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013B1 - 비점오염물질 채수장치 - Google Patents

비점오염물질 채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013B1
KR102069013B1 KR1020190098834A KR20190098834A KR102069013B1 KR 102069013 B1 KR102069013 B1 KR 102069013B1 KR 1020190098834 A KR1020190098834 A KR 1020190098834A KR 20190098834 A KR20190098834 A KR 20190098834A KR 102069013 B1 KR102069013 B1 KR 102069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ample
water level
tube
identif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천동
문현생
길한뉘
홍선화
서우미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098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31Sampling from special pla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점오염 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펌프와 시료용기가 내부 공간부에 위치하고, 시료용기로 시료를 공급하기 위한 시료 흡입 튜브 일측이 연결되어, 수계의 시료를 연속 또는 비연속적으로 흡입한 후 시료용기에 보관하는 채수기; 수계 바닥에 고정되며, 상기 시료 흡입 튜브 타측이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채수용 지지부; 및 수계의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수위 식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점오염물질 채수장치{Stream Nonpoint Water Sampler}
본 발명은 비점오염 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우 시 하천이나 저수지 등 수계에서의 비점오염물질 조사를 위한 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수원으로 이용되는 상수원이나 농업생산에 용수를 공급하는 저수지의 경우 이용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양호한 수질이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류에 대규모 축산단지와 비닐하우스 경작지가 있는 경우, 강우 시 경작지에서 배출되는 농약 및 비료 등 토지계 비점오염원과 가축분뇨, 액비 과다살포 등 축산계 비점오염원의 영향으로 영양염류의 하천 내 부하가 순간적으로 크게 증가한다.
따라서 비점오염에서 유출되는 오염물질의 모니터링은 매우 중요한데 이를 적합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첫째 비점오염 유출 하천에 직접 채수장치를 설치하여야 하고, 둘째로 강우 직후부터 유출이 종료된 시간까지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연속적인 채수가 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채수장치의 사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비점오염물질의 분석을 위한 샘플링 도구는 철근 등 지지대를 하천에 심고 그 위에 알루미늄 자를 부착하여 수위를 재고 있으며, 철사를 이용하여 수위센서와 자동채수라인을 고정시켜 시료를 채수하고 있다. 하지만, 강우 시 하천의 유량과 유속이 갑자기 증가하기 때문에 설치한 도구 등이 유실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 설치와 해체가 매우 어렵다는 점, 그리고 나뭇가지 등 각종 이물질이 걸려 지지대에 걸려 부러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8-0099032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6-007497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설치와 분해가 용이한 비점오염물질 채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물질이 수면 부근을 따라 이동하더라도 지지대에 걸리지 않아 파손이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비점오염물질 채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염물질 채수장치는, 흡입펌프와 시료용기가 내부 공간부에 위치하고, 시료용기로 시료를 공급하기 위한 시료 흡입 튜브(120) 일측이 연결되어, 수계의 시료를 연속 또는 비연속적으로 흡입한 후 시료용기에 보관하는 채수기(100); 수계 바닥에 고정되며, 상기 시료 흡입 튜브(120) 타측이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채수용 지지부(200); 및 수계의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수위 식별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오염물질 채수장치에서, 상기 채수기(100)에는 수계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공기 주입 튜브(130)의 일측이 더 연결되고, 상기 채수용 지지부(200)는, 소정 내경을 갖는 1개의 제1 홀(211), 상기 제1 홀(211)과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소정 내경을 갖는 2개 이상의 제2 홀(212)이 형성된 평판형 지지판(210); 및 상기 지지판(210)을 수계 바닥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제2 홀(212) 각각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돌기(221)가 구비되며 타측은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앵커(2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위 식별부(300)는, 일측은 지지판 중심의 상기 제1 