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7460A -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7460A
KR20210067460A KR1020190157093A KR20190157093A KR20210067460A KR 20210067460 A KR20210067460 A KR 20210067460A KR 1020190157093 A KR1020190157093 A KR 1020190157093A KR 20190157093 A KR20190157093 A KR 20190157093A KR 20210067460 A KR20210067460 A KR 20210067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tank
experiment
experimental
channe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3183B1 (ko
Inventor
오상호
이달수
이용선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90157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183B1/ko
Publication of KR20210067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00Equipment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general hydraulic engineering, e.g. protection of constructions against ice-strains
    • E02B1/02Hydraulic mod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erodynamic Tests, Hydrodynamic Tests, Wind Tunnels, And Water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실험 수조(20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210)이 형성되며, 복수 개의 구간으로 이루어져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실험 수조(200)의 타측에는 상기 실험 수조(200)의 타측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테일 게이트(2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실험 수조(200)의 타측에는 상기 실험 수조의 수위을 조절하는 테일 웨어(240)가 구비된다. 각각의 상기 실험 수조(200)의 하부에는 상기 실험 수조(20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 개의 가변 경사조절 어셈블리(300)가 설치된다. 상기 가변 경사조절 어셈블리(300)는 상기 실험 수조(200)의 경사 각도를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변 경사조절 어셈블리(300)의 동작은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개의 구간으로 이루어져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실험 수조가 가변 경사 조절 어셈블리에 의해 동시에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각도 조절될 수 있으므로, 수리실험 뿐만 아니라 유속계 검증도 할 수 있어, 비용 및 이에 따른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A multi-panel point variable-slope open channel flow system}
본 발명은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경사조절장치가 복수 개의 구간으로 이루어져 일정 길이를 갖는 실험 수조의 하부에 실험 수조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경사 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실험 수조의 하류측을 차폐하여 수조 내에 정수면을 생성시킴으로써 유속계의 검정수로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수로 내 흐름 해석은 흐름의 자유 표면이 공간이나 시간에 따라 변할 뿐만 아니라 흐름의 수심, 유량, 수로경사 및 수면경사 등의 흐름 변수 간의 관련성 때문에 관수로 흐름 해석보다 훨씬 복잡하다.
따라서, 개수로 내 흐름 문제는 경험적이고 실험적인 방법으로 해결한다. 개수로의 흐름 이론은 하천공학, 관개배수학, 상하수도공학 등의 기초분야에 이용된다. 이와 같은 개수로에서 유속을 측정하여 유량을 구하고 여러 가지 상황에 따라 유속의 변화와 유량과의 관계에 대해 확인한다.
여기서, 유속(Flow velocity)란, 유체의 입자가 단위시간(dt) 내에 이동한 거리(S)를 말한다. 이러한 유속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회전형 풍속계, 열선 유속계(Hot wire), 도플러 유속계(doppler velocimetry), 입자영상유속계(Particle image velocimetry) 등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유속계를 이용한 유속자료의 취득은 유체가 유동하는 유로 중 원하는 위치에 측정부가 배치되도록 유속계를 거치한 후 시간변화에 따른 유속자료를 취득하여 3방향 별로 시간평균 유속자료를 산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개수로에 유속계를 설치하여 유속자료를 반복하여 취득하는 과정에서 산출된 결과 값이 측정할 때마다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유속계의 이상 여부, 즉, 계측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유속계 검정(certification)이 가능한 검정수로가 구비된 전문 검증 기관에 맡겨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검정수로가 구비된 전문 검증 기관은 적을 뿐만 아니라,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바닥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개수로의 경우, 하나의 절점을 가지는 구조가 대부분으로, 이러한 구조는 개수로의 길이가 길 경우 개수로 자체의 강도와 무게가 증가하여야 하기에 적용에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경사를 가변하면서 유속을 계측할 수 있는 길이가 긴 개수로를 구축함과 동시에, 하류 측을 차폐하여 유속계의 검증을 할 수 있는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1688호(2010년 12월 09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2392호(2014년 04월 17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경사 각도를 가변하면서 유속을 계측할 수 있는 길이가 긴 개수로를 구축함과 동시에 하류 측을 차폐하여 유속계의 검증을 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구성되는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에 따르면,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복수 개의 구간으로 이루어져 일정 길이를 갖는 실험 수조; 상기 실험 수조의 양측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물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테일 게이트; 상기 실험 수조의 양측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실험 수조의 수위을 조절하는 테일 웨어; 상기 실험 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실험 수조의 경사 각도를 가변시키는 복수 개의 가변 경사조절 어셈블리; 및 상기 가변 경사조절 어셈블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복수 개의 구간으로 이루어져 일정 길이를 갖는 실험 수조; 상기 실험 수조의 양측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물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테일 게이트; 상기 실험 수조의 양측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실험 수조의 수심을 조절하는 테일 웨어; 상기 실험 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실험 수조의 경사 각도를 가변시키는 복수 