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4979A - 비점오염원 채수장치 - Google Patents

비점오염원 채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4979A
KR20160074979A KR1020140184305A KR20140184305A KR20160074979A KR 20160074979 A KR20160074979 A KR 20160074979A KR 1020140184305 A KR1020140184305 A KR 1020140184305A KR 20140184305 A KR20140184305 A KR 20140184305A KR 20160074979 A KR20160074979 A KR 20160074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housing
rainwater
sampling
lid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화
이영수
Original Assignee
김시화
이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화, 이영수 filed Critical 김시화
Priority to KR1020140184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4979A/ko
Publication of KR20160074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9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01N1/1409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adapted for sampling molten met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Abstract

이 발명의 비점오염원 채수장치(100)는 , 일정 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맨홀 바디(110)와, 맨홀 바디의 내부에 안착되어 펌프를 고정함과 더불어 샘플링 빗물을 채수하는 공간을 갖는 펌프 하우징(120)과, 펌프 하우징의 상부를 덮되 샘플링 빗물이 펌프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를 갖는 펌프 하우징 덮개(130), 및 펌프 하우징 덮개를 덮되 외부의 샘플링 빗물이 펌프 하우징 덮개의 상부쪽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를 갖는 샘플링 빗물 유입 덮개(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발명은 오염물질을 포함한 빗물이 수질을 오염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초기의 빗물을 채수하되, 빗물에 포함된 모래나 부유물 등이 유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채수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비점오염원 채수장치{Water sampling apparatus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이 발명은 비점오염원 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염물질을 포함한 빗물(강우유출수)이 수질을 오염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초기의 빗물을 채수하는 비점오염원 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질오염원은 크게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나누는데, 점오염원은 주로 일반가정이나 영업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 공장에서 배출하는 산업폐수, 대단위 축산시설에서 발생하는 축산폐수 등과 같이 발생지역과 발생량의 추적이 비교적 용이한 것들을 이르며 하수처리의 주요 대상이다.
반면, 비점오염원은 농업배수, 광산폐수, 소규모 축산시설의 축산폐수, 하수도가 없는 농촌지역의 생활하수나 임야 등에서 발생하는 배수를 말하며, 이들 오염원은 비교적 오염 기여도가 적어 자연처리에 의존하고 있다.
한편, 비점오염원은 비특정(非特定)오염원, 면(面)오염원, 이동오염원 또는 기타수질오염원이라고도 하는데, 점오염원이 특정한 배출경로를 가진 것과는 달리 비점오염원은 도시노면배수나 농경지배수와 같이 불특정한 배출경로를 통해 비점오염물질을 발생시키는 장소 또는 지역을 가리킨다.
수질환경보전법상의 '특정시설'에서 '기타수질오염원'으로 명칭이 변경된 수산물양식시설, 골프장시설, 운수장비·정비 또는 폐차장시설, 농축수산물 단순가공시설, 사진처리시설 등과 여기에 추가된 농지, 하역장, 제품야적장, 토지형질변경지역 등의 기타시설이 해당된다.
비점오염물질은 주로 비가 올 때 지표면 강우유출수와 함께 유출되는 오염물질로서, 농지에 살포된 비료나 농약, 토양침식물, 축사유출물, 교통오염물질, 도시지역의 먼지와 쓰레기, 자연동·식물의 잔여물, 지표면에 떨어진 대기오염물질 등을 말한다.
