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687A -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687A
KR20210066687A KR1020200045053A KR20200045053A KR20210066687A KR 20210066687 A KR20210066687 A KR 20210066687A KR 1020200045053 A KR1020200045053 A KR 1020200045053A KR 20200045053 A KR20200045053 A KR 20200045053A KR 20210066687 A KR20210066687 A KR 20210066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derly
senior care
smart phone
senior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3933B1 (ko
Inventor
양승해
윤정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앤지테크
양승해
윤정관
주식회사 소풍앤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앤지테크, 양승해, 윤정관, 주식회사 소풍앤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앤지테크
Publication of KR20210066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Communica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units via remote transmission means, e.g. satellite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94Display details on parent un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2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deviation from an expected pattern of behaviour or schedul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sych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니어케어 기술을 개시한다. 즉, 특히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은 경노인, 그리고 경노인과 혈연, 지연, 학연, 업연으로 맺어진 가족그룹, 친구그룹, 협력그룹, 관할지역 내 기관그룹 및 관할 지자체 내 생활관리사 또는 사회복지사를 포함하는 복리후생 그룹으로 나눠 미리 그룹핑해 두며, 경노인의 평상시 행동패턴을 실시간으로 인지 및 분석해 평상시 행동패턴에 이상여부를 판단해 그에 따른 조치 및 알림을 신속히 처리한다.

Description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Total management system for supporting a senior care platform services and Drive Method of the Smae}
본 발명은 시니어케어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노인의 평상시 행동패턴을 실시간으로 인지 및 분석해 평상시 행동패턴에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시 상기 여럿 그룹 중 하나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일원에게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신속하게 공지해 주는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니어(senior)란 연장자라는 뜻을 가진 단어로서 노인이나 고령자 등을 의미하며, 시니어 케어란 시니어를 대상으로 요양, 목욕, 간호와 같은 기본적 케어뿐 아니라 집에서 생활하는 것처럼 여가, 의료, 문화 등 생활의 전반적인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합 라이프 케어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시니어 시설 또는 시니어케어 시설은 시니어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인들을 위한 거주단지, 요양 시설 등을 의미한다.
대한민국 국민의 기대수명이 8240세(2014년 통계청 통계자료)로 늘어났다. 고령화 사회에 진입함에 따라 몇 가지 사회적 문제와 도전에 직면했다. 노인 관점에 말하자면 은퇴를 하더라도 여전히 긴 생애가 남아 있다는 점이 각자의 인생에 도전적인 상황을 초래한다. 은퇴를 함으로써 부양의 문제와 사회적 관계와 문제와 경제활동의 문제가 생긴다.
핵가족 사회는 전통적인 대가족 문화를 해체하였다. 문화적인 영향이건 경제적 여력의 문제이건 자식 세대가 노인 세대를 부양하기는 어렵게 됐다. 노인 스스로 자신의 건강한 여생을 책임져야 한다. 동시에 은퇴 이후의 사회적 관계를 지속해야 하는 부담도 은퇴자들은 고민하게 되었다. 은퇴자들은 은퇴하기 전의 경제활동을 통해서 축적한 재산이 있고, 그 재산으로 수십 년 이상의 여생을 살아가야 하기 때문에 한편으로는 잘 짜인 재산관리와 다른 한편으로는 새로운 경제활동의 가능성을 탐색해야만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종래의 양로원으로는 도무지 해결할 수 없었다.
