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4493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4493B1
KR102614493B1 KR1020190008282A KR20190008282A KR102614493B1 KR 102614493 B1 KR102614493 B1 KR 102614493B1 KR 1020190008282 A KR1020190008282 A KR 1020190008282A KR 20190008282 A KR20190008282 A KR 20190008282A KR 102614493 B1 KR102614493 B1 KR 102614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laundry
wash water
laundry detergent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1244A (ko
Inventor
정성운
장훈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8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493B1/ko
Priority to DE102020200481.1A priority patent/DE102020200481B4/de
Priority to US16/749,583 priority patent/US11459690B2/en
Publication of KR20200091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244A/ko
Priority to US17/939,583 priority patent/US11788224B2/en
Priority to US17/939,598 priority patent/US11795603B2/en
Priority to KR1020230165584A priority patent/KR20230169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4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mounted on the agitator or the rotating drum; Free body dispens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 D06F21/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21/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about a horizontal axis within an enclosing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2Detergent or additive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7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metering of detergents or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드럼; 및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세탁제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세탁제펌프에 의해 이동하는 세탁제는 상기 세탁수디스펜서를 상부를 통해 상기 세탁수디스펜서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세탁제투입관을 포함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내부에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한다.)을 투입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에 세탁물을 투입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 세제를 드럼 내부에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세탁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드럼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세탁물은 드럼 및 세탁수와의 마찰에 의해 세탁물에 묻은 때가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세제공급장치는 세탁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세제나 세탁제(이하, '세탁제'로 표기함)를 공급하는 세탁제 공급 기능을 구비한다.
여기서, 세탁제란 섬유 세제, 섬유 유연제 및 섬유 표백제 등 세탁 효과를 증진시키는 물질을 의미한다. 세탁제는, 가루(분말) 형태의 세탁제, 액체(액상) 형태의 세탁제가 이용될 수 있다.
최근에는 융해성이 미흡하여 세탁 후 용해되지 아니하고 수조 또는 세탁물에 세탁제 성분이 잔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가루형 세탁제 대신에 상대적으로 융해성이 우수한 액상 세탁제의 이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세탁제의 공급하기 위해 도어를 개방한 후 도어 안쪽에 설치된 세제저장용기에 세탁제를 수동으로 넣은 후 사용자가 직접 주입한 세탁제를 급수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급수에 경유시켜 터브로 투입하는 방식을 주로 이용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세제공급장치에 저장된 다량의 세탁제를 세탁과정에 따라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해, 세제공급장치의 후방부를 향해 세탁제를 공급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세탁제의 이동 거리가 길어지므로 터브로 보다 원활히 공급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며, 세탁제를 투입하기 위한 별도의 급수밸브가 요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세제공급장치에 다량의 세탁제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세탁제를 드럼에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세탁제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여, 세제투입홀 및 터브와 인접한 위치를 향해 세탁제를 공급하여, 세탁제의 이동 거리를 줄여 세탁제를 보다 원활히 공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번째 목적은, 세제공급장치의 후방부의 구조가 보다 간단한 의류처리장치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구조의 의류처리장치는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드럼; 및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세탁제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세탁제를 저장하며,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저장용기;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된 세탁제의 이동을 형성하는 세탁제펌프;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본체에 장착되면 저면부가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를 마주하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세탁수의 이동을 형성하는 세탁수디스펜서; 및 상기 세탁제펌프에 의해 이동하는 세탁제를 상기 세탁수디스펜서를 상부를 향해 이동시키며, 상기 세탁수디스펜서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세탁제투입관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세탁제투입관은, 일단이 상기 세탁제펌프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저장용기에 수용된 세탁제를 상기 터브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제1 저장용기와 제2 저장용기가 서로 마주보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1 저장용기와 상기 제2 저장용기의 사이에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세탁제가 투입 가능하도록 수동세제투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세탁제투입관은, 상기 수동세제투입부를 향해 세탁제를 공급하며, 세탁제는 상기 세탁수디스펜서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탁수와 혼합된 후, 상기 터브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수동세제투입부에는, 사용자에 의한 세탁제의 투입을 가이드하는 제3 저장용기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용기의 후면부에는 상기 세탁제펌프의 작동에 의해 세탁제가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를 통해 이동하는 세탁제는 상기 세탁제투입관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탁수와 