따라서, 모든 오염물질을 포함한 채 배출되는 빗물(강우유출수)이 실제로 주된 비점오염원이 된다. 비점오염물질은 대개 많은 비가 와야 유출되기 때문에 일간·계절간 배출량의 차이가 크고 예측과 정량화가 어려우며, 인위적 조절이 어려운 기상조건·지질·지형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생활하수 등 점오염원은 꾸준한 환경기초기설 설치 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비점오염원은 토지이용의 고도화 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비점오염원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은 2015년 수계별로 65 ~ 70%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어 비점오염원의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정부는 2007년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정에 관한 법률"을 제·개정하여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의무설치대상을 선정 및 확대하여 점차 설치대상현장은 늘어나고 앞으로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수도권 주민의 주 상수원인 한강수계의 팔당댐 상류지역에 대한 '비점오염원연구용역'(2000년 6월 실시) 결과, 1999년 말 기준으로 총 발생부하량(BOD기준) 16만 9702t/년 중 생활하수·산업폐수·축산폐수 등 점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오염부하량은 80.4%인 13만 6509t/년이고, 비점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오염부하량은 19.6%인 3만 3193t/년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총 배출부하량(BOD기준)으로는 비점오염원이 44.5%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어, 비점오염원이 수질오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4대 수계에 속하는 금강, 낙동강, 영산강 수계도 이와 비슷한 양상을 보일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규제기준이 설정되어 있는 점오염원들에 대한 규제가 계속 강화되고 환경기초시설들이 확충됨에 따라 비점오염원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력의 비중이 점차 증가할 것이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에 있어서, 종래에는 오염을 줄이기 위한 대책으로 도시지역의 노면배수는 저류조(貯留槽)를 설치하여 초기에 내린 비로 인해 발생한 오염물질을 침전시킨 후 방류하도록 하고, 농경지에서 배출되는 비료·농약성분이 다량 함유된 농업배수는 하천으로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저류조, 습지정화시설, 수초대(水草帶)등을 설치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저류조, 습지정화시설 또는 수초대 등을 설치함에 있어서, 어느 곳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한 빗물(강우유출수)이 수질을 오염시키는지 사전에 확인할 필요가 있다. 즉, 초기의 빗물을 채수해 오염정도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68479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06269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61272호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오염물질을 포함한 빗물이 수질을 오염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초기의 빗물을 채수하되, 빗물에 포함된 모래나 부유물 등이 유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채수할 수 있는 비점오염원 채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비점오염원 채수장치는, 일정 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맨홀 바디와, 상기 맨홀 바디의 내부에 안착되어 펌프를 고정함과 더불어 샘플링 빗물을 채수하는 공간을 갖는 펌프 하우징과, 상기 펌프 하우징의 상부를 덮되 샘플링 빗물이 상기 펌프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를 갖는 펌프 하우징 덮개, 및 상기 펌프 하우징 덮개를 덮되 외부의 샘플링 빗물이 상기 펌프 하우징 덮개의 상부쪽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를 갖는 샘플링 빗물 유입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펌프 하우징 덮개의 통로는 상기 펌프 하우징 덮개에 고정되는 유동관이며, 상기 유동관은 출구가 상기 펌프 하우징과 연통하도록 상기 펌프 하우징 덮개에 고정되되 입구 및 출구가 상기 펌프 하우징 덮개의 표면에 대해 제일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유동라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샘플링 빗물 유입 덮개의 통로는 상기 샘플링 빗물 유입 덮개에 고정되는 유입관이며, 상기 유입관은 출구가 상기 펌프 하우징 덮개의 상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샘플링 빗물 유입 덮개에 고정되되 입구가 출구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유입라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오염물질을 포함한 빗물이 수질을 오염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초기의 빗물을 채수하되, 빗물에 포함된 모래나 부유물 등이 유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채수가 가능하다. 즉, 샘플링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관을 구성함에 있어서 그 입구가 출구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유입라인을 가지며, 샘플링 빗물이 유동되는 유동관을 구성함에 있어서 입구 및 출구가 제일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유동라인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샘플링 빗물 내에 포함된 모래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채수가 가능하다.