한국 사회는 급속하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미 총 인구의 7%가 65세 이상인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 머지않아 총 인구의 14%가 65세 이상인 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시니어를 위한 케어 서비스의 필요도 자연스럽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4-50대의 80% 이상이 자녀와 함께 살지않고 배우자와 단둘이 지내거나 유, 무료 요양 시설의 이용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나, 시니어 시설 또는 시니어케어 시설에 대한 요청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 10-2019-0083807 한국특허 등록번호 : 10-1695130-0000 한국특허 공개번호 : 10-2017-0036923 한국특허 공개번호 : 10-2013-0102436
본 발명의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은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경노인의 평상시 행동패턴을 실시간으로 인지 및 분석해 평상시 행동패턴에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시 상기 여럿 그룹 중 하나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일원에게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신속하게 공지해 주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인공지능 스피커를 활용해 주택 내 적어도 하나의 지정영역에서 적외선,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분/시/일별로 주기적으로 조사(照射)해 주택 내에서 경노인이 주거 중인지, 아니면 상기 주택 밖으로 출타 중인지를 체크함으로써, 평시 경노인의 건강상태 확인 및 주택내 혹은 외출시 일어날만한 돌발적 위험상황 발생에 따른 긴급조치를 즉각 실시하여 헬스케어 산업 육성 및 국민건강 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은, 경노인과 혈연, 지연, 학연, 업연을 포함하는 인간관계로 맺어진 모집단을 각기 다른 여러개의 세부 모집단인 가족그룹, 친구그룹, 협력그룹, 복리후생 그룹으로 나눠 미리 그룹핑해 두며, 상기 경노인의 평상시 행동패턴을 실시간으로 인지 및 분석해 상기 평상시 행동패턴에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시 상기 세부 모집단 중 적어도 하나에게 상기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신속하게 공지하는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 상기 경노인로부터 상기 모집단의 일원으로 사전 허락받았음을 전제로 하며, 상기 전제조건 성립에 부합한 연계성의 결과로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공지받을 시, 상기 관할지역 내 기관그룹에 속하는 소방서 비치용 통신 단말기, 경찰서 비치용 통신 단말기, 병원 비치용 통신 단말기 및 공무수행실 비치용 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긴급 호출을 실시해 상기 경노인의 신변보호를 신속히 요청하고, 상기 경노인의 현 위치 추적 및 최근 사용이력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의 접근 허여를 요청하는 보호자용 스마트폰; 및 클라우드 통신망을 통해 상기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공지받을 시,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의 접근을 요청한 상기 보호자용 스마트폰의 접근을 허여해 상기 경노인의 현 위치 추적 및 최근 사용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시니어케어 서비스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이 경노인과 혈연, 지연, 학연, 업연을 포함하는 인간관계로 맺어진 모집단을 각기 다른 여러개의 세부 모집단인 가족그룹, 친구그룹, 협력그룹, 복리후생 그룹으로 나눠 미리 그룹핑해 두는 단계;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이 상기 경노인의 평상시 행동패턴을 실시간으로 인지 및 분석해 상기 평상시 행동패턴에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시 상기 세부 모집단 중 적어도 하나에게 상기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신속하게 공지하는 단계; 보호자용 스마트폰이 상기 경노인로부터 상기 모집단의 일원으로 사전 허락받았음을 전제로 하는 단계; 상기 보호자용 스마트폰이 상기 전제조건 성립에 부합한 연계성의 결과로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공지받는 단계; 상기 보호자용 스마트폰이 상기 관할지역 내 기관그룹에 속하는 소방서 비치용 통신 단말기, 경찰서 비치용 통신 단말기, 병원 비치용 통신 단말기 및 공무수행실 비치용 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긴급 호출을 실시하는 단계; 상기 보호자용 스마트폰이 상기 경노인의 신변보호를 신속히 요청하고, 상기 경노인의 현 위치 추적 및 최근 사용이력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의 접근 허여를 요청하는 단계; 시니어케어 서비스 관리서버가 클라우드 통신망을 통해 상기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공지받을 시,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의 접근을 요청한 상기 보호자용 스마트폰의 접근을 허여해 상기 경노인의 현 위치 추적 및 최근 사용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은 경노인의 평상시 행동패턴을 실시간으로 인지 및 분석해 평상시 행동패턴에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시 여럿 그룹 중 하나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일원에게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신속하게 공지해 주는 제 1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인공지능 스피커를 활용해 주택 내 적어도 하나의 지정영역에서 적외선,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분/시/일별로 주기적으로 조사(照射)해 주택 내에서 경노인이 주거 중인지, 아니면 상기 주택 밖으로 출타 중인지를 체크함으로써, 평시 경노인의 건강상태 확인 및 주택내 혹은 외출시 일어날만한 돌발적 위험상황 발생에 따른 긴급조치를 즉각 실시하여 헬스케어 산업 육성 및 국민건강 증진에 이바지하는 제 2 효과를 준다.
도 1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다른 도면이다.
도 3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또 다른 도면이다.
도 4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1000)은 경노인의 평상시 행동패턴을 실시간으로 인지 및 분석해 평상시 행동패턴에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시 여럿 그룹 중 하나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일원에게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신속하게 공지해 주는 시스템으로,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 보호자용 스마트폰(200), 인공지능 스피커(300) 및 시니어케어 서비스 관리서버(400)를 포함한다.
먼저,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은 경노인과 혈연, 지연, 학연, 업연을 포함하는 인간관계로 맺어진 모집단을 각기 다른 여러개의 세부 모집단인 가족그룹, 친구그룹, 협력그룹, 복리후생 그룹으로 나눠 미리 그룹핑해 둔다.
그런 후,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은 경노인의 평상시 행동패턴을 실시간으로 인지 및 분석해 평상시 행동패턴에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시 세부 모집단 중 적어도 하나에게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신속하게 공지한다.
보호자용 스마트폰(200)은 경노인로부터 모집단의 일원으로 사전 허락받았음을 전제로 한다.
