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493B1 - O2o 기반의 노노케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O2o 기반의 노노케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493B1
KR102230493B1 KR1020200104407A KR20200104407A KR102230493B1 KR 102230493 B1 KR102230493 B1 KR 102230493B1 KR 1020200104407 A KR1020200104407 A KR 1020200104407A KR 20200104407 A KR20200104407 A KR 20200104407A KR 102230493 B1 KR102230493 B1 KR 102230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e
living alone
elderly living
smartphon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대
양승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디에스
주식회사 이앤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디에스, 주식회사 이앤지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디에스
Priority to KR1020200104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69Presence detector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infrared sensor, micropho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스케어 관련 기술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의 노노케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은 독거노인의 평상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공지받을 시,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 내 탑재된 챗봇과 독거노인 간에 행해지는 일상적 대화를 분/시/일/주/월별로 모아 생성시킨 빅데이터를 대상으로 이성지수 분석, 감성지수 분석, 심리지수 분석을 실시한다.

Description

O2O 기반의 노노케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O2O-based no-no car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헬스케어 관련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독거노인의 평상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공지받을 시,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 내 탑재된 챗봇과 독거노인 간에 행해지는 일상적 대화를 분/시/일/주/월별로 모아 생성시킨 빅데이터를 대상으로 이성지수 분석, 감성지수 분석, 심리지수 분석을 실시하는 O2O(Online to Offline) 기반의 노노케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니어 헬스케어 기술은 고령화 시대에 따른 시니어 인구의 증가와 이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도 증가에 맞추어 더욱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인구는 610만여 명으로 전체 인구의 12%를 넘어섰다.
대한민국뿐 아니라 프랑스, 스웨덴, 미국, 독일, 일본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고령화사회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21세기에는 모든 국가가 고령화라는 사회적 현상에 대응해야 하는 상황이다.
인구고령화, 1인 가구의 증가, 개인주의 심화 등 사회적 인식 변화에 따른 의료서비스에 대한 질적 향상이 요구되고 있지만, 의료종사 근무자의 수는 증가하는 환자 수 대비 부족하여 업무 스트레스 증가 및 효율 저하 현상에 직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지능 로봇은 산업분야를 벗어나 국방, 문화, 교육, 의료 등의 다양한 [0003] 서비스 분야로 적용 범위를 넓히고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로봇이 병원 내 특정 위치로 의약품을 운송하거나, 특정 질환을 가진 대상자와 대화를 수행하는 역할까지 담당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로봇의 지능을 표현하는 기술 중 하나는 로봇이 자체적으로 상호작용 대상자를 인지하고 지속적으로 추적하는 것이다.
의료 현장에는 의료진의 업무 효율 증대와 환자를 위한 양질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다양한 의료서비스 분야에 로봇의 활용이 시도되고 있다. 의료 서비스에 적용되는 로봇의 경우, 수술, 재활 등 전문적인 서비스에 활용되는 로봇과 함께 최근에는 환자의 스트레스 케어를 위한 개인 서비스로봇이 개발되고 있다.
개인 서비스 로봇은 가정에서 주로 활용이 가능하지만, 의료기관과 같은 공공기관에서 개별 환자 맞춤형으로 헬스 케어 서비스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최근 스마트미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스마트 미러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 미러란, 거울이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물체의 모양을 비추는 거울 고유의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인터넷과 연결되어 날씨, 달력 및 주요 뉴스 등의 다양한 정보를 출력해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거울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미러는 그날의 날씨, 주요 뉴스 등의 일반적인 정보를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데 그치고 있을 뿐, 사용자의 감정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감정에 따라 그에 적합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다.
또한, 고령화 사회의 가속화에 따라 노인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고, 특히 홀로 거주하는 노인의 경우, 긴급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못하는 경우에 큰 위험에 처할 수 있고, 이는 사회적으로 크게 문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인들이 일반 스마트기기 보다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미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정을 고려한 대화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영상 혹은 음성을 수집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분석하여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전무하다.
