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182B1 -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182B1
KR102369182B1 KR1020210087475A KR20210087475A KR102369182B1 KR 102369182 B1 KR102369182 B1 KR 102369182B1 KR 1020210087475 A KR1020210087475 A KR 1020210087475A KR 20210087475 A KR20210087475 A KR 20210087475A KR 102369182 B1 KR102369182 B1 KR 102369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e
program
long
senior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호
전우현
Original Assignee
웰나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웰나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웰나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7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46Point-in-time backing up or restoration of persisten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으로서,
장기요양수급자를 대상으로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 전문강사에 의해 프로그램 수행계획 수립, 프로그램 운영 및 일지 기록, 관리 등을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로 전송 및 수신하는 PC나 아이패드, 스마트폰의 단말기(100)와,
장기요양기관에서 장기요양기관 관리자에 의해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로부터 시니어케어 맞춤형 동영상 프로그램 운영 서비스관련 모든 솔루션을 조회 및 관리하는 장기요양기관 정보조회 단말기(200)와,
시니어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운영 서비스로서 운영 서비스(A)와 운영관리(B)를 하고 운영 서비스(A)는 월간일정(1), 수행계획 수립(2), 동영상콘텐츠등록(3) 및 동영상콘텐츠관리(4), 프로그램일지(5), 성과측정 및 관리(6), 프로그램운영(7), 프로그램결과기록(8)으로 이루어지고, 운영관리(B)는 대상자관리(9), 담당자관리(10), 기본정보설정(11) 및 이력/통계(12)로 이루어지는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300)와,
외부시스템(13)과 연동하고 운영지원(14), 서비스관리(15), 시스템관리(16) 및 보안 관리(17)를 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300)와 연동하여 지원하는 통합관리 플랫폼(400)과,
통합관리 플랫폼(400)과 연동되고 데이터 서비스(18)로서 데이터를 관리하고 데이터수집(19)과 시각화제공(20), 룰(Rule) 적용(21) 및 데이터(22)를 분석하는 데이터 베이스(500)를 포함하여서 된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장기요양기관에서 장기요양수급자(시니어)를 대상으로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영역별, 즉 예컨대, 인지나 신체, 재활, 여가/오락, 사회교류 등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고 관리하는 등의 토탈서비스를 제공 및 관리 운영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각 시니어 마다 특화된 인지나 신체, 재활, 여가/오락, 사회교류 등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 제공에 부응하여 시니어들의 욕구를 해결할 수 있고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다.

Description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A program service operation system based on video content customized for senior care in a nursing institution}
본 발명은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기요양기관에서 장기요양수급자(시니어)를 대상으로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영역별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고 관리하는 등의 토탈서비스를 제공 및 관리 운영하는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한 고령화 추세에 따라 노인이나 어르신 등으로 불리는 시니어 계층이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우리나라는 기대 수명의 증가와 저 출산의 영향으로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65세 이상의 노인인구는 2015년 전체 인구의 131%로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상태이고, 2020년에는 157%, 2030년에는 243%까지 증가하여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100세 시대가 도래하면서 시니어들이 만족스럽고 행복한 노후가 보장되는 삶을 살아야 하는데 노년기에 겪게 되는 신체, 심리, 사회적 제반 문제를 시니어들이 혼자 극복하기는 쉽지 않다. 인구의 고령화는 시니어인구의 건강문제를 수반하는데, 이중 노년기의 대표적인 정신장애인 우울 증상은 유병율이 높은 질환이다.
우리나라에서 실시된 전국단위의 정신질환 역학조사에서 2011년을 기준으로 65세 이상 노인의 292%가 심각한 수준의 우울 증상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울 증상은 신체적인 건강과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많은 사회적 문제를 야기한다는 점에서 많은 관심이 필요한 사회문제이다. 특히 노인의 우울 증상은 개인의 삶의 질 저하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인지기능의 장애와 치매로까지 진행 될 수 있으며 자살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심리적인 상태이자 질환이다.