그에 따라, 보호자용 스마트폰(200)은 전제조건 성립에 부합한 연계성의 결과로, 도 2,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으로부터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공지받을 시, 관할지역 내 기관그룹에 속하는 소방서 비치용 통신 단말기(500), 경찰서 비치용 통신 단말기(500), 병원 비치용 통신 단말기(500) 및 공무수행실 비치용 통신 단말기(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긴급 호출을 실시해 경노인의 신변보호를 신속히 요청하고, 경노인의 현 위치 추적 및 최근 사용이력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의 접근 허여를 요청한다.
인공지능 스피커(300)는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로부터 송출된 블루투스신호, 와이파이신호 또는 비콘신호를 전달받아 경노인의 주택 내 거주함을 파악함에 따라, 경노인의 일상적 질의에 답하거나 능동적 AI 질문을 색출해 랜덤타임으로 경노인에게 음성 또는 홀로그램 영상으로 표출시키고 능동적 AI 질문에 부응하는 답변 음성을 실시간으로 저장한다.
또한, 인공지능 스피커(300)는 주택 내 적어도 하나의 지정영역에서 적외선,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분/시/일별로 주기적으로 조사(照射)해 주택 내에서 경노인이 주거 중인지, 아니면 주택 밖으로 출타 중인지를 체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스피커(300)는 주기적인 조사로 주택 내에 주거 중인 경노인이 감지될 시 건강상태를 양호로 인지해 시니어케어 서비스 관리서버(400)에서 랜덤으로 제공되는 능동적 AI 질문을 음성 데이터 또는 홀로그램 영상 데이터로 정형화시켜 경노인에게 외부 표출시키거나, 주기적인 조사로 주택 내에 주거 중인 것으로 인지된 이후 경노인의 움직임이 12시간 내지 24시간 내 비감지될 시, 건강상태를 비양호, 위험, 매우 위험으로 인지해 직접 클라우드 통신망에 접근해 소방서 비치용 통신 단말기(500), 경찰서 비치용 통신 단말기(500), 병원 비치용 통신 단말기(500) 및 공무수행실 비치용 통신 단말기(5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긴급 호출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스피커(300)는 경노인의 음성 지시로 인해 거주 중에서 출타 중으로 변경되거나, 현관문에 설치된 M2M(Machine to Machine)으로 서로 교신하는 현관 출입문 센서로부터 경노인의 외출 신호를 전달받아 경노인이 출타 중으로 감지될 시, 출타 중임을 SMS/MMS 데이터로 정형화시켜 보호자용 스마트폰(200)의 시니어케어 개인비서용 앱 컨텐츠를 통해 알리고 출타 이력을 남기게 하거나, 시니어케어 서비스 관리 서버(400)에 강제 전송한다.
인공지능 스피커(300)는 출타 중에 있는 경노인의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으로 능동적 AI 질문 중 경노인의 귀가를 독려하는 질의 혹은 힐링 메시지를 전달하며, 현관 출입문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경노인의 귀가완료 신호를 수신할 시, 외출시작 시간, 귀가완료 시간, 외출 중 시간을 각각 계산해 시니어케어 개인비서용 앱 컨텐츠에 표시되도록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니어케어 서비스 관리서버(400)는 클라우드 통신망을 통해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공지받을 시,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의 접근을 요청한 보호자용 스마트폰(200)의 접근을 허여해 경노인의 현 위치 추적 및 최근 사용이력 정보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시니어케어 서비스 관리서버(400)는 인공지능 스피커(300)로부터 전달되어 온 답변 음성을 이성적, 감성적, 심리적 차원에서 정밀 분석함에 따라 경노인의 평상시 인지능력 및 건강상태를 일/주/월/년 단위로 누적 체크한다.
또한, 시니어케어 서비스 관리서버(400)는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 또는 보호자용 스마트폰(200)에게 시니어케어 개인비서용 앱 컨텐츠를 제공하여 복리후생 그룹에 속한 적어도 한명의 생활관리사 또는 사회복지사의 프로필 정보를 유무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적어도 한명의 생활관리사 또는 사회복지사 중 선호할 만한 어느 한 명을 선택할 수 있도록 온라인 서비스를 지원한다.
또한, 시니어케어 서비스 관리서버(400)는 적어도 한명의 생활관리사 또는 사회복지사가 시니어케어 개인비서용 앱 컨텐츠에 접속해 프로필 정보를 개시하거나 삭제 및 업테이트하도록 온라인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관리 운영한다.
더욱이, 시니어케어 서비스 관리서버(400)는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와 다른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 간에,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와 보호자용 스마트폰(200) 간에, 또는 보호자용 스마트폰(200)와 다른 보호자용 스마트폰 간에 1:1 챗팅, 다자간 챗봇 기능을 지원해 주거나,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 또는 보호자용 스마트폰(200)의 개인 경조사, 가족모임, 친목모임, 업무회의 및 학회-학술세미나를 포함하는 사회활동 정보를 시니어케어 개인비서용 앱 컨텐츠 상에 구비된 알림 게시판에 실시간으로 게시, 저장 및 열람할 수 있도록 인적네트워크 형성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해 준다.