개의 가변 경사조절 어셈블리; 상기 가변 경사조절 어셈블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실험 수조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실험 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계가 구비되는 유속계 검증 대차;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 경사조절 어셈블리는, 상기 실험 수조의 하부에 위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과 상기 실험 수조의 하부 양측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실험 수조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하조절부재, 및 상기 상하조절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상하조절부재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하조절부재는 상기 실험 수조가 양측 중 어느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도록 일정 비율을 가지는 높이로 상기 실험 수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하조절부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에 일측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실험 수조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스크류 잭, 및 상기 실린더의 사이 및 상기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실린더의 양측에 전달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험 수조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상하조절부재의 동작에 따라 경사 가변되는 상기 실험 수조의 이동을 안내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실험 수조의 하부에 상기 실험 수조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힌지 축, 일측에 상기 힌지 축이 삽입되는 힌지 공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이 바닥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힌지 브래킷, 및 상기 실험 수조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힌지 브래킷의 타측이 상부에 고정되는 힌지 지지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험 수조의 상부에는 상기 실험 수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 레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속계 검증 대차는, 하부에 복수 개의 차륜이 설치되어 상기 이동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대차 본체, 일단이 상기 대차 본체의 전방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실험 수조의 수용공간을 향해 연장되게 형성되어 유속계와 결합되는 고정 지그, 상기 차륜에 동력을 전달하는 서보모터, 상기 서보모터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서보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차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서보모터의 원격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컨트롤러는,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서보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차륜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차 본체의 전방 및 후방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보호 쿠션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차 본체의 양측 하부에는 상기 이동 레일의 하부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차륜의 주행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바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일 웨어는, 상기 실험 수조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부채꼴 형상의 한 쌍의 가이드 판, 및 상기 가이드 판 사이에 구비되어 일측이 상기 실험 수조의 바닥면에 힌지 결합되고,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이 회전되어 상기 실험 수조를 향해 이동하는 조절 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일 웨어와 인접한 위치의 상기 실험 수조의 상부에는 상기 테일 웨어를 작동시키는 작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실험 수조의 상부 양측에 각각 돌출되게 구비되는 지지대, 및 일단이 상기 가이드 판의 외주면 일측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봉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봉의 타단이 회전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테일 웨어가 상기 조절 판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에 따르면, 수리실험을 하는 경우 복수 개의 가변 경사조절 어셈블리에 의해 복수 개의 구간으로 이루어져 일정 길이를 갖는 실험 수조 전체가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지지되고, 유속계 검증을 하는 경우 실험 수조가 수평선 상과 나란한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변 경사조절 어셈블리에 의해 실험 수조의 경사조절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어, 수리실험뿐만 아니라 유속계 검증도 할 수 있으므로, 비용 및 이에 따른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에 따르면, 가변 경사조절 어셈블리가 실험 수조의 하부에 구비되므로,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이 차지하는 작업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에 따르면, 유속계가 구비된 유속계 검증 대차는 이동 단말 등을 통해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경사조절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경사조절 어셈블리의 구성이 실제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의 구성이 실제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속계 검증 대차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에는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의 일부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100)에는 실험 수조(200)가 구비된다. 