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8704A - 차량용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8704A
KR20210068704A KR1020190158009A KR20190158009A KR20210068704A KR 20210068704 A KR20210068704 A KR 20210068704A KR 1020190158009 A KR1020190158009 A KR 1020190158009A KR 20190158009 A KR20190158009 A KR 20190158009A KR 20210068704 A KR20210068704 A KR 20210068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arm
support
seat
table body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8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8704A/ko
Publication of KR20210068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002/899Head-res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or mechanic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2/905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head-rest or seat used as an anchorage point, for an object not covered by groups in B60N, e.g. for a canv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승용차는 물론 버스 등의 차량에서 전후 시트의 배열 상태 및 전석의 리클라이닝 상태와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는 테이블 구조 및 이를 적용하여 테이블 사용의 독립성이 확보될 수 있는 차량용 시트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목 받침대와 테이블로의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한 목 받침대 겸용 테이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용차는 물론 버스 등의 차량에서 전후 시트의 배열 상태 및 전석의 리클라이닝 상태와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는 테이블 구조 및 이를 적용하여 테이블 사용의 독립성이 확보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에는 프론트 시트(전석)와 리어 시트(후석)가 설치되어 있고, 프론트 시트는 운전석과 조수석으로 나뉘어지며, 리어 시트는 보통 벤치 형태로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2열 시트의 구성 외에도, SUV(Sport Utility Vehicle)의 경우에는 3열 또는 그 이상의 열로 시트를 배열하여 규정된 탑승 인원의 수에 대응하고 있으며, 버스의 경우에는 많은 승객이 탑승해야 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중앙 통로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다수의 시트들이 전후로 길게 열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승용차나 버스 등 차량의 전후 시트 배열 중 앞쪽에 위치한 시트를 전석, 상기 전석 뒤쪽의 시트를 후석이라 칭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석과 후석은 2열 시트 차량의 프론트 시트(운전석과 조수석)와 리어 시트의 개념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차량에서 앞쪽으로 배치되는 시트와 그 뒤쪽으로 배치되는 시트를 구분하는 개념임을 밝혀둔다.
한편, 전석의 시트백에는 후석 승객의 편의를 위해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테이블이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테이블이 시트의 암레스트에 설치되기도 한다.
전석의 시트백에 설치되는 테이블은 보통 백 테이블이라 불리우며, 백 테이블의 다양한 형태 및 구성이 알려져 있으나, 도 1은 전석의 시트백에 링크로 지지되는 백 테이블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석에서 시트백(11)의 좌우 양측에 각각 링크(13)의 일단부가 힌지(12)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 링크(13)의 타단부가 힌지(14)를 매개로 테이블(1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링크(13)와 테이블(15)이 전석의 후방에 위치되고, 전석의 시트백(11) 후방에서 테이블(15)이 링크(13)에 의해 아래로 회전되어 수평 상태가 되면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시트백(11)에는 스토퍼(16)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테이블(15)이 사용 가능하도록 회전된 수평 상태에서 상측의 스토퍼(16)에 의해 걸려 있게 되면, 시트백(11)의 스토퍼(16)가 테이블(15)을 기울어지지 않게 지지하게 된다.
그 밖에,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링크 없이 백 테이블이 시트백의 후면에 직접 힌지 결합되고 시트백의 힌지결합부에 백 테이블이 수평 상태에서 더 이상 아래로 기울지 않도록 고정 및 지지해주는 스토퍼를 구비한 것(비교예 1-2)이 알려져 있다.
또한, 도 1과 같이 링크가 상측에서 백 테이블을 시트백에 연결하여 상측의 링크가 하측의 백 테이블을 지지하는 구조(비교예1-1)가 아닌, 링크(또는 서포트 암)가 하측에서 테이블을 시트쿠션 측에 연결하여 하측의 링크가 테이블을 아래에서 받쳐주도록 한 것(비교예 2)이 알려져 있다.
그 밖에, 시트의 암레스트에 테이블을 설치한 것(비교예 3)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석의 시트백에 설치되는 종래의 백 테이블(비교예 1-1, 비교예 1-2)은 시트백과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전석 승객이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리클라이닝)하였을 때, 즉 전석의 시트백을 후석을 향해 더 눕히거나 반대로 전방으로 회전시켰을 때 전석의 백 테이블이 수평을 이루지 못하게 된다.
이에 백 테이블 위에 물건을 올려놓을 수 없어 백 테이블의 사용이 불가한 상태가 된다.