시니어케어 서비스 관리서버(400)는 ①경노인과 경노인 주변의 모집단을 포함하는 회원들의 회원등록. 회원업데이트 및 수정 기능, ②회원들 간 다자간 음성통화, 영상통화, 음성 메시지 녹음, 영상 메시지 녹화, 저장 및 실시간 전송기능, ③회원들이 공유하고자 하는 다수의 사진 및 동영상을 대상으로 한 SNS(Social Networking Site) 상의 오픈기능, ④경노인의 위험상황 발생을 회원들에 알리고자 요청하는 응급상황 발생 알림기능 및 회원들에게 전달된 응급상황 발생 알림메시지에 관한 수신 확인기능 및 경노인의 현재 위치를 GPS/GIS 지도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위치추적 기능을 시니어캐어 개인비서용 앱 컨텐츠에 탑재시킨다.
또한, 시니어케어 서비스 관리서버(400)는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 또는 보호자용 스마트폰(200)마다 부여된 개인 암호보안 키를 통합 관리함에 따라,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 또는 보호자용 스마트폰(200)이 음식점, 가계 점포, 관공서, 병원, 약국, 보험, 학교, 숙박시설에 방문해 신용결제 요청시, 개인 암호보안 키를 통한 간편 인증만으로 신용 결제에 대한 승인 및 신용결제 리스트정보 및 신용거래 상태정보를 토탈 관리해 준다.
다른 실시예로,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1000)은 앞서 언급한 실시예와 대비해 다소 설계 변경된 장치적 구성 및 동작적 구성을 통해 용이하게 구별될만한 프로세싱을 실시한다.
즉,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은 경노인과 혈연, 지연, 학연, 업연을 포함하는 인간관계로 맺어진 모집단을 각기 다른 여러개의 세부 모집단인 가족그룹, 친구그룹, 협력그룹, 관할지역 내 기관그룹 및 관할 지자체의 후원하에 배정되어진 적어도 한명의 생활관리사 또는 사회복지사를 포함하는 복리후생 그룹으로 나눠 미리 그룹핑해 둔다.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은 위치추적 모듈을 이용해 경노인의 평상시 행동패턴을 실시간으로 인지 및 분석해 평상시 행동패턴에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시 세부 모집단 중 적어도 하나에게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신속하게 공지한다.
보호자용 스마트폰(200)은 경노인로부터 모집단의 일원으로 사전 허락받았음을 전제로 하며, 전제조건 성립에 부합한 연계성의 결과로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으로부터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공지받을 시, 관할지역 내 기관그룹에 속하는 소방서 비치용 통신 단말기, 경찰서 비치용 통신 단말기, 병원 비치용 통신 단말기 및 공무수행실 비치용 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긴급 호출을 실시해 경노인의 신변보호를 신속히 요청한다.
또한, 보호자용 스마트폰(200)은 경노인의 현 위치 추적 및 최근 사용이력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의 접근 허여를 클라우드 통신망과 기연결된 시니어케어 서비스 관리서버(400)에게 요청한다.
인공지능 스피커(300)는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로부터 송출된 블루투스신호, 와이파이신호 또는 비콘신호를 전달받아 경노인의 주택 내 거주함을 파악함에 따라, 경노인의 일상적 질의에 답하거나 능동적 AI 질문을 색출해 랜덤타임으로 경노인에게 음성 또는 영상으로 표출시키고 능동적 AI 질문에 부응하는 답변 음성을 실시간으로 저장한다.
시니어케어 서비스 관리서버(400)는 클라우드 통신망을 통해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공지받을 시,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의 접근을 요청한 보호자용 스마트폰(200)의 접근을 허여해 경노인의 현 위치 추적 및 최근 사용이력 정보를 제공해 주며, 인공지능 스피커(300)로부터 전달되어 온 답변 음성을 이성적, 감성적, 심리적 차원에서 정밀 분석함에 따라 경노인의 평상시 인지능력 및 건강상태를 일/주/월/년 단위로 누적 체크한다.
시니어케어 서비스 관리서버(400)는 자체 개발한 시니어케어 앱[Cenior Care App]을 유무상으로 널리 배포함에 따라, 경노인과 경노인과 인간관계로 맺어진 모집단을 대상으로 한 회원등록. 회원업데이트 및 수정 기능, 회원 간 음성통화 및 음성 메시지 전달기능, 회원이 직접 음성 저장 및 사진촬영 기능, 회원의 응급상황 메시지 수신 및 회원의 위험상황을 주변에 요청하는 메뉴 관리기능, 및, 회원의 현재 위치를 지도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해 준다.
