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515B1 -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515B1
KR102433515B1 KR1020200138964A KR20200138964A KR102433515B1 KR 102433515 B1 KR102433515 B1 KR 102433515B1 KR 1020200138964 A KR1020200138964 A KR 1020200138964A KR 20200138964 A KR20200138964 A KR 20200138964A KR 102433515 B1 KR102433515 B1 KR 102433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core
elastic member
sleeve pin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4970A (ko
Inventor
이병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00138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515B1/ko
Publication of KR20220054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3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inclined, tiltable or flexi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driven by the ejec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04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29C2045/363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using a movable core or cor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2045/44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the movable undercut forming element for ejection of the moulded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 성형시 금형으로부터 성형품을 취출하는 과정에서 경사형 보스의 내경부와 외경부를 코어핀과 슬리브핀으로부터 각각 순차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언더컷 취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는 가동금형과 형합되는 코어, 상기 코어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코어핀, 상기 코어핀에 끼워져 코어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리브핀, 상기 코어와 슬리브핀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슬리브핀에 끼워져 슬리브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취출블럭, 상기 코어핀과 상기 슬리브핀 사이에 설치되어 코어핀에 대해 슬리브핀을 탄발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슬리브핀과 상기 취출블럭 사이에 설치되어 슬리브핀에 대해 취출블럭을 탄발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Undercut processing device of injection mold}
본 발명은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출 성형시 금형으로부터 성형품의 취출 과정에서 경사형 보스의 내경부와 외경부를 코어핀과 슬리브핀으로부터 각각 순차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형을 이용한 사출 성형품의 제작에는 제품의 형상으로 가공된 캐비티를 갖춘 적어도 한 벌의 고정 금형과 가동 금형이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사출 성형품에 있어 보스부와 같이 외부로 돌출된 형태의 구조물이 있는 경우에는 핀 구조물 형태의 부가물이 필요로 하게 되며, 외부로 돌출된 형태의 구조물이 본체에 대해 특정한 경사각도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금형의 취출 구조상 언더컷이 발생하기 때문에 금형에 대해 언더컷을 해소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어야 한다.
이에 따라, 종래 언더컷 해소를 위한 금형은 그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금형의 크기가 증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금형을 제작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도 크게 상승하게 되는 단점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종래 보스부류의 각도가 있는 사출 성형품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에서는 언더컷 해소를 위한 구조적 문제로 인해 보스부를 갖춘 제품의 설계에 제한이 따르는 문제가 있게 된다.
등록실용신안 제1999-0019360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출 성형시 금형으로부터 성형품을 취출하는 과정에서 경사형 보스의 내경부와 외경부를 코어핀과 슬리브핀으로부터 각각 순차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언더컷 취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는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경사형 보스를 일체로 갖춘 사출 성형품의 제조를 위해 사출 금형에 구비되는 언더컷 처리 장치에 있어서, 가동금형과 형합되고 사출 성형품의 본체를 사출하기 위한 캐비티를 갖춘 코어, 상기 코어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코어핀, 상기 코어핀에 끼워져 코어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리브핀, 상기 코어와 슬리브핀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슬리브핀에 끼워져 슬리브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취출블럭, 상기 코어핀과 상기 슬리브핀 사이에 설치되어 코어핀에 대해 슬리브핀을 탄발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슬리브핀과 상기 취출블럭 사이에 설치되어 슬리브핀에 대해 취출블럭을 탄발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제2탄성부재 보다 스프링 계수가 더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코어핀과 상기 슬리브핀은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호 연동하기 위한 제1연동 작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연동 작용부는 상기 코어핀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제1탄성부재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플랜지, 및 상기 슬리브핀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제1탄성부재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2플랜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슬리브핀과 상기 취출블럭은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호 연동하기 위한 제2연동 작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연동 작용부는 상기 슬리브핀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제2탄성부재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2플랜지, 및 상기 취출블럭의 내부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제2탄성부재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단차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경사형 