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0740A - 상품 노출형 슬라이딩 포장 상자 - Google Patents

상품 노출형 슬라이딩 포장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0740A
KR20210070740A KR1020190160839A KR20190160839A KR20210070740A KR 20210070740 A KR20210070740 A KR 20210070740A KR 1020190160839 A KR1020190160839 A KR 1020190160839A KR 20190160839 A KR20190160839 A KR 20190160839A KR 20210070740 A KR20210070740 A KR 20210070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 end
outer case
inner case
packaging box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6077B1 (ko
Inventor
정상혁
Original Assignee
두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선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0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077B1/ko
Publication of KR20210070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213Internal elements supporting the contents and movable for displaying them, e.g. movable bottoms or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상품 노출형 슬라이딩 포장 상자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는, ⅰ)서로 연결된 제1 개방단과 제2 개방단을 형성하는 전면부, 후면부 및 양 측면부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슬라이딩 공간을 형성하는 아웃터 케이스와, ⅱ)적어도 하나의 포장 상품을 지지하는 지지 면과, 포장 상품의 전면부 한쪽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포장 상품의 전면부 다른 한쪽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가지며, 아웃터 케이스의 제1 및 제2 개방단 사이에서 슬라이딩 공간을 따라 설정된 구간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너 케이스와, ⅲ)아웃터 케이스에 구비되며, 제1 개방단 및 제2 개방단 측에서 인너 케이스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는 슬라이딩 규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품 노출형 슬라이딩 포장 상자 {COMMODITY EXPOSURE AND SLIDING TYPE PACKAGE BOX}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 팩 등과 같은 내용물이 밀봉된 파우치 형태의 상품을 포장하기 위한 종이 재질의 포장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다수의 상품들은 공장 등에서 적절한 포장 수단으로 포장되어 출하되고 있다. 이러한 상품들은 상품 가치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시각적 측면에서 소비자의 관심을 유발하고, 상품의 보호와 더불어 취급 및 운반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장 상자 등과 같은 적당한 형태의 포장재로 포장되고 있다.
포장 상자는 포장되는 상품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고 있는데, 일 예로서의 포장 상자는 상품을 수납하는 인너 케이스와, 그 인너 케이스를 슬라이드 식으로 수용하는 아웃터 케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포장 상자는 포장 상품을 수납하고 있는 인너 케이스를 아웃터 케이스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며 그 포장 상품을 외부로 일부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포장 상자는 인너 케이스에 수납된 포장 상품을 꺼내기 위해 인너 케이스를 아웃터 케이스로부터 완전히 분리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인너 케이스에 수납된 포장 상품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서는 한 손으로 아웃터 케이스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인너 케이스를 아웃터 케이스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밀어 내야 하며, 인너 케이스에 수납된 포장 상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아웃터 케이스의 외측으로 밀려난 인너 케이스를 다른 한 손으로 잡고 아웃터 케이스로부터 인너 케이스를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는 인너 케이스에 수납된 포장 상품의 홍보와 광고를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인너 케이스를 아웃터 케이스로부터 슬라이드 이동시키며 포장 상품을 외부로 일부 노출시키거나 아웃터 케이스의 윈도우를 통해 포장 상품을 일부 노출시키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인너 케이스를 아웃터 케이스로부터 간편하게 슬라이드 이동시키며 인너 케이스에 수납된 포장 상품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고, 외부로 노출된 포장 상품을 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한 포장 상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는, ⅰ)서로 연결된 제1 개방단과 제2 개방단을 형성하는 전면부, 후면부 및 양 측면부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슬라이딩 공간을 형성하는 아웃터 케이스와, ⅱ)적어도 하나의 포장 상품을 지지하는 지지 면과, 포장 