혼합된 후, 상기 터브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세탁수디스펜서는, 세탁수유입관을 따라 유입되는 세탁수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표면을 따라 일정한 형상으로 세탁수유로가 형성되는 디스펜서커버; 및 상기 디스펜서커버의 상부를 덮어 결합되는 디스펜서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펜서덮개의 상면 일 측에는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세탁수의 수용을 위한 세탁수수용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펜서커버의 상부 일 측에는, 상기 디스펜서커버를 상하 관통하는 세제유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세제유입부의 외측에는 상기 세탁제투입관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펜서커버의 후단부에는 세탁수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내외를 연통하도록 세탁수유입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세탁제투입관은, 상기 디스펜서커버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은 상기 세탁제의 이동을 위해 일정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하부면에는 세제투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터브와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의 하측면부는 상기 세제투입홀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제공급장치에는 서로 다른 세탁제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용기가 각각 장착되어 다량의 세탁제를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세탁 단계에서 세탁제펌프의 작동을 통해 터브로 적정량의 세탁제를 자동으로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수동세제투입부에 직접 원하는 적정량의 세탁제를 투입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보다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세탁제의 이동 경로를 변화시켜, 세제투입홀 및 터브와 인접한 위치를 향해 세탁제를 공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세탁제를 보다 원활히 공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셋째, 세탁제펌프로부터 유출되는 세탁제를 하우징의 측부로 공급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세제공급장치의 후방부 구조가 보다 간단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조립공정의 간소화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하우징을 인출한 후, 하우징에 설치되는 저장용기를 손쉽게 탈착하는 것이 용이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세제공급장치가 본체로부터 인출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a는, 세제공급장치가 외부로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세제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a는 세제공급장치가 본체에 삽입되어 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b는, 도 4a에서 저장용기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세제공급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5는, 세탁수디스펜서와 세제투입관이 서로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디스펜서덮개와 디스펜서커버를 관통하도록, 세제유입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7은, 도 6을 횡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로서, 디스펜서덮개에 형성되는 세제유입부의 내부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정수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구조적, 기능적으로 모순이 되지 않는 한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구조는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의류처리장치(100)는 세탁조의 내부로 포가 삽입되어 세탁, 헹굼 탈수 등을 수행하는 세탁기 또는 습포가 삽입되어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기 등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의류처리장치는 탑 로드 방식과 프론트 로드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은 프론트 로드 방식의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프론트 로드 방식의 세탁기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므로 탑 로드 방식의 세탁기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0)와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으며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부를 갖는 조작부(113) 및 본체(110)의 전면부에 설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111)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본체(110)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본체(110)의 내부에는 의류처리장치(100)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품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0)의 내부에는 도어(111)를 통해 투입된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112)이 설치될 수 있다.
드럼(112)은, 세탁수가 담기는 외조(미도시)와, 외조(미도시)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내조(미도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드럼(112)의 일 측에는 회전으로 발생하는 편심을 보상하기 위한 밸런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조작부(113)는 의류처리장치(100)의 운전상태를 조작하기 위한 각종 키들과 의류처리장치(100)의 운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11)는 포출입홀을 여닫기 위한 것으로, 본체(110) 내부가 들여다보일 수 있도록 강화유리 등의 투명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세제공급장치(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200)는 본체(110)의 상부 일 측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200)는 세제와 섬유유연제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인 세탁제를 저장할 수 있으며, 세탁 단계에서 세탁제를 드럼(112)의 내부로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세탁제는 세탁물의 세탁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하며, 액상의 섬유 세제 및 액상의 섬유 유연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세제공급장치(200)가 본체(110)로부터 인출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세제공급장치(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01), 하우징(201)에 장착되는 저장용기(221, 22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저장케이스(210)의 전면부(211)를 파지한 후 잡아당기게 되면, 세제공급장치(200)는 본체(110)의 전면부로부터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인출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저장케이스(210)의 전면부를 본체(110)를 향해 밀게 되면 세제공급장치(200)는 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본체(110)에 삽입될 수 있게 될 것이다.