또한,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평균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복약 관리가 지속적으로 필요한 사람의 수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노인의 투약 관리는 생명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기 때문에 정확한 복약 관리는 건강 유지를 위해 중요한 사항이다. 또한, 복약 후 부작용이 발생한 경우 사후 관리의 필요성도 절실한 실정이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 10-2020-0063849 한국특허 공개번호 : 10-2020-0081520 한국특허 공개번호 : 10-2013-0110969 한국특허 공개번호 : 10-2019-0026319
본 발명의 O2O 기반의 노노케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은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독거노인의 평상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공지받을 시,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 내 탑재된 챗봇과 독거노인 간에 행해지는 일상적 대화를 분/시/일/주/월별로 모아 생성시킨 빅데이터를 대상으로 이성지수 분석, 감성지수 분석, 심리지수 분석을 실시하여 독거노인에 적합한 맞춤형 복지케어를 실시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독거 노인의 현 인지능력 상태 변동치, 현 병환 상태 변동치 및 현 감정조절 상태 변동치를 누적 체크해 담당의사의 노노케어용 스마트폰으로 수시 전달해 줌으로써, 담당의사의 소견에 따른 약처방 및 병치료에 만전을 기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담당의사의 처방전을 토대로 주기적으로 딥러닝시킨 제 1, 2 힐링케어 정보를 챗봇을 통해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에서 영상 출력, 음성 출력 또는 텍스트 출력케 함으로서, 독거노인 스스로 자립하거나 자기케어할 수 있는 자생력을 키워주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이를 통해 헬스케어 관련 산업의 무궁한 발전을 도모하고 이에 종사자, 담당자 및 기업의 이윤을 크게 창출시킬 수 있는 개기를 마련해 줌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을 선도 및 이바지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상기의 과제를 당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의 노노케어 시스템은, 독거노인의 평시 행동패턴을 실시간으로 인지 및 분석해 상기 평시 행동패턴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될 시, 상기 독거노인과 연계되어 있는 인적 네트워크 내 속한 적어도 한 인물이 소지한 보호자용 스마트폰으로 상기 독거노인의 평시 행동패턴 이상에 따른 응급 상황 발생함을 신속히 알리는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독거노인의 평시 행동패턴이 이상 있음을 통보받을 시, 상기 독거노인이 거주하는 관할지역 내 소방서, 경찰서, 병원, 동(면)사무소로 긴급 호출을 실시하고 상기 독거 노인의 신변보호 요청 및 상기 독거 노인의 현 위치-이동정보, 최근 통화 이력정보 및 카드사용 이력정보를 클라우드 통신망을 통해 제공받는 보호자용 스마트폰;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과 기연결된 클라우드 통신망을 통해 상기 독거노인의 평상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공지받을 시,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의 접근 허용을 요청한 상기 보호자용 스마트폰의 접근 허용을 수락해 상기 독거 노인의 현 위치-이동정보, 최근 통화 이력정보 및 카드사용 이력정보를 제공해 주며,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 내 탑재된 챗봇과 독거노인 간에 행해지는 일상적 대화를 분/시/일/주/월별로 모아 생성시킨 빅데이터를 대상으로 이성지수 분석, 감성지수 분석, 심리지수 분석을 실시함에 따라 상기 독거 노인의 현 인지능력 상태 변동치, 현 병환 상태 변동치 및 현 감정조절 상태 변동치를 누적 체크해 담당의사의 노노케어용 스마트폰으로 수시 전달해 줌과 아울러, 상기 담당의사의 처방전을 토대로 주기적으로 딥러닝시킨 제 1 힐링케어 정보를 전달해 상기 챗봇을 통해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에서 영상 출력, 음성 출력 또는 텍스트 출력케 하는 노노케어 서비스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의 노노케어 시스템의 운영방법은,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이 독거노인의 평시 행동패턴을 실시간으로 인지 및 분석해 상기 평시 행동패턴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될 시, 상기 독거노인과 