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9167A - 반영구적 내용물 포장 및 쓰레기 수거 겸용 용기 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반영구적 내용물 포장 및 쓰레기 수거 겸용 용기 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9167A
KR20210069167A KR1020190158265A KR20190158265A KR20210069167A KR 20210069167 A KR20210069167 A KR 20210069167A KR 1020190158265 A KR1020190158265 A KR 1020190158265A KR 20190158265 A KR20190158265 A KR 20190158265A KR 20210069167 A KR20210069167 A KR 20210069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elivery
management server
custom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7260B1 (ko
Inventor
김남주
Original Assignee
김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주 filed Critical 김남주
Priority to KR1020190158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260B1/ko
Publication of KR20210069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06Q50/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0Transpond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용기 관리시스템은 일측에 인식 태그가 구비되며,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 관리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 태그가 각각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부품이 조립되어 형성되는 용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 태그로부터 식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 태그정보를 리딩하고, 상기 리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 태그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용기에 대한 용기식별정보로 재구성하며, 상기 재구성된 용기식별정보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내용물 공급자 단말기 시스템, 및 상기 송출되는 용기식별정보로부터 상기 용기에 대한 현재위치를 식별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영구적 내용물 포장 및 쓰레기 수거 겸용 용기 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Container management system for semi-permanent contents packaging and waste collection}
본 발명은 반영구적 내용물 포장 및 쓰레기 수거 겸용 용기(이하 용기로 칭함)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식 태그가 구비된 용기를 이용하여 용기의 정보를 관리서버와 송수신하여 용기를 효율적으로 재활용률을 향상시키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내용물 배달 및 택배 서비스의 경우 배달원이 배달의뢰 장소로 내용물이나 물건을 배달하는 것으로 배달 업무가 끝나는 것이 아니라, 배달원이 배달을 마치고 본래의 배달지로 돌아와서 음식용기 및 택배용기의 회수를 위해서 다시 같은 장소로 이동하여야 하는 경제적 비효율성이 있다.
그래서, 많은 서비스 업체가 일회용 용기나 박스를 사용하여, 배달원이 회수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고 있다. 이로 인하여, 일회용 용기의 남용으로 인하여 환경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필요한 인원보다 많은 수의 배달원을 두면서 반영구적 용기를 사용하는 것은 서비스 업체로서는 경제적으로 부담이 된다. 이에 내용물 용기 및 택배 용기를 회수하기 위해 배달을 하였던 장소로 이동하는 것을 최소화하고, 용기의 활용도를 최적화시켜서 재활용률을 높이는 연구가 관심을 받고 있다. 또한 고객은 배달에 수반되는 포장 등의 쓰레기와 자신의 집안 쓰레기를 직접 처리하는데 이를 용기 회수와 연동하여 업체에서 용기 회수와 고객 쓰레기 처리를 통합처리하여 고객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82430호,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음식 그릇 회수 시스템 및 방법"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08694호, "재활용 용기의 회수/관리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내용물 용기의 배송/테이크아웃 및 택배 용기의 배송, 그리고 이들 용기의 회수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내용물 용기의 배송/테이크아웃 및 택배 용기의 배송에 수반되는 포장 등의 쓰레기와 고객의 집안 쓰레기 처리를 내용물 용기, 택배 용기의 회수와 통합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 용기의 배송 및 회수가 무인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용기 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용기부품들에 구비된 인식 태그를 통해 관리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구축된 빅데이터를 통해 예상 수요를 예측하는 용기 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용기부품들에 구비된 인식 태그를 통해 실시간으로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효율적으로 용기를 관리할 수 있는 용기 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용기부품들에 구비된 개폐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관리서버와 사용자들의 단말기와 연동하여 용기를 개폐할 수 있고 용기의 이동 과정에서 있을 수 있는 내용물의 탈취를 방지하는 용기 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 태그,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 태그가 각각 부착되고, 탈부착 방식으로 조립되어 기설정된 형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 태그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 태그정보가 반영된 용기식별정보에 의해 현재위치가 관리서버에 의해서 모니터링되며, 내용물 공급업체에 의해 용기식별정보가 부여되어 고객에게 배송되거나, 상기 고객으로부터 상기 중앙 회수/분리/세척/조립 시스템에 반납되고, 상기 내용물 공급업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 태그로부터 식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 태그정보를 리딩하고, 상기 리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 태그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용기에 대한 용기식별정보로 재구성하며, 상기 재구성된 용기식별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출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의해 상기 용기에 대한 현재위치가 모니터링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부품은 본체, 음식물통, 압착패드, 덮개, 또는 음식물통 내장 일체형 본체, 압착패드 부착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부품 각각에 인식 태그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부품이 결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용기부품은, 상기 음식물통 내에 인식 태그가 부착된 하위 음식물통이 삽입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본체, 상기 음식물통 또는 상기 덮개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음식물 관련 도구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음식물 관련 도구 각각은 인식 태그가 삽입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부품은 본체, 제품통, 압착패드, 덮개, 또는 제품통 내장 일체형 본체, 압착패드 부착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부품 각각에 인식 태그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부품이 결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부품은 본체, 쓰레기통, 압착패드, 덮개, 또는 쓰레기통 내장 일체형 본체, 압착패드 부착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부품 각각에 인식 태그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부품이 결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용기부품은 본체와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는 전기 에너지로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칩이 내장된 개폐장치에 결속되며, 상기 개폐장치의 에너지원은 무선 충전이 가능한 2차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내용물 공급업체 단말기에 제공되는 개폐신호에 따라 상기 용기의 개폐를 제어하거나,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에 제공되는 개폐신호에 따라 상기 용기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개폐장치는 2차전지와 개폐칩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완전 밀봉된 상태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덮개 내에 내장되어, 용기의 세척 시에도 외부 이물질의 침투가 방지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 관리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 태그가 각각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부품이 조립되어 형성되는 용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 태그로부터 식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정보를 리딩하고, 상기 리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 태그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용기에 대한 용기식별정보로 재구성하며, 상기 재구성된 용기식별정보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내용물 공급업체 단말기 시스템, 및 상기 송출되는 용기식별정보로부터 상기 용기에 대한 현재위치를 식별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 관리시스템은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배달원 단말기나 회수가맹점 단말기를 통해 반납 완료를 승인하거나, 반납 완료되지 않은 용기부품들에 대해 미리 고지한 용기부품 예치금을 제외하거나, 초과 사용 수수료를 제외하여 용기 보증금을 반환하고, 고객에 의한 쓰레기 배출이 발생하는 경우에 수거된 쓰레기에 대한 요금을 고객에게 과금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리서버는, 용기 또는 용기부품들에 대한 보증금, 내용물 비용, 쓰레기 처리 비용, 용기 또는 용기부품 초과 사용료 등에 대한 결제 시스템을 블록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로 결제하는 결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리서버는, 내용물 공급업체로 이동한 상기 용기 또는 용기부품들에 대해, 내용물 공급업체 단말기가 용기부품들을 리딩하여 재구성하는 용기식별정보와, 재구성된 용기식별정보가 부여된 용기에 담기는 내용물에 대한 내용물 정보를 수집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리서버는, 내용물 공급업체에서 용기에 담기는 내용물 자체에 대한 정보를 추가 측정하여 등록하도록 내용물 공급업체에 요청하고, 상기 내용물 자체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추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내용물 