다만, 사용자가 세제공급장치(200)를 본체로부터 인출하여 저장용기(221, 222)에 세탁제를 보충하거나 수동세제투입부(223’)에 세탁제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세제공급장치(200)를 본체로부터 인출시, 저장용기(221, 222)의 마개(224)와 수동세제투입부(223’)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저장케이스(210)의 내측에는 서로 다른 세탁제가 저장되도록 구성되는 제1 저장용기(221)와 제2 저장용기(222)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저장용기(221)와 제2 저장용기(222)의 사이에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세탁제를 공급하기 위한 수동세제투입부(223’)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제1 저장용기(221)와 제2 저장용기(222)에는 각각 마개(224)가 설치될 수 있다. 마개(224)는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저장용기(221, 222)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마개(224)가 저장용기(221, 222)로부터 탈거되면 사용자는 저장용기(221, 222)에 세탁제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즉, 의류처리장치(100)의 조작패널(113)에 세탁제의 부족이 감지되는 경우, 저장케이스(210)을 인출한 후, 외부로 노출된 저장용기(221, 222)에 결합된 마개(224)를 파지한 후, 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탈거한 후, 저장용기(221, 222)에 세탁제를 보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a는, 세제공급장치가 외부로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세제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세제공급장치(200)는 사용자에 의해 본체(110)로부터 인출되거나 삽입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저장케이스(210)의 전면부(211)를 파지한 후 잡아당기면 세제공급장치(200)는 본체(110)의 전면부로부터 슬라이딩되면서 인출될 수 있게 된다. 세제공급장치(200)가 본체(110)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저장용기(221, 222)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세제공급장치(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01)과, 하우징(201)에 장착되는 저장용기(221, 22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1)은, 세제공급장치(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단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201)은 본체(11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우징(201)의 내측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에는 복수개의 저장케이스(210) 및 저장용기(221, 222)가 장착될 수 있다.
저장용기(221, 222)는 제1 저장용기(221)와 제2 저장용기(22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저장용기(221)와 제2 저장용기(222)는 본체(111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용기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에 일정한 용량의 세탁제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게 된다.
제1 저장용기(221)와 제2 저장용기(222)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저장용기(221)와 제2 저장용기(222)는 서로 마주보는 형상으로 저장케이스(21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저장용기(210)와 제2 저장용기(220)의 내부에는 서로 다른 세탁제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저장용기(210)에는 섬유유연제가, 제2 저장용기(220)에는 액상세제가 각각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저장용기(221)와 제2 저장용기(222)의 하부면은 일정한 경사를 가지도록 이루어져, 각 저장용기(221, 222)에 수용된 세탁제의 유동을 원활히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각 저장용기(221, 222)에 저장된 세탁제는 세탁제펌프(230)를 통해, 터브를 향해 공급되어야 하므로, 후방을 향해 일정한 경사를 가지고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각 저장용기(221, 222)는 세탁제가 수용되는 수용부(221a, 222a)와 각 수용부(221a, 222a)를 덮어 세탁제의 외부노출을 제한하는 저장용기덮개부(221b, 222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용기덮개부(221b, 222b)에는 앞서 설명한 마개(224)가 설치되어, 저장용기덮개부(221b, 222b)를 탈거하지 않고도 마개(224)의 탈거를 통해 사용자는 세탁제를 보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각 저장용기덮개부(221b, 222b)의 전단에는 전방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이루어지는 돌기(222b’)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이를 잡고 저장용기덮개부(221b, 222b)를 보다 손쉽게 탈거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장케이스의 일 측에 제1 저장용기(210)와 제2 저장용기(220)가 서로 마주보도록 장착되므로, 제1 저장용기(210)와 제2 저장용기(220)의 사이에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세탁제가 투입되도록 수동세제투입부(22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동세제투입부(223’)에는 사용자에 의한 세탁제의 투입이 가이드되도록 제3 저장용기(223)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3 저장용기(223)는 중앙부에 형성되는 경계부를 통해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매뉴얼모드로서 일 측에는 섬유유연제가 투입될 수 있으며, 다른 일 측에는 세제가 투입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도 4a는 세제공급장치(200)가 본체(110)에 삽입되어 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4b는, 도 4a에서 저장용기(221, 222)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세제공급장치(200)의 분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의류처리장치(100)의 본체(110)에는 세탁수디스펜서(25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저장케이스(210)가 본체에 삽입되는 경우, 세탁수디스펜서(250)는 하우징(201) 및 저장케이스(210)의 상부에 위치되어, 도 4a와 같은 구조를 가지게 될 것이다.