또한, 이 발명은 펌프의 제어부를 강우량과 연동하여 펌프가 작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일정 강우량에 대해 채수된 빗물을 검사장비에 공급해 수질오염 여부를 검사할 수가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압을 통해 그 내부에 쌓이거나 부착된 이물질이나 스케일을 제거하는 역세기능이 가능하다.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원 채수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에 도시된 비점오염원 채수장치의 구성요소들을 결합한 상태의 결합 사시도,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맨홀 바디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에 도시된 펌프 하우징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에 도시된 펌프 하우징 덮개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에 도시된 샘플링 빗물 유입 덮개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아래에서, 이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원 채수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원 채수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에 도시된 비점오염원 채수장치의 구성요소들을 결합한 상태의 결합 사시도,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원 채수장치(100)는 일정 크기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거의 대부분이 수위가 낮은 하천 등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맨홀 바디(110)와, 맨홀 바디(110)의 내부에 안착되어 펌프를 고정함과 더불어 샘플링 빗물을 채수하는 공간을 갖는 펌프 하우징(120)과, 펌프 하우징(120)의 상부를 덮되 샘플링 빗물이 유입되는 통로를 갖는 펌프 하우징 덮개(130), 및 펌프 하우징 덮개(130)를 덮되 샘플링 빗물이 유입되는 통로를 갖는 샘플링 빗물 유입 덮개(140)를 갖도록 구성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맨홀 바디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바디(110)는 일정 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원통형 케이스(111)와, 원통형 케이스(111)의 내부와 연통한 상태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지지대(112)와, 원통형 케이스(111)의 상단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펌프 하우징 덮개(130)와 볼트 체결되는 다수개의 체결구멍을 갖는 플랜지(113)와, 원통형 케이스(111)의 내부를 상하부로 구획하여 펌프 하우징(120)의 하단을 지지하는 격벽(114), 및 원통형 케이스(111)의 상부쪽에 형성되어 펌프 및 케이블 설치라인이 설치되는 다수개의 연통구멍(115)을 갖도록 구성된다.
원통형 케이스(111)는 일정 직경 및 높이를 가지며 상하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다수개의 연통구멍(115)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을 정도로 수위가 낮은 하천 등에 매립된다.
지지대(112)는 원통형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어, 원통형 케이스(111)의 내부와 연통한 상태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원통형 케이스(111)가 하천 등에 견고하게 매립되어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지지대(112)는 격벽(114)의 하부에 위치하는 원통형 케이스(111)의 내부공간과 연통하도록 설치된다. 이는 원통형 케이스(111)를 하천 등에 고정함에 있어서, 물 등이 지지대(112)를 따라 원통형 케이스(111)의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물 등의 저항을 덜 받으면서 원통형 케이스(111)를 하천 등에 고정하기 위해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1에 도시된 펌프 하우징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 하우징(120)은 원통형 케이스(11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외측형태 및 크기와 채수된 샘플링 빗물을 일정량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121)와, 케이스(121)의 내측 상부쪽에 설치되어 펌프를 고정하는데 이용되는 앵글(122)과, 앵글(122)의 주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작업용 손잡이(123), 및 케이스(121)의 하부쪽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케이스(121)를 원통형 케이스(111)의 외부로 빼낼 때에 케이스(121) 내의 샘플링 빗물을 외부로 배수시키는 다수개의 배수구멍(124)을 갖도록 구성된다.
케이스(121)는 샘플링 빗물이 펌프 하우징 덮개(130)를 통해 유입되어 그 내부공간에 일정량 저장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하단이 폐쇄되는 형태를 갖는다. 이때, 케이스(121)는 그 하단이 격벽(114)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에서 원통형 케이스(111)의 내부에 내장되는 높이를 갖는다. 한편, 케이스(121)는 펌프와 접속되어 다수개의 연통구멍(115)을 따라 설치되는 펌프 및 케이블 설치라인을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그 일측이 절개된 형태를 갖는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1에 도시된 펌프 하우징 덮개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 하우징 덮개(130)는 원통형 케이스(111)의 내부에 안착되는 펌프 하우징(120)의 상단을 덮는 덮개판(131)과, 덮개판(131)을 관통하여 중앙 부위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샘플링 빗물 유동관(132, 통로)을 갖도록 구성된다.