상기 실험 수조(200)는 상부가 개방된 직사각형 상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수용공간(210)이 내부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험 수조(200)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험 수조(200)는 복수 개의 구간으로 이루어져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험 수조(200)의 길이는 10m 이상 50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실험 수조(200)에서 유속계 검증을 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길이를 확보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실험 수조(200)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은 투명한 재질, 예를 들어, 투명 강화 플라스틱 재질 또는 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험 수조(200)의 양측 중 어느 일측, 즉, 상기 수용공간(21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방향인 하류측에는 테일 게이트(230)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및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테일 게이트(230)는 상기 실험 수조(200)의 하류측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테일 게이트(220)가 상기 실험 수조(200)의 하류측을 차폐하게 되면, 상기 수용공간(210)의 물이 정류하게 되고, 상기 테일 게이트(230)가 상기 실험 수조(200)의 하류측을 개방하게 되면, 상기 수용공간(210)의 물이 아래에서 설명될 집수조(280)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용공간(210)의 물이 집수조(280)로 이동할 때 테일 웨어(240)의 높이를 조절하면, 상기 실험 수조(200) 내의 수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210)에는 상기 실험 수조(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판(222)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실험 상황에 따라 구획판(222)을 이용하여 상기 실험 수조(200)의 사용 길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험 수조(200)의 양측 중 어느 일측, 즉, 상기 수용공간(210)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방향인 하류측에는 상기 실험 수조(200)의 수위를 조절하는 테일 웨어(Tail Weir)(24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테일 웨어(240)는, 한 쌍의 가이드 판(242) 및 조절 판(24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판(242)은 상기 실험 수조(200)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판(242)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판(242)은 상기 실험 수조(200)의 높이를 반지름으로 하여 90도의 중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 판(244)은 상기 가이드 판(242)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조절 판(244)의 일측은 상기 실험 수조(200)의 바닥면에 힌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조절 판(244)은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이 상기 가이드 판(242)과 함께 회전되어 상기 실험 수조(200)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조절 판(244)이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실험 수조(200)의 수위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일 웨어(240)와 인접한 위치의 상기 실험 수조(200)의 상부에는 상기 테일 웨어(240)를 작동시키는 작동부(25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부(250)는 지지대(251) 및 연결봉(25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51)는 상기 실험 수조(200)의 상부 양측에 각각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51)는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봉(252)은 대략 바(bar) 형상으로, 일단은 상기 가이드 판(242)의 외주면 일측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대(2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연결봉(252)의 타단에는 모터가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연결봉(252)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봉(252)의 타단이 회전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테일 웨어(240)가 상기 조절 판(244)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실험 수조(200)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100)에는 웨어 수조(2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웨어 수조(260)는 상기 실험 수조(200)의 일측과 연통되어 상기 실험 수조(200)의 일측으로 물을 흘려보내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웨어 수조(260) 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류판(26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류판(261)은 상기 웨어 수조(260) 내에 유입 되는 물을 정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정류판(261)은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웨어 수조(260)의 전면에는 웨어판(Weir)(26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웨어판(262)은 아래에서 설명될 정류조(270)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웨어 공식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웨어판(262)은 사각 웨어판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여러 가지 상황에 따라 전폭 웨어판, 삼각 웨어판 등 어느 하나의 웨어판이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험 수조(200)의 일측에는 정류조(27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정류조(270)의 일측은 상기 실험 수조(200)의 일측과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웨어 수조(260)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정류조(270)는 상기 웨어 수조(260)로부터 상기 실험 수조(200)로 유입되는 물을 정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정류조(270)는 상기 실험 수조(200)에 비하여 통상 폭이 넓게 형성되므로 단위 길이당 무게가 더 무겁다. 상기 정류조(270)는 상기 실험 수조(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정류조(270) 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류판(27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류판(272)은 상기 정류조(270) 내에 유입 되는 물을 정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정류판은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험 수조(200)의 타측, 즉, 물이 배출되는 하류측에는 집수조(2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집수조(280)는 상기 실험 수조(200)로부터 흘러내려 오는 물을 받아들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집수조(280)에 받아들여진 물은 상기 웨어 수조(260)로 다시 공급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100)에는 가변 경사조절 어셈블리(300)가 구비된다. 