시니어(senior)란 연장자라는 뜻을 가진 단어로서 노인이나 고령자 등을 의미하며, 시니어 케어란 시니어를 대상으로 요양, 목욕, 간호와 같은 기본적 케어뿐 아니라 집에서 생활하는 것처럼 여가, 의료, 문화 등 생활의 전반적인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합 라이프 케어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시니어 시설 또는 시니어케어 시설은 시니어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인들을 위한 거주단지, 요양 시설 등을 의미한다.
그런데 요양 시설 등은 주로 중증 치매나 거동이 어려운 시니어들을 입원시켜 요양, 목욕, 간호와 같은 기본적 케어만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니어 케어는 각 시니어 마다 특화된 인지나 신체, 재활, 여가/오락, 사회교류 등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 제공에 부응하지 못하여 시니어들의 욕구를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1. 한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21-0066687호(공개일: 2021.06.07). 2. 한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21-0065819호(공개일: 2021.06.04). 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33943호(공고일: 2020.07.14). 4.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77662호(공고일: 2012.08.2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요양기관에서 장기요양수급자(시니어)를 대상으로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영역별(예컨대, 인지나 신체, 재활, 여가/오락, 사회교류 등)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고 관리하는 등의 토탈서비스를 제공 및 관리 운영하는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는, 장기요양수급자를 대상으로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 전문강사에 의해 프로그램 수행계획 수립, 프로그램 운영 및 일지 기록, 관리 등을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로 전송 및 수신하는 PC나 아이패드, 스마트폰의 단말기와,
장기요양기관에서 장기요양기관 관리자에 의해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로부터 시니어케어 맞춤형 동영상 프로그램 운영 서비스관련 모든 솔루션을 조회 및 관리하는 장기요양기관 정보조회 단말기와,
시니어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운영 서비스로서 운영 서비스와 운영관리를 하고 운영 서비스는 월간일정, 수행계획 수립, 동영상콘텐츠등록 및 관리, 프로그램일지, 성과측정 및 관리, 프로그램운영, 프로그램결과기록으로 이루어지고, 운영관리는 대상자관리, 담당자관리, 기본정보설정 및 이력, 통계로 이루어지는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와,
외부시스템과 연동하고 운영지원, 서비스관리, 시스템관리 및 보안 관리를 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와 연동하여 지원하는 통합관리 플랫폼과,
통합관리 플랫폼과 연동되고 데이터 서비스로서 데이터를 관리하고 데이터수집과 시각화제공, 룰(Rule) 적용 및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축적된 데이터정보를 백업하는 백업 스토리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장기요양기관에서 장기요양수급자(시니어)를 대상으로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영역별, 즉 예컨대, 인지나 신체, 재활, 여가/오락, 사회교류 등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고 관리하는 등의 토탈서비스를 제공 및 관리 운영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각 시니어 마다 특화된 인지나 신체, 재활, 여가/오락, 사회교류 등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 제공에 부응하여 시니어들의 욕구를 해결할 수 있고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에 대한 전체 구성 체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의 전체 구성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에서 시니어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운영 서비스에 대한 구성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에서 통합관리 플랫폼에 대한 구성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에서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구성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에서 