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943A - 세포 채취 장치 - Google Patents

세포 채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943A
KR20210066943A KR1020217016281A KR20217016281A KR20210066943A KR 20210066943 A KR20210066943 A KR 20210066943A KR 1020217016281 A KR1020217016281 A KR 1020217016281A KR 20217016281 A KR20217016281 A KR 20217016281A KR 20210066943 A KR20210066943 A KR 20210066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harvesting
tube body
cell
bar
po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6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1823B1 (ko
Inventor
노리히사 사사야마
유이 하기와라
토모에 모리타
Original Assignee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프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66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91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for ute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2010/0216Sampling brus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과제] 세포 채취 부재가 자궁경부의 세포를 채취할 때에는 관체에서 빠지지 않고, 채취 후에 쉽게 관체에서 분리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세포 채취 장치(10)는 관체(11)와 관체(11)의 선단에 장착 가능한 세포 채취 부재(12)와, 세포 채취 부재(12)를 관체(11)의 선단에 장착된 상태로 유지하는 잠금부(31)와, 잠금부(31)를 잠금자세 또는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시키는 조작부재(13)을 구비한다. 조작부재(13)는 관체(11)에 삽입된 상태에서 기단측이 조작됨으로써 잠금부(31)를 자세 변화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세포 채취 장치{CELL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은 관체 또는 봉재의 선단에 세포 채취 부재가 착탈 가능한 세포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궁경부암의 진단에 있어서, 자궁경부에서 세포를 채취하여, 채취한 세포를 슬라이드 글래스에 도말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방법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진단을 자궁경부 세포진이라 한다. 또한, 채취한 세포를 검사 센터 등으로 반송하여 검사 센터에서 관찰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
자궁경부에서의 세포의 채취에는 봉형상 부재의 선단에 브러시 등이 설치된 디바이스가 이용된다(특허문헌 1 참조). 디바이스의 브러시 등이 자궁경부와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봉형상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브러시 등에 자궁경부의 세포가 채취된다. 그리고, 세포가 부착되어 있는 브러시 등을 슬라이드 글래스에 문질러 발라 세포가 도말된다. 또한, 검사 센터에서 검사가 행해지는 경우에는 봉형상 부재를 파단함으로써 디바이스의 브러시 등의 부분만 용기에 넣어져 검사 센터로 반송된다.
특허문헌 : 특개평 4-500320호 공보
디바이스의 브러시 등의 부분만을 용기에 넣기 위해,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축부분(15)에서 얇은 파단점(16)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축부분(15)을 파단점(16)에서 파단하여 브러시단 부분만을 용기에 넣을 수 있다. 또한, 관체에서 브러시 등을 빼낼 수 있는 구조가 채용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자궁경부의 세포를 채취할 때에 디바이스는 삽발(揷拔)방향으로 반복하여 이동되거나 회전된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 질 내에서 파단점(16)이 파단되거나 브러시 등이 관체에서 빠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세포 채취 부재가 자궁경부의 세포를 채취할 때에는 관체에서 빠지지 않고, 채취 후에 쉽게 관체 또는 봉재에서 분리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1) 본 발명에 따른 세포 채취 장치는 제 1 단 및 제 2 단을 갖는 관체와, 상기 관체의 제 1 단에 장착 가능한 세포 채취 부재와, 상기 세포 채취 부재를 상기 관체의 제 1 단에 장착된 상태로 유지하는 잠금부와, 상기 세포 채취 부재를 상기 관체의 제 1 단에 장착된 상태로 유지하는 잠금자세, 또는 상기 세포 채취 부재를 상기 관체의 제 1 단에 장착된 상태로 유지하지 않는 해제자세로 상기 잠금부를 자세 변화시키는 조작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관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단측이 조작됨으로써 상기 잠금부를 자세 변화시키는 것이다.
세포 채취 장치는 자궁경부 세포의 채취에 있어서, 세포 채취 부재가 관체에 장착되어, 조작부재가 잠금부를 잠금자세로 한 상태에서 사용된다. 이 상태에서 세포 채취 부재가 관체에 대하여 고정되고, 관체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거나 해도 세포 채취 부재가 관체에서 빠지지 않는다. 또한, 조작부재의 조작은 관체의 제 2 단측에서 행해지므로 관체의 제 1 단측에 외력이 가해져도 불시에 잠금부가 해제자세로 되는 경우는 없다.
자궁경부 세포가 채취된 후에는 관체의 제 2 단측에서 조작부재가 조작됨으로써, 잠금부가 잠금자세에서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된다. 이로 인해, 세포 채취 부재가 관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2) 상기 잠금부는 상기 조작부재에 설치된 것이어도 된다.
이로 인해, 부품수가 적어져서 장치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3) 상기 세포 채취 부재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변형부를 갖고 있고, 상기 잠금부는 잠금자세에서 상기 변형부를 관체로 가압하는 것이어도 된다.
잠금부에 가압된 변형부와 관체 사이에 생기는 마찰에 의해 세포 채취 부재가 관체에 고정된다. 세포 채취 부재 및 관체에 갈고리나 구멍 등의 걸어맞춤을 위한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4) 상기 변형부는 상기 잠금부에 가압됨으로써 상기 관체와 걸어맞추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변형부와 관체의 걸어맞춤에 의해 세포 채취 부재가 관체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5)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관체의 제 2 단측에 있어서, 상기 관체와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잠금부를 잠금자세로 하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어도 된다.
이로 인해, 불시에 잠금부가 잠금자세에서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하는 것이 억제된다.
(6) 상기 조작부재는 상기 관체의 제 2 단측에 있어서, 상기 관체와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상기 잠금부를 잠금자세로 하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어도 된다.
이로 인해, 불시에 조작부재의 잠금부가 잠금자세에서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하는 것이 억제된다.
(7) 상기 잠금부는 상기 세포 채취 부재와 상기 관체가 제 1 단과 제 2 단을 통과하는 가상선 둘레에 상호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맞추는 끼워맞춤부와, 상기 조작부재와 상기 세포 채취 부재가 나사결합하는 나사결합부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끼워맞춤부에 의해 관체의 회전이 세포 채취 부재에 전달되고, 나사결합부에 의해 세포 채취 부재가 관체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힘이 전달된다. 이와 같이 끼워맞춤부와 나사결합부로 나누어 관체에서 세포 채취 부재로 힘이 전달되므로 잠금부로의 부하가 경감된다.
(8) 상기 잠금부는 상기 세포 채취 부재와 상기 관체가 제 1 단과 제 2 단을 통과하는 가상선 둘레에 상호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끼워맞춤부와, 상기 조작부재와 상기 세포 채취 부재가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끼워맞춤부에 의해 관체의 회전이 세포 채취 부재로 전달되고, 걸어맞춤부에 의해 세포 채취 부재가 관체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힘이 전달된다. 이와 같이 끼워맞춤부와 걸어맞춤부로 나누어 관체에서 세포 채취 부재로 힘이 전달되므로 잠금부로의 부하가 경감된다.
(9) 상기 걸어맞춤부는 제 1 단과 제 2 단을 통과하는 가상선 둘레의 상기 조작부재의 제 1 회전위치에서 잠금자세로 되어 상기 세포 채취 부재와 걸어맞추어지고, 제 2 회전위치에서 해제자세로 되어 상기 세포 채취 부재와 걸어맞추어지지 않는 것이어도 된다.
이로 인해, 간단한 조작으로 걸어맞춤부가 자세 변화한다.
(10) 본 발명은 봉재 또는 세포 채취 부재의 일방에 걸어맞춤부가 설치되어, 해당 봉재의 선단부에 해당 세포 채취 부재가 착탈 가능한 세포 채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봉재 또는 상기 세포 채취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와, 상기 봉재 또는 상기 세포 채취 부재의 바깥쪽으로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걸어맞춤자세에서 해제자세로 탄성적으로 자세 변화하는 갈고리와, 상기 봉재 또는 상기 세포 채취 부재의 외면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갈고리를 걸어맞춤자세에서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시키기 위해 가압되는 가압부를 갖는다. 상기 봉재 또는 상기 세포 채취 부재의 타방에 상기 볼록부 또는 오목부 및 상기 갈고리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 가능한 원통부와, 상기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삽입 가능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와, 상기 원통부의 둘레벽에 설치되어 있고, 걸어맞춤자세의 상기 갈고리가 삽입되어 걸어맞춤 가능한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세포 채취 장치는 자궁경부 세포의 채취에 있어서, 세포 채취 부재가 봉재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걸어맞춤부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 및 갈고리가 원통부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볼록부가 오목부에 삽입되고, 또한 갈고리가 둘레벽의 구멍에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세포 채취 부재가 봉재에 대하여 길이방향 및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한 회전방향에 대하여 고정된다.
자궁경부 세포가 채취된 후에는 가압부가 가압됨으로써 걸어맞춤부의 갈고리가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된다. 해제자세의 갈고리는 원통부의 둘레벽의 구멍에서 빠진다. 이로 인해, 세포 채취 부재와 봉재가 길이방향 및 회전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되어 세포 채취 부재가 봉재에서 빠진다.
(11) 상기 갈고리, 상기 가압부 및 상기 구멍은 상기 봉재 또는 상기 세포 채취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른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위치에 한 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는 상기 중심선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갈고리, 가압부 및 구멍이 한 쌍 설치되어 있으므로, 자궁경부 세포의 채취시에 일방의 가압부에 얼마간의 외력이 가해져서 대응하는 갈고리가 해제자세로 되어 구멍에서 빠졌다고 해도, 타방의 갈고리는 구멍과 걸어맞추어진 상태에 있으므로 세포 채취 부재가 봉재에서 빠지지 않는다.
또한, 갈고리, 가압부 및 구멍의 한 쌍이 봉재 또는 세포 채취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른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양방의 가압부에 한번에 외력이 가해질 가능성이 적다.
(12)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봉재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 인해, 가압부를 가압할 때에 세포 채취 부재에 접촉할 필요가 없다.
(13) 상기 볼록부는 상기 봉재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 인해, 봉재에 있어서 볼록부와 갈고리의 간격을 크게 하기가 쉬워지므로, 걸어맞춤자세에서 해제자세로의 갈고리의 이동량을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갈고리와 둘레벽의 구멍과의 걸어맞춤량을 크게 할 수 있다.
(14) 상기 볼록부는 선단으로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상이며, 상기 봉재의 선단에 상기 세포 채취 부재가 장착된 상태에서 그 테이퍼면이 상기 오목부에 압접하는 것이어도 된다.
볼록부의 테이퍼면과 오목부와의 가압접촉에 의해, 시술자가 봉재를 미는 힘 및 회전시키는 힘이 세포 채취 부재로 전달되므로, 이들 힘이 갈고리와 둘레벽의 구멍과의 걸어맞춤 개소에 대한 부하가 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체의 제 2 단측에서 조작부재가 조작됨으로써 관체와 세포 채취 부재를 장착상태로 유지하는 잠금부의 자세가 변화하므로, 자궁경부의 세포를 채취할 때에는 관체에서 세포 채취 부재가 빠지지 않고, 채취 후에 용이하게 관체로부터 세포 채취 부재가 분리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볼록부가 오목부에 삽입되고, 또한 걸어맞춤자세의 갈고리가 원통부의 둘레벽의 구멍에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자궁경부의 세포를 채취할 때에는 세포 채취 부재가 봉재에서 빠지지 않고, 채취 후에 세포 채취 부재가 봉재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도 1]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세포 채취 장치(1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도 2는 관체(11)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도 3은 세포 채취 부재(12)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도 4는 조작부재(13)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도 5는 세포 채취 장치(10)의 중심선(102)을 포함하는 단면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6] 도 6은 탄성편(42, 43)이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한 상태의 세포 채취 장치(10)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7]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포 채취 장치(5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도 8은 관체(51)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도 9는 세포 채취 부재(52)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도 10은 조작부재(53)의 외관 구성을 타나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도 11은 도 7의 XI-XI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도 12는 세포 채취 장치(50)의 중심선(102)을 포함하는 단면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13] 도 13은 수나사부(61)가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세포 채취 장치(50)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4] 도 14는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세포 채취 장치(70)의 걸어맞춤부(72) 부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 도 15는 세포 채취 장치(70)의 중심선(102)을 포함하는 단면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16] 도 16은 걸어맞춤부(72)가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한 상태의 세포 채취 장치(70)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17] 도 17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포 채취 장치(8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 도 18은 관체(81) 및 캡(84)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 도 19는 세포 채취 부재(52)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 도 20은 조작부재(53)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 도 21은 세포 채취 장치(50)의 중심선(102)을 포함하는 단면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22] 도 22는 잠금부(96)가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한 상태의 세포 채취 장치(80)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23] 도 23은 제 4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 도 24는 제 4 실시예의 변형예에서의 해제자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 도 25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세포 채취 장치(11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 도 26은 관체(111), 조작부재(113) 및 코일스프링(131)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 도 27은 세포 채취 부재(112)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 도 28은 잠금부재(114)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9] 도 29는 세포 채취 장치(110)의 중심선(102)을 포함하는 단면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30] 도 30은 잠금부재(114)가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한 상태의 세포 채취 장치(110)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31] 도 31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세포 채취 장치(15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2] 도 32는 관체(151)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3] 도 33은 세포 채취 장치(152)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4] 도 34는 조작부재(153)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5] 도 35는 도 31의 V-V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6] 도 36은 세포 채취 장치(150)의 중심선(102)을 포함하는 단면을 나타내는 세포 채취 장치(150)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37] 도 37은 수나사부(161)가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세포 채취 장치(150)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38] 도 38은 제 7 실시예에 따른 세포 채취 장치(21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9] 도 39는 봉재(211)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0] 도 40은 세포 채취 부재(212)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1] 도 41은 세포 채취 장치(210)의 중심선(102)을 포함하는 단면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42] 도 42는 갈고리(222, 223)가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한 상태의 세포 채취 장치(210)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43] 도 43은 봉재(211)에 오목부(246)가 설치되고, 세포 채취 부재(212)에 볼록부(221)가 설치된 변형예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44] 도 44는 한 쌍의 갈고리(222, 223), 가압부(224, 225) 및 구멍(249, 250)의 일방만이 설치된 변형예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45] 도 45는 세포 채취 부재(212)의 오목부(246)에 코일스프링(235)이 설치된 변형예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46] 도 46은 세포 채취 부재(212)의 오목부(246)에 코일스프링(235)이 설치된 변형예의 해제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47] 도 47은 세포 채취 장치(210)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8] 도 48은 세포 채취 장치(210)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9] 도 49(A)는 세포 채취 장치(210)의 변형예에서의 봉재(211)의 볼록부(221)를 중심선(102)을 따라 본 도면이며, 도 49(B)는 세포 채취 장치(210)의 변형예에서의 세포 채취 부재(212)의 오목부(246)를 중심선(102)을 따라 본 도면이다.
