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0576A - 진공 성형용 금형구조체 - Google Patents

진공 성형용 금형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0576A
KR20210070576A KR1020190160467A KR20190160467A KR20210070576A KR 20210070576 A KR20210070576 A KR 20210070576A KR 1020190160467 A KR1020190160467 A KR 1020190160467A KR 20190160467 A KR20190160467 A KR 20190160467A KR 20210070576 A KR20210070576 A KR 20210070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ackaging container
vacuum
support hole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6063B1 (ko
Inventor
김치곤
전형도
윤경배
장정석
이경구
Original Assignee
김치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치곤 filed Critical 김치곤
Priority to KR1020190160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063B1/ko
Publication of KR20210070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30Moulds
    • B29C51/36Moulds specially adapted for vacuum forming, Manufactur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30Moulds
    • B29C51/34Moulds for undercut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서리 부위를 제외한 금형의 상측 테두리에 회전 및 복원동작되는 회전커버를 배치함으로써, 시트 소재를 이용하여 포장 용기를 진공 성형하는 과정에서 언더컷 성형이 이루어지는 용기 몸체 또는 용기 뚜껑의 성형이 완료된 후에 취출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진공 성형용 금형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 성형용 금형구조체{MOLD STRUCTURE FOR VACUUM FORMING}
본 발명은 진공 성형용 금형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서리 부위를 제외한 금형의 상측 테두리에 회전 및 복원동작되는 회전커버를 배치함으로써, 시트 소재를 이용하여 포장 용기를 진공 성형하는 과정에서 언더컷 성형이 이루어지는 용기 몸체 또는 용기 뚜껑의 성형이 완료된 후에 취출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진공 성형용 금형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성형이란 가열 연화한 플라스틱 시트를 대기압을 이용하여 성형하는 성형방법의 일종인데, 최근에는 운동 기구 케이스, 전기전자제품 케이스, 냉장고 내함이나 자동차 부품 등의 제조에서 그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원료인 플라스틱 시트로는 H1PS, PS, PP, PVC, PER, ABS, PSP, PLA 등이 사용되는데, 진공성형의 가공 순서를 살펴보면 진공흡입을 위한 구멍이 다수 뚫린 금형 위에 가열된 플라스틱 시트를 고정하고 브로잉한 후 금형이나 시트를 이동시킨 후 공기를 밀폐한다. 이후 진공 구멍을 통하여 금형 내부의 공기를 급속히 배출하여 내부의 압력저하에 의한 대기압의 압력으로 시트를 금형에 밀착시켜 성형하게 된다.
진공성형은 양호한 생산성, 금형 소재의 다양성, 얇은 두께의 성형 가공성, 마무리 가공의 우수성, 인쇄 후 성형 가능성 및 금형 수정이 사출대비 용이한 점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그 사용범위가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동일한 제품이라도 그 모델에 따라 또는 수요처의 요구나 트랜드에 따라 외관 모양이 조금씩 변형된 여러 가지 옵션을 포함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인 실정이다. 예를 들면, 같은 규격의 냉장고에 포함되는 내함의 경우에도 그 돌출된 부분 등에 약간씩 변화를 주어 제품이 다양화되어 가는 실정인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금형에 의하면 해당 모델이나 옵션의 변경에 따른 신속한 대응이 쉽지 않아 금형의 교체에 드는 시간이나 비용이 만만치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또한, 언더컷이 하나 이상 발생하는 경우에 그 처리를 위한 내부 장치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그에 따라 금형의 제작비용도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기존 진공 성형을 위한 금형과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3786호 "진공 금형"(등록일자 : 2010.12.17)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시트를 이용하여 성형 제품을 진공 성형하기 위한 진공 금형에 있어서, 성형 제품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다수의 공기 통로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중앙부에 잠금핀 수용부가 관통 형성되고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볼플런저가 삽입 설치되는 잠금핀수용체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메인 코어, 상기 메인 코어에 탈부착하는 것으로서 일 측면이 평면 또는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타 