상기 가변 경사조절 어셈블리(300)는 각각의 상기 실험 수조(200)의 하부에 상기 실험 수조(20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가변 경사조절 어셈블리(300)는 상기 실험 수조(200)의 경사 각도를 가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 경사조절 어셈블리(300)는 베이스 플레이트(310), 상하조절부재(320), 및 상기 상하조절부재(320)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는 상기 실험 수조(200)의 하부에 위치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는 대략 판 상으로, 상기 실험 수조(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하조절부재(32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양측과 상기 실험 수조(200)의 하부 양측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상하조절부재(32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를 기준으로 상기 실험 수조(200)의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하조절부재(320)는 상기 실험 수조(200)가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도록 일정 비율을 가지는 높이로 상기 실험 수조(20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조절부재(320)가 아래에서 설명될 힌지 축(410)을 중심으로, 1:2:3의 비율의 거리로 상기 실험 수조(20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배치되었을 때, 상기 상하조절부재(320)의 높이도 1:2:3의 일정한 비율로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하조절부재(320)는 동시에 작동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상기 상하조절부재(320)는 컨트롤러에 의해 동시에 작동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상하조절부재(320)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의 설치 위치 및 실험 상황에 따라 개별 제어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조절부재(320)는 실린더(322), 스크류 잭(324), 및 연결부재(326)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322)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상부 양측에 각각 위치된다. 상기 실린더(322)는 볼트 등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잭(324)의 일측은 상기 실린더(322)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실험 수조(20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크류 잭(324)의 타측은 아래에서 설명될 힌지 축(410)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재(326)는 상기 실린더(322) 사이를 연결하고, 그 중앙에는 상기 모터(330)가 연결된다. 즉, 상기 연결부재(326)는 상기 모터(33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실린더(322)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조절부재(320)에는 지지 받침대(3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받침대(34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하부에 위치된다. 상기 지지 받침대(340)는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실험 수조(200) 및 베이스 플레이트(3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받침대(340)의 표면적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표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보다 상기 실험 수조(200)를 베이스 플레이트(3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 받침대(340)는 격자 모양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철골(steel frame)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받침대(340)의 상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지지 받침대(340)에 하중을 인가하는 것과 동시에 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험 수조(200)의 일측 하부에는 힌지 어셈블리(400)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는 상기 정류조(270)와 인접한 상기 실험 수조(200)의 일측 하부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정류조(270)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를 중심으로 자유단인 상태이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는 상기 상하조절부재(320)의 동작에 따라 경사 가변되는 상기 실험 수조(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조절부재(320)에 의해 상기 실험 수조(200)가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높이가 조절되면,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를 중심으로 상기 정류조(270)와 연결된 실험 수조(200)의 일측이 상방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실험 수조(200)의 경사가 가변되는 과정에서 상기 힌지 축(410)을 중심으로 자유단인 상기 정류조(270)와 연결된 실험 수조(200)가 용이하게 움직이므로, 상기 정류조(270) 또는 상기 실험 수조(200)가 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상하조절부재(320)에 부가되는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에는 힌지 축(410)이 구비된다. 상기 힌지 축(410)은 상기 실험 수조(200)의 양측 하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에는 힌지 브래킷(420)이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브래킷(420)의 일측에는 상기 힌지 축(410)이 삽입되는 힌지 공(42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힌지 브래킷(420)의 타측은 바닥면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상기 힌지 브래킷(420)은 힌지 지지 받침대(4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지지 받침대(430)는 상기 실험 수조(200)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힌지 브래킷(420)의 타측이 상부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힌지 지지 받침대(430)는 상기 가변 경사조절 어셈블리(300)의 지지 받침대(34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험 수조(200)의 상부에는 이동 레일(500)이 구비된다. 상기 이동 레일(500)은 상기 실험 수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이동 레일(500)은 아래에서 설명될 유속계 검증 대차(60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이동 레일(5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속계 검증 대차(600)가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100)에는 컨트롤러가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가변 경사조절 어셈블리(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가변 경사조절 어셈블리(300)의 높이가 가변됨으로써, 상기 실험 수조(200)의 경사 각도가 가변되는 것이다. 상기 컨트롤러는 컴퓨터와 같은 저장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따라 명령을 수행한다.