또한, 버스에서는 전후 시트 사이의 간격을 넓게 또는 좁게 하여 배치하는데, 시트의 배열 상태에 따라 백 테이블의 사용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시트쿠션 측에 지지되도록 설치한 테이블(비교예 2)은 시트백 각도를 조절하더라도 테이블이 수평으로 유지되어 사용 가능하지만, 시트백을 뒤로 ?똑? 경우 테이블 위의 물건이 시트백에 부딪혀 떨어질 수 있고, 이 역시 버스의 시트 배열 상태에 따라 사용성이 떨어질 수 있다.
암레스트에 테이블을 설치한 경우, 전석 및 시트 배열 상태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자유스러움이 있으나, 박스형 암레스트를 갖춘 고급 시트에만 적용 가능하고, 더욱이 암레스트 내부에 테이블을 수납시키는 구조인 경우 테이블의 크기에 있어 제한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승용차는 물론 버스 등의 차량에서 전후 시트의 배열 상태 및 전석의 리클라이닝 상태와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는 테이블 구조 및 이를 적용하여 테이블 사용의 독립성이 확보될 수 있는 차량용 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목 받침대와 테이블로의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한 목 받침대 겸용 테이블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목 받침대 겸용 테이블 어셈블리는, 일단부가 시트백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시트백에서 상기 일단부인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이 가능한 서포트 암; 및 상기 서포트 암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목 받침대와 테이블로의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한 목 받침대 겸용 테이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 암이 하방으로 회전된 상태일 때 상기 테이블 본체는 테이블로 사용되도록 시트에 착석한 승객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서포트 암이 상방으로 회전된 상태일 때 상기 테이블 본체는 상기 착석한 승객의 머리 부분을 뒤에서 지지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암은, 일단부가 시트백 하부의 측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상방으로 회전된 상태일 때 시트백에 밀착 내지 근접하도록 세워지며, 상기 하방으로 회전된 상태일 때 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되도록 눕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포트 암의 타단부에 상기 테이블 본체의 측면부가 결합되고, 상기 테이블 본체가 테이블로의 사용시 상기 착석한 승객의 전방에서 좌우로 길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이블 본체의 측면부가 상기 서포트 암의 타단부에 서포트 암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수단을 매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이블 본체의 일면에는 테이블로의 사용시 물건이 올려질 수 있도록 수평 상태에서 상측을 향하는 테이블 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테이블 본체에서 테이블 면의 반대쪽 부분은 목 받침대로의 사용시 상기 착석한 승객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목 받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 받침부는 폼패드를 커버부재로 커버링한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 받침부는 표면이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이블 본체의 측면부가 상기 서포트 암의 타단부에 서포트 암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수단을 매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포트 암의 힌지결합부는 시트백 프레임에 힌지 어셈블리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고정 설치되고 서포트 암의 회전을 목 받침대와 테이블의 사용 위치로 제한하기 위한 규제부재; 및 상기 서포트 암의 힌지결합부를 규제부재 또는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규제부의 일측에 V자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진 노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서포트 암의 힌지결합부에 형성된 스토퍼 핀이 상기 노치부 내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스토퍼 핀이 상기 V자 형상의 노치부 내 마주보는 두 스토퍼 면에 접촉됨에 의해 상기 서포트 암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에 의하면, 목 받침대로도 사용 가능한 테이블을 구비함으로써 상품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목 받침대 겸용의 테이블 본체가 서포트 암에 의해 회전되는 단순한 구성을 가지므로 승용차는 물론 승합차나 버스 등의 차종에 상관 없이 적용 가능하다.