상품의 전면부 한쪽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포장 상품의 전면부 다른 한쪽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아웃터 케이스의 제1 및 제2 개방단 사이에서 상기 슬라이딩 공간을 따라 설정된 구간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너 케이스와, ⅲ)상기 아웃터 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개방단 및 제2 개방단 측에서 상기 인너 케이스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는 슬라이딩 규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포장 상자에 있어서, 상기 인너 케이스는 상기 제1 지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개방단에 삽입되며, 상기 슬라이딩 공간을 따라서 상기 제2 개방단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포장 상자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규제유닛은 상기 제2 개방단 측에서 상기 인너 케이스의 제1 지지부 측과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포장 상자에 있어서, 상기 인너 케이스는 상기 제1 지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2 개방단 측에서 상기 슬라이딩 공간을 따라 상기 제1 개방단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제2 지지부를 통하여 포장 상품을 외부로 노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포장 상자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규제유닛은 상기 제1 개방단 측에서 상기 인너 케이스의 제1 지지부와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포장 상자에 있어서, 상기 인너 케이스의 제1 지지부는 상기 아웃터 케이스의 제2 개방단에 대응하는 상기 지지 면의 일단에서 설정된 폭으로 연장되며 타단 측으로 접힌 제1 접힘 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포장 상자에 있어서, 상기 인너 케이스의 제2 지지부는 상기 아웃터 케이스의 제1 개방단에 대응하는 상기 지지 면의 타단에서 설정된 폭으로 연장되며 일단 측으로 접힌 제2 접힘 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포장 상자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규제유닛은 상기 아웃터 케이스의 제2 개방단에 대응하는 상기 후면부의 일단에서 설정된 폭으로 연장되며, 상기 후면부의 타단을 향해 상기 슬라이딩 공간으로 접힌 제1 스토퍼와, 상기 아웃터 케이스의 제1 개방단에 대응하는 상기 전면부 일단에서 설정된 폭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면부의 타단을 향해 상기 슬라이딩 공간으로 접힌 제2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포장 상자는, 상기 아웃터 케이스의 제1 개방단에 대응하는 상기 인너 케이스의 단부에 구비되며, 거치 핀이 끼워질 수 있는 거치 홀을 형성하는 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포장 상자에 있어서, 상기 지지 면의 타단에는 상기 제2 지지부에서 일정 구간 절취된 거치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에는 거치 핀이 끼워질 수 있는 거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포장 상자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슬라이딩 공간으로 접혀 들어가며 상기 제2 개방단을 폐쇄하는 폐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포장 상자는, 상기 아웃터 케이스의 제1 개방단에 대응하는 상기 인너 케이스의 단부에 구비되며, 거치 핀이 끼워질 수 있는 제1 거치 홀을 형성하는 제1 거치부와, 상기 아웃터 케이스 후면부의 제1 개방단 측에 구비되며, 상기 거치 핀이 끼워질 수 있는 제2 거치 홀을 형성하는 제2 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포장 상자에 있어서, 상기 지지 면의 타단에는 상기 제2 지지부에서 일정 구간 절취된 제1 거치부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1 거치부에는 거치 핀이 끼워질 수 있는 제1 거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포장 상자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케이스의 제1 개방단을 형성하는 후면부의 끝단에는 상기 제1 거치 홀과 연결되는 제2 거치 홀을 가진 제2 거치부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포장 상자에 있어서, 상기 제2 거치부는 상기 제1 거치부 보다 짧은 길이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포장 상자에 있어서, 상기 인너 케이스는 상기 아웃터 케이스의 슬라이딩 공간에 완전 삽입된 상태에서, 스티커를 통하여 상기 아웃터 케이스의 후면부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인너 케이스를 아웃터 케이스로부터 간편하게 슬라이드 이동시키며 인너 케이스에 수납된 포장 상품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고, 외부로 노출된 포장 상품을 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으므로, 포장 상품들을 인너 케이스로부터 쉽고 간편하게 꺼낼 수 있으며, 포장 상품에 대한 홍보 효과 및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의 측 단면 구성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에 적용되는 아웃터 케이스 및 인너 케이스의 전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의 상품 노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의 상품 