[도 50] 도 50(A)는 세포 채취 장치(210)의 변형예에 있어서 캡(300)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하방향(가압부(224, 225)가 설치된 방향)을 따른 확대단면도이며, 도 50(B)는 세포 채취 장치(210)의 변형예에 있어서 캡(300)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좌우방향(가압부(224, 225)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방향)을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도 51] 도 51(A)는 세포 채취 장치(210)의 변형예에 있어서 캡(300)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하방향(가압부(224, 225)가 설치된 방향)을 따른 확대단면도이며, 도 51(B)는 세포 채취 장치(210)의 변형예에 있어서 캡(300)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좌우방향(가압부(224, 225)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방향)을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도 52] 도 52(A)는 세포 채취 장치(210)의 변형예에 있어서 캡(300)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하방향(가압부(224, 225)가 설치된 방향)을 따른 확대단면도이며, 도 52(B)는 세포 채취 장치(210)의 변형예에 있어서 캡(300)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좌우방향(가압부(224, 225)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방향)을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도 53] 도 53(A)는 세포 채취 장치(210)의 변형예에 있어서 캡(300)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하방향(가압부(224, 225)가 설치된 방향)을 따른 확대단면도이며, 도 53(B)는 세포 채취 장치(210)의 변형예에 있어서 캡(300)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좌우방향(가압부(224, 225)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방향)을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도 54] 도 54(A)는 세포 채취 장치(210)의 변형예에 있어서 캡(300)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하방향(가압부(224, 225)가 설치된 방향)을 따른 확대단면도이며, 도 54(B)는 세포 채취 장치(210)의 변형예에 있어서 캡(300)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좌우방향(가압부(224, 225)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방향)을 따른 확대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가 변경되지 않는 범위에서 본 실시예가 적절히 변경되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제 1 실시예]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채취 장치(10)는 관체(11), 세포 채취 부재(12) 및 조작부재(13)를 갖는다. 세포 채취 부재(12)는 관체(11)의 선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조작부재(12)는 관체(11)에 삽입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늘고 긴 관체(11)가 연장되는 방향을 길이방향(101)이라 한다. 길이방향(101)을 따라 관체(11)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선을 중심선(102)이라 한다. 중심선(10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방향을 회전방향(103)이라 한다. 또한, 관체(11)에 있어서 시술자가 잡는 쪽을 기단측(도 1에서 우측)이라 하고, 세포 채취 부재(12)가 장착되는 쪽을 선단측(도 1에서 좌측)이라 한다. 관체(11)의 선단이 제 1 단에 상당하고, 관체(11)의 기단이 제 2 단에 상당한다.
[관체(11)]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11)는 길이방향(101)으로 가늘고 긴 원관형상의 부재이다. 관체(11)는 선단 및 후단이 각각 개구하고 있고, 선단과 후단 사이에 내부 공간이 연속되어 있다. 관체(11)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서 형성된다. 관체(11)의 소재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외형이 다각형상이어도 된다. 관체(11)의 외형치수나 길이방향(101)의 길이는 기단측을 시술자가 잡고 세포 채취 부재(12)를 자궁경부로 도달시키기에 가장 적합하도록 설정된다.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11)의 선단측에는 구멍(20, 21)이 설치되어 있다. 구멍(20, 21)은 관체(11)의 선단측에서 관체(11)의 벽을 직경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있다. 구멍(20, 21)은 그 둘레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되는 형상이 사각형이다. 구멍(20, 21)은 중심선(102)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위치에 한 쌍으로서 각각 배치되어 있다. 관체(11)의 기단측의 내벽에는 암나사(22)가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22)는 조작부재(13)의 수나사(33)와 나사결합하는 것이다.
[세포 채취 부재(12)]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채취 부재(12)는 본체(40), 브러시(41), 및 탄성편(42, 43)을 갖는다. 본체(40)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의 성형품이다. 브러시(41)는 본체(40)의 선단측에 형성된 구멍(44)에 삽입되어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브러시(41)는 스테인레스제의 축에 합성수지제의 섬유가 복수개 고정된 것이다. 브러시(41)의 구조나 형상은 엘라스토머의 성형품 등의 공지의 것이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관체(11)의 중심선(102)을 따라 축이 연장되어 있고, 그 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섬유가 넓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다른 형상이 채용되어도 된다.
본체(40)는 대략 원기둥형상의 외형을 나타내고 있다. 본체(40)의 기단측의 면에는 그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볼록부(48, 49)가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48, 49)는 각각이 반원기둥형상을 이루고 있다. 볼록부(48, 49)의 외주면을 따른 원의 직경은 관체(11)의 내경보다 약간 작다. 볼록부(48, 49)가 관체(11)의 선단의 개구에 삽입되어 걸어맞추어짐으로써 본체(40)가 관체(11)의 선단에 각각의 축선이 합치하는 위치에 위치결정되어 장착된다.
본체(40)의 기단측의 면으로부터 탄성편(42, 43)이 돌출되어 있다. 탄성편(42, 43)은 각각이 탄성 변형 가능한 박판 형상이며, 각 표리면이 평행으로 대향하여 중심선(102)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탄성편(42, 43)은 각각의 돌출단에 갈고리(45, 46)를 갖고 있다. 갈고리(45, 46)는 탄성편(42, 43)으로부터 각각 중심선(102)에서 멀어지는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갈고리(45, 46)는 관체(11)의 구멍(20, 21)에 진입 가능한 크기 및 형상이다.
갈고리(45, 46)의 각 선단 사이의 거리는 관체(11)의 내경보다 짧다. 따라서, 탄성편(42, 43)이 탄성 변형하지 않은 상태에서 탄성편(42, 43)은 관체(11)의 선단의 개구에 대하여 그 개구 둘레가장자리나 관체(11)의 내벽에 가압접촉하지 않고, 진입 및 퇴출이 가능하다. 즉, 탄성편(42, 43)이 탄성 변형하지 않은 상태에서 관체(11)의 선단에 장착된 세포 채취 부재(12)는 세포 채취 부재(12)를 하측으로 하여 관체(11)의 길이방향(101)이 중력방향을 따른 상태가 되면 중력에 의해 쉽게 관체(11)에서 빠진다. 탄성편(42, 43)이 변형부에 상당한다.
본체(40)의 기단측에 면에서의 탄성편(42, 43)의 사이에는 중심선(102)을 따라 선단측으로 연장되는 구멍(47)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47)은 원통형상이며, 후술하는 조작부재(13)의 잠금부(31)의 선단부가 진입 가능하다.
[조작부재(13)]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재(13)는 로드부(30), 잠금부(31), 및 손잡이부(32)를 갖는다. 로드부(30)는 길이방향(101)으로 가늘고 긴 대략 원기둥형상의 부재이다. 로드부(30)는 관체(11)의 내부 공간에 삽입 가능한 외경이며, 길이방향(101)의 길이는 관체(11)의 길이방향(101)의 길이와 같거나 약간 짧다. 또한, 로드부(3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량을 줄이기 위해 길이방향(101)으로 가늘고 긴 홈이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조작부재(13)의 선단측에는 잠금부(31)가 설치되어 있다. 잠금부(31)는 로드부(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로드부(30)의 선단측에서 테이퍼 형상으로 끝이 가늘게 되어 있는 부분이다. 잠금부(31)의 선단은 세포 채취 부재(12)의 탄성편(42, 43)의 사이로부터 구멍(47)으로 진입 가능한 외경이다. 잠금부(31)의 기단측은 로드부(30)의 외주면과 연속하고 있고, 그 외경은 탄성편(42, 43)이 상호 대향하는 면의 간격보다 크다.
로드부(30)의 기단에는 손잡이부(32)가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부(32)는 로드부(30)의 외경 및 관체(11)의 내경보다 외경이 큰 원통형상이다. 로드부(30)의 외경은 관체(11)의 내경보다 약간 작다. 손잡이부(32)의 외주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길이방향을 따른 오목홈이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로드부(30)의 기단부분의 외주면에는 수나사(33)가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33)는 로드부(30)가 관체(11)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관체(11)의 암나사(22)와 나사결합하는 것이다.
[세포 채취 장치(10)의 사용]
세포 채취 장치(10)는 예를 들어 자궁경부 세포의 채취에 있어서, 세포 채취 부재(12)가 관체(11)에 장착되고, 조작부재(13)가 잠금부(31)를 잠금자세로 한 상태에서 사용된다. 잠금부(31)가 잠금자세일 때, 세포 채취 부재(12)는 관체(11)에 대하여 길이방향(101) 및 회전방향(103)에 대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시술자가 관체(11)의 기단부측을 잡고 밀고당기기나 회전 등의 조작을 행하면 그 힘이 세포 채취 부재(12)로 전달되어, 세포 채취 부재(12)는 관체(11)와 일체로 이동 또는 회전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11)의 선단에 세포 채취 부재(12)가 장착된 상태에서 조작부재(13)가 기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조작부재(13)의 수나사(33)와 관체(11)의 암나사(22)가 나사결합되면 조작부재(13)의 잠금부(31)는 관체(11)의 선단측에 가장 진입한 상태가 된다. 이 때, 잠금부(31)의 선단은 세포 채취 부재(12)의 구멍(47)으로 진입하고 있다. 또한 잠금부(31)의 둘레면은 세포 채취 부재(12)의 탄성편(42, 43)의 사이에 진입하여 탄성편(42, 43)의 갈고리(45, 46)측을 중심선(102)으로부터 멀어지는 외향으로 탄성변형시킨다. 조작부재(13)는 수나사(33)와 암나사(22)의 나사결합이 풀리지 않는 한, 관체(11)에 대하여 길이방향(101)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탄성편(42, 43)은 잠금부(31)에 의해 외향으로 가압되어 탄성변형하여 갈고리(45, 46)가 관체(11)의 구멍(20, 21)으로 각각 진입한다. 또한, 탄성편(42, 43)에서의 갈고리(45, 46)보다 본체(40)측의 박판부분은 잠금부(31)와 관체(11)의 구멍(20, 21)의 둘레가장자리 사이에 끼워넣어져서 잠금부(31)에 의해 관체(11)로 가압된 상태가 된다. 탄성편(42, 43)이 잠금부(31)와 관체(11)의 구멍(20, 21) 사이에 끼워넣어짐으로써 탄성편(42, 43)이 관체(11)에 대하여 길이방향(101)을 따라 이동하거나 회전방향(103)을 따라 회전하거나 하지 않는다. 또한, 가령 커다란 힘이 세포 채취 부재(12)에 가해졌다고 해도 갈고리(45, 46)와 구멍(20, 21)의 걸어맞춤에 의해 탄성편(42, 43)이 관체(11)에 대하여 길이방향(101)을 따라 이동하거나 회전방향(103)을 따라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탄성편(42, 43)을 탄성변형시키는 잠금부(31)의 자세(본 실시예에서는 길이방향(101)의 위치)가 잠금자세에 상당한다.
자궁경부 세포가 채취된 후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술자에 의해 조작부재(13)의 손잡이부(32)와 관체(11)의 기단측이 잡혀져서, 손잡이(32)가 관체(11)에 대하여 회전된다. 이로 인해, 관체(11)의 암나사(22)와 조작부재(13)의 수나사(33)의 나사결합이 풀린다. 그리고, 조작부재(13)가 관체(11)의 기단으로부터 빼내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잠금부(31)가 세포 채취 부재(12)의 탄성편(42, 43)으로부터 분리된다. 잠금부(31)의 가압이 없어지면 탄성편(42, 43)이 탄성적으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즉, 갈고리(45, 46)의 각 선단 사이의 거리는 관체(11)의 내경보다 짧은 자세가 된다. 이와 같이 탄성편(42, 43)이 탄성변형하지 않는 잠금부(31)의 자세(본 실시예에서는 길이방향(101)의 위치)가 해제자세에 상당한다.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 탄성편(42, 43)은 관체(11)의 선단의 개구에 대하여 그 개구 둘레가장자리나 관체(11)의 내벽에 가압접촉하지 않고 진입 및 퇴출이 가능하다. 따라서, 관체(11)의 선단에 장착된 세포 채취 부재(12)는 세포 채취 부재(12)를 하측으로 하여 관체(11)의 길이방향(101)이 중력방향을 따른 상태가 되면, 중력에 의해 쉽게 관체(11)로부터 빠진다. 빠진 세포 채취 부재(12)는 도시하지 않는 보관용기에 수용된다.
