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2565A - 노인복지 업무지원시스템의 보호자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노인복지 업무지원시스템의 보호자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2565A
KR20130082565A KR1020110131498A KR20110131498A KR20130082565A KR 20130082565 A KR20130082565 A KR 20130082565A KR 1020110131498 A KR1020110131498 A KR 1020110131498A KR 20110131498 A KR20110131498 A KR 20110131498A KR 20130082565 A KR20130082565 A KR 20130082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care
report
information
suppor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3541B1 (ko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이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훈 filed Critical 이동훈
Priority to KR1020110131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541B1/ko
Publication of KR20130082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06Q50/60

Abstract

본 발명은 노인복지 업무지원 시스템에 있어서 보호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케어 대상자에 대한 사례 관리 기록과 케어 대상자와 매치되는 보호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노인복지 업무지원 시스템을 기반으로 케어 대상자의 케어 정보를 상기 보호자 정보에 기록된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a) 오피스 단말이 상기 노인복지 업무지원 시스템에 접속하여 케어 대상자를 선택하여 케어 기간이 설정된 케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단계와, (b) 상기 오피스 단말이 노인복지 업무지원 시스템에 설치되는 편집기를 이용해서 보고서를 작성하고 미리 저장되어 있는 보고서 탬플릿과 결합함으로써 보호자용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노인복지 업무지원 시스템의 서버가 상기 보호자용 보고서를 상기 보호자 단말의 이메일 계정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노인복지 업무지원시스템의 보호자 서비스 제공 방법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INMATE'S GUARDIAN IN A BUSINESS SUPPORT SYSTEM OF ELDERLY WELFARE FACILITY}
본 발명은 노인복지 업무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노인 장기요양 보험과 관련되어 보호자에 대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계청 통계자료에 따르면 2009년 노인인구는 500만명을 넘었고, 급속히 노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상황이다. 전체 노인인구 중 7% 이상이 노인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여서 자체적으로 경제생활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상황일 뿐만 아니라 상당수의 노인이 고령이나 노인성질병에 의해 일상생활을 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도입되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은 치매/중풍의 노화 및 노인성 질환 등으로 인하여 혼자 힘으로 일상 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대상자에게 요양시설이나 재가 장기요양기관을 통해 신체활동 또는 가사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도이다. 2010년 9월 현재 314,853명의 노인이 장기요양 인정자로 지정되어 있으며, 수만 개의 노인장기요양시설이 등록되어 있다.
현재 시스템은 장기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직원들이 정해진 항목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항목을 수기로 기록하고 조사하며, 시설의 사무요원이 이를 정리해서 국민건강보험 관리공단에 장기요양인정신청을 하고, 국민건강보험 관리공단에 정한 등급에 따라 장기요양급여를 지급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현재의 시스템은 모든 기록이 정해진 양식의 종이에 일일이 수기로 기록되기 때문에 투명성과 추적성에 커다란 문제를 보여왔다. 노인장기요양보험 시스템은 국가적인 시스템으로서 수조 원의 예산이 소요되는데 부정 수급은 국가 차원의 문제가 되었다. 예컨대 2010년 보건복지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전국 907개 요양기관 대상 감사결과 563곳(57%)에서 부정 수급이 적발되기도 했다. 또한, 수가 신청을 위한 기록 업무가 급증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종래에는 최초 현장 메모 작성, 기록의 수집 및 정리, 서류 작성으로 이루이지는 3단계 수기 작성에 따른 불편함이 있었고, 또한 야간 근무자가 주간의 메모와 기록을 수거하여 2차로 정리해야 하는 부담도 발생하였다. 한편, 체계적인 사례관리의 부재와 데이터에 대한 활용성도 전무하여, 체계적인 기록에 기반한 사례관리의 어려움이 있었고, 기록에 대한 2차 활용/서비스 개선 등의 활동이 전무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명가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0045523호로 특허출원을 한 바 있다. 그리고 그 내용은 본 특허출원에 통합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시스템의 또 다른 문제점으로서 보호자의 관점에서 서비스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장기요양보험 등의 노인에 대한 여러 가지 서비스는 비단 노인들만의 관심이 아니라 그 노인들의 가족(보호자)에게도 매우 커다란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보호자가 케어 대상 노인이 어떤 서비스를 받고 있는지, 케어 상태는 어떤지, 건강 상황은 어떤지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하는 경우, 지금까지는 보호자가 직접 시설에 전화를 하거나 혹은 방문하는 등의 절차를 밝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발명가는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 노력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노인복지 업무에 특화된 업무지원 솔루션으로서, 업무의 효율을 극대화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국민 노인복지 서비스 질을 개선하고자 함에 있다. 