한편,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100)에는 유속계 검증 대차(600)가 구비된다. 상기 유속계 검증 대차(600)는 상기 이동 레일(50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속계 검증 대차(600)의 골격은 대차 본체(6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대차 본체(610)는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대차 본체(610)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차륜(61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대차 본체(610)가 상기 이동 레일(500)을 따라 주행, 즉,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대차 본체(610)의 양측 하부에는 보조바퀴(6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바퀴(613)는 상기 이동 레일(500)의 하부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차륜(612)의 주행을 보조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보조바퀴(613)는 상기 대차 본체(610)가 상기 이동 레일(500)로부터 외력에 의해 임의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차륜(612)의 사이는 구동축(614)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구동축(614)은 아래에서 설명될 동력전달 어셈블리(64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차륜(612)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대차 본체(610)의 전방 및 후방에는 충격보호 쿠션(61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격보호 쿠션(616)은 상기 대차 본체(610)가 구획벽 또는 실험 수조(200)의 양측벽 등에 부딪치는 경우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충격보호 쿠션(616)은 고무, 실리콘 등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차 본체(610)에는 고정 지그(6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지그(620)의 일단은 상기 대차 본체(6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실험 수조(200)의 수용공간(210)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지그(620)는 유속계(FV)와 같은 각종 측정기기들이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 지그(620)의 타단은 대략 집게 형상으로, 유속계(FV)와 같은 각종 측정기기들이 파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지그(620)의 타단에 측정기기들이 파지된 상태에서 볼트(미도시) 등에 의해 체결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유속계 검증 대차(600)에는 상기 실험 수조(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계(FV)가 구비된다. 상기 유속계(FV)는 상기 고정 지그(620)의 타단에 파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비되는 유속계(FV)는 도플러 유속계일 수 있다. 상기 도플러 유속계는 도플러 효과를 사용하여 유체의 유속을 측정하는 장치로, 개수로 수리실험 등에 주로 사용된다. 상기 도플러 유속계는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유체의 3차원 순간유속자료를 실시간으로 취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플러 유속계의 정확도는 기술에 발전에 따라 더욱 향상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취득빈도가 최대 200Hz, 즉, 초당 200개의 유속자료를 취득할 수 있는 제품이 이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0.005초당 1개의 유속자료를 취득할 수 있으므로, 인공개수로 흐름에서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유속범위에 대부분 적용이 가능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 본체(610)의 상부에는 서보모터(6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보모터(630)는 상기 차륜(612)이 상기 이동 레일(50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서보모터(630)는 동작 컨트롤러(67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서보모터(630)는 동작 컨트롤러(670)의 제어에 의해 정확한 위치와 속도를 추종할 수 있다.