세탁수디스펜서(250)는 세탁수가 유입되어 세탁수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저장케이스(210)이 본체(110)에 장착되면,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세탁수디스펜서(250)는 하우징(201)에 장착되는 각 저장용기(221, 222)를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세탁수디스펜서(250)는 디스펜서커버(251)와 상기 디스펜서커버(251)를 덮도록 형성되는 디스펜서덮개(25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커버(251)는 세탁수유입부(251c, 251c')를 따라 유입되는 세탁수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표면을 따라 일정한 형상으로 연장되는 세탁수유로(251a, 251b)가 형성될 수 있다.
세탁수유로(251a, 251b)는, 디스펜서커버(251)의 후면에 형성되며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내외를 관통하는 세탁수유입부(251c, 251c’)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세탁수유로(251a, 251b)는 일정한 높이로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양 측벽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커버(251)에 디스펜서덮개(252)가 결합되는 경우, 세탁수가 이동할 수 있는 폐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세탁수는 세탁수유로(251a, 251b)를 따라 각 세탁수수용부(253a, 253b)를 향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탁수유로(251a, 251b)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세탁수유로(251a, 251b)는 디스펜서커버(251)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각 세탁수수용부(253a, 253b)를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세탁수유로(251a, 251b)는 제1 세탁수유로(251a)와 제2 세탁수유로(251b)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세탁수유로(251a)는 하나의 세탁수유입부(251c)와 연통되어 세탁수가 유입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세탁수유로(251a)는 제1 세탁수수용부(253a)를 향해 세탁수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될 것이다.
제1 세탁수수용부(253a)는 제1 세탁수유로(251a)를 따라 이동하는 세탁수가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세탁수수용부(253a)에는 복수개의 세탁수이동홀(25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세탁수수용부(253a)에 수용된 세탁수는 세탁수이동홀(254)을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세탁수수용부(253b)는 제1 세탁수수용부(253a)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제2 세탁수유로(251b)와 연통되어 세탁수의 이동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201)의 하부면 중심부에는 세제투입홀(214)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세제투입홀(214)은 의류처리장치(100)의 터브(미도시)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지므로, 세탁수와 혼합된 세탁제가 세제투입홀(214)을 향해 이동한 후 터브(미도시)로 공급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디스펜서덮개(252)는 디스펜서커버(251)를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디스펜서덮개(252)의 일 측에는 디스펜서커버(251)에 형성되는 제1 세탁수수용부(253a) 및 제2 세탁수수용부(253b)와 상하 중첩되는 위치에 제1 세탁수수용돌부(252a)와 제2 세탁수수용돌부(252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세탁수수용돌부(252a)와 제2 세탁수수용돌부(252b)는 각각 상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세탁수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세탁수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장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저장용기(221, 