보스를 일체로 갖춘 사출 성형품의 제조를 위해 사출 금형에 구비되는 언더컷 처리 장치에 있어서, 가동금형과 형합되고 사출 성형품의 본체를 사출하기 위한 캐비티를 갖춘 코어, 상기 코어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코어핀, 상기 코어핀에 끼워져 코어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리브핀, 상기 코어와 슬리브핀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슬리브핀에 끼워져 슬리브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취출블럭, 상기 코어핀과 상기 슬리브핀 사이에 설치되어 코어핀에 대해 슬리브핀을 탄발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슬리브핀과 상기 취출블럭 사이에 설치되어 슬리브핀에 대해 취출블럭을 탄발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제2탄성부재 보다 스프링 계수가 더 크게 설정되고, 상기 코어핀은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지지하기 위한 제1탄성력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핀은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작용력을 제공받는 제1작용력 수압부, 및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지지하기 위한 제2탄성력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취출블럭은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작용력을 제공받는 제2작용력 수압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탄성력 지지부는 상기 코어핀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제1탄성부재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플랜지로 구성되고, 상기 제1작용력 수압부는 상기 슬리브핀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제1탄성부재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2플랜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2탄성력 지지부는 상기 슬리브핀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제2탄성부재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2플랜지로 구성되고, 상기 제2작용력 수압부는 상기 취출블럭의 내부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제2탄성부재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단차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코어핀은 상기 경사형 보스의 내경부에 삽입되는 중실형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핀은 상기 경사형 보스의 외경부를 수용하는 중공형 삽입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슬리브핀은 상기 코어핀에 대한 슬리브핀의 하향변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1플랜지와 접촉하는 제1하향 기준부를 구비하고, 상기 취출블럭은 상기 슬리브핀에 대한 취출블럭의 하향변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2플랜지와 접촉하는 제2하향 기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코어에 대해 상기 코어핀의 경사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경사 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경사 조절부는 상기 코어의 수용구멍 하부에 설치되는 고정블록, 및 상기 고정블록에 대해 경사각도가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코어핀의 하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가동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는 경사형 구조의 성형부위를 가지는 성형품에 대한 사출 성형시 금형으로부터 성형품을 취출하는 과정을 2단계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성형품의 취출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는 경사형 구조의 성형부위를 가지는 성형품에 대한 사출 성형시 금형으로부터 성형품을 취출하는 과정에서 경사형 보스의 내경부와 외경부를 코어핀과 슬리브핀으로부터 각각 순차적으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언더컷 취출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금형으로부터 성형품이 받게 되는 작동 하중을 줄일 수 있으므로, 보다 원활한 성형품의 취출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에 대한 주요 구성부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에 대한 주요 구성부위를 보다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해 각 구성부품을 분리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에 있어, 사출 성형의 각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사출 성형의 과정에서 취출블럭의 작동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사출 성형의 과정에서 취출블럭의 작동 후 1단계의 시점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사출 성형의 과정에서 취출블럭의 작동 후 2단계의 시점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사출 성형의 과정을 완전히 종료한 상태에서 완성된 성형품을 취출블럭으로부터 탈거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는 본체(1)와, 본체(1)의 저면부에 경사형 보스(3)를 일체로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사출 성형품을 제작하는 데 필요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는 코어(10), 코어핀(20), 슬리브핀(30), 취출블럭(40), 제1탄성부재(50), 및 제2탄성부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코어(10)는 가동금형(미도시)과의 형합을 통해 사출 성형품의 본체(1)를 사출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를 구비한다. 또한, 코어(10)는 상하방향으로 소재를 관통하는 형태의 수용구멍(12)을 구비한다. 이 경우, 수용구멍(12)은 내부에 코어핀(20)과 슬리브핀(30), 취출블럭(40), 제1탄성부재(50), 및 제2탄성부재(60)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된다. 특히, 코어(10)의 상단면은 가동금형과의 형합시 본체(1)의 저면부와 맞닿는 부위에 해당한다.
코어핀(20)은 가동금형(미도시)과의 형합을 통해 사출 성형품의 경사형 보스(3)를 사출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를 구비한다. 또한, 코어(10)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코어(10)에 대한 코어핀(20)의 경사각도는 본체(1)에 대한 경사형 보스(3)의 경사각도와 동일하며, 경사각도의 정도는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코어핀(20)은 코어(10)에 대해 저면부가 고정되는 중실형 로드부(22), 중실형 로드부(22)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중실형 삽입부(24), 및 중실형 로드부(22)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플랜지(26)를 일체로 갖춘 구조로 구성된다. 특히, 코어핀(20)의 중실형 삽입부(24)는 경사형 보스(3)의 내경부(3a)의 성형을 위한 캐비티를 조성하게 된다.