공급업체로부터 상기 내용물이 담긴 용기를 수령하는 배달원의 배달원 단말기가 리딩한 상기 용기식별정보를 수집하는 경우에 상기 등록된 용기에 대한 상태를 상기 배달원의 식별정보와 매핑하여 수령 완료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리서버는, 고객에게 상기 용기가 배달 완료되는 경우에 상기 배달원 단말기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배달 완료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리서버는, 테이크아웃 가맹점으로 상기 용기가 배달 완료되는 경우에 상기 테이크아웃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상기 용기식별정보 및 가맹점 식별정보를 수집하여 등록하고, 고객에게 상기 용기가 제공되는 경우에 상기 용기에 대한 상태를 판매 완료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리서버는, 고객에게 제공되어, 배달 완료 또는 판매 완료의 상태에 있는 용기식별정보가 배달원 단말기 또는 회수가맹점의 회수가맹점 단말기에서 재인식되면, 상기 재인식된 용기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용기에 대한 상태를 회수 진행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중앙 회수/분리/세척/조립 시스템에 상기 재인식된 용기식별정보에 해당되는 용기가 회수되면, 상기 재인식된 용기식별정보를 상기 중앙 회수/분리/세척/조립 시스템 단말기로부터 전달 받아 상기 용기에 대한 상태를 회수 완료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용기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한 각 단말기들에 의해서 상기 용기로부터 추출 및 전송되는 용기식별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용기에 대한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 관리시스템은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내용물통이 내장된 용기를 내용물 공급업체에 제공하면, 상기 내용물 공급업체에서 상기 용기에 내용물을 넣어서 고객에게 배송하거나 상기 고객으로부터 테이크아웃하게 하고, 상기 고객은 남은 내용물, 또는 기타 쓰레기를 상기 용기에 넣고 반납하는데 반납 방식은 다음 주문시에 오는 배달원에게 반납하거나 반납을 받아주는 회수가맹점을 통해 반납하고, 반납 과정의 각 단계마다 구성원들의 단말기를 통해 용기식별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용기의 이동 상황을 상기 관리서버와의 유기적인 연동을 통해서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앙 회수/분리/세척/조립시스템은, 상기 반납되는 용기에 들어있는 내용물에 대한 촬영데이터 또는 무게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수신한 촬영데이터 또는 무게데이터를 이용해서 상기 내용물을 반납한 고객에게 과금처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수신한 촬영데이터 또는 무게데이터가 빅데이터 분석에 활용되도록 빅데이터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 관리시스템은 최종 소비자를 제외하고, 상기 용기에 대한 배달과정 또는 반납과정에 있는 모든 구성원들의 단말기로 용기를 리딩하여, 용기를 점유하였음을 관리서버에 보고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용기를 주고 받는 구성원들의 단말기에도 용기 점유에 대한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려줄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 관리시스템은 고객에게 용기를 배송하여 전달하고, 고객으로부터 용기를 회수하는 부분을 무인화하는 무인 용기 배송/회수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인 용기 배송/회수 시스템은 배달원이 엘리베이터시스템에 용기를 탑재하면 엘리베이터시스템내 용기 인식 단말기가 이를 인식하여 목적지 가구의 출입구로 이동하여 상기 용기를 무인 배송하거나, 상기 가구내로부터 엘리베이터시스템을 통해 반납되는 용기를 배달원이 회수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무인 용기 배송/회수 시스템은 배송적재시스템, 회수적재시스템, 또는 컨베이어벨트시스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배송적재시스템에 용기를 탑재하면 상기 배송적재시스템이 상기 용기를 인식하여 직접 또는 상기 컨베이어벨트 시스템을 통해 상기 용기를 엘리베이터시스템에 탑재하여 상기 용기를 배송하고, 반납되는 용기가 탑재된 엘리베이터시스템은 직접 또는 컨베이어벨트 시스템을 통해 상기 회수적재시스템에 상기 반납 용기를 적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무인 용기 배송/회수 시스템은 고객이 엘리베이터시스템을 통해 용기를 배송받거나 반납하기 위해, 가구내 용기 출입구 앞에 추가 설치되는 용기 적재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시스템은 상기 용기 적재대를 통해 용기를 배송/회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무인 용기 배송/회수 시스템은 남은 내용물과 쓰레기가 담긴 상기 용기가 일정량 이상 적재되면 상기 관리서버에 보고하고, 상기 보고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서버에서 인지하여 상기 중앙 회수/분리/세척/조립 시스템으로 상기 용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무인 용기 배송/회수 시스템은, 상기 용기가 적재 또는 반납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발생된 이벤트와 함께 용기에 대한 용기식별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무인 용기 배송적재시스템과 회수적재시스템에 대한 현재위치를 구분하여 저장하고, 상기 용기식별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해당 용기에 대한 현재위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용기의 배달을 위해 상기 용기에 배송관련 정보가 인쇄된 라벨을 부착하지 않고 인가된 관계자가 용기식별번호를 리딩했을 때 이와 연결된 상기 관계자의 단말기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필요한 시간만큼만 디스플레이해주는 방식으로 배송관련 정보의 유출 방지와 라벨 인쇄에 따른 비용 절감 및 환경 오염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리서버는, 테이크아웃가맹점이 상기 용기를 판매할 때 제품관련 정보가 인쇄된 라벨을 상기 용기에 부착하지 않고 제품코드를 용기가 디스플레이된 공간에 배치하고 고객이 자신의 스마트폰 앱으로 이를 리딩하거나 입력하여 제품관련 정보를 확인하는 방식, 또는 고객이 사용할 수 있는 용기 인식단말기를 테이크아웃가맹점에 비치하여 고객이 상기 단말기로 용기를 인식하면 고객의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제품관련 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 배달 용기, 제품 택배 용기, 쓰레기 용기의 배송 및 회수를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달에 수반되는 포장 등의 쓰레기와 고객의 집안 쓰레기 처리를 음식물 배달 용기, 제품 택배 용기, 쓰레기 용기의 회수와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에 용기의 배송 및 회수를 무인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용기 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에 구비된 인식 태그를 통해 관리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구축된 빅데이터를 통해 예상 수요를 예측하는 용기 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에 구비된 인식 태그를 통해 실시간으로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효율적으로 용기를 관리할 수 있는 용기 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에 구비된 개폐장치를 통해 용기의 이동 경로중에 내용물의 탈취를 방지할 수 있는 용기 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용물 공급업체 입장에서는, 예를 들어 음식물 공급업체 중에서 곰탕 가게 입장에서는 곰탕을 일회 용기나 일회 용품 수저가 아닌 인식 태그가 내장된 반영구적 놋그릇, 놋반찬접시에 곰탕, 김치, 깍두기를 담고 인식 태그가 내장된 놋숟가락, 놋젓가락을 제공하여 곰탕의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일회용 포장용기에 비해 효율적으로 곰탕을 포장하며 배달원 입장에서는 배달에 최적화되어 설계된 용기로 배달하여 배달의 효율성을 높이고 고객 입장에서는 고급 용기를 통해 곰탕 소비 만족도를 높이고 남은 곰탕 음식물과 자신의 집안 음식물 쓰레기를 용기에 담아 반환함으로써 쓰레기 처리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용기 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관리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b는 용기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 관리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인식 태그는 수동형, 반수동형과 능동형이 선택적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현재의 가격적인 면을 고려한다면 태그가 정보를 송신하지 않고 판독기가 전파를 발사하여 태그의 정보를 읽어내는 수동형이 유리하고 인식의 용이성이나 인식율을 생각한다면 능동형이 유리한 상황이다. .
용기 관리시스템(100)은 인식 태그가 부착된 용기부품들을 조립하여 하나의 용기(102)를 만들고 여기에 용기식별정보를 부여하여 용기의 고객 배송 또는 테이크아웃, 용기의 회수, 용기의 분리/쓰레기처리/세척/조립 등을 관리서버(101)와의 유기적인 연동을 통해서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서버(101)는, 용기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한 각 단말기들에 의해서 용기로부터 추출 및 전송되는 용기식별정보를 수집하여 용기에 대한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인식 태그는 여러 개의 인식 태그를 동시에 인식할 수 있고 인식 단말기(리더기)와 인식 태그 사이의 물체에도 간섭받지 않는 RFID tag 등을 쓸 수 있다.
한편, 용기(10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 태그가 각각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부품이 조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명세서의 전반에서 사용되는 용기(102)의 정의에 대해서 설명한다.
용기(102)는 고객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물을 담는 컨테이너로서 내용물이 음식물인 경우에는 음식물 용기, 내용물이 일반 제품인 경우에는 택배 용기, 내용물 없이 쓰레기를 배출할 용도일 경우에는 쓰레기 용기로 해석될 수 있다.
용기(102)의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도 1b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용물 공급업체(104)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 태그로부터 식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 태그정보를 리딩하고, 리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 태그정보를 조합하여 용기에 대한 용기식별정보로 재구성하며, 재구성된 용기식별정보를 관리서버(101)로 송출하여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중앙 회수/분리/세척/조립 시스템(103)은 용기(102)에 내용물을 담기 위해, 내용물 공급업체(104)로 용기부품들 또는 조립된 용기들(102)를 제공할 수 있다.
관리서버(101)는 내용물 공급업체로 이동한 용기(102)에 대해, 내용물 공급업체 단말기가 용기부품들을 리딩하여 재구성하는 용기식별정보와, 용기(102)에 담기는 내용물에 대한 내용물 정보를 수집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때 내용물 정보에는 사전에 등록된 내용물 정보뿐만 아니라 고객에게 전달되는 내용물 자체에 대한 정보를 추가 측정하여 등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배달 음식 중 치킨의 경우에 치킨 공급업체에서 고객에게 배달될 치킨 내용물의 무게 정보, 사진 정보를 측정하여 관리서버에 추가 등록하고 관리서버는 미리 확보되어 있는 영양분 DB를 바탕으로 추가된 무게 정보, 사진 정보를 분석하여 영양분에 대한 정보를 고객에게 추가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관리서버(101)는 용기(102)가 배송이 준비된 상태임을 인식할 수 있다.