연계되어 있는 인적 네트워크 내 속한 적어도 한 인물이 소지한 보호자용 스마트폰으로 상기 독거노인의 평시 행동패턴 이상에 따른 응급 상황 발생함을 신속히 알리는 단계; 보호자용 스마트폰이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독거노인의 평시 행동패턴이 이상 있음을 통보받을 시, 상기 독거노인이 거주하는 관할지역 내 소방서, 경찰서, 병원, 동(면)사무소로 긴급 호출을 실시하고 상기 독거 노인의 신변보호 요청 및 상기 독거 노인의 현 위치-이동정보, 최근 통화 이력정보 및 카드사용 이력정보를 클라우드 통신망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 노노케어 서비스 관리서버가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과 기연결된 클라우드 통신망을 통해 상기 독거노인의 평상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공지받을 시,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의 접근 허용을 요청한 상기 보호자용 스마트폰의 접근 허용을 수락해 상기 독거 노인의 현 위치-이동정보, 최근 통화 이력정보 및 카드사용 이력정보를 제공해 주는 단계; 상기 노노케어 서비스 관리서버가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 내 탑재된 챗봇과 독거노인 간에 행해지는 일상적 대화를 분/시/일/주/월별로 모아 생성시킨 빅데이터를 대상으로 이성지수 분석, 감성지수 분석, 심리지수 분석을 실시함에 따라 상기 독거 노인의 현 인지능력 상태 변동치, 현 병환 상태 변동치 및 현 감정조절 상태 변동치를 누적 체크해 담당의사의 노노케어용 스마트폰으로 수시 전달해 주는 단계; 및 상기 노노케어 서비스 관리서버가 상기 담당의사의 처방전을 토대로 주기적으로 딥러닝시킨 제 1 힐링케어 정보를 전달해 상기 챗봇을 통해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에서 영상 출력, 음성 출력 또는 텍스트 출력케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O2O 기반의 노노케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은 독거노인의 평상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공지받을 시,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 내 탑재된 챗봇과 독거노인 간에 행해지는 일상적 대화를 분/시/일/주/월별로 모아진 빅데이터를 대상으로 이성지수 분석, 감성지수 분석, 심리지수 분석을 실시하여 독거노인에 적합한 맞춤형 복지케어를 실시하는 제 1 효과를 준다.
본 발명은 독거 노인의 현 인지능력 상태 변동치, 현 병환 상태 변동치 및 현 감정조절 상태 변동치를 누적 체크해 담당의사의 노노케어용 스마트폰으로 수시 전달해 줌으로써, 담당의사의 소견에 따른 약처방 및 병치료에 만전을 기하는 제 2 효과를 준다.
본 발명은 담당의사의 처방전을 토대로 주기적으로 딥러닝시킨 제 1, 2 힐링케어 정보를 챗봇을 통해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에서 영상 출력, 음성 출력 또는 텍스트 출력케 함으로서, 독거노인 스스로 자립하거나 자기케어할 수 있는 자생력을 키워주는 제 3 효과를 준다.
본 발명은 이를 통해 헬스케어 관련 산업의 무궁한 발전을 도모하고 이에 종사자, 담당자 및 기업의 이윤을 크게 창출시킬 수 있는 개기를 마련해 줌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을 선도 및 이바지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는 제 4 효과를 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의 노노케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의 노노케어 시스템을 도시한 다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의 노노케어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의 노노케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이다.
도 1를 참조하면, O2O 기반의 노노케어 시스템(1000)은 독거노인의 평상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공지받을 시,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 내 탑재된 챗봇과 독거노인 간에 행해지는 일상적 대화를 분/시/일/주/월별로 모아진 빅데이터를 대상으로 이성지수 분석, 감성지수 분석, 심리지수 분석을 실시하는 시스템으로,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 보호자용 스마트폰(200) 및 노노케어 서비스 관리서버(300)를 포함한다.
먼저,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은 독거노인의 평시 행동패턴을 실시간으로 인지 및 분석해 평시 행동패턴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될 시, 독거노인과 연계되어 있는 인적 네트워크 내 속한 적어도 한 인물이 소지한 보호자용 스마트폰(200)으로 독거노인의 평시 행동패턴 이상에 따른 응급 상황 발생함을 신속히 알린다.
