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0606A - 환기 장치 - Google Patents

환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0606A
KR20210070606A KR1020190160552A KR20190160552A KR20210070606A KR 20210070606 A KR20210070606 A KR 20210070606A KR 1020190160552 A KR1020190160552 A KR 1020190160552A KR 20190160552 A KR20190160552 A KR 20190160552A KR 20210070606 A KR20210070606 A KR 20210070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ipe
movement
blad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희
박성종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0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0606A/ko
Publication of KR20210070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6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1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for guiding air around a cur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환기 장치를 제공한다. 환기 장치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체를 각각 가이드하는 제1 배관 및 제2 배관과, 상기 제1 배관 및 상기 제2 배관의 유체 이동 경로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 및 상기 연결 배관에 배치되어 형태가 변경되면서 상기 제1 배관 및 상기 제2 배관 간에 이동하는 유체의 이동량 및 이동 방향을 조절하는 유체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가이드부는, 넓은 면으로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거나 유체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중심축을 제공하는 가이드 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환기 장치{Ventil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내의 공기를 외부의 공기와 교환하기 위하여 환기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환기 장치는 강제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켜 특정 공간에서의 환기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환기 장치에는 유량 조절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유량 조절 수단은 이동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12447호 (2017.12.2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곡관에서의 난류 발생을 억제하여 소음 및 진동을 방지하는 환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환기 장치의 일 면(aspect)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체를 각각 가이드하는 제1 배관 및 제2 배관과, 상기 제1 배관 및 상기 제2 배관의 유체 이동 경로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 및 상기 연결 배관에 배치되어 형태가 변경되면서 상기 제1 배관 및 상기 제2 배관 간에 이동하는 유체의 이동량 및 이동 방향을 조절하는 유체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가이드부는, 넓은 면으로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거나 유체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중심축을 제공하는 가이드 핀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유체 가이드부의 형태가 변경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유체 가이드부의 형태에 따른 유체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환기 장치(10)는 제1 배관(110), 제2 배관(120), 연결 배관(200) 및 유체 가이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배관(110) 및 제2 배관(12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체를 각각 가이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관(110)은 제1 방향(X)에 평행한 방향으로 유체를 가이드하고, 제2 배관(120)은 제2 방향(Y)에 평행한 방향으로 유체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배관(110) 및 제2 배관(120)은 각각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에 평행한 유체 이동 경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을 서로 직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유체는 기체일 수 있고, 액체일 수 있으며, 기체 및 액체의 혼합물일 수도 있다.
제1 배관(110) 및 제2 배관(120)이 제공하는 유체 이동 경로의 단면은 직사각형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배관(110) 및 제2 배관(120)이 제공하는 유체 이동 경로의 단면은 오각형 또는 육각형과 같은 다각형일 수 있으며,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도 있다. 이하, 유체 이동 경로의 단면이 직사각형인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연결 배관(200)은 제1 배관(110) 및 제2 배관(120)의 유체 이동 경로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연결 배관(200)은 2개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배관(200)의 제1 개구는 제1 배관(110)의 개구에 연결되고, 제2 개구는 제2 배관(120)의 개구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관(110)을 따라 이동하는 유체는 연결 배관(200)에서 방향이 전환되어 제2 배관(12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연결 배관(200)은 유체 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 유체 통로를 통하여 제1 배관(110) 및 제2 배관(120) 간의 유체 이동이 수행될 수 있다. 제1 배관(110)에서 제2 배관(120)을 따라 형성되는 유체 통로의 단면은 사각형일 수 있다. 한편, 제1 배관(110) 및 제2 배관(120)이 제공하는 유체 이동 경로의 단면이 다각형인 경우 유체 통로의 단면도 유체 이동 경로의 단면과 동일한 다각형일 수 있고, 제1 배관(110) 및 제2 배관(120)이 제공하는 유체 이동 경로의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인 경우 유체 통로의 단면도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유체 통로(IN, OUT)는 내측 유체 통로(IN) 및 외측 유체 통로(OU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내측 유체 통로(IN) 및 외측 유체 통로(OUT)는 유체의 방향 전환 반경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내측 유체 통로(IN)는 제1 배관(110)에서 제2 배관(120)으로 이동하는 유체의 방향 전환 반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구간에서의 통로를 나타내고, 외측 유체 통로(OUT)는 제1 배관(110)에서 제2 배관(120)으로 이동하는 유체의 방향 전환 반경이 상대적으로 큰 구간에서의 통로를 나타낸다.
유체 가이드부(300)는 연결 배관(200)에 배치되어 형태가 변경되면서 제1 배관(110) 및 제2 배관(120) 간에 이동하는 유체의 이동량 및 이동 방향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유체 가이드부(300)는 유체 통로의 단면적을 조절하여 유체의 이동량을 제어하고, 후술하는 블레이드(310)의 배치를 조절하여 유체의 이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체의 이동량은 단위 시간 동안에 유체 통로를 통하여 이동하는 유체의 양을 나타낸다.