특히, 서보모터(630)는 저속에서도 일정한 토크 값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원하는 속도에 따라 서보모터(630)를 이용하여 상기 유속계 검증 대차(600)의 이동 속도를 정확하게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유속계의 검증을 하는 과정에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축(614)과 상기 서보모터(630) 사이에는 동력전달 어셈블리(640)가 연결된다. 상기 동력전달 어셈블리(640)는 상기 구동축(614)의 중심과 상기 서보모터(630)에 각각 설치되는 회전 풀리(641) 및 상기 회전 풀리(641)의 외면을 감싸 구비되는 구동 밸트(64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밸트(643)는 상기 서보모터(630)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축(614)에 전달되도록 상기 서보모터(630)와 상기 구동축(614)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서보모터(6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축(614)이 동일한 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 본체(610)에는 배터리(6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650)는 상기 서보모터(630)로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대차 본체(610)에는 통신부(660)가 설치된다. 상기 통신부(660)는 상기 차륜(612)의 원격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외부 단말(T)로부터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외부 단말(T)이란 상기 통신부(660)로 상기 차륜(612)의 원격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앱이 설치된 단말기로써,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스마트폰(smartphone)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 본체(610)의 상부에는 동작 컨트롤러(6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작 컨트롤러(670)는 상기 서보모터(6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동작 컨트롤러(670)는 상기 통신부(66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서보모터(63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차륜(612)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 본체(610)의 일측에는 근접 스위치(6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스위치(680)는 상기 대차 본체(610)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대차 본체(610)와 일정 거리 이상 가까워지는 물체, 예를 들어, 상기 실험 수조(200)의 타측에 구비되는 지지대(251) 등을 감지하여, 물체와 갑자기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근접 스위치(680)는 거리센서(distant sensor)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스위치(680)로부터 감지된 거리 값은 상기 동작 컨트롤러(67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작 컨트롤러(670)는 기설정값과 상기 거리 값을 비교했을 때 상기 거리 값이 기설정값 이상일 경우 경고음 등과 함께 상기 유속계 검증 대차(60)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1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흐름의 수심, 유량, 수로경사 및 수면경사 등의 흐름 변수를 가정하여 수리실험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 실험 수조(200)의 경사각을 조절해야 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컨트롤러를 통해 상기 가변 경사조절 어셈블리(300)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때, 복수 개의 상기 가변 경사조절 어셈블리(300)의 상하조절부재(320)가 동시에 작동함으로써, 일정 비율로 상기 실험 수조(200)가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일정 비율을 가지는 높이로 상기 실험 수조(200)를 지지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정류조(270)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400)의 힌지 축(410)을 중심으로 상기 실험 수조(200)와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상하조절부재(320)에 부가되는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실험 수조(200)의 경사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가변 경사조절 어셈블리(300)를 통해 상기 실험 수조(200)의 경사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수리실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유속계(FV)를 검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컨트롤러를 통해 상기 가변 경사조절 어셈블리(300)의 상하조절부재(320)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는, 유속계(FV)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동 레일(500)이 수평 방향으로 위치해야 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상기 테일 게이트(230)를 설치한 후 상기 수용공간(210) 내에 일정 수위만큼 물을 채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유속계 검증 대차(600)를 상기 실험 수조(200)의 이동 레일(500) 상부에 거치시킨 후, 이동 단말(T)을 통해 상기 유속계 검증 대차(600)를 작동시킨다.