222)로부터 세탁제펌프(230)를 통해 이동하는 세탁제는 세탁수디스펜서(250)의 상부를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세탁제투입관(240)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서로 다른 세탁제의 유동을 형성하는 제1 및 제2 세탁제투입관(241, 242)은 제1 세탁수수용돌부(252a)에 각각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세탁제투입관(241)은 제1 세탁수수용돌부(252a)에, 제2 세탁제투입관(242)은 제2 세탁수수용돌부(252b)에 각각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세탁제는 세탁제투입관(241, 242)을 따라 이동하며, 세탁제펌프(230)에 의해 하우징(201)의 외부를 우회한 후, 세탁수디스펜서(250)를 지나 하우징(201)의 내부로 직접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201)의 하측면부에는 상기 세제투입홀(214)을 향하도록 일정한 경사를 갖는 경사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01)의 후방부에는 세탁제펌프(230)가 설치되어 각 저장용기(221, 222)에 저장된 세탁제의 이동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각 저장용기(221, 222)의 후면부에는 세탁제펌프(230)의 작동에 의해, 저장된 세탁제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미도시)가 돌출 형성되며, 배출구는 세탁제펌프(230)와 결합될 수 있다. 배출구(미도시)를 통해 세탁제투입관(240)을 따라 이동하는 세탁제는 세탁수디스펜서(250)으로 공급되어, 세탁수수용부(253a, 253b)에 수용된 세탁수와 함께 투입되어 서로 혼합된 후, 세제투입홀(214)을 통해 터브(미도시)로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저장케이스(210)가 본체(110)의 내부로 삽입 위치되면, 제1 세탁수수용부(253a)와 제2 세탁수수용부(253b)는 저장케이스(210)의 수동세제투입부(223’)에 설치되는 제3 저장용기(223)의 구획된 일 영역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게 된다.
세탁제투입관(240)을 따라 이동하는 세탁제가 제3 저장용기(223)에 투입되면, 제1 세탁수수용부(253a)에 수용된 세탁수는 세탁수이동홀(254)을 통해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세탁수와 혼합된 후 터브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저장케이스(210)가 본체(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제2 세탁수수용부(253b)는 저장케이스(210)의 수동세제투입부(223’)에 설치되는 제3 저장용기(223)의 구획된 다른 일 영역과 상하 중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3 저장용기(223)에 섬유유연제가 투입되면, 제2 세탁수수용부(253b)에 형성된 복수개의 세탁수이동홀(254)을 통해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세탁수와 섬유유연제는 서로 혼합되어 터브를 향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디스펜서덮개(252)는 사각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디스펜서커버(251)에 결합될 수 있다. 디스펜서덮개(252)가 디스펜서커버(251)에 결합되면 디스펜서커버(251)에 형성되는 각 세탁수유로(251a, 251b)는 폐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세탁수디스펜서(250)와 세제투입관(240)이 서로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세제공급장치(200)는 세탁제펌프에 의해 이동하는 세탁제를 세탁수디스펜서(250)를 상부를 향해 이동하는 세탁제투입관(240)을 포함할 수 있다.
세탁제펌프(230)을 통해 유출되는 세탁제는 세탁제투입관(240)을 따라 하우징(201)의 외부를 우회한 후, 세탁수디스펜서(250)를 지나 하우징의 내부로 직접 주입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때,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탁제투입관(240)은, 세탁수디스펜서(250)에 형성되는 세탁수유로와는 연통되지 않으므로, 세탁수디스펜서(25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세탁수와 세탁제투입관(240)을 따라 이동하는 세탁수가 세탁수디스펜서(250)의 내부에서 서로 혼합되지 않게 될 것이다.