[제 1 실시예의 작용효과]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자궁경부 세포의 채취에 있어서, 세포 채취 부재(12)가 관체(11)에 장착되어 조작부재(13)의 잠금부(31)에 의해 세포 채취 부재(12)가 관체(11)에 대하여 고정되고, 관체(11)를 길이방향(101)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방향(103)으로 회전시키거나 해도 세포 채취 부재(12)가 관체(11)에서 빠지지 않는다. 또한, 조작부재(13)의 조작은 관체(11)의 기단측에서 행해지므로 관체(11)의 선단측에 외력이 가해져도 불시에 잠금부(31)가 이동(자세 변화)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자궁경부 세포가 채취된 후에는 관체(11)의 기단측에서 조작부재(13)가 조작됨으로써 잠금부(31)가 이동(자세 변화)하여 세포 채취 부재(12)가 관체(1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잠금부(31)가 조작부재(13)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세포 채취 장치(10)의 부품수가 적어져서 장치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또한, 세포 채취 부재(12)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탄성편(42, 43)을 갖고 있고, 잠금부(31)가 탄성편(42, 43)을 관체(11)로 가압하므로, 잠금부(31)에 가압된 탄성편(42, 43)과 관체(11) 사이에 생기는 마찰에 의해 세포 채취 부재(12)가 관체(11)에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탄성편(42, 43)에 갈고리(45, 46)가 설치되어 있으나, 가령 갈고리(45, 46)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세포 채취 부재(12)가 관체(11)에 고정되므로, 갈고리(45, 46)를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세포 채취 장치(10)의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또한, 탄성편(42, 43)의 갈고리(45, 46)는 잠금부(31)에 가압됨으로써 관체(11)의 구멍(20, 21)과 걸어맞추어지므로, 세포 채취 부재(12)가 관체(11)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또한, 조작부재(13)는 관체(11)의 기단측에 있어서, 암나사(22)와 수나사(33)의 나사결합에 의해 관체(11)에 대하여 길이방향(101)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유지되므로, 불시에 조작부재(13)가 길이방향(101)으로 이동하여 세포 채취 부재(12)가 관체(11)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제 2 실시예]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채취 장치(50)는 관체(51), 세포 채취 부재(52) 및 조작부재(53)를 갖는다. 세포 채취 부재(52)는 관체(51)의 선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조작부재(53)는 관체(51)에 삽입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늘고 긴 관체(51)가 연장되는 방향을 길이방향(101)이라 한다. 길이방향(101)을 따라 관체(51)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선을 중심선(102)이라 한다. 중심선(10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방향을 회전방향(103)이라 한다. 또한, 관체(51)에 있어서 시술자가 잡는 쪽을 기단측(도 7에서 우측)이라 하고, 세포 채취 부재(52)가 장착되는 쪽을 선단측(도 7에서 좌측)이라 한다. 관체(51)의 선단이 제 1 단에 상당하고, 관체(51)의 기단이 제 2 단에 상당한다.
[관체(51)]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51)는 길이방향(101)으로 가늘고 긴 외형이 육각형인 관형상의 부재이다. 관체(51)는 선단 및 후단이 각각 개구하고 있고, 선단과 후단 사이에는 원형의 내부 공간이 연속되어 있다. 관체(51)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서 형성된다. 관체(11)의 소재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외형이 원기둥형상이어도 된다. 관체(51)의 외형치수나 길이방향(101)의 길이는 기단측을 시술자가 잡고 세포 채취 부재(52)를 자궁경부로 도달시키기에 가장 적합하도록 설정된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51)의 선단측의 면에는 홈(54)이 설치되어 있다. 홈(54)은 관체(51)의 선단측의 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파여 있고, 중심선(102)을 따른 시점에서 보아 관체(51)의 외형을 따른 육각형을 나타내고 있다. 홈(54)은 세포 채취 부재(52)의 볼록편(58)이 삽입된다. 따라서, 홈(54)의 중심선(102)을 따른 깊이는 세포 채취 부재(52)에 있어서 볼록편(58)이 본체(55)로부터 중심선(102)을 따라 돌출되는 치수와 같은 정도이다.
[세포 채취 부재(52)]
도 9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채취 부재(52)는 본체(55) 및 브러시(56)을 갖는다. 본체(55)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의 성형품이다. 브러시(56)는 본체(55)의 선단측에 형성된 구멍(57)에 삽입되어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브러시(56)는 스테인레스제의 축에 합성수지제의 섬유가 복수개 고정된 것이다. 브러시(56)의 구조나 형상은 엘라스토머의 성형품 등의 공지의 것이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관체(51)의 중심선(102)을 따라 축이 연장되어 있고, 그 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섬유가 넓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다른 형상이 채용되어도 된다.
본체(55)는 대략 육각기둥형상의 외형을 나타내고 있다. 본체(55)의 기단측의 면에는 그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볼록편(58)이 설치되어 있다. 볼록편(58)은 본체(55)의 기단측의 면으로부터 중심선(102)을 따라 돌출되어 있고, 중심선(102)을 따른 시점에서 보아 육각형을 나타내고 있다. 볼록편(58)이 본체(55)로부터 중심선(102)을 따라 돌출되는 치수는, 후술하는 조작부재(53)의 수나사부(61)의 중심선(102)을 따른 치수와 같은 정도이다. 볼록편(58)의 두께는 관체(51)의 홈(54)에 삽입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다. 볼록편(58)이 관체(51)의 홈(54)에 삽입되고, 본체(55)의 기단측의 면과 관체(51)의 선단측의 면이 맞닿음으로써, 본체(55)가 관체(51)의 선단에 각각의 축선이 합치하는 위치에 위치결정되어 장착된다. 볼록편(58)과 홈(54)의 끼워맞춤에 의해, 본체(55)는 관체(51)에 대하여 회전방향(103)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홈(54) 및 볼록편(58)이 끼워맞춤부에 상당한다.
본체(55)의 기단측의 면에서의 볼록편(58)의 내측에는 중심선(102)을 따라 선단측으로 연장되는 나사구멍(59)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구멍(59)은 원통형상이며, 후술하는 조작부재(53)의 수나사부(61)와 나사결합한다. 나사구멍(59)의 중심선(102)을 따른 깊이는 후술하는 조작부재(53)의 수나사부(61)의 중심선(102)을 따른 치수와 같은 정도이다.
[조작부재(53)]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재(53)는 로드부(60), 수나사부(61), 및 손잡이부(62)를 갖는다. 로드부(60)는 길이방향(101)으로 가늘고 긴 대략 원기둥형상의 부재이다. 로드부(60)는 관체(51)의 내부 공간에 삽입 가능한 외경이며, 길이방향(101)의 길이는 관체(51)의 길이방향(101)의 길이보다 약간 길다.
조작부재(53)의 선단측에는 수나사부(61)가 설치되어 있다. 수나사부(61)는 로드부(60)의 선단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부(61)는 세포 채취 부재(52)의 나사구멍(59)으로 진입하여 나사결합할 수 있다. 수나사부(61)가 잠금부, 나사결합부에 상당한다. 수나사부(61)가 나사구멍(59)에 나사결합하는 자세가 잠금자세에 상당하고, 수나사부(61)가 나사구멍(59)에서 빠져나온 자세가 해제자세에 상당한다.
로드부(60)의 기단에는 손잡이부(62)가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부(62)는 로드부(60)의 외경 및 관체(51)의 내경보다 외경이 큰 육각기둥형상이다. 로드부(60)의 외경은 관체(51)의 내경보다 약간 작다.
[세포 채취 장치(50)의 사용]
세포 채취 장치(50)는 예를 들어 자궁경부 세포의 채취에 있어서, 세포 채취 부재(52)가 관체(51)에 장착되고, 조작부재(53)의 수나사부(61)가 나사구멍(59)에 나사결합한 상태에서 사용된다. 수나사부(61)가 잠금자세일 때, 세포 채취 부재(52)는 관체(51)에 대하여 길이방향(101) 및 회전방향(103)에 대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시술자가 관체(51)의 기단부측을 잡고 밀고당기기나 회전 등의 조작을 행하면, 그 힘이 세포 채취 부재(52)로 전달되어 세포 채취 부재(52)는 관체(51)와 일체로 이동 또는 회전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51)의 선단에 세포 채취 부재(52)가 장착된 상태에서 세포 채취 부재(52)의 볼록편(58)과 관체(51)의 홈(54)이 끼워맞춤된다. 이로 인해, 세포 채취 부재(52)가 관체(51)에 대하여 회전방향(103)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또한, 조작부재(53)가 기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조작부재(53)의 수나사부(61)가 세포 채취 부재(52)의 나사구멍(59)에 나사결합된다. 이로 인해, 세포 채취 부재(52)는 관체(51)에 대하여 길이방향(101)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자궁경부 세포가 채취된 후에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술자에 의해 조작부재(53)의 손잡이부(62)와 관체(51)의 기단측이 잡혀져서 손잡이부(62)가 관체(51)에 대하여 회전된다. 이로 인해, 세포 채취 부재(52)의 나사구멍(59)으로부터 조작부재(53)의 수나사부(61)가 빠져나온다. 그리고, 관체(51)의 선단에 장착된 세포 채취 부재(52)는 세포 채취 부재(52)를 하측으로 하여 관체(51)의 길이방향(101)이 중력방향을 따른 상태가 되면, 중력에 의해 쉽게 관체(51)로부터 빠진다. 빠진 세포 채취 부재(52)는 도시하지 않는 보관용기에 수용된다.
또한, 가령 손잡이부(62)가 관체(51)에 대하여 회전될 때에 관체(51)와 조작부재(53)의 중심선(102)을 따른 상대위치가 변화하지 않도록 조작부재(53)가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어 있으면, 세포 채취 부재(52)의 나사구멍(59)으로부터 조작부재(53)의 수나사부(61)가 빠져나오는 동시에, 세포 채취 부재(52)가 관체(51)의 선단으로부터 분리되어, 볼록편(58)이 홈(54)에서 빠져나온다. 볼록편(58)의 중심선(102)을 따른 치수와, 수나사부(61)의 중심선(102)을 따른 치수가 같은 정도이므로, 수나사부(61)가 나사구멍(59)에서 빠져나올때까지 볼록편(58)과 홈(54)이 끼워맞추어져 있고, 수나사부(61)가 나사구멍(59)에서 빠져나오면 볼록편(58)이 홈(54)에서 빠져나와, 중력에 의해 용이하게 관체(51)에서 빠진다.
제 2 실시예에 의해서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관체(51)의 홈(54)과 세포 채취 부재(52)의 볼록편(58)과의 끼워맞춤에 의해 관체(51)의 회전이 세포 채취 부재(52)로 전달되고, 세포 채취 부재(52)의 나사구멍(59)과 조작부재(53)의 수나사부(61)와의 나사결합, 또는 관체(51)의 선단과 세포 채취 부재(52)의 본체(55)와의 맞닿음에 의해, 세포 채취 부재(52)가 관체(51)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힘이 전달된다. 이러한 끼워맞춤과 나사결합으로 나누어 관체(51)에서 세포 채취 부재(52)로 힘이 전달되므로, 세포 채취 장치(50)를 구성하는 각 부재에서의 부하가 경감된다.
[제 3 실시예]
제 3 실시예에 따른 세포 채취 장치(70)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포 채취 장치(50)에 있어서, 세포 채취 부재(52)의 나사구멍(59) 대신에 결어맞춤구멍(71)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조작부재(53)의 수나사부(61) 대신에 걸어맞춤부(72)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다르고, 그 밖의 구성은 마찬가지이다. 이하, 걸어맞춤구멍(71) 및 걸어맞춤부(72)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세포 채취 장치(70)에 있어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세포 채취 장치(50)에 붙여진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가 붙여진 부재는 세포 채취 장치(50)와 동일한 부재이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채취 부재(52)의 본체(55)의 기단측의 면에서의 볼록편(58)의 내측에는 중심선(102)을 따라 선단측으로 연장되는 걸어맞춤구멍(71)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구멍(71)은 대략 원통형상이다. 걸어맞춤구멍(71)의 개구 둘레가장자리에는 개구를 좁히는 방향, 즉 중심선(102)으로 가까워지는 내방향으로 돌출되는 볼록부(73, 74)가 중심선(102)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73, 74)는 걸어맞춤부(71)의 내경을 좁히도록 돌출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73, 74)의 사이에는 걸어맞춤구멍(71)의 안쪽(본체(55)의 선단측)으로 연속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재(53)의 선단측에는 걸어맞춤부(72)가 설치되어 있다. 걸어맞춤부(72)는 로드부(60)의 선단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부(72)는 소경부(75) 및 날개편(76, 77)을 갖는다. 소경부(75)는 로드부(60)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이며, 걸어맞춤구멍(71)의 볼록부(73, 74)의 사이를 중심선(102)을 따라 진입 가능하다. 소경부(75)의 선단측에는 날개편(76, 77)이 중심선(102)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날개편(76, 77)은 중심선(102)에서 분리되는 외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다. 날개편(76, 77)은 각각이 부분원형상이며, 걸어맞춤구멍(71)의 볼록부(73, 74)의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 가능한 크기 및 형상이다. 날개편(76, 77)에서 로드부(60)측의 면은 로드부(6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하는 경사면(78, 79)이다. 날개편(76, 77)은 걸어맞춤구멍(71)으로 진입하여 볼록부(73, 74)와 걸어맞춤 가능하다.
[세포 채취 장치(70)의 사용]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51)의 선단에 세포 채취 부재(52)가 장착된 상태에서 세포 채취 부재(52)의 볼록편(58)과 관체(51)의 홈(54)이 끼워맞춤된다. 이로 인해, 세포 채취 부재(52)가 관체(51)에 대하여 회전방향(103)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또한, 조작부재(53)가 기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조작부재(53)의 걸어맞춤부(72)가 세포 채취 부재(52)의 걸어맞춤구멍(71)과 걸어맞추어진다.
상세하게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72)와 날개편(76, 77)이 걸어맞춤구멍(71)의 볼록부(73, 74)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회전위치에 조작부재(53)가 위치된다. 제 2 회전위치에 있어서, 관체(51)의 기단측으로부터 관체(51)로 삽입된 조작부재(53)의 걸어맞춤부(72)는 날개편(76, 77)이 볼록부(73, 74)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걸어맞춤구멍(71)의 안(선단측)으로 진입한다. 그리고,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재(53)가 제 2 회전위치에서 제 1 회전위치로 회전되면, 날개편(76, 77)이 볼록부(73, 74)와 맞닿는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날개편(76, 77)의 경사면(78, 79)이 볼록부(73, 74)에 맞닿아 경사면(78, 79)으로 안내되어 걸어맞춤부(72)가 걸어맞춤구멍(71)의 안쪽의 면에 맞닿는다. 이로 인해, 조작부재(53)는 제 1 회전위치를 초과하여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걸어맞춤부(72)와 걸어맞춤구멍(71)과의 걸어맞춤에 의해, 세포 채취 부재(52)는 관체(51)에 대하여 길이방향(101)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제 1 회전위치의 걸어맞춤부(72)가 잠금자세이며, 제 2 회전위치의 걸어맞춤부(72)가 해제자세이다.
