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9296A - 먹이보상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먹이보상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9296A
KR20210069296A KR1020190158927A KR20190158927A KR20210069296A KR 20210069296 A KR20210069296 A KR 20210069296A KR 1020190158927 A KR1020190158927 A KR 1020190158927A KR 20190158927 A KR20190158927 A KR 20190158927A KR 20210069296 A KR20210069296 A KR 20210069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exercise
companion animal
rotation module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6496B1 (ko
Inventor
김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틀캣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틀캣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틀캣
Priority to KR1020190158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496B1/ko
Publication of KR20210069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7Exercising equipment, e.g. tread mills, carous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A01K5/0233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dispensing by dosing means actively operated by the anim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75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 A01K5/0283Automatic devices with mechanisms for delivery of measured doses by weigh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내측에 반려동물이 운동할 수 있는 공간인 운동공간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구비되며 반려동물이 운동공간부 내에서 지속적으로 움직이며 운동할 수 있는 회전모듈; 상기 회전모듈에 반려동물이 움직임에 따라 회전모듈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모듈; 상기 회전모듈 내측면에는 회전모듈의 회전수에 따라 간식이 공급되는 먹이공급부가 형성되며; 상기 먹이공급부의 작동 제어 및 회전모듈의 회전수에 따른 간식량을 설정하는 제어모듈; 및 제어모듈로 전송되는 먹이공급부의 동작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로 이루어진 먹이보상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운동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반려동물이 목표와 동기를 가지고 운동을 보다 능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장기적인 운동이 가능하여 실내에서만 활동하는 반려동물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먹이보상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운동장치{EXERCISE APPARATUS FOR PET}
본 발명은 반려동물이 회전장치 내부에서 운동을 실시하고 일정 운동량을 초과하게 되면 간식이 공급됨으로써 반려동물이 장시간 동안 운동을 능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먹이보상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1인 또는 2인 1세대 가구가 많이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다수의 1인 또는 2인 1세대 가구에서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반려동물을 입양하여 키우고 있으며, 이러한 반려동물은 아이들 정서 향상에도 큰 도움이 되어 현재는 다양한 이유로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급속도로 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과거에는 반려동물이 사람들의 즐거움 또는 필요에 의한 수단이었다면, 현재는 친구 또는 가족의 일원으로 인식이 바뀌고 있어 반려동물의 건강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늘고 있으나, 실내에서는 공간이 협소하고 다양한 물건 등이배치되어 있어 반려동물의 건강을 위해 반려동물을 운동시키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기 마련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5073호에는 '운동기능이 구비된 반려동물용 사육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한국등록실용신안은 반려동물이 사육되도록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사육통본체와, 사육통본체의 일면이 차단되도록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된 원판형상의 차단벽으로 이루어진 사육통과; 사육통의 회전에 의하여 반려동물이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벽의 중심부에 연결된 회전축봉이 구비되어 실내의 협소한 공간상에서도 반려동물이 사육통의 수용공간 내에서 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등록실용신안의 경우, 반려동물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지 않아 반려동물을 장시간 지속적으로 운동시킬 수 없으며, 반려동물의 건강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국내 공개특허번호 10-2018-0018743호에는 광원으로 반려동물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운동장치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지속적이고 장기적으로 운동을 유지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동물 훈련에 있어서 중요한 요건은 일관성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일관성이란 특정형상을 운동 유도 전에 보여주고 보상을 주는 방식을 표현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먹이보상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운동장치는 