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392Y1 - 유량 조절형 유로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량 조절형 유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392Y1
KR200472392Y1 KR2020120009487U KR20120009487U KR200472392Y1 KR 200472392 Y1 KR200472392 Y1 KR 200472392Y1 KR 2020120009487 U KR2020120009487 U KR 2020120009487U KR 20120009487 U KR20120009487 U KR 20120009487U KR 200472392 Y1 KR200472392 Y1 KR 2004723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flow
disposed
fluid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4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봉
김민영
김민경
김승희
이경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20201200094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3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3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3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0Hydrodynamic testing; Arrangements in or on ship-testing tanks or water tun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00Equipment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general hydraulic engineering, e.g. protection of constructions against ice-strains
    • E02B1/02Hydraulic mode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로 내부 일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 수납이 간편하도록 2단 분리형으로 제작된 위어를 통하여 용이하게 설치 가능한 유량 조절형 유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유로 내부에 배치되는 벤튜리관에 장착되는 유량계 및 유속계과 유로의 상부에 배치되는 초음파 수위 센서를 통하여 유량, 유속 및 수위변화의 다목적으로 사용 가능한 유량 조절형 유로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량 조절형 유로 시스템{A flux control type a flow system}
본 고안은 유량 조절형 유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농업수리와 관련된 수위변화, 유량 및 유속을 계측하고 공간의 제약을 최소화하여 설치 및 유지가 용이한 유량 조절형 유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농업수리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할 경우 수위변화, 유량, 유속 등의 계측은 반드시 필요한 항목이다.
또한, 영농현장에 필요한 수리시설물의 검증 보급화로 인하여 용수관리의 정밀함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수리시험에는 시험용 유로가 필요한데, 종래의 시험용 유로는 설치 및 운용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넓은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에 어려움이 많은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현재의 영농현장에서는 담수위계, 유량계, 유속계, 수로 내의 유체 흐름 분석 등 농업 수리부문의 다양한 검증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유로 내부 일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 수납이 간편하도록 2단 분리형으로 제작된 위어를 통하여 용이하게 설치 가능한 유량 조절형 유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유로 내부에 배치되는 벤튜리관에 장착되는 유량계 및 유속계과 유로의 상부에 배치되는 초음파 수위 센서를 통하여 유량, 유속 및 수위변화의 다목적으로 사용 가능한 유량 조절형 유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유로 타측부에 탈착 가능한 탈착판을 통하여 유로 내의 유체를 담수 또는 배수함에 따라 농업 수리부문의 다양한 검증 실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유량 조절형 유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목적은 유로 하부에 배치되는 이동 가능한 지지부를 통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유량 조절형 유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유량 조절형 유로 시스템은 유로; 상기 유로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유로와 연통하는 유체공급부; 및 상기 유로 내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에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위어;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 상의 유체는 상기 유체공급부를 통하여 순환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로 시스템은, 상기 유로 내부에 배치되는 벤튜리관; 및 상기 벤튜리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 내의 유체 흐름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정부는, 상기 벤튜리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유량계; 및상기 유량계와 인접한 유속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로 시스템은, 상기 유로 상에 배치되는 초음파 수위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초음파 수위 센서는 상기 위어 인근에 배치되어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유로의 하부와 연결되는 지지프레임; 및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체공급부는, 상기 유로의 하부 방향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는 순환수조 내부에 위치하는 펌프; 일측이 상기 펌프와 연결되는 급수관; 및 상기 급수관의 타측과 연결되어 유량을 조절하는 급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순환수조 내부의 유체를 상기 급수관을 통하여 상기 유로로 공급하고, 상기 유로 내부의 유체는 상기 유로의 타측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순환수로로 순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로는, 상기 유로의 타측부에 배치되는 탈착판을 포함하고, 상기 탈착판의 탈착 여부에 따라 상기 유체는 상기 유로 내에서 유지되거나 상기 순환수로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로는 투명 PVC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유로 내부 일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 수납이 간편하도록 2단 분리형으로 제작된 위어를 통하여 공간의 제약을 최소화하여 용이하게 설치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유로 내부에 배치되는 벤튜리관에 장착되는 유량계 및 유속계과 유로의 상부에 배치되는 초음파 수위 센서를 통하여 유량, 유속 및 수위변화의 다목적으로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유로 타측부에 탈착 가능한 탈착판을 통하여 유로 내의 유체를 담수 또는 배수함에 따라 농업 수리부문의 다양한 검증 실험에 용이하다.