자궁경부 세포가 채취된 후에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술자에 의해 조작부재(53)의 손잡이부(62)와 관체(51)의 기단측이 잡혀져서, 손잡이부(62)가 관체(51)에 대하여 제 1 회전위치에서 제 2 회전위치로 회전된다. 그리고, 손잡이부(62)가 관체(51)로부터 약간 떨어짐으로써 세포 채취 부재(52)의 걸어맞춤구멍(71)으로부터 조작부재(53)의 걸어맞춤부(72)가 빠져나온다. 그리고, 관체(51)의 선단에 장착된 세포 채취 부재(52)는 세포 채취 부재(52)를 하측으로 하여 관체(51)의 길이방향(101)이 중력방향을 따른 상태가 되면 중력에 의해 쉽게 관체(51)에서 빠진다. 빠진 세포 채취 부재(52)는 도시하지 않는 보관용기에 수용된다.
제 3 실시예에 의해서도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조작부재(53)를 제 1 회전위치 또는 제 2 회전위치로 회전시키려면 조작부재(53)의 손잡이부(62)를 약 90° 회전시킬 뿐이므로 간단한 조작으로 걸어맞춤부(72)가 자세 변화한다.
[제 4 실시예]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채취 장치(80)는 관체(81), 세포 채취 부재(82), 조작부재(83), 및 캡(84)을 갖는다. 세포 채취 부재(82)는 관체(81)의 선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세포 채취 부재(82)는 관체(81)에 삽입되어 있다. 캡(84)은 관체(81)의 기단측에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늘고 긴 관체(81)가 연장되는 방향을 길이방향(101)이라 한다. 길이방향(101)을 따라 관체(81)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선을 중심선(102)이라 한다. 중심선(10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방향을 회전방향(103)이라 한다. 또한, 관체(81)에 있어서 시술자가 잡는 쪽을 기단측(도 17에서 우측)이라 하고, 세포 채취 부재(82)가 장착되는 쪽을 선단측(도 17에서 좌측)이라 한다. 관체(81)의 선단이 제 1 단에 상당하고, 관체(81)의 기단이 제 2 단에 상당한다.
[관체(81) 및 캡(84)]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81)는 길이방향(101)으로 가늘고 긴 원관형상의 부재이다. 관체(81)는 선단 및 후단이 각각 개구하고 있고, 선단과 후단 사이에는 원형의 내부 공간이 연속되어 있다. 관체(81)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서 형성된다. 관체(81)의 소재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외형이 다각형상이어도 된다. 관체(81)의 외형치수나 길이방향(101)의 길이는 기단측을 시술자가 잡고, 세포 채취 부재(82)를 자궁경부로 도달시키기에 가장 적합하도록 설정된다.
관체(81)의 기단측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85)가 설치되어 있다. 수나사부(85)에는 캡(84)이 장착된다. 캡(84)은 관체(81)의 기단측을 덮을 수 있는 원통형상이며, 또한 관체(81)의 기단측의 개구를 폐쇄한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84)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86)가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부(86)와 수나사부(85)가 나사결합하여 관체(81)의 기단이 캡(84)에 의해 덮여 폐쇄된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81)의 선단측의 면에는 홈(87)이 설치되어 있다. 홈(87)은 관체의 선단측의 면에서 길이방향으로 파여 있고, 중심선(102)을 따른 시점에서 보아 관체(51)의 외형을 따른 원형을 나타내고 있다. 홈(87)은 세포 채취 부재(82)의 볼록편(91)이 삽입된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81)의 선단측에는 내부 공간의 직경이 확장된 대경부(95)가 형성되어 있다. 대경부(95)는 관체(81)의 선단보다 약간 기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대경부(95)는 길이방향(101)의 중앙부분이 가장 내경이 크고, 선단측 및 기단측으로 향하여 테이퍼형상으로 내경이 작아지는 형상이다.
[세포 채취 부재(82)]
도 19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채취 부재(82)는 본체(88) 및 브러시(89)를 갖는다. 본체(88)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의 성형품이다. 브러시(89)는 본체(88)의 선단측에 형성된 구멍(90)에 삽입되어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브러시(89)는 스테인레스제의 축에 합성수지제의 섬유가 복수개 고정된 것이다. 브러시(89)의 구조나 형상은 엘라스토머의 성형품 등의 공지의 것이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관체(81)의 중심선(102)을 따라 축이 연장되어 있고, 그 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섬유가 넓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다른 형상이 채용되어도 된다.
본체(88)는 대략 원기둥형상의 외형을 나타내고 있다. 본체(88)의 기단측의 면에는 그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볼록편(91)이 설치되어 있다. 볼록편(91)은 본체(88)의 기단측의 면으로부터 중심선(102)을 따라 돌출되어 있고, 중심선(102)을 따른 시점에서 보아 원형을 나타내고 있다. 볼록편(91)의 두께는 관체(81)의 홈(87)에 삽입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다. 볼록편(91)이 관체(81)의 홈(87)에 삽입되고, 본체(88)의 기단측의 면과 관체(81)의 선단측의 면이 맞닿음으로써 본체(88)가 관체(81)의 선단에 각각의 축선이 합치하는 위치에 위치결정되어 장착된다.
본체(88)의 기단측의 면에서의 볼록편(91)의 내측에 있어서, 기단측의 면으로부터 탄성편(92, 93)이 돌출되어 있다. 탄성편(92, 93)은 각각이 탄성 변형 가능한 박판 형상이며, 각 표리면이 평행으로 대향하여 중심선(102)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탄성편(92, 93)에 있어서, 중심선(102)에서 가장 먼 위치 사이의 거리는 관체(81)의 내경보다 짧다. 따라서, 탄성편(92, 93)이 탄성 변형하지 않은 상태에서 탄성편(92, 93)은 관체(11)의 선단의 개구에 대하여 쉽게 진입 및 퇴출이 가능하다. 탄성편(92, 93)이 변형부에 상당한다.
본체(88)의 기단측의 면에서의 탄성편(92, 93)의 사이에는 중심선(102)을 따라 선단측으로 연장되는 구멍(94)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94)은 원통형상이며, 후술하는 조작부재(83)의 잠금부(96)가 삽입된다.
[조작부재(83)]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재(83)는 길이방향(101)으로 가늘고 긴 대략 사각기둥형상의 부재이다. 조작부재(83)는 관체(81)의 내부 공간에 삽입 가능한 외경이며, 길이방향(101)의 길이는 관체(81)의 길이방향(101)의 길이보다 약간 길다.
조작부재(83)의 선단측에는 잠금부(96)가 설치되어 있다. 잠금부(96)는 조작부재(83)의 선단측에 있어서 길이방향(10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조작부재(83)를 관통하는 슬릿(99)을 개재하여 대향하는 한 쌍의 탄성변형부(97, 98)를 갖고 있다. 탄성 변형부(97, 98)는 외력이 부여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잠금부(96)로 길이방향(101)을 따른 압축력이 가해지면, 탄성변형부(97, 98)가 외방향으로 크게 휘도록 탄성변형한다. 탄성변형부(97)에는 변형을 쉽게 하기 위해 길이방향(101)을 따른 장공(100)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변형부(98)에도 동일한 장공(100)이 형성되어 있다.
[세포 채취 장치(80)의 사용]
세포 채취 장치(80)는 예를 들어 자궁경부 세포의 채취에 있어서, 세포 채취 부재(82)가 관체(81)에 장착되고, 조작부재(83)가 관체(81)에 삽입되고, 관체(81)의 기단측이 캡(84)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이 상태에서 잠금부(96)가 잠금자세가 된다. 잠금자세에 있어서, 세포 채취 부재(82)는 관체(81)에 대하여 길이방향(101) 및 회전방향(103)에 대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시술자가 관체(81)의 기단부측을 잡고 밀고당기기나 회전 등의 조작을 행하면 그 힘이 세포 채취 부재(82)로 전달되어 세포 채취 부재(82)는 관체(81)와 일체로 이동 또는 회전한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81)의 선단에 세포 채취 부재(82)가 장착된 상태에서 조작부재(83)가 관체(81)의 기단으로부터 삽입되면, 잠금부(96)가 관체(81)의 대경부(95)로 도달한다. 또한, 잠금부(96)의 선단은 세포 채취 부재(82)의 구멍(90)으로 진입하고, 탄성변형부(97, 98)는 세포 채취 부재(82)의 탄성편(92, 93)의 내측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조작부재(83)의 기단측은 관체(81)의 기단으로부터 외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관체(81)의 수나사부(85)에 캡(84)이 나사결합됨으로써 관체(81)의 기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조작부재(83)의 기단측이 관체(81)의 내부 공간으로 밀어넣어진다. 이로 인해, 관체(81)의 대경부(95)에 있어서 잠금부(96)의 탄성변형부(97, 98)가 탄성편(92, 93)을 개재하여 대경부(95)의 내벽에 밀어붙여지고, 잠금부(96)에 길이방향(101)의 압축력이 가해진다. 이 압축력에 의해 탄성변형부(97, 98)가 외방향으로 탄성변형하여 대경부(95)의 내벽과의 사이에 탄성편(92, 93)을 탄성변형시키면서 끼워넣는다. 즉, 탄성변형부(97, 98)가 탄성편(92, 93)을 외방향으로 탄성변형시켜서 대경부(95)의 내벽에 밀어붙인다.
탄성편(92, 93)이 잠금부(31)와 관체(11)의 대경부(95)의 내벽과의 사이에 끼워넣어짐으로써, 탄성편(92, 93)이 관체(81)에 대하여 길이방향(101)을 따라 이동하거나 회전방향(103)을 따라 회전하거나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탄성편(92, 93)을 탄성변형시키는 잠금부(96)의 자세(본 실시에에서는 길이방향(101)의 위치)가 잠금자세에 상당한다.
자궁경부 세포가 채취된 후에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술자에 의해 관체(81)로부터 캡(84)이 분리된다. 이로 인해, 잠금부(96)에 가해져 있던 압축력이 소실되어 탄성변형부(97, 98)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그리고, 조작부재(83)가 관체(81)의 기단으로부터 빼내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잠금부(96)가 대경부(95)에서 인출되고, 탄성변형부(97, 98)가 세포 채취 부재(82)의 탄성편(92, 93)에서 분리된다. 이러한 탄성편(92, 93)이 탄성 변형하지 않는 잠금부(96)의 자세(본 실시예에서는 길이방향(101)의 위치)가 해제자세에 상당한다.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 탄성편(92, 93)은 관체(81)의 선단의 개구에 대하여 쉽게 진입 및 퇴출이 가능하다. 따라서, 관체(81)의 선단에 장착된 세포 채취 부재(82)는 예를 들어 세포 채취 부재(82)를 하측으로 하여 관체(81)의 길이방향(101)이 중력방향을 따른 상태가 되면 중력에 의해 쉽게 관체(81)에서 빠진다. 빠진 세포 채취 부재(82)는 도시하지 않는 보관용기에 수용된다.
이러한 제 4 실시예에 의해서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관체(81)의 수나사부(85)에 캡(84)이 나사결합함으로써 잠금부(96)에 압축력을 부여한 상태가 유지되지만, 수나사부(85) 및 암나사부(86)를 설치하지 않고 관체(81)의 기단측에 캡(84)을 걸어맞추어 길이방향(101)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부재(83)의 탄성변형부(97, 98)가 탄성 변형한 상태에서 세포 채취 부재(82)의 탄성편(92, 93)을 관체(81)의 내벽에 가압하고, 조작부재(83)가 관체(81)로부터 당겨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잠금부(96)가 잠금자세에서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하지만, 조작부재(83)의 탄성변형부(97, 98)가 넓어진 상태에서 좁아진 상태로 탄성 변형하는 것으로 하고, 조작부재(83)가 관체(81)로 밀어넣어짐으로써 잠금부(96)가 잠금자세에서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부(96)가 대경부(95)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탄성변형부(97, 98)가 탄성 복귀하여 잠금부(96)의 탄성변형부(97, 98)를 대경부(95)의 내벽에 밀어붙인다. 이로 인해, 탄성편(92, 93)이 관체(81)에 대하여 길이방향(101)을 따라 이동하거나 회전방향(103)을 따라 회전하거나 하지 않는다. 또한, 각 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조작부재(83)는 관체(81)에 기단측에서 스페이서(104) 등이 개재되거나 관체(81)와 걸어맞추어지거나 함으로써 관체(81)에 대하여 밀어넣어지지 않도록 유지되어 있다.
상술한 스페이서가 분리되거나 걸어맞춤이 해제됨으로써, 조작부재(83)가 관체(81)에 대하여 밀어넣기 가능하게 된다. 조작부재(83)가 관체(81)로 밀어넣어지면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부(96)의 선단이 세포 채취 부재(82)의 구멍(94)의 안으로 나아가는 동시에, 탄성변형부(97, 98)가 간격을 좁히도록 탄성변형한다. 이로 인해, 탄성편(92, 93)이 탄성복귀하여 관체(81)의 대경부(95)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잠금부(96)의 선단이 구멍(94)의 끝면에 맞닿아 세포 채취 부재(82)가 가압됨으로써 관체(81)의 선단에서 세포 채취 부재(82)가 분리된다.
