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9409A - 차량용 램프의 광량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의 광량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9409A
KR20210069409A KR1020190159194A KR20190159194A KR20210069409A KR 20210069409 A KR20210069409 A KR 20210069409A KR 1020190159194 A KR1020190159194 A KR 1020190159194A KR 20190159194 A KR20190159194 A KR 20190159194A KR 20210069409 A KR20210069409 A KR 20210069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value
light source
current valu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환
김지호
이동규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9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9409A/ko
Publication of KR20210069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4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41Spatial arrangement of several lamps in relation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7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electrical means including means to transmit the movements, e.g. shafts or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복수의 광원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광량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차량용 램프의 광량을 제어 장치는 복수의 광원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광원 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전류값을 선정하는 전류값 산출부, 상기 구동 전류값을 상기 복수의 광원 모듈에 인가하여 상기 광량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값 산출부는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온도 값보다 크고 감지된 온도가 소정의 온도 값만큼 상승 시, 상기 구동 전류값을 미리 설정된 비율로 감소시키되, 상기 제1 온도 값보다 큰 복수의 온도 구간마다 설정된 상기 비율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의 광량 제어 장치{LIGHT CONTROL DEVICE FOR VEHICLE LAMP}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의 광량 제어 장치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의 광량을 광원 모듈에서 감지된 온도를 통하여 제어함에 따라 광량이 일정한 값을 갖도록 제어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헤드 램프(Head lamp) 및 포그 램프(Fog lamp)와,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턴 시그널 램프(Turn signal lamp), 테일 램프(Tail lamp), 브레이크 램프(Brake lamp),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차량용 램프들 중, 헤드 램프는 야간과 같이 주변 환경이 어두운 상황에서 차량을 주행하는 경우,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헤드 램프는, 실드 부재의 구동에 따라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는 헤드 램프가 하나의 램프 모듈로 제공되기도 하고,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와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가 각각 별개의 램프 모듈로 제공되는 경우도 있다.
한편, 차량용 램프는 일반적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 모듈을 사용하는데, LED는 온도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LED 온도가 한계점을 넘어갈 경우, LED에 오류가 발생하여 차량용 램프의 광량 제어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1-086432 (2011. 04. 2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것은 차량용 램프에 포함된 광원 모듈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되 광원 모듈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지 않게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의 광량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복수의 광원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광량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차량용 램프의 광량을 제어 장치는 복수의 광원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광원 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전류값을 선정하는 전류값 산출부, 상기 구동 전류값을 상기 복수의 광원 모듈에 인가하여 상기 광량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값 산출부는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온도 값보다 크고 감지된 온도가 소정의 온도 값만큼 상승 시, 상기 구동 전류값을 미리 설정된 비율로 감소시키되, 상기 제1 온도 값보다 큰 복수의 온도 구간마다 설정된 상기 비율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율은 상기 온도 구간 값이 증가될수록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비율은 상기 온도 구간이 증가될수록 소정의 값만큼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전류값 산출부는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소정의 온도 값만큼 하강 시, 상기 감소된 구동 전류값을 상기 비율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감지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2 온도 값 이하일 경우, 상기 전류값 산출부는 상기 구동 전류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2 온도 값은 상기 제1 온도 값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2 온도 값보다 크고 제1 온도 값 이하 일 경우, 상기 전류값 산출부는 상기 구동 전류값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복수의 저장 온도 값 및 복수의 저장 온도 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전류값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저장 온도 값 중 상기 제1 온도 값에 대응되는 온도 값이 기준 온도 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저장 