특히 노인복지 업무를 단순히 케어 대상자로 한정하지 않고, 케어 대상자의 보호자에 대한 통합 정보 시스템을 포함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케어 대상자를 위한 서비스가 케어 대상자의 보호자를 위한 서비스로까지 발전시키고자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 노인장기요양보험 시스템에서 발생하였던 투명성 및 추적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 기록업무의 폐해를 극복하기 위하여 공단에 제출하는 보고서 등 각종 보고서가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어 대상자에 대한 사례 관리 기록과 케어 대상자와 매치되는 보호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노인복지 업무지원 시스템을 기반으로 케어 대상자의 케어 정보를 상기 보호자 정보에 기록된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a) 오피스 단말이 상기 노인복지 업무지원 시스템에 접속하여 케어 대상자를 선택하여 케어 기간이 설정된 케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오피스 단말이 노인복지 업무지원 시스템에 설치되는 편집기를 이용해서 보고서를 작성하고 미리 저장되어 있는 보고서 탬플릿과 결합함으로써 보호자용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노인복지 업무지원 시스템의 서버가 상기 보호자용 보고서를 상기 보호자 단말의 이메일 계정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인복지 업무지원 시스템의 보호자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되는 케어 정보는, 상기 노인복지 업무지원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DB 추출기가 사례관리기록, 욕구사정결과, 서비스제공계획, 요양서비스기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출하는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인복지 업무지원 시스템의 보호자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및 (b) 단계 사이에서, 상기 노인복지 업무지원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분류기가 추출된 케어정보를 부서별 분류 규칙, 주단위 압축형 분류규칙, 메모 길이 분류 규칙, 빈도 분류 규칙, 제공계획 대비 실천 분류 규칙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분류 규칙에 의해 분류하여 상기 오피스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자용 보고서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입력하거나 삽입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본 발명은 케어 대상자의 보호자에 대한 통합 정보 시스템을 제공될 수 있으며, 케어 대상자를 위한 서비스가 케어 대상자의 보호자를 위한 서비스가 상호 통합될 수 있어서 보호자가 안심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설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보호자 정보를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보호자가 자신의 다양한 수신 수단으로 케어 대상자(보호자의 부모나 친척일 수 있는 사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보호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노인복지 시스템에서, 특히 노인장기요양보험 업무와 관련된 업무 서비스의 투명성과 추적성이 완벽하게 확보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와 각종 업무를 관리하는 오피스의 각각의 업무가 자동화되기 때문에 업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노인복지 서비스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단에 제출하는 보고서 등 각종 보고서가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100)와 서버(10)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장기요양급여제공기록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진행과 관련된 클라이언트(100)와 서버(10) 간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클라이언트(100)의 화면 구성 예를 프로세스 진행에 따라 예시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 단말(20)과 서버(10)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 단말(50)과 보호자 단말(200) 사이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어느 실시예에 따라 보호자용 보고서를 보호자 단말(200)로 전송함에 있어서의 프로그램 절차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도 11의 실시예에 따라 오피스 단말(50)이 보호자용 보고서를 전송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 미리 저장되어 있는 보고서 탬플릿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고서 작성 모듈의 화면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수기식 기록으로 작성되던 요양서비스 제공 기록을 간단한 터치식 입력으로 개선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있어서 장기요양서비스를 제공하고 기록하는 사람은 네트워크 상의 모바일 클라이언트의 지위를 갖는다. 이 모바일 클라이언트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넷북과 같은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이다. 