슬리브핀(30)은 가동금형(미도시)과의 형합을 통해 사출 성형품의 경사형 보스(3)를 사출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를 구비한다. 또한, 슬리브핀(30)은 코어핀(20)에 끼워져 코어핀(2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슬리브핀(30)은 코어핀(20)에 끼워지는 중공형 로드부(32), 중공형 로드부(32)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중공형 삽입부(34), 및 중공형 로드부(32)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플랜지(36)를 일체로 갖춘 구조로 구성된다. 특히, 슬리브핀(30)의 중공형 삽입부(34)는 경사형 보스(3)의 외경부(3b)의 성형을 위한 캐비티를 조성하게 된다.
취출블럭(40)은 가동금형(미도시)과의 형합을 통해 사출 성형품의 본체(1)를 사출 성형하기 위한 캐비티를 구비한다. 또한, 취출블럭(40)은 슬리브핀(30)에 끼워져 슬리브핀(3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경우, 취출블럭(40)은 코어(10)의 수용구멍(12)과 슬리브핀(30)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취출블럭(40)은 슬리브핀(30)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삽입구멍(42), 및 삽입구멍(42)의 내부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소재의 두께를 축소시키는 단차부(44)를 구비한다.
제1탄성부재(50)는 코어핀(20)과 슬리브핀(30) 사이에 설치되어 코어핀(20)에 대해 슬리브핀(30)을 탄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1탄성부재(50)는 코어핀(20)의 제1플랜지(26)와 슬리브핀(30)의 제2플랜지(36)에 대해 양단부가 각각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제2탄성부재(60)는 슬리브핀(30)과 취출블럭(40) 사이에 설치되어 슬리브핀(30)에 대해 취출블럭(40)을 탄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2탄성부재(60)는 슬리브핀(30)의 제2플랜지(36)와 취출블럭(40)의 단차부(44)에 대해 양단부가 각각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 제1탄성부재(50)는 제2탄성부재(60) 보다 스프링 계수가 더 크게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코어핀(20)과 슬리브핀(30)은 제1탄성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상호 연동하기 위한 제1연동 작용부를 구비한다.
이 경우, 제1연동 작용부는 코어핀(20)의 중실형 로드부(22)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제1탄성부재(50)의 하측에 위치하는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플랜지(26), 및 슬리브핀(30)의 중공형 로드부(32)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제1탄성부재(50)의 상측에 위치하는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2플랜지(36)로 구성된다.
슬리브핀(30)과 취출블럭(40)은 제2탄성부재(60)의 탄성력에 의해 상호 연동하기 위한 제2연동 작용부를 구비한다.
이 경우, 제2연동 작용부는 슬리브핀(30)의 중실형 로드부(22)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제2탄성부재(60)의 하측에 위치하는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2플랜지(36), 및 취출블럭(40)의 삽입구멍(42) 내부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제2탄성부재(60)의 상측에 위치하는 타단부를 지지하는 단차부(44)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코어핀(20)은 경사형 보스(3)의 내경부(3a)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중실형 삽입부(24)를 구비하고, 슬리브핀(30)은 경사형 보스(3)의 외경부(3b)를 내부에 수용 가능하게 하는 중공형 삽입부(34)를 구비한다.
슬리브핀(30)은 코어핀(20)의 제1플랜지(26)와의 접촉을 통해 코어핀(20)에 대한 슬리브핀(30)의 하향변위를 제한하여 코어(10)와 가동금형의 형합시 슬리브핀(30)의 상단면이 본체(1)의 저면부에 위치하게 하는 선단면 형태의 제1하향 기준부(32a)를 구비한다. 즉, 슬리브핀(30)은 코어핀(20)에 대한 슬리브핀(30)의 하향변위를 제한하기 위해 중공형 로드부(32)의 하측면에 제1플랜지(26)의 상측면과 접촉 가능한 선단면 형태의 제1하향 기준부(32a)를 구비한다.
취출블럭(40)은 슬리브핀(30)의 제2플랜지(36)와의 접촉을 통해 슬리브핀(30)에 대한 취출블럭(40)의 하향변위를 제한하여 코어(10)와 가동금형의 형합시 취출블럭(40)의 상단면이 본체(1)의 저면부에 위치하게 하는 걸림턱 형태의 제2하향 기준부(44a)를 구비한다. 즉, 취출블럭(40)은 슬리브핀(30)에 대한 취출블럭(40)의 하향변위를 제한하기 위해 단차부(44)의 하측부위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제2플랜지(36)의 상측면과 접촉 가능한 걸림턱 형태의 제2하향 기준부(44a)를 구비한다.