아울러, 본 고안은 유로 하부에 배치되는 이동 가능한 지지부를 통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구조를 통한 본 고안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유로를 제공함으로써 농업수리관련 연구발전 가능하고, 영농현장에 필요한 시설물의 검증 보급화로 용수관리 정밀화를 도모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형 유로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유량 조절형 유로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유량 조절형 유로 시스템(100)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형 유로 시스템(1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량 조절형 유로 시스템(100)은 유로(110), 유로(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이동 가능한 지지부(120), 유로(110)와 연통하는 유체공급부, 벤튜리관(1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유로(110) 내의 유체 흐름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지지프레임(121) 내부에 배치되는 순환수조(150)를 포함한다.
유로(110)는 투명 PVC로 이루어져 유로(110) 내부의 유체 흐름을 육안으로 관찰가능하다.
또한, 유로(110)의 길이는 5m, 유로(110)의 단면적은 0.5m x 0.5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로(110)는 수리시험이 가능한 일정 단면을 지닌 유로이며, 유로(110) 내부에 배치되는 벤튜리관(111), 유로(110)의 일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유로(110)의 내부를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하는 결속판(114), 결속판(114)과 평행하도록 유로(110) 내부에 배치되는 위어(112), 위어(112)와 결합하는 위어 고정판(113), 유로(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봉(115) 및 유로(110)의 타측부에 배치되는 탈착판(116)을 포함한다.
벤튜리관(111)은 유로(110) 내부에 배치되는 급수장치(133)와 이격되어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급수장치(133)는 결속판(114)을 기준으로 유로(110)의 일측 끝단에 배치되고, 벤튜리관(111)은 결속판(114)을 기준으로 유로(110)의 타측방에 배치된다.
한편, 벤튜리관은 공지기술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벤튜리관(111)은 급수관(132)을 통하여 유로(110) 내부로 공급되는 유체가 통과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위어(112)는 결속판(114)과 평행하도록 유로(110)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위어(112)는 일정유량을 유하시킴과 동시에 유로(110) 내부를 격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어 고정판(113)은 유로(110) 내에 요동 없이 고정배치되며, 이러한 위어 고정판(113)은 위어(112)가 유로(110) 상에 견고히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결속판(114)은 유로(11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유로(110)의 내부를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한다.
지지봉(115)은 유로(1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때, 지지봉(115)은 유로(110)의 상부에 다수로 배치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유로(110)를 움직이기 용이하다.
탈착판(116)은 유로(110)의 타측부에 배치되어 탈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유로(116)의 타측면에 체결홈(미도시)이 형성되어 그 내부로 탈착판(116)의 양측면이 삽입됨으로써 상하로 움직일 수도 있다. 단, 탈착판(116)의 체결방식은 전술한 바에 국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탈착판(116)의 탈착 여부에 따라 유체는 유로(110) 내에서 유지되거나 순환수로(150)로 배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탈착판(116)이 유로(110)의 하면까지 완전하게 폐쇄된 경우 유체는 유로(110) 내부에 담긴 상태로 유지되는 반면, 탈착판(116)이 유로(110)와 이탈하여 개방되는 경우 유체는 순환수조(150)로 흘러 순환된다.
지지부(120)는 유로(110)의 하부와 연결되는 지지프레임(121) 및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퀴(122)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21)은 유로(110)의 하부와 연결되며, 이러한 지지프레임(121)은 유로(110)를 지지함과 동시에 유로(11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된다.
바퀴(122)는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며, 지지프레임(121)의 하부 꼭지점과 지지프레임(121) 사이에 다수로 형성됨으로써 본 고안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유체공급부는 순환수조(150)의 내부에 위치하는 펌프(131), 일측이 펌프(131)와 연결되는 급수관(132) 및 급수관(132)의 타측과 연결되어 유량을 조절하는 급수장치(133)를 포함한다.