시니어케어 서비스 관리서버(400)는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 또는 보호자용 스마트폰(200)에게 시니어케어 개인비서용 앱 컨텐츠를 제공하여 복리후생 그룹에 속한 적어도 한명의 생활관리사 또는 사회복지사의 프로필 정보를 유무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적어도 한명의 생활관리사 또는 사회복지사 중 선호할 만한 어느 한 명을 선택할 수 있도록 온라인 서비스를 지원하며, 적어도 한 명의 생활관리사 또는 사회복지사가 시니어케어 개인비서용 앱 컨텐츠에 접속해 프로필 정보를 개시하거나 삭제 및 업테이트하도록 온라인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관리 운영한다.
또한, 시니어케어 서비스 관리서버(400)는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 간에 또는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와 보호자용 스마트폰(200) 간에, 또는 보호자용 스마트폰(200) 간에에 1:1 챗팅, 다자간 챗봇 기능을 지원해 줄 뿐만 아니라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를 소지한 경노인 또는 보호자용 스마트폰(200)를 소지한 경노인가족 구성원이나 친구, 사회복지사, 생활관리사 등의 개인 경조사, 가족모임, 친목모임, 회의, 세미나 및 학술대회를 포함하는 사회활동 정보를 시니어케어 개인비서용 앱 컨텐츠에 구비된 알림 게시판에 게시, 저장 및 열람할 수 있도록 인적네트워크 형성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해 준다.
시니어케어 서비스 관리서버(400)는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 또는 보호자용 스마트폰(200)마다 부여된 개인 암호보안 키를 통합 관리함에 따라,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를 소지한 경노인 또는 보호자용 스마트폰(200)를 소지한 경노인가족 구성원이나 친구, 사회복지사, 생활관리사 등이 관공서, 병원, 약국, 보험, 학교에 방문해 신용결제 요청시 개인 암호보안 키를 통한 간편 인증만으로 신용 결제에 대한 승인 및 신용결제 리스트정보를 토탈 관리한다.
도 4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의 구동방법은 경노인의 평상시 행동패턴을 실시간으로 인지 및 분석해 평상시 행동패턴에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시 상기 여럿 그룹 중 하나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일원에게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신속하게 공지해 주는 구동방법이다.
먼저,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은 경노인과 혈연, 지연, 학연, 업연을 포함하는 인간관계로 맺어진 모집단을 각기 다른 여러개의 세부 모집단인 가족그룹, 친구그룹, 협력그룹, 복리후생 그룹으로 나눠 미리 그룹핑해 둔다(S100).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은 경노인의 평상시 행동패턴을 실시간으로 인지 및 분석해 평상시 행동패턴에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시 세부 모집단 중 적어도 하나에게 상기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신속하게 공지한다(S200, S300).
보호자용 스마트폰은 경노인로부터 상기 모집단의 일원으로 사전 허락받았음을 전제로 한다(S400).
보호자용 스마트폰은 전제조건 성립에 만족하는 연계성의 결과로,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으로부터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공지받는다(S500).
보호자용 스마트폰은 관할지역 내 기관그룹에 속하는 소방서 비치용 통신 단말기, 경찰서 비치용 통신 단말기, 병원 비치용 통신 단말기 및 공무수행실 비치용 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긴급 호출을 실시한다(S600).
보호자용 스마트폰은 경노인의 신변보호를 신속히 요청하고, 경노인의 현 위치 추적 및 최근 사용이력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의 접근 허여를 요청한다(S600, S700).
시니어케어 서비스 관리서버는 클라우드 통신망을 통해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공지받을 시,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의 접근을 요청한 보호자용 스마트폰의 접근을 허여해 경노인의 현 위치 추적 및 최근 사용이력 정보를 제공한다(S800).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00 :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
100 :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 200 : 보호자용 스마트폰
300 : 인공지능 스피커 400 : 시니어케어 서비스 관리서버

Claims (8)

  1. 경노인과 혈연, 지연, 학연, 업연을 포함하는 인간관계로 맺어진 모집단을 각기 다른 여러개의 세부 모집단인 가족그룹, 친구그룹, 협력그룹, 복리후생 그룹으로 나눠 미리 그룹핑해 두며, 상기 경노인의 평상시 행동패턴을 실시간으로 인지 및 분석해 상기 평상시 행동패턴에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시 상기 세부 모집단 중 적어도 하나에게 상기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신속하게 공지하는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
    상기 경노인로부터 상기 모집단의 일원으로 사전 허락받았음을 전제로 하며, 상기 전제조건 성립에 부합한 연계성의 결과로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공지받을 시, 상기 관할지역 내 기관그룹에 속하는 소방서 비치용 통신 단말기, 경찰서 비치용 통신 단말기, 병원 비치용 통신 단말기 및 공무수행실 비치용 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긴급 호출을 실시해 상기 경노인의 신변보호를 신속히 요청하고, 상기 경노인의 현 위치 추적 및 최근 사용이력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의 접근 허여를 요청하는 보호자용 스마트폰; 및