내용물이 담긴 용기(102)는 내용물 공급업체(104)로부터 배달원(105)에게 전달 후 고객으로의 배달이 시작될 수 있다.
이에, 배달원(105)의 배달원 단말기는 리딩한 용기식별정보와 배달원(105)의 식별정보를 매핑하여 관리서버(101)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관리서버(101)는 수집된 용기식별정보와 배달원(105)의 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용기(102)의 현재 상태를 수령 완료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고객으로의 배달은 배달원에 의한 직접 배달과, 테이크아웃 가맹점(107)에 의한 배달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배달원(105)에 의해 고객(106)으로의 직접 배달되는 경우, 관리서버(101)는 고객(106)에게 용기(102)가 배달 완료되는 경우에, 배달원(105)은 배달원 단말기를 통해 용기(102)를 스캔하거나, 배달원 단말기에 별도의 조작을 통해 배달이 완료되었음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배달원 단말기는 관리서버(101)로 배달 완료에 대한 신호를 송출하고, 관리서버(101)는 용기(102)의 현재 상태를 배달완료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테이크아웃 가맹점(107)을 통해 고객(106)에게 용기(102)가 배달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달원(105)은 용기를 테이크아웃 가맹점(107)에 제공하고, 테이크아웃 가맹점(107)은 배달원(105)으로부터 용기(102)를 수령하는 경우에 테이크아웃 가맹점 단말기를 통해 용기를 리딩하여 용기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획득한 용기식별정보를 관리서버(101)로 전송하여 용기(102)에 대한 현재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테이크아웃 가맹점(107)은 음식물 등 내용물이 담긴 용기를 판매하는 장소(편의점, 슈퍼 등)로써 회수가맹점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고객에게 용기(102)를 판매하고 이를 관리서버(101)에 등록한다.
한편, 고객(106)은 테이크아웃 가맹점(107)을 방문해서 용기(102)를 구매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고객(106)은 내용물을 구매할 때 용기 보증금을 예치하고 쓰레기를 담은 용기를 반납할 때는 다음에 배달 오는 배달원에게 반납하거나 회수가맹점(108)에 가서 반납하며 반납 완료 후에는 용기 보증금을 반환 받으며 관리서버(101)와 연결된 고객앱을 통해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반납을 받아주는 측에서 용기를 리딩하여 회수 용기부품 목록을 관리서버에 등록하고 관리서버는 이를 확인한 이후에 반납 완료를 승인하고 반납되지 않은 용기부품이 있을 시에는 미리 고지한 용기부품 보증금을 제외하고, 약속된 반납일을 지나서 반납할 시에는 용기 또는 용기부품들에 대한 초과 사용 수수료를 제외하고 상기 고객에게 용기 보증금을 반환한다.
관리서버(101)는 테이크아웃 가맹점(107)으로 용기(102)가 배달 완료되는 경우에 테이크아웃 가맹점(107)의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용기식별정보 및 가맹점 식별정보를 수집하여 등록하고, 고객(106)에게 용기(102)가 제공되는 경우에 용기(102)에 대한 상태를 판매 완료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이 완료된 용기(102)는 배달원(105)을 통해 회수된 후 중앙 회수/분리/세척/조립 시스템(103)에 전달될 수도 있고, 회수가맹점(108)을 통해 회수된 후 중앙 회수/분리/세척/조립 시스템(103)에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서버(101)는 고객(106)에게 제공되어, 배달 완료 또는 판매 완료의 상태에 있는 용기식별정보가 배달원(105)의 배달원 단말기 또는 회수가맹점(108)의 회수가맹점 단말기에서 재인식되면, 재인식된 용기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용기에 대한 상태를 회수 진행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례로, 회수가맹점(108)은 내점 고객에게서 쓰레기가 담긴 용기를 수령하고 회수가맹점 인식 단말기로 용기부품들을 리딩하여 용기식별정보(들)와 회수가맹점 정보를 매핑하여 관리서버(101)에 용기 회수 완료 등록을 하고 용기들을 지역마다 설치된 회수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회수장소는 용기들을 모아서 중앙 회수/분리/세척/조립 시스템(103)으로 이동시킨다.
회수장소는 지역마다 설치된 용기 회수장소로써 배달원(회수원)이나 회수가맹점(108)으로부터 용기를 회수하고 회수장소 인식단말기로 회수된 용기들을 관리서버(101)에 등록하고 일정량의 용기들이 쌓이면 이들을 중앙 회수/분리/세척/조립 시스템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01)는 중앙 회수/분리/세척/조립 시스템(103)에 재인식된 용기식별정보에 해당되는 용기가 회수되면, 재인식된 용기식별정보를 중앙 회수/분리/세척/조립 시스템 단말기로부터 전달 받아 상기 용기에 대한 상태를 회수 완료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관리서버(101)는 상기 용기의 배달을 위해 상기 용기에 배송관련 정보가 인쇄된 라벨을 부착하지 않고 인가된 관계자(내용물공급업체, 배달원 등)가 용기식별번호를 리딩했을 때 이와 연결된 상기 관계자의 단말기를 통해 필요한 정보(배송 관련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필요한 시간만큼만 디스플레이해주는 방식으로 배송관련 정보의 유출 방지와 라벨 인쇄에 따른 비용 절감 및 환경 오염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관리서버(101)는 테이크아웃가맹점이 상기 용기를 판매할 때 제품관련 정보가 인쇄된 라벨을 상기 용기에 부착하지 않고 제품코드(QR코드 등)를 용기가 디스플레이된 공간에 배치하고 고객이 자신의 스마트폰 앱으로 이를 리딩하거나 입력하여 제품관련 정보를 확인하는 방식, 또는 고객이 사용할 수 있는 용기 인식단말기를 테이크아웃가맹점에 비치하여 고객이 상기 단말기로 용기를 인식하면 고객의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제품관련 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면부호 100은 용기 본체의 상측에서 바라보는 평면도이고, 도면부호 120은 용기의 덮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면부호 130은 용기 본체, 내용물통, 압착패드, 덮개가 결합된 상태의 용기를 나타낸다.
용기(130)는 1개 이상의 용기부품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데 본체(111),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칸으로 구성되는 내용물통(음식물통, 제품통, 쓰레기통)(112), 덮개(121), 압착패드(미도시)와 같은 용기부품들로 구성되며 용기부품에는 각각의 일면 또는 내부에 인식 태그(114)가 부착 또는 삽입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에는 하나의 용기식별정보가 부여되어 관리서버에 저장 및 유지된다.
용기(130)의 본체(111)안에 내용물통(112)을 넣고 덮개(121)를 닫아서 채우면 덮개(121) 안쪽면에 위치한 압착패드의 압착패킹라인(실리콘, 고무 등)이 내용물통(112)의 상단부분과 완전 밀착되어 내용물의 다른 칸으로의 이동을 방지하고 냄새가 밖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설계된다. 이때 본체(111)와 내용물통(112), 덮개(121)와 압착패드 또는 부품들 전체가 하나의 용기부품 또는 용기(102)를 이루도록 일체형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이때 내용물통(112)이라 함은 담고자 하는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내용물통으로 제작되는데 크게는 음식물을 담는 음식물통, 택배 제품을 담는 제품통, 쓰레기를 담는 쓰레기통(음식물쓰레기통, 종량제쓰레기통, 재활용쓰레기통)이 될 수 있는데 본체와 일체형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용기(130)는 사용 목적에 따라 투명 용기, 전자레인지 용기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내용물통(112) 안에 하위 내용물통을 삽입하고 이 각각의 하위 내용물통에도 인식 태그(114)를 부착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음식물통 안에 다른 하위 음식물통(텀블러, 컵, 밥그릇, 국그릇 등)을 삽입하고 이 하위 음식물통에도 각각의 인식 태그를 부착하여 본체 인식 태그, 음식물통 인식 태그, 하위음식물통들 각각의 인식 태그, 압착패드 부착 덮개 인식 태그를 조합하여 하나의 용기식별정보를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본체, 음식물통 또는 덮개내에 음식물 관련 도구(숟가락, 젓가락, 포크, 나이프, 소품통(이쑤시개, 네프긴 등을 넣는 함) 등)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있고 이 음식물 관련 도구에도 각각 인식 태그를 삽입하여 별도의 용기부품으로 관리할 수도 있다.