시니어 케어 영역별 특화 동영상 콘텐츠 기반 프로그램 운영 서비스 솔루션을 제시한 구성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에서 시니어 케어 특화 프로그램 운영 서비스 솔루션의 월간일정에 대한 화면 이미지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에서 시니어 케어 특화 프로그램 운영 서비스 솔루션의 수행계획수립에 대한 화면 이미지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에서 시니어 케어 특화 프로그램 운영 서비스 솔루션의 동영상콘텐츠등록 및 동영상콘텐츠관리에 대한 화면 이미지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에서 시니어 케어 특화 프로그램 운영 서비스 솔루션의 프로그램일지에 대한 화면 이미지 구성도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이나 형태 등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장기요양수급자를 대상으로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 전문강사에 의해 프로그램 수행계획 수립, 프로그램 운영 및 일지 기록, 관리 등을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로 전송 및 수신하는 PC나 아이패드, 스마트폰의 단말기(100)와,
장기요양기관에서 장기요양기관 관리자에 의해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로부터 시니어케어 맞춤형 동영상 프로그램 운영 서비스관련 모든 솔루션을 조회 및 관리하는 장기요양기관 정보조회 단말기(200)와,
시니어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운영 서비스로서 운영 서비스(A)와 운영관리(B)를 하고 운영 서비스(A)는 월간일정(1), 수행계획 수립(2), 동영상콘텐츠등록(3) 및 동영상콘텐츠관리(4), 프로그램일지(5), 성과측정 및 관리(6), 프로그램운영(7), 프로그램결과기록(8)으로 이루어지고, 운영관리(B)는 대상자관리(9), 담당자관리(10), 기본정보설정(11) 및 이력/통계(12)로 이루어지는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300)와,
외부시스템(13)과 연동하고 운영지원(14), 서비스관리(15), 시스템관리(16) 및 보안 관리(17)를 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300)와 연동하여 지원하는 통합관리 플랫폼(400)과,
통합관리 플랫폼(400)과 연동되고 데이터 서비스(18)로서 데이터를 관리하고 데이터수집(19)과 시각화제공(20), 룰(Rule) 적용(21) 및 데이터(22)를 분석하는 데이터 베이스(500)와,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축적된 데이터정보를 백업하는 백업 스토리지(600)를 포함하는 시스템이다.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300)에서 운영 서비스로서 프로그램운영(7)에 대한 방법은 도 6에서와 같이 시니어케어 영역별 맞춤형 콘텐츠로서 시니어케어 특화 인지 콘텐츠와, 시니어케어 특화 신체 콘텐츠와, 시니어케어 특화 재활 콘텐츠와, 시니어케어 특화 여가/오락 콘텐츠와, 시니어케어 특화 사회교류 콘텐츠와, 시니어케어 특화 기타 콘텐츠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은 시니어케어 영역별 맞춤형 콘텐츠는 도 6에서와 같이 예컨대 1회분(1시간소요) 단위 프로그램으로서 아이스 브레킹(Ice Breaking)으로서 손가락돌리기, 손가락 박수, 손가락 지렁이 등으로 이루지고, 준비운동콘텐츠로서 고관절스트레칭, 발목돌리기 등으로 이루어지며, 핵심콘텐츠로서 맨손의자 등밀기, 맨손의자 등펴기 등의 소도구운동 콘텐츠와, 인지회상 전통혼례추억여행, 인지회상 운동회추억여행 등의 인지콘텐츠와, 레그익스텐션, 레그컬, 레그풀백 등의 기구활용 운동콘텐츠로 이루어지고, 마무리운동으로서 다리스트레칭, 발목스트레칭, 손목털기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월간일정(1)은 도 7에서와 같이 해당 장기요양기관의 월별 프로그램 일정계획 수립/추가/수정할 수 있고, 각 기관별 사회복지사/시설장 등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는 해당 장기요양기관의 월별/분기별 프로그램 일정을 활 수 있으며, 필요시 프로그램 일정을 추가하거나 수정/보완할 수 있다.
상기 수행계획 수립(2)은 도 8에서와 같이 단위 프로그램에 대한 수행계획을 수립하고, 각 장기요양기관의 관리자/ 사회복지사는 단위 프로그램에 대한 대상일시, 프로그램 내용, 프로그램 진행자, 대상 장기요양수급자 등을 결정하여 수행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콘텐츠등록(3)은 도 9에서와 같이 단위 프로그램용 동영상 콘텐츠를 조합 및 구성하고, 시니어케어 특화 동영상 프로그램에 대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콘텐츠를 조합하여 다양한 단위 프로그램용 시니어케어 특화 동영상 콘텐츠 세트를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인지 콘텐츠, 시니어케어 특화 신체 콘텐츠, 시니어케어 특화 재활 콘텐츠, 시니어케어 특화 여가/오락 콘텐츠, 시니어케어 특화 사회교류 콘텐츠, 시니어케어 특화 기타 콘텐츠가 있다.
상기 동영상콘텐츠관리(4)는 다양한 단위 프로그램용 시니어케어 특화 동영상 콘텐츠를 이행하고 그 결과 등을 저장 관리한다.