보호자용 스마트폰(200)은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으로부터 독거노인의 평시 행동패턴이 이상 있음을 통보받을 시, 독거노인이 거주하는 관할지역 내 소방서, 경찰서, 병원, 동(면)사무소로 긴급 호출을 실시하고 독거 노인의 신변보호 요청 및 독거 노인의 현 위치-이동정보, 최근 통화 이력정보 및 카드사용 이력정보를 클라우드 통신망을 통해 제공받는다.
노노케어 서비스 관리서버(300)는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과 기연결된 클라우드 통신망을 통해 독거노인의 평상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공지받을 시,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의 접근 허용을 요청한 보호자용 스마트폰(200)의 접근 허용을 수락해 독거 노인의 현 위치-이동정보, 최근 통화 이력정보 및 카드사용 이력정보를 제공해 준다.
노노케어 서비스 관리서버(300)는 도 2에서도 볼 수 있듯이,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 내 탑재된 챗봇과 독거노인 간에 행해지는 일상적 대화를 분/시/일/주/월별로 모아 생성시킨 빅데이터를 대상으로 이성지수 분석, 감성지수 분석, 심리지수 분석을 실시함에 따라 독거 노인의 현 인지능력 상태 변동치, 현 병환 상태 변동치 및 현 감정조절 상태 변동치를 누적 체크해 담당의사의 노노케어용 스마트폰(400)으로 수시 전달해 준다.
이와 아울러, 노노케어 서비스 관리서버(300)는 담당의사의 처방전을 토대로 주기적으로 딥러닝시킨 제 1 힐링케어 정보를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로 전달해 챗봇을 통해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에서 영상 출력, 음성 출력 또는 텍스트 출력케 한다.
노노케어 서비스 관리서버(300)는 누적된 독거 노인의 현 인지능력 상태 변동치, 현 병환 상태 변동치 및 현 감정조절 상태 변동치를 토대로 독거 노인에 대한 토탈 건강검진을 자체 진단한 후 분/시/일/주/월별에 따라 변동되는 자체 진단 결과치를 주기적이면서 반복적으로 딥러닝시킨다.
노노케어 서비스 관리서버(300)는 독거 노인의 현 인지능력 상태 변동치, 현 병환 상태 변동치 및 현 감정조절 상태 변동치가 상향하는데 도움이 될만한 제 2 힐링케어 정보를 생성시킨다.
여기서, 챗봇은 제 1, 2 힐링케어 정보를 영상, 음성 또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3D 홀로그램을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100)의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표출케 함으로써, 독거노인의 우울증, 우울증으로 인한 피해의식 노출, 신체자학, 타인해악 혹은 극단적 자아신체 포기 현상이 제거될 수 있도록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선제적 관리조치를 주기적으로 실시함에 유의한다.
또한, 챗봇은 독거노인의 불규칙적한 일상적 질의에 1:1로 대응하며 응답할 수 있도록 노노케어 서비스 관리서버(300) 내 국제 언어사전 빅데이터부에서 미리 딥러닝해 둔 능동적 AI 질문을 제공받으며, 능동적 AI 질문에 부응하는 독거 노인의 답변 음성 혹은 재답변 음성을 클라우드 통신망과 연결된 노노케어 서비스 관리서버(300)에 전달하여 이성지수 분석, 감성지수 분석, 심리지수 분석을 실시하는데 가용되는 빅데이터의 설정을 지원해 준다.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300)은 능동적 AI 질문 중 어느 하나인 "동영상 촬영하기", "사진찍기 수행하기"에 부응할만한 응답으로 촬영한 독거노인의 동영상 파일, 사진 파일을 노노케어 서비스 관리서버(300)에 전달한다.
노노케어 서비스 관리서버(300)는 독거노인의 동영상 파일, 사진 파일로부터 인지되는 독거 노인의 안면이미지를 패턴 분석해 현 인지능력 상태 변동치, 현 병환 상태 변동치 및 현 감정조절 상태 변동치를 확률 및 통계적으로 추정해 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2O 기반의 노노케어 시스템의 운영방법을나타낸 순서도이다.