노출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를 도시한 측 단면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를 도시한 결합 측 단면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의 상품 노출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에 적용되는 아웃터 케이스 및 인너 케이스의 전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기술적인 사상 또는 특징 등을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참고용이므로, 실제 제품 사양과 다를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 단면 구성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에 적용되는 아웃터 케이스 및 인너 케이스의 전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100)는 사각 파우치 형태의 포장재(포장 용기)에 약품, 건강 식품 등의 액상 농축액 또는 엑기스, 고형물 또는 분말 등과 같은 내용물이 밀봉된 상품이나 포장재에 마스크 팩이 밀봉된 상품 등을 포장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에서와 같이 포장 상자(100)를 상하 방향으로 세워 놓고 상하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상측을 향하는 부분을 상부, 상단, 상면 및 상단부로 정의하며, 하측을 향하는 부분을 하부, 하단, 하면 및 하단부로 정의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향의 정의는 상대적인 의미로서, 포장 상자(100)의 기준 위치 등에 따라서 그 방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한 기준 방향이 본 발명의 기준 방향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 나아가, 하기에서의 "단(한쪽/일측 단 또는 다른 한쪽/일측 단)"은 어느 한쪽의 끝으로 정의될 수 있고, 그 끝을 포함하는 일정 부분(한쪽/일측 단부 또는 다른 한쪽/일측 단부)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한 바와 같은 다수의 포장 상품(1)들을 포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으로 포장 상품(1)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고, 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슬라이딩 방식의 포장 상자(100)를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의 상품 노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의 상품 노출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포장 상자(100)는 기본적으로, 아웃터 케이스(10), 인너 케이스(20), 슬라이딩 규제유닛(30), 그리고 거치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아웃터 케이스(10)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며, 포장 상자(100)의 강성을 확보하고, 외부의 충격력으로부터 포장 상품(1)을 보호하기 위한 외측 상자 본체로 구비된다.
상기 아웃터 케이스(10)는 서로 연결된 제1 개방단(11)과 제2 개방단(12)을 형성하는 전면부(13), 후면부(14) 및 양 측면부(15)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슬라이딩 공간(16)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도면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1 개방단(11)은 아웃터 케이스(10)의 상단에 형성되며, 제2 개방단(12)은 아웃터 케이스(10)의 하단에 형성된다.
상기한 아웃터 케이스(10)는 사각 형태로 구비되는 바, 전면부(13), 후면부(14) 및 양 측면부(15)가 서로 접혀지며 접착되면서 내부에 사각 단면 형상의 슬라이딩 공간(16)을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전면부(13)의 일단을 상단, 타단을 하단으로 정의하며, 상기 후면부(14)의 일단을 하단, 타단을 상단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인너 케이스(20)는 다수의 포장 상품(1)들을 실질적으로 수납하며 그 포장 상품(1)들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인너 케이스(20)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며, 아웃터 케이스(10)의 제1 및 제2 개방단(11, 12) 사이에서 상하 방향(도면 기준)으로 슬라이딩 공간(16)을 따라 설정된 구간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인너 케이스(20)는 포장 상품(1)들을 지지하는 지지 면(20a)과, 포장 상품(1)들의 전면부 한쪽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21)와, 포장 상품(1)들의 전면부 다른 한쪽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2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지지 면(20a)은 포장 상품(1)들의 후면부 전체를 지지하는 면으로서, 이하에서는 도면을 기준으로 할 때, 지지 면(20a)의 일단을 하단, 타단을 상단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상기 제1 지지부(21)는 지지 면(20a)에 지지된 포장 상품(1)들의 전면 하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아웃터 케이스(10)의 제2 개방단(12)에 대응하는 지지 면(20a)의 일단에서 설정된 폭으로 연장되며 타단 측으로 접힌 제1 접힘 구간(23)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지지부(21)는 도면을 기준으로 할 때, 지지 면(20a)의 일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접혀지며, 그 지지 면(20a)과 제1 접힘 구간(23) 사이에서 포장 상품(1)들의 전면 하부를 지지한다.