유체 가이드부(300)는 블레이드(310) 및 가이드 핀(320, 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블레이드(310)는 넓은 면으로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거나 유체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블레이드(310)는 넓은 판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평판의 블레이드(310)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블레이드(310)는 곡판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가이드 핀(320, 330)은 블레이드(310)의 일측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블레이드(310)의 회전 중심축을 제공할 수 있다. 블레이드(310)는 가이드 핀(320, 33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가이드 핀(320, 330)은 제3 방향(Z)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제3 방향(Z)에 평행한 회전 중심축을 제공할 수 있다. 제3 방향(Z)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유체 가이드부(300)는 복수의 블레이드(310) 및 복수의 가이드 핀(320, 33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핀(320, 330)에 결합된 복수의 블레이드(310)는 다각 기둥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블레이드(310)가 4개의 가이드 핀(320, 330)에 결합됨에 따라 복수의 블레이드(310)는 사각 기둥을 형성할 수 있다. 사각 기둥의 내부로는 유체의 유입이 차단되거나 제한될 수 있고, 유체는 블레이드(310)의 표면과 충돌하여 그 이동이 제한되거나 이동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가이드 핀(320, 330)은 고정 가이드 핀(320) 및 이동 가이드 핀(3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가이드 핀(320)은 연결 배관(2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에, 고정 가이드 핀(320)은 이에 결합된 블레이드(310)의 회전 중심축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동 가이드 핀(330)은 연결 배관(200)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가이드 핀(330)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을 포함하는 가상의 면에 평행한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가이드 핀(330)의 이동을 위하여 연결 배관(200)에는 가이드 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 가이드 핀(330)은 가이드 홈(2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동 가이드 핀(330)이 가이드 홈(210)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복수의 블레이드(310)에 의한 다양한 형태가 구현될 수 있다.
유체는 제1 배관(110)에서 제2 배관(120)으로 이동하거나 제2 배관(120)에서 제1 배관(11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 제1 배관(110)에서 제2 배관(120)으로 유체가 이동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배관(110)에서 제2 배관(120)으로 이동하는 유체는 연결 배관(200)에서 방향 전환이 수행될 수 있다. 연결 배관(200)에 인접한 제2 배관(120)에는 연결 배관(200)으로부터 유체를 전달받는 내측 전달 영역(IA) 및 외측 전달 영역(OA)이 구비될 수 있다. 내측 전달 영역(IA)은 내측 유체 통로(IN)에 연결되고, 외측 전달 영역(OA)은 외측 유체 통로(OUT)에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제1 배관(110)에서 진입하여 연결 배관(200)을 통과한 유체는 관성에 의해 제2 배관(120)의 외측 전달 영역(OA)에 집중하여 외측 전달 영역(OA)의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내측 전달 영역(IA)은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을 갖게 된다. 내측 전달 영역(IA)과 외측 전달 영역(OA) 간의 압력 차이는 난류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내측 전달 영역(IA)에서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유체 가이드부(300)에 의하여 내측 전달 영역(IA)에서의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이 완화될 수 있다. 유체 가이드부(300)에 의해 외측 전달 영역(OA)으로의 유체의 집중이 제한되면서 내측 전달 영역(IA)에서의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이 완화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유체 가이드부의 형태가 변경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가이드 핀(330)이 가이드 홈(210)을 따라 이동하면서 유체 가이드부(300)는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각 블레이드(310)는 연결된 가이드 핀(320, 330)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위치가 변경되거나 자세가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체 가이드부(300)는 연결 배관(200)의 외측 유체 통로(OUT)의 유체 이동량을 조절하도록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유체 가이드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유체 통로(OUT)를 일부 폐쇄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유체 통로(OUT)를 대부분 폐쇄할 수 있다.
유체 가이드부(300)의 폐쇄 정도에 따라 외측 유체 통로(OUT)를 통한 유체의 이동량이 결정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유체 가이드부의 형태에 따른 유체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유체 가이드부(300)는 연결 배관(200)의 내측 유체 통로(IN) 및 외측 유체 통로(OUT)를 모두 개방할 수 있다.
제1 배관(110)에서 연결 배관(200)으로 이동하는 유체는 유체 가이드부(300)에 의해 방향 전환되어 제2 배관(1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유체 가이드부(300)는 대체로 "니은"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유체 가이드부(300)에 의해 유체가 가이드 됨으로써 외측 전달 영역(OA)으로 유체가 집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유체 가이드부(300)가 직접적으로 유체의 이동 방향을 전환하기 때문에 유체가 외측 전달 영역(OA)에 집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연결 배관(200)을 통과한 유체는 내측 전달 영역(IA) 및 외측 전달 영역(OA)에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내측 전달 영역(IA)과 외측 전달 영역(OA) 간의 압력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거나 제거됨으로 인하여 내측 전달 영역(IA)에서의 진동 및 소음이 완화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유체 가이드부(300)는 연결 배관(200)의 내측 유체 통로(IN)를 개방하고, 외측 유체 통로(OUT)를 일부 폐쇄할 수 있다.
제1 배관(110)에서 연결 배관(200)으로 이동하는 유체는 유체 가이드부(300)에 의해 방향 전환되어 제2 배관(1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유체 가이드부(300)는 대체로 마름모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유체는 유체 가이드부(300)의 블레이드(310)에 충돌하면서 방향이 전환되어 제2 배관(1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외측 유체 통로(OUT)가 일부 폐쇄됨에 따라 유체 이동량이 일부 감소할 수 있다.
유체 가이드부(300)에 의해 유체가 가이드 됨으로써 외측 전달 영역(OA)으로 유체가 집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유체 가이드부(300)가 외측 유체 통로(OUT)를 일부 폐쇄하기 때문에 외측 전달 영역(OA)으로 전달되는 유체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유체 가이드부(300)가 직접적으로 유체의 이동 방향을 전환하기 때문에 유체가 외측 전달 영역(OA)에 집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연결 배관(200)을 통과한 유체는 내측 전달 영역(IA) 및 외측 전달 영역(OA)에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내측 전달 영역(IA)과 외측 전달 영역(OA) 간의 압력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거나 제거됨으로 인하여 내측 전달 영역(IA)에서의 진동 및 소음이 완화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유체 가이드부(300)는 연결 배관(200)의 내측 유체 통로(IN)를 개방하고, 외측 유체 통로(OUT)를 대부분 폐쇄할 수 있다.
제1 배관(110)에서 연결 배관(200)으로 이동하는 유체는 유체 가이드부(300)에 의해 방향 전환되어 제2 배관(1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유체 가이드부(300)는 대체로 마름모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내측 유체 통로(IN)는 완전히 개방되고, 외측 유체 통로(OUT)는 대부분 폐쇄될 수 있다. 이에, 유체의 대부분은 내측 유체 통로(IN)를 통해서만 제2 배관(12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외측 유체 통로(OUT)가 대부분 폐쇄됨에 따라 이를 통한 유체의 이동이 대부분 차단되고, 전체적인 유체 이동량이 감소될 수 있다.
유체 가이드부(300)가 외측 유체 통로(OUT)를 대부분 폐쇄하기 때문에 외측 전달 영역(OA)으로 전달되는 유체의 양이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유체가 외측 전달 영역(OA)에 집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연결 배관(200)을 통과한 유체는 내측 전달 영역(IA) 및 외측 전달 영역(OA)에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내측 전달 영역(IA)과 외측 전달 영역(OA) 간의 압력 차이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거나 제거됨으로 인하여 내측 전달 영역(IA)에서의 진동 및 소음이 완화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환기 장치 110: 제1 배관
120: 제2 배관 200: 연결 배관
300: 유체 가이드부 310: 블레이드
320: 고정 가이드 핀 330: 이동 가이드핀