O2O 기반의 노노케어 시스템의 운영방법은 독거노인의 평상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공지받을 시,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 내 탑재된 챗봇과 독거노인 간에 행해지는 일상적 대화를 분/시/일/주/월별로 모아 생성시킨 빅데이터를 대상으로 이성지수 분석, 감성지수 분석, 심리지수 분석을 실시하는 운영방법이다.
먼저,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은 독거노인의 평시 행동패턴을 실시간으로 인지 및 분석해 평시 행동패턴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될 시, 독거노인과 연계되어 있는 인적 네트워크 내 속한 적어도 한 인물이 소지한 보호자용 스마트폰으로 독거노인의 평시 행동패턴 이상에 따른 응급 상황 발생함을 신속히 알린다(S100).
보호자용 스마트폰은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으로부터 독거노인의 평시 행동패턴이 이상 있음을 통보받을 시, 독거노인이 거주하는 관할지역 내 소방서, 경찰서, 병원, 동(면)사무소로 긴급 호출을 실시하고, 독거 노인의 신변보호 요청 및 독거 노인의 현 위치-이동정보, 최근 통화 이력정보 및 카드사용 이력정보를 클라우드 통신망을 통해 제공받는다(S200, S300).
노노케어 서비스 관리서버는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과 기연결된 클라우드 통신망을 통해 독거노인의 평상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공지받을 시,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의 접근 허용을 요청한 보호자용 스마트폰의 접근 허용을 수락해 독거 노인의 현 위치-이동정보, 최근 통화 이력정보 및 카드사용 이력정보를 제공해 준다(S400).
노노케어 서비스 관리서버는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 내 탑재된 챗봇과 독거노인 간에 행해지는 일상적 대화를 분/시/일/주/월별로 모아 생성시킨 빅데이터를 대상으로 이성지수 분석, 감성지수 분석, 심리지수 분석을 실시함에 따라 독거 노인의 현 인지능력 상태 변동치, 현 병환 상태 변동치 및 현 감정조절 상태 변동치를 누적 체크해 담당의사의 노노케어용 스마트폰으로 수시 전달해 준다(S500, S600).
노노케어 서비스 관리서버는 담당의사의 처방전을 토대로 주기적으로 딥러닝시킨 제 1 힐링케어 정보를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에 전달해 챗봇을 통해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에서 영상 출력, 음성 출력 또는 텍스트 출력케 한다(S700).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
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 O2O 기반의 노노케어 시스템
1OO :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 200 : 보호자용 스마트폰
300 : 노노케어 서비스 관리서버 400 : 노노케어용 스마트폰

Claims (6)

  1. 독거노인의 평시 행동패턴을 실시간으로 인지 및 분석해 상기 평시 행동패턴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될 시, 상기 독거노인과 연계되어 있는 인적 네트워크 내 속한 적어도 한 인물이 소지한 보호자용 스마트폰으로 상기 독거노인의 평시 행동패턴 이상에 따른 응급 상황 발생함을 신속히 알리는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독거노인의 평시 행동패턴이 이상 있음을 통보받을 시, 상기 독거노인이 거주하는 관할지역 내 소방서, 경찰서, 병원, 동(면)사무소로 긴급 호출을 실시하고 상기 독거 노인의 신변보호 요청 및 상기 독거 노인의 현 위치-이동정보, 최근 통화 이력정보 및 카드사용 이력정보를 클라우드 통신망을 통해 제공받는 보호자용 스마트폰;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과 기연결된 클라우드 통신망을 통해 상기 독거노인의 평상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공지받을 시,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의 접근 허용을 요청한 상기 보호자용 스마트폰의 접근 허용을 수락해 상기 독거 노인의 현 위치-이동정보, 최근 통화 이력정보 및 카드사용 이력정보를 제공해 주며,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 내 탑재된 챗봇과 독거노인 간에 행해지는 일상적 대화를 분/시/일/주/월별로 모아 생성시킨 빅데이터를 대상으로 이성지수 분석, 감성지수 분석, 심리지수 분석을 실시함에 따라 상기 독거 노인의 현 인지능력 상태 변동치, 현 병환 상태 변동치 및 현 감정조절 상태 변동치를 누적 체크해 담당의사의 노노케어용 스마트폰으로 수시 전달해 줌과 아울러, 상기 담당의사의 처방전을 토대로 주기적으로 딥러닝시킨 제 1 힐링케어 정보를 전달해 상기 챗봇을 통해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에서 영상 출력, 음성 출력 또는 텍스트 출력케 하는 노노케어 서비스 관리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노노케어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누적된 독거 노인의 현 인지능력 상태 변동치, 현 병환 상태 변동치 및 현 감정조절 상태 변동치를 토대로 상기 독거 노인에 대한 토탈 건강검진을 자체 진단한 후 상기 분/시/일/주/월별에 따라 상시 변동되는 자체 진단 결과치를 주기적이면서 반복적으로 딥러닝시킴에 따라, 상기 독거 노인의 현 인지능력 상태 변동치, 현 병환 상태 변동치 및 현 감정조절 상태 변동치가 상향하는데 도움이 될만한 제 2 힐링케어 정보를 생성시키며, 상기 챗봇은,