또한, 시트백에 볼팅 등의 조립 방식으로 쉽게 탈/장착이 가능하고, 구성이 단순하므로 경제형 시트에도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잠금 해제 등을 위한 별도의 레버나 버튼 등 없이 작동 가능하여 직관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테이블과 목 받침대를 각각 개별로 적용할 때와 비교하여 시트에 추가되어야 하는 브라켓 등의 구성 부품이 크게 축소될 수 있고, 착석자와 동일한 시트에서 테이블을 전개하여 사용 가능하므로 전후 시트의 배열 상태 및 전석의 리클라이닝 상태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착석자 중심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 시트 배열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시트백에 링크로 지지되는 백 테이블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에서 목 받침대 겸용 테이블 어셈블리를 도시한 조립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에서 목 받침대 겸용 테이블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에서 목 받침대 겸용 테이블 본체를 지지하는 서포트 암과 시트백 사이를 결합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각각 다양한 작동 및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에서 목 받침대 겸용 테이블 어셈블리를 도시한 조립 상태도이고, 도 5는 목 받침대 겸용 테이블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목 받침대 겸용 테이블 본체를 지지하는 서포트 암과 시트백 사이를 결합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10)는 테이블을 목 받침대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며, 목 받침대와 테이블로의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한 목 받침대 겸용 테이블 어셈블리(100)를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목 받침대 겸용 테이블 어셈블리(100)는 목 받침대 겸용 테이블 본체(120)를 포함하는 것으로, 테이블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테이블 본체(120)를 시트백(11) 상단 전면에 밀착시켜 목 받침대로 사용하지만, 테이블 본체(120)를 시트백(11) 상단으로부터 아래로 내려서 착석한 승객의 전방에 수평 상태가 되도록 위치시킬 경우 테이블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목 받침대 겸용 테이블 어셈블리(100)가 각 시트(10)의 시트백(11)에 설치되어 해당 시트에 착석한 승객이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10)마다 하나씩의 목 받침대 겸용 테이블 어셈블리(100)가 설치될 수 있다.
구성을 살펴보면, 목 받침대 겸용 테이블 어셈블리(100)는, 일단부가 시트백(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시트백(11)에서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서포트 암(110)과, 상기 서포트 암(110)에 설치되는 목 받침대 겸용 테이블 본체(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포트 암(110)의 일단부(하단부가 됨)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백(11) 하부의 측면 부분에 힌지 결합될 수 있고, 시트백(11) 하부에서 길게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반대쪽 타단부(상단부가 됨)에는 목 받침대 겸용 테이블 본체(120)(이하 '테이블 본체'라 약칭함)가 결합된다.
상기 서포트 암(110)은 시트백(11) 하부에 힌지 결합된 일단부(힌지결합부:111)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될 때 서포트 암(110)은 시트백(11)에 근접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테이블 본체(120)가 결합되어 있는 서포트 암(110)의 타단부(자유단부:113)가 시트백(11) 상단부에 근접하게 되고, 서포트 암(110)이 상방으로 최대로 회전되고 나면 대략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가 될 수 있다.
반대로, 서포트 암(110)이 일단부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되면 서포트 암(110)의 타단부가 시트백(11) 상단에서 아래로 내려오게 되고, 이때 최대로 회전되고 나면 서포트 암(110)이 시트백(11)에서 대략 수평으로 길게 연장된 상태가 된다.
또한, 최대로 회전된 상태에서 서포트 암(110)은 시트(10)에 착석한 승객 측방을 지나 전방을 향해 길게 눕혀진 상태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서포트 암(110)은 시트백(11) 하부에 일단부가 힌지 결합된 상태로 하방 및 전방으로 회전하여 최대 회전된 위치에서 전방으로 눕혀진 상태가 되고, 반대로 상방으로 회전하면 시트백(11)에 근접 내지 밀착되도록 대략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가 된다.
결국, 서포트 암(110)은 시트백(11) 하부에 결합된 일단부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 및 전후로 움직이는 로드 형상 및 외팔보 형태의 회전형 부재로서, 시트백(11) 하부에 힌지 결합되는 서포트 암(110)의 일단부(111)를 힌지결합부라 한다면, 서포트 암(110)의 반대쪽 타단부(113)는 자유단 부분이 된다.
한편, 서포트 암(110)의 자유단 부분(이하 '자유단부'라 칭함)(113)에는 테이블 본체(120)가 결합되며, 이때 서포트 암(110)의 자유단부(113)가 테이블 본체(120)의 측면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결합된 구조가 되도록 한다.
또한, 테이블 본체(120)는 전체적인 형상이 좌우로 긴 직사각 형상, 즉 높이에 비해 윗변 및 밑변이 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서포트 암(110)이 하강하여 전방 및 수평으로 길게 연장된 상태일 때, 서포트 암(110)의 자유단부(113)에 결합된 테이블 본체(120)는 시트(10)에 착석한 승객의 앞쪽에서 좌우로 길게 배치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테이블 본체(120)는 테이블로 사용될 수 있도록 테이블 면(121)이 상측을 향해 있는 동시에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가 된다.