    클라우드 통신망을 통해 상기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공지받을 시,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의 접근을 요청한 상기 보호자용 스마트폰의 접근을 허여해 상기 경노인의 현 위치 추적 및 최근 사용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시니어케어 서비스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니어케어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 또는 보호자용 스마트폰에게 시니어케어 개인비서용 앱 컨텐츠를 제공하여 상기 복리후생 그룹에 속한 상기 적어도 한명의 생활관리사 또는 사회복지사의 프로필 정보를 유무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한명의 생활관리사 또는 사회복지사 중 선호할 만한 어느 한 명을 선택할 수 있도록 온라인 서비스를 지원하며,
    상기 적어도 한명의 생활관리사 또는 사회복지사가 상기 시니어케어 개인비서용 앱 컨텐츠에 접속해 상기 프로필 정보를 개시하거나 삭제 및 업테이트하도록 상기 온라인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관리 운영하고,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와 다른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 간에,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와 보호자용 스마트폰 간에, 또는 상기 보호자용 스마트폰와 다른 보호자용 스마트폰 간에 1:1 챗팅, 다자간 챗봇 기능을 지원해 주거나,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 또는 보호자용 스마트폰의 개인 경조사, 가족모임, 친목모임, 업무회의 및 학회-학술세미나를 포함하는 사회활동 정보를 상기 시니어케어 개인비서용 앱 컨텐츠 상에 구비된 알림 게시판에 실시간으로 게시, 저장 및 열람할 수 있도록 인적네트워크 형성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니어케어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경노인과 상기 경노인 주변의 상기 모집단을 포함하는 회원들의 회원등록. 상기 회원업데이트 및 수정 기능,
    상기 회원들 간 다자간 음성통화, 영상통화, 음성 메시지 녹음, 영상 메시지 녹화, 저장 및 실시간 전송기능,
    상기 회원들이 공유하고자 하는 다수의 사진 및 동영상을 대상으로 한 SNS(Social Networking Site) 상의 오픈기능,
    상기 경노인의 위험상황 발생을 상기 회원들에 알리고자 요청하는 응급상황 발생 알림기능 및 상기 회원들에게 전달된 응급상황 발생 알림메시지에 관한 수신 확인기능 및,
    상기 경노인의 현재 위치를 GPS/GIS 지도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위치추적 기능을 상기 시니어캐어 개인비서용 앱 컨텐츠에 탑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 또는 보호자용 스마트폰마다 부여된 개인 암호보안 키를 통합 관리함에 따라,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 또는 보호자용 스마트폰이 음식점, 가계 점포, 관공서, 병원, 약국, 보험, 학교, 숙박시설에 방문해 신용결제 요청시 상기 개인 암호보안 키를 통한 간편 인증만으로 상기 신용 결제에 대한 승인 및 신용결제 리스트정보 및 신용거래 상태정보를 토탈 관리해 주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로부터 송출된 블루투스신호, 와이파이신호 또는 비콘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경노인의 주택 내 거주함을 파악함에 따라, 상기 경노인의 일상적 질의에 답하거나 능동적 AI 질문을 색출해 랜덤타임으로 상기 경노인에게 음성 또는 홀로그램 영상으로 표출시키고 상기 능동적 AI 질문에 부응하는 답변 음성을 실시간으로 저장하는 인공지능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니어케어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인공지능 스피커로부터 전달되어 온 상기 답변 음성을 이성적, 감성적, 심리적 차원에서 정밀 분석함에 따라 상기 경노인의 평상시 인지능력 및 건강상태를 일/주/월/년 단위로 누적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 스피커는,
    상기 주택 내 적어도 하나의 지정영역에서 적외선,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분/시/일별로 주기적으로 조사(照射)해 상기 주택 내에서 경노인이 주거 중인지, 아니면 상기 주택 밖으로 출타 중인지를 체크하며,
    상기 주기적인 조사로 상기 주택 내에 주거 중인 경노인이 감지될 시 상기 건강상태를 양호로 인지해 상기 시니어케어 서비스 관리서버에서 랜덤으로 제공되는 능동적 AI 질문을 음성 데이터 또는 홀로그램 영상 데이터로 정형화시켜 상기 경노인에게 외부 표출시키거나,
    상기 주기적인 조사로 상기 주택 내에 주거 중인 것으로 인지된 이후 상기 경노인의 움직임이 12시간 내지 24시간 내 비감지될 시, 상기 건강상태를 비양호, 위험, 매우 위험으로 인지해 직접 클라우드 통신망에 접근해 상기 소방서 비치용 통신 단말기, 경찰서 비치용 통신 단말기, 병원 비치용 통신 단말기 및 공무수행실 비치용 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긴급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 스피커는,
    상기 경노인의 음성 지시로 인해 상기 거주 중에서 출타 중으로 변경되거나, 현관문에 설치된 M2M(Machine to Machine)으로 서로 교신하는 현관 출입문 센서로부터 상기 경노인의 외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경노인이 출타 중으로 감지될 시, 상기 출타 중임을 SMS/MMS 데이터로 정형화시켜 상기 보호자용 스마트폰의 시니어케어 개인비서용 앱 컨텐츠를 통해 알리고 출타 이력을 남기게 하거나, 상기 시니어케어 서비스 관리 서버에 강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 스피커는,
    상기 출타 중에 있는 상기 경노인의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으로 상기 능동적 AI 질문 중 상기 경노인의 귀가를 독려하는 질의 혹은 힐링 메시지를 전달하며, 현관 출입문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경노인의 귀가완료 신호를 수신할 시, 외출시작 시간, 귀가완료 시간, 외출 중 시간을 각각 계산해 상기 시니어케어 개인비서용 앱 컨텐츠에 표시되도록 전송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