덮개판(131)은 맨홀 바디(110)의 플랜지(113)을 덮을 수 있는 크기 및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플랜지(113)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체결구멍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체결구멍을 갖는다.
샘플링 빗물 유동관(132)은 샘플링 빗물 유입 덮개(140)를 통해 유입된 샘플링 빗물을 펌프 하우징(120)의 내부로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샘플링 빗물 유동관(132)은 덮개판(131)의 상부로 도출되는 형태로 덮개판(131)에 고정되되, 그 입구가 덮개판(131)의 표면과 근접하여 위치한 상태에서 유동라인이 덮개판(131)의 상부쪽으로 점점 높아졌다가 덮개판(131)에 연통되어 고정되는 출구쪽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도록 형태로 구성되어 고정된다. 즉, 샘플링 빗물 유동관(132)은 그 입구 및 출구쪽이 낮고 유동라인이 덮개판(131)의 상부방향에 따라 곡선형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는 샘플링 빗물 내에 포함된 모래나 이물질 등이 펌프 하우징(120) 쪽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에 도시된 샘플링 빗물 유입 덮개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링 빗물 유입 덮개(140)는 펌프 하우징 덮개(130)의 상부를 덮는 덮개구(141)와, 덮개구(141)의 일측부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수개의 샘플링 빗물 유입관(142, 통로), 및 덮개구(141)의 하단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펌프 하우징 덮개(130) 및 맨홀 바디(110)와 볼트 체결되는 다수개의 체결구멍을 갖는 플랜지(143)를 갖도록 구성된다.
덮개구(141)는 펌프 하우징 덮개(13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와 빗물이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는 반구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덮개구(141)는 반구 형태로 인해 그 내부에 반구에 상응하는 내부공간을 갖게 된다.
샘플링 빗물 유입관(142)은 샘플링 빗물을 덮개구(141)의 내부, 즉 덮개판(131)의 상부쪽으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샘플링 빗물 유입관(142)은 덮개구(141)의 하부방향을 향하는 형태로 덮개구(141)에 고정되되, 그 입구가 플랜지(143) 쪽에 가깝고 출구쪽이 플랜지(143)와 제일 멀어진 형태의 유동라인을 갖도록 구성되어 고정된다. 즉, 샘플링 빗물 유입관(142)은 그 입구가 제일 낮고 출구가 제일 높은 쪽에 위치하되, 그 유동라인이 곡선형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는 샘플링 빗물 내에 포함된 모래나 이물질 등이 덮개구(141) 내부 쪽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비점오염원 채수장치(100)는 오염물질을 포함한 빗물(강우유출수)이 샘플링 빗물 유입 덮개(140)의 유입관(142)을 통해 덮개구(141)의 내부로 1차적으로 유입된다. 이때, 유입관(142)이 상기와 같이 그 입구가 제일 낮고 출구가 제일 높은 쪽에 위치하되, 그 유동라인이 곡선형태를 가짐에 따라, 샘플링 빗물 내에 포함된 모래나 이물질 등이 덮개구(141) 내부 쪽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1차적으로 필터링된다.
한편, 덮개구(141)의 내부로 유입된 빗물은 펌프 하우징 덮개(130)에 형성된 샘플링 빗물 유동관(132)을 통해 펌프 하우징(120)의 내부로 2차적으로 유입된다. 이때, 유동관(132)이 상기와 같이 그 입구 및 출구쪽이 낮고 유동라인이 덮개판(131)의 상부방향에 따라 곡선형태를 가짐에 따라, 샘플링 빗물 내에 포함된 모래나 이물질 등이 펌프 하우징(120) 쪽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2차적으로 필터링된다.
