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8911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8911A
KR20210068911A KR1020190158515A KR20190158515A KR20210068911A KR 20210068911 A KR20210068911 A KR 20210068911A KR 1020190158515 A KR1020190158515 A KR 1020190158515A KR 20190158515 A KR20190158515 A KR 20190158515A KR 20210068911 A KR20210068911 A KR 20210068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water
detergent box
supply devic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건희
최원석
이도윤
박장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8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8911A/ko
Priority to PCT/KR2020/017382 priority patent/WO2021112529A1/en
Priority to US17/109,392 priority patent/US11767631B2/en
Publication of KR20210068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9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4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mounted on the agitator or the rotating drum; Free body dispens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세제함 외부로 세제와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세탁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세제공급장치로서, 상기 세제공급장치에 수용되는 세제의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세제공급장치로 물이 공급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세제공급장치에 투입된 세제가 상기 세제공급장치 외부로 배출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늘리도록 마련되는 제1출구와, 상기 세제공급장치에 투입된 세제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세제공급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제2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물이 담긴 원통 형상의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이다. 세탁기의 종류에는 드럼을 대략 수평으로 배치하여 이 드럼이 수평축에 대하여 회전할 때 세탁물이 드럼의 내주면을 따라 상향으로 올려져서 낙하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세탁기와, 내부에 펄세이터를 구비한 드럼을 대략 수직으로 배치하여 이 드럼이 수직 축에 대하여 회전할 때 펄세이터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세탁기가 있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드럼 내부로 세탁수와 세제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는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함과,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세제함으로 물을 안내하는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세제함으로 안내되는 물의 수압은 설치 환경에 따라 상이하다. 세제함으로 안내되는 물의 수압이 너무 세면, 세제함에 투입된 세제가 세제함으로 유입되는 물과 함께 세제함 외부로 넘칠 수 있다. 세제함 외부로 넘친 물과 세제는 세탁기의 오작동을 야기할 수 있다. 특히, 분말 형태의 고체 세제는 수압이 상대적으로 약한 경우에도 세제함 외부로 넘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조사에서는 고체 세제의 투입을 사전에 금지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세제함 외부로 세제와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액체 세제뿐만 아니라 고체 세제의 사용이 가능한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액체 세제를 세제함에 투입하였을 때, 액체 세제가 세제함 외부로 배출되는 시간을 지연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세제 투입량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세제함에 투입된 세제가 드럼 내부에 공급되기 전에 물과 충분히 혼합되어 세탁 효과를 향상시킨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세제공급장치로서, 상기 세제공급장치에 수용되는 세제의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세제공급장치로 물이 공급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세제공급장치의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세제공급장치에 투입된 세제가 상기 세제공급장치 외부로 배출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늘리도록 마련되는 제1출구와, 상기 세제공급장치에 투입된 세제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세제공급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제2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출구는 상기 세제공급장치에 잔수가 남아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슬릿과,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슬릿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슬릿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때, 상기 제1슬릿의 길이는 상기 제2슬릿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출구는, 상기 제1출구보다 크고 상기 제1출구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세제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세제함과,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급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세제함으로 안내하는 하우징과, 상기 세제함이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세제함 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함은, 상기 세제함의 외부로부터 상기 세제함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세제함에 수용된 세제가 상기 세제함 외부로 배출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늘리도록 마련되는 상기 제1출구 및 상기 세제함에 수용된 세제와 상기 세제함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상기 세제함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슬릿보다 크게 마련되는 상기 제2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함은 상기 세제함에 수용되는 세제의 만수위를 나타내는 만수위 표시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출구는 상기 만수위 표시면 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제함은, 상기 제2출구를 통해 소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출구를 상기 소정 크기 이하로 분할하는 배출구 분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함은, 상기 유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세제함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분배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상기 급수부로부터 상기 유입구로 안내되는 물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마련되는 제1차단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함은 상기 제1차단벽을 통과하여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물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마련되는 제2차단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물을 