도 2의 도면상 우측 시트(10)에서는 목 받침대 겸용 테이블 어셈블리(100)가 테이블로 사용될 때의 위치로 전개되어 있고, 도 2의 도면상 좌측 시트(10)에서는 목 받침대 겸용 테이블 어셈블리(100)가 목 받침대로 사용될 때의 위치로 조정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로 사용될 경우에는 승객이 시트(10)에 착석해 있을 때 테이블 본체(120)의 각도 및 위치 등 상태가 승객 앞에 수평으로 놓여 있는 상태가 되도록 조정되고, 이때 테이블 본체(120)는 테이블 면(121)이 위를 향하도록 놓여진다.
반면, 목 받침대로 사용될 때에는 테이블 본체(120)의 테이블 면(121)이 시트백(11) 상단부에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위치가 조정되고, 이로써 승객이 시트(10)에 착석하였을 때 테이블 본체(120)가 승객의 머리 부분을 뒤에서 지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목 받침대로 사용될 때에는 테이블 본체(120)에서 테이블 면(121)의 반대쪽 부분, 즉 테이블 본체(120)의 볼록한 목 받침부(122)가 전방을 향해 놓여지게 되고, 이 목 받침부(122)가 승객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게 된다..
테이블 본체(120)와 서포트 암(110)의 결합 구조를 살펴보면,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테이블 본체(120)가 서포트 암(110)의 자유단부(113)에서 서포트 암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로써,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객이 시트(10)에 착석하여 목 받침대 겸용 테이블 어셈블리(100)를 테이블로 사용할 때 테이블 본체(120)의 전후 위치를 승객 자신의 체형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시트 전후방향 화살표 참조).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객이 시트(10)에 착석하여 목 받침대 겸용 테이블 어셈블리(100)를 목 받침대로 사용할 때 테이블 본체(120)의 상하 높이를 승객 자신의 머리 및 목 부분 높이 맞게 조정할 수 있다(시트 상하방향 화살표 참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테이블 본체(120)가 서포트 암(110)을 따라 전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블 본체(120)의 측면을 따라 길게 홈(123) 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서포트 암(110)의 자유단부(113)에는 테이블 본체(120)의 홈(123) 및 돌기와 반대되는 형상, 즉 상기 테이블 본체(120)의 홈(123)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돌기(114), 또는 상기 테이블 본체(120)의 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123)은 단면상 목부(123a)와, 상기 목부(123a)에 비해 확장된 형상을 가지는 확장요부(123b)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114)는 단면상 상기 목부(123a) 내에 위치되는 연결부(114a)와, 상기 확장요부(123b) 내에 위치되는 확장돌부(114b)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확장요부(123b)와 확장돌부(114b)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결국 확장요부(123b) 및 확장돌부(114b)에 의해, 돌기(114)가 홈(123)에 삽입된 상태에서 홈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만 가능할 뿐 홈(123)의 목부(123a)를 통해서는 홈 바깥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요철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돌기(114)와 홈(123) 사이의 간격 내지 돌기(114)와 홈(123)의 크기는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할 때에만 서포트 암(110)의 자유단부(113)에서 테이블 본체(120)가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이 테이블 본체(120)가 서포트 암(110)의 자유단부(113)에 홈-돌기 타입의 슬라이드 수단을 매개로 결합될 수 있고, 이로써 테이블 본체(120)의 전후 위치 및 상하 높이가 조정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테이블 본체(120)는 일면이 테이블 면(121)으로, 반대면이 목 받침부(122)로 구성됨을 볼 수 있으며, 테이블 면(121)은 경질의 합성수지, 메탈, 목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목 받침부(122)는 우레탄폼 등으로 이루어진 폼패드가 가죽 천 등의 별도 커버부재로 커버링되어 있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상기 폼패드는 승객이 테이블 본체(120)의 목 받침부(122)에 머리를 기대고 있을 때 딱딱함 및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면서 부드럽고 푹신한 쿠션감을 제공하여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테이블 면(121)은 위에 물건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편평한 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목 받침부(122)의 표면은 승객의 머리 부분을 받쳐줄 수 있도록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서포트 암(110)의 힌지결합부(111)는 시트백(11)과의 사이에 힌지 어셈블리(130)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 어셈블리(130)는 서포트 암(110)의 힌지결합부(111)와 시트백 프레임(11a)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힌지 어셈블리(130)가 시트백 프레임(11a)에 설치되는 것이며, 구성으로는, 시트백 프레임(11a)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131), 이 브라켓(131)에 고정 설치되고 서포트 암(110)의 회전을 목 받침대와 테이블 사용 위치로 제한하기 위한 노치부(134)를 가지는 규제부재(132), 및 서포트 암(110)의 힌지결합부(111)를 규제부재(132) 또는 브라켓(1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구(1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131)은 시트백 프레임(11a)에 용접 또는 볼팅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브라켓(131)의 일측에 규제부재(132)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규제부재(132)는 중앙에 원통형 결합부(133)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고, 원형의 일측에 결합부(133)의 주변으로 원주방향을 따르는 정해진 길이의 구간에 V자 형상의 홈을 형성하여 구성한 노치부(134)가 구비된다.