용기의 점유자가 바뀌는 용기 유통 과정을 살펴보면 중앙 회수/분리/세척/조립 시스템에서는 용기를 용기부품상태 또는 용기 조립상태로 인식 태그들을 대량 리딩하여 내용물 공급업체에 공급하고 이를 관리서버에 등록하며 내용물 공급업체는 공급받은 용기 또는 용기부품들의 인식 태그를 인식 단말기로 대량 리딩하여 용기의 점유권이 자신으로 이동하였음을 관리서버에 등록하고 이를 중앙 회수/분리/세척/조립 시스템과 상호 확인하여 재고 관리를 하고, 고객에게 내용물을 공급할 때는 내용물이 들어가는 용기를 조립하여 하나의 용기를 만들고 이 용기를 리딩하면 용기부품 인식 태그들이 동시에 리딩되고, 이 인식 태그들의 조합으로 하나의 용기식별정보를 만들어 내용물 정보와 함께 관리서버에 등록한다. 배달원이 배달원 단말기로 상기 용기를 리딩하면 용기부품 인식 태그들이 동시에 인식되고 이 인식 태그들의 조합이 관리서버에 등록된 용기식별정보(인식 태그들의 조합)와 일치하면 이 용기식별정보에 배달원 정보를 매핑하여 배달원이 상기 용기를 점유하였음을 관리서버에 등록하고 관리서버는 내용물 공급업체와 배달원에게 이를 통지한다. 일치하지 않는다면 내용물 공급업체와 배달원은 용기를 분리하여 용기부품들을 확인하고 내용물 공급업체가 등록하는 용기식별정보(인식 태그들의 조합)와 배달원 단말기가 인식하는 용기식별정보(인식 태그들의 조합)가 일치하도록 다시 용기식별정보 등록 및 용기식별정보 인식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이러한 모든 과정은 관리서버에 보고된다. 배달원이 점유한 상기 용기를 고객에게 양도하기전에 용기를 리딩하거나 앱 등을 통해 배달 완료를 관리서버에 등록하면 관리서버는 고객이 상기 용기의 점유자가 되었음을 기록하고 배달원, 고객, 내용물 공급업체에게 알린다. 내용물 공급업체에서 테이크아웃가맹점으로 내용물이 담긴 용기를 배달원을 통해서 배달할 때에도 내용물 공급업체가 배달될 용기의 용기식별정보와 내용물 정보를 등록하고 배달원이 배달할 용기(들)을 리딩하여 점유자의 변경을 등록하고 테이크아웃 가맹점이 용기(들)을 인수할 때에는 테이크아웃가맹점의 용기 인식 단말기로 용기(들)을 리딩하여 용기(들) 점유자가 테이크아웃가맹점이 되었음을 관리서버에 등록하고 관리서버는 이들 정보를 내용물공급업체, 배달원, 테이크아웃가맹점에 알린다. 테이크아웃가맹점에서 고객에게 상기 용기를 리딩하여 판매하면 상기 용기는 판매되어 고객에게 점유된 상태로 관리된다. 고객이 배달원이나 회수가맹점을 통해 상기 용기를 반납하면 배달원이나 회수가맹점이 용기 인식단말기로 용기를 인식하여 점유자가 배달원이나 회수가맹점으로 바뀌었음을 관리서버에 등록하는데 반납하는 용기에서 빠지거나 추가되는 용기부품(들)이 있다면 이와 관련된 모든 사항은 관리서버에 기록되고 케이스별로 정해진 룰에 따라 처리된다. 배달원이나 회수가맹점은 용기를 회수장소 또는 중앙 회수/분리/세척/조립 시스템으로 용기를 이동시키고 이때에도 용기(들)을 리딩하여 용기 점유자의 변경 상태를 관리서버에 등록하고 상호 확인한다. 이처럼 내용물 공급업체가 용기식별정보를 부여하여 관리서버에 등록한 용기(들)의 이동 경로마다 각 구성원들이 자신의 인식 단말기를 통해 현재의 용기부품들의 조합 상태를 인식하고 관리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이전 용기부품들의 조합상태와 비교하고 그 히스토리를 관리함으로써 부품별 분실/파손에 대한 책임 입증, 부품별 수명 관리, 부품별 선호도 통계 등을 시스템적으로 관리한다.
일례로, 본체(111)와 덮개(121)는 개폐장치를 통해서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덮개(121)와 본체(111)는 전기 에너지로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칩이 내장된 개폐장치에 결속될 수 있다.
또한, 개폐장치의 에너지원은 무선 충전이 가능한 2차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는 관리서버(101)로부터 내용물 공급업체 단말기에 제공되는 개폐신호에 따라 용기의 개폐를 제어하거나, 관리서버(101)로부터 고객의 스마트폰에 제공되는 개폐신호에 따라 용기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는 2차전지와 개폐칩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완전 밀봉된 상태로 본체 또는 덮개내에 내장되어 있어서 용기의 세척시에도 외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한다.
한편, 용기를 배송, 회수함에 있어 고객이 배달원이나 회수원과 직접 대면하지 않고 무인으로 고객에게 배송 및 회수가 가능한 무인 용기 배송/회수 시스템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고객에게 용기를 배송하여 전달하고, 고객으로부터 용기를 회수하는 부분을 무인화하는 엘리베이터시스템을 설치하여 배달원이 엘리베이터시스템에 용기를 탑재하면 엘리베이터시스템내 용기 인식 단말기가 이를 인식하여 목적지 가구의 출입구로 이동하여 상기 용기를 출입구를 통해 가구 내로 밀어 넣어주거나 고객 앱을 통해 알려주어 고객이 엘리베이터시스템으로부터 인증 절차를 거쳐 용기를 인도받고 이러한 배달원-엘리베이터시스템-고객으로의 단계별 용기 점유 이동 상태가 관리서버에 기록되는 방식으로 무인 배송하거나, 고객이 도착한 엘리베이터시스템에 반납할 용기를 탑재하면 이를 인식한 엘리베이터시스템이 배달원이 있는 층으로 이동하고 배달원이 엘리베이터시스템으로부터 용기를 회수하는 인증 절차를 거치며 이러한 고객-엘리베이터시스템-배달원으로의 단계별 용기 점유 이동 상태가 관리서버에 기록되는 방식으로 무인 회수하고 관리서버는 고객, 배달원, 내용물 공급자에게 각 단계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달원이 엘리베이터시스템을 통해 용기를 배송하고 회수하는 부분을 좀 더 자동화하는 시스템을 더하여, 예를 들어 아파트동의 1층 한쪽 끝에는 배송적재시스템을, 맞은편 1층 한쪽 끝에는 회수적재시스템을, 1층 엘리베이트시스템과 배송, 회수 적재시스템 사이에는 선택적으로 컨베이어벨트시스템을 추가 설치하고 배달원이 배송적재시스템에 용기를 탑재하면 배송적재시스템이 이를 인식하여 직접 또는 컨베이어벨트 시스템을 통해 상기 용기를 1층에 서 있는 엘리베이터시스템에 탑재하여 상기 용기를 목적 가구에 배송하고, 반납되는 용기가 탑재된 엘리베이터시스템은 1층으로 내려와서 직접 또는 컨베이어벨트 시스템을 통해 회수적재시스템에 상기 반납 용기를 적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고객이 엘리베이터시스템을 통해 용기를 배송 받고 반납하는 부분을 좀 더 자동화하는 시스템을 더하여, 가구내 용기 출입구 앞에 용기 적재대를 추가 설치하고 엘리베이터시스템은 상기 용기 적재대를 통해 용기를 배송/회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용기 적재대에 배송된 용기가 적재되면 고객 앱을 통해 이를 알려주고 고객이 쓰레기가 들어있는 용기를 용기 적재대에 적재하면 용기 적재대가 자동으로 이를 인지하는 방식이나 고객이 스마트폰을 통해 회수요청을 하는 방식으로 회수요청을 하면 관리서버와 연결된 엘리베이터시스템이 해당 가구로 이동하여 용기 적재대에 있는 용기를 회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무인 용기 회수적재시스템은 남은 내용물과 쓰레기가 담긴 상기 용기가 일정량 이상 적재되면 관리서버에서 이를 인지하여 중앙 회수/분리/세척/조립 시스템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다른 일례로, 무인 용기 배송적재시스템 또는 회수적재시스템은 용기가 적재 또는 반납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발생된 이벤트와 함께 용기에 대한 용기식별정보를 관리서버(101)로 제공할 수 있다.