상기 유입구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1가이드벽과, 상기 제1가이드벽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2가이드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함에 수용된 세제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세제함으로 유입되는 물과 1차적으로 혼합되고, 상기 제2출구를 통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물과 함께 상기 세제함 외부로 배출된 후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2차적으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2차적으로 혼합될 때, 상기 하우징 내부로 배출된 세제는, 상기 급수부로부터 상기 세제함으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이동한 물과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세제함은, 상기 유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만수위 표시면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오버플로우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함에 고체 세제가 투입되었을 때,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세제함 내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오버플로우 홀을 통해 상기 고체 세제와 함께 상기 세제함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우 홀을 통해 배출된 물과 상기 고체 세제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세제함 내부로 다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세제공급장치로서,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함과, 상기 세제공급장치의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함은, 상기 세제함에 투입된 세제가 상기 세제함 외부로 배출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늘리도록 마련되는 슬릿(slit)과, 상기 세제함에 수용된 세제와 상기 세제함 내부로 유입된 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슬릿보다 크게 마련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함은, 상기 세제함의 외부로부터 상기 세제함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세제함에 수용되는 세제의 만수위를 나타내는 만수위 표시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만수위 표시면 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제함은 상기 유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만수위 표시면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오버플로우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함에 고체 세제가 투입되었을 때,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세제함 내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오버플로우 홀을 통해 상기 고체 세제와 함께 상기 세제함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세제함에 수용된 세제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세제함으로 유입되는 물과 1차적으로 혼합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물과 함께 상기 세제함 외부로 배출된 후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2차적으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탁기는 제1캐비닛과,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캐비닛과, 상기 제1캐비닛에 의해 커버되는 제1터브와, 상기 제2캐비닛에 의해 커버되는 제2터브와, 상기 제1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제1세제공급장치 및 상기 제2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제2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제2세제공급장치의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제2세제공급장치에 투입된 세제가 상기 제2세제공급장치 외부로 배출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늘리도록 마련되는 제1출구와, 상기 제2세제공급장치에 투입된 세제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2세제공급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제2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제함 외부로 세제와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액체 세제뿐만 아니라 고체 세제의 사용이 가능한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액체 세제를 세제함에 투입하였을 때, 액체 세제가 세제함 외부로 배출되는 시간을 지연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세제 투입량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제함에 투입된 세제가 드럼 내부에 공급되기 전에 물과 충분히 혼합되어 세탁 효과를 향상시킨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세제공급장치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세제공급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세제함을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세제함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세제함을 또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세제함을 또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세제함을 제외한 세제공급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하우징 커버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하우징을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세제함에 액체 세제가 투입되었을 때, 세제공급장치의 급수 및 배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세제함에 고체 세제가 투입되었을 때, 세제공급장치의 급수 및 배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세제함을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드럼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방식의 세탁기는 전방에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되므로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세탁기라고 하며, 드럼이 수직으로 배치되는 방식의 세탁기는 상부에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되므로 탑 로딩(top loading) 세탁기라고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제1세탁장치와 제2세탁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제공급장치는 프론트 로딩 세탁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제공급장치는 탑 로딩 세탁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출구는 슬릿(slit)을 가리킬 수 있다. 