상기의 일관성을 보여 훈련시킴으로써 반려동물이 주인 없이도 보다 능동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5073호에는 운동기능이 구비된 반려동물용 사육장치는 반려동물이 사육되도록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사육통본체와, 상기 사육통본체의 일면이 차단되도록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된 원판형상의 차단벽으로 이루어진 사육통과; 상기 사육통의 회전에 의하여 반려동물이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벽의 중심부에 연결된 회전축봉과, 상기 회전축봉에 연결되며 내부에 베어링이 내재된 베어링하우징과, 상기 회전축봉의 외주연에 마찰력을 발생시켜 상기 사육통의 회전력이 가변되도록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외주연에 관통되며 구비된 회전가변구로 이루어진 회전수단과; 상기 사육통이 거치되도록 상기 회전수단의 일면에 연결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지면에서 직립되도록 다수개의 프레임다리가 구비된 하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부;로 구성되는 반려동물용 사육장치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번호 10-2018-0018743호에는 내측에 형성되는 반려동물의 운동공간부와, 내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반려동물의 시선을 유도하는 시선유도부를 포함하는 런닝모듈; 및 상기 반려동물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런닝모듈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런닝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모듈; 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운동 장치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698573호에는 반려동물의 폭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당량의 먹이공급을 지속적으로 제공함과 더불어, 먹이 공급 과정에서 반려동물에 대한 운동, 지능 발달, 흥미 유발 등의 효과를 제공하며, 원활한 먹이 배출이 가능하고, 나아가 장치 및 반려동물의 오염이 방지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먹이공급장치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756360호에는 사육인이 집을 비우는 경우에도 애완동물의 먹이를 설정된 시간에 설정된 양만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반려동물의 지능적인 먹이 공급장치가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반려동물의 먹이가 배출되는 개구가 형성된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에 설치되어 먹이를 배출하는 먹이 공급부와, 상기 반려동물의 개체정보 별 먹이 공급정보가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개체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개체정보에 대응하는 먹이 공급정보를 저장모듈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먹이정보로 지정하고, 상기 먹이정보에 따라 먹이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먹이 공급장치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반려동물 운동장치에 있어 장기간 또는 능동적인 동기를 제공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장치 내부에서 운동을 실시하고 일정 운동량을 초과하게 되면 간식이 공급됨으로써 먹이보상을 통해 반려동물의 운동을 장기적이고 흥미를 능동적으로 일으킬 수 있는 먹이보상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운동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먹이보상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운동장치는 내측에 반려동물이 운동할 수 있는 공간인 운동공간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구비되며 반려동물이 운동공간부 내에서 지속적으로 움직이며 운동할 수 있는 회전모듈; 상기 회전모듈에 반려동물이 움직임에 따라 회전모듈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모듈; 상기 회전모듈 내측면에는 회전모듈의 회전수에 따라 간식이 공급되는 먹이공급부가 형성되며; 상기 먹이공급부의 작동 제어 및 회전모듈의 회전수에 따른 간식량을 설정하는 제어모듈; 및 제어모듈로 전송되는 먹이공급부의 동작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운동 시스템은, 내측에 반려동물이 운동할 수 있는 공간인 운동공간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구비되며 반려동물이 운동공간부 내에서 지속적으로 움직이며 운동할 수 있도록 반려동물의 시선을 유도하는 시선유도부가 구비된 회전모듈; 반려동물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모듈이 회전가능하도록 회전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모듈; 회전모듈의 회전수에 따라 간식이 공급되는 먹이공급부가 형성되며, 시선유도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회전모듈의 동작데이터를 전송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먹이공급부는 회전모듈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회전횟수를 카운팅하는 회전감지센서와, 상기 제어모듈의 설정된 명령값에 따라 먹이를 공급하는 먹이공급 구동부로 이루어진 것인 먹이 보상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운동장치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반려동물이 목표와 동기를 가지고 운동을 보다 능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히 주인과 분리되고 실내 활동시간이 긴 반려동물의 경우 주인의 지시없이도 장기적인 운동이 가능하여 반려동물의 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먹이보상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운동장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먹이보상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운동장치 시스템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먹이공급 구동부를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사료공급관을 나타낸다.