상기 프로그램일지(5)는 도 10에서와 같이 단위 프로그램에 대한 일지를 기록하고, 각 장기요양기관의 관리자/사회복지사는 단위프로그램운영 후 주요 진행사항을 기록하며 휴대폰으로 촬영한 이미지 업로드 및 프로그램 운영 일지를 작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수행/만족도 및 특이사항을 기록하고, 단위 프로그램 운영 완료 후 프로그램 운영 담당자는 참여했던 장기요양수급자별 참여도, 수행도, 만족도와 관련 주요사항을 기록 및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성과측정 및 관리(6)는 장기요양수급자의 신체 건강상태 정보를 측정하여 진단하고 그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이러한 장기요양수급자의 신체 건강상태 측정은 주기적으로 실시하며 주로 3개월 단위로 측정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또한 장기요양수급자의 문진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운영관리(B)에서 대상자관리(9)는 장기요양수급자를 대상으로 건강상태나 인적사항, 성향등을 관리하고, 담당자관리(10)는 장기요양기관의 담당자에 대한 근무 일정이나 상태 등을 관리하며, 기본정보설정(11)은 장기요양기관의 정보, 위치, 연락처, 이름, 담당자, 계약정보 등을 설정하고, 이력/통계(12)는 장기요양수급자의 다양한 단위 프로그램용 시니어케어 특화 동영상 콘텐츠를 이행하고 그 결과 등에 대한 이력 및 통계를 관리한다(도 3참조).
상기 통합관리 플랫폼(400)은 도 4에서와 같이 외부시스템(13)으로서 제조사 서버와 모바일 디바이스, 모바일 앱(APP)과 연동되고, 운영지원(14)은 자산관리, 권한관리, 알림발송을 지원하며, 서비스관리(15)는 라이프사이클, 데이터구성, 프로그램을 관리하고, 시스템관리(16)는 서비스모니터링, 자원모니터링, 네트워크모니터링을 관리한다.
그리고 보완관리(17)는 네트워크보안, 데이터보안, 인증, 권한을 관리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장기요양기관에서 장기요양수급자(시니어)를 대상으로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영역별, 즉 예컨대, 인지나 신체, 재활, 여가/오락, 사회교류 등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고 관리하는 등의 토탈서비스를 제공 및 관리 운영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각 시니어 마다 특화된 인지나 신체, 재활, 여가/오락, 사회교류 등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 제공에 부응하여 시니어들의 욕구를 해결할 수 있고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다.
A: 운영 서비스 B: 운영관리
100: 단말기 200: 장기요양기관 정보조회 단말기
300: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 400: 통합관리 플랫폼
500: 데이터 베이스 600: 백업 스토리지
1: 월간일정 2: 수행계획 수립
3: 동영상콘텐츠등록 4: 동영상콘텐츠관리
5: 프로그램일지 6: 성과측정 및 관리
7: 프로그램운영 8: 프로그램결과기록
9: 대상자관리 10: 담당자관리
11: 기본정보설정 12: 이력/통계
13: 외부시스템 14: 운영지원
15: 서비스관리 16: 시스템관리
17: 보안 관리 18: 데이터 서비스
19: 데이터수집 20: 시각화제공
21: 룰(Rule) 적용 22: 데이터

Claims (12)

  1. 장기요양수급자를 대상으로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 전문강사에 의해 프로그램 수행계획 수립, 프로그램 운영 및 일지 기록, 관리를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로 전송 및 수신하는 PC나 아이패드, 스마트폰의 단말기(100)와,
    장기요양기관에서 장기요양기관 관리자에 의해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로부터 시니어케어 맞춤형 동영상 프로그램 운영 서비스관련 모든 솔루션을 조회 및 관리하는 장기요양기관 정보조회 단말기(200)와,
    시니어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운영 서비스로서 운영 서비스(A)와 운영관리(B)를 하고 운영 서비스(A)는 월간일정(1), 수행계획 수립(2), 동영상콘텐츠등록(3) 및 동영상콘텐츠관리(4), 프로그램일지(5), 성과측정 및 관리(6), 프로그램운영(7), 프로그램결과기록(8)으로 이루어지고, 운영관리(B)는 대상자관리(9), 담당자관리(10), 기본정보설정(11) 및 이력/통계(12)로 이루어지는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300)와,
    외부시스템(13)과 연동하고 운영지원(14), 서비스관리(15), 시스템관리(16) 및 보안 관리(17)를 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300)와 연동하여 지원하는 통합관리 플랫폼(400)과,
    통합관리 플랫폼(400)과 연동되고 데이터 서비스(18)로서 데이터를 관리하고 데이터수집(19)과 시각화제공(20), 룰(Rule) 적용(21) 및 데이터(22)를 분석하는 데이터 베이스(500)를 포함하여서 된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축적된 데이터정보를 백업하는 백업 스토리지(600)를 더 포함하는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월간일정(1)은 해당 장기요양기관의 월별 프로그램 일정계획 수립/추가/수정할 수 있고, 각 기관별 사회복지사/시설장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는 해당 장기요양기관의 월별/분기별 프로그램 일정을 할 수 있으며, 필요시 프로그램 일정을 추가하거나 수정/보완함을 포함하는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수행계획 수립(2)은 단위 프로그램에 대한 수행계획을 수립하고, 각 장기요양기관의 관리자/사회복지사는 단위 프로그램에 대한 대상일시, 프로그램 내용, 프로그램 진행자, 대상 장기요양수급자를 결정하여 수행계획을 수립함을 포함하는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동영상콘텐츠등록(3)은 단위 프로그램용 동영상 콘텐츠를 조합 및 