세탁제투입관(240)은 일정한 직경을 갖는 관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탁제투입관(240)은 세탁수디스펜서(250)를 관통하여 하우징(201)의 내부로 세탁제를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세탁제투입관(240)은, 서로 다른 종류의 세탁제의 수송을 위한 제1 세탁제투입관(241)과 제2 세탁제투입관(242)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각 세탁제투입관(241, 242)에 의해, 서로 다른 세탁제는 하우징(201)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디스펜서덮개(252)의 상면 일 측에는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세탁수의 수용을 위한 세탁수수용돌부(25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세탁제투입관(240)의 일 단은 세탁수수용돌부(252a)를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디스펜서커버(251)의 상부 일 측에는, 디스펜서커버(251)를 상하 관통하는 세제유입부(252c)가 형성되고, 세제유입부(252c)의 외측에는 세탁제투입관(240)이 끼워져 고정기구(미도시) 등을 통해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세탁제투입관(240)은, 일단이 세탁제펌프(230)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하우징(201)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세탁제투입관(240)은 세탁제펌프(230)에 의해 이동하는 세탁제를 세탁수디스펜서(250)를 상부를 향해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세탁제투입관(240)은 저장용기에 수용된 세탁제를 터브로 직접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세탁제투입관(240)을 따라 이동하는 세탁수를 세탁수디스펜서(250)의 상부를 향해 직접 주입하게 되면, 별도의 세탁제를 투입하기 위한 급수밸브가 불필요하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세탁제투입관(240)은, 수동세제투입부(223')를 향해 세탁제를 공급할 수 있으며, 세탁제는 세탁수디스펜서(250)로부터 배출되어 하우징(201)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탁수와 혼합된 후, 터브를 향해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저장용기의 후면부에는 상기 세탁제펌프의 작동에 의해 세탁제가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출구를 통해 이동하는 세탁제는 세탁제투입관(240)을 따라 이동하며 하우징(201)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탁수와 혼합된 후, 상기 터브를 향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도 6은, 디스펜서덮개와 디스펜서커버를 관통하도록, 세제유입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7은, 도 6을 횡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로서, 디스펜서덮개(252)에 형성되는 세제유입부의 내부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디스펜서덮개(252)에 형성되는 제1 세탁수수용돌부(252a)의 일 측에는, 서로 다른 세탁제가 유입되도록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세제유입부(252c, 252c')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세제유입부(252c)와 제2 세제유입부(252c’)는 각각 제1 세탁제투입관(241)과 제2 세탁제투입관(242)이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제유입부(252c)의 내측에는 세제유입부(252c)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세제유입부 지지부재(252d)가 설치될 수 있다. 세제유입부 지지부재(252d)의 외측면은 세제유입부(252c)의 내측면과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세제유입부 지지부재(252d)의 내측에는 세탁제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255)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체크밸브(255)는 일 방향으로만 세탁제가 유동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체크밸브(255)에 의해, 세탁제투입관(240)을 따라 세탁제가 역류하는 것은 제한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들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드럼; 및
    상기 터브와 연결되어 세탁제를 상기 터브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세탁제를 저장하며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저장용기;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용기에 저장된 세탁제의 이동을 형성하는 세탁제펌프;
    저면부가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를 마주하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세탁수의 이동을 형성하는 세탁수디스펜서; 및
    상기 세탁제펌프와 상기 세탁수디스펜서의 상부를 연결하여, 상기 세탁제펌프에 의해 이동하는 세탁제를 상기 세탁수디스펜서의 상기 상부를 통과시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세탁제투입관;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제1 저장용기와 제2 저장용기가 서로 마주보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1 저장용기와 상기 제2 저장용기의 사이에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세탁제가 투입 가능하도록 수동세제투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제투입관은, 상기 수동세제투입부를 향해 세탁제를 공급하며, 세탁제는 상기 세탁수디스펜서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탁수와 혼합된 후, 상기 터브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세제투입부에는, 사용자에 의한 세탁제의 투입을 가이드하는 제3 저장용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의 후면부에는 상기 세탁제펌프의 작동에 의해 세탁제가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이동하는 세탁제는 상기 세탁제투입관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탁수와 혼합된 후, 상기 터브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수디스펜서는,
    세탁수유입관을 따라 유입되는 세탁수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표면을 따라 일정한 형상으로 세탁수유로가 형성되는 디스펜서커버; 및
    상기 디스펜서커버의 상부를 덮어 결합되는 디스펜서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덮개의 상면 일 측에는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세탁수의 수용을 위한 세탁수수용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커버의 상부 일 측에는, 상기 디스펜서커버를 상하 관통하는 세제유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세제유입부의 외측에는 상기 세탁제투입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커버의 후단부에는 세탁수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내외를 연통하도록 세탁수유입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제투입관은, 상기 디스펜서커버의 상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은 상기 세탁제의 이동을 위해 일정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에는 세제투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터브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측면부는 상기 세제투입홀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90008282A 2019-01-22 2019-01-22 의류처리장치 KR102614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282A KR102614493B1 (ko) 2019-01-22 2019-01-22 의류처리장치