또한, 제2출구는 배출구를 가리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전방에 제1세탁물 투입구(11)가 형성된 프론트 로딩 방식의 제1세탁장치와 상부에 제2세탁물 투입구(31)가 형성된 탑 로딩 방식의 제2세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는 내부에 제1세탁공간(12)이 형성되는 제1드럼(13)과, 내부에 제1드럼(13)을 수용하며 세탁 행정 또는 헹굼 행정에 사용될 세탁수 또는 헹굼수를 저장하는 제1터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는 제1하우징(10)의 전방 상부에 배치되고 세탁기(1)를 조작하도록 마련되는 컨트롤 패널(14)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4)은 사용자로부터 세탁기(1)의 동작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미도시) 및 세탁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는 제1드럼(13) 및 제1터브를 커버하는 제1하우징(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10)에는 제1세탁물 투입구(11)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1도어(2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도어(20)는 제1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도 제1세탁공간12)으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보조 도어(21)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도어(21)는 제1도어(20)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제1도어(20)에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도어(20)에 보조 도어(21)가 마련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도어(20)는 보조 도어(21)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세탁기(1)는 내부에 제2세탁공간(32)이 형성되는 제2드럼(33)과, 내부에 제2드럼(33)을 수용하며 세탁 행정 또는 헹굼 행정에 사용될 세탁수 또는 헹굼수를 저장하는 제2터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드럼(33) 및 제2터브는 일 면이 적어도 일부분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개방된 일 면이 대략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세탁기(1)는 제2드럼(33) 및 제2드럼(33)을 커버하는 제2하우징(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하우징(30)은 제2터브(미도시)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세탁기(1)는 제2하우징(30)에 마련되고, 제2세탁물 투입구(31)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2도어(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도어(40)는 제2세탁물 투입구(31)와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세탁기(1)는 제2도어(40)가 닫혔을 때, 세탁기(1)의 상면의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커버 도어(4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도어(41)를 닫음으로써 세탁 과정 시 세탁기(1)의 외관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2드럼(33)은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고, 제2터브(미도시) 내부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세탁기(1)는 제1터브(미도시) 및 제2터브(미도시)에 각각 세제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세제공급장치(101, 10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101, 100)는 제1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제1세제공급장치(101)와 제2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제2세제공급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세제공급장치(101)는 제2하우징(30)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세제공급장치(101)는 제2하우징(30)의 내부에서 제2세탁물 투입구(31)를 형성하는 프레임(34)에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세탁물 투입구(31)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세제공급장치(100)는 제2하우징(3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세제공급장치(100)는 프레임(34)의 좌측 모서리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34)의 우측 모서리에는 섬유유연제 및/또는 표백제를 수용하고, 이를 제2터브에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보조첨가제 공급장치(10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세제공급장치(100)와 보조첨가제 공급장치(102)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제2세제공급장치(100)는 커버 도어(41)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제2세제공급장치(100)는 커버 도어(41)를 개방함에 따라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세제공급장치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세제공급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제2세제공급장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제2세제공급장치를 세제공급장치라고 표현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한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30)은 후술할 하우징(130)과는 상이한 구성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100)는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함(110)과, 세제함(110)으로부터 배출되는 세제와 물을 세제공급장치(100) 외부로 배출하는 하우징(130)과, 하우징(130)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 커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110)에는 세제가 투입될 수 있다. 세제함(110)의 상면은 개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세제함(110)의 개방된 상면에 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 세제함(110)의 하면은 후술할 슬릿(115)을 향해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30)은 외부의 급수원(미도시)으로부터 물을 안내하는 호스(미도시)와 연결되는 급수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131)를 통해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호스를 통해 안내된 물이 하우징(1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하우징(130)은 하우징(130) 내부로 유입된 물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제1가이드벽(132)과 제2가이드벽(13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30)은 세제함(110)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세제함 홈(13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30)은 하우징(130) 내부로 유입된 세제와 물을 하우징(130)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120)는 하우징(130)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120)는 세제함(110)이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세제함 홀(12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120)는 급수부(131)로부터 하우징(130) 내부로 유입된 물의 일부가 세제함(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차단벽(122)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120)는 하우징 커버(120)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결합돌기(12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30)은 복수의 결합돌기(123) 각각과 대응되도록 하우징(130)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돌기 수용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돌기(123) 각각이 탄성 변형됨으로써 복수의 돌기 수용부(137) 각각에 수용되면, 하우징 커버(120)가 하우징(130)에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하우징 커버에 복수의 돌기 수용부가 마련되고 하우징에 복수의 결합돌기가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결합돌기 및 돌기 수용부와 다른 구조를 이용하여 하우징 커버와 하우징이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제공급장치(100)는 사이펀 작용(siphonage)을 이용하지 않을 수 있다. 