이때, 노치부(134)의 내측면, 특히 노치부(134)에서 원주방향에서 서로 마주보는 두 내측면이 규제부재(132)에서 서포트 암(110)의 회전을 정해진 각도 범위 이내로 제한하는 스토퍼 면(135a,135b)이 된다.
이러한 규제부재(132)에 서포트 암(110)의 힌지결합부(111)가 결합되며, 상기 체결구로서, 서포트 암(110)을 관통하도록 삽입된 볼트(136)가, 규제부재(132)의 결합부(133) 내측에 나사 체결되거나, 결합부재(133) 내측을 통과하여 브라켓(131)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서포트 암(110)의 힌지결합부(111)가 체결구인 볼트(136)에 의해 규제부재(132)에 결합된 상태로 볼트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서포트 암(110)의 힌지결합부(111)에는 규제부재(132)의 노치부(134) 내에 삽입될 수 있는 스토퍼 핀(112)이 돌출 형성되고, 이 스토퍼 핀(112)이 노치부(134)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노치부(134) 내 스토퍼 면(135a,135b)에 접촉될 때 서포트 암(110)의 회전이 제한되게 된다.
이때, 서포트 암(110)이 회전될 수 있는 각도 범위는 상기 규제부재(132)에서 두 스토퍼 면(135a,135b)이 이루는 각도에 의해 결정된다.
이와 같이 서포트 암(110)의 힌지결합부(111)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 핀(112)이 규제부재(132)의 노치부(134)에 삽입된 상태로 노치부(134) 내 양측 스토퍼 면(135a,135b)에 접촉할 때 서포트 암(110)의 회전이 제한된다.
특히, 목 받침대 겸용 테이블 어셈블리(100)가 테이블로 사용될 때, 테이블 본체(120)가 아래로 기울지 않고 수평 상태로 놓여 있을 수 있도록, 서포트 암(110)의 스토퍼 핀(112)이 규제부재(132)의 일측 스토퍼 면(135b)에 접촉한 상태로 고정되어 서포트 암(110)의 회전이 구속된다.
마찬가지로, 목 받침대 겸용 테이블 어셈블리(100)가 목 받침대로 사용될 때, 시트백(11) 상단에 밀착된 테이블 본체(120)가 승객의 머리가 누르는 힘에 의해 시트백(11)을 누르면서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서포트 암(110)의 스토퍼 핀(112)이 규제부재(132)의 반대측 스토퍼 면(135a)에 접촉한 상태로 고정되어 서포트 암(110)의 회전이 구속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에 의하면, 목 받침대로도 사용 가능한 테이블을 구비함으로써 상품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목 받침대 겸용의 테이블 본체가 서포트 암에 의해 회전되는 단순한 구성을 가지므로 승용차는 물론 승합차나 버스 등의 차종에 상관 없이 적용 가능하다.