이 모바일 클라이언트에 저장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액세스 , 데이터 기록 및 수정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모바일 클라이언트를 통해서 서비스 제공은 실시간으로 기록되며, 모바일 클라이언트의 업무 완료 입력을 통해서 해당 업무의 종료시간이 전자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또한, 미리 저장된 템플릿에 따라 국민건강보험공단 제출용 서류가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노인복지 현장과 공단과의 커뮤니케이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가 업무에 집중 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클라이언트의 위치 정보가 수집되고 이 위치 정보와 서비스 제공시간/종료 시간을 매칭하여 보다 투명한 서비스 제공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클라우드(cloud) 컴퓨팅 환경와 RESTful Service에 기반할 수 있으며, 설계/운용에 따른 높은 확장성/이식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는 서비스 플랫폼의 확장성(Scalability) 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 플랫폼의 다변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171개 이상의 향후 변화 가능한 항목을 가진 KOMI 사례관리툴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향후 데이터마이닝 등을 위해 NoSQL의 Schemaless형태이며 동시에 MapReduce가 가능한 MongoDB를 구축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는 미리 저장된 수신처 주소(휴대폰번호, 이메일주소 등)에 의해 표지되는 보호자 단말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에 의해 입력되거나 오피스 단말에 의해 입력되고 저장된 자원 중에서 특정 정보가 상기 보호자 단말로 자동으로 혹은 오피스 단말의 요청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1. 본 발명에 따른 노인복지 업무지원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이 되는 노인복지 업무지원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서버(10)는 주요 데이터를 저장하며,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하고 다수의 클라이언트(100) 및 오피스 단말(50)과 데이터 송수신을 한다. 다수의 클라이언트(100)는 모바일 단말이며,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넷북과 같은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이다. 이러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공통된 특징은 소형이며, 이동식으로 휴대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으로 화면구성이 되어서 터치입력이 가능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이 편리하다는 점 등이다. 재가 서비스와 같은 경우는 케어 대상자의 집을 방문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이동성이 요구되고, 상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는 그와 같은 이동성을 충족시킬 수 있다.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하드웨어적인 구성은 공지된 것이어서 이 분야의 당업자들에게는 충분히 이해될 수 있다. 오피스 단말(50)은 통상의 PC를 이용할 수 있다. 오피스 단말(50)은 상기 클라이언트(100)가 소속된 시설의 관리자의 단말로서 각종 업무를 관리하며, 보고서를 생성하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단말이다.
상기 클라이언트(100) 및 오피스 단말(50)에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클라이언트(100)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 송수신 모듈, 계정설정 모듈, 업무진행 모듈, 서버의 DB 열람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각 클라이언트(10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은 각각의 고유한 프로그램 시리얼번호(Program Serial Number; PSN)가 할당된다.
서버(10)는 Glassfish 서버로서 WAS(Web Application Server) 서버이며, 실제 비즈니스 로직들이 여기에서 수행되고, 모든 시간 기준은 이 서버를 기준으로 수행된다. 서버(10)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크게 네 개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에는 클라이언트(10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GPS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리소스 레이어(15)는 데이터에 대한 전처리 레이어이며, RESTful 서비스 기반으로 할 수 있다. RESTful 서비스는 HTTP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URI로 모든 리소스와 정보를 표현하고, 이를 상호 연결하며, Stateless하며(즉, 세션 등을 활용하지 않음), HTTP가 규정하는 표준 메소드를 활용하여 동작을 정의하는 형태의 웹 서비스 설계, XML/JSON 형태의 데이터 구조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기존의 RPC remote procedure call 등과 달리, 표준 HTTP 프로토콜과 포트를 사용함으로써, 방화벽 등의 제한에 자유로우며, 거의 모든 End-User 장비들과 OS/Platform(iOS, Google 안드로이드, Samsung Bada 등)들이 HTTP 프로토콜에 대해서 기본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므로, 유저에게 따로 어떠한 형태의 추가적인 설치/준비가 필요로 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레벨에서부터 웹 캐싱 기술 등 고도의 기술들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버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Restful 서비스에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Cloud Computing) 기술이 결합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사용량에 따라서 동적으로 자원할당량이 변화함으로써 능동적으로 사용량 폭주/감소에 대처할 수 있다. 세션을 쓰지 않는 Restful한 서비스 설계를 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의 자원 할당량 증가에 맞추어 서비스를 확장할 수 있게 된다.