홀(21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돌기(31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소정 길이 연장된 로프(313)가 연결되어 있는 고정부(310);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상기 로프(313)에 고정되며, 외측 표면에는 눈금이 새겨져 있고 부유성 소재로 이루어진 2개 이상의 단위 유닛(322)을 포함하는 이동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 식별부(300)에는 튜브 고정 부재(400)가 더 연결되되, 상기 튜브 고정 부재(400)는 상기 수위 식별부(3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 밴드(410); 상기 메인 밴드(400)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시료 흡입 튜브(120)의 타측을 고정하는 제1 밴드(420); 및 상기 메인 밴드(400)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주입 튜브(130)의 타측을 고정하는 제2 밴드(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오염물질 채수장치에서, 상기 채수기(100)에는 수계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공기 주입 튜브(130)의 일측이 더 연결되고, 상기 채수용 지지부(200)는, 소정 내경을 갖는 1개의 제1 홀(211), 상기 제1 홀(211)과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소정 내경을 갖는 2개 이상의 제2 홀(212)이 형성된 평판형 지지판(210); 및 상기 지지판(210)을 수계 바닥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제2 홀(212) 각각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돌기(221)가 구비되며 타측은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앵커(2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위 식별부(300)는, 일측은 상기 제1 홀(21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돌기(31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제1 고리부(312)가 형성된 고정부(310); 일측은 상기 제1 고리부(312)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고리부(321)가 구비되고, 외측 표면에는 눈금이 새겨져 있으며, 부유성 소재로 이루어진 이동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 식별부(300)에는 튜브 고정 부재(400)가 더 연결되되, 상기 튜브 고정 부재(400)는 상기 수위 식별부(3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 밴드(410); 상기 메인 밴드(400)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시료 흡입 튜브(120)의 타측을 고정하는 제1 밴드(420); 및 상기 메인 밴드(400)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주입 튜브(130)의 타측을 고정하는 제2 밴드(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오염물질 채수장치에서, 상기 단위 유닛(322)은,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오염물질 채수장치에서, 상기 단위 유닛(322)은, 반원기둥 형상으로 평면의 길이방향으로 로프(313)를 수용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한 쌍의 제1 부재(322-1)와 제2 부재(322-2), 및 상기 제1 부재(322-1)와 제2 부재(322-2)를 서로 고정하기 위한 잠금부재(32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오염물질 채수장치에서, 상기 시료는 비점오염물질을 분석하기 위한 시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질 채수장치에 의하면, 지지판과 앵커를 포함하는 채수용 지지부, 고정부와 이동부를 포함하는 수위 식별부 그리고 튜브 고정 부재가 모두 탈부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어, 설치와 해체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질 채수장치에 의하면, 수위 식별부는 서로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고정부와 이동부로 이루어져 있어 큰 나뭇가지 등 이물질들이 걸리지 않아 장치의 파손이나 유실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채수장치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채수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비점오염물질 채수장치에서 채수용 지지부, 수위 식별부 및 튜브 고정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질 채수장치에서 수위 식별부의 제1 변형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질 채수장치에서 수위 식별부의 제2 변형 실시예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채수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채수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채수장치는 채수기(100), 채수용 지지부(200), 수위 식별부(300) 및 튜브 고정 부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채수기(100)에 관해 설명하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수기(100) 내부 공간부에는 다수개의 시료를 각각 수용 보관할 수 있는 시료용기(미도시)와, 하천이나 강 등 수계로부터 시료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펌프(미도시)가 수납되어 있다.