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사료공급관 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실시예 2에 따른 먹이보상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운동장치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먹이보상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운동장치와 관련한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먹이보상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운동장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먹이보상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운동장치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먹이보상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운동장치는 내측에 반려동물이 운동할 수 있는 공간인 운동공간부(100)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구비되며 반려동물이 운동공간부 내에서 지속적으로 움직이며 운동할 수 있는 회전모듈(200); 상기 회전모듈에 반려동물이 움직임에 따라 회전모듈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모듈(300); 상기 회전모듈 내측면에는 회전모듈의 회전수에 따라 먹이가 공급되는 먹이공급부(400)가 형성되며; 상기 먹이공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500); 및 제어모듈로 전송되는 먹이공급부의 동작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단말기(600)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회전모듈(200)은 링 형상으로 내측 공간에는 반려동물이 입식되어 운동이 가능한 운동 공간부(100)를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반려동물이 회전모듈의 내측 공간인 운동 공간부 내에서 회전모듈의 내주면을 따라 뛰거나 걷는 등의 움직임을 통해 운동이 이루어진다. 회전모듈은 회전모듈의 회전횟수에 따라 간식이 공급될 수 있는 먹이 공급부와 연결될 수 있는데 그 연결부는 회전모듈 내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모듈 내주면에는 시선유도부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있다. 시선유도부는 반려동물이 움직임에 따라 회전모듈이 회전하게 될 때 회전모듈의 회전 속도에 연동되어 일정한 위치에서 발광되거나, 랜덤한 위치에서 발광될 수 있다.
이처럼 시선 유도부가 일정 위치에서 발광되거나 또는 가변 위치에서 발광됨으로써, 반려동물이 시선유도부를 통해 흥미를 느끼고 운동을 시작하게 되고, 일정 시간 운동 후 먹이 공구부로부터 간식으로 보상을 받음으로써, 운동의 동기와 보상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시선 유도부는 발광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일예로 LED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모듈(300)은 회전모듈이 반려동물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운동을 지지하는 롤러를 포함하는데 롤러는 회전모듈이 제자리에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지지모듈은 무게측정부를 포함하여 회전모듈 내에서 운동하는 반려동물의 몸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일예로 무게측정부는 로드셀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지지모듈은 스피거부를 포함하여 스피커부를 통해 반려동물이 좋아하는 음악, 소리, 반려동물의 주인 목소리 등이 송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게측정부에서 측정된 반려동물의 몸무게는 단말기를 매개로 제어모듈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모듈(500)은 후술할 먹이공급부의 회전감지센서로부터 회전모듈의 회전횟수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받아 설정된 값에 따른 먹이공급 명령을 먹이공급부로 전송하여 먹이공급부의 작동을 명령 및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은 회전모듈의 회전횟수에 따라 반려동물 간식량이 설정 저장되고, 그 설정 값에 도달할 경우 먹이 공급부로 먹이 공급 제어 신호를 송출하는 다채널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채널 제어부는 회전모듈의 회전횟수에 따른 간식량을 설정하는 데이터 입력부 및 기능 조작부와 상기 데이터 입력부 및 기능조작부에 설정된 데이터에 의해 먹이공급부로 먹이 공급 제어신호를 통신부를 매개로 전송하는 메인컨트롤러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데이터 입력과정과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회전모듈의 내주면 어느 한 측면에는 회전모듈의 회전횟수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모듈에서 설정된 회전수에 따라 반려동물에게 일정량의 간식을 공급할 수 있는 먹이공급부)(400)가 설치된다.
먹이공급부는 회전모듈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회전횟수를 카운팅하는 회전감지센서와, 상기 제어모듈의 설정된 명령값에 따라 먹이를 공급하는 먹이공급 구동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감지센서는 상기 회전모듈에 기계적, 광학적, 전기적으로 동작하는 센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상기 회전모듈의 회전횟수를 카운팅(counting)하여 단말기를 매개로 제어모듈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시선유도부의 동작제어신호로 회전모듈의 시선유도부를 제어할 수 있어서, 회전모듈 내에서 움직이며 운동하는 반려동물의 흥미를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단말기(600)는 상기 회전감지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를 제어모듈로 송신하고, 제어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먹이공급 구동부의 동작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무선 또는 유선통신이 가능한 장치를 포함한다.