구성하고, 시니어케어 특화 동영상 프로그램에 대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콘텐츠를 조합하여 다양한 단위 프로그램용 시니어케어 특화 동영상 콘텐츠 세트를 구성함을 포함하는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단위 프로그램용 시니어케어 특화 동영상 콘텐츠는 인지 콘텐츠, 시니어케어 특화 신체 콘텐츠, 시니어케어 특화 재활 콘텐츠, 시니어케어 특화 여가/오락 콘텐츠, 시니어케어 특화 사회교류 콘텐츠를 포함하는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동영상콘텐츠관리(4)는 단위 프로그램용 시니어케어 특화 동영상 콘텐츠를 이행하고 그 결과를 저장 관리하는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프로그램일지(5)는 단위 프로그램에 대한 일지를 기록하고, 각 장기요양기관의 단위프로그램운영 후 주요 진행사항을 기록하며 휴대폰으로 촬영한 이미지 업로드 및 프로그램 운영 일지를 작성함을 포함하는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성과측정 및 관리(6)는 장기요양수급자의 신체 건강상태 정보를 측정하여 진단하고 그 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또한 장기요양수급자의 문진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함을 포함하는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프로그램운영(7)은 시니어케어 영역별 맞춤형 콘텐츠로서 시니어케어 특화 인지 콘텐츠와, 시니어케어 특화 신체 콘텐츠와, 시니어케어 특화 재활 콘텐츠와, 시니어케어 특화 여가/오락 콘텐츠와, 시니어케어 특화 사회교류 콘텐츠와, 시니어케어 특화 기타 콘텐츠를 포함하는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시니어케어 영역별 맞춤형 콘텐츠는 1회분(1시간소요) 단위 프로그램으로서 아이스 브레킹(Ice Breaking), 준비운동콘텐츠, 소도구운동 콘텐츠와 인지콘텐츠와 기구활용 운동콘텐츠로 이루어지는 핵심콘텐츠, 마무리운동으로 이루어짐을 포함하는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운영관리(B)에서 대상자관리(9)는 장기요양수급자를 대상으로 건강상태나 인적사항, 성향을 관리하고, 담당자관리(10)는 장기요양기관의 담당자에 대한 근무 일정이나 상태를 관리하며, 기본정보설정(11)은 장기요양기관의 정보, 위치, 연락처, 이름, 담당자, 계약정보를 설정하고, 이력/통계(12)는 장기요양수급자의 단위 프로그램용 시니어케어 특화 동영상 콘텐츠를 이행하고 그 결과에 대한 이력 및 통계를 관리 함을 포함하는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















KR1020210087475A 2021-07-03 2021-07-03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 KR102369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475A KR102369182B1 (ko) 2021-07-03 2021-07-03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475A KR102369182B1 (ko) 2021-07-03 2021-07-03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182B1 true KR102369182B1 (ko) 2022-03-03

Family

ID=80818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475A KR102369182B1 (ko) 2021-07-03 2021-07-03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18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662B1 (ko) 2011-11-18 2012-08-27 오동식 요양자 통합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2565A (ko) * 2011-12-09 2013-07-22 이동훈 노인복지 업무지원시스템의 보호자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145244A (ko) * 2015-06-09 2016-12-2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건강관리 정보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
KR102133943B1 (ko) 2020-01-16 2020-07-14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니어의 건강을 위한 홈 헬스케어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KR102230493B1 (ko) * 2020-08-20 2021-03-23 주식회사 씨디에스 O2o 기반의 노노케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210065819A (ko)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이앤지테크 스마트 시니어케어 컨텐츠 서비스 지원용 건강체킹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210066687A (ko) 2019-11-28 2021-06-07 주식회사 이앤지테크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662B1 (ko) 2011-11-18 2012-08-27 오동식 요양자 통합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2565A (ko) * 2011-12-09 2013-07-22 이동훈 노인복지 업무지원시스템의 보호자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145244A (ko) * 2015-06-09 2016-12-2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건강관리 정보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프로그램