상기 제2 지지부(22)는 지지 면(20a)에 지지된 포장 상품(1)들의 전면 상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아웃터 케이스(10)의 제1 개방단(11)에 대응하는 지지 면(20a)의 타단에서 설정된 폭으로 연장되며 일단 측으로 접힌 제2 접힘 구간(24)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2 지지부(22)는 도면을 기준으로 할 때, 지지 면(20a)의 타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접혀지며, 그 지지 면(20a)과 제2 접힘 구간(24) 사이에서 포장 상품(1)들의 전면 상부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규제유닛(30)은 아웃터 케이스(10)의 제1 개방단(11) 및 제2 개방단(12) 측에서 슬라이딩 공간(16)을 통한 인너 케이스(20)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웃터 케이스(10)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인너 케이스(20)는 제1 지지부(21)를 통하여 아웃터 케이스(10)의 제1 개방단(11)에 삽입되며, 슬라이딩 공간(16)을 따라서 제2 개방단(12)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바, 이때 슬라이딩 규제유닛(30)은 제2 개방단(12) 측에서 인너 케이스(20)의 제1 지지부(21) 측과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라이딩 규제유닛(30)은 아웃터 케이스(10)에 대한 인너 케이스(20)의 완전 삽입 위치(구간)를 결정하며, 그 완전 삽입 위치에서 인너 케이스(20)의 삽입 방향을 따른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딩 규제유닛(30)은 인너 케이스(20)가 아웃터 케이스(10)의 제2 개방단(12)을 통해 슬라이딩 공간(16)으로부터 완전 인출(분리)되는 것을 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너 케이스(20)는 제1 지지부(21)를 통하여 아웃터 케이스(10)의 제2 개방단(12) 측에서 슬라이딩 공간(16)을 따라 제1 개방단(11)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제2 지지부(22)를 통하여 포장 상품(1)들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바, 이때 슬라이딩 규제유닛(30)은 제1 개방단(11) 측에서 인너 케이스(20)의 제1 지지부(21)와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라이딩 규제유닛(30)은 아웃터 케이스(10)에 대한 인너 케이스(20)의 외부 인출 위치(구간)를 결정하며, 그 외부 인출 위치에서 인너 케이스(20)의 인출 방향을 따른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딩 규제유닛(30)은 인너 케이스(20)가 아웃터 케이스(10)의 제1 개방단(11)을 통해 슬라이딩 공간(16)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슬라이딩 규제유닛(30)은 아웃터 케이스(10)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스토퍼(31, 3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스토퍼(31)는 아웃터 케이스(10)에 대한 인너 케이스(20)의 완전 삽입 위치(구간)를 결정하며, 그 완전 삽입 위치에서 인너 케이스(20)의 삽입 방향을 따른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스토퍼(31)는 아웃터 케이스(10)의 제2 개방단(12)에 대응하는 후면부(14)의 일단에서 설정된 폭으로 연장되며, 그 후면부(14)의 타단을 향해 슬라이딩 공간(16)으로 접힌 구간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제1 스토퍼(31)는 아웃터 케이스(10)의 후면부(14) 일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접혀지며, 슬라이딩 공간(16)의 내측에서 전면부(13) 측을 지지한다. 상기 제1 스토퍼(31)는 후면부(14)와의 사이에서 인너 케이스(20)의 제1 지지부(21) 측과 걸림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 스토퍼(32)는 아웃터 케이스(10)에 대한 인너 케이스(20)의 외부 인출 위치(구간)를 결정하며, 그 외부 인출 위치에서 인너 케이스(20)의 인출 방향을 따른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스토퍼(32)는 아웃터 케이스(10)의 제1 개방단(11)에 대응하는 전면부(13) 일단에서 설정된 폭으로 연장되며, 그 전면부(13)의 타단을 향해 슬라이딩 공간(16)으로 접힌 구간으로 구비된다.