펌프(131)는 순환수조(150)의 내부에 위치하며, 이러한 순환수조(150) 내부의 유체를 급수관(132)을 통하여 유로(11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급수관(132)은 그 일측이 펌프(131)와 연결되며, 이러한 급수관(132)은 펌프(131)로부터 공급되는 유체가 통과하는 통로가 된다.
급수장치(133)는 급수관(132)의 타측과 연결되어 유량을 조절하며, 이를 통하여 목적에 맞는 실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측정부는 유로(110) 상에 배치되는 초음파 수위 센서(141), 벤튜리관(111)의 내부에 배치되는 유량계(142) 및 유량계(142)와 인접한 유속계(143)를 포함한다.
초음파 수위 센서(141)는 유로(110)의 유체 상부에 배치되도록 유로(110)의 일면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며, 이러한 초음파 수위 센서(141)는 유량 및 유로(110) 내부의 수위변화를 계측 가능하게 한다.
유량계(142)로는 파샬플륨 유량계(2 inch 간격)를 본 고안에서 기술되는 다목적 유로(110) 내에 설치하여 측정한 결과 실제 수위변화와 계측치의 차이를 정밀계측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유량계(142)를 벤튜리관(111)의 후단부에 배치함으로써 통과 유량과 수위와의 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유속계(143)는 유량계(142)와 인접하여 배치되며, 이러한 유속계(143)는 유로(110) 내부의 유속을 계측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고안의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유로(110) 내부에 수위계를 설치하여 실제 수위변화와 계측치의 차이를 계측할 수도 있다.
순환수조(150)는 유로(110)의 하방에서 지지프레임(121)에 의해 지지되며, 구체적으로 유체를 받을 수 있도록 유로(110)의 타측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로(110) 내부의 유체는 유로(110)의 타측 하부에 배치되는 순환수로(150)로 순환한다.
이러한 순환수조(150)는 최초 유체가 펌프(131)에 의해 공급되는 곳이며, 유로(110)로 공급된 유체가 유로(110)의 타측단으로 유동하여 다시 순환수조(150)로 수용됨에 따라 재사용이 가능하다.
전술한 순환구조는 물을 순환해서 사용함으로서 수리시험에 필요한 수량을 줄여 시험에 필요한 유체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유량 조절형 유로 시스템
110 : 유로
111 : 벤튜리관
112 : 위어
113 : 위어 고정판
114 : 결속판
115 : 지지봉
116 : 탈착판
120 : 지지부
121 : 지지프레임
122 : 바퀴
131 : 펌프
132 : 급수관
133 : 급수장치
141 : 초음파 수위 센서
142 : 유량계
143 : 유속계
150 : 순환수조

Claims (8)

  1. 유로;
    상기 유로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유로와 연통하는 유체공급부;
    상기 유로 내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에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위어;
    상기 유로 내부에 배치되는 벤튜리관; 및
    상기 벤튜리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로 내의 유체 흐름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로 상의 유체는 상기 유체공급부를 통하여 순환 유동하며,
    상기 측정부는,
    상기 벤튜리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유량계; 및
    상기 유량계와 인접한 유속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형 유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시스템은,
    상기 유로 상에 배치되는 초음파 수위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초음파 수위 센서는 상기 위어 인근에 배치되어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형 유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유로의 하부와 연결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형 유로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부는,
    상기 유로의 하부 방향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는 순환수조 내부에 위치하는 펌프;
    일측이 상기 펌프와 연결되는 급수관; 및
    상기 급수관의 타측과 연결되어 유량을 조절하는 급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순환수조 내부의 유체를 상기 급수관을 통하여 상기 유로로 공급하고,
    상기 유로 내부의 유체는 상기 유로의 타측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순환수조로 순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형 유로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유로의 타측부에 배치되는 탈착판을 포함하고,
    상기 탈착판의 탈착 여부에 따라 상기 유체는 상기 유로 내에서 유지되거나 상기 순환수조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형 유로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투명 PV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형 유로 시스템.