온도 값 중 상기 제1 온도 값 이상은 상기 소정의 온도 값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고, 상기 복수의 전류값 중 상기 제1 온도 값보다 큰 저장 온도 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전류값은, 상기 기준 온도 값에 대응되는 전류값에서 상기 비율에 따라 감소된 값으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류값 산출부는 상기 감지된 온도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저장 온도 값 중 어느 하나를 매칭하고, 매치된 저장 온도 값에 대응되는 전류값을 기초로 상기 구동 전류값을 선정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광원 모듈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광원 모듈에 상기 구동 전류값 인가 여부를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원 모듈은 제1 광원 모듈 그룹 및 제2 광원 모듈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부는 상기 제1 광원 모듈 그룹과 연결되는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제2 광원 모듈 그룹과 연결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칭부 및 제2 스위칭부를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광원 모듈 그룹 및 상기 제2 광원 모듈 그룹 중 적어도 한 그룹에 상기 구동 전류값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제1 제어부 및 제2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차량용 램프를 구성하는 광원 모듈의 온도를 고려하여 구동 전류를 산출함에 따라 차량용 램프의 광량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어 대상인 차량용 램프가 적용된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 대상인 차량용 램프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량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량 제어 장치의 온도 별 구동 전류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 및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 및 제어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의 광량 제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어 대상인 차량용 램프(1)가 적용된 차량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 대상인 차량용 램프(1)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해보면, 차량용 램프(1)는 야간과 같이 주변 환경이 어두운 환경에서 차량을 주행하는 경우,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차량의 전방 양쪽에 한 쌍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차량용 램프(1)는 로우빔 램프(20) 및 하이빔 램프(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용 램프(1)는 주로 차량용 헤드 램프를 의미한다. 다만,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 램프 외에 다른 램프에도 적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용 램프(1)는 헤드 램프인 것으로 전제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해보면, 차량용 램프(1)은 로우빔 램프(20)에 장착된 복수의 광원 모듈(21, 23), 하이빔 램프(30)에 장착된 복수의 광원 모듈(31, 33) 및 리플렉터(41, 43, 51, 53)를 포함한다.
각 광원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광원은 광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광원은 각 광원 모듈에 포함된 기판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광원 모듈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적합한 광량이나 색상을 가지는 광이 발생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LED(Light Emitting Diode) 반도체 발광 소자가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리플렉터(41, 43, 51, 53)는 각각에 연결된 광원 모듈에서 조사된 광을 가이드하여 차량 외부로 출사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 광원 모듈(21)에 연결된 제1 리플렉터(41)는 제1 광원 모듈(21)에서 조사된 광을 가이드하여 차량 외부로 출사시킨다. 또한, 제2 광원 모듈(23)에 연결된 제2 리플렉터(43)는 제2 광원 모듈(23)에서 조사된 광을 가이드하여 차량 외부로 출사시킨다.
마찬가지로, 제3 광원 모듈(31)에 연결된 제3 리플렉터(51)는 제3 광원 모듈(31)에서 조사된 광을 가이드하여 차량 외부로 출사시킨다. 또한, 제4 광원 모듈(33)에 연결된 제4 리플렉터(53)는 제4 광원 모듈(33)에서 조사된 광을 가이드하여 차량 외부로 출사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량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의 광량 제어 장치는 복수의 광원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1)에 연결될 수 될 수 있다.
즉, 차량용 램프(1)의 광량 제어 장치는 하이빔 램프(30) 및 로우빔 램프(2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어 하이빔 램프(30)의 광량 및 로우빔 램프(20)의 광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광원 모듈은 로우빔 램프 및 하이빔 램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의 복수의 광원 모듈은 로우빔 램프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 모듈인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의 광량 제어 장치는 온도 감지부(10), 전류값 산출부(12), 구동 제어부(14) 및 저장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감지부(10)는 복수의 광원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온도 감지부는 주기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광원 모듈의 온도를 감지하여 전류값 산출부(12)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감지된 온도는 각 광원 모듈의 제조사에서 배포하는 데이터를 기초로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 모듈인 LED의 숄더부 온도, LED의 열저항, LED에 인가되는 전류값, LED의 전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여 도출될 수 있다.
전류값 산출부(12)는 온도 감지부(10)에서 감지된 온도를 통해 복수의 광원 모듈(21, 23)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전류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전류값은 차량용 램프(1)가 발생하고자 하는 목표 광량에 도달하기 위한 전류값일 수 있다.