이 결과, 본 발명은 코어(10)와 가동금형의 형합 상태에서 코어(10)의 상단면 높이는 슬리브핀(30)의 상단면 높이와 취출블럭(40)의 상단면 높이와 각각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게 되므로, 사출 성형시 본체(1)의 저면부를 평탄한 상태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코어핀(20)의 중실형 삽입부(24)와 슬리브핀(30)의 중공형 삽입부(34)의 경우에도 경사형 보스(3)의 내경부(3a)와 외경부(3b)를 정상적으로 성형할 수 있게 하는 형태로 구성됨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코어핀(20)은 제1탄성부재(50)의 탄성력을 지지하기 위한 제1탄성력 지지부를 구비한다.
슬리브핀(30)은 제1탄성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한 작용력을 제공받는 제1작용력 수압부, 및 제2탄성부재(60)의 탄성력을 지지하기 위한 제2탄성력 지지부를 구비한다.
취출블럭(40)은 제2탄성부재(60)의 탄성력에 의한 작용력을 제공받는 제2작용력 수압부를 구비한다.
이 경우, 제1탄성력 지지부는 코어핀(20)의 중실형 로드부(22)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제1탄성부재(50)의 하측에 위치하는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플랜지(26)의 상측면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1작용력 수압부는 슬리브핀(30)의 중공형 로드부(32)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제1탄성부재(50)의 상측에 위치하는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2플랜지(36)의 하측면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2탄성력 지지부는 슬리브핀(30)의 중공형 로드부(32)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제2탄성부재(60)의 하측에 위치하는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2플랜지(36)의 상측면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2작용력 수압부는 취출블럭(40)의 삽입구멍(42) 내부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제2탄성부재(60)의 상측에 위치하는 타단부를 지지하는 단차부(44)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코어핀(20)은 경사형 보스(3)의 내경부(3a)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중실형 삽입부(24)를 구비하고, 슬리브핀(30)은 경사형 보스(3)의 외경부(3b)를 내부에 수용 가능하게 하는 중공형 삽입부(34)를 구비한다.
슬리브핀(30)은 코어핀(20)의 제1플랜지(26)와의 접촉을 통해 코어핀(20)에 대한 슬리브핀(30)의 하향변위를 제한하여 코어(10)와 가동금형의 형합시 슬리브핀(30)의 상단면이 본체(1)의 저면부에 위치하게 하는 선단면 형태의 제1하향 기준부(32a)를 구비한다. 즉, 슬리브핀(30)은 코어핀(20)에 대한 슬리브핀(30)의 하향변위를 제한하기 위해 중공형 로드부(32)의 하측면에 제1플랜지(26)의 상측면과 접촉 가능한 선단면 형태의 제1하향 기준부(32a)를 구비한다.
취출블럭(40)은 슬리브핀(30)의 제2플랜지(36)와의 접촉을 통해 슬리브핀(30)에 대한 취출블럭(40)의 하향변위를 제한하여 코어(10)와 가동금형의 형합시 취출블럭(40)의 상단면이 본체(1)의 저면부에 위치하게 하는 걸림턱 형태의 제2하향 기준부(44a)를 구비한다. 즉, 취출블럭(40)은 슬리브핀(30)에 대한 취출블럭(40)의 하향변위를 제한하기 위해 단차부(44)의 하측부위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제2플랜지(36)의 상측면과 접촉 가능한 걸림턱 형태의 제2하향 기준부(44a)를 구비한다.