측면에는 상기 잠금핀 수용체와 결합하기 위한 잠금핀이 고정 부착되는 옵션 코어; 및 상기 메인 코어의 내부에 마련되며, 피스톤 로드의 선단이 상기 옵션 코어의 타 측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에어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기존 진공 성형 금형과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47654호 "쿠션기능을 가지는 진공성형기의 금형 구동장치"(등록일자 : 2019.02.07)에 개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승강모터; 상기 승강모터 각각에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크랭크핀이 편심되도록 마련되는 크랭크암; 상기 크랭크핀 각각에 끝단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암의 회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고, 정해진 크기 이상의 압축력에 대한 완충 작용을 하는 쿠션실린더; 상기 쿠션실린더 각각의 끝단에 중심부측이 연결되고, 상기 중심부에 접힘이 가능한 힌지결합부를 가지며, 각각의 일단이 상기 메인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링크부재; 상기 링크부재 각각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쿠션실린더의 수평이동에 의해 상하로 이완되거나 수축되는 상기 링크부재에 의해 서로 대향하여 근접하거나 이격되는 테이블; 및 상기 테이블 각각에 장착되어 소재를 성형하도록 하는 상부 및 하부금형;을 포함하는, 쿠션기능을 가지는 진공성형기의 금형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시트 용기일 경우에는 용기 뚜껑의 외주면 둘레 측에 언더컷 성형이 요구되며, 언더컷 성형의 깊이가 깊게 성형될 경우, 금형에 의한 성형이 완료된 후에 용기의 취출이 용이하지 못하고 용기가 깨질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제품의 성형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고, 연속적인 성형작업이 어려워지게 되어 제품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3786호 "진공 금형"(등록일자 : 2010.12.17)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47654호 "쿠션기능을 가지는 진공성형기의 금형 구동장치"(등록일자 : 2019.02.07)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모서리 부위를 제외한 금형의 상측 테두리에 회전 및 복원동작되는 회전커버를 배치함으로써, 시트 소재를 이용하여 포장 용기를 진공 성형하는 과정에서 언더컷 성형이 이루어지는 용기 몸체 또는 용기 뚜껑의 성형이 완료된 후에 취출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진공 성형용 금형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포장 용기의 언더컷 성형이 이루어지는 진공 성형용 금형의 상부 각 모서리부위에 상측으로 돌출되고, 각 모서리부위측으로 서로 마주보는 면에 끼움공이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들 사이에 개재되도록 각각 배치되고, 상기 포장 용기의 탈형시 상기 끼움공에 끼워지는 힌지핀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젖혀지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내측에 언더컷 성형용 돌부가 오목홈부측으로 돌출된 회전커버; 및 상기포장 용기의 탈형 중 회전동작되는 회전커버를 상기 포장 용기의 탈형이 완료된 후에 다시 원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귀수단은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의 각 변 테두리에 상,하로 천공되도록 형성되는 제1지지공과, 상기 제1지지공과 수직선상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각 회전커버의 상,하로 천공되는 제2지지공과,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의 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공의 하단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공의 지름보다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지지홈과, 상기 회전커버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공의 상단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지지공의 지름보다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지지홈과, 상기 제1지지공 내에 수용되도록 결합되는 복귀스프링과, 상기 복귀스프링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2지지홈에 수용되는 상부연결바, 및 상기 복귀스프링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홈에 수용되는 하부연결바로 구성된다.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의 4변 상측에 결합되는 회전커버를 시계바늘의 진행방향으로 제1,2,3,4회전커버로 지칭할 경우,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의 모서리 중 하나에 형성되는 포장 용기의 주둥이 부위에 대응되도록 제1,4회전커버의 서로 접하는 내측에 라운드진 만곡부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의 각 모서리부위에 정사각형 단면 구조로 돌출되고, 상기 끼움공은 상기 돌출부의 4면에 상기 힌지핀이 끼워지도록 서로 교차하는 "+"자 형태로 천공된 것이다.