REST 라이브러리(17)는 XML/JSON을 객체로, 객체를 XML/JSON으로 변환하며, 상기 리소스 레이어(15)는 객체의 직렬화/역직렬화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레이어(16)는 비즈니스 로직 구현을 위한 레이어이며, 각종 기본 정보 조회/저장 로직이 수행된다. 케어 대상자 기본정보, 요양시설/직원/부서/위치 기본 정보, 업무/약물/질병/프로그램(각종 치매예방 프로그램, 여가 프로그램 등)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레이어(16)에서는 서비스 제공 기록 조회/저장 로직이 수행된다. 장기요양서비스 제공기록의 저장, 서비스 제공 위치 저장, 업무 시작/업무 종료 기록의 저장, 각 조건 별 서비스 목록 (예컨대 서비스 진행 여부, 위치, 일시, 직원별, 케어 대상자별, 업무별 등)의 저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업무 시작/업무 종료 기록의 저장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와 시간이 서버를 기준으로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각종 보고서 생성은 필요한 자료를 서버(10)의 서비스 레이어(16)에서 제공받아 오피스 단말(50)에서 조합하여 생성,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레이어(16)에는 서비스 계획 및 제공기록 검증 로직이 수행된다. 계획에 따른 서비스 제공 여부의 확인, 계획에 따른 실천도 확인 및 서비스 시작/종료 시 GPS 위치 대조를 통한 검증이 포함될 수 있다.
DAO(Data Access Objects) 레이어(18)는 실제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레이어이다. DB 접근 모듈을 포함하며, DB에 대한 공통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일관성 있는 데이터 접근을 확보할 수 있다. DB(11)은 일반적인 정보를 저장하는 MySQL DB이며, DB(13)은 문서 저장에 특화된 MongoDB로서, 내용이 많은 사례관리기록과 보고서 저장에 활용되며, 축적된 사례관리 기록들을 바탕으로 각 데이터에서 정보를 추출해내기 위한 데이터 마이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인증 레이어(Authentication Layer; 14)는 3가지 인증을 포함할 수 있다. 첫째 기관(Facility) 접속 인증이다. 기관 고유의 ID/Password를 인증하며, 인증이 성공한 경우 서버는 생성된 코드를 전송하고 DB에 저장하며, 해당 코드를 각 클라이언트들에서는 HTTP Request Header에 삽입하여 전송한다. 인증 코드가 잘못된 경우 HTTP Error Code Return을 수행한다. 둘째 HTTP Request Header에 있는 인증 코드를 확인하는 인증이다. DB 상에 저장된 코드와 대조하여 인증을 확인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라이언트(100)가 로그인을 성공하는 경우에, 특별하게 생성되는 고유 인증키를 클라이언트(100)에게 제공하고, 이 인증키를 DB에 키 생성시간과 함께 저장하여 보관한다. 이후 클라이언트(100)의 모든 통신의 HTTP Reqeust Header에 이 키를 삽입하여 전송하고, 서버 측에서는 전송 받은 인증 키를 인증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인증 레이어(14)의 세 번째 인증은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 인증이다. 각 클라이언트의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를 DB와 대조하여 인증을 수행하며, 인증 코드가 잘못된 경우 HTTP Error Code Return을 한다.
한편 서버(10)는 보호자 단말로 이메일 보고서를 발송하기 위한 데이터 추출기, 분류기, 편집기, 발송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2. 개별 클라이언트(100)와 서버(10)와의 관계
이제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른 개별 클라이언트(100)과 서버(10)와의 관계에 대하여 주요 기능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도 3은 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클라이언트(100)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데이터 송수신 모듈을 통해 서버(10)와 통신한다. 클라이언트(100)는 클라이언트가 위치하는 위치정보를 서버(10)에게 제공한다. 또한 클라이언트(100)는 서버(10)에 접속할 때,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에 각각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를 서버(10)에 알려준다. 클라이언트(100)는 서버(10)의 DB에 접속하여 조회하고 가져오며 정해진 범위에서 수정하거나 입력할 수 있다. 서버(10)는 서비스 정보를 클라이언트(100)에 제공하고, 클라이언트(100)는 정해진 절차에 따라 기록을 입력하며 기록 입력 이벤트를 서버(10)에 전송한다.