이와 같은 변형예에 의해서도 제 4 실시에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제 5 실시예]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채취 장치(110)는 관체(111), 세포 채취 부재(112), 조작부재(113), 및 잠금부재(114)를 갖는다. 세포 채취 부재(112)는 관체(111)의 선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조작부재(113)는 관체(111)에 삽입되어 있다. 잠금부재(114)는 관체(111)에 내장되어 세포 채취 부재(112)와 걸어맞추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늘고 긴 관체(111)가 연장되는 방향을 길이방향(101)이라 한다. 길이방향(101)을 따라 관체(111)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선을 중심선(102)이라 한다. 중심선(10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방향을 회전방향(103)이라 한다. 또한, 관체(111)에 있어서 시술자가 잡는 쪽을 기단측(도 25에서 우측)이라 하고, 세포 채취 부재(112)가 장착되는 쪽을 선단측(도 25에서 좌측)이라 한다. 관체(111)의 선단이 제 1 단에 상당하고, 관체(111)의 기단이 제 2 단에 상당한다.
[관체(111)]
도 26 및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111)는 길이방향(101)으로 가늘고 긴 원관형상의 부재이다. 관체(111)는 선단 및 후단이 각각 개구하고 있고, 선단과 후단 사이에 내부 공간이 연속되어 있다. 관체(111)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서 형성된다. 관체(111)의 소재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외형이 다각형상이어도 된다. 관체(111)의 외형치수나 길이방향(101)의 길이는 기단측을 시술자가 잡고 세포 채취 부재(112)를 자궁경부로 도달시키기에 가장 적합하도록 설정된다.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111)의 내부 공간의 선단측에는 세포 채취 부재(112)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좌부(119)가 설치되어 있다. 좌부(119)는 중심선(102)을 따른 관통공(120)을 갖고 있다.
[세포 채취 부재(112)]
도 27 및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채취 부재(112)는 본체(115) 및 브러시(116)를 갖는다. 본체(115)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의 성형품이다. 브러시(116)는 본체(115)의 선단측에 형성된 구멍(117)에 삽입되어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브러시(116)는 스테인레스제의 축에 합성수지제의 섬유가 복수개 고정된 것이다. 브러시(116)의 구조나 형상은 엘라스토머의 성형품 등의 공지의 것이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관체(111)의 중심선(102)을 따라 축이 연장되어 있고, 그 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섬유가 넓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다른 형상이 채용되어도 된다. 또한, 도 27에서는 브러시(116)가 생략되어 있다.
본체(115)는 대략 원추형상의 외형을 나타내고 있다. 본체(115)의 기단측의 외경은 관체(111)의 내경보다 약간 작다. 따라서, 본체(115)는 관체(111)의 선단에서 내부 공간으로 진입 가능하다. 본체(115)의 기단측의 면에는 그 면으로부터 중심선(102)을 따라 돌출되는 걸어맞춤부(118)가 설치되어 있다. 걸어맞춤부(118)는 대략 원기둥형상이며, 그 돌출단에 외경이 넓어지는 브러시 형상의 걸어맞춤편(129)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부(118)는 관체(111)의 좌부(119)의 관통공(120)에 삽입통과 가능한 외형 치수이다.
본체(115)가 관체(111)의 선단에서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면, 걸어맞춤부(118)가 좌부(119)의 관통공(120)을 통과하고, 본체(115)의 기단측의 면이 좌부(119)와 맞닿는다. 이로 인해, 본체(115)가 관체(111)의 선단에 위치결정되어 장착된다.
[조작부재(113)]
도 26 및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재(113)는 길이방향(101)으로 가늘고 긴 원관형상의 부재이다. 조작부재(113)는 관체(111)의 내부 공간에 삽입 가능한 외경이며, 길이방향(101)의 길이는 관체(111)의 길이방향(101)의 길이보다 약간 짧다. 조작부재(113)의 선단은 개구하고 있고, 그 둘레 가장자리의 내주면측에 있어서 내경이 넓어지는 테이퍼형상의 가이드면(121)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재(113)의 기단에는 중심선(102)으로부터 떨어지는 외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122)가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부(122)의 외경은 관체(111)의 내경보다 크다. 따라서, 관체(111)의 기단측으로부터 삽입된 조작부재(113)는 플랜지부(122)가 관체(111)의 기단에 맞닿음으로써 더욱더 삽입이 규제된다.
[잠금부재(114)]
도 28 및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부재(114)는 외통부(123) 및 핀치부(124)를 갖는다. 외통부(123)는 핀치부(124)가 동작하기 위한 공간이 절개된 원통형상이다. 공간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외통부(123)는 연결부(132)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외통부(123)의 외경은 관체(111)의 내경보다 작다. 또한, 외통부(123)의 외경은 관체(111)의 좌부(119)와 맞닿을 수 있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관체(111)의 기단측으로부터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잠금부재(114)는 외통부(123)가 좌부(119)에 맞닿음으로써 선단 방향에 대하여 위치결정된다.
핀치부(124)는 외통부(123)의 기단측에 접속되어 있다. 핀치부(124)는 한 쌍의 평판부재(125, 126)가 외통부(123)와 연결부(132)의 접속부분의 탄성변형에 의해 회전운동하도록 자세 변화가 가능하다. 한 쌍의 평판부재(125, 126)는 외력이 부여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단측이 선단측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넓어진 자세가 된다. 평판부재(125, 126)의 선단측에는 대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갈고리부(127, 128)가 형성되어 있다. 갈고리부(127, 128)는 세포 채취 부재(112)의 걸어맞춤부(118)의 걸어맞춤편(129)으로부터 본체(115)의 기단측으로 끼워넣어, 걸어맞춤부(118)와 걸어맞춤 가능하다.
[코일스프링(130, 131)]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잠금부재(114)가 관체(111)에 삽입된 조립 상태에서, 한 쌍의 평판부재(125, 126) 사이에서 연결부(132)보다 선단측의 공간에 코일스프링(130)이 길이방향(101)을 압축방향으로 하여 조립되어 있다. 코일스프링(130)은 핀치부(124)가 세포 채취 부재(112)의 본체(115)의 걸어맞춤부(118)와 걸어맞추어진 상태에서 걸어맞춤부(118)의 걸어맞춤편(129)과 잠금부재(114)의 연결부(132) 사이에서 압축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잠금부재(114)와 조작부재(113) 사이에는 코일스프링(131)이 길이방향(101)을 압축방향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다. 코일스프링(131)은 잠금부재(114)의 외통부(123)와 조작부재(113)의 선단에 맞닿아 조작부재(113)를 관체(111)의 기단으로부터 빼내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있다. 코일스프링(131)에 탄성지지된 조작부재(113)의 가이드면(121)은 잠금부재(114)의 평판부재(125, 126)의 기단에 맞닿거나 근접한 위치가 된다. 이 상태에서 평판부재(125, 126)는 조작부재(113)로부터 자세 변화하기에 충분한 힘을 받고 있지 않고, 기단측이 선단측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넓어진 자세로 유지된다. 이 때의 잠금부재(114)의 자세가 잠금자세에 상당한다.
[세포 채취 장치(110)의 사용]
세포 채취 장치(110)는 예를 들어 자궁경부 세포의 채취에 있어서, 세포 채취 부재(112)가 관체(111)에 장착되고, 조작부재(113)가 잠금부재(114)와 세포 채취 부재(112)의 걸어맞춤부(118)가 걸어맞추어지는 잠금자세로 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잠금부재(114)와 세포 채취 부재(112)의 걸어맞춤부(118)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본체(115)가 좌부(119)에 가압되어 세포 채취 부재(112)는 관체(111)에 대하여 길이방향(101) 및 회전방향(103)에 대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시술자가 관체(111)의 기단부측을 잡고 밀고당기기나 회전 등의 조작을 행하면 그 힘이 세포 채취 부재(112)로 전달되어 세포 채취 부재(112)는 관체(111)와 일체로 이동 또는 회전한다.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111)의 선단에 세포 채취 부재(112)가 장착된 상태에서 관체(111)의 기단측으로부터 잠금부재(114) 및 코일스프링(130), 코일스프링(131), 조작부재(113)의 순서로 삽입된다. 잠금부재(114)의 평판부재(125, 126)의 갈고리부(127, 128)가 좌부(119)의 관통공(120)에 삽입통과된 세포 채취 부재(112)의 걸어맞춤부(118)에 맞닿은 상태에서 코일스프링(131)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조작부재(113)가 관체(111)에 밀어넣어지면, 조작부재(113)의 가이드면(121)이 평판부재(125, 126)의 기단에 대하여 슬라이딩하여 가이드면(121)을 따라 평판부재(125, 126)의 기단이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안내된다. 이로 인해, 평판부재(125, 126)의 선단측이 넓어져서 갈고리부(127, 128)의 간격이 걸어맞춤부(118)의 걸어맞춤편(129)의 외경보다 커진다.
코일스프링(130)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기 위해 관체(111)에 대하여 세포 채취 부재(112)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에서 조작부재(113)가 관체(111)에 더욱 밀어넣어지면 코일스프링(130)이 압축변형하여 잠금부재(114)가 좌부(119)에 맞닿을 때까지 이동한다. 그 후, 조작부재(113)의 밀어넣기가 멈추어지면 코일스프링(130)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조작부재(113)가 관체(111)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조작부재(113)의 가이드면(121)도 관체(111)의 기단측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평판부재(125, 126)가 기단측이 선단측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넓어진 자세로 탄성적으로 복귀하여, 갈고리부(127, 128)가 세포 채취 부재(112)의 걸어맞춤부(118)의 걸어맞춤편으로부터 본체(115)의 기단측으로 들어가서 잠금부재(114)와 걸어맞춤부(118)가 걸어맞추어진다. 이 걸어맞춤에 의해 코일스프링(131)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세포 채취 부재(112)가 관체(111)의 선단측에 장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자궁경부 세포가 채취된 후에는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술자에 의해 조작부재(113)의 플랜지부(122)가 코일스프링(131)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관체(111)의 기단측으로 밀린다. 이로 인해, 조작부재(113)가 관체(111)로 밀어넣어지고, 조작부재(113)의 가이드면(121)이 평판부재(125, 126)의 기단에 대하여 슬라이딩하여 가이드면(121)을 따라 평판부재(125, 126)의 기단이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안내된다. 이로 인해, 평판부재(125, 126)의 선단측이 넓어져서 갈고리부(127, 128)의 간격이 걸어맞춤부(118)의 걸어맞춤편(129)의 외경보다 커진다. 즉, 걸어맞춤부(118)와 잠금부재(114)와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이 때의 잠금부재(114)의 자세가 해제자세에 상당한다.
결어맞춤부(118)와 잠금부재(114)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면, 코일스프링(130)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세포 채취 부재(112)가 관체(111)의 선단으로부터 빠져나온다. 빠져나온 세포 채취 부재(112)는 도시하지 않는 보관용기에 수용된다.
이러한 제 5 실시예에 의해서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제 6 실시예]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채취 장치(150)는 관체(151), 세포 채취 부재(152), 및 조작부재(153)를 갖는다. 세포 채취 부재(152)는 관체(151)의 선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조작부재(153)는 관체(151)에 삽입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늘고 긴 관체(151)가 연장되는 방향을 길이방향(101)이라 한다. 길이방향(101)을 따라 관체(151)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선을 중심선(102)이라 한다. 중심선(10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방향을 회전방향(103)이라 한다. 또한, 관체(151)에 있어서 시술자가 잡는 쪽을 기단측(도 31에서 우측)이라 하고, 세포 채취 부재(152)가 장착되는 쪽을 선단측(도 31에서 좌측)이라 한다. 관체(151)의 선단이 제 1 단에 상당하고, 관체(151)의 기단이 제 2 단에 상당한다.
[관체(151)]
도 31 및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151)는 길이방향(101)으로 가늘고 긴 외형이 원기둥형상의 관형상의 부재이다. 관체(151)는 선단 및 후단이 각각 개구하고 있고, 선단과 후단 사이에는 원형의 내부 공간이 연속되어 있다. 관체(151)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서 형성된다. 관체(151)의 소재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외형이 각기둥형상이어도 된다. 관체(151)의 외형치수나 길이방향(101)의 길이는 기단측을 시술자가 잡고 세포 채취 부재(152)를 자궁경부로 도달시키기에 가장 적합하도록 설정된다.
도 35 및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151)의 선단측의 면에는 홈(154)이 설치되어 있다. 홈(154)은 관체(151)의 선단측의 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파여 있고, 중심선(102)을 따른 시점에서 보아 관체(151)의 외형을 따른 육각형을 나타내고 있다. 홈(154)은 세포 채취 부재(152)의 볼록편(158)이 삽입된다. 따라서, 홈(154)의 중심선(102)을 따른 깊이는 세포 채취 부재(152)에 있어서 볼록편(158)이 본체(155)로부터 중심선(112)을 따라 돌출되는 치수와 같은 정도이다.
도 32 및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151)의 기단측의 내면에는 내부 공간의 직경이 넓어진 대경부(166)가 설치되어 있다. 대경부(166)는 관체(151)의 기단측의 개구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대경부(166)에 있어서, 관체(151)의 기단측에는 팽출부(167)가 설치되어 있다. 팽출부(167)는 관체(151)의 내면의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4개가 배치되어 있다. 각 팽출부(167)와, 대경부(166)의 연출단에서의 단차부(168)는 길이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대경부(166)에는 조작부재(153)의 플랜지부(163)가 삽입되어 각 팽출부(167)와 걸어맞추어진다.
[세포 채취 부재(152)]
도 33 및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채취 부재(152)는 본체(155) 및 브러시(156)를 갖는다. 본체(155)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의 성형품이다. 브러시(156)는 본체(155)의 선단측에 형성된 구멍(157)에 삽입되어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브러시(156)는 스테인레스제의 축에 합성수지제의 섬유가 복수개 고정된 것이다. 브러시(156)의 구조나 형상은 엘라스토머의 성형품 등의 공지의 것이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관체(151)의 중심선(102)을 따라 축이 연장되어 있고, 그 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섬유가 넓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다른 형상이 채용되어도 된다.
본체(155)는 대략 원기둥형상의 외형을 나타내고 있다. 본체(155)의 기단측의 면에는 그 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볼록편(158)이 설치되어 있다. 볼록편(158)은 본체(155)의 기단측의 면으로부터 중심선(102)을 따라 돌출되어 있고, 중심선(102)을 따른 시점에서 보아 육각형을 나타내고 있다. 볼록편(158)이 본체(155)로부터 중심선(102)을 따라 돌출되는 치수는 후술하는 조작부재(153)의 수나사부(161)의 중심선(102)을 따른 치수와 같은 정도이다.