이 결과, 본 발명은 코어(10)와 가동금형의 형합 상태에서 코어(10)의 상단면 높이는 슬리브핀(30)의 상단면 높이와 취출블럭(40)의 상단면 높이와 각각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게 되므로, 사출 성형시 본체(1)의 저면부를 평탄한 상태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코어핀(20)의 중실형 삽입부(24)와 슬리브핀(30)의 중공형 삽입부(34)의 경우에도 경사형 보스(3)의 내경부(3a)와 외경부(3b)를 정상적으로 성형할 수 있게 하는 형태로 구성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코어(10)에 대해 코어핀(20)의 경사각도를 본체(1)에 대한 경사형 보스(3)의 형성각에 맞춰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경사 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경사 조절부는 코어(10)의 수용구멍(12) 하부에 설치되는 고정블록(70), 및 고정블록(70)에 대해 경사각도가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코어핀(20)의 하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가동블록(80)으로 구성된다. 즉, 고정블록(70)은 코어(10)의 저면부에서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이고, 가동블록(80)은 고정블록(70)에 대해 경사각도가 세팅된 상태에서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는 경사형 보스(3)를 갖춘 본체(1)를 사출 성형할 때,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도 4는 사출 성형의 과정에서 취출블럭의 작동 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로 하면, 사출 성형이 완료된 상태에서 가동금형만이 상부로 이동하여 이형되면, 코어(10)와 코어핀(20), 슬리브핀(30), 및 취출블럭(40)은 본체(1)의 저면부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1하향 기준부(32a)는 제1플랜지(26)의 상부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2하향 기준부(44a)는 제2플랜지(36)의 상부면에 대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5는 사출 성형의 과정에서 취출블럭의 작동 후 1단계의 시점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로 하면,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제1탄성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한 작용력이 개시되면, 제2플랜지(36)의 상부면은 제2하향 기준부(44a)와 접촉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제1탄성부재(50)에 의한 복원력을 매개로 슬리브핀(30)과 취출블럭(40)은 동시에 같은 스트로크로 상승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코어핀(20)의 중실형 삽입부(24)는 경사형 보스(3)의 내경부(3a)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사출 성형의 과정에서 취출블럭의 작동 후 2단계의 시점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로 하면, 제2탄성부재(60)의 탄성력에 의한 작용력이 개시되면, 슬리브핀(30)은 그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서 취출블럭(40)만이 단독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슬리브핀(30)의 중공형 삽입부(34)는 경사형 보스(3)의 외경부(3b)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사출 성형의 과정을 완전히 종료한 상태에서 완성된 성형품을 취출블럭으로부터 탈거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로 하면, 완성된 사출 성형품의 본체(1)와 경사형 보스(3)는 취출블럭(40)의 삽입구멍(42)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아무런 제약없이 용이하게 꺼낼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본체 3-경사형 보스
3a-내경부 3b-외경부
10-코어 12-수용구멍
20-코어핀 22-중실형 로드부
24-중실형 삽입부 26-제1플랜지
30-슬리브핀 32-중공형 로드부
34-중공형 삽입부 36-제2플랜지
40-취출블럭 42-삽입구멍
44-단차부 50-제1탄성부재
60-제2탄성부재 70-고정블록
80-가동블록

Claims (12)

  1. 가동금형과 형합되는 코어;
    상기 코어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고정되게 설치되고 사출 성형품인 본체의 저면부에 형성되는 경사형 보스에 삽입되는 코어핀;
    상기 코어핀에 끼워져 코어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리브핀;
    상기 코어와 슬리브핀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슬리브핀에 끼워져 슬리브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취출블럭;
    상기 코어핀과 상기 슬리브핀 사이에 설치되어 코어핀에 대해 슬리브핀을 탄발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슬리브핀과 상기 취출블럭 사이에 설치되어 슬리브핀에 대해 취출블럭을 탄발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제2탄성부재 보다 스프링 계수가 더 크게 설정되고,
    상기 코어핀은 상기 경사형 보스의 내경부에 삽입되는 중실형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핀은 상기 경사형 보스의 외경부를 수용하는 중공형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핀은 상기 코어핀에 대한 슬리브핀의 하향변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코어핀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제1탄성부재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플랜지와 접촉하는 제1하향 기준부를 구비하고, 상기 취출블럭은 상기 슬리브핀에 대한 취출블럭의 하향변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핀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제1탄성부재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2플랜지와 접촉하는 제2하향 기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핀과 상기 슬리브핀은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호 연동하기 위한 제1연동 작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연동 작용부는
    상기 코어핀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제1탄성부재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플랜지; 및
    상기 슬리브핀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제1탄성부재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2플랜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핀과 상기 취출블럭은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호 연동하기 위한 제2연동 작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연동 작용부는
    상기 슬리브핀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제2탄성부재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2플랜지; 및
    상기 취출블럭의 내부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제2탄성부재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단차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