또 상기 채수기(100)에는, 시료 흡입 튜브(120)와 공기 주입 튜브(130)가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시료 흡입 튜브(120)는 흡입펌프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수계의 물을 시료용기로 흡입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은 흡입펌프(미도시)와 연결되고 타측은 수계까지 길게 연장되어 후술할 제1 밴드(420)에 고정되어 있으며, 흡입펌프의 작동 여부에 따라 시료를 연속 또는 간헐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공기 주입 튜브(130)는 수계의 수위를 측정할 목적으로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은 가압펌프(미도시)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수계까지 길게 연장되어 후술할 제2 밴드(430)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공기 주입 튜브(130)를 이용하여 수위를 측정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설명하면, 채수기(100)의 가압펌프에서 공기 주입 튜브(130)로 간헐 또는 연속적으로 공기를 공급하고 이때 공기를 공급하는 압력을 이용하여 수위를 예측한다. 즉, 공기 주입 튜브(130)의 출구는 제2 밴드(430)에 고정되어 있으며, 강우 시 하천이나 호소와 같은 수계의 수위가 올라가면 그만큼 수압이 증가하기 때문에 공기 주입 튜브(130)로 공급하는 압력이 상승하고, 반대로 수위가 낮아지면 공급 압력이 떨어진다.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강우량을 반영할 수 있고 이때 비점오염물질이 수계에 얼마나 함유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흡입펌프를 작동시켜 시료를 채수한다.
물론 흡입펌프의 작동 주기나 시간은 얼마든지 조절이 가능하고, 공기를 공급하는 압력이 평소와 유사한 범위까지 낮아지면 흡입펌프의 작동은 멈추게 되며, 또 상기와 같은 일련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는 채수기(100)에 내장되어 있음은 자명하다.
도 3은 도 2의 비점오염물질 채수장치에서 채수용 지지부, 수위 식별부 및 튜브 고정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서 채수용 지지부(200), 수위 식별부(300) 그리고 튜브 고정 부재(400)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강우 시 비점오염물질의 성분이나 함유량 등의 측정이 필요한 수계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채수용 지지부(200)는 지지판(210)과 앵커(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지판(210)은 대략 평판형으로 가운데에는 후술할 고정부(310)의 제2 돌기(311)를 수용하기 위하여 소정 내경을 갖는 1개의 제1 홀(211)이 뚫려 있고, 가장 자리 부근에는 후술할 앵커(220)의 제1 돌기(221)를 수용할 수 있는 소정 내경을 갖는 제2 홀(212)이 2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홀(211)과 제2 홀(212) 내측면에는 제2 돌기(311) 및 제1 돌기(221)와 탈착이 용이하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3에서는 지지판(210)이 4각형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원형 등 그 외형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210)을 수계 바닥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220)는 일측은 제2 홀(212)에 암수나사방식으로 탈착이 가능하도록 수나사산이 외측면에 형성된 돌기(221)가 구비되고, 타측은 바닥 속으로 쉽게 들어갈 수 있도록 끝이 뾰족하다.
수위 식별부(300)는 채수장치가 설치된 위치와 해당 지점에서의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또 시료를 채수하기 위한 것이다. 일측은 전술한 지지판(210)의 제1 홀(211)에 암수나사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외측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제2 돌기가 있고, 외측면에는 육안으로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이 새겨져 있는 긴 봉형상이다.
튜브 고정 부재(400)는 시료 흡입 튜브(120)와 공기 주입 튜브(130)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 밴드(410), 제1 밴드(420) 그리고 제3 밴드(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메인 밴드(410)는 수위 식별부(300)의 소정 위치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일예로 수위 식별부(300)를 감싼 뒤 볼트와 너트를 통해 수위 식별부(300)에 확실히 고정될 수 있다.
제1 밴드(420)는 메인 밴드(4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시료 흡입 튜브(120)의 타측을 고정하고, 공기 주입 튜브(130)의 타측을 고정하기 위한 제2 밴드(430)는 제1 밴드(420)와는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역시 메인 밴드(410)에 고정되어 있다. 이들 제1 밴드(420)와 제2 밴드(430)는 시료 흡입 튜브(120)와 공기 주입 튜브(130) 각각을 고정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일예로 고무 등의 탄성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여기서, 튜브 고정 부재(400)는 바닥에 쌓인 퇴적물이 시료 흡입 튜브(120)로 유입되지 않도록 바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수위 식별부(300)에 고정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채수장치는 지지판(210), 앵커(220), 수위 식별부(300) 및 튜브 고정 부재(400) 모두가 분리나 결합이 쉬운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운반과 설치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료 흡입 튜브(120)와 공기 주입 튜브(130)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다음은 수위 식별부의 제1 및 제2 변형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질 채수장치에서 수위 식별부의 제1 변형 실시예로서, 수위 식별부(300)는 고정부(310)와 이동부(320)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310)는 일측은 제1 홀(21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돌기(311)가 구비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제1 고리부(312)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310) 상부에 위치하는 이동부(320)는 제1 고리부(312)와 탈착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제2 고리부(321)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부(320) 외측면에는 눈으로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이 새겨져 있다.