클라이언트(100)가 서버(10)에 고유한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를 제공하고, 서버(10)가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를 인증하고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기록의 추적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클라이언트(10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마다 각각 고유한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를 부여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는 문자열 15자리로서 아래의 [표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내용 예시 비고
시설정보 8자리 ABCDEFGH 최초 서비스 가입시 기관(시설)별로 부여되는 ID
프로그램 구분코드 3자리 ADC: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 클라이언트
WNC: 윈도우 기반 클라이언트
WNO: 윈도우 기반 오피스 단말
플랫폼약어 2자리+프로그램 유형 1자리
문자열 4자리 HTNK 랜덤한 문자열
예컨대 임의의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클라이언트의 경우 "ABCDEFGHADCHTNK"라는 고유한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가 할당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의 투명성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문자열이 아니라 숫자열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 설정에 대한 목적이 동일한 범위 내에서 그 개수와 구성을 다르게 바꿀 수 있으며, 이러한 치환과 변경 그 자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고, 그 치환과 변경에 의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되지 아니함을 첨언해 둔다.
서비스 현장의 단말인 어느 클라이언트에 의해 서비스가 개시되고, 동일한 현장에서 해당 클라이언트에 의해 서비스가 종료되는 경우, 서비스의 개시와 종료 시점에서의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는 동일하다. 그러나 서비스 현장의 단말인 어느 클라이언트에 의해 서비스가 개시되고, 동일한 현장에서 상이한 클라이언트에 의해 서비스가 종료되는 경우, 서비스의 개시와 종료 시점에서의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는 다르게 되고, 프로그램 유형은 일치하게 된다. 서비스 현장의 단말인 어느 클라이언트에 의해 서비스가 개시되고, 오피스 단말에 의해 서비스가 종료되는 경우, 서비스의 개시와 종료 시점에서의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가 다르며, 또한 프로그램 유형도 상이한 것으로 판단된다. 오피스 단말에서 서비스를 작성 시에는 시리얼 번호는 동일하나 프로그램 유형이 O로 표기될 것이다. 위와 같은 추적 방법에 의해 서비스 수급에 대한 투명성이 확보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추적 방법이 기술적인 타당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간과 위치라는 두 개의 요소를 도입한다.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제공에 관한 시간과 위치 요소가 실제 프로세스에서 어떻게 작용하는가에 대해서는 도 5의 실시형태를 통해 설명될 것이다. 우선 그 전에, 본 발명의 클라이언트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가 어떤 것인지에 대해 정의할 필요가 있다.
3. 케어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주요 서비스
도 4의 장기요양급여제공보고서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중 장기요양급여 제공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주요 서비스 항목들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서버(10)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되는 장기요양급여제공보고서에는, 세면도움, 구강관리, 머리 감기기, 몸단장, 옷 갈아 입히기, 목욕도움, 식사도움, 체위변경, 이동도움, 신체기능 유지/증진, 화장실이용하기, 침구/린넨 교환, 환경관리, 물품관리, 세탁물관리, 신체기능 훈련, 기본동작훈련, 일상생활 동작 훈련, 물리치료, 작업치료, 인지 및 정신기능훈련, 언어치료, 그 밖의 재활치료, 외출(산책) 시 동행, 의사소통 도움, 간호처치/치매관리 자원 등의 서비스기재, 대상자 특성 등 기재, 입/퇴소 시간 기록이 필수적으로 포함된다.