본 발명은 진공 성형용 금형으로부터 포장 용기의 탈형 작업시 회전커버가 외측으로 젖혀지도록 회전동작되어 회전커버의 언더컷 성형용 돌부가 포장 용기의 언더컷 성형부와 간섭되지 않게 되므로, 포장 용기의 성형작업시 외주면 둘레에 깊게 언더컷 성형하더라도 탈형이 용이하고 제품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회전커버의 젖힘동작시 포장 용기의 탈형작업이 완료된 후에 복귀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다시 원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되므로, 용기의 진공 성형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회전커버의 양측단이 진공 성형용 금형의 각 모서리부위에 돌출된 돌출부에 힌지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외부로 돌출된 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 복귀수단은 제1,2지지공을 통과하는 복귀스프링과 제1,2지지홈과 상,하부연결바를 이용하여 복귀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복귀스프링을 용이하게 지지하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성형용 금형 구조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회전커버의 젖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진공 성형용 금형의 저면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로서, 도 6a는 본 발명 회전커버와 진공 성형용 금형의 내측으로 포장 용기가 성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b는 포장 용기의 탈형시 회전커버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성형용 금형 구조체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성형용 금형 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포장 용기(10)의 언더컷 성형이 이루어지는 진공 성형용 금형(100)의 상부 각 모서리부위에 상측으로 돌출되고, 각 모서리부위측으로 서로 마주보는 면에 끼움공(152)이 형성된 돌출부(150)와; 상기 돌출부(150)들 사이에 개재되도록 각각 배치되고, 상기 포장 용기(10)의 탈형시 상기 끼움공(152)에 끼워지는 힌지핀(205)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젖혀지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내측에 상기 포장 용기(10)의 언더컷 성형을 위한 언더컷 성형용 돌부(250)가 내측의 오목홈부(105)측으로 돌출된 회전커버(200); 및 상기 포장 용기(10)의 탈형 중 회전동작되는 회전커버(200)를 상기 포장 용기(10)의 탈형이 완료된 후에 다시 원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포장 용기(10)는 합성수지 시트로 제조되는 용기 본체나 용기 뚜껑을 포함하여 지칭하며, 여기서는 용기 뚜껑을 도면에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100)은 중앙에 상부가 개구되고 하측으로 오목한 형태의 오목홈부(105)가 형성되며, 상부 테두리 상측에 각 변에 해당하는 각각의 회전커버(200)가 안착된다.
상기 회전커버(200)는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100)의 돌출부(150)들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100)은 각 모서리 부위에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5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50)는 상기 회전커버(200)들이 포장 용기(10)의 탈형작업시 각각 외측방향으로 젖혀지도록 힌지핀(205)이 끼워지는 끼움공(15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끼움공(152)은 상기한 회전커버(200)의 젖힘 동작을 위해 돌출부(150)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고 서로 직교하도록 교차하는 "+"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힌지핀(205)은 일단부가 각각의 회전커버(200)의 단부측에 핀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돌출부(150)의 끼움공(152)에 핀 결합되어 상기 회전커버(200)를 젖히도록 회전시키는 회전 중심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사각형 포장 용기(10)를 성형 제조하는 진공 성형용 금형(100)의 경우에는, 상부 테두리가 4개의 변(邊)을 가지게 되며, 4개의 변 상측에 회전커버(200)가 안착되도록 결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100)의 4변 상측에 결합되는 회전커버(200)를 시계바늘의 진행방향으로 제1,2,3,4회전커버(200A,200B,200C,200D)로 지칭할 경우,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100)의 모서리 중 하나에 형성되는 포장 용기(10)의 주둥이(12) 부위에 대응되도록 제1,4회전커버(200A,200D)의 서로 접하는 내측에 라운드진 만곡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제1,2,3,4회전커버(200A,200B,200C,200D)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에 언더컷 성형용 돌부(250)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3회전커버(200B,200C)는 내측 양단측에 포장 용기(10)의 모서리 부위를 따라 라운드지도록 