볼록편(158)의 두께는 관체(151)의 홈(154)에 삽입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다. 볼록편(158)은 본체(155)로부터 이어나오는 연출단으로 향하여 두께가 얇아지는 테이퍼형상을 이루고 있다. 볼록편(158)이 관체(151)의 홈(154)에 삽입되고, 본체(155)의 기단측의 면(169)과 관체(151)의 선단측의 면이 맞닿음으로써 본체(155)가 관체(151)의 선단에 각각의 축선이 합치하는 위치에 위치결정되어 장착된다. 볼록편(158)과 홈(154)과의 끼워맞춤에 의해 본체(155)는 관체(151)에 대하여 회전방향(103)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홈(154) 및 볼록편(158)이 끼워맞춤부에 상당한다.
본체(155)의 기단측의 면(169)에서의 볼록편(158)의 내측에는 중심선(102)을 따라 선단측으로 연장되는 나사구멍(159)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구멍(159)은 원통형상이며, 후술하는 조작부재(153)의 수나사부(161)와 나사결합한다. 나사구멍(159)의 중심선(102)을 따른 깊이는 후술하는 조작부재(153)의 수나사부(161)의 중심선(102)을 따른 치수와 같은 정도이다.
[조작부재(153)]
도 34 및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재(153)는 로드부(160), 수나사부(161), 손잡이부(162) 및 플랜지부(163)를 갖는다. 로드부(160)는 길이방향(101)으로 가늘고 긴 대략 원기둥형상의 부재이다. 로드부(160)는 관체(151)의 내부 공간에 삽입 가능한 외경이며, 길이방향(101)의 길이는 관체(151)의 길이방향(101)의 길이보다 약간 길다.
조작부재(153)의 선단측에는 수나사부(161)가 설치되어 있다. 수나사부(161)는 로드부(160)의 선단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부(161)는 세포 채취 부재(152)의 나사구멍(159)으로 진입하여 나사결합 가능하다. 수나사부(161)가 잠금부, 나사결합부에 상당한다. 수나사부(161)가 나사구멍(159)에 나사결합하는 자세가 잠금자세에 상당하고, 수나사부(161)가 나사구멍(159)으로부터 빠져나온 자세가 해제자세에 상당한다.
로드부(160)의 기단에는 손잡이부(162)가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부(162)는 로드부(160)의 외경 및 관체(151)의 내경보다 최소 외경이 큰 단면이 별형상이다. 로드부(160)의 외경은 관체(151)의 내경보다 약간 작다.
로드부(160)의 기단측에는 손잡이부(162)로부터 선단측으로 거리를 두고 플랜지부(163)가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부(163)는 로드부(16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또한 로드부(160)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하고 있다. 플랜지부(163)의 선단측의 면(164)은 중심선(102)으로부터 떨어지는 외방향으로 향하는 경사면이며, 플랜지부(163)의 기단측의 면(165)은 중심선(102)과 직교하고 있다. 면(165)과 손잡이부(162) 사이에는 관체(151)의 팽출부(167)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두고 있다. 플랜지부(163)의 외경은 관체(151)의 대경부(166)의 직경보다 작고, 또한 팽출부(167)의 선단 사이의 거리 및 관체(151)의 대경부(166) 이외의 내부 공간의 직경보다 크다.
[세포 채취 장치(150)의 사용]
세포 채취 장치(150)는 예를 들어 자궁경부 세포의 채취에 있어서, 세포 채취 부재(152)가 관체(151)에 장착되고, 조작부재(153)의 수나사부(161)가 나사구멍(159)에 나사결합한 상태에서 사용된다. 수나사부(161)가 잠금자세일 때, 세포 채취 부재(152)는 관체(151)에 대하여 길이방향(101) 및 회전방향(103)에 대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시술자가 관체(151)의 기단부측을 잡고 밀고당기기나 회전 등의 조작을 행하면, 그 힘이 세포 채취 부재(152)로 전달되어 세포 채취 부재(152)는 관체(151)와 일체로 이동 또는 회전한다.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체(151)의 선단에 세포 채취 부재(152)가 장착된 상태에서 세포 채취 부재(152)의 볼록편(158)과 관체(151)의 홈(154)이 끼워맞춤된다. 이로 인해, 세포 채취 부재(152)가 관체(151)에 대하여 회전방향(103)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또한, 조작부재(153)가 기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조작부재(153)의 수나사부(161)가 세포 채취 부재(152)의 나사구멍(159)에 나사결합된다. 이로 인해, 세포 채취 부재(152)는 관체(151)에 대하여 길이방향(101)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세포 채취 장치(150)의 조립시에 조작부재(153)가 관체(151)의 기단의 개구에 수나사부(161)측으로부터 삽입되면, 플랜지부(163)의 면(164)이 팽출부(167)와 맞닿아 대경부(166)의 직경이 확장되도록 탄성변형되어 플랜지부(163)가 단차부(168)와 팽출부(167) 사이로 진입한다. 이 상태에서 플랜지부(163)는 단차부(168)와 팽출부(167)에 끼워져서 걸어맞추어진 상태가 되고, 길이방향(101)에 대하여 관체(151)와의 상대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걸어맞춤상태에 있어서, 조작부재(153)는 관체(151)에 대하여 회전방향(103)으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자궁경부 세포가 채취된 후에는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술자에 의해 조작부재(153)의 손잡이부(162)와 관체(151)의 기단측이 잡혀져서 손잡이부(162)가 관체(151)에 대하여 회전된다. 이로 인해, 세포 채취 부재(152)의 나사구멍(159)으로부터 조작부재(153)의 수나사부(161)가 빠져나온다. 관체(151)와 조작부재(153)는 길이방향(101)에 대하여 상대이동하지 않으므로 세포 채취 부재(152)의 나사구멍(159)으로부터 조작부재(153)의 수나사부(161)가 빠져나오는 동시에, 세포 채취 부재(152)가 관체(151)의 선단으로부터 떨어져서 볼록편(158)이 홈(154)으로부터 빠져나온다. 볼록편(158)의 중심선(102)을 따른 치수와 수나사부(161)의 중심선(102)을 따른 치수가 같은 정도이므로, 수나사부(161)가 나사구멍(159)으로부터 빠져나올때까지 볼록편(158)과 홈(154)이 끼워맞춤되어 있고, 수나사부(161)가 나사구멍(159)으로부터 빠져나오면 볼록편(158)이 홈(154)으로부터 빠져나와 중력에 의해 쉽게 관체(151)에서 빠진다. 빠진 세포 채취 부재(152)는 도시하지 않는 보관용기에 수용된다.
제 6 실시예에 의해서도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제 7 실시예]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채취 장치(210)는 봉재(211) 및 세포 채취 부재(212)를 갖는다. 세포 채취 부재(212)는 봉재(211)의 선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늘고 긴 봉재(211)가 연장되는 방향을 길이방향(101)이라 한다. 길이방향(101)을 따라 봉재(211)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선을 중심선(102)이라 한다. 중심선(10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방향을 회전방향(103)이라 한다. 또한, 봉재(211)에 있어서 시술자가 잡는 쪽을 기단측(도 38에서 우측)이라 하고, 세포 채취 부재(212)가 장착되는 쪽을 선단측(도 38에서 좌측)이라 한다.
[봉재(211)]
도 38 및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재(211)는 길이방향(101)으로 가늘고 긴 부재이다. 봉재(211)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서 외형이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봉재(211)의 소재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다각기둥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봉재(211)와 같이 수지량을 줄이기 위해 길이방향(101)으로 가늘고 긴 홈이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봉재(211)의 외형치수나 길이방향(101)의 길이는 기단측을 시술자가 잡고 세포 채취 부재(212)를 자궁경부로 도달시키기에 가장 적합하도록 설정된다.
도 39 및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재(211)의 선단측에는 걸어맞춤부(220)가 설치되어 있다. 걸어맞춤부(220)는 봉재(211)의 선단으로부터 길이방향(101)으로 돌출되는 볼록부(221)와, 봉재(211)의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되는 갈고리(222, 223)와, 갈고리(222, 223)를 각각 자세 변화시키기 위한 가압부(224, 225)를 갖는다. 갈고리(222, 223) 및 가압부(224, 225)는 중심선(102)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위치에 한 쌍으로서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갈고리(222, 223) 및 가압부(224, 225)는 배치가 다른 것 외에는 같은 형상이므로 갈고리(222, 223) 및 가압부(224, 225)에 대해서는 한 쌍의 일방인 갈고리(222) 및 가압부(224)를 예로 하여 상세한 구성이 설명된다.
볼록부(221)는 봉재(211)의 선단으로부터 길이방향(101)을 따라 돌출되는 대략 원기둥형상의 외형이다. 볼록부(221)의 둘레면(226)은 봉재(211)로부터의 돌출단, 즉 선단으로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상이다. 볼록부(221)의 중심은 봉재(211)의 중심선(102)에 합치한다. 즉, 볼록부(221)는 봉재(211)의 중심선(102) 상에 배치되어 있다. 볼록부(221)의 테이퍼형상은 후술하는 오목부(246)에 삽입되었을 때에 볼록부(221)의 둘레면(226)과 오목부(246)의 둘레면(247)이 맞닿는 형상이다.
갈고리(222, 223)는 봉재(211)의 선단 부근으로부터 중심선(102)과 직교하는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갈고리(222)는 중심선(102)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봉재(211)의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되는 산형상이다. 갈고리(222)의 선단측에는 선단으로 향하여 중심선(102)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하는 경사면(227)이 형성되어 있다. 갈고리(222)의 기단측에는 중심선(102)과 거의 직교하는 걸림면(228)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227)과 걸림면(228)은 연속하고 있고, 경사면(227)과 걸림면(228)의 경계가 산형상의 능선이다. 갈고리(222)의 산형상의 능선의 중심선(102)으로부터의 거리는 봉재(211)의 기단측의 외주면의 중심선(102)으로부터의 거리와 같은 정도이다.
갈고리(222)와 볼록부(221) 사이에는 중심선(102)을 따라 연장되는 홈(22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갈고리(223)에 대해서는 홈(230)이 형성되어 있다. 홈(229)은 봉재(211)의 외면으로 개구하고 있다. 즉, 홈(229)은 봉재(211)를 관통하고 있다. 홈(229)에 의해 갈고리(222)와 볼록부(22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홈(229)의 외측에 위치하는 탄성변형부(231)가 볼록부(221)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탄성적으로 변형함으로써 갈고리(222)의 능선이 중심선(102)측으로 가까워진다.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변형부(231)가 탄성변형하지 않은 갈고리(222)의 자세를 걸어맞춤자세라 한다.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변형부(231)가 볼록부(221)측으로 기울어진 갈고리(222)의 자세를 해제자세라 한다. 마찬가지로, 홈(230)의 외측에 위치하는 탄서연형부(232)의 탄성변형에 의해 갈고리(223)가 걸어맞춤자세에서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한다.
탄성변형부(231, 232)의 외측에는 가압부(224, 22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가압부(224)는 탄성변형부(231)의 외측에 있어서 봉재(211)의 외면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팽출되어 있다.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부(224)는 중심선(102)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산형상을 이루고 있고, 봉재(211)의 기단측을 향하는 경사면(233)에 길이방향(10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길이방향(101)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기단측을 향하는 경사면(233)에 의해 가압부(224)가 봉재(211)의 기단측으로부터 밀어넣어지기 쉽게 되어, 경사면(233)에 형성된 복수의 홈에 의해 시술자의 손가락이 선단측으로 쉽게 미끌어지지 않는다. 또한, 가압부(225)의 경사면(234)에도 마찬가지로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세포 채취 부재(212)]
도 40 및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채취 부재(212)는 본체(240) 및 브러시(241)를 갖는다. 본체(240)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의 성형품이다. 브러시(241)는 본체(240)의 선단측에 형성된 구멍(242)에 삽입되어 접착제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브러시(241)는 스테인레스제의 축에 합성수지제의 섬유가 복수개 고정된 것이다. 브러시(241)의 구조나 형상은 엘라스토머의 성형품 등의 공지의 것이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봉재(211)의 중심선(102)을 따라 축이 연장되어 있고, 그 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섬유가 넓어지는 것이어도 되고, 다른 형상이 채용되어도 된다.
본체(240)의 기단측에는 원통부(243)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243)는 기단측에 개구(244)를 갖는다. 원통부(243)의 개구(244)를 통해 원통부(243)의 내부 공간으로 봉재(211)의 걸어맞춤부(220)가 삽입 가능하다. 개구(244)는 걸어맞춤부(220)의 갈고리(222, 223)가 배치되는 방향(도 40에서 상하방향)으로 가늘고 길다. 원통부(243)의 내부 공간은 걸어맞춤부(220)의 볼록부(221) 및 갈고리(222, 223)가 삽입 가능한 치수 및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원통부(243)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개구(244)와 반대측의 끝면(245)에는 오목부(246)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46)는 세포 채취 부재(212)의 중심선(102) 상에 설치되어 있고, 중심선(102)을 따라 선단측으로 이어내어져 있다. 오목부(246)는 걸어맞춤부(220)의 볼록부(221)에 대응한 형상 및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즉, 오목부(246)는 그 둘레면(247)이 볼록부(221)의 둘레면(226)과 맞닿도록 선단측으로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형상이다.
원통부(243)의 둘레벽(248)에는 중심선(102)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둘레벽(248)을 관통하는 한 쌍의 구멍(249, 250)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249, 250)은 중심선(102)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위치에 한 쌍으로서 각각 배치되어 있다. 구멍(249, 250)은 배치가 다른 것 외에는 같은 형상이므로 구멍(249, 250)에 대해서는 한 쌍의 일방인 구멍(249)을 예로 하여 상세한 구성이 설명된다.