사이펀 작용을 이용하려면, 세제함의 만수위 보다 높은 위치에서 세제함으로 물의 공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제공급장치(100)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131)의 높이는 세제함(110)의 만수위 표시면(112a)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세제의 만수위보다 낮은 위치에서 세제함(110)으로 물이 공급되므로 사이펀 작용을 이용한 세제의 공급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제 공급장치(100)는 사이펀 작용을 이용하지 않고 세제를 터브에 공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세제함을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세제함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세제함을 또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세제함을 또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함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세제함(110)은 세제함(110) 외부로부터 세제함(110)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1)와, 물 넘침을 방지하도록 유입구(111)보다 위에 형성되는 오버플로우 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110)은 오버플로우 홀(112)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세제의 만수위를 표시하는 만수위 표시면(112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제의 만수위를 표시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수위 표시면(112a)에는 "MAX"라고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세제함(110)은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제2차단벽(1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제함(110)은 유입구(111)를 통해 세제함(110) 내부로 유입된 물을 분배하도록 마련되는 분배 가이드(114)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 가이드(114)는 유입구(111)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분배 가이드(114)는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일부를 일 방향으로 가이드하고, 나머지 일부를 상기 일 방향과 다른 타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입구(111)를 통해 세제함(110) 내부로 유입된 물을 세제함(110) 내부에 골고루 분배할 수 있다. 세제함(11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분배시킴으로써, 세제함(110) 내부에 수용된 세제와 세제함(110) 내부로 유입된 물이 세제함(110)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제함(110)은 유입구(111)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만수위 표시면(112a) 보다 위에 배치되는 오버플로우 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오버플로우 홀(112)은, 가루 형태의 고체 세제가 세제함(110)에 투입되었을 때, 세제함(110)으로 유입되는 물이 배출구(116)가 아닌 다른 곳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제공급장치(100)는 오버플로우 홀(112)을 포함함으로써 가루 형태의 고체 세제를 세제함(110)에 투입하더라도 세제함(110)의 물 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액체 세제뿐만 아니라 가루 형태의 고체 세제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고체 세제와 액체 세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오버플로우 홀(112)이 마련되지 않고 세제함(110) 내부에 고체 세제가 투입되면,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물은 배출구(116)를 향해 이동하지 않고 유입구(111)의 상측으로 이동한다. 유입구(111)를 통해 세제함(110) 내부로 유입된 물은 고체 세제와 혼합되며 임의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입구(111)로 유입된 물은 유입구(111)로부터 상측을 향하는 유로를 형성하며, 이러한 유로에 의해 세제와 물이 세제함(11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외부로 넘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제함(110)은 유입구(111)와 인접하고, 만수위 표시면(112a)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는 오버플로우 홀(112)을 포함함으로써 세제함(110)에 고체 세제가 투입되더라도 물과 세제가 세제함(110)의 상면을 통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오버플로우 홀(112)이 만수위 표시면(112a)보다 낮게 위치하면, 액체 세제가 만수위에 도달하기 전에 오버플로우 홀(112)을 통해 세제함(110)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이다. 오버플로우 홀(112)은 회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유입구(111)로 유입된 물은 유입구(111)의 상측으로 이동하고, 오버플로우 홀(112)을 통해 세제와 함께 세제함(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오버플로우 홀(112)을 통해 배출된 물과 세제는 다시 유입구(111)를 통해 세제함(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오버플로우 홀(112)이 형성한 상기 회수 유로에 의해 고체 세제는 물과 충분히 혼합되어 액체가 될 수 있다. 물과 충분히 혼합된 액체 상태의 세제는 후술할 액체 세제와 마찬가지로 대부분 배출구(116)를 통해 세제함(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구(116)를 통해 배출되지 않는 나머지 일부는 슬릿(115)을 통해 세제함(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세제함(110)은 세제함(110)에 투입된 세제가 세제함(110) 외부로 배출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늘리도록 마련되는 슬릿(slit, 115)과, 슬릿(115)보다 위에 배치되고 세제함(110) 내부의 세제와 물을 세제함(110)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배출구(116)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릿(115)은 세제함(110) 내부에 투입된 액체 세제를 세제함(11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슬릿(115)은 점성이 물보다 높은 액체 세제를 세제함(110) 외부로 배출시키되 상기 액체 세제가 슬릿(115)을 통해 세제함(110) 외부로 배출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늘릴 수 있다. 슬릿(115)은 배출구(116)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슬릿(115)은 좁은 폭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슬릿(115)의 폭이 좁게 마련되기 때문에 점성이 높은 액체 세제는 슬릿(115)을 통과하여 세제함(110) 외부로 배출되는 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세제함(110) 내부에 액체 세제가 투입되었을 때, 슬릿(115)에 의해 액체 세제가 천천히 세제함(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세제 투입량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세제를 만수위 표시면(112a)까지 투입함으로써 세탁에 필요한 적정량의 세제를 세제함(110)에 투입할 수 있다. 세제함(110)을 설계할 때, 만수위 표시면(112a)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세탁에 요구되는 적정 세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종래에는 세제함이 폭이 넓은 배출구만 포함하여 세제함에 액체 세제를 투입하는 경우, 즉시 세제가 배출구를 통해 세제함 외부로 배출되었다. 즉, 액체 세제를 투입하는 것과 동시에 세제함의 외부로 배출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투입한 액체 세제의 양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세제함에 투입하는 세제의 양이 매번 상이 하였고, 세탁에 요구되는 세제의 요구량을 맞추기 어려웠다.