상기한 제2 스토퍼(32)는 아웃터 케이스(10)의 전면부(13) 일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접히며, 슬라이딩 공간(16)의 내측에서 인너 케이스(20) 측을 지지한다. 상기 제2 스토퍼(32)는 전면부(13)와의 사이에서 인너 케이스(20)의 제1 지지부(21)와 걸림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거치부(50)는 아웃터 케이스(10)의 슬라이딩 공간(16)에 인너 케이스(20)를 완전 삽입한 상태(도 1 참조) 또는 아웃터 케이스(10)의 슬라이딩 공간(16)으로부터 인너 케이스(20)를 설정된 구간으로 인출한 상태(도 5 참조)에서 그 인너 케이스(20) 측을 거치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거치 핀(P)에 거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거치부(50)는 아웃터 케이스(10)의 제1 개방단(11)에 대응하는 인너 케이스(20)의 단부(도면에서의 상측 단부)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치부(50)는 인너 케이스(20)의 제2 지지부(22)에서 일정 구간 절취된 상태로 지지 면(20a)의 타단에 일체로 연결된다.
이러한 거치부(50)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거치 핀(P)이 끼워질 수 있는 거치 홀(51)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인너 케이스(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터 케이스(10)의 슬라이딩 공간(16)에 완전 삽입된 상태에서, 스티커(S)를 통하여 아웃터 케이스(10)의 후면부(14)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티커(S)는 탈 부착이 가능한 접착력을 지니며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한 형태의 접착 테이프로서, 인너 케이스(20)의 제2 지지부(22)와 아웃터 케이스(10)의 후면부(14)에 접착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100)의 작용을 앞서 개시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 케이스(20)에 포장 상품(1)들을 수납하고, 그 인너 케이스(20)를 아웃터 케이스(10)의 제1 개방단(11)을 통하여 제2 개방단(12) 측으로 슬라이딩 공간(16)에 슬라이드 식으로 완전 삽입된 상태에서, 인너 케이스(20)의 제2 지지부(22)와 아웃터 케이스(10)의 후면부(14)를 스티커(S)로서 결합한 포장 상자(100)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인너 케이스(20)의 지지 면(20a)은 포장 상품(1)들의 후면 측을 지지하고, 그 인너 케이스(20)의 제1 지지부(21)는 포장 상품(1)들의 전면 상부 측을 지지하며, 인너 케이스(20)의 제2 지지부(22)는 포장 상품(1)들의 전면 하부 측을 지지하고 있다.
이 때, 슬라이딩 규제유닛(30)의 제1 스토퍼(31)는 슬라이딩 공간(16)에서 제1 지지부(21) 측과의 걸림이 이루어지며, 아웃터 케이스(10)에 대한 인너 케이스(20)의 완전 삽입 위치를 결정하고, 그 완전 삽입 위치에서 인너 케이스(20)의 삽입 방향을 따른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규제유닛(30)의 제2 스토퍼(32)는 인너 케이스(20)의 제2 지지부(22)를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인너 케이스(20)에 포장 상품(1)들을 수납하고 그 인너 케이스(20)를 아웃터 케이스(10)에 슬라이드 식으로 삽입함으로써, 아웃터 케이스(10)를 통해 전체 포장 상자(10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력으로부터 포장 상품(1)들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포장 상자(100)는 인너 케이스(20) 측의 거치부(50)를 통하여 거치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거치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거치부(50)의 거치 홀(51)에 거치 핀(P)을 끼우며 포장 상자(100)를 거치대에 거치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 케이스(20)의 제2 지지부(22)와 아웃터 케이스(10)의 후면부(14)를 결합(접착)하고 있는 스티커(S: 도 1 참조)를 떼어 낸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인너 케이스(20) 측의 거치부(50)를 잡아 당긴다.
