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8862A -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8862A
KR20210068862A KR1020190158412A KR20190158412A KR20210068862A KR 20210068862 A KR20210068862 A KR 20210068862A KR 1020190158412 A KR1020190158412 A KR 1020190158412A KR 20190158412 A KR20190158412 A KR 20190158412A KR 20210068862 A KR20210068862 A KR 20210068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part
sealing
gasket
battery pac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형석
홍순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90158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8862A/ko
Priority to US17/608,556 priority patent/US20220231376A1/en
Priority to EP20897263.8A priority patent/EP3958389A1/en
Priority to CN202090000510.8U priority patent/CN216529217U/zh
Priority to PCT/KR2020/015106 priority patent/WO2021112412A1/ko
Priority to JP2021561752A priority patent/JP2022530355A/ja
Publication of KR20210068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862A/ko
Priority to JP2024025509A priority patent/JP2024051025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75Vent means sensitive to or responsiv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94Gas-pervious parts or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은,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들 사이를 밀봉하는 환형의 개스킷을 포함하고, 상기 개스킷은 서로 결합된 제1,2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실링부의 용융점이 상기 제1 실링부의 용융점보다 낮다.

Description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개스킷을 포함한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이차 전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
또한, 이차 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 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 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Plug-In HEV) 등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배터리 만으로 운행될 수 있는 전기 자동차(EV), 배터리와 기존 엔진을 병용하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 등이 개발되었고, 일부는 상용화되어 있다. EV, HEV 등의 동력원으로서의 이차 전지는 주로 니켈 수소 금속 이차 전지가 사용되고 있지만, 최근에는 높은 에너지 밀도, 높은 방전 전압 및 출력 안정성의 리튬 이차 전지를 사용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가 자동차의 동력원으로 이용되는 경우, 상기 이차 전지는 다수의 전지 모듈 내지 전지 모듈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팩의 형태로 이용된다. 차량용 전지팩은 전지팩의 밀봉을 위하여 상하부 케이스에 고무 재질의 개스킷을 위치시킨다.
도 1은 종래 전지팩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전지팩의 가스 배출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 전지팩은 상부 케이스(11) 및 하부 케이스(12)로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 사이에 체결부(30)를 통해 고정된 고무 재질의 개스킷(20)이 형성되고, 개스킷(20)을 통해 전지팩 내부를 밀봉하였다. 개스킷(20)은 케이스들 사이 둘레를 따라 고무 재질로 일정하게 형성되나, 이와 같이 같은 재질의 개스킷이 케이스 둘레에 일정하게 형성될 경우,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팩 내부에서 발화 현상 발생시 발화를 통한 가스가 개스킷 둘레 방향 모두에서 배출이 될 수 있다.
이는 개스킷(20)에 밀봉력을 넘어서는 압력이 작용할 경우 둘레 방향으로 균일하게 형성된 개스킷(20)면을 통해 둘레 방향 모두에서 배출이 이루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차량용 전지팩은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연료 탱크를 비롯한 차량의 부품 방향으로 고온의 가스가 배출될 경우 차량 및 탑승자가 위험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발화시 가스의 배출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은,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들 사이를 밀봉하는 환형의 개스킷을 포함하고, 상기 개스킷은 서로 결합된 제1,2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실링부의 용융점이 상기 제1 실링부의 용융점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제2 실링부의 양단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실링부의 양단은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홈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실링부의 돌출부의 폭은, 상기 제1 실링부의 홈부의 폭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상기 제2 실링부의 중앙에는 부시가 형성되고, 상기 부시에 체결 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제2 실링부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실링부의 용융을 통해, 상기 부시의 양 옆으로 가스 배출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가스 배출 채널을 통해 상기 케이스들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는 볼트 및 너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부시 및 상기 체결부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실링부는 EPDM 계열의 고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실링부는 NR 계열의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실링부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스킷은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제2 실링부는 상기 개스킷의 일 모서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스킷은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제2 실링부는 상기 개스킷의 일 모서리 부분과, 상기 일 모서리 부분과 연결되는 타 모서리 부분들에 배치될 수 있다.