여기서, 고정부(310)는 금속재질이나 나무재질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져도 무방하지만, 이동부(320)는 부유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나무재질, 스티로폼 또는 내부가 비어 있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는 채수장치의 위치와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튜브 고정 부재(400)는 바닥에 쌓인 퇴적물이 시료 흡입 튜브(120)로 유입되지 않고 또 외부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수위 식별부(300)의 고정부(3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변형 실시예에 따른 수위 식별부를 채용하는 경우, 제1 고리부(312)와 제2 고리부(321)에 의해 이동부(320)가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기 때문에 나뭇가지 등 각종 거대 이물질들이 흘러가더라도 수위 식별부(300)에 잘 걸리지 않고, 따라서 수위 식별부(300)를 포함한 채수용 지지부(200)가 유실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비점오염물질 채수장치에서 수위 식별부의 제2 변형 실시예로서, 수위 식별부(300)는 고정부(310)와 이동부(320)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이동부(320)는 다수개의 단위 유닛(32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310)는 일측은 제1 홀(21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돌기(311)가 구비되어 있는 반면, 타측에는 소정 길이 길게 연장되어 있는 로프(313)가 연결되어 있다.
이동부(320)는 복수개의 단위 유닛(322)이 상호 소정 거리 이격된 채, 고정부(310)에서 연장되어 있는 로프(313)에 고정되고, 단위 유닛(322) 외측 표면에는 수위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눈금 및/또는 숫자가 새겨져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변형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단위 유닛(322)은 부유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단위 유닛(322)은 원기둥 형상으로, 반원기둥 형상으로 평면의 길이방향으로 로프(313)를 수용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한 쌍의 제1 부재(322-1)와 제2 부재(322-2), 그리고 제1 부재(322-1)와 제2 부재(322-2)를 서로 고정하기 위한 잠금부재(3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변형 실시예에 따른 수위 식별부를 채용하는 경우, 고정부(310)와 이동부(320)가 로프(313)로 연결되어 있고, 게다가 이동부(320)는 다시 복수개의 단위 유닛(322)이 소정 거리 이격된 채 로프(313)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한층 유연하게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수위 식별부(300)를 포함한 채수용 지지부(200)가 유실되는 것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채수장치를 사용하여 비점오염물질을 채수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하면, 하천이나 호소 등 비점오염물질의 유출을 감시할 필요가 있는 수계 바닥에 채수용 지지부(200), 수위 식별부(300) 및 튜브 고정 부재(400)를 설치하고, 시료 흡입 튜브(120)와 공기 주입 튜브(130) 일측은 튜브 고정 부재(400)에 고정시킨다. 물론 시료 흡입 튜브(120)와 공기 주입 튜브(130)의 타측이 연결되어 있는 채수기(100)는 유실되지 않도록 안전한 장소에 위치시켜 둔다.
채수기(100)의 제어판을 조작하여 연속 또는 비연속적으로 공기 주입 튜브(130)로 공기를 공급하면서 수위가 증가하는지, 즉 강우가 있는지 모니터링한다.