관리서버(101)는 무인용기 적재시스템들 각각에 대한 현재위치를 구분하여 저장하고, 무인용기 적재시스템으로부터 무인용기 적재시스템의 식별정보와 함께 용기식별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해당 용기에 대한 현재위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 회수/분리/세척/조립 시스템(103)은 용기(102)가 반납되면, 용기부품들의 인식 태그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용기내 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고 용기의 내용물(쓰레기)을 사진촬영하고 쓰레기를 분리 처리하며 각 부품들을 세척한 후 이를 다시 조립하여 깨끗한 상태의 용기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든 정보들을 관리서버에 등록하는 시스템으로서 이 정보와 공급자 ID, 고객 ID를 매핑하여 고객별/내용물 공급업체별/내용물별 내용물쓰레기 사진 정보, 사진 정보에 대한 시각적 또는 소프트웨어적 판독 정보 및 내용물쓰레기 무게 정보를 바탕으로 내용물쓰레기 관련 정보를 각 구성원들에게 적절한 형태로 가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에게는 해당 고객의 기간별 내용물쓰레기 배출량을 고객 단말기(103)의 고객앱을 통해서 알리고, 내용물 공급자에게는 해당 고객의 내용물의 잔반 상태 사진, 판독 정보, 내용물 종류에 따른 내용물쓰레기 무게의 평균값 정보, 계절별 정보 등을 제공하여 다음 내용물 공급 때 참고 자료로 쓰도록 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용기 관리시스템(100)은 용기 또는 용기부품들에 대한 보증금, 내용물 비용, 쓰레기 처리 비용, 용기 또는 용기부품 초과 사용료 등에 대한 결제 시스템을 블록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로 결제하여 현금결제, 신용카드결제 등에 따른 문제점(잔돈 문제, 수수료 문제, 결제실패 문제 등)을 해결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용기 관리시스템(100)은 고객에게 용기를 배달하기 위해 현재 행해지고 있는 방식대로 용기에 배송관련 정보(보내는 사람 주소/연락처, 받는 사람 주소/연락처, 제품정보 등)가 인쇄된 라벨을 부착할 수도 있지만 용기에 라벨을 부착하지 않고 인가된 관계자(내용물공급업체, 배달원 등)가 용기식별번호를 리딩했을 때 이와 연결된 상기 관계자의 단말기를 통해 필요한 정보(배송 관련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필요한 시간만큼만 디스플레이해주는 방식으로 배송관련 정보의 유출 방지와 라벨 인쇄에 따른 비용 절감 및 환경 오염을 방지하도록 시스템을 설계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용기 관리시스템(100)은 고객이 테이크아웃가맹점에서 용기를 구매할 때 고객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 현재 행해지고 있는 방식대로 용기에 제품관련 정보(제품명, 가격, 무게, 영양정보, 공급자정보, 유통기한 등)가 인쇄된 라벨을 부착할 수도 있지만 용기에 라벨을 부착하지 않고 제품코드(QR코드 등)를 용기가 디스플레이된 공간에 배치하고 고객이 자신의 스마트폰 앱으로 이를 리딩하거나 입력하여 제품관련 정보를 확인하는 방식, 또는 고객이 사용할 수 있는 용기 인식단말기를 테이크아웃가맹점에 비치하여 고객이 상기 단말기로 용기를 인식하면 고객의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제품관련 정보를 보여주는 방식으로 라벨 인쇄에 따른 비용 절감 및 환경 오염을 방지하도록 시스템을 설계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용기 관리시스템(100)은 음식물 용기, 택배 용기, 쓰레기 용기를 배달원이나 회수원과 직접 대면하지 않고 무인으로 고객에게 배송/회수하기 위한 용기 컨베이어벨트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용기 컨베이어벨트시스템은 배달원으로부터 배달된 용기(102)를 가구내로 무인배송하거나, 가구내로부터 반납되는 용기(102)를 무인용기 회수적재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컨베이어벨트시스템은 주로 공동주택에 설치될 수 있다. 용기 관리시스템(100)과 연결되어 관련 정보가 통합된 상태에서 무인용기 배송적재시스템에 용기가 적재되면 용기와 배송 목적 가구를 자동 인식하여 용기 컨베이어벨트시스템을 통해 배송 목적지 가구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용기를 자동 적재하여 목적 가구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용기(102)를 적재하여 목적 가구에 도착한 엘리베이터시스템은 가구에 설치되어 있는 용기 입출입구를 통하여 용기 입출입구 앞에 설치되어 있는 가구내 용기 적재대에 용기를 밀어넣어 주고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용기를 반환할 때는 가구 내에 설치되어 있는 용기 적재대에 용기를 적재하면 자동으로 이를 인식하거나 고객 앱을 통해 회수 요청을 하면 엘리베이터시스템이 해당 가구로 이동하여 와서 가구내 용기 적재대에 적재되어 있는 용기를 회수하여 컨베이어벨트시스템으로 이동시키고 1층 또는 저층에 설치되어 있는 동단위 용기 회수적재시스템에 용기를 적재하고 이러한 모든 과정은 관리서버(101)에 보고될 수 있다.
무인용기 회수적재시스템에 일정량 이상의 용기가 쌓이면 자동으로 회수원에게 이를 알리고 회수원은 용기들을 중앙 회수/분리/세척/조립 시스템(103)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가구 내에 용기 적재대를 설치하지 않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는데 배송 때는 엘리베이터시스템이 가구의 용기 입출입구를 통해 용기를 가구내로 밀어 넣어주고 회수 때에는 고객이 앱 등을 통해 엘리베이터를 호출하여 용기를 직접 엘리베이터 안으로 밀어 넣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이처럼 엘리베이터시스템에는 용기의 배송/회수를 위한 기계장치 및 컨트롤시스템이 설치되어 있고 컨베이어시스템/배송적재시스템/회수적재시스템/ 관리서버와도 연결되어 있어서 구성원들의 앱을 통해서 용기의 이동 상태가 자동적으로 보고/관리/통제된다.
무인용기 배송적재시스템은 배송을 위해 컨베이어벨트시스템을 통해서 용기(102)를 엘리베이터시스템으로 공급하고 무인용기 회수적재시스템은 회수를 위해 컨베이어벨트시스템을 통해서 용기(102)를 엘리베이트시스템으로부터 회수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시스템이 컨베이어벨트시스템을 통해서 무인용기 배송적재시스템이나 회수적재시스템으로 이동하여 이를 수행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고 컨베이어벨트시스템 없이 엘리베이터시스템이 직접 용기 무인용기 배송적재시스템이나 회수적재시스템과 연결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고객이 빈 쓰레기용기를 앱 등을 통해 요청하면 관리서버(101)가 이를 공동주택 무인용기 배송적재시스템과 연동하여 배송하며 쓰레기용기의 경우 용기를 회수하면 새 용기를 제공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쓰레기가 담긴 용기를 회수한 직후에 새 용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시스템이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쓰레기용기가 가구내 용기 적재대에 올려지거나 고객이 앱 등을 통해 쓰레기용기의 회수를 요청하면 이를 인지하여 엘리베이터시스템이 해당 가구로 이동하여 쓰레기용기를 회수한 직후에 새용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처럼 고객이 쓰레기용기를 배송 받고 반납/회수하는 방식도 음식물 배달 용기, 제품의 택배 용기와 똑같은 프로토콜과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쓰레기/음식물의 배달/택배의 처리 방식을 관리서버 시스템이 통합 관리한다. 이때 똑같은 프로토콜을 쓰는 용기가 아니라 일반 음식 배달물, 택배물이 배달되었을 경우에는 이를 같은 프로토콜을 쓰는 빈 용기에 투입하고 목적 가구의 주소를 입력하며 이에 따르는 인터페이스 시스템은 별도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인용기 회수적재시스템에 적재된 용기(102)가 기준 이상 채워지게 되면, 회수장소 또는 중앙 회수/분리/세척/조립 시스템으로 용기(102)들을 이동시킨다.
회수가맹점은 용기(102)의 반납을 받아주는 장소로써 내용물 용기를 테이크아웃할 수 있도록 계약이 체결된 편의점, 슈퍼 등의 오프라인 가맹점이 이에 해당된다. 또한, 고객이 용기(102)의 반환을 요청하면 회수가맹점 단말기를 통해 용기의 인식 태그들을 자동 인식하여 관리서버(101)로 송신하고 관리서버(101)는 해당 고객의 용기 예치금을 돌려주며 구성원 단말기(회수가맹점 단말기, 고객 단말기)를 통해 용기(102)의 이동 정보와 예치금 반환 정보를 보여준다. 일정량 이상의 용기(102)가 회수가맹점에 쌓이면 회수장소 또는 중앙 회수/분리/세척/조립시스템으로 이동한다. 이 역할은 음식 또는 택배 배달원이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200)는 ID생성부(201), 정보 저장부(202) 및 빅데이터부(203)을 포함한다.
ID생성부(201)는 내용물 공급업체가 용기부품들의 인식 태그들을 조합하여 생성한 용기식별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할 수 있다.
정보 저장부(202)의 용기의 내용물 정보는 용기의 위치, 고객주소, 공급자ID, 배달원, 회수원, 회수가맹점, 내용물의 종류, 내용물의 사진 정보, 내용물의 부피 및 내용물의 무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용기의 내용물 정보는 상술한 정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재되지 않은 다양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부(203)는 구축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용기의 부품들의 무게, 용량, 재질, 사진 및 인식 태그와 매핑하여, 매핑한 결과를 기초로 부품과 내용물 간에 적합한지 여부를 제공하는 매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빅데이터부(203)는 정보 저장부(202)의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빅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빅데이터는 기존 데이터베이스, 정형 데이터베이스 및 비정형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로부터 가치를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기술이다.