KR20210065819A (ko)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이앤지테크 스마트 시니어케어 컨텐츠 서비스 지원용 건강체킹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210066687A (ko) 2019-11-28 2021-06-07 주식회사 이앤지테크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133943B1 (ko) 2020-01-16 2020-07-14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니어의 건강을 위한 홈 헬스케어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KR102230493B1 (ko) * 2020-08-20 2021-03-23 주식회사 씨디에스 O2o 기반의 노노케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elly et al. Developing a method to test the validity of 24 hour time use diaries using wearable cameras: a feasibility pilot
US20170177807A1 (en) Enhanced user interface for a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surgical team composition and surgical team procedure resource management
Jarosławski et al. In eHealth in India today, the nature of work, the challenges and the finances: an interview-based study
Galvez et al. Feasibility of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of hearing difficulties encountered by hearing aid users
US20130073344A1 (en) Method and system of function analysis for optimizing productivity and performance of a workforce within a workspace
Harris et al. Choosing a health care provider: the role of quality information
Vhaduri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emotely configurable and manageable well-being study
Abouzahra et al. The antecedents and results of seniors’ use of activity tracking wearable devices
Ameh Evaluation of an integrated HIV and hypertension management model in rural South Africa: a mixed methods approach
US20130253971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work schedules
Kanfe et al. Utilisation of district health information system and its associated factors among health professionals working at public health facilities of the southwest of Ethiopia: cross-sectional survey
Dahri et al. Usability evaluation of mobile health application from AI perspective in rural areas of Pakistan
US10277568B2 (en) Secure patient record transmission and removal
KR102369182B1 (ko)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
Yau et al. TILES-2019: A longitudinal physiologic and behavioral data set of medical residents in an intensive care unit
Haque et al. e-ESAS: Evolution of a participatory design-based solution for breast cancer (BC) patients in rural Bangladesh
Cruz et al. Case study method to design and evaluate person-centred integrated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Udeagu et al. Outcomes of a Community Engagement and Information Gathering Program to Support Telephone-Based COVID-19 Contact Tracing: Descriptive Analysis
Gruenerbl et al. Ubiquitous context aware monitoring systems in psychiatric and mental care: challenges and issues of real life deployments
Nyirenda et al. Feasibility testing of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enabled patient-reported outcome measurement in the home health setting
KR102657197B1 (ko) 시니어케어 센터 장기요양수급자의 욕구사정 및 돌봄 서비스 운영 시스템
Kim et al. Community health nurs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Korea: Consequences, challenges, and directions
Bove et al. Adding Fitbits® to Barbershop Health Initiatives: Technology Considerations
EP4068302A1 (en) Medical data management method, apparatus, system and server
Hofbauer et al. How is the usability of commercial activity monitors perceived by older adults and by researchers? A cross-sectional evaluation of community-living individu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