한편, 액체 세제를 만수위 표시면(112a)까지 투입하였을 때, 슬릿(115)이 아닌 유입구(111)를 통해 액체 세제가 세제함(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입구(111)의 주변에는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제2차단벽(113)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차단벽(113)은 세제함(110) 외부로부터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물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제함(110) 내부에 투입된 액체 세제의 일부가 유입구(111)를 통해 세제함(11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2차단벽(113)으로 인해 세제함(110) 내부의 액체 세제가 유입구(111)를 통해 세제함(110) 외부로 배출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이 늘어날 수 있다. 따라서, 세제함(110)에 투입된 액체 세제는 슬릿(115)과 유입구(111)를 통해 세제함(110) 외부로 배출되는 데에 충분히 오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세제를 만수위 표시면(112a)까지 투입할 수 있고, 투입된 세제의 양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세제를 만수위 표시면(112a)까지 투입함으로써 세탁에 요구되는 적정량만큼만 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제의 과도하게 투입함으로써 발생하는 세제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세제를 과소하게 투입하여 세탁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슬릿(115)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슬릿(115a)과,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슬릿(115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릿(115)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슬릿(115a)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슬릿(115b)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슬릿(115a)의 길이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슬릿(115b)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슬릿(115)이 제1슬릿(115a)과 제2슬릿(115b)을 포함함으로써, 세제함(110) 내부에 잔수가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액체 세제의 배출 속도를 줄이기 위해 슬릿(115)의 폭은 좁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슬릿(115)의 폭이 좁게 마련되면, 표면장력에 의해 세제함(110) 내부의 잔수가 세제함(110) 외부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슬릿(115)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슬릿(115b)을 포함하면, 제2슬릿(115b)에 맺히는 물이 중력의 영향을 받아 표면 장력이 깨질 수 있다. 제2슬릿(115b)에 의해 슬릿(115)에 맺힌 물의 표면 장력이 깨지면, 세제함(110) 내부의 잔수가 슬릿(115)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세제함(110) 내부의 잔수가 슬릿(115)을 통해 배출될 수 있고, 세제함(110) 내부에 잔수가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세제함(110)은 슬릿(115)의 상부에 위치하는 배출구(116)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구(116)는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세제함(110)은 배출구(116)를 통해 소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출구를 상기 소정 크기 이하로 분할하는 배출구 분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구 분할부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출구 분할부는 배출구(116)를 가로지르는 바(bar, 116a)를 포함할 수 있다. 바(116a)는 배출구(116)를 분할하여 배출구(116)를 통해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116a)는 배출구(116)의 크기에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배출구 분할부는 상기 바(116a)와 다른 구조로서, 배출구(116)를 커버하는 거름망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배출구(116)는 세제함(110) 내부에 수용된 세제를 세제함(110)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슬릿(115)을 통해서도 세제의 일부가 배출될 수는 있으나, 슬릿(115)은 세제함(110) 내부에 잔수가 남아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므로 슬릿(115)을 통해서는 세제가 충분히 배출되지 못할 수 있다. 배출구(116)는 세제함(110)에 유입되는 물과 세제함(110)에 수용된 세제를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출구(116)의 크기는 슬릿(115)과 달리 충분히 크게 마련되므로 세제와 물이 원활하게 배출구(116)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유입구(111)를 통해 세제함(110) 내부로 물이 유입되면, 물의 유입으로 인해 세제함(110) 내부의 수위가 높아지게 된다. 세제와 물의 수위가 높아지면, 세제와 물은 배출구(116)를 통해 세제함(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구(116)를 통해 배출된 세제와 물은 하우징(130) 내부로 이동하여 배출부(135)를 통해 하우징(13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부(135)를 통해 배출된 물과 세제는 터브로 이동할 수 있고, 세탁 과정에서 드럼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배출구(116)는 만수위 표시면(112a)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배출구(116)가 만수위 표시면(112a)보다 아래에 위치하면, 세제가 만수위에 도달하기 전에 배출구(116)를 통해 세제함(110)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세제함을 제외한 세제공급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하우징 커버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하우징을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의 하우징과 하우징 커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하우징 커버(120)는 하우징(130)에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120)는 세제함(110)이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세제함 홀(121)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120)는 세제함 홀(121)을 제외하고 하우징(130)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120)는 하우징 커버(12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차단벽(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차단벽(122)은 급수부(13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일부를 1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1차단벽(122)은 급수부(131)를 통해 고수압의 물이 하우징(130) 내부로 유입되었을 때, 유입된 물 중 일부만 세제함(110)으로 유입되게 할 수 있다. 제1차단벽(122)은 하우징 커버(120)와 하우징(130)의 가이드 바닥면(136)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상기 간격을 통과한 물은 제2차단벽(113)을 거쳐 유입구(111)를 통해 세제함(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2차단벽(113)은 2차적으로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물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급수부(135)를 통해 하우징(130) 내부로 유입된 물 중 일부만이 유입구(111)를 통해 세제함(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1차단벽(122)과 제2차단벽(113)에 의해 급수부(135)에서 고수압의 물이 하우징(130) 내부로 분사되더라도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은 높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세제함 내부에 고수압의 물이 유입되어 발생하는 물 튐 또는 물 넘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하우징(130)은 급수부(131)로 유입된 물을 유입구(111)로 안내하는 제1가이드벽(132)과 제2가이드벽(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벽(132)과 제2가이드벽(133) 사이에는 가이드 바닥벽(136)이 마련될 수 있다. 제1가이드벽(132)과 제2가이드벽(133)은 급수부(131)로 유입된 물을 유입구(111)로 안내할 수 있다. 제1가이드벽(132)과 하우징 커버(120)의 하면 사이에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급수부(131)로 유입된 물의 일부는 제1가이드벽(132) 및 제2가이드벽(133)에 의해 가이드되고, 제1차단벽(122)을 통과하여 유입구(111)를 향해 이동하고, 나머지 일부는 제1가이드벽(132)과 하우징 커버(120) 하면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1가이드벽(132)과 하우징 커버(120)의 하면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된 물은 세제함(110)을 거치지 않고 배수부(135)로 이동할 수 있다.