구멍(249)은 직사각형의 관통공이다. 구멍(249)의 형상은 걸어맞춤부(220)의 갈고리(222)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다. 구멍(249)에는 갈고리(222)를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구멍(249)의 치수는 갈고리(222)의 외형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걸어맞춤 자세의 갈고리(222)가 구멍(249)에 삽입된 상태에서 갈고리(222)의 걸림면(228)이 구멍(249)의 둘레가장자리에 맞닿을 수 있다. 이로 인해, 갈고리(222)와 구멍(249)이 걸어맞추어진다. 또한, 구멍(250)에는 갈고리(223)가 삽입되어 걸어맞추어진다.
[봉재(211) 및 세포 채취 부재(212)가 걸어맞추어진 상태의 세포 채취 장치(210)]
세포 채취 장치(210)는 자궁경부 세포의 채취에 있어서, 세포 채취 부재(212)가 봉재(2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봉재(211)의 걸어맞춤부(220)의 볼록부(221) 및 갈고리(222, 223)가 세포 채취 부재(212)의 원통부(243)의 개구(244)로부터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다. 걸어맞춤부(220)는 가늘고 긴 개구(244)에 대하여 갈고리(222, 223)를 개구(244)의 가늘고 긴 방향으로 배치하여 삽입된다. 갈고리(222, 223)가 개구(244)에 삽입됨으로써 세포 채취 부재(212)가 봉재(211)에 대하여 회전방향(103)에 대하여 거의 고정된다. 그리고, 볼록부(221)가 오목부(246)에 삽입되고, 또한 갈고리(222, 223)가 원통부(243)의 둘레벽(248)의 구멍(249, 250)에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세포 채취 부재(212)가 봉재(211)에 대하여 길이방향(101) 및 회전방향(103)에 대하여 고정된다.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재(211)에 세포 채취 부재(212)가 장착된 상태에서 걸어맞춤부(220)의 볼록부(221)는 테이퍼형상의 둘레면(226)이 오목부(246)의 둘레면(247)에 가압접촉되어 있다. 둘레면(226)과 둘레면(247)과의 가압접촉에 의해 봉재(211)를 길이방향(101)을 따라 선단측으로 미는 힘, 및 봉재(211)를 회전방향(103)으로 회전하는 힘이 세포 채취 부재(212)로 전달된다. 이들 힘이 전달될 때에는 원통부(243)의 둘레벽(248)의 구멍(249, 250)에 삽입되어 있는 걸어맞춤부(220)의 갈고리(222, 223)는 구멍(249, 250)의 둘레가장자리와 맞닿아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이들 힘의 전달에 있어서, 갈고리(222, 223)에 부하가 생기지 않는다.
또한, 회전방향(103)으로의 회전하는 힘이 봉재(211)에서 세포 채취 부재(212)로 전달될 때에, 가령 둘레면(226)이 둘레면(247)에 대하여 미끄러졌다고 해도 갈고리(222, 223)가 구멍(249, 250)의 둘레가장자리와 맞닿음으로써 봉재(211)가 세포 채취 부재(212)에 대하여 공전하지 않는다.
갈고리(222, 223)와 둘레벽(248)의 구멍(249, 250)과의 걸어맞춤, 예를 들어 갈고리(222)의 걸림면(228)이 구멍(249)의 둘레가장자리와 걸어맞추어짐으로써 봉재(211)를 길이방향(101)을 따라 기단측으로 당기는 힘이 세포 채취 부재(212)로 전달된다.
자궁경부 세포가 채취된 후에는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부(224, 225)가 가압됨으로써 걸어맞춤 자세의 갈고리(222, 223)가 해제 자세로 자세 변화된다. 가압부(224, 225)의 각 경사면(233, 234)은 봉재(211)의 기단측으로 향하고 있으므로 세포 채취 부재(212)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봉재(211)의 기단측으로부터 가압부(224, 225)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224, 225)는 중심선(102)에 대하여 대칭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각각 가압하는 방향이 상반되므로 가압부(224, 225)를 끼워넣도록 하여 한번에 쌍방을 가압하는 것이 용이하다.
가압부(224, 225)가 가압됨으로써 탄성변형부(231, 232)가 볼록부(221)로 가까워지도록 탄성변형한다. 이에 따라, 갈고리(222, 223)도 볼록부(221)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해제자세가 된다. 해제자세의 갈고리(222, 223)는 원통부(243)의 둘레벽(248)의 구멍(249, 250)에서 빠진다. 이로 인해, 세포 채취 부재(212)와 봉재(211)가 길이방향(101)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갈고리(222, 223)가 개구(244)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세포 채취 부재(212)는 봉재(211)에 대하여 회전방향(103)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그리고, 세포 채취 부재(212)가 봉재(211)보다 하방이 되도록 봉재(211)의 길이방향(101)이 연직방향을 따르도록 조작됨으로써 세포 채취 부재(212)가 봉재(211)로부터 빠진다. 빠진 세포 채취 부재(212)는 도시하지 않는 보관용기에 수용된다.
[제 7 실시예의 작용효과]
제 7 실시예에 의하면, 걸어맞춤부(220)의 볼록부(221)가 원통부(243)의 오목부(246)에 삽입되고, 또 걸어맞춤 자세의 갈고리(222, 223)가 원통부(243)의 둘레벽(248)의 구멍(249, 250)에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자궁경부의 세포를 채취할 때에는 세포 채취 부재(212)가 봉재(211)에서 빠지지 않고, 채취 후에 세포 채취 부재(212)가 봉재(211)에서 쉽게 분리된다.
또한, 갈고리(222, 223), 가압부(224, 225), 및 구멍(249, 250)이 한 쌍 설치되어 있으므로 자궁경부 세포의 채취시에 가압부(224, 225)이 일방에 어떤 외력이 가해져서 대응하는 갈고리(222, 223)의 어느 일방이 해제자세로 되어 구멍(249, 250)에서 빠졌다고 해도, 갈고리(222, 223)의 타방은 구멍(249, 250)과 걸어맞추어진 상태에 있으므로 세포 채취 부재(212)가 봉재(211)에서 빠지지 않는다.
또한 갈고리(222, 223), 가압부(224, 225), 및 구멍(249, 250)의 한 쌍이 중심선(102)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양방의 가압부(224, 225)에 한번에 외력이 가해질 가능성이 적다.
또한, 걸어맞춤부(220)가 봉재(211)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가압부(224, 225)를 가압할 때에 세포 채취 부재(212)에 접촉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볼록부(221)가 봉재(211)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봉재(211)에 있어서 볼록부(221)와 갈고리(222, 223)와의 간격을 크게 하기가 쉬워진다. 이로 인해, 걸어맞춤 자세에서 해제자세로의 갈고리(222, 223)의 이동량을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갈고리(222, 223)와 원통부(243)의 둘레벽(248)의 구멍(249, 250)과의 걸어맞춤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221)는 둘레면(226)이 선단으로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게 되는 테이퍼형상이며, 봉재(211)에 세포 채취 부재(212)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둘레면(226)이 오목부(246)의 둘레면(247)에 가압접촉되므로, 시술자가 봉재(211)를 미는 힘 및 회전시키는 힘이 세포 채취 부재(212)로 전달될 때에 이들 힘이 갈고리(222, 223)와 구멍(249, 250)과의 걸어맞춤 개소에 대한 부하가 되지 않는다.
[제 7 실시예의 변형예]
상술한 제 7 실시예에서는 봉재(211)에 볼록부(221)가 설치되고, 세포 채취 부재(212)에 오목부(246)가 설치되어 볼록부(221)가 오목부(246)에 삽입되는 구성이 나타나 있으나,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재(211)에 오목부(246)가 설치되어 세포 채취 부재(212)에 볼록부(221)가 설치되는 구성이 채용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제 7 실시예에서는 갈고리(222, 223), 가압부(224, 225), 및 구멍(249, 250)이 한 쌍 설치된 구성이 나타나 있으나, 도 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한 쌍 중의 일방만이, 예를 들어 갈고리(222), 가압부(224) 및 구멍(249)만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갈고리(222, 223), 가압부(224, 225), 및 구멍(249, 250)을 한 쌍 설치할 공간이 필요없으므로 봉재(211)의 외형 치수를 작게 하거나, 걸어맞춤부(220)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221) 및 오목부(246)는 중심선(102)으로부터 오프셋되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제 7 실시예에 있어서, 도 45 및 도 4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채취 부재(212)의 오목부(246)에 코일스프링(235)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4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채취 부재(212)가 봉재(211)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봉재(211)의 볼록부(221)가 코일스프링(235)을 압축변형시키면서 오목부(246)에 삽입되고, 또한 갈고리(222, 223)가 원통부(243)의 둘레벽(248)의 구멍(249, 250)에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세포 채취 부재(212)가 봉재(211)에 대하여 길이방향(101) 및 회전방향(103)에 대하여 고정된다. 또한, 코일스프링(235)의 탄성지지력에 저항하여 세포 채취 부재(212)가 봉재(211)에 장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4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부(224, 225)가 가압되어 탄성변형부(231, 232)가 볼록부(221)로 가까워지도록 탄성변형함으로써 갈고리(222, 223)가 이동하여 해제자세가 된다. 이로 인해, 코일스프링(235)의 탄성지지력을 받고 있는 세포 채취 부재(212)는 봉재(211)로부터 길이방향(101)을 따라 빠져나간다. 따라서, 봉재(211)로부터 세포 채취 부재(212)가 확실하고 용이하게 분리된다.
또한 상술한 제 7 실시예에서는, 봉재(211)에 걸어맞춤부(22)가 설치되고, 세포 채취 부재(212)에 원통부(243)가 설치된 구성이 나타나 있으나, 봉재(211)에 원통부(243)가 설치되고, 세포 채취 부재(212)에 걸어맞춤부(220)가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제 7 실시예에서는, 볼록부(221)는 둘레면(226)이 선단으로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상이며, 봉재(211)에 세포 채취 부재(212)가 장착된 상태에서 둘레면(226)이 오목부(246)의 둘레면(247)에 압접하는 구성이 나타나 있으나, 볼록부(221)의 둘레면(226)과 오목부(246)의 둘레면(247)이 가압접촉하지 않는 구성이 채용되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회전방향(103)의 힘이 볼록부(221)와 오목부(246)와의 가압접촉에 의해서는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갈고리(222, 223)와 구멍(249, 250)과의 걸어맞춤에 의해 회전방향(103)의 힘이 봉재(211)에서 세포 채취 부재(212)로 전달된다. 또한, 볼록부(221)가 다각기둥형상이며, 오목부(246)가 볼록부(221)의 다각기둥형상이 끼워넣는 다각형상이면 볼록부(221)와 오목부(246)와의 끼워맞춤에 의해 회전방향(103)의 힘이 봉재(211)에서 세포 채취 부재(212)로 전달된다.
또한, 상술한 제 7 실시예에서는 봉재(211)의 걸어맞춤부(220)의 볼록부(221)는 봉재(211)의 선단으로부터 길이방향(101)을 따라 돌출되는 대략 원기둥형상의 외형이지만, 도 47, 도 4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221)는 봉재(211)의 선단으로부터 길이방향(101)을 따라 돌출되는, 중심선(102)과 직교하는 단면형상이 「+(플러스)」형상인 기둥체의 외형이어도 된다.
또한 볼록부(221)의 형상에 맞추어 원통부(243)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개구(244)와 반대측의 끝면(245)에 형성된 오목부(246)는 「+」형상의 볼록부(221)에 대응한, 중심선(102)과 직교하는 단면형상이 「+」형상인 중심선(102)을 따른 홈이며, 그 「+」형상의 외면은 「+」형상의 볼록부(221)의 대응하는 외면과 각각 맞닿는다.
서로 대응하는 「+」형상의 볼록부(221) 및 오목부(246)에 의해 봉재(211)에서 세포 채취 부재(212)로의 회전방향(103)의 힘이 전달되기 쉬워진다. 또한, 볼록부(221)가 중심선(10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의 외력에 대하여 쉽게 휘지 않게 되므로, 볼록부(221)가 휘어짐으로써 갈고리(222, 223)가 구멍(249, 250)에서 빠지는 현상이 쉽게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도 4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상의 볼록부(221)는 중심선(102)(도 49(A)의 지면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에, 중심선(102)에 있어서 직교하는 2개의 「-(마이너스)」형상의 굵기(도 49(A)의 좌우방향을 따른 치수(d1), 상하방향을 따른 치수(d2))가 달라도 된다. 이로 인해, 볼록부(221)를 중심선(102)을 중심으로 하여 90도 회전시키면 직교하는 「-」형상의 굵기가 다른 외형이 된다.
또한, 상술한 볼록부(221)의 형상이 채용될 때, 도 4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볼록부(221)의 형상에 맞추어 원통부(243)의 끝면(245)에 형성된 오목부(246)의 「+」형상의 홈도 중심선(102)에 있어서 직교하는 2개의 「-(마이너스)」형상의 굵기(도 49(B)의 좌우방향을 따른 치수(d1), 상하방향을 따른 치수(d2))가 다르다.
상술한 볼록부(221) 및 오목부(246)는 봉재(211)의 갈고리(222, 223)와, 원통부(243)의 둘레벽(248)의 구멍(249, 250)이 걸어맞춤 가능한 관계로 배치된다. 즉, 볼록부(221)의 「+」형상 중 굵은 쪽인 「-」형상(치수(d1))과, 오목부(246)의 「+」형상 중 굵은 쪽인 「-」형상(치수(d1))이 합치할 때, 갈고리(222, 223)가 구멍(249, 250)과 걸어맞추어질 수 있다.