이에, 상기 인너 케이스(20)는 아웃터 케이스(10)의 슬라이딩 공간(16)을 따라 제2 개방단(12) 측에서 제1 개방단(11)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며, 제1 개방단(11)을 통하여 외측으로 설정된 구간만큼 일부 인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개방단(11) 측에서 인너 케이스(20)의 제1 지지부(21)와 제2 스토퍼(32)의 걸림이 이루어지며, 제2 스터퍼(32)를 통하여 아웃터 케이스(10)에 대한 인너 케이스(20)의 외부 인출 위치를 결정하고, 그 외부 인출 위치에서 인너 케이스(20)의 인출 방향을 따른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포장 상품(1)들은 상기 인너 케이스(20)의 지지 면(20a)에 지지된 상태로, 아웃터 케이스(10)의 슬라이딩 공간(16)에서 인너 케이스(20)의 제2 지지부(22)를 통해 지지되고, 그 슬라이딩 공간(16)의 외측에서 인너 케이스(20)의 제1 지지부(21)를 통해 지지되면서 외부에 일부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포장 상품(1)들을 인너 케이스(20)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너 케이스(20)를 아웃터 케이스(10)에 대해 설정된 구간으로 일부 인출한 상태에서, 거치부(50)의 거치 홀(51)에 거치 핀(P)을 끼우며 포장 상자(100)를 거치대에 거치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포장 상품(1)들을 인너 케이스(20)를 통해 외부로 일부 노출시킨 상태에서, 거치부(50)를 통하여 거치대에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포장 상품(1)들을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로 포장 상자(100)를 거치대에 거치시킬 수 있으므로, 포장 상품(1)들을 인너 케이스(20)로부터 쉽고 간편하게 꺼낼 수 있으며, 포장 상품(1)에 대한 홍보 효과 및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를 도시한 측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전기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200)는 전기 실시 예의 구조를 기본으로 하면서, 아웃터 케이스(10)의 제2 개방단(12)을 폐쇄하기 위한 폐쇄부(61)를 더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폐쇄부(61)는 전기 실시 예에서와 같은 제1 스토퍼(31)에 구비되는 바, 제1 스토퍼(31)에서 접힘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폐쇄부(61)는 인너 케이스(20)를 수납하고 있는 제2 개방단(12)을 폐쇄하는 폐쇄 면(63)과, 슬라이딩 공간(16)으로 접혀 들어가는 결합 면(65)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폐쇄부(61)를 통하여 아웃터 케이스(10)의 제2 개방단(12)을 폐쇄할 수 있으므로, 포장 상자(200)의 미려함을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200)의 나머지 구성들 및 작용 효과는 전기 실시 예에서와 같으므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를 도시한 결합 측 단면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의 상품 노출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 구성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에 적용되는 아웃터 케이스 및 인너 케이스의 전개도이다. 도면에서 전기 실시 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300)는 전기 실시 예들의 구조를 기본으로 하면서, 아웃터 케이스(10)의 제1 개방단(11)에 대응하는 인너 케이스(20)의 단부 측에 구비되는 제1 거치부(50)와, 아웃터 케이스(10)의 제1 개방단(11) 측에 구비되는 제2 거치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거치부(50)는 전기 실시 예들에서와 같이, 인너 케이스(20)의 제2 지지부(22)에서 일정 구간 절취된 상태로 지지 면(20a)의 타단에 일체로 연결(구비)된다. 상기 제1 거치부(50)에는 거치 핀(P)이 끼워질 수 있는 제1 거치 홀(51)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거치부(70)는 아웃터 케이스(10)의 후면부(14)에서 제1 개방단(11) 측에 구비되는 바, 그 아웃터 케이스(10)의 제1 개방단(11)을 형성하는 후면부(14)의 타단에 일체로 구비(연결)된다.