KR2020120009487U 2012-10-19 2012-10-19 유량 조절형 유로 시스템 KR2004723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487U KR200472392Y1 (ko) 2012-10-19 2012-10-19 유량 조절형 유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487U KR200472392Y1 (ko) 2012-10-19 2012-10-19 유량 조절형 유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392Y1 true KR200472392Y1 (ko) 2014-04-29

Family

ID=51489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487U KR200472392Y1 (ko) 2012-10-19 2012-10-19 유량 조절형 유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39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772B1 (ko) 2014-05-29 2016-03-2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개수로형 lid 실험장치
CN110820697A (zh) * 2019-11-15 2020-02-21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基于自动控制的恒流放水堰及其恒流放水方法
KR20200028604A (ko) * 2018-09-07 2020-03-17 국립생태원 양서류 및 파충류의 수로 탈출 실험장치
KR20210000874U (ko) * 2019-10-15 2021-04-23 최유진 수공전투체험장 세트
KR20210067460A (ko) 2019-11-29 2021-06-0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4693A (ja) * 1997-09-24 1999-04-09 Kikai Kenkyu Kk 水理実験装置
JP2004150982A (ja) * 2002-10-31 2004-05-27 Nichimo Co Ltd 造波曳航型水槽
KR20070097233A (ko) * 2006-03-29 2007-10-04 엔비넷 주식회사 개수로의 파마보라스 유량측정장치 및 그 유량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4693A (ja) * 1997-09-24 1999-04-09 Kikai Kenkyu Kk 水理実験装置
JP2004150982A (ja) * 2002-10-31 2004-05-27 Nichimo Co Ltd 造波曳航型水槽
KR20070097233A (ko) * 2006-03-29 2007-10-04 엔비넷 주식회사 개수로의 파마보라스 유량측정장치 및 그 유량측정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4772B1 (ko) 2014-05-29 2016-03-2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개수로형 lid 실험장치
KR20200028604A (ko) * 2018-09-07 2020-03-17 국립생태원 양서류 및 파충류의 수로 탈출 실험장치
KR102177254B1 (ko) * 2018-09-07 2020-11-10 국립생태원 양서류 및 파충류의 수로 탈출 실험장치
KR20210000874U (ko) * 2019-10-15 2021-04-23 최유진 수공전투체험장 세트
KR200495133Y1 (ko) 2019-10-15 2022-03-16 최유진 수공전투체험장 세트
CN110820697A (zh) * 2019-11-15 2020-02-21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基于自动控制的恒流放水堰及其恒流放水方法
KR20210067460A (ko) 2019-11-29 2021-06-0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다절점 가변 경사 개수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2392Y1 (ko) 유량 조절형 유로 시스템
KR101482527B1 (ko) 하천에서 발생하는 자연현상 모사를 위한 수리모형실험장치
CN102507133B (zh) 可拆卸多功能弯曲河道水循环系统实验装置
GB2446116A (en) Vertical mount mass flow sensor
JP2014085332A (ja) 現場飽和透水係数測定器
EP2239545A4 (en) FLUID MEASURING DEVICE
FI20002169A (fi) Laite ja menetelmä epätasaisessa virtauksessa tulevien nestemäisten aineiden määrän mittaamiseksi
CN103759918B (zh) 评估仿生射流表面平板减阻效果的试验装置及方法
EP3745111A1 (de) Vorrichtung und versuchsmodul zur durchführung von strömungsmechanischen versuchen
CN109029646A (zh) 明渠流量计精度检测装置
ATE506602T1 (de) Coriolis durchflussmessgerät mit aufgeteilten auswucht-gewichten zur beseitigung des dichteeffekts auf gemessene durchflüsse
DE602006003745D1 (de) Durchflussmesser mit einem fluidischen oszillator
CN205404398U (zh) 模拟透水沥青路面堵塞影响径流中重金属污染的试验装置
CN208366398U (zh) 一种喷嘴喷雾水量的测量装置
KR20170117251A (ko) 이동식 수도미터 성능 검사장치
CN201780286U (zh) 光控计量装置
CN109256019A (zh) 一种流体力学实验装置
KR102069013B1 (ko) 비점오염물질 채수장치
KR101103370B1 (ko) 자동 채수 장치
US20170043997A1 (en) Metering system for a tank trailer
KR101828401B1 (ko) Lid 실증단지의 유량 검증 장치
FR2999688B1 (fr) Detection d'anomalie dans un systeme de fourniture d'eau chaude
CN103076817B (zh) 一种流量控制装置
CN203672777U (zh) 一种可进行恒温测量的分光光度计恒温室
CN208313556U (zh) 一种环境水力学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