따라서, 채수된 빗물을 펌프 하우징(120) 내에 설치되는 펌프를 통해 오염여부를 검사하는 검사장비에 원활하게 공급할 수가 있다.
한편, 이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원 채수장치(100)는 펌프 하우징(120)에 설치되는 2개의 펌프와, 2개의 펌프와 검사장비의 연결라인에 설치되는 다수의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2개의 펌프 중에서 하나는 메인동력을 제공하고, 나머지 하나는 예비동력을 제공한다. 한편, 펌프의 제어부는 강우량과 연동하여 펌프가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강우량이 20mm 이상일 경우 펌프가 작동하여 펌프 하우징(120) 내에 채수된 빗물을 검사장비에 공급해 검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원 채수장치(100)는 2개의 펌프와 검사장비의 연결라인에 설치되는 다수의 밸브를 조작하고, 공압수단에 의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압을 통해 그 내부에 쌓이거나 부착된 이물질이나 스케일을 제거하는 역세기능이 가능하다. 즉, 외부의 공기압을 비점오염원 채수장치(100)의 내부에 공급해, 펌프 하우징(120) 내에 채수된 빗물을 펌프 하우징 덮개(130)의 유동관(132)을 거쳐 샘플링 빗물 유입 덮개(140)의 유입관(142)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들을 분리하지 않도록 비점오염원 채수장치(100)의 내부세정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이 발명의 비점오염원 채수장치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이 발명이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 또한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비점오염원 채수장치 110 : 맨홀 바디
120 : 펌프 하우징 130 : 펌프 하우징 덮개
140 : 샘플링 빗물 유입 덮개

Claims (7)

  1. 일정 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맨홀 바디와,
    상기 맨홀 바디의 내부에 안착되어 펌프를 고정함과 더불어 샘플링 빗물을 채수하는 공간을 갖는 펌프 하우징과,
    상기 펌프 하우징의 상부를 덮되 샘플링 빗물이 상기 펌프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를 갖는 펌프 하우징 덮개, 및
    상기 펌프 하우징 덮개를 덮되 외부의 샘플링 빗물이 상기 펌프 하우징 덮개의 상부쪽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를 갖는 샘플링 빗물 유입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채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펌프 하우징 덮개의 통로는 상기 펌프 하우징 덮개에 고정되는 유동관이며, 상기 유동관은 출구가 상기 펌프 하우징과 연통하도록 상기 펌프 하우징 덮개에 고정되되 입구 및 출구가 상기 펌프 하우징 덮개의 표면에 대해 제일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유동라인을 가지며,
    상기 샘플링 빗물 유입 덮개의 통로는 상기 샘플링 빗물 유입 덮개에 고정되는 유입관이며, 상기 유입관은 출구가 상기 펌프 하우징 덮개의 상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샘플링 빗물 유입 덮개에 고정되되 입구가 출구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유입라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채수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맨홀 바디는 일정 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원통형 케이스와,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내부와 연통한 상태에서 외부로 연장되는 다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내부를 상하부로 구획하여 상기 펌프 하우징의 하단을 지지하는 격벽, 및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상부쪽에 형성되어 펌프 및 케이블 설치라인이 설치되는 다수개의 연통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채수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펌프 하우징은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외측형태 및 크기와 채수된 샘플링 빗물을 일정량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부쪽에 설치되어 펌프를 고정하는데 이용되는 앵글과, 상기 앵글의 주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작업용 손잡이, 및 상기 케이스의 하부쪽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를 상기 원통형 케이스의 외부로 빼낼 때에 상기 케이스 내의 샘플링 빗물을 외부로 배수시키는 다수개의 배수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채수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펌프 하우징에 설치되는 2개의 펌프와, 상기 2개의 펌프와 검사장비의 연결라인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채수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제어부는 강우량과 연동하여 상기 펌프가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채수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압을 통해 상기 펌프 하우징 내에 채수된 빗물을 상기 펌프 하우징 덮개의 통로를 거쳐 상기 샘플링 빗물 유입 덮개의 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공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원 채수장치.