만약 공기 주입 튜브(130)로 공급하는 압력이 소정 압력 이상일 경우에는 채수기(100)의 흡입 펌프가 작동하여 일정 간격으로 시료를 흡입한 후 시료용기에 담는다. 반대로 공기 주입 튜브(130)로 공급하는 압력이 소정 압력 이하로 낮아지면 더 이상 시료를 채수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시료용기에 담긴 시료는 그대로 또는 별도의 운반용 시료용기에 담아 회수한 뒤, 정량 및/또는 정성분석을 수행하여 비점오염물질을 파악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채수기
110 : 몸체
120 : 시료 흡입 튜브
130 : 공기 주입 튜브
200 : 채수용 지지부
210 : 지지판
211 : 제1 홀 212 : 제2 홀
220 : 앵커
221 : 제1 돌기
300 : 수위 식별부
310 : 고정부
311 : 제2 돌기 312 : 제1 고리부
313 : 로프
320 : 이동부
321 : 제2 고리부
322 : 단위 유닛
322-1 : 제1 부재 322-2 : 제2 부재
322-3 : 잠금부재
400 : 튜브 고정 부재
410 : 메인 밴드
420 : 제1 밴드
430 : 제2 밴드

Claims (6)

  1. 흡입펌프와 시료용기가 내부 공간부에 위치하고, 시료용기로 시료를 공급하기 위한 시료 흡입 튜브(120) 일측이 연결되어, 수계의 시료를 연속 또는 비연속적으로 흡입한 후 시료용기에 보관하는 채수기(100);
    수계 바닥에 고정되며, 상기 시료 흡입 튜브(120) 타측이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채수용 지지부(200); 및
    수계의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수위 식별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채수기(100)에는 수계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공기 주입 튜브(130)의 일측이 더 연결되고,
    상기 채수용 지지부(200)는, 소정 내경을 갖는 1개의 제1 홀(211), 상기 제1 홀(211)과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소정 내경을 갖는 2개 이상의 제2 홀(212)이 형성된 평판형 지지판(210); 및 상기 지지판(210)을 수계 바닥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제2 홀(212) 각각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돌기(221)가 구비되며 타측은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앵커(2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위 식별부(300)는, 일측은 상기 제1 홀(21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돌기(31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소정 길이 연장된 로프(313)가 연결되어 있는 고정부(310);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상기 로프(313)에 고정되며, 외측 표면에는 눈금이 새겨져 있고 부유성 소재로 이루어진 2개 이상의 단위 유닛(322)을 포함하는 이동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 식별부(300)에는 튜브 고정 부재(400)가 더 연결되되, 상기 튜브 고정 부재(400)는 상기 수위 식별부(3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 밴드(410); 상기 메인 밴드(400)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시료 흡입 튜브(120)의 타측을 고정하는 제1 밴드(420); 및 상기 메인 밴드(400)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주입 튜브(130)의 타측을 고정하는 제2 밴드(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채수장치.
  2. 삭제
  3. 흡입펌프와 시료용기가 내부 공간부에 위치하고, 시료용기로 시료를 공급하기 위한 시료 흡입 튜브(120) 일측이 연결되어, 수계의 시료를 연속 또는 비연속적으로 흡입한 후 시료용기에 보관하는 채수기(100);
    수계 바닥에 고정되며, 상기 시료 흡입 튜브(120) 타측이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채수용 지지부(200); 및
    수계의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수위 식별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채수기(100)에는 수계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공기 주입 튜브(130)의 일측이 더 연결되고,
    상기 채수용 지지부(200)는, 소정 내경을 갖는 1개의 제1 홀(211), 상기 제1 홀(211)과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소정 내경을 갖는 2개 이상의 제2 홀(212)이 형성된 평판형 지지판(210); 및 상기 지지판(210)을 수계 바닥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일측은 상기 제2 홀(212) 각각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돌기(221)가 구비되며 타측은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앵커(2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위 식별부(300)는, 일측은 상기 제1 홀(21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돌기(31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제1 고리부(312)가 형성된 고정부(310); 일측은 상기 제1 고리부(312)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고리부(321)가 구비되고, 외측 표면에는 눈금이 새겨져 있으며, 부유성 소재로 이루어진 이동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 식별부(300)에는 튜브 고정 부재(400)가 더 연결되되, 상기 튜브 고정 부재(400)는 상기 수위 식별부(3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 밴드(410); 상기 메인 밴드(400)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시료 흡입 튜브(120)의 타측을 고정하는 제1 밴드(420); 및 상기 메인 밴드(400)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주입 튜브(130)의 타측을 고정하는 제2 밴드(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채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유닛(322)은, 원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채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유닛(322)은, 반원기둥 형상으로 평면의 길이방향으로 로프(313)를 수용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한 쌍의 제1 부재(322-1)와 제2 부재(322-2), 및 상기 제1 부재(322-1)와 제2 부재(322-2)를 서로 고정하기 위한 잠금부재(32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채수장치.