상기 오목홈부(105)측으로 돌출된 라운드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2회전커버(200A,200B)는 상기 만곡부(210)가 형성된 반대편의 내측단에 포장 용기(10)의 모서리 부위를 따라 라운드지도록 상기 오목홈부(105)측으로 돌출된 상기 라운드부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3회전커버(200A,200C)는 서로 동일한 길이로 구성되고, 제2,4회전커버(200B,200D)가 서로 동일한 길이로 구성되며, 직사각형 단면구조의 포장 용기(10)를 제작하기 위해 상기 제2,4회전커버(200B,200D)가 상기 제1,3회전커버(200A,200C)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커버(200)의 젖힘 동작시 원 위치로 복귀시키는 상기 복귀수단(300)은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100)의 각 변 테두리에 상,하로 천공되도록 형성되는 제1지지공(310)과, 상기 제1지지공(310)과 수직선상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각 회전커버(200)의 상,하로 천공되는 제2지지공(320)과,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100)의 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공(310)의 하단과 연통되도록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지지홈(330)과, 상기 회전커버(200)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공(320)의 상단에 연통되도록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지지홈(340)과, 상기 제1지지공(310) 내에 수용되도록 결합되는 복귀스프링(350)과, 상기 복귀스프링(35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2지지홈(340)에 수용되는 상부연결바(360), 및 상기 복귀스프링(350)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홈(330)에 수용되는 하부연결바(37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지지공(310)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100)의 상면과 저면에 형성된 지름 크기에 비해 중간부의 지름 크기가 더 크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회전커버(200)의 회전시 상기 복귀스프링(350)의 유동을 가이드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지지공(320)은 회전커버(200)의 상측과 하측이 연통되도록 천공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지지홈(3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공(310)의 하단을 가로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가로 방향의 폭이 상기 제1지지공(310)의 지름보다 더 길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2지지홈(340)은 상기 제2지지공(320)의 상단을 가로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가로 방향의 폭이 상기 제2지지공(320)의 지름보다 더 길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복귀스프링(350)은 상단과 하단에 상기 상부연결바(360)와 하부연결바(370)가 결합되도록 고리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복귀스프링(350)은 상기 회전커버(200)의 젖힘 동작시 길이가 신장되고, 상기 회전커버(200)를 젖히는 힘이 제거될 경우 다시 회전커버(200)를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100)의 상측으로 복귀시키도록 수축되면서 복원동작된다.
상기 상부연결바(360)는 상기 복귀스프링(350)의 상단에 끼워지고 제2지지홈(340) 내에 수용되어 상기 복귀스프링(350)의 하방향 이탈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하부연결바(370)는 상기 복귀스프링(350)의 하단에 끼워지고 상기 제1지지홈(330) 내에 수용되어 상기 복귀스프링(350)의 상방향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포장 용기(10)의 용기 뚜껑을 진공 성형하는 진공 성형용 금형(100)의 모서리 상측에 각각 돌출 형성된 돌출부(150)들 사이에 회전커버(200)를 각각 배치시키고, 상기 회전커버(200)를 힌지핀(205)을 중심으로 돌출부(15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상기 포장 용기(10)의 진공 성형 중에 상기 회전커버(200)의 언더컷 성형용 돌부(250)에 의해 포장 용기(10)의 외주면 둘레에 언더컷 성형부(15)가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회전커버(200)는 포장 용기(10)의 탈형시 탈형 압력에 의해 도 4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탈형되는 포장 용기(10)의 언더컷 성형부(15)와 간섭되지 않도록 각각 외측으로 젖혀지게 회전 동작된다.
이로 인해, 상기 회전커버(200)의 젖힘동작시 상기 포장 용기(10)의 언더컷 성형부(15)가 상기 회전커버(200)의 언더컷 성형용 돌부(250)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언더컷 성형부(15)와 언더컷 성형용 돌부(250)의 간섭없이 상기 포장 용기(10)를 용이하게 탈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복귀스프링(350)은 상기 회전커버(200)의 회전동작시 길이가 길어지도록 신장 동작된다.
