드로는 펄스 비트음을 재생시킴으로써 이어폰, 헤드폰, 스피커 모두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청주파수내의 고주파수 음원으로 제작한 뇌파유도장치.
KR1020090006963A 2009-01-29 2009-01-29 가청주파수내의 고주파수 음원으로 제작한 뇌파유도장치 및 신호발생방법 KR101187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963A KR101187468B1 (ko) 2009-01-29 2009-01-29 가청주파수내의 고주파수 음원으로 제작한 뇌파유도장치 및 신호발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6963A KR101187468B1 (ko) 2009-01-29 2009-01-29 가청주파수내의 고주파수 음원으로 제작한 뇌파유도장치 및 신호발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902A KR20100087902A (ko) 2010-08-06
KR101187468B1 true KR101187468B1 (ko) 2012-10-15

Family

ID=42754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963A KR101187468B1 (ko) 2009-01-29 2009-01-29 가청주파수내의 고주파수 음원으로 제작한 뇌파유도장치 및 신호발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4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8359A (ko) 2016-11-15 2016-12-05 신용민 온라인상에서의 가청범위에 따른 소리 발송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121A (ja) * 1997-07-23 1999-02-09 P M C:Kk 脳波誘導持続装置
KR100285770B1 (ko) * 1998-05-15 2001-04-02 구자홍 휴대용 오디오 겸용 뇌파유도신호 발생장치
KR100868026B1 (ko) * 2007-05-28 2008-11-10 (주)드리맥스 뇌파 유도신호 발생장치를 구비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121A (ja) * 1997-07-23 1999-02-09 P M C:Kk 脳波誘導持続装置
KR100285770B1 (ko) * 1998-05-15 2001-04-02 구자홍 휴대용 오디오 겸용 뇌파유도신호 발생장치
KR100868026B1 (ko) * 2007-05-28 2008-11-10 (주)드리맥스 뇌파 유도신호 발생장치를 구비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8359A (ko) 2016-11-15 2016-12-05 신용민 온라인상에서의 가청범위에 따른 소리 발송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902A (ko) 201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135B1 (ko) 뇌파 유도 장치 및 신호 발생 방법
EP2942042B1 (en) Tinnitus treatment device
KR101406531B1 (ko)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로부터 바이노럴 비트를 발생시키는 장치 및 방법
US9191764B2 (en) Binaural audio signal-based applications
KR101057661B1 (ko) 음악을 이용한 맞춤형 이명 치료 장치 및 방법
US20210046276A1 (en) Mood and mind balancing audio systems and methods
CN1850308B (zh) 一种诱导脑电波同步的方法和装置
KR200486563Y1 (ko) 음향을 이용한 집중력 향상 장치 및 이를 위한 음향 출력 장치
TWI507973B (zh) 便攜式電子設備
JP734742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41820B1 (ko) 주파수 추종 반응을 이용한 감성조절 장치
KR101181138B1 (ko) 뇌파 유도 장치
KR101187468B1 (ko) 가청주파수내의 고주파수 음원으로 제작한 뇌파유도장치 및 신호발생방법
WO2018051646A1 (ja) 骨伝導波生成装置、骨伝導波生成方法、骨伝導波生成装置用のプログラム及び骨伝導波出力機
CN114025286A (zh) 一种播放阿尔法波音乐的蓝牙耳机
KR101014234B1 (ko) 오디오 기기에서의 맥동 잡음 발생장치 및 방법
CN114339551A (zh) 一种播放阿尔法波音乐的蓝牙音箱
KR100416966B1 (ko) 뇌파학습기
JP2012050003A (ja) 電気音響変換器および電気音響変換方法
JP2012033988A (ja) 超重低音生成方法
KR20130096339A (ko) 뇌파 유도 장치 및 신호 발생 방법
KR20100084737A (ko) 음원을 손상시키지 않고 뇌파 유도 음원을 삽입하는 방법.
KR20060107363A (ko) 뇌파유도디바이스
KR102370514B1 (ko) 바이노럴 음향 재생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RU276473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вития слуха и речи у тугоухих и глухи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501

Effective date: 2013080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310000113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501

Effective date: 2013080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3200007434; INVALID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31031

Effective date: 2014041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3100002889;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31031

Effective date: 20140415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906

Effective date: 2014041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3200007434;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906

Effective date: 201404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