일례로, 빅데이터부(203)는 빅데이터의 용기부품정보, 고객정보, 내용물 공급업체정보, 내용물정보, 지역정보, 계절정보 등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재되어 있지 않는 모든 정보들을 기록, 추출, 분석 및 관리할 수 있다.
일례로, 빅데이터부(203)는 년도별, 계절별, 월별, 일별 및 시간대별 주문량 및 공급량을 추출하고, 추출된 결과값을 통해 년도별 주문량과 공급량의 추세를 분석할 수 있으며, 추출된 결과값을 통해 계절별 주문량과 공급량의 추세를 분석할 수 있고, 추출된 결과값을 통해 월별 주문량과 공급량의 추세를 분석할 수 있으며, 추출된 결과값을 통해 일별 주문량과 공급량의 추세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주문량과 공급량의 추세를 년도별, 계절별, 월별, 일별 및 시간대별로 분석하여 예상 주문량 및 예상 공급량을 지역별 및 시간별로 분석할 수 있다.
일례로, 빅데이터부(203)는 용기부품별 수명을 추출하며, 추출된 결과값을 통해 용기에 대한 재활용의 최적화를 할 수 있다.
일례로, 빅데이터부(203)는 지역별 배달량 및 테이크 아웃의 수량을 추출하고, 지역별 추출된 결과값을 통해 어느 지역에서 배달주문과 테이크 아웃의 주문을 예상할 수 있다.
일례로, 빅데이터부(203)는 내용물량 및 용기의 수거량을 추출하고, 추출된 결과값을 통해 지역별로 내용물량을 매핑하여 나타낼 수 있고, 추출된 결과값을 통해 지역별로 용기의 회수율을 매핑하여 나타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부(3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시한 블록도이다.
관리서버는 빅데이터 처리를 위해서 별도의 빅데이터 처리 시스템으로 관련 데이터들을 전송할 수도 있고, 자체적으로 빅데이터와 관련된 분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도 3을 통해서는, 빅데이터 처리를 내부적으로 수행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빅데이터부(300)는 예측부(301), 콜명령부(302), 업데이트부(303), 콜갱신부(304) 및 매핑부(305)를 포함한다.
예측부(301)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용기의 이동할 위치 및 예상 수요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예측부(301)는 빅데이터에 기록된 누적된 주문의 수 및 이동 동선을 통해 예상 수요 위치를 예측할 수 있다.
콜명령부(302)는 예측한 배달 위치로 용기들을 분포시키는 콜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업데이트부(303)는 용기의 재고량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재고량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업데이트부(303)는 데이터베이스를 기초하여 배달 예상 위치에 대응하는 배달 예상 수요 및 용기 재고량을 갱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에서 용기부품들의 인식 태그들을 조합하여 용기식별정보(용기 ID)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용기식별정보는 내용물 공급업체를 통해 관리서버로 전달되며, 관리서버는 전달된 용기식별정보를 기록 및 저장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절차를 예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용기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단계 401에서 내용물 공급업체가 용기부품들의 인식 태그들을 조합하여 용기식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용기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단계 402에서 내용물 공급업체가 용기ID에 내용물 정보, 사진 정보, 무게 정보 등을 매핑하여 관리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
용기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단계 403에서 용기의 유통 경로에 위치한 구성원들이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용기ID를 리딩함으로써 용기 점유자 변경 정보를 관리서버에 등록할 수 있다.
용기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용기에 담긴 내용물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일례로, 카메라를 통해서 용기의 담긴 내용물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용기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단은 카메라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이미지 획득 수단을 통해 용기의 내용물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용기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단계 404에서 내용물 공급업체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 용기의 위치정보 및 용기의 내용물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서버로 송수신하고, 관리서버는 이를 저장한다.
네트워크는 블루투스, Zigbee, RF 모뎀(Modem), IrDA, 와이파이 및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하며, 유무선으로 관리서버와 내용물 공급업체 간 통신 수단의 일실시예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통신 망은 LTE, 4G 및 5G를 의미하며, 관리서버와 내용물 공급업체 단말기와의 송수신을 네트워크를 통해 하는 무선 기술이다.
관리서버와 내용물 공급업체 단말기와의 송수신을 LTE, 4G 및 5G 중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을 할 수 있다.
단계 405에서 관리서버는 수신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빅데이터를 구축한다.
여기서, 빅데이터는 기존 데이터베이스, 정형 데이터베이스 및 비정형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로부터 가치를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기술이다
관리서버는 빅데이터의 용기부품정보, 고객정보, 내용물 공급업체정보, 음식정보, 내용물쓰레기정보, 지역정보, 계절정보 등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재되어 있지 않는 모든 정보들을 기록, 추출, 분석 및 관리할 수 있다.
용기 관리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단계 406에서 관리서버를 통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매핑하여 데이터를 가공 및 추출한다.
예를 들어, 관리서버는 년도별, 계절별, 월별, 일별 및 시간대별 주문량 및 공급량을 추출하고, 추출된 결과값을 통해 년도별 주문량과 공급량의 추세를 분석할 수 있으며, 추출된 결과값을 통해 계절별 주문량과 공급량의 추세를 분석할 수 있고, 추출된 결과값을 통해 월별 주문량과 공급량의 추세를 분석할 수 있으며, 추출된 결과값을 통해 일별 주문량과 공급량의 추세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주문량과 공급량의 추세를 년도별, 계절별, 월별, 일별 및 시간대별로 분석하여 예상 주문량 및 예상 공급량을 지역별 및 시간별로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는 용기부품별 수명을 추출하며, 추출된 결과값을 통해 용기에 대한 재활용의 최적화를 할 수 있다.
또는, 관리서버는 지역별 배달량 및 테이크 아웃의 수량을 추출하고, 지역별 추출된 결과값을 통해 어느 지역에서 배달주문과 테이크 아웃의 주문을 예상할 수 있다.
관리서버는 내용물량 및 용기의 수거량을 추출하고, 추출된 결과값을 통해 지역별로 내용물량을 매핑하여 나타낼 수 있고, 추출된 결과값을 통해 지역별로 용기의 회수율을 매핑하여 나타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 관리시스템(5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 관리시스템(500)은 고객 단말기(501), 무인 용기 배송/회수 시스템(502) 및 관리서버(503)를 포함한다.
고객 단말기(501)는 내용물 배송에 대한 콜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고객 단말기(501)는 사용자가 음식을 다 섭취하고 남은 음식 용기에 대한 회수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용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 태그가 각각 부착되고, 탈부착 방식으로 조립되어 기설정된 형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용기는 용기식별정보로 구별될 수 있고, 용기식별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 태그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 태그정보가 반영될 수 있다.
인식 태그는 RFID tag, BLE tag, NFC tag 등 여러 인식태그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용기를 제공하고 반납하는데 필요한 구성원들, 예를 들어, 내용물 공급업체 단말기, 배달원 단말기, 회수가맹점 단말기, 분리/세척/조립시스템 등은 다양한 응용 기능을 담당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고객 단말기(50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관리서버(503)와 통신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고객 단말기(501)는 사용자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콜명령은 내용물의 종류, 배달지의 주소, 음식점 주소, 음식점 상호, 용기의 내용물 정보 및 음식 용기의 규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재되지 않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용기의 내용물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의 위치, 고객주소, 공급자ID, 배달원, 회수원, 회수가맹점, 내용물의 종류, 내용물의 부피 및 내용물의 무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의 내용물 정보는 상술한 정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재되지 않은 다양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관리서버는 구성원들의 단말기로부터 내용물 배송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실시간 배송 정보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고객 단말기(501)를 제외한 모든 구성원들의 단말기는 RFID tag 리더기, BLE tag 리더기, NFC tag 리더기 등 여러 리더기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구성원들의 단말기는 용기의 인식 태그를 RFID tag 리더기, BLE tag 리더기, NFC tag 리더기 등 여러 리더기들 중에서 하나를 이용하여 용기의 위치 및 내용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무인 용기 배송/회수시스템(502)은 배달원이 엘리베이터시스템을 통해 용기를 배송하고 회수하는 부분을 좀 더 자동화할 수 있다.
무인 용기 배송/회수시스템(502)은 배송적재시스템, 회수적재시스템, 선택적으로 컨베이어벨트시스템을 추가 설치하고 배송적재시스템에 용기를 탑재하면 배송적재시스템이 이를 인식하여 직접 또는 컨베이어벨트 시스템을 통해 용기를 엘리베이터시스템에 탑재할 수 있다. 또한, 용기를 배송하고, 반납되는 용기가 탑재된 엘리베이터시스템은 직접 또는 컨베이어벨트 시스템을 통해 회수적재시스템에 반납 용기를 적재하도록 할 수 있다.