  6. 가동금형과 형합되는 코어;
    상기 코어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고정되게 설치되고 사출 성형품인 본체의 저면부에 형성되는 경사형 보스에 삽입되는 코어핀;
    상기 코어핀에 끼워져 코어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리브핀;
    상기 코어와 슬리브핀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슬리브핀에 끼워져 슬리브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취출블럭;
    상기 코어핀과 상기 슬리브핀 사이에 설치되어 코어핀에 대해 슬리브핀을 탄발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슬리브핀과 상기 취출블럭 사이에 설치되어 슬리브핀에 대해 취출블럭을 탄발 지지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부재는 상기 제2탄성부재 보다 스프링 계수가 더 크게 설정되고,
    상기 코어핀은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지지하기 위한 제1탄성력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핀은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작용력을 제공받는 제1작용력 수압부, 및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지지하기 위한 제2탄성력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취출블럭은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작용력을 제공받는 제2작용력 수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코어핀은 상기 경사형 보스의 내경부에 삽입되는 중실형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핀은 상기 경사형 보스의 외경부를 수용하는 중공형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핀은 상기 코어핀에 대한 슬리브핀의 하향변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코어핀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제1탄성부재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플랜지와 접촉하는 제1하향 기준부를 구비하고, 상기 취출블럭은 상기 슬리브핀에 대한 취출블럭의 하향변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핀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제1탄성부재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2플랜지와 접촉하는 제2하향 기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력 지지부는 상기 코어핀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제1탄성부재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플랜지로 구성되고, 상기 제1작용력 수압부는 상기 슬리브핀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제1탄성부재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2플랜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력 지지부는 상기 슬리브핀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제2탄성부재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2플랜지로 구성되고, 상기 제2작용력 수압부는 상기 취출블럭의 내부에서 단차지게 형성되어 제2탄성부재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단차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코어에 대해 상기 코어핀의 경사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경사 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경사 조절부는
    상기 코어의 수용구멍 하부에 설치되는 고정블록; 및
    상기 고정블록에 대해 경사각도가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코어핀의 하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가동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
KR1020200138964A 2020-10-26 2020-10-26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 KR102433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964A KR102433515B1 (ko) 2020-10-26 2020-10-26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964A KR102433515B1 (ko) 2020-10-26 2020-10-26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970A KR20220054970A (ko) 2022-05-03
KR102433515B1 true KR102433515B1 (ko) 2022-08-18

Family

ID=81591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964A KR102433515B1 (ko) 2020-10-26 2020-10-26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515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2443B2 (ja) * 1993-07-22 1999-08-30 富士通株式会社 モールド金型
KR19990019360A (ko) 1997-08-29 1999-03-15 윤종용 충전용 배터리의 메모리 효과를 억제하기 위한 충방전 장치
KR100959627B1 (ko) * 2008-03-04 2010-05-27 김현수 사출금형에서 경사진 부분의 인서트 사출장치
KR20090011122U (ko) * 2008-04-25 2009-10-29 이원식 사출금형의 보스 언더 컷 취출 장치
KR20200117534A (ko) * 2019-04-04 2020-10-14 최병수 사출물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isumi Corporation. MISUMI Press Die Catalog. Tokyo: Misumi Corporation. 2015.12.31., First Edition (제657쪽 내지 제668쪽)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970A (ko) 202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12198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パッドの製造方法
JP5029452B2 (ja) 成形金型およびその脱型方法
CN100551661C (zh) 成型装置
KR102433515B1 (ko)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 장치
CN102601944A (zh) 一种塑料品成型用强制脱模装置
CN110539457A (zh) 深筋二次顶出机构
KR200473252Y1 (ko) 언더컷 처리 금형 장치
JP7095573B2 (ja) 射出成形金型
CN211074379U (zh) 一种塑料材料顶出机构强制先复位结构
TW202227253A (zh) 成型模具
CN107775903B (zh) 一种双滑块斜顶脱模机构
KR101801977B1 (ko) 사출 성형 장치 및 사출 성형 방법
JPH08216198A (ja) 射出成形用金型
US20160271849A1 (en) A mould
CN213733204U (zh) 一种模具出模结构
CN210679448U (zh) 一种具有二次顶出机构的双色模具
KR100823340B1 (ko) 금형조립체의 내측 언더컷 성형장치 및 그 방법
CN212948994U (zh) 一种自动复位顶出结构
JP2007040394A (ja) バンパーラバーおよびバンパーラバーの製造方法
CN109774080B (zh) 一种模具组件
CN219466898U (zh) 一种注塑模具的二次顶出机构
CN209869304U (zh) 产品脱模组件
CN212241775U (zh) 紧凑型模具用弹顶组件
CN218080266U (zh) 一种水套型芯模具
KR102273673B1 (ko) 블로우 몰딩 3단 분리 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