또한, 시트백에 볼팅 등의 조립 방식으로 쉽게 탈/장착이 가능하고, 구성이 단순하므로 경제형 시트에도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잠금 해제 등을 위한 별도의 레버나 버튼 등 없이 작동 가능하여 직관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테이블과 목 받침대를 각각 개별로 적용할 때와 비교하여 시트에 추가되어야 하는 브라켓 등의 구성 부품이 크게 축소될 수 있고, 착석자와 동일한 시트에서 테이블을 전개하여 사용 가능하므로 전후 시트의 배열 상태 및 전석의 리클라이닝 상태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착석자 중심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 시트 배열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시트 11 : 시트백
11a : 시트백 프레임
100 : 목 받침대 겸용 테이블 어셈블리 110 : 서포트 암
111 : 힌지결합부 112 : 스토퍼 핀
113 : 자유단부 114 : 돌기
114a : 연결부 114b : 확장돌부
120 : 테이블 본체 121 : 테이블 면
122 : 목 받침부 123 : 홈
123a : 목부 123b : 확장요부
130 : 힌지 어셈블리 131 : 브라켓
132 : 규제부재 133 : 결합부
134 : 노치부 135a, 135b : 스토퍼 면
136 : 체결구

Claims (10)

  1. 목 받침대와 테이블로의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한 목 받침대 겸용 테이블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목 받침대 겸용 테이블 어셈블리는,
    일단부가 시트백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시트백에서 상기 일단부인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이 가능한 서포트 암; 및
    상기 서포트 암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목 받침대와 테이블로의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한 목 받침대 겸용 테이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 암이 하방으로 회전된 상태일 때 상기 테이블 본체는 테이블로 사용되도록 시트에 착석한 승객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서포트 암이 상방으로 회전된 상태일 때 상기 테이블 본체는 상기 착석한 승객의 머리 부분을 뒤에서 지지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암은,
    일단부가 시트백 하부의 측면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상방으로 회전된 상태일 때 시트백에 밀착 내지 근접하도록 세워지며,
    상기 하방으로 회전된 상태일 때 전방을 향해 길게 연장되도록 눕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암의 타단부에 상기 테이블 본체의 측면부가 결합되고,
    상기 테이블 본체가 테이블로의 사용시 상기 착석한 승객의 전방에서 좌우로 길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본체의 측면부가 상기 서포트 암의 타단부에 서포트 암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수단을 매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본체의 일면에는 테이블로의 사용시 물건이 올려질 수 있도록 수평 상태에서 상측을 향하는 테이블 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테이블 본체에서 테이블 면의 반대쪽 부분은 목 받침대로의 사용시 상기 착석한 승객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목 받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목 받침부는 폼패드를 커버부재로 커버링한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목 받침부는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본체의 측면부가 상기 서포트 암의 타단부에 서포트 암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수단을 매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암의 힌지결합부는 시트백 프레임에 힌지 어셈블리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고정 설치되고 서포트 암의 회전을 목 받침대와 테이블의 사용 위치로 제한하기 위한 규제부재; 및
    상기 서포트 암의 힌지결합부를 규제부재 또는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의 일측에 V자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진 노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서포트 암의 힌지결합부에 형성된 스토퍼 핀이 상기 노치부 내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스토퍼 핀이 상기 V자 형상의 노치부 내 마주보는 두 스토퍼 면에 접촉됨에 의해 상기 서포트 암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KR1020190158009A 2019-12-02 2019-12-02 차량용 시트 KR202100687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009A KR20210068704A (ko) 2019-12-02 2019-12-02 차량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009A KR20210068704A (ko) 2019-12-02 2019-12-02 차량용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704A true KR20210068704A (ko) 2021-06-10

Family

ID=76378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009A KR20210068704A (ko) 2019-12-02 2019-12-02 차량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87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993B1 (ko) * 2022-08-19 2023-02-13 박찬희 머리받침대 겸용 침대 테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993B1 (ko) * 2022-08-19 2023-02-13 박찬희 머리받침대 겸용 침대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0189B2 (en) Vehicle seat backrest with flexural joint motion-control
US10239419B2 (en) Anthropomorphic pivotable upper seatback support
US9187012B2 (en) Pivoting and reclining vehicle seating assembly
US9061621B2 (en) Seat-cushion shell unit and shell seat for vehicle
US9809133B2 (en) Reclining seat assembly
US20080224511A1 (en) Vehicle Seat
US20070013212A1 (en) Bench seat for a vehicle
GB2388313A (en) Seating arrangement for a vehicle
CN105620314B (zh) 具有可拆卸坐垫插入件的座椅组件
EP1407924A2 (en) Front seat assembly for a vehicle
CN110053524A (zh) 具有可变换后座椅的机动车辆
US2085836A (en) Arm rest for reclining coach seats
KR20210068704A (ko) 차량용 시트
JP2020163873A (ja) 車両構造
US20230092189A1 (en) Device for adjusting position of seat for vehicle
JPWO2020054678A1 (ja) 乗物用シート
JP6041618B2 (ja) 座席装置
US3343875A (en) Adjustable seat back headrest
CN110920492B (zh) 车辆座椅的靠背结构
KR20100062022A (ko) 자동차용 시트
JP7352435B2 (ja) 鉄道車両用座席
US11820257B2 (en) Vehicle seat arrangement
US20230302967A1 (en) Vehicle seat
JP7431551B2 (ja) 鉄道車両用座席
JPH0735166U (ja) 腰 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