하우징(130)은 세제함(110)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세제함 홈(134)을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 홈(134)은 세제함(110)의 일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세제함 홈(134)에 세제함(110)이 안착됨으로써 가이드 바닥벽(136)과 유입구(111)와 인접한 세제함(110)의 하면이 동일 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세제함(110)의 하면은 가이드 바닥벽(136)보다 낮게 위치할 수도 있다. 다만, 세제함(110)의 하면이 가이드 바닥벽(136)보다 너무 낮게 위치하면, 제2차단벽(113)과 가이드 바닥벽(136) 사이의 간격이 작아져 유입구(111)에 유입되는 물의 양이 과도하게 적어질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111)와 인접한 세제함(110)의 하면과 가이드 바닥벽(136)의 높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세제함에 액체 세제가 투입되었을 때, 세제공급장치의 급수 및 배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의 급수 및 배수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세제함(110)에 액체 세제(l)가 투입되었을 때, 급수부(131)를 통해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하우징(130) 내부로 유입된 물은 제1가이드벽(132)과 제2가이드벽(133)에 의해 유입구(111)로 안내될 수 있다. 유입구(111)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물의 일부는 제1차단벽(122)에 의해 세제함(110)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다른 경로를 통해 하우징(130) 내부를 거쳐 배수부(135)로 배출될 수 있다. 제1차단벽(122)을 통과한 물의 일부는 제2차단벽(113)에 의해 세제함(110)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다른 경로를 통해 하우징(130) 내부를 거쳐 배수부(135)로 배출될 수 있다.
유입구(111)를 통해 세제함(110) 내부로 유입된 물은 세제함(110) 내부에서 액체 세제(l)와 1차적으로 혼합(m1)될 수 있다. 물과 1차적으로 혼합된 액체 세제(l)는 물의 유입으로 인해 수위가 높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물과 액체 세제(l)는 배출구(116)를 통해 세제함(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구(116)를 통해 배출된 물과 액체 세제(l)는 하우징(130) 내부에서 2차적으로 혼합(m2)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차단벽(122)과 제2차단벽(113) 등에 의해 급수부(131)를 통해 유입된 물의 일부는 세제함(110)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다른 경로로 하우징(130)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세제함(110) 내부로 유입되지 않은 물과 세제함(110)에서 배출된 물과 세제가 2차적으로 혼합(m2)됨으로써 세제가 터브에 공급되기 전에 물과 충분히 혼합될 수 있다. 세제가 물과 충분히 혼합됨으로써 세탁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세제함에 고체 세제가 투입되었을 때, 세제공급장치의 급수 및 배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제함(110)에 가루 형태로 마련되는 고체 세제(s)를 투입하였을 때, 세제함(110)의 물 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세제함(110)은 오버플로우 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만수위 표시면(112a)보다 높아지도록 많은 양의 고체 세제(s)를 세제함(110)에 투입하면, 세제함(110)으로 유입되는 물이 배출구로 배출되지 못하고 세제함(11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물이 넘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의도치 않은 경로를 통해 물과 고체 세제(s)가 세제함(110) 외부로 넘치게 되면, 세탁기(1)가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고장이 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제함(110)은 유입구(111)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만수위 표시면(112a)보다 위에 배치되는 오버플로우 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함(110)에 많은 양의 고체 세제(s)를 투입하더라도,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물은 상방으로 이동한 후, 오버플로우 홀(112a)을 통해 세제함(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오버플로우 홀(112a)을 통해 세제함(110) 외부로 배출된 물과 고체 세제(s)는 다시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이를 회수 유로(rf)라고 한다. 회수 유로(rf)에 의해 고체 세제(s)와 물은 세제함(110)의 상면을 통해 세제함(110)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설계자가 의도한 유로를 따라 배출구(116)를 통해 세제함(1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체 세제(s)가 투입되더라도 세제함(110) 내부에서 1차적으로 물과 고체 세제(s)가 혼합될 수 있고, 하우징(130) 내부에서 세제함(110)으로 유입되지 않은 물과 세제함(110)으로부터 배출된 고체 세제(s)가 2차적으로 혼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제함(110) 내부와 하우징(130) 내부에서 물과 고체 세제(s)가 충분히 혼합될 수 있어 세탁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세제함을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세제함(100)은 상기한 슬릿과 상이한 형상의 슬릿(115)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릿(115)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슬릿(115c)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슬릿(115d)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슬릿(115d)은 제1슬릿(115c)의 양 단 중 어느 한 곳에 배치되지 않고, 제1슬릿(115c)의 가운데 또는 가운데와 인접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슬릿(115d)을 포함하면, 제2슬릿(115d)에 맺히는 물이 중력의 영향을 받아 표면 장력이 깨질 수 있다. 제2슬릿(115d)에 의해 슬릿(115)에 맺힌 물의 표면 장력이 깨지면, 세제함(110) 내부의 잔수가 슬릿(115)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세제함(110) 내부의 잔수가 슬릿(115)을 통해 배출될 수 있고, 세제함(110) 내부에 잔수가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세탁기
100 : 세제공급장치
110 : 세제함
111 : 유입구
112 : 오버플로우 홀
113 : 제2차단벽
115 : 슬릿
116 : 배출구
120 : 하우징 커버
122 : 제1차단벽
130 : 하우징
131 : 급수부
132 : 제1가이드벽
133 : 제2가이드벽
135 : 배수부

Claims (20)

  1.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세제공급장치로서, 상기 세제공급장치에 수용되는 세제의 수위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세제공급장치로 물이 공급되는 세제공급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세제공급장치의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세제공급장치에 투입된 세제가 상기 세제공급장치 외부로 배출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늘리도록 마련되는 제1출구와,