전지팩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링부는 상기 개스킷 부분 중 외부와 면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차량 부품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방향에 형성된 제2 실링부가 용융되어 형성된 가스 배출 채널을 통해 전지팩 내부의 가스 배출이 가능함으로써, 디바이스에 장착된 전지팩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전지팩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전지팩의 가스 배출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B부분에 형성된 제2 실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제2 실링부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배출 채널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배출 채널을 도 8과 다른 각도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의 가스 배출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가스 배출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실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실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이 디바이스(D)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은, 내부에 셀 조립체를 내장한 상태로 하부 케이스(120)와 상부 케이스(110)가 결합되어 있다. 전지팩 내부에는, 서로 다른 개수를 갖는 셀 조립체가 상하 적층 구조를 형성한다.
개스킷(200)은 하부 케이스(120)와 상부 케이스(110) 사이에서 케이스들의 외곽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어 케이스들 사이를 밀봉한다. 개스킷(200)은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개스킷(200)은, 상부 케이스(110)에 형성된 체결부(111) 및 하부 케이스(120)에 형성된 체결부(121)를 통해 케이스들과 결합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10)에 형성된 체결부(111)는 상부 케이스(110)가 하부 케이스(120)와 만나는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20)에 형성된 체결부(121)도 마찬가지로 하부 케이스(120)가 상부 케이스(110)와 만나는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개스킷(200) 또한 환형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상부 케이스(110)의 체결부, 하부 케이스(120)의 체결부 및 개스킷(200)의 체결부들은 모두 수직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각 체결부들은 체결 부재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체결 부재는 볼트 및 너트로 형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개스킷의 전 부분이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 개스킷이 상하부 케이스 둘레를 동일한 밀봉력으로 실링하였다. 그러나 내부 발화로 인해 개스킷의 밀봉력을 넘어서는 압력이 발생하게 되면, 360도 방향의 모든 개스킷면을 통해 가스가 배출될 수 있으며, 전지팩을 차량에 장착한 경우 연료 탱크 및 차량 부품 방향으로 고온의 가스가 배출될 위험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스킷(200)은 서로 결합된 제1 실링부(210) 및 제2 실링부(220)를 포함하고, 온도 상승시 제2 실링부(220)는 제1 실링부(210)보다 먼저 용융되고, 용융된 제2 실링부(220)를 통해 케이스들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링부(210)는 EPDM 계열의 고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실링부(220)는 NR 계열의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EPDM 계열 고무의 최대 사용 온도는 150도이고, NR 계열 고무의 최대 사용 온도는 90도로, EPDM 계열의 고무보다 NR 계열의 고무가 녹는점이 낮아 온도 상승시 먼저 용융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링부(220)가 제1 실링부(210)보다 먼저 용융되고, 용융된 제2 실링부를 통해서 전지팩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실링부(220)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마련할 수 있고, 마련된 제2 실링부(220)가 위치한 방향으로 전지팩 내부의 가스가 배출될 수 있게 됨으로써, 제2 실링부(220)의 위치를 차량 부품 및 연료탱크가 위치하지 않는 방향으로 설정하여, 배출되는 가스를 통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실링부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B부분에 형성된 제2 실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제2 실링부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배출 채널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실링부(220)는, 양단에 형성된 돌출부(221, 222), 중앙에 형성된 부시(223)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21, 222)는 제2 실링부(220)의 양단 가운데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21, 222)는 제1 실링부(210)의 양단에 형성된 홈부(211, 212)와 각각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링부(220)의 돌출부(221, 222)의 폭(W2)은 제1 실링부(210)의 홈부(211, 212)의 폭(W1)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221, 222)의 폭(W2)이 홈부(211, 212)의 폭(W1)보다 더 넓게 형성됨으로써, 중첩 구조를 바탕으로한 끼움 결합을 통해 제1 실링부(210)와 제2 실링부(220)가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부시(223)는 제3 실링부(220)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110)의 체결부(111)중 하나 및 하부 케이스(120)의 체결부(121)중 하나와 수직 방향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체결 부재(300)를 통해 제2 실링부(220)를 상부 케이스(110) 및 하부 케이스(120)와 결합시켜 제2 실링부(2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부 