반대로, 봉재(211)와 세포 채취 부재(212)의 원통부(243)와의 상대적인 위치관계가 중심선(102)에 대하여 90도 회전하여 갈고리(222, 223)가 구멍(249, 250)과 걸어맞추어지지 않는 위치관계일 때, 볼록부(221)의 「+」형상 중 굵은 쪽인 「-」형상(치수(d1))이 오목부(246)의 「+」형상 중 가는 쪽인 「-」형상(치수(d2))으로 끼워넣고자 하는데, 해당 「-」형상에서의 볼록부(221)의 굵기가 오목부(246)의 굵기보다 굵기 때문에 이 위치관계에서는 봉재(211)에 세포 채취 부재(212)를 장착할 수 없다. 이로 인해, 봉재(211)와 세포 채취 부재(212)와의 조립시에 갈고리(222, 223)가 구멍(249, 250)과 걸어 맞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볼록부(221)가 오목부(246)에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술한 각 세포 채취 장치(10, 50, 70, 80, 110, 150, 210)는 각 세포 채취 부재(12, 52, 82, 112, 152, 212)를 덮는 캡(300)을 갖고 있어도 된다. 제 7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세포 채취 장치(210)를 예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300)은 세포 채취 부재(212)를 내포할 수 있는 원통형상이며, 그 양끝이 되는 단(301, 302)은 개구하고 있다. 따라서, 캡(300)의 내경은 세포 채취 부재(212)의 최대 외경과 같거나 약간 크다. 또한, 캡(300)의 선단측, 즉 세포 채취 부재(212)의 삽입구가 되지 않는 쪽의 단(301)은 막혀 있어도 되고, 또한 캡(300)의 내경은 반드시 길이방향(101)을 따라 일정하지 않아도 된다.
도 5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재(211)에 세포 채취 부재(212)가 장착된 상태, 즉 봉재(211)의 갈고리(222, 223)가 세포 채취 부재(212)의 구멍(249, 250)에 진입하여 끼워맞추어진 상태에서 캡(300)의 단(302)으로 세포 채취 부재(212)가 삽입되도록 하여 캡(300)이 세포 채취 장치(210)에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캡(300)의 단(302)은 가압부(224, 225)의 선단측(캡(300)의 단(302)과 대향하는 쪽)의 단면(251, 252)과 맞닿는다. 단면(251, 252)은 봉재(211)의 중심선(102)과 거의 직교하는 평면이며, 세포 채취 장치(210)에 장착된 캡(300)의 단(302)측의 외주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단면(251, 252)이 캡(300)의 외주면보다 돌출되는 치수는 가압부(224, 225)가 중심선(102)쪽으로 가압할 수 있는 치수보다 크다. 따라서, 가령 가압부(224, 225)가 중심선(102)쪽으로 가압된 상태라도 단면(251, 252)은 캡(300)의 단(302)측의 외주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캡(300)의 단(302)이 단면(251, 252)보다 봉재(211)의 기단측(도 50에서의 우측)까지 삽입되지 않으므로, 캡(300)이 세포 채취 장치(210)에 장착될 때에 가압부(224, 225)가 캡(300)의 내부 공간에 밀어넣어져서 중심선(102)쪽으로 가압된 상태가 되지 않는다. 즉, 캡(300)이 세포 채취 장치(210)에 장착된 상태에서 갈고리(222, 223)가 구멍(249, 250)에서 빠진 상태가 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캡(300)이 세포 채취 장치(210)에서 분리될 때에 불시에 캡(300)과 함께 세포 채취 부재(212)가 봉재(211)에서 빠지는 경우가 없다.
또한, 도 5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부(224, 225)의 단면(251, 252)이 중심선(102)에 대하여 외측이 내측보다 봉재(211)의 선단측(캡(300)의 단면(302)측)에 가까워지도록 경사되어 있으면 캡(300)의 단(302)이 단면(251, 252)을 타고 넘어 봉재(211)의 기단측으로 진행되는 것이 한층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도 5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부(224, 225)의 단면(251, 252)을 캡(300)의 단면(302)과 맞닿게 하지 않아도 가압부(224, 225)가 설치되지 않은 봉재(211)의 선단측, 즉 가압부(224, 225)와는 중심선(102)을 중심으로 하여 90° 위상이 다르고, 또한 단면(251, 252)보다 봉재(211)의 선단측에 봉재(211)의 외주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볼록부(253, 254)를 설치해도 된다. 볼록부(253, 254)는 캡(300)의 단부(302)측의 외주면보다 봉재(211)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로 인해, 세포 채취 장치(210)에 장착된 캡(300)의 단면(302)은 볼록부(253, 254)와 맞닿아 가압부(224, 225)의 단면(251, 252)보다 봉재(211)의 기단측으로 진행되지 않으므로 상술한 것과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볼록부(253, 254)는 어느 한쪽만이 봉재(211)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도 5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부(224, 225)의 단면(251, 252)을 캡(300)의 단면(302)과 맞닿게 하지 않아도 가압부(224, 225)보다 봉재(211)의 선단측에 봉재(211)의 외주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원환형상의 플랜지(255)를 설치해도 된다. 플랜지(255)는 캡(300)의 단(302)측의 외주면으로부터 봉재(211)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로 인해, 세포 채취 장치(210)에 장착된 캡(300)의 단면(302)은 플랜지(255)의 선단측의 면과 맞닿아 가압부(224, 225)의 단면(251, 252)으로부터 봉재(211)의 기단측으로 진행되지 않으므로 상술한 것과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플랜지(255)는 반드시 봉재(211)의 중심선(102) 둘레에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중심선(102) 둘레의 일부에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5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부(224, 225)의 단면(251, 252)을 캡(300)의 단면(302)과 맞닿게 하지 않아도 가압부(224, 225)로부터 봉재(211)의 선단측으로, 봉재(211)의 외경이 캡(300)의 단부(302)측의 외경보다 커지는 대경부(256)를 설치해도 된다. 이로 인해, 세포 채취 장치(210)에 장착된 캡(300)의 단면(302)은 대경부(256)의 선단측의 면과 맞닿아 가압부(224, 225)의 단면(251, 252)으로부터 봉재(211)의 기단측으로 진행되지 않으므로, 상술한 것과 동일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대경부(256)는 반드시 봉재(211)의 중심선(102) 둘레에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중심선(102) 둘레의 일부에만 볼록부로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10, 50, 70, 80, 110, 150 : 세포 채취 장치
11, 51, 81, 111, 151 : 관체
12, 52, 82, 112, 152 : 세포 채취 부재
13, 53, 83, 113, 153 : 조작부재
31 : 잠금부
42, 43, 92, 93 : 탄성편(변형부)
54, 154 : 홈(끼워맞춤부)
58, 158 : 볼록부(끼워맞춤부)
59, 159 : 나사구멍(나사결합부)
61, 161 : 수나사부(잠금부, 나사결합부)
72 : 걸어맞춤부(잠금부)
96 : 잠금부 114 : 잠금부재
210 : 세포 채취 장치 211 : 봉재
212 : 세포 채취 부재 220 : 걸어맞춤부
221 : 볼록부 222, 223 : 갈고리
224, 225 : 가압부 243 : 원통부
246 : 오목부 248 : 둘레벽
249, 250 : 구멍

Claims (4)

  1. 봉재 또는 세포 채취 부재의 일방에 걸어맞춤부가 설치되어 해당 봉재의 선단에 해당 세포 채취 부재가 착탈 가능한 세포 채취 장치로서,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봉재 또는 상기 세포 채취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와,
    상기 봉재 또는 상기 세포 채취 부재의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걸어맞춤자세에서 해제자세로 탄성적으로 자세 변화하는 갈고리와,
    상기 봉재 또는 상기 세포 채취 부재의 외면으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갈고리를 걸어맞춤자세에서 해제자세로 자세 변화시키기 위해 가압되는 가압부를 갖고 있고,
    상기 봉재 또는 상기 세포 채취 부재의 타방에,
    상기 볼록부 또는 오목부 및 상기 갈고리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 가능한 원통부와,
    상기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삽입 가능한 오목부 또는 볼록부와,
    상기 원통부의 둘레벽에 설치되어 있고, 걸어맞춤자세의 상기 갈고리가 삽입되어 걸어맞춤 가능한 구멍이 설치된 것이고,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봉재에 설치되어 있는 세포 채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 상기 가압부 및 상기 구멍은 상기 봉재 또는 상기 세포 채취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위치에 한 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는 상기 중심선 상에 배치되어 있는 세포 채취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봉재에 설치되어 있는 세포 채취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선단으로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상이며, 상기 봉재의 선단에 상기 세포 채취 부재가 장착된 상태에서 그 테이퍼면이 상기 오목부에 압접하는 세포 채취 장치.
KR1020217016281A 2013-05-24 2014-05-23 세포 채취 장치 KR1023518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09670 2013-05-24
JP2013109667 2013-05-24
JP2013109670 2013-05-24
JPJP-P-2013-109667 2013-05-24
KR1020157035011A KR102292694B1 (ko) 2013-05-24 2014-05-23 세포 채취 장치
PCT/JP2014/063706 WO2014189130A1 (ja) 2013-05-24 2014-05-23 細胞採取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011A Division KR102292694B1 (ko) 2013-05-24 2014-05-23 세포 채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943A true KR20210066943A (ko) 2021-06-07
KR102351823B1 KR102351823B1 (ko) 2022-01-17

Family

ID=519336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011A KR102292694B1 (ko) 2013-05-24 2014-05-23 세포 채취 장치
KR1020217016281A KR102351823B1 (ko) 2013-05-24 2014-05-23 세포 채취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011A KR102292694B1 (ko) 2013-05-24 2014-05-23 세포 채취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365534B2 (ko)
KR (2) KR102292694B1 (ko)
WO (1) WO20141891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4562B (zh) * 2016-08-30 2023-12-12 苏州施莱医疗器械有限公司 缩进型头部按压式一次性采血器
SE540914C2 (en) * 2017-03-10 2018-12-18 Aprovix Ab A self-sampling device for vaginal fluid collection
KR102009522B1 (ko) * 2019-02-21 2019-08-09 (주)바이오다인 자궁 검진을 위한 탈락세포 채취장치
WO2022195328A1 (en) * 2021-03-18 2022-09-22 Chaffringeon Bernard Marie Breakable swab applicator for use with a sampling cloth and a swab kit
CN114209365B (zh) * 2021-12-22 2023-06-23 湖南港湾科学仪器有限公司 一种胆道及胰管细胞无痛无创收集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00320A (ja) 1988-05-10 1992-01-23 ストルムビ,ニルス ブラシ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103768A (ko) * 2005-03-28 2006-10-04 (주)메드멕스 액상세포를 이용한 자궁암 검진 세포채취브러쉬
JP2008534005A (ja) * 2005-03-28 2008-08-28 メディメッ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腫瘍スクリーニングシステム、液状細胞診(lbc)用コレクションバイアル、頸癌液状細胞診(lbc)用ブラシ及び細胞診用支持溶液
WO2011021931A1 (en) * 2009-08-21 2011-02-24 Rovers Holding B.V. Sampling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20120157878A1 (en) * 2009-08-28 2012-06-21 Arx Tech Llc Anatomically designed and collapsible intravaginal device for self-sampling and containment of cervical epithelial cells
CN107920809A (zh) * 2015-08-10 2018-04-17 索罗赛尔有限公司 用于对宫颈组织进行取样的医疗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807075D0 (en) * 1998-04-01 1998-06-03 Smiths Industries Plc Endometrial samplers
DE102004010983A1 (de) * 2004-03-03 2005-09-22 Georg-August-Universität Göttingen Vorrichtung zur Entnahme und Ausstrich von Zellen
US20050277846A1 (en) * 2004-06-09 2005-12-15 Chun-Shan Chou Cervical tissue sampling device
EP2263552A1 (en) * 2009-06-17 2010-12-22 Switch bvba Snap-release cell colle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00320A (ja) 1988-05-10 1992-01-23 ストルムビ,ニルス ブラシ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103768A (ko) * 2005-03-28 2006-10-04 (주)메드멕스 액상세포를 이용한 자궁암 검진 세포채취브러쉬
JP2008534005A (ja) * 2005-03-28 2008-08-28 メディメッ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腫瘍スクリーニングシステム、液状細胞診(lbc)用コレクションバイアル、頸癌液状細胞診(lbc)用ブラシ及び細胞診用支持溶液
WO2011021931A1 (en) * 2009-08-21 2011-02-24 Rovers Holding B.V. Sampling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20120157878A1 (en) * 2009-08-28 2012-06-21 Arx Tech Llc Anatomically designed and collapsible intravaginal device for self-sampling and containment of cervical epithelial cells
CN107920809A (zh) * 2015-08-10 2018-04-17 索罗赛尔有限公司 用于对宫颈组织进行取样的医疗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694B1 (ko) 2021-08-23
KR102351823B1 (ko) 2022-01-17
KR20160012157A (ko) 2016-02-02
JP6365534B2 (ja) 2018-08-01
JPWO2014189130A1 (ja) 2017-02-23
WO2014189130A1 (ja) 2014-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2694B1 (ko) 세포 채취 장치
US9554734B2 (en) Disposable automatic painless safe hemostix
US5637101A (en) Quick release needle coupling system
US10987090B2 (en) Method of obtaining biological material via biological sampling device
US8043318B2 (en) Push-button lance device and method
US20070161960A1 (en) Lancet device
CN209499742U (zh) 一种针头自动回缩式采血针
US20050234495A1 (en) Adjustable lancet device and method
AU1284097A (en) Needle holder for fluid collection and/or injection system
US20090216154A1 (en) Automatically retractable safety blood sampler
US86676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upling an extendable element to an actuator
CN210903128U (zh) 导丝操作器的外套锁紧结构
CN102525489B (zh) 安全分体式采血器
CN203609428U (zh) 一次性采血器
JP6294612B2 (ja) カテーテルの解除可能ブロックシステム
CN103549964A (zh) 一次性采血器
CN111658904A (zh) 皮肤科针头收集销毁装置
KR100923778B1 (ko) 안전 채혈침
JP3544204B1 (ja) 光コネクタの雌プラグ
EP4278972A1 (en) Replacement-type blood-collecting device
CN218960955U (zh) 一种带有锁定保险的乳腺组织标记物推送器
CN116602670A (zh) 自动回拉安全采血针
AU2021101978A4 (en) A Pin Retaining Device and Uses Thereof
CN215993791U (zh) 一种盖板快拆装置
CN211094630U (zh) 一种弯角度可自动退片式椎弓根钉尾部折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