일발적으로, 광원 모듈은 온도 한계점을 나타낸 온도 허용치가 있다. 이러한 온도 허용치는 각 제조사에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광원 모듈의 온도가 온도 허용치를 넘어가게 될 경우, 광원 모듈에 오류/고장이 생겨 차량용 램프(1)는 효율적으로 광량을 생성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전류값과 감지된 온도가 나타날 수 있다.
No. 구동 전류값(mA) 감지된 온도
1 985.2 145
2 985.2 146
3 985.2 147
4 985.2 148
5 985.2 149
6 985.2 150
7 985.2 151
즉, 구동 전류값이 일정하더라도, 광원 모듈에서 발생되는 열, 차량의 외부 열, 차량의 내부 열 요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여 광원 모듈의 감지된 온도 값은 계속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만약, 광원 모듈의 온도 허용치가 145도일 경우, 위 표 1에 대응하는 광원 모듈은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전류 산출부는 감지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온도 값보다 크고 감지된 온도가 소정의 온도 값만큼 상승 시, 구동 전류값을 미리 설정된 비율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지된 온도가 제1 온도 값보다 크게 형성되어 구동 전류값을 감소시키는 것을 디레이팅(De-rating)이라 하며, 제1 온도 값은 온도 허용치이거나 온도 허용치보다 작은 값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 사항을 기초로, 다음에 기재된 표 2와 같이, 제1 온도 값은 145도로 형성되고, 소정의 온도 값은 1도이고 1도 상승시마다 미리 설정된 비율인 5%로 구동 전류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No. 구동 전류값(mA) 비율(누적 비율) 감지된 온도
1 985.2 0% 145
2 935.9 5%(5%) 145
3 889.1 5%(10%) 145
4 844.6 5%(15%) 145
5 802.4 5%(20%) 145
6 762.3 5%(25%) 145
7 724.2 5%(30%) 145
즉, 본 발명은 감지된 온도가 제1 온도 값보다 크고 감지된 온도가 소정의 온도 값만큼 상승 시, 구동 전류값을 미리 설정된 비율로 감소시킴에 따라 감지된 온도가 제1 온도 값보다 크게 형성되지 않고, 광원 모듈의 허용 온도 값 이하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차량용 램프(1)는 효율적으로 광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통상 광원 모듈의 온도가 높아지는 경우는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외부 영향을 받아 발생함으로 구동 전류값을 하강시켜도 차량 주행에 영향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구동 전류값을 감소시키는 비율을 5%로 예시를 들고, 1도 상승 시 마다 비율을 적용하여 구동 전류값을 감소시켰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광원 모듈의 특성에 따라 비율은 1%, 6% 혹은 10%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감지된 온도가 0.1도, 0.5도 혹은 2도 마다 미리 설정된 비율로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표 1상의 누적 비율은 No.1의 구동 전류값을 기준으로 산정된 값이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율은 복수의 온도 구간마다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온도 값보다 큰 복수의 온도 구간이 설정될 수 있고, 각 구간 마다 서로 다른 비율이 적용되어, 감지된 온도 값이 미리 설정된 온도 값만큼 상승 시 구동 전류값은 감지된 온도가 해당하는 구간에 설정된 비율로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 사항을 기초로 다음 표 3과 같이, 145~147도 구간은 1도 상승시마다 구동 전류값을 5%로 감소시키고, 147~149도는 1도 상승시마다 10%로 감소시키고, 149~151도는 1도 상승시마다 15%로 감소시킬 수 있다.