  8.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이 경노인과 혈연, 지연, 학연, 업연을 포함하는 인간관계로 맺어진 모집단을 각기 다른 여러개의 세부 모집단인 가족그룹, 친구그룹, 협력그룹, 복리후생 그룹으로 나눠 미리 그룹핑해 두는 단계;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이 상기 경노인의 평상시 행동패턴을 실시간으로 인지 및 분석해 상기 평상시 행동패턴에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있다고 판단할 시 상기 세부 모집단 중 적어도 하나에게 상기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신속하게 공지하는 단계;
    보호자용 스마트폰이 상기 경노인로부터 상기 모집단의 일원으로 사전 허락받았음을 전제로 하는 단계;
    상기 보호자용 스마트폰이 상기 전제조건 성립에 부합한 연계성의 결과로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공지받는 단계;
    상기 보호자용 스마트폰이 상기 관할지역 내 기관그룹에 속하는 소방서 비치용 통신 단말기, 경찰서 비치용 통신 단말기, 병원 비치용 통신 단말기 및 공무수행실 비치용 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긴급 호출을 실시하는 단계;
    상기 보호자용 스마트폰이 상기 경노인의 신변보호를 신속히 요청하고, 상기 경노인의 현 위치 추적 및 최근 사용이력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의 접근 허여를 요청하는 단계;
    시니어케어 서비스 관리서버가 클라우드 통신망을 통해 상기 평상시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공지받을 시,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의 접근을 요청한 상기 보호자용 스마트폰의 접근을 허여해 상기 경노인의 현 위치 추적 및 최근 사용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20200045053A 2019-11-28 2020-04-14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2939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185 2019-11-28
KR20190156185 2019-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687A true KR20210066687A (ko) 2021-06-07
KR102293933B1 KR102293933B1 (ko) 2021-08-26

Family

ID=76374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053A KR102293933B1 (ko) 2019-11-28 2020-04-14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93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182B1 (ko) 2021-07-03 2022-03-03 웰나우 주식회사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
KR20230006618A (ko) 2021-07-03 2023-01-10 웰나우(주) 시니어케어 센터 장기요양수급자의 욕구사정 및 돌봄 서비스 운영 시스템
KR102512470B1 (ko) * 2022-06-27 2023-03-22 주식회사 지아소프트 시니어를 위한 대신결제 쇼핑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22384B1 (ko) * 2022-05-30 2023-04-14 에스케이증권 주식회사 메타버스 상에서의 문제 상황 해결 보상 방법 및 장치
KR102526790B1 (ko) * 2022-07-15 2023-04-27 헬로칠드런 주식회사 치매 환자를 위한 소통 케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85717A (ko) 2021-12-07 2023-06-14 헬스클라우드(주) 시니어케어 맞춤형 프로그램 전문강사 매칭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운영 시스템
KR20230085713A (ko) 2021-12-07 2023-06-14 헬스클라우드(주) 방문 목욕 매칭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운영 시스템
KR20240056230A (ko) 2022-10-21 2024-04-30 헬스클라우드(주) 시니어케어 맞춤형 신체 및 인지훈련 비대면 제공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967U (ko) * 2010-05-13 2010-06-11 주식회사 코넥트론 스마트폰을 이용한 환자관리 시스템
KR20130102436A (ko) 2012-03-07 2013-09-17 (주)퍼스트메카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시니어 시설 또는 시니어 케어 시설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695130B1 (ko) 2016-04-05 2017-01-12 주식회사 에버건설 스마트 환경에서의 실버타운 회원을 위한 건강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029298A (ko) * 2015-09-07 2017-03-15 (주)오경컴텍 맞춤형 모듈 선택·자동 응급구조신호 전송이 가능한 융합형 스마트 웨어러블장치
KR20170036923A (ko) 2015-09-24 2017-04-04 주식회사 엠에스피씨앤에스 실버세대를 위한 건강 클러스터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90083807A (ko) 2018-01-05 2019-07-15 이송하 스마트기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시니어 케어 중개 플랫폼
KR20190103506A (ko) * 2018-02-12 2019-09-05 주식회사 삼원바이오텍 고령자의 건강한 생활 관리를 위한 ai 스피커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능형 매트 플랫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5967U (ko) * 2010-05-13 2010-06-11 주식회사 코넥트론 스마트폰을 이용한 환자관리 시스템
KR20130102436A (ko) 2012-03-07 2013-09-17 (주)퍼스트메카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시니어 시설 또는 시니어 케어 시설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29298A (ko) * 2015-09-07 2017-03-15 (주)오경컴텍 맞춤형 모듈 선택·자동 응급구조신호 전송이 가능한 융합형 스마트 웨어러블장치