무인 용기 배송/회수시스템(502)은 가구내 용기 출입구 앞에 용기 적재대를 추가 설치하고 엘리베이터시스템은 용기 적재대를 통해 용기를 배송/회수할 수 있다.
남은 내용물과 쓰레기가 담긴 상기 용기가 일정량 이상 적재되면 관리서버(503)에서 이를 인지하여 중앙 회수/분리/세척/조립 시스템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무인 용기 배송/회수시스템(502)은 용기에 적재 또는 반납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발생된 이벤트와 함께 용기에 대한 용기식별정보를 관리서버(503)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503)는 무인 용기 배송적재시스템과 회수적재시스템에 대한 현재위치를 구분하여 저장하고, 상기 용기식별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수집된 정보들을 활용하여 용기에 대한 현재위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면, 음식물 배달 용기, 제품 택배 용기, 쓰레기 용기의 배송 및 회수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배달에 수반되는 포장 등의 쓰레기와 고객의 집안 쓰레기 처리를 음식물 배달 용기, 제품 택배 용기, 쓰레기 용기의 회수와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공동주택에 용기의 배송 및 회수를 무인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용기 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2)

  1.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한 용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 태그;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 태그가 각각 부착되고, 탈부착 방식으로 조립되어 기설정된 형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부품
    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 태그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 태그정보가 반영된 용기식별정보에 의해 현재위치가 관리서버에 의해서 모니터링되며, 내용물 공급업체에 의해 용기식별정보가 부여되어 고객에게 배송되거나, 상기 고객으로부터 상기 중앙 회수/분리/세척/조립 시스템에 반납되고,
    상기 내용물 공급업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 태그로부터 식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 태그정보를 리딩하고, 상기 리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 태그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용기에 대한 용기식별정보로 재구성하며, 상기 재구성된 용기식별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출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의해 상기 용기에 대한 현재위치가 모니터링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부품은 본체, 음식물통, 압착패드, 덮개, 또는 음식물통 내장 일체형 본체, 압착패드 부착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부품 각각에 인식 태그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부품이 결합되는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품은,
    상기 음식물통 내에 인식 태그가 부착된 하위 음식물통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기 음식물통 또는 상기 덮개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음식물 관련 도구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음식물 관련 도구 각각은 인식 태그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부품은 본체, 제품통, 압착패드, 덮개, 또는 제품통 내장 일체형 본체, 압착패드 부착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부품 각각에 인식 태그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부품이 결합되는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부품은 본체, 쓰레기통, 압착패드, 덮개, 또는 쓰레기통 내장 일체형 본체, 압착패드 부착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부품 각각에 인식 태그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부품이 결합되는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품은 본체와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는 전기 에너지로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칩이 내장된 개폐장치에 결속되며,
    상기 개폐장치의 에너지원은 무선 충전이 가능한 2차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내용물 공급업체 단말기에 제공되는 개폐신호에 따라 상기 용기의 개폐를 제어하거나,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고객의 스마트폰에 제공되는 개폐신호에 따라 상기 용기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2차전지와 개폐칩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완전 밀봉된 상태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덮개 내에 내장되어, 용기의 세척 시에도 외부 이물질의 침투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 태그가 각각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부품이 조립되어 형성되는 용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 태그로부터 식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그정보를 리딩하고, 상기 리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식 태그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용기에 대한 용기식별정보로 재구성하며, 상기 재구성된 용기식별정보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내용물 공급업체 단말기 시스템; 및
    상기 송출되는 용기식별정보로부터 상기 용기에 대한 현재위치를 식별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용기 관리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배달원 단말기나 회수가맹점 단말기를 통해 반납 완료를 승인하거나, 반납 완료되지 않은 용기부품들에 대해 미리 고지한 용기부품 예치금을 제외하거나, 초과 사용 수수료를 제외하여 용기 보증금을 반환하고,
    고객에 의한 쓰레기 배출이 발생하는 경우에 수거된 쓰레기에 대한 요금을 고객에게 과금하도록 처리하는 용기 관리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용기 또는 용기부품들에 대한 보증금, 내용물 비용, 쓰레기 처리 비용, 용기 또는 용기부품 초과 사용료 등에 대한 결제 시스템을 블록체인을 이용한 가상화폐로 결제하는 결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관리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내용물 공급업체로 이동한 상기 용기 또는 용기부품들에 대해, 내용물 공급업체 단말기가 용기부품들을 리딩하여 재구성하는 용기식별정보와, 재구성된 용기식별정보가 부여된 용기에 담기는 내용물에 대한 내용물 정보를 수집하여 등록하는 용기 관리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내용물 공급업체에서 용기에 담기는 내용물 자체에 대한 정보를 추가 측정하여 등록하도록 내용물 공급업체에 요청하고, 상기 내용물 자체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추가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용기 관리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내용물 공급업체로부터 상기 내용물이 담긴 용기를 수령하는 배달원의 배달원 단말기가 리딩한 상기 용기식별정보를 수집하는 경우에 상기 등록된 용기에 대한 상태를 상기 배달원의 식별정보와 매핑하여 수령 완료로 업데이트 하는 용기 관리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고객에게 상기 용기가 배달 완료되는 경우에 상기 배달원 단말기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배달 완료로 업데이트 하는 용기 관리시스템.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테이크아웃 가맹점으로 상기 용기가 배달 완료되는 경우에 상기 테이크아웃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기로부터
    상기 용기식별정보 및 가맹점 식별정보를 수집하여 등록하고,
    고객에게 상기 용기가 제공되는 경우에 상기 용기에 대한 상태를 판매 완료로 업데이트 하는 용기 관리시스템.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고객에게 제공되어, 배달 완료 또는 판매 완료의 상태에 있는 용기식별정보가 배달원 단말기 또는 회수가맹점의 회수가맹점 단말기에서 재인식되면, 상기 재인식된 용기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용기에 대한 상태를 회수 진행으로 업데이트 하는 용기 관리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중앙 회수/분리/세척/조립 시스템에 상기 재인식된 용기식별정보에 해당되는 용기가 회수되면, 상기 재인식된 용기식별정보를 상기 중앙 회수/분리/세척/조립 시스템 단말기로부터 전달 받아 상기 용기에 대한 상태를 회수 완료로 업데이트 하는 용기 관리시스템.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용기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한 각 단말기들에 의해서 상기 용기로부터 추출 및 전송되는 용기식별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용기에 대한 이동 경로를 파악하는 용기 관리시스템.
  21. 제10항에 있어서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내용물통이 내장된 용기를 내용물 공급업체에 제공하면, 상기 내용물 공급업체에서 상기 용기에 내용물을 넣어서 고객에게 배송하거나 고객이 테이크아웃하게 하고
    상기 고객은 남은 내용물, 또는 기타 쓰레기를 상기 용기에 넣고 반납하는데 반납 방식은 다음 주문시에 오는 배달원에게 반납하거나 반납을 받아주는 회수가맹점을 통해 반납하고,
    반납 과정의 각 단계마다 구성원들의 단말기를 통해 용기식별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용기의 이동 상황을 상기 관리서버와의 유기적인 연동을 통해서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관리시스템.
  2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회수/분리/세척/조립시스템은,
    상기 반납되는 용기에 들어있는 내용물에 대한 촬영데이터 또는 무게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수신한 촬영데이터 또는 무게데이터를 이용해서 상기 내용물을 반납한 고객에게 과금처리하는 용기 관리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수신한 촬영데이터 또는 무게데이터가 빅데이터 분석에 활용되도록 빅데이터 서버로 제공하는 용기 관리시스템.
  24. 제10항에 있어서,
    최종 소비자를 제외하고, 상기 용기에 대한 배달과정 또는 반납과정에 있는 모든 구성원들의 단말기로 용기를 리딩하여, 용기를 점유하였음을 관리서버에 보고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용기를 주고 받는 구성원들의 단말기에도 용기 점유에 대한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용기 관리시스템.