케이스(110, 120)가 연결되는 둘레 부분 중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제2 실링부(220)를 배치하고, 부시(223)를 통해 원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2 실링부(220)를 상하부 케이스(110, 120) 사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체결 부재(300)는 부시(223) 및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상하부 케이스(110, 120)의 체결부들(111, 121)에 관통되어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부재(300)는 볼트 및 너트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체결 부재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배출 방향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배출 채널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배출 채널을 도 8과 다른 각도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스킷의 가스 배출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가스 배출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배출 채널(224, 225)은 제2 실링부(220)의 부시(223)의 양 옆에 형성될 수 있다. 전지팩 내부의 발화 현상에 의해 전지팩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용융점이 낮은 제2 실링부(220)가 제1 실링부(210)보다 먼저 용융하게 되고, 제2 실링부(220)가 용융됨에 따라 부시(223)의 양 옆으로 가스 배출 채널(224, 225)가 형성될 수 있다. 가스 배출 채널(224, 225)을 통해 전지팩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개로 형성된 제2 실링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실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실링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실링부(220)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제2 실링부(220)는 사각형으로 형성된 개스킷(200)의 일 모서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실링부(220)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제2 실링부(220)는 사각형으로 형성된 개스킷(200)의 일 모서리 부분 및 상기 일 모서리 부분과 연결된 타 모서리 부분들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이 디바이스(D)에 장착된 모습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이 디바이스(D)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팩의 제2 실링부(220)는 상기 개스킷(200) 부분 중 외부와 면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 내부에 형성된 부품들 방향으로 고온의 가스가 배출되지 않고, 외부로 가스가 배출됨으로써, 디바이스에 설치된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차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지팩은 차량의 후방부에 배치되고, 제2 실링부(220)또한 외부와 면하도록 차량의 후방부를 향해 배치되어 고온의 가스를 외부 공간으로 배출하여 차량에 설치된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앞에서 설명한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디바이스에는,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운송 수단에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지팩을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케이스
110: 상부 케이스
111: 체결부
120: 하부 케이스
121: 체결부
200: 개스킷
210: 제1 실링부
211, 212: 홈부
220: 제2 실링부
221, 222: 돌출부
223: 부시
224, 225: 가스 배출 채널
300: 체결 부재

Claims (12)

  1.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들 사이를 밀봉하는 환형의 개스킷을 포함하고,
    상기 개스킷은 서로 결합된 제1,2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실링부의 용융점이 상기 제1 실링부의 용융점보다 낮은 전지팩.
  2. 제1항에서,
    상기 제2 실링부의 양단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실링부의 양단은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홈부에 끼움 결합되는 전지팩.
  3. 제2항에서,
    상기 제2 실링부의 돌출부의 폭은, 상기 제1 실링부의 홈부의 폭보다 더 넓은 전지팩.
  4. 제1항에서,
    상기 제2 실링부의 중앙에는 부시가 형성되고, 상기 부시에 체결 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제2 실링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전지팩.
  5. 제4항에서,
    상기 제2 실링부의 용융을 통해, 상기 부시의 양 옆으로 가스 배출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가스 배출 채널을 통해 상기 케이스들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전지팩.
  6. 제4항에서,
    상기 체결 부재는 볼트 및 너트로 형성되는 전지팩.
  7. 제4항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부시 및 상기 체결부를 결합시키는 전지팩.
  8. 제1항에서,
    상기 제1 실링부는 EPDM 계열의 고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실링부는 NR 계열의 고무로 형성되는 전지팩.
  9. 제1항에서,
    상기 제2 실링부는 복수개로 형성되는 전지팩.
  10. 제9항에서,
    상기 개스킷은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제2 실링부는 상기 개스킷의 일 모서리 부분에 배치되는 전지팩.
  11. 제9항에서,
    상기 개스킷은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제2 실링부는 상기 개스킷의 일 모서리 부분과, 상기 일 모서리 부분과 연결되는 타 모서리 부분들에 배치되는 전지팩.
  12. 제1항에 따른 전지팩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링부는 상기 개스킷 부분 중 외부와 면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디바이스.