    상기 제 1, 2 힐링케어 정보를 영상, 음성 또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3D 홀로그램을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 패널에서 표출케 함으로써, 상기 독거노인의 우울증, 상기 우울증으로 인한 피해의식 노출, 신체자학, 타인해악 혹은 극단적 자아신체 포기 현상이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선제적 관리조치를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상기 독거노인의 불규칙적한 일상적 질의에 1:1로 대응하며 응답할 수 있도록 상기 노노케어 서비스 관리서버 내 국제 언어사전 빅데이터부에서 미리 딥러닝해 둔 능동적 AI 질문을 제공받으며, 상기 능동적 AI 질문에 부응하는 상기 독거 노인의 답변 음성 혹은 재답변 음성을 상기 클라우드 통신망과 연결된 상기 노노케어 서비스 관리서버에 전달하여 상기 이성지수 분석, 감성지수 분석, 심리지수 분석을 실시하는데 가용되는 상기 빅데이터의 설정을 지원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2O 기반의 노노케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은 능동적 AI 질문 중 어느 하나인 "동영상 촬영하기", "사진찍기 수행하기"에 부응할만한 응답으로 촬영한 상기 독거노인의 동영상 파일, 사진 파일을 노노케어 서비스 관리서버에 전달하며,
    상기 노노케어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독거노인의 동영상 파일, 사진 파일로부터 인지되는 상기 독거 노인의 안면이미지를 패턴 분석해 상기 현 인지능력 상태 변동치, 현 병환 상태 변동치 및 현 감정조절 상태 변동치를 확률 및 통계적으로 추정해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2O 기반의 노노케어 시스템.
  6.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이 독거노인의 평시 행동패턴을 실시간으로 인지 및 분석해 상기 평시 행동패턴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될 시, 상기 독거노인과 연계되어 있는 인적 네트워크 내 속한 적어도 한 인물이 소지한 보호자용 스마트폰으로 상기 독거노인의 평시 행동패턴 이상에 따른 응급 상황 발생함을 신속히 알리는 단계;
    보호자용 스마트폰이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으로부터 상기 독거노인의 평시 행동패턴이 이상 있음을 통보받을 시, 상기 독거노인이 거주하는 관할지역 내 소방서, 경찰서, 병원, 동(면)사무소로 긴급 호출을 실시하고 상기 독거 노인의 신변보호 요청 및 상기 독거 노인의 현 위치-이동정보, 최근 통화 이력정보 및 카드사용 이력정보를 클라우드 통신망을 통해 제공받는 단계;
    노노케어 서비스 관리서버가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과 기연결된 클라우드 통신망을 통해 상기 독거노인의 평상 행동패턴의 이상이 발생됨을 공지받을 시,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의 접근 허용을 요청한 상기 보호자용 스마트폰의 접근 허용을 수락해 상기 독거 노인의 현 위치-이동정보, 최근 통화 이력정보 및 카드사용 이력정보를 제공해 주는 단계;
    상기 노노케어 서비스 관리서버가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 내 탑재된 챗봇과 독거노인 간에 행해지는 일상적 대화를 분/시/일/주/월별로 모아 생성시킨 빅데이터를 대상으로 이성지수 분석, 감성지수 분석, 심리지수 분석을 실시함에 따라 상기 독거 노인의 현 인지능력 상태 변동치, 현 병환 상태 변동치 및 현 감정조절 상태 변동치를 누적 체크해 담당의사의 노노케어용 스마트폰으로 수시 전달해 주는 단계; 및
    상기 노노케어 서비스 관리서버가 상기 담당의사의 처방전을 토대로 주기적으로 딥러닝시킨 제 1 힐링케어 정보를 전달해 상기 챗봇을 통해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에서 영상 출력, 음성 출력 또는 텍스트 출력케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노노케어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누적된 독거 노인의 현 인지능력 상태 변동치, 현 병환 상태 변동치 및 현 감정조절 상태 변동치를 토대로 상기 독거 노인에 대한 토탈 건강검진을 자체 진단한 후 상기 분/시/일/주/월별에 따라 상시 변동되는 자체 진단 결과치를 주기적이면서 반복적으로 딥러닝시킴에 따라, 상기 독거 노인의 현 인지능력 상태 변동치, 현 병환 상태 변동치 및 현 감정조절 상태 변동치가 상향하는데 도움이 될만한 제 2 힐링케어 정보를 생성시키며, 상기 챗봇은,
    상기 제 1, 2 힐링케어 정보를 영상, 음성 또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3D 홀로그램을 상기 시니어케어용 스마트폰 패널에서 표출케 함으로써, 상기 독거노인의 우울증, 상기 우울증으로 인한 피해의식 노출, 신체자학, 타인해악 혹은 극단적 자아신체 포기 현상이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선제적 관리조치를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상기 독거노인의 불규칙적한 일상적 질의에 1:1로 대응하며 응답할 수 있도록 상기 노노케어 서비스 관리서버 내 국제 언어사전 빅데이터부에서 미리 딥러닝해 둔 능동적 AI 질문을 제공받으며, 상기 능동적 AI 질문에 부응하는 상기 독거 노인의 답변 음성 혹은 재답변 음성을 상기 클라우드 통신망과 연결된 상기 노노케어 서비스 관리서버에 전달하여 상기 이성지수 분석, 감성지수 분석, 심리지수 분석을 실시하는데 가용되는 