DE102020200481.1A DE102020200481B4 (de) 2019-01-22 2020-01-16 Wäschebehandlungsvorrichtung
US16/749,583 US11459690B2 (en) 2019-01-22 2020-01-22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7/939,583 US11788224B2 (en) 2019-01-22 2022-09-07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7/939,598 US11795603B2 (en) 2019-01-22 2022-09-07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230165584A KR20230169002A (ko) 2019-01-22 2023-11-24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282A KR102614493B1 (ko) 2019-01-22 2019-01-22 의류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5584A Division KR20230169002A (ko) 2019-01-22 2023-11-24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244A KR20200091244A (ko) 2020-07-30
KR102614493B1 true KR102614493B1 (ko) 2023-12-15

Family

ID=715243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282A KR102614493B1 (ko) 2019-01-22 2019-01-22 의류처리장치
KR1020230165584A KR20230169002A (ko) 2019-01-22 2023-11-24 의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65584A KR20230169002A (ko) 2019-01-22 2023-11-24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11459690B2 (ko)
KR (2) KR102614493B1 (ko)
DE (1) DE102020200481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898A (ko) * 2020-10-08 2022-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482B1 (ko) * 1999-05-17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동세탁기의 세제하우징 누수방지장치
US20160194813A1 (en) * 2013-09-03 2016-07-07 Arcelik Anonim Sirketi A washer comprising an automatic dosing unit
US20170268151A1 (en) * 2016-03-15 2017-09-21 General Electric Company Washing Machine Appliance with a Bulk Dispense Reservoi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563B1 (ko) 2004-04-14 2011-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세제박스
KR101082564B1 (ko) 2004-04-14 2011-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디스펜서
US10138587B2 (en) * 2008-07-01 2018-11-27 Whirlpool Corporation Household cleaning appliance with a dispensing system operable between a single use dispensing system and a bulk dispensing system
KR101010680B1 (ko) * 2008-11-17 2011-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EP2374927B1 (en) * 2008-11-17 2018-01-10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CN105239319B (zh) * 2012-09-17 2017-06-23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机
JP6456927B2 (ja) * 2014-03-04 2019-01-23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洗濯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482B1 (ko) * 1999-05-17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동세탁기의 세제하우징 누수방지장치
US20160194813A1 (en) * 2013-09-03 2016-07-07 Arcelik Anonim Sirketi A washer comprising an automatic dosing unit
US20170268151A1 (en) * 2016-03-15 2017-09-21 General Electric Company Washing Machine Appliance with a Bulk Dispense Reservo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0200481B4 (de) 2023-02-09
US20230002952A1 (en) 2023-01-05
US20200232146A1 (en) 2020-07-23
US11788224B2 (en) 2023-10-17
US20230002951A1 (en) 2023-01-05
US11459690B2 (en) 2022-10-04
KR20200091244A (ko) 2020-07-30
US11795603B2 (en) 2023-10-24
KR20230169002A (ko) 2023-12-15
DE102020200481A1 (de) 202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809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44356B1 (ko) 세탁기
KR101315425B1 (ko) 세탁기
KR101482111B1 (ko) 세탁기
KR101467882B1 (ko) 세탁기
US9297106B2 (en) Washing machine having a detergent box with a partitioning member
KR102629745B1 (ko) 의류처리장치
JP2004057821A (ja) 洗濯機
KR20230169002A (ko) 의류처리장치
KR101215448B1 (ko) 세탁기
KR20080089814A (ko) 세탁기
KR101386712B1 (ko) 세탁기
KR101013374B1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EP3786336A1 (en) Detergent supply device
KR101010698B1 (ko) 세탁기
JP5516298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170086795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022224B1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JP2012075687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210027019A (ko) 세제공급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1176120B1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KR20100066174A (ko) 세탁기
KR20220046898A (ko) 의류처리장치
KR100782382B1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20070084728A (ko) 드럼세탁기용 세제통의 섬유 유연제 투입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