이때, 유속계(FV)가 설치된 유속계 검증 대차(600)의 속도와 유속계(FV)로부터 감지된 감지속도가 일치해야 유속계의 이상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속계 검증 대차(600)를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편의성 및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
200: 실험 수조 210: 수용공간
222: 구획판
230: 테일 게이트 240: 테일 웨어
242: 가이드 판 244: 조절 판
250: 작동부 251: 지지대
252: 연결봉
260: 웨어 수조 261: 정류판
262: 웨어판
270: 정류조
280: 집수조
300: 가변 경사조절 어셈블리 310: 베이스 플레이트
320: 상하조절부재 322: 실린더
324: 스크류 잭 326: 연결부재
330: 모터 340: 지지 받침대
400: 힌지 어셈블리 410: 힌지 축
420: 힌지 브래킷 422: 힌지 공
430: 힌지 지지 받침대
500: 이동 레일
600: 유속계 검증 대차 610: 대차 본체
612: 차륜 613: 보조바퀴
614: 구동축 620: 고정 지그 630: 서보모터 640: 동력전달 어셈블리
641: 회전풀리 643: 구동 밸트
650: 배터리 660: 통신부
670: 동작 컨트롤러 T: 외부 단말
FV: 유량계

Claims (13)

  1.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복수 개의 구간으로 이루어져 일정 길이를 갖는 실험 수조;
    상기 실험 수조의 양측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물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테일 게이트;
    상기 실험 수조의 양측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실험 수조의 수위을 조절하는 테일 웨어;
    상기 실험 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실험 수조의 경사 각도를 가변시키는 복수 개의 가변 경사조절 어셈블리; 및
    상기 가변 경사조절 어셈블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
  2. 상부가 개구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복수 개의 구간으로 이루어져 일정 길이를 갖는 실험 수조;
    상기 실험 수조의 양측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물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테일 게이트;
    상기 실험 수조의 양측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실험 수조의 수심을 조절하는 테일 웨어;
    상기 실험 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실험 수조의 경사 각도를 가변시키는 복수 개의 가변 경사조절 어셈블리;
    상기 가변 경사조절 어셈블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실험 수조의 상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실험 수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계가 구비되는 유속계 검증 대차;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경사조절 어셈블리는,
    상기 실험 수조의 하부에 위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과 상기 실험 수조의 하부 양측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상기 실험 수조의 높이를 조절하는 상하조절부재, 및
    상기 상하조절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상하조절부재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하조절부재는 상기 실험 수조가 양측 중 어느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도록 일정 비율을 가지는 높이로 상기 실험 수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조절부재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에 일측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실험 수조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스크류 잭, 및
    상기 실린더의 사이 및 상기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상기 실린더의 양측에 전달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실험 수조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상하조절부재의 동작에 따라 경사 가변되는 상기 실험 수조의 이동을 안내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실험 수조의 하부에 상기 실험 수조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힌지 축,
    일측에 상기 힌지 축이 삽입되는 힌지 공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이 바닥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힌지 브래킷, 및
    상기 실험 수조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힌지 브래킷의 타측이 상부에 고정되는 힌지 지지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험 수조의 상부에는 상기 실험 수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 레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계 검증 대차는,
    하부에 복수 개의 차륜이 설치되어 상기 이동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대차 본체,
    일단이 상기 대차 본체의 전방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실험 수조의 수용공간을 향해 연장되게 형성되어 유속계와 결합되는 고정 지그,
    상기 차륜에 동력을 전달하는 서보모터,