먹이 공급 구동부의 구조는 회전모듈이 설정 저장된 회전수를 도달하면 반려동물에게 설정된 양만큼 간식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다양한 구현예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반려동물이 목표와 흥미를 가지고 운동을 실시할 수 있어 반려동물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먹이공급 구동부의 실시 예들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먹이공급 구동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먹이공급 구동부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먹이공급 구동부는 반려동물의 간식이 저장되는 공간부가 구비되는 사료저장탱크(41)와, 상기 사료저장탱크 내부에는 사료공급관(42)이 설치되며, 상기 사료 공급관 내부에는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나선형 공급장치(43)가 설치되며, 상기 나선형 공급장치의 일단은 구동모터(45)가 연결되고, 사료 공급관 말단은 회전모듈 내측면과 연결되어 나선형 공급장치 내부의 반려동물 간식이 나선형 공급장치의 회전과 함께 공급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사료저장탱크 어느 한 측면에는 반려동물의 간식을 저장할 수 있도록 도어 또는 호퍼구조의 사료공급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사료공급관을 나타낸다. 사료공급관 어느 한 측면에는 사료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된 반려동물 간식이 사료공급관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급공(42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공을 통해 반려동물간식(S)이 사료공급관 내부로 들어가면 나선형 공급장치(43)가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고, 회전모듈과 연결된 부분을 향해 나선형 공급장치와 함께 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은 제어모듈의 명령에 따라 이루어지며, 나선형 공급장치의 회전에 따라 반려동물 간식양도 조절이 가능하여 정량의 간식이 공급될 수 있다.
실시예 2. 먹이공급 구동부가 설치된 반려동물용 운동장치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먹이보상기능을 갖는 반려동물용 운동 장치를 나타낸다. 내측에 형성되는 반려동물의 운동공간부(101)와, 내주면에 구비되며 반려동물의 시선을 유도하는 시선유도부(103)를 포함하는 런닝모듈(105); 및 반려동물의 움직임에 따라 런닝모듈(105,405)이 회전가능하도록 런닝모듈(105,405)을 지지하는 지지모듈(107);을 포함한다.
런닝모듈(105)은 내측에 형성되는 반려동물의 운동공간부(101)를 포함한다. 일예로, 런닝모듈(105)은 그 전체적 형상이 링 형상으로 이뤄져서, 그 내부 공간이 반려동물의 운동공간부(101)로 이뤄진다. 구체적으로, 고양이 등의 반려동물이, 런닝모듈(105)의 내부 공간인 운동공간부(101) 안에서, 런닝모듈(105)의 내주면(S)을 따라 뛰거나 걷는 등의 움직임을 통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런닝모듈(105)은, 반려동물의 시선을 유도하는 시선유도부(103)를 포함하는데, 시선유도부(103)는 런닝모듈(105)의 내주면에 구비된다. 여기서, 런닝모듈(105)의 일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런닝모듈(105)은, 운동공간부(101)가 내측에 형성되고 곡면으로 형성된 본체부(109); 및 본체부(109)의 일측을 막으며, 시선유도부(103)가 구비된 표시부(111);를 포함한다.
본체부(109)는 일예로 곡면으로 형성된 링 형상으로 제공되는데, 본체부(109)의 내측에는 반려동물이 뛰거나 걸을 수 있는 운동공간부(101)가 형성된다. 즉, 반려동물은 본체부(109)의 내주면(S)을 따라 뛰거나 걸으면서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표시부(111)는 본체부(109)의 일측을 막도록 본체부(109)에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되는데, 표시부(111)에는 시선유도부(103)가 구비된다. 지지모듈(107)은, 무게측정부(205)를 포함하는데, 무게측정부(205)는 회전모듈(105) 내에서 운동하는 반려동물의 몸무게를 잴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무게측정부(205)는 일예로, 로드셀로 제공된다. 지지모듈(107)은 스피커부(207)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스피커부(207)를 통해 반려동물이 좋아하는 음악, 소리 등이 송출되거나, 반려동물의 주인 목소리가 송출될 수 있다.