상기한 포장 용기(10)의 탈형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탈형 압력이 제거되어 상기 복귀스프링(350)이 수축 동작되며, 이에 따라 상기 회전커버(200)가 상기 복귀스프링(350)의 복원력에 의해 원 위치로 복귀동작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복귀수단(300)은 상기한 회전커버(200)를 각각 탈형작업이 완료된 후에 원 위치로 복귀시킴에 따라 포장 용기(10)의 반복적인 진공 성형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복귀수단(300)은 상기 복귀스프링(350)의 신축동작시 상부연결바(360)가 상기 회전커버(200)에 형성된 제2지지홈(340)에 걸려서 간섭되고, 하부연결바(370)는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100)의 저면에 형성된 제1지지홈(330)에 간섭되어 상기 상,하부연결바(360,370)가 상기 복귀스프링(35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진공 성형용 금형(100)으로부터 포장 용기(10)의 탈형 작업시 회전커버(200)가 외측으로 젖혀지도록 회전동작되어 회전커버(200)의 언더컷 성형용 돌부(250)가 포장 용기(10)의 언더컷 성형부(15)와 간섭되지 않게 되므로, 포장 용기(10)의 성형작업시 외주면 둘레에 깊게 언더컷 성형하더라도 탈형이 용이하고 제품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회전커버(200)의 젖힘동작시 포장 용기(10)의 탈형작업이 완료된 후에 복귀스프링(350)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다시 원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되므로, 용기의 진공 성형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회전커버(200)의 양측단이 진공 성형용 금형(100)의 각 모서리부위에 돌출된 돌출부(150)에 힌지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외부로 돌출된 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 복귀수단(300)은 제1,2지지공을 통과하는 복귀스프링(350)과 제1,2지지홈과 상,하부연결바(360,370)를 이용하여 복귀스프링(35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복귀스프링(350)을 용이하게 지지하고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포장 용기 12 : 주둥이
15 : 언더컷 성형부 100 : 진공 성형용 금형
105 : 오목홈부 150 : 돌출부
152 : 끼움공 200 : 회전커버
200A,200B,200C,200D : 제1,2,3,4회전커버
205 : 힌지핀 210 : 만곡부
250 : 언더컷 성형용 돌부 300 : 복귀수단
310 : 제1지지공 320 : 제2지지공
330 : 제1지지홈 340 : 제2지지홈
350 : 복귀스프링 360 : 상부연결바
370 : 하부연결바

Claims (4)

  1. 포장 용기(10)의 언더컷 성형이 이루어지는 진공 성형용 금형(100)의 상부 각 모서리부위에 상측으로 돌출되고, 각 모서리부위측으로 서로 마주보는 면에 끼움공(152)이 형성된 돌출부(150)와;
    상기 돌출부(150)들 사이에 개재되도록 각각 배치되고, 상기 포장 용기(10)의 탈형시 상기 끼움공(152)에 끼워지는 힌지핀(205)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젖혀지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내측에 언더컷 성형용 돌부(250)가 오목홈부(105)측으로 돌출된 회전커버(200); 및
    상기 포장 용기(10)의 탈형 중 회전동작되는 회전커버(200)를 상기 포장 용기(10)의 탈형이 완료된 후에 다시 원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수단(30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성형용 금형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귀수단(300)은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100)의 각 변 테두리에 상,하로 천공되도록 형성되는 제1지지공(310)과,
    상기 제1지지공(310)과 수직선상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각 회전커버(200)의 상,하로 천공되는 제2지지공(320)과,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100)의 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공(310)의 하단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공(310)의 지름보다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지지홈(330)과,
    상기 회전커버(200)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지지공(320)의 상단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지지공(320)의 지름보다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2지지홈(340)과,
    상기 제1지지공(310) 내에 수용되도록 결합되는 복귀스프링(350)과,
    상기 복귀스프링(35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2지지홈(340)에 수용되는 상부연결바(360), 및
    상기 복귀스프링(350)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홈(330)에 수용되는 하부연결바(3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성형용 금형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100)의 4변 상측에 결합되는 회전커버(200)를 시계바늘의 진행방향으로 제1,2,3,4회전커버(200A,200B,200C,200D)로 지칭할 경우,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100)의 모서리 중 하나에 형성되는 포장 용기(10)의 주둥이(12) 부위에 대응되도록 제1,4회전커버(200A,200D)의 서로 접하는 내측에 라운드진 만곡부(2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성형용 금형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50)는 상기 진공 성형용 금형(100)의 각 모서리부위에 정사각형 단면 구조로 돌출되고,
    상기 끼움공(152)은 상기 돌출부(150)의 4면에 상기 힌지핀(205)이 끼워지도록 서로 교차하는 "+"자 형태로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성형용 금형 구조체.