KR20170036923A (ko) 2015-09-24 2017-04-04 주식회사 엠에스피씨앤에스 실버세대를 위한 건강 클러스터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1695130B1 (ko) 2016-04-05 2017-01-12 주식회사 에버건설 스마트 환경에서의 실버타운 회원을 위한 건강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90083807A (ko) 2018-01-05 2019-07-15 이송하 스마트기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시니어 케어 중개 플랫폼
KR20190103506A (ko) * 2018-02-12 2019-09-05 주식회사 삼원바이오텍 고령자의 건강한 생활 관리를 위한 ai 스피커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능형 매트 플랫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182B1 (ko) 2021-07-03 2022-03-03 웰나우 주식회사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
KR20230006618A (ko) 2021-07-03 2023-01-10 웰나우(주) 시니어케어 센터 장기요양수급자의 욕구사정 및 돌봄 서비스 운영 시스템
KR20230085717A (ko) 2021-12-07 2023-06-14 헬스클라우드(주) 시니어케어 맞춤형 프로그램 전문강사 매칭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운영 시스템
KR20230085713A (ko) 2021-12-07 2023-06-14 헬스클라우드(주) 방문 목욕 매칭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운영 시스템
KR102522384B1 (ko) * 2022-05-30 2023-04-14 에스케이증권 주식회사 메타버스 상에서의 문제 상황 해결 보상 방법 및 장치
KR102512470B1 (ko) * 2022-06-27 2023-03-22 주식회사 지아소프트 시니어를 위한 대신결제 쇼핑몰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26790B1 (ko) * 2022-07-15 2023-04-27 헬로칠드런 주식회사 치매 환자를 위한 소통 케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56230A (ko) 2022-10-21 2024-04-30 헬스클라우드(주) 시니어케어 맞춤형 신체 및 인지훈련 비대면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933B1 (ko)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3933B1 (ko)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343060B1 (ko) 스마트 시니어케어 컨텐츠 서비스 지원용 건강체킹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Longo et al. Technology use, exposure to natural hazards, and being digitally invisible: Implications for policy analytics
US9154609B2 (en) Remote virtual supervision system
US11062584B1 (en)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an offender, defendant, or potential victim
US8560557B1 (en) Method and system of progress monitoring
Craig et al. Safety in social research
Ellcessor In case of emergency: How technologies mediate crisis and normalize inequality
Blake‐Holmes et al. ‘It's making his bad days into my bad days’: The impact of coronavirus social distancing measures on young carers and young adult carers in the United Kingdom
Cabalquinto et al. ‘“It should allow me to opt in or opt out”: Investigating smartphone use and the contending attitudes of commuters towards geolocation data collection
CN111476695A (zh) 基于互联网移动通信技术的社区矫正电子定位系统
Moczygemba et al. GPS mobile health intervention among people experiencing homelessness: Pre-post study
Rees No more than contact: an outcome of social work
KR102343063B1 (ko) 시니어케어 서비스 관리운영 시스템 및 그 관리운영 방법
Ada et al. Online social networking site (SNS) use at the campus emergencies
Briggs et al. Evaluation of a nonstatutory ‘place of calm’, a service which provides support after a suicidal crisis to inform future commissioning intentions
Mathias et al. Professionals’ perceptions of the Saskatoon Mental Health Strategy (MHS) Court
Chandok Understanding User Perspectives of Personal Safety Applications on Mobile Devices
Fan Success in digital governance: A literature review on Taiwan’s COVID-19 management
Means et al. Rapid ethnography and participatory techniques increase onchocerciasis mass drug administration treatment coverage in Benin: a difference-in-differences analysis
Bandaranayake et al. Health-Related Information and COVID-19: A Study of Sri Lanka and Thailand
McKinnon Global case studies
Pugh et al. Speaking out: A practical approach to empowerment
Brown et al. Policewomen's perceptions of occupational culture
Rosato-Scott et al. Preventing and responding to COVID-19 (and other infectious diseases): Identifying who may be vulner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