    상기 세제공급장치에 투입된 세제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세제공급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제2출구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구는, 상기 세제공급장치에 잔수가 남아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슬릿과,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슬릿을 포함하는 세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릿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슬릿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때,
    상기 제1슬릿의 길이는 상기 제2슬릿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는 세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출구는, 상기 제1출구보다 크고 상기 제1출구보다 높게 배치되는 세탁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세제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세제함과,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급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부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세제함으로 안내하는 하우징과,
    상기 세제함이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세제함 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는 세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함은,
    상기 세제함의 외부로부터 상기 세제함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세제함에 수용된 세제가 상기 세제함 외부로 배출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늘리도록 마련되는 상기 상기 제1출구 및
    상기 세제함에 수용된 세제와 상기 세제함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상기 세제함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슬릿보다 크게 마련되는 상기 제2출구를 포함하는 세탁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함은 상기 세제함에 수용되는 세제의 만수위를 나타내는 만수위 표시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출구는 상기 만수위 표시면 보다 위에 배치되는 세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함은, 상기 제2출구를 통해 소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출구를 상기 소정 크기 이하로 분할하는 배출구 분할부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함은, 상기 유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세제함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분배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상기 급수부로부터 상기 유입구로 안내되는 물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마련되는 제1차단벽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함은 상기 제1차단벽을 통과하여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물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마련되는 제2차단벽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급수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물을 상기 유입구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1가이드벽과, 상기 제1가이드벽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마련되는 제2가이드벽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함에 수용된 세제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세제함으로 유입되는 물과 1차적으로 혼합되고,
    상기 제2출구를 통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물과 함께 상기 세제함 외부로 배출된 후,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2차적으로 혼합되는 세탁기.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함은, 상기 유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만수위 표시면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오버플로우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제함에 고체 세제가 투입되었을 때,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세제함 내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오버플로우 홀을 통해 상기 고체 세제와 함께 상기 세제함 외부로 배출되는 세탁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홀을 통해 배출된 물과 상기 고체 세제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세제함 내부로 다시 유입되는 세탁기.
  16.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 및
    상기 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세제공급장치로서,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함과, 상기 세제공급장치의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세제공급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함은,
    상기 세제함에 투입된 세제가 상기 세제함 외부로 배출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늘리도록 마련되는 슬릿(slit)과,
    상기 세제함에 수용된 세제와 상기 세제함 내부로 유입된 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슬릿보다 크게 마련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세탁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함은,
    상기 세제함의 외부로부터 상기 세제함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세제함에 수용되는 세제의 만수위를 나타내는 만수위 표시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만수위 표시면 보다 위에 배치되는 세탁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함은 상기 유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만수위 표시면 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오버플로우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제함에 고체 세제가 투입되었을 때,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세제함 내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오버플로우 홀을 통해 상기 고체 세제와 함께 상기 세제함 외부로 배출되는 세탁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함에 수용된 세제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세제함으로 유입되는 물과 1차적으로 혼합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물과 함께 상기 세제함 외부로 배출된 후,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2차적으로 혼합되는 세탁기.