상기 제2 거치부(70)에는 거치 핀(P)이 끼워질 수 있는 제2 거치 홀(7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거치 홀(71)은 제1 거치부(50)의 제1 거치 홀(51)과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거치부(70)는 제1 거치부(50) 보다 짧은 길이로서 후면부(14)의 타단에 일체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 케이스(20)가 아웃터 케이스(10)에 완전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거치부(50, 70)가 서로 겹쳐지며, 제1 거치부(50)의 제1 거치 홀(51)과 제2 거치부(70)의 제2 거치 홀(71)이 상호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인너 케이스(20)가 아웃터 케이스(10)에 완전 삽입된 상태로, 서로 연결된 제1 및 제2 거치 홀(51, 71)에 거치 핀(P)을 끼우며 포장 상자(300)를 거치대에 거치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거치부(70)의 제2 거치 홀(71)에만 거치 핀(P)을 끼우며 포장 상자(300)를 거치대에 거치시킨 상태로, 제1 거치부(50)를 잡아 당기게 되면, 전기 실시 예에서와 같은 작용을 통해 포장 상품(1)들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장 상자(300)의 나머지 구성들 및 작용 효과는 전기 실시 예에서와 같으므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 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포장 상품 10: 아웃터 케이스
11: 제1 개방 단 12: 제2 개방 단
13: 전면부 14: 후면부
15: 측면부 16: 슬라이딩 공간
20: 인너 케이스 20a: 지지 면
21: 제1 지지부 22: 제2 지지부
23: 제1 접힘 구간 24: 제2 접힘 구간
30: 슬라이딩 규제유닛 31: 제1 스토퍼
32: 제2 스토퍼 50: 거치부/제1 거치부
51: 거치 홀/제1 거치 홀 61: 폐쇄부
63: 폐쇄 면 65: 결합 면
70: 제2 거치부 71: 제2 거치 홀
P: 거치 핀 S: 스티커
100, 200, 300: 포장 상자

Claims (13)

  1. 서로 연결된 제1 개방단과 제2 개방단을 형성하는 전면부, 후면부 및 양 측면부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슬라이딩 공간을 형성하는 아웃터 케이스;
    적어도 하나의 포장 상품을 지지하는 지지 면과, 포장 상품의 전면부 한쪽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포장 상품의 전면부 다른 한쪽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아웃터 케이스의 제1 및 제2 개방단 사이에서 상기 슬라이딩 공간을 따라 설정된 구간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인너 케이스; 및
    상기 아웃터 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개방단 및 제2 개방단 측에서 상기 인너 케이스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는 슬라이딩 규제유닛;
    을 포함하는 포장 상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케이스는 상기 제1 지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개방단에 삽입되며, 상기 슬라이딩 공간을 따라서 상기 제2 개방단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상기 슬라이딩 규제유닛은 상기 제2 개방단 측에서 상기 인너 케이스의 제1 지지부 측과 걸림이 이루어지는 포장 상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케이스는 상기 제1 지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2 개방단 측에서 상기 슬라이딩 공간을 따라 상기 제1 개방단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상기 제2 지지부를 통하여 포장 상품을 외부로 노출하며,
    상기 슬라이딩 규제유닛은 상기 제1 개방단 측에서 상기 인너 케이스의 제1 지지부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포장 상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케이스의 제1 지지부는,
    상기 아웃터 케이스의 제2 개방단에 대응하는 상기 지지 면의 일단에서 설정된 폭으로 연장되며 타단 측으로 접힌 제1 접힘 구간을 형성하는 포장 상자.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케이스의 제2 지지부는,
    상기 아웃터 케이스의 제1 개방단에 대응하는 상기 지지 면의 타단에서 설정된 폭으로 연장되며 일단 측으로 접힌 제2 접힘 구간을 형성하는 포장 상자.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규제유닛은,
    상기 아웃터 케이스의 제2 개방단에 대응하는 상기 후면부의 일단에서 설정된 폭으로 연장되며, 상기 후면부의 타단을 향해 상기 슬라이딩 공간으로 접힌 제1 스토퍼와,
    상기 아웃터 케이스의 제1 개방단에 대응하는 상기 전면부 일단에서 설정된 폭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면부의 타단을 향해 상기 슬라이딩 공간으로 접힌 제2 스토퍼
    를 포함하는 포장 상자.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케이스의 제1 개방단에 대응하는 상기 인너 케이스의 단부에 구비되며, 거치 핀이 끼워질 수 있는 거치 홀을 형성하는 거치부
    를 더 포함하는 포장 상자.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면의 타단에는 상기 제2 지지부에서 일정 구간 절취된 거치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거치부에는 거치 핀이 끼워질 수 있는 거치 홀이 형성되는 포장 상자.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슬라이딩 공간으로 접혀 들어가며 상기 제2 개방단을 폐쇄하는 폐쇄부를 포함하는 포장 상자.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케이스의 제1 개방단에 대응하는 상기 인너 케이스의 단부에 구비되며, 거치 핀이 끼워질 수 있는 제1 거치 홀을 형성하는 제1 거치부와,
    상기 아웃터 케이스 후면부의 제1 개방단 측에 구비되며, 상기 거치 핀이 끼워질 수 있는 제2 거치 홀을 형성하는 제2 거치부
    를 더 포함하는 포장 상자.