상기 빅데이터의 설정을 지원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2O 기반의 노노케어 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20200104407A 2020-08-20 2020-08-20 O2o 기반의 노노케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2230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407A KR102230493B1 (ko) 2020-08-20 2020-08-20 O2o 기반의 노노케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407A KR102230493B1 (ko) 2020-08-20 2020-08-20 O2o 기반의 노노케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493B1 true KR102230493B1 (ko) 2021-03-23

Family

ID=75223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407A KR102230493B1 (ko) 2020-08-20 2020-08-20 O2o 기반의 노노케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4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182B1 (ko) * 2021-07-03 2022-03-03 웰나우 주식회사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
CN114463938A (zh) * 2022-02-09 2022-05-10 辽宁工业大学 一种空巢老人智能监护系统
KR20230006618A (ko) * 2021-07-03 2023-01-10 웰나우(주) 시니어케어 센터 장기요양수급자의 욕구사정 및 돌봄 서비스 운영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5503A (ko) * 2009-03-25 2009-04-0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결제수단 이용내역 분석 시스템
KR20130110969A (ko) 2012-03-30 2013-10-10 (주)이산솔루션 노약자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메인서버
KR20190026319A (ko) 2017-09-05 2019-03-13 주식회사 유니온 아일랜드 멀티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이 가능한 의료기관 연계형 모바일 헬스케어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KR102118585B1 (ko) * 2019-12-13 2020-06-0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니어 케어를 위한 스마트미러 챗봇 시스템 및 방법
KR102116405B1 (ko) * 2019-01-03 2020-06-05 (주) 모인온 지능형 독거노인 안전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63849A (ko) 2018-11-28 2020-06-05 박영세 복약을 지원하고 관리하는 복약 헬스케어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81520A (ko) 2018-12-14 2020-07-08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보조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5503A (ko) * 2009-03-25 2009-04-0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결제수단 이용내역 분석 시스템
KR20130110969A (ko) 2012-03-30 2013-10-10 (주)이산솔루션 노약자를 위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메인서버
KR20190026319A (ko) 2017-09-05 2019-03-13 주식회사 유니온 아일랜드 멀티웨어러블 디바이스 연동이 가능한 의료기관 연계형 모바일 헬스케어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KR20200063849A (ko) 2018-11-28 2020-06-05 박영세 복약을 지원하고 관리하는 복약 헬스케어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81520A (ko) 2018-12-14 2020-07-08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보조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16405B1 (ko) * 2019-01-03 2020-06-05 (주) 모인온 지능형 독거노인 안전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102118585B1 (ko) * 2019-12-13 2020-06-0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니어 케어를 위한 스마트미러 챗봇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182B1 (ko) * 2021-07-03 2022-03-03 웰나우 주식회사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
KR20230006618A (ko) * 2021-07-03 2023-01-10 웰나우(주) 시니어케어 센터 장기요양수급자의 욕구사정 및 돌봄 서비스 운영 시스템
KR102657197B1 (ko) 2021-07-03 2024-04-15 헬스클라우드 주식회사 시니어케어 센터 장기요양수급자의 욕구사정 및 돌봄 서비스 운영 시스템
CN114463938A (zh) * 2022-02-09 2022-05-10 辽宁工业大学 一种空巢老人智能监护系统