Claims (1)

  1.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체를 각각 가이드하는 제1 배관 및 제2 배관;
    상기 제1 배관 및 상기 제2 배관의 유체 이동 경로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 및
    상기 연결 배관에 배치되어 형태가 변경되면서 상기 제1 배관 및 상기 제2 배관 간에 이동하는 유체의 이동량 및 이동 방향을 조절하는 유체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가이드부는,
    넓은 면으로 유체의 이동을 차단하거나 유체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중심축을 제공하는 가이드 핀을 포함하는 환기 장치.
KR1020190160552A 2019-12-05 2019-12-05 환기 장치 KR202100706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552A KR20210070606A (ko) 2019-12-05 2019-12-05 환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552A KR20210070606A (ko) 2019-12-05 2019-12-05 환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606A true KR20210070606A (ko) 2021-06-15

Family

ID=76412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552A KR20210070606A (ko) 2019-12-05 2019-12-05 환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060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447B1 (ko) 2017-04-14 2017-12-26 윤병석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447B1 (ko) 2017-04-14 2017-12-26 윤병석 환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168B1 (ko) 선택형 댐퍼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 공조시스템
CN110645206B (zh) 用于风扇组件的喷嘴
JP2014184947A (ja) ダンパ開閉装置
CN109996999B (zh) 风向可调的空气净化器
WO2008091926A1 (en) Fan damper
JP5915416B2 (ja) 冷却室用エアカーテン装置
KR101916887B1 (ko) 풍향조절 가능한 공기청정기
US11241941B2 (en) Blow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EP3115661A1 (en) Flow-controlling unit provided in flow channel
CN110645207A (zh) 用于风扇组件的喷嘴
JP6229873B2 (ja) 流量制御ダンパ
JPH06174110A (ja) 境界漏出を減少するための延長部を有するブレードダンパー
KR20210070606A (ko) 환기 장치
CN109708287B (zh) 导流装置以及空气净化器
JP2013039924A (ja) ダンパプレート
KR20210046141A (ko) 환기 장치
KR20200000725U (ko) 산들바람형 벽걸이 에어컨
EP2770267A2 (en) Ventilation assembly, valve therefor and building containing such a ventilation assembly
KR20210070627A (ko) 환기 장치
CN100359228C (zh) 流路开关装置及空气调节装置
KR101241833B1 (ko) 수동 개폐형 댐퍼
CN109974270B (zh) 出风面板和空调室内机
KR101516265B1 (ko) 풍향 감응식 윈드 가이드
KR20210050881A (ko) 유량 조절 댐퍼
KR102263459B1 (ko) 에어 벤트 그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