No. 구동 전류값(mA) 비율 감지된 온도
1 985.2 0% 145
2 935.9 5% 145
3 889.1 5% 145
4 800.1 10% 145
5 720.1 10% 145
6 612.1 15% 145
7 520.1 15% 145
즉, 복수의 온도 구간에 적용되는 비율은 온도 구간 값이 증가될 수록 증가될 수 있으며, 온도 구간 값이 증가될수록 소정의 값만큼 증가될수록 소정의 값만큼 증가될 수 있다. 표 3의 예시와 같이 온도 구간 값이 증가하면 비율은 5%씩 증가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1%, 6% 혹은 10% 등으로 온도 구간 값이 증가될수록 비율은 증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동 전류값을 복수의 온도 구간에 적용된 서로 다른 비율로 감소시킴에 따라 감지된 온도가 제1 온도 값보다 크게 형성되지 않고, 광원 모듈의 허용 온도 값 이하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차량용 램프(1)는 효율적으로 광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비율에 따라 구동 전류값이 감소된 후, 위 사항과 반대로 감지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온도 값만큼 감소될 경우, 감소된 구동 전류값을 비율만큼 증가시켜 차량용 램프(1)의 광량을 효율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된 비율에 따라 전류 구동값이 5%로 감소된 이후, 감지된 온도가 1도 감소될 경우, 감소된 구동 전류값을 다시 5% 비율로 증가시킬 수 있다.
구동 제어부(14)는 전류값 산출부(12)에서 산출된 구동 전류값과 대응되는 PWM 제어값을 LED DRIVER IC(미도시)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구동 제어부(14)는 LED DRIVER IC가 입력받은 상기 PWM 제어값에 따라 DC to DC Converter 회로(미도시)의 전원을 작동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구동 제어부(14)는 상기 DC to DC Converter 회로에서 구동 전류값이 복수의 광원 모듈(21, 23)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즉,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구동 전류값이 복수의 광원 모듈(21, 23)에 인가됨으로써 로우빔 램프(20) 및 하이빔 램프(30)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됨에 따라 광량이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16)는 온도 감지부(10)에서 감지된 온도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복수의 온도 값 및 복수의 온도 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전류값을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류값 산출부(12)는 감지된 온도와 저장부(16)에 저장된 복수의 저장 온도 값 중 어느 하나를 매칭하고, 매칭된 저장 온도 값에 대응되는 전류값을 기초로 구동 전류값을 선정할 수 있다.
저장부(16)에 저장된 복수의 저장 온도 값 중 제1 온도 값에 대응되는 온도 값을 기준 온도 값으로 설정되고, 복수의 저장 온도 값 중 전술한 제1 온도 값 이상은 전술한 소정의 온도 값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저장부(16)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에 저장된 복수의 전류값 중 제1 온도 값보다 큰 저장 온도 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전류값은 기준 온도 값에 대응되는 전류값에서 전술한 비율에 따라 감소된 값으로 저장부(16)에 저장될 수 있다. 즉, 표 1 내지 3에 대응하는 전류값 데이터가 저장부(16)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16)에도 복수의 저장 온도값을 온도 구간별 설정하고 복수의 온도 구간마다 적용되는 비율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기준 온도 값에 대응되는 전류값에서 온도 구간 비율에 따라 감소된 복수의 전류값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의 광량 제어 장치의 온도 별 구동 전류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해보면, 전류값 산출부(12)는 감지된 온도가 제1 온도 값보다 작을 경우, 구동 전류값을 상승켜 차량용 램프(1)의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만, 각 차량용 램프(1)의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온도 증가에 따라 구동 전류값을 증가시키기만 할 경우, 광원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기 위해 히트 싱크가 과도하게 크게 마련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 차량용 램프(1)의 비용이 증가되고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감지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2 온도 값 이하일 경우, 전류값 산출부(12)는 구동 전류값을 증가시키고, 제2 온도 값은 제1 온도 값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감지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2 온도 값보다 크고 제1 온도 값 이하 일 경우, 전류값 산출부(12)는 구동 전류값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후, 광원 모듈의 감지된 온도가 제1 온도 값 이상을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전류값을 감소함에 따라 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구동 전류값을 상승시켜 차량용 램프(1)의 광량을 일정하게 형성하는 구간을 정광량 구간이라하고, 구동 전류값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구간을 정전류 구간이라하고, 구동 전류값을 감소시키는 구간을 디레이팅 구간이라 할 수 있다.