KR1020190158412A 2019-12-02 2019-12-02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10068862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412A KR20210068862A (ko) 2019-12-02 2019-12-02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US17/608,556 US20220231376A1 (en) 2019-12-02 2020-11-02 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EP20897263.8A EP3958389A1 (en) 2019-12-02 2020-11-02 Battery pack and device comprising same
CN202090000510.8U CN216529217U (zh) 2019-12-02 2020-11-02 电池组和包含该电池组的装置
PCT/KR2020/015106 WO2021112412A1 (ko) 2019-12-02 2020-11-02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JP2021561752A JP2022530355A (ja) 2019-12-02 2020-11-02 電池パックおよびこれを含むデバイス
JP2024025509A JP2024051025A (ja) 2019-12-02 2024-02-22 電池パックおよびこれを含むデバイ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412A KR20210068862A (ko) 2019-12-02 2019-12-02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862A true KR20210068862A (ko) 2021-06-10

Family

ID=76222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412A KR20210068862A (ko) 2019-12-02 2019-12-02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31376A1 (ko)
EP (1) EP3958389A1 (ko)
JP (2) JP2022530355A (ko)
KR (1) KR20210068862A (ko)
CN (1) CN216529217U (ko)
WO (1) WO202111241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5299A1 (ko) * 2021-06-17 2022-12-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2270777A1 (ko) * 2021-06-21 2022-12-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3101370A1 (ko) * 2021-12-03 2023-06-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20897A (zh) * 2022-07-20 2022-09-06 天津市捷威动力工业有限公司 一种电池包及包括其的电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924A (ja) * 1995-07-20 1997-02-07 Hino Motors Ltd ガスケット
US7491464B2 (en) * 2003-01-03 2009-02-17 The Gillette Company Alkaline cell with flat housing
JP4552414B2 (ja) * 2003-10-10 2010-09-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ィルム型電池
US8277965B2 (en) * 2009-04-22 2012-10-02 Tesla Motors, Inc. Battery pack enclosure with controlled thermal runaway release system
KR101078855B1 (ko) * 2010-02-04 2011-11-03 국방과학연구소 가스켓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용기
JP2012097896A (ja) * 2010-10-08 2012-05-24 Primearth Ev Energy Co Ltd ガスケットを用いたシール構造体
JP5760411B2 (ja) * 2010-12-08 2015-08-12 Nok株式会社 ガスケット
KR101678535B1 (ko) * 2012-10-15 2016-1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밀폐케이스
JP6261310B2 (ja) * 2013-12-04 2018-01-17 日立金属株式会社 管継手
CN203954502U (zh) * 2014-07-04 2014-11-26 华擎机械工业股份有限公司 电池灭火装置
JP2016096080A (ja) * 2014-11-14 2016-05-26 日本電気株式会社 蓄電池ユニットおよび蓄電装置
JP2017220344A (ja) * 2016-06-07 2017-12-1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池パック
KR101929403B1 (ko) * 2016-11-08 2018-12-14 울브린코리아(주) 리튬이온 배터리팩용 가스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5299A1 (ko) * 2021-06-17 2022-12-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WO2022270777A1 (ko) * 2021-06-21 2022-12-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3101370A1 (ko) * 2021-12-03 2023-06-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12412A1 (ko) 2021-06-10
EP3958389A1 (en) 2022-02-23
JP2022530355A (ja) 2022-06-29
US20220231376A1 (en) 2022-07-21
CN216529217U (zh) 2022-05-13
JP2024051025A (ja) 202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68862A (ko)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US8822052B2 (en) Battery cartridge
JP2003346759A (ja) 電池システム
KR20220132353A (ko) 냉각수를 활용한 배터리 셀의 열확산 방지 구조를 갖춘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10150843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10127319A (ko)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JP2023553180A (ja) 電池パックおよびこれを含むデバイス
KR20210133531A (ko)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JP2023518999A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KR20210046339A (ko) 전지 모듈 및 이을 포함하는 전지 팩
KR102423608B1 (ko)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EP4369485A1 (en) 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same
US20230327279A1 (en) Flame arrester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EP4366054A1 (en) Battery pack and device comprising same
EP4362185A1 (en) 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same
WO2023220874A1 (zh) 端盖组件、电池单体、电池以及用电设备
KR20230080310A (ko)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20043643A (ko)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30083607A (ko)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30073506A (ko)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20220146319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20240051758A (ko) 전지 팩
KR20240012312A (ko)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20140244A (ko)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KR20220147516A (ko)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