KR1020190160467A 2019-12-05 2019-12-05 진공 성형용 금형구조체 KR102276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467A KR102276063B1 (ko) 2019-12-05 2019-12-05 진공 성형용 금형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467A KR102276063B1 (ko) 2019-12-05 2019-12-05 진공 성형용 금형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576A true KR20210070576A (ko) 2021-06-15
KR102276063B1 KR102276063B1 (ko) 2021-07-12

Family

ID=76412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467A KR102276063B1 (ko) 2019-12-05 2019-12-05 진공 성형용 금형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0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436B1 (ko) * 2020-05-08 2021-11-17 김치곤 밀폐형 안전 포장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786B1 (ko) 2008-12-01 2010-12-24 (주)삼원화 진공 금형
JP2016036988A (ja) * 2014-08-08 2016-03-22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アンダーカット処理治具及びアンダーカット処理方法
KR101947654B1 (ko) 2017-11-02 2019-02-13 안재익 쿠션기능을 가지는 진공성형기의 금형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786B1 (ko) 2008-12-01 2010-12-24 (주)삼원화 진공 금형
JP2016036988A (ja) * 2014-08-08 2016-03-22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アンダーカット処理治具及びアンダーカット処理方法
KR101947654B1 (ko) 2017-11-02 2019-02-13 안재익 쿠션기능을 가지는 진공성형기의 금형 구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436B1 (ko) * 2020-05-08 2021-11-17 김치곤 밀폐형 안전 포장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063B1 (ko) 202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5103B2 (ja) 3次元物品又は容器を形成する工具
KR102276063B1 (ko) 진공 성형용 금형구조체
KR101519949B1 (ko) 언더컷을 갖는 제품 형성용 사출 성형 금형
KR101137769B1 (ko) 주름용기의 주름성형장치
JP5719425B2 (ja) 射出金型のアンダーカット取出し装置
ATE326325T1 (de) Rundtischmaschine zum pressformen von kunststoff- artikeln
KR100856932B1 (ko) 청소기 부품의 이중 사출금형
KR101910626B1 (ko) 반반컵 및 그 제조방법
CN210213314U (zh) 一种方便加工的瓶盖
KR102433515B1 (ko)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
CN210148648U (zh) 一种塑料箱模具
CN208962345U (zh) 细孔类产品模具
KR102106494B1 (ko) 표면에 미세 문양이 형성된 조형물의 금형장치
CN115122593A (zh) 电子塑封异型模具排气与脱模系统
JP3647521B2 (ja) 抜き型
EP0823298A2 (en) A process and a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pile-up lids, and lids obtained thereby
CN217531750U (zh) 一种便于脱模的置物容器
CN208052408U (zh) 一种自顶出防尘罩模具
KR101003786B1 (ko) 진공 금형
CN218026923U (zh) 一种便于脱模的倒扣结构
CN103407133B (zh) 用于模具的开闭器
CN214294199U (zh) 一种便于更换内部模具的塑料模具
CN211251159U (zh) 一种医药盒盖子注塑模具
CN114750400A (zh) 一种吸塑模具及其脱模方法
CN221233004U (zh) 一种用于生产智能马桶盖板的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2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4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10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4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2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105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4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12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7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