KR1020140184305A 2014-12-19 2014-12-19 비점오염원 채수장치 KR201600749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305A KR20160074979A (ko) 2014-12-19 2014-12-19 비점오염원 채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305A KR20160074979A (ko) 2014-12-19 2014-12-19 비점오염원 채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979A true KR20160074979A (ko) 2016-06-29

Family

ID=56365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305A KR20160074979A (ko) 2014-12-19 2014-12-19 비점오염원 채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497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26489A (zh) * 2016-07-15 2016-12-14 河海大学 一种极端降水天气下水源污染模拟预测装置及其方法
KR20180099032A (ko) 2017-02-28 2018-09-05 씨에스이(주) 비점오염원 자동 채수장치
KR102052574B1 (ko) 2019-08-08 2019-12-05 에스와이테크놀러지 주식회사 비점오염원 매립형 채수장치
KR102069013B1 (ko) 2019-08-13 2020-01-22 대한민국 비점오염물질 채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479B1 (ko) 2005-08-10 2007-01-16 (주)웹솔루스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스템
KR100706269B1 (ko) 2005-07-12 2007-04-12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1361272B1 (ko) 2012-02-09 2014-02-12 한국도로공사 식생수로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 시설물 및 그 저감 시설물를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269B1 (ko) 2005-07-12 2007-04-12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0668479B1 (ko) 2005-08-10 2007-01-16 (주)웹솔루스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스템
KR101361272B1 (ko) 2012-02-09 2014-02-12 한국도로공사 식생수로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 시설물 및 그 저감 시설물를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26489A (zh) * 2016-07-15 2016-12-14 河海大学 一种极端降水天气下水源污染模拟预测装置及其方法
CN106226489B (zh) * 2016-07-15 2018-05-18 河海大学 一种极端降水天气下水源污染模拟预测装置及其方法
KR20180099032A (ko) 2017-02-28 2018-09-05 씨에스이(주) 비점오염원 자동 채수장치
KR102052574B1 (ko) 2019-08-08 2019-12-05 에스와이테크놀러지 주식회사 비점오염원 매립형 채수장치
KR102069013B1 (ko) 2019-08-13 2020-01-22 대한민국 비점오염물질 채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nge et al. Removal of rubber, bitumen and other microplastic particles from stormwater by a gross pollutant trap-bioretention treatment train
KR101382006B1 (ko)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및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146226B1 (ko) 장치형 초기우수 비점오염 처리 시스템
KR101163520B1 (ko) 초기우수 분리장치
KR101106779B1 (ko) 하천 정화가 가능한 자연형 비점정화장치 및 자연형 비점정화방법
KR100681408B1 (ko) 커브길 도로에 설치되는 초기우수 정화 구조물
KR20160074979A (ko) 비점오염원 채수장치
KR101838799B1 (ko) 유수분리 기능을 갖는 맨홀
KR100958295B1 (ko) 우수활용이 가능한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 시스템
KR20120022028A (ko) 무인 자동 제어가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089756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 시스템
KR100491866B1 (ko)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JP5024630B2 (ja) 自動採水装置
KR101493478B1 (ko) 스크린 배열을 이용한 비점 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0931522B1 (ko) 미생물접촉재와 메쉬망을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Marsalek Challenges in urban drainage: environmental impacts, impact mitigation, methods of analysis and institutional issues
KR100952117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자연형 비점오염 처리 시스템
KR101522817B1 (ko) 우수상태를 육안식별이 가능한 초기우수배제시스템의 투명관로
KR101103269B1 (ko) 퇴적물 준설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KR101092245B1 (ko) 비점오염처리장치
KR101081568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532191B1 (ko)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역세척 기능이 가능한 여과블록 시스템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826790B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0947825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장치
KR20130137867A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및 초기우수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