    상기 서보모터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서보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서보모터의 원격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 컨트롤러는,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제어신호를 받아 상기 서보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차륜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 본체의 전방 및 후방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보호 쿠션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 본체의 양측 하부에는 상기 이동 레일의 하부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차륜의 주행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바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 웨어는,
    상기 실험 수조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부채꼴 형상의 한 쌍의 가이드 판, 및
    상기 가이드 판 사이에 구비되어 일측이 상기 실험 수조의 바닥면에 힌지 결합되고,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이 회전되어 상기 실험 수조를 향해 이동하는 조절 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 웨어와 인접한 위치의 상기 실험 수조의 상부에는 상기 테일 웨어를 작동시키는 작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실험 수조의 상부 양측에 각각 돌출되게 구비되는 지지대, 및
    일단이 상기 가이드 판의 외주면 일측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봉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봉의 타단이 회전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테일 웨어가 상기 조절 판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

KR1020190157093A 2019-11-29 2019-11-29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 KR102373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093A KR102373183B1 (ko) 2019-11-29 2019-11-29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093A KR102373183B1 (ko) 2019-11-29 2019-11-29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460A true KR20210067460A (ko) 2021-06-08
KR102373183B1 KR102373183B1 (ko) 2022-03-11

Family

ID=76399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093A KR102373183B1 (ko) 2019-11-29 2019-11-29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31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671B1 (ko) 2022-09-15 2023-05-16 한국농어촌공사 다중 실험수로 입자영상유속계 이송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8743A (ko) * 2006-10-31 2008-05-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간에 따른 세굴심과 하상고의 시간 변화율 측정 장치 및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KR101001688B1 (ko) 2008-10-13 2010-12-15 한국원자력연구원 소형수리모형장치
KR200472392Y1 (ko) 2012-10-19 2014-04-29 대한민국 유량 조절형 유로 시스템
KR20150137295A (ko) * 2014-05-29 2015-12-0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개수로형 lid 실험장치
KR20180122864A (ko) * 2017-05-04 2018-11-14 주식회사 씨타로드산업 수위조절기능을 갖는 물꼬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8743A (ko) * 2006-10-31 2008-05-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간에 따른 세굴심과 하상고의 시간 변화율 측정 장치 및이를 이용한 측정 방법
KR101001688B1 (ko) 2008-10-13 2010-12-15 한국원자력연구원 소형수리모형장치
KR200472392Y1 (ko) 2012-10-19 2014-04-29 대한민국 유량 조절형 유로 시스템
KR20150137295A (ko) * 2014-05-29 2015-12-0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개수로형 lid 실험장치
KR20180122864A (ko) * 2017-05-04 2018-11-14 주식회사 씨타로드산업 수위조절기능을 갖는 물꼬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3183B1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43256A (ko) Crtsⅲ형 궤도판 고속 지능화 정밀 조정 시스템 및 정밀 조정 방법
CN203745209U (zh) 轿车白车身结构弯扭静刚度测试系统
CN105459153A (zh) 铁路隧道衬砌质量无损检测臂架及其检测方法
CN105302143A (zh) 隧道衬砌检测装置及检测车
CN108414057B (zh) 一种非接触式水位计检测校准装置
CN102854129B (zh) 一种飞机拦阻系统验证测试实验装置及实验方法
KR102373183B1 (ko)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
CN103643620B (zh) 一种用于路面弯沉测量的激光束平行度调节系统及其方法
CN113375733B (zh) 基于过流断面面积测量的明渠自动测流装置及其测流方法
CN105675308A (zh) 一种海底履带式作业车行走牵引通过性能评价测试系统
CN109298416A (zh) 一种隧道工程地质雷达探测辅助装置及工作方法
CN207716012U (zh) 一种建筑测量用三脚架
KR101294133B1 (ko) 수문 유지보수용 스톱로그 가이드프레임을 이용한 하천 유량 측정장치
CN113155660B (zh) 一种用于研究波浪下海床底部海底隧道特性的实验装置和实验方法
CN205334229U (zh) 隧道衬砌检测装置及检测车
CN107328549A (zh) 一种快速测定风场跨向相关性的测架装置
CN207495723U (zh) 水泥管片圆弧面自动收水抹平装置
CN105680613A (zh) 一种可调节固定支架
CN105160075B (zh) 一种农田灌区明渠自动测流数学模型的应用
CN202442871U (zh) 电动玻璃升降器性能与耐久性综合试验台
CN107756598B (zh) 用于水泥管片圆弧面自动收水抹平系统的收水机头
CN110057272A (zh) 一种铁路站台测量机器人
CN210571734U (zh) 一种公路工程抗压实验装置
CN208805569U (zh) 一种可校准的铅鱼缆道雷达波测速装置
CN202420465U (zh) 直线电机高度测量基准轨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