  6.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비점오염물질을 분석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채수장치.
KR1020190098834A 2019-08-13 2019-08-13 비점오염물질 채수장치 KR102069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834A KR102069013B1 (ko) 2019-08-13 2019-08-13 비점오염물질 채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834A KR102069013B1 (ko) 2019-08-13 2019-08-13 비점오염물질 채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013B1 true KR102069013B1 (ko) 2020-01-22

Family

ID=69368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834A KR102069013B1 (ko) 2019-08-13 2019-08-13 비점오염물질 채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0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55545A (zh) * 2021-05-28 2021-07-23 浙江小桥流水环境科技有限公司 自动排空水下采样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3238A (ja) * 2013-02-12 2014-08-25 Suzuken Kk 透視度計
KR20160074979A (ko) 2014-12-19 2016-06-29 김시화 비점오염원 채수장치
KR20180099032A (ko) 2017-02-28 2018-09-05 씨에스이(주) 비점오염원 자동 채수장치
KR101905175B1 (ko) * 2018-06-05 2018-10-08 대한민국 채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3238A (ja) * 2013-02-12 2014-08-25 Suzuken Kk 透視度計
KR20160074979A (ko) 2014-12-19 2016-06-29 김시화 비점오염원 채수장치
KR20180099032A (ko) 2017-02-28 2018-09-05 씨에스이(주) 비점오염원 자동 채수장치
KR101905175B1 (ko) * 2018-06-05 2018-10-08 대한민국 채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55545A (zh) * 2021-05-28 2021-07-23 浙江小桥流水环境科技有限公司 自动排空水下采样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owyer-Bower et al. Rainfall simulators for investigating soil response to rainfall
CN101769845B (zh) 研究作物生长过程外源添加物质在土壤中淋溶迁移的装置
KR102069013B1 (ko) 비점오염물질 채수장치
CN208588728U (zh) 一种水利用水质监测及远程监督设备
JP2009287972A (ja) 自動採水装置
Graczyk et al. Comparison of water-quality samples collected by siphon samplers and automatic samplers in Wisconsin
KR101997465B1 (ko) 식물재배용 양액 분석장치
US3811324A (en) Proportional sampling apparatus and method
CN217782281U (zh) 一种市政排水管道中安装监测设备的装置
CN102175506A (zh) 一种用于在线水质分析的稀释装置
KR102351607B1 (ko) 수계로부터 플라스틱을 분리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리방법
CN105699613A (zh) 水质监测系统
CN201780286U (zh) 光控计量装置
KR101748199B1 (ko) 건물화분 lid 시설 맞춤형 샘플링박스
KR200489003Y1 (ko) 수질방류수의 셀프 클리닝 필터
US20060005639A1 (en) Fluid sampling device
CN113970533A (zh) 一种用于管道中粪水成分在线分析的光谱检测系统
CN209840905U (zh) 一种污水处理工艺中沉池底泥厚度的测量装置
US10288534B1 (en) Method of fluid sampling and device thereof
CN207181097U (zh) 一种养殖废水多点位在线连续自动采集装置
CN105572315A (zh) 水质监测设备
CN209166880U (zh) 一种污水处理水质检测自动取样装置
CN220104854U (zh) 城市绿地用土壤呼吸强度监测设备
US20170225980A1 (en) Dosing Assembly for Chemical Treatment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
CN205301310U (zh) 一种用于水质检测的管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