  25. 제10항에 있어서,
    고객에게 용기를 배송하여 전달하고, 고객으로부터 용기를 회수하는 부분을 무인화하는 무인 용기 배송/회수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인 용기 배송/회수 시스템은,
    배달원이 엘리베이터시스템에 용기를 탑재하면 엘리베이터시스템내 용기 인식 단말기가 이를 인식하여 목적지 가구의 출입구로 이동하여 상기 용기를 무인 배송하거나, 상기 가구내로부터 엘리베이터시스템을 통해 반납되는 용기를 배달원이 회수하도록 동작하는 용기 관리시스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용기 배송/회수 시스템은
    배송적재시스템, 회수적재시스템, 또는 컨베이어벨트시스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배송적재시스템에 용기를 탑재하면 상기 배송적재시스템이 상기 용기를 인식하여 직접 또는 상기 컨베이어벨트 시스템을 통해 상기 용기를 엘리베이터시스템에 탑재하여 상기 용기를 배송하고, 반납되는 용기가 탑재된 엘리베이터시스템은 직접 또는 컨베이어벨트 시스템을 통해 상기 회수적재시스템에 상기 반납 용기를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관리시스템.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용기 배송/회수 시스템은
    고객이 엘리베이터시스템을 통해 용기를 배송받거나 반납하기 위해, 가구내 용기 출입구 앞에 추가 설치되는 용기 적재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시스템은 상기 용기 적재대를 통해 용기를 배송/회수하도록 하는 용기 관리시스템.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용기 배송/회수 시스템은 남은 내용물과 쓰레기가 담긴 상기 용기가 일정량 이상 적재되면 상기 관리서버에 보고하고, 상기 보고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서버에서 인지하여 상기 중앙 회수/분리/세척/조립 시스템으로 상기 용기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관리시스템.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 용기 배송/회수 시스템은,
    상기 용기가 적재 또는 반납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발생된 이벤트와 함께 용기에 대한 용기식별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제공하는 용기 관리시스템.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무인 용기 배송적재시스템과 회수적재시스템에 대한 현재위치를 구분하여 저장하고, 상기 용기식별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해당 용기에 대한 현재위치를 업데이트하는 용기 관리시스템.
  3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용기의 배달을 위해 상기 용기에 배송관련 정보가 인쇄된 라벨을 부착하지 않고 인가된 관계자가 용기식별번호를 리딩했을 때 연결된 상기 관계자의 단말기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필요한 시간만큼만 디스플레이해주는 방식으로 배송관련 정보의 유출 방지와 라벨 인쇄에 따른 비용 절감 및 환경 오염을 방지하도록 하는 용기 관리시스템.
  3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테이크아웃가맹점이 상기 용기를 판매할 때 제품관련 정보가 인쇄된 라벨을 상기 용기에 부착하지 않고 제품코드를 용기가 디스플레이된 공간에 배치하고 고객이 자신의 스마트폰 앱으로 이를 리딩하거나 입력하여 제품관련 정보를 확인하는 방식, 또는 고객이 사용할 수 있는 용기 인식단말기를 테이크아웃가맹점에 비치하여 고객이 상기 단말기로 용기를 인식하면 고객의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제품관련 정보를 보여주는 방식의 용기관리시스템.
KR1020190158265A 2019-12-02 2019-12-02 반영구적 내용물 포장 및 쓰레기 수거 겸용 용기 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2327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265A KR102327260B1 (ko) 2019-12-02 2019-12-02 반영구적 내용물 포장 및 쓰레기 수거 겸용 용기 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265A KR102327260B1 (ko) 2019-12-02 2019-12-02 반영구적 내용물 포장 및 쓰레기 수거 겸용 용기 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167A true KR20210069167A (ko) 2021-06-11
KR102327260B1 KR102327260B1 (ko) 2021-11-18

Family

ID=76376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265A KR102327260B1 (ko) 2019-12-02 2019-12-02 반영구적 내용물 포장 및 쓰레기 수거 겸용 용기 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26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3821A1 (ko) * 2021-08-02 2023-02-09 주식회사 뉴코애드윈드 음식용기 공급 및 회수 지원시스템
KR20230027414A (ko) 2021-08-19 2023-02-28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 종량제 봉투 관리 시스템
KR102517563B1 (ko) * 2022-05-26 2023-04-04 강근원 루프 qr 코드를 이용한 다회 용기 운영 시스템 및 운영 방법
KR102527960B1 (ko) * 2022-04-29 2023-05-02 최한나 블록체인 기반 다회용 용기 관리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24072168A1 (ko) * 2022-09-27 2024-04-04 천국의설계도 유한회사 블록체인을 이용한 숙소 공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960Y1 (ko) * 2003-02-12 2003-05-09 유영구 도시락 및 배달 용기 회수 시스템
JP2003267449A (ja) * 2002-03-13 2003-09-25 Advantest Corp 物品輸送容器及び空箱回収システム
JP2005135155A (ja) * 2003-10-30 2005-05-26 Mitsubishi Chem Mkv Co 通い容器の貸出回収管理システム
KR20080008694A (ko) 2006-07-21 2008-01-24 정태훈 재활용 용기의 회수/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81066A (ko) * 2008-01-23 2009-07-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쇼핑몰의 상품 배송시스템 및 배송방법
KR20160001407A (ko) * 2014-06-27 2016-01-06 주식회사 유니온네트웍스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음식 그릇 회수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27084A (ko) * 2016-05-10 2017-11-21 주식회사 에스앤지시스템 뚜껑 자동 개폐 기능을 가지는 용기 및 용기 뚜껑 자동 개폐 제어 시스템
KR102006623B1 (ko) * 2018-11-09 2019-08-02 최동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콜드체인 배송 및 회수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7449A (ja) * 2002-03-13 2003-09-25 Advantest Corp 物品輸送容器及び空箱回収システム
KR200311960Y1 (ko) * 2003-02-12 2003-05-09 유영구 도시락 및 배달 용기 회수 시스템
JP2005135155A (ja) * 2003-10-30 2005-05-26 Mitsubishi Chem Mkv Co 通い容器の貸出回収管理システム
KR20080008694A (ko) 2006-07-21 2008-01-24 정태훈 재활용 용기의 회수/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81066A (ko) * 2008-01-23 2009-07-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쇼핑몰의 상품 배송시스템 및 배송방법
KR20160001407A (ko) * 2014-06-27 2016-01-06 주식회사 유니온네트웍스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음식 그릇 회수 시스템 및 방법
KR101782430B1 (ko) 2014-06-27 2017-10-23 주식회사 유니온네트웍스 인터넷을 이용한 배달음식 그릇 회수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27084A (ko) * 2016-05-10 2017-11-21 주식회사 에스앤지시스템 뚜껑 자동 개폐 기능을 가지는 용기 및 용기 뚜껑 자동 개폐 제어 시스템
KR102006623B1 (ko) * 2018-11-09 2019-08-02 최동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콜드체인 배송 및 회수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13821A1 (ko) * 2021-08-02 2023-02-09 주식회사 뉴코애드윈드 음식용기 공급 및 회수 지원시스템
KR20230027414A (ko) 2021-08-19 2023-02-28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반 종량제 봉투 관리 시스템
KR102527960B1 (ko) * 2022-04-29 2023-05-02 최한나 블록체인 기반 다회용 용기 관리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17563B1 (ko) * 2022-05-26 2023-04-04 강근원 루프 qr 코드를 이용한 다회 용기 운영 시스템 및 운영 방법
WO2024072168A1 (ko) * 2022-09-27 2024-04-04 천국의설계도 유한회사 블록체인을 이용한 숙소 공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7260B1 (ko)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7260B1 (ko) 반영구적 내용물 포장 및 쓰레기 수거 겸용 용기 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US9292853B2 (en) Automated market cart
US9811784B2 (en) Modular station pickup locations
CA2866940C (en) Pickup locations
US9830572B2 (en) Pickup locations
US8127990B2 (en) Methods for utilizing RF tags to collect data concerning post-consumer resources
US7080777B2 (en) Networked disposal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apparatus
CN107240000A (zh) 自助售货方法、系统和电子设备
CN108665212A (zh) 基于云平台的库存管理系统
CN101014517A (zh) 物品输入/输出管理系统
US20130262252A1 (en) Pickup locations as a transfer point
JP6704030B2 (ja) 物流システム及び物流方法
CN100585654C (zh) 自检验终端
US9378607B1 (en) Dynamic product presentation system and commerce platform
CN109427132A (zh) 一种日用品智能售卖机、售卖系统及其商业销售方法
CN104715350B (zh) 用于促进库存管理和控制的效率的系统和方法
CN104966183A (zh) 一种多功能的物品流转站的实现方法
RU2405203C2 (ru) Способ организации продаж для исключения очередей на кассовых терминалах существующих магазинов
RU77965U1 (ru) Система торгового зала магазина для исключения очередей на кассовых терминалах
CN113240363A (zh) 物流订单任务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与计算机介质
Tebaldi et al. RFID technology in Retail 4.0: state-of-the-art in the Fast-Moving Consumer Goods field
KR102424157B1 (ko) 식품 용기의 수거 및 재사용 서비스에 관한 비즈니스 모델 제공방법
JP7246771B2 (ja) 物品回収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190283934A1 (en)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management system, shopping assistance system,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EP3832568A1 (en) Stock managemen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