또한, 지지모듈(107)은, 통신부(209)를 포함하는데, 후술할 단말기(109)로부터 송출된 여러 제어신호가 통신부(209)를 통해 입력되어 제어모듈(201)로 송신되거나, 제어모듈(201)로 바로 송신되고, 또한, 회전모듈(105)의 동작데이터(MD), 무게측정부(205)에서 측정된 반려동물의 몸무게정보(WI) 등이 통신부(209)를 통해 단말기(109)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먹이공급 구동부가 형성된 반려동물 운동장치는 내주면(S)에 형성될 수 있다. 먹이공급 구동부는 반려동물의 간식이 저장되는 공간부가 구비되는 사료저장탱크(41)와, 상기 사료저장탱크 내부에는 사료공급관(42)이 설치되며, 상기 사료 공급관 내부에는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나선형 공급장치(43)가 설치되며, 상기 나선형 공급장치의 일단은 구동모터(45)가 연결되고, 사료 공급관 말단은 회전모듈 내측면과 연결되어 나선형 공급장치 내부의 반려동물 간식이 나선형 공급장치의 회전과 함께 공급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모듈의 내측에 형성된 운동공간부 내에서 반려동물의 시선을 유도하거나 흥미를 유발시켜서, 반려동물이 회전모듈 내에서 장시간 지속적으로 움직이며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반려동물이 있는 가정이 증가하고 반려동물의 복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실외활동이 한정적인 반려동물의 건강을 증진시킴과 더불어 관련 사업인의 이익 제고에 보탬이 됨으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운동공간부 200: 회전모듈
101 : 운동공간부 103 : 시선유도부
105 : 런닝모듈 107 : 지지모듈
109 : 본체부 111 : 표시부
300: 지지모듈 400:먹이공급부
500: 제어모듈 600: 단말기
41: 사료저장탱크 42: 사료공급관
43: 나선형 공급장치 44: 사료공급부
42a: 공급공 S: 반려동물간식
45: 구동모터

Claims (2)

  1. 내측에 반려동물이 운동할 수 있는 공간인 운동공간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구비되며 반려동물이 운동공간부 내에서 지속적으로 움직이며 운동할 수 있는 회전모듈; 상기 회전모듈에 반려동물이 움직임에 따라 회전모듈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모듈;
    상기 회전모듈 내측면에는 회전모듈의 회전수에 따라 간식이 공급되는 먹이공급부가 형성되며;
    상기 먹이공급부의 작동 제어 및 회전모듈의 회전수에 따른 간식량을 설정하는 제어모듈; 및 제어모듈로 전송되는 먹이공급부의 동작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로 이루어진 것인 먹이보상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운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먹이공급부는 회전모듈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회전횟수를 카운팅(counting)하는 회전감지센서와, 상기 제어모듈의 설정된 명령값에 따라 먹이를 공급하는 먹이공급 구동부로 이루어진 것인 먹이보상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운동장치
KR1020190158927A 2019-12-03 2019-12-03 먹이보상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운동장치 KR102466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927A KR102466496B1 (ko) 2019-12-03 2019-12-03 먹이보상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927A KR102466496B1 (ko) 2019-12-03 2019-12-03 먹이보상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296A true KR20210069296A (ko) 2021-06-11
KR102466496B1 KR102466496B1 (ko) 2022-11-11

Family

ID=76376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927A KR102466496B1 (ko) 2019-12-03 2019-12-03 먹이보상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496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675B1 (ko) * 2002-07-22 2005-02-07 박성원 애완동물 급식장치
KR200465073Y1 (ko) 2012-05-09 2013-02-01 진영기공 주식회사 운동기능이 구비된 반려동물용 사육장치
KR101698573B1 (ko) 2016-04-28 2017-01-20 이광훈 반려동물용 먹이공급장치
KR101756360B1 (ko) 2014-12-31 2017-07-11 홍상민 반려동물의 지능적인 먹이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KR20170141923A (ko) * 2016-06-16 2017-12-2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애완동물용 트레드 밀 및 이를 동작시키는 사용자 단말
KR20180018743A (ko) 2015-08-05 2018-02-21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파단 검출 장치
KR20190023180A (ko) * 2017-08-28 2019-03-08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근력 운동 장치