LED 구동 전류값이 동일하여도 LED 소자의 온도에 따라 광량이 달라질 수 있어(예를 들어 동일한 구동 전류를 인가하더라도 온도가 상승할 수록 광량이 감소할 수 있다), 소정의 광량으로 발광하기 위해 각 온도별로 필요한 소정의 전류값이 정해지거나 제어될 수 있다. 한편, 히트싱크 등의 방열 기구 및 외부 온도 등의 요인들에 의해 LED 온도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포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온도 상승에 의해 광량이 저하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구동 전류를 일정 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는 도 4 및 도 5에 중 적어도 하나의에 대응되는 온도 별 전류값을 더 저장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 및 제어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 및 제어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제어부(14)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부(80) 및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부(80)는 복수의 광원 모듈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70)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징부(80)를 제어하여 복수의 광원 모듈에 구동 전류값 인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70)와 스위칭부(8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 모듈인 발광 소자(111)에 회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서 제어를 실시하는 프로그램 집합을 일컫는 것이거나, 이러한 ECU(Electronic Control Unit)의 프로그램 집합에 의해 제어되기 위해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또는 상기 ECU(Electronic Control Unit)의 프로그램 집합과 통신하는 제어 모듈이 될 수 있다.
스위칭부(80)는 제어부(70)에 의하여 온 또는 오프 제어되는 전압제어소자 중 하나인 FET(Q1, Field Effcet Transistor)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70)의 온 또는 오프 제어에 따라 발광 소자(111) 구동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어부(70)와 스위칭부(80)는 다양한 방법으로 복수의 광원 모듈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KR10-2014-0186089, KR10-2019-0004078, KR10-2018-0074256, KR10-2018-0074255, KR10-2018-0020733, KR10-2011-0024102A, KR10-2010-0017050A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광원 모듈은 제1 광원 모듈 그룹(92) 및 제2 광원 모듈 그룹(94)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부(80)는 제1 광원 모듈 그룹(92)과 연결되는 제1 스위칭부(82) 및 제2 광원 모듈 그룹(94)과 연결되는 제2 스위칭부(8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70)는 제1 스위칭부(82) 및 제2 스위칭부(84)를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제1 광원 모듈 그룹(92) 및 제2 광원 모듈 그룹(94) 중 적어도 한 그룹에 구동 전류값을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광원 모듈 그룹(92)은 로우빔 램프에 장착된 복수의 광원 모듈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광원 모듈 그룹(94)은 하이빔 램프에 장착된 복수의 광원 모듈을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광원 모듈 그룹(92) 및 제2 광원 모듈 그룹(94) 모두 로우빔 램프 또는 하이빔 램프 모듈에 장착된 복수의 광원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70)도 제1 제어부(72) 및 제2 제어부(7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제어부(72)는 제1 스위칭부(82)를 제어하고, 제2 제어부(74)는 제2 스위칭부(74)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차량용 램프 10: 온도 감지부
12: 전류값 산출부 14: 구동 제어부
16: 저장부 20: 로우빔 램프
30: 하이빔 램프 70: 제어부
72: 제1 제어부 74: 제2 제어부
80: 스위칭부 82: 제1 스위칭부
84: 제2 스위칭부

Claims (11)

  1. 복수의 광원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광량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광원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광원 모듈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전류값을 선정하는 전류값 산출부;
    상기 구동 전류값을 상기 복수의 광원 모듈에 인가하여 상기 광량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값 산출부는
    상기 온도 감지부에서 감지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 온도 값보다 크고 감지된 온도가 소정의 온도 값만큼 상승 시, 상기 구동 전류값을 미리 설정된 비율로 감소시키되,
    상기 제1 온도 값보다 큰 복수의 온도 구간마다 설정된 상기 비율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의 광량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율은 상기 온도 구간 값이 증가될수록 증가되는 차량용 램프의 광량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율은 상기 온도 구간이 증가될수록 소정의 값만큼 증가되는 차량용 램프의 광량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값 산출부는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소정의 온도 값만큼 하강 시, 상기 감소된 구동 전류값을 상기 비율만큼 증가시키는 차량용 램프의 광량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2 온도 값 이하일 경우, 상기 상기 전류값 산출부는 상기 구동 전류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2 온도 값은 상기 제1 온도 값보다 작게 형성된 차량용 램프의 광량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2 온도 값보다 크고 제1 온도 값 이하 일 경우, 상기 상기 전류값 산출부는 상기 구동 전류값을 일정하게 유지시는 차량용 램프의 광량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저장 온도 값 및 복수의 저장 온도 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전류값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저장 온도 값 중 상기 제1 온도 값에 대응되는 온도 값을 기준 온도 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저장 온도 값 중 상기 제1 온도 값 이상은 상기 소정의 온도 값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고,