CN114463938B (zh) * 2022-02-09 2024-04-09 辽宁工业大学 一种空巢老人智能监护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493B1 (ko) O2o 기반의 노노케어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Bruns et al. Evaluating the Vermont system of care: Outcomes associated with community-based wraparound services
Solomon et al. The efficacy of a consumer case management team: 2-year outcomes of a randomized trial
US11915806B2 (en) HIPAA-compliant computer security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visual personal health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format relating to at least two individuals, at least one of whom is an individual under care, from a video camera, preventing unauthorized access of a user to the information, and preparing automated electronic visit verification records
KR102343060B1 (ko) 스마트 시니어케어 컨텐츠 서비스 지원용 건강체킹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US2016021044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patient questions for a remote patient monitoring, communications and notification system
Baker et al. Preparing families of children with special health care needs for disasters: an education intervention
EP3699919A2 (en) Computer-based system for providing psychological therapy
Obayashi et al. Pilot and feasibility study on elderly support services using communicative robots and monitoring sensors integrated with cloud robotics
Heath Outcomes from the work of registered nurses working with older people in UK care homes
KR20210066687A (ko) 시니어케어 플랫폼 서비스를 지원하는 토탈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Haus et al. Stress and stress management in European crisis managers
Carlini et al. Reaching out, inviting back: usin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technology to recycle relapsed smokers back to Quitline treatment–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lqudah et al. Challenges facing users of hearing aid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hari The role of social trust in citizen mobility during COVID-19
Beach et al. Effects of minimal versus intensive intervention to enhance motivational interviewing in HIV care
Fonagy et al. Multisystemic therapy compared with management as usual for adolescents at risk of offending: the START II RCT
Alavi et al.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burnout in health care providers: A post-disaster study.
Hojjatinia et al. Physical activity dynamics during a digital messaging intervention changed after the pandemic declaration
Montassier et al. The effect of work shift configurations on emergency medical dispatch center response
KR102343063B1 (ko) 시니어케어 서비스 관리운영 시스템 및 그 관리운영 방법
Scott et al. Health service utilization in Manicaland Province, Zimbabw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results from a cross-sectional household survey
Haigh et al. The independent lifestyle assistantTM (ILSA): Deployment lessons learned
Bashah et al. Endxiety Self-Relief Button Mobile Application
Blanco et al. A pilot study for a smartphone app for the prevention of depression in non-professional caregiv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