KR101959360B1 (ko) * 2018-09-13 2019-03-18 (주)바램시스템 펫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간식 토출 기능을 갖는 훈련 로봇
KR101983100B1 (ko) * 2018-08-21 2019-05-3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동물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2441U (ko) * 2018-03-21 2019-10-01 임해수 다람쥐쳇바퀴고양이쳇바퀴
KR20190002526U (ko) * 2018-04-01 2019-10-10 임해수 고양이쳇바퀴 다람쥐쳇바퀴
KR102007801B1 (ko) * 2018-04-25 2019-10-21 형대영 애완 동물의 활동량에 따른 먹이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675B1 (ko) * 2002-07-22 2005-02-07 박성원 애완동물 급식장치
KR200465073Y1 (ko) 2012-05-09 2013-02-01 진영기공 주식회사 운동기능이 구비된 반려동물용 사육장치
KR101756360B1 (ko) 2014-12-31 2017-07-11 홍상민 반려동물의 지능적인 먹이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피딩 시스템
KR20180018743A (ko) 2015-08-05 2018-02-21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파단 검출 장치
KR101698573B1 (ko) 2016-04-28 2017-01-20 이광훈 반려동물용 먹이공급장치
KR20170141923A (ko) * 2016-06-16 2017-12-2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애완동물용 트레드 밀 및 이를 동작시키는 사용자 단말
KR20190023180A (ko) * 2017-08-28 2019-03-08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근력 운동 장치
KR20190002441U (ko) * 2018-03-21 2019-10-01 임해수 다람쥐쳇바퀴고양이쳇바퀴
KR20190002526U (ko) * 2018-04-01 2019-10-10 임해수 고양이쳇바퀴 다람쥐쳇바퀴
KR102007801B1 (ko) * 2018-04-25 2019-10-21 형대영 애완 동물의 활동량에 따른 먹이 공급 장치
KR101983100B1 (ko) * 2018-08-21 2019-05-3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동물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959360B1 (ko) * 2018-09-13 2019-03-18 (주)바램시스템 펫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간식 토출 기능을 갖는 훈련 로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6496B1 (ko) 2022-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2698B2 (en) Pet trainer and exercise apparatus
US10506794B2 (en) Animal intera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US8944006B2 (en) Animal training device and methods therefor
US73286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uter-controlled animal toy
US7424867B2 (en) Camera system for canines, felines, or other animals
JP6908780B2 (ja) ペット用運動装置及びペット用運動システム
KR20180089241A (ko) 애완동물 돌봄 장치
KR20130027393A (ko)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
KR200331594Y1 (ko)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CN110506660B (zh) 一种行为测试用的十字水迷宫
KR20190007889A (ko)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
KR20030068099A (ko)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US20200260686A1 (en) Animal feeding robot which stimulates olfactory sense of animal
KR102466496B1 (ko) 먹이보상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운동장치
KR20210156967A (ko) 먹이보상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운동장치
KR101868282B1 (ko) 애견 배변 유도 장치
KR102114224B1 (ko) 자동 속도 조절형 스마트 펫 트레드밀
KR102091333B1 (ko) 반려동물용 운동 장치
KR20200088176A (ko) 스마트 급식기
KR102422541B1 (ko) 애완견 훈련장치
KR20190111465A (ko) 애완동물 운동 유발 겸 간식 급이용 로봇
KR20190098600A (ko) 반려동물용 운동 장치
KR102162078B1 (ko) 반려동물용 운동 장치
KR102162098B1 (ko) 시선유도부를 갖는 반려동물용 운동 장치
KR20210066124A (ko) 반려동물의 활동량 확인을 통한 동작되는 스마트 로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