    상기 복수의 전류값 중 상기 제1 온도 값보다 큰 저장 온도 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전류값은, 상기 기준 온도 값에 대응되는 전류값에서 상기 비율에 따라 감소된 값으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차량용 램프의 광량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값 산출부는
    상기 감지된 온도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저장 온도 값 중 어느 하나를 매칭하고, 매치된 저장 온도 값에 대응되는 전류값을 기초로 상기 구동 전류값을 선정하는 차량용 램프의 광량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광원 모듈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광원 모듈에 상기 구동 전류값 인가 여부를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광량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 모듈은 제1 광원 모듈 그룹 및 제2 광원 모듈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부는
    상기 제1 광원 모듈 그룹과 연결되는 제1 스위칭부; 및
    상기 제2 광원 모듈 그룹과 연결되는 제2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칭부 및 제2 스위칭부를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광원 모듈 그룹 및 상기 제2 광원 모듈 그룹 중 적어도 한 그룹에 상기 구동 전류값을 인가하는 차량용 램프의 광량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제1 제어부 및 제2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의 광량 제어 장치.
KR1020190159194A 2019-12-03 2019-12-03 차량용 램프의 광량 제어 장치 KR202100694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194A KR20210069409A (ko) 2019-12-03 2019-12-03 차량용 램프의 광량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194A KR20210069409A (ko) 2019-12-03 2019-12-03 차량용 램프의 광량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409A true KR20210069409A (ko) 2021-06-11

Family

ID=76376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194A KR20210069409A (ko) 2019-12-03 2019-12-03 차량용 램프의 광량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940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6432A (ja) 2009-10-14 2011-04-28 Sharp Corp 照明装置、車両用灯具および車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6432A (ja) 2009-10-14 2011-04-28 Sharp Corp 照明装置、車両用灯具および車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35383B2 (ja) 車両用灯具の点灯制御装置
US10531547B2 (en) Vehicular lighting device
JP5161040B2 (ja) 車両用灯具の点灯制御装置
US9096169B2 (en) DC-DC converter and vehicular lamp
US10227036B2 (en) Vehicle lamp
JP2010015887A (ja) Led点灯制御回路、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灯具
US7368885B2 (en) Lighting controller for lighting device for vehicle
CN110626253B (zh) 用于根据其温度变化来驱动机动车辆的光源的电源的装置
US10470273B2 (en) Light emission drive device and vehicle lamp
JP2009302296A (ja) 発光ダイオード駆動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車室内用照明装置、車両用照明装置
JP6101587B2 (ja) 車両用前照灯
US20180339641A1 (en) Lighting circuit and vehicle lamp
US20100033112A1 (en) Driving power supply system of an active type LED with multiple channels
US10889241B2 (en) Device for controlling a matrix of light sources for interior lighting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US9462652B2 (en) Device for LED operation
KR20210069409A (ko) 차량용 램프의 광량 제어 장치
US11906123B2 (en) Light source module
US2024010764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pixelated light source
JP2008269868A (ja) 車両用灯具
US9930738B2 (en) Management of bin information in a luminous, motor-vehicle module comprising semiconductor-component light sources
JP2020053775A (ja) 光通信装置及び移動体
US20180237092A1 (en) Energy supply circuit for a lighting module
JP7212823B2 (ja) 光源モジュール及び車輌用灯具
JP2018122742A (ja) 光源駆動装置、車両用灯具
KR20210052964A (ko) 차량용 램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