  11.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면의 타단에는 상기 제2 지지부에서 일정 구간 절취된 제1 거치부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1 거치부에는 거치 핀이 끼워질 수 있는 제1 거치 홀이 형성되고,
    상기 아웃터 케이스의 제1 개방단을 형성하는 후면부의 끝단에는 상기 제1 거치 홀과 연결되는 제2 거치 홀을 가진 제2 거치부가 일체로 구비되는 포장 상자.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거치부는 상기 제1 거치부 보다 짧은 길이로서 형성되는 포장 상자.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케이스는,
    상기 아웃터 케이스의 슬라이딩 공간에 완전 삽입된 상태에서, 스티커를 통하여 상기 아웃터 케이스의 후면부와 결합되는 포장 상자.
KR1020190160839A 2019-12-05 2019-12-05 상품 노출형 슬라이딩 포장 상자 KR102306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839A KR102306077B1 (ko) 2019-12-05 2019-12-05 상품 노출형 슬라이딩 포장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839A KR102306077B1 (ko) 2019-12-05 2019-12-05 상품 노출형 슬라이딩 포장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740A true KR20210070740A (ko) 2021-06-15
KR102306077B1 KR102306077B1 (ko) 2021-09-28

Family

ID=76412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839A KR102306077B1 (ko) 2019-12-05 2019-12-05 상품 노출형 슬라이딩 포장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0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6102U (ja) * 2005-08-25 2005-11-24 日本臓器製薬株式会社 包装用箱
US20190084740A1 (en) * 2017-09-19 2019-03-21 Multi Packaging Solutions Uk Limited Packag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6102B2 (ja) * 1991-10-30 2000-12-11 味の素株式会社 L−3,4−ジヒドロキシフェニルアラニン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6102U (ja) * 2005-08-25 2005-11-24 日本臓器製薬株式会社 包装用箱
US20190084740A1 (en) * 2017-09-19 2019-03-21 Multi Packaging Solutions Uk Limited Packa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077B1 (ko) 202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66792A (en) Packages for merchandising garments or the like articles
US3397771A (en) Container
JP2010531279A (ja) 塊状または粒状の物品用のパッケージ
ES2377863T3 (es) Envase que se puede cerrar de nuevo
US20180346234A1 (en) Pack for consumer goods
CN107000923B (zh) 具有封闭折片的包含获取开口的包装
JP6320246B2 (ja) 包装箱及び包装商品
KR102306077B1 (ko) 상품 노출형 슬라이딩 포장 상자
US2210385A (en) Display envelope package
KR20100010918U (ko) 서랍식 포장상자
US6016919A (en) Packaging container for allowing inspection of contents
WO2021001643A1 (en) Latchable package
KR102301197B1 (ko) 포장상자
JP4490909B2 (ja) 突出ラベル付き容器収納箱
KR20230056969A (ko) 업 앤 다운 돌출형 포장 상자
KR102241413B1 (ko) 인너 케이스 일부 팝업형 포장 상자
CA2542862A1 (en) Dispenser/closure for flexible product containers
JP2023116271A (ja) 包装用袋
CN207129284U (zh) 一种展示包装盒
JP3054306U (ja) 内体付きカートン
KR101986559B1 (ko) 개폐식 플립형 케이스
KR101835976B1 (ko) 포장용 박스
KR20220060196A (ko) 물품운반용 상자
US20180206654A1 (en) Pusher tray system
JP2001206473A (ja) 蛍光ランプの包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