  20. 제1캐비닛;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2캐비닛;
    상기 제1캐비닛에 의해 커버되는 제1터브;
    상기 제2캐비닛에 의해 커버되는 제2터브;
    상기 제1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제1세제공급장치; 및
    상기 제2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제2세제공급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세제공급장치는,
    상기 제2세제공급장치의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제2세제공급장치에 투입된 세제가 상기 제2세제공급장치 외부로 배출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늘리도록 마련되는 제1출구와,
    상기 제2세제공급장치에 투입된 세제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제2세제공급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제2출구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20190158515A 2019-12-02 2019-12-02 세탁기 KR2021006891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515A KR20210068911A (ko) 2019-12-02 2019-12-02 세탁기
PCT/KR2020/017382 WO2021112529A1 (en) 2019-12-02 2020-12-01 Washing machine
US17/109,392 US11767631B2 (en) 2019-12-02 2020-12-02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515A KR20210068911A (ko) 2019-12-02 2019-12-02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911A true KR20210068911A (ko) 2021-06-10

Family

ID=76091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515A KR20210068911A (ko) 2019-12-02 2019-12-02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67631B2 (ko)
KR (1) KR20210068911A (ko)
WO (1) WO2021112529A1 (ko)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4730A (en) * 1982-06-07 1984-04-24 Colgate-Palmolive Company Detergent dispenser
US6434977B1 (en) * 2000-10-06 2002-08-20 Ark-Les Corporation Automatic laundry aid dispenser for washing machine
JP2003024687A (ja) 2001-07-16 2003-01-28 Toshiba Corp 洗濯機
KR20070117914A (ko) 2006-06-09 2007-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탁방법
JP4374375B2 (ja) 2006-11-08 2009-12-0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機
US7900486B2 (en) * 2007-08-20 2011-03-08 Whirlpool Corporation Agent dispenser
KR20090099809A (ko) 2008-03-18 2009-09-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가변형 세제함을 구비하는 세탁기
KR101375715B1 (ko) 2009-11-24 2014-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JP6056003B2 (ja) 2012-08-09 2017-01-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JP2014210007A (ja) 2013-04-18 2014-11-13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機
KR20140131809A (ko) 2013-05-06 2014-1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세제 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102266570B1 (ko) 2014-05-30 2021-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6319873B (zh) * 2015-06-30 2018-04-20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粉盒
US10118137B2 (en) * 2015-07-23 2018-11-06 Ecolab Usa Inc. Solid product dispenser for small volume applications
US10648121B2 (en) * 2016-11-17 2020-05-12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dispenser
KR101894881B1 (ko) * 2017-03-03 2018-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368502B1 (ko) * 2017-06-14 2022-02-28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벽걸이형 세탁기 및 벽걸이형 세탁기의 세제함
KR20190009620A (ko) 2017-07-19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67631B2 (en) 2023-09-26
WO2021112529A1 (en) 2021-06-10
US20210164148A1 (en)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8865E1 (en) Washing machine and detergent case thereof
KR20070059425A (ko) 드럼 세탁기의 세제 투입장치
AU2003225384A1 (en) Detergent injecting device for washer
KR20190009620A (ko) 의류처리장치
US10954623B2 (en)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TW201816221A (zh) 洗衣機
CN112442858B (zh) 洗涤剂供应装置和包括其的衣物处理设备
KR20210068911A (ko) 세탁기
US20190024285A1 (en)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othing treatment device
KR10195415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87866B1 (ko) 세탁기
KR20070015303A (ko) 드럼 세탁기의 세제 투입 장치
KR102614493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30055974A (ko) 세탁기의 터브커버 역류방지구조
KR102200044B1 (ko) 세탁기
KR100471446B1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KR102487865B1 (ko) 세탁기
KR20090079708A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 장치
KR102518818B1 (ko)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JP2023147447A (ja) 洗濯機
KR20210027019A (ko) 세제공급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200462493Y1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드럼세탁기
KR100429644B1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KR101054400B1 (ko) 세탁기의 유체 유출 차단 구조
KR20220161811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