이러한 서비스는 본 발명의 클라이언트(100)를 통해 수행되고 입력된다. 입력된 사항들은 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며, 오피스의 보고서 생성 명령에 의해 도 4의 장기요양급여제공보고서의 해당 테이블에 자동으로 기재되어 출력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서 요원이 케어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각 항목을 모두 수기로 작성한 다음에 이를 취합하여 재작성해야만 했다.
상기 장기요양급여제공 보고서 이외에, 생활/업무/프로그램 일지, 투약/상담/건강관리기록, 각종 체크리스트 양식이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으며, 클라이언트(100)의 기록과 오피스 단말(50)의 기록에 의해 작성될 수 있다.
이제 상기 서비스 항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클라이언트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가 정의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서비스 항목들이 본 발명의 클라이언트 업무의 서비스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항목이 노인의 건강을 캐어한다는 공통점이 있고, 이러한 공통점 범위 내에서 케어 대상자에 대한 캐어 서비스가 클라이언트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로 정의할 수 있다.
4. 클라이언트(100)의 서비스 제공의 시간 및 위치요소
다시 도 5로 돌아와서,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제공에 관한 시간과 위치 요소가 실제 프로세스에서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살펴보자.
케어 대상자(Customer)를 대상으로 서비스가 개시된다. 클라이언트(100)는 클라이언트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서버(10)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수행하게 되는데, 특정 케어 대상자를 상대로 특정 서비스의 개시, 즉 업무 프로세스의 개시할 때, 해당 클라이언트의 GPS 위치 정보 및 고유한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PSN1)가 서버(10)로 전송된다.
서버(10)는 데이터베이스(11, 13)를 통해서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PSN1)를 조회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라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저장되는 서비스 정보로서 시간 요소, 위치 요소, 프로그램 시리얼번호(PSN1)가 포함된다. 서비스가 개시된 시간이 서버(10)의 기준 시각에 의해 저장되며, 클라이언트의 위치 정보가 저장된다. 즉 서비스 개시 시간과 서비스 개시 위치가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1, 13)에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 정보가 서버(10)를 통해 클라이언트(100)로 전송되며, 클라이언트(100)의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갱신된다.
해당 서비스가 종료되면(해당 클라이언트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가 1개만 수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전체가 종료되는 것이며, 제공되는 서비스가 복수인 경우에 그 일부만이 종료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100)는 이를 서버(10)에 통지하고 이때 해당 클라이언트의 GPS 위치 정보와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PSN2)가 전송된다. 서버(10)는 데이터베이스(11, 13)에 기존 서비스 정보를 불러오고 저장된 서비스 정보와 비교한다. 이때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서비스 개시 시의 위치정보와 서비스 종료 시의 위치정보가 동일한 경우 서비스 정보를 저장한다. 서비스가 종료된 시간이 서버(10)의 기준 시각에 의해 저장되며, 또한, 해당 클라이언트의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PSN2)가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로세스에 의해 서버(10)는 케어 대상자에 대해 수행되는 서비스에 관한 클라이언트(100)의 입력 이벤트에 대해서 시간 요소와 위치 요소를 통해 투명하게 추적할 수 있게 된다. 일련의 클라이언트(100)의 서비스 수행에 관련되는 서비스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정보에는, 시설 정보, 서비스 제공자 정보, 서비스 수급자 정보, 서비스 내용, 서비스 시작 시간, 서비스 종료 시간, 서비스 시작 위치, 서비스 종료 위치, 특이사항, 서비스 시작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 서비스 종료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5. 클라이언트(100)의 애플리케이션 화면 구성예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100)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구성 예를 나타낸다. 편의상 단순화 하여 나타내었다. 상단에는 업무를 개시하는 인터페이스(111), 현재 업무의 수행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인터페이스(113), 계정설정, 업무 설정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설정 인터페이스(114)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좌측에는 업무를 수행하는 직원을 선택하는 인터페이스(120), 선택 케어 대상자를 지정하는 인터페이스(121), 선택업무를 지정하는 인터페이스(122)가 구성될 수 있다. 하부에는 전후 프로세스로 화면을 바꾸는 선택 버튼(190, 191, 192)가 구성될 수 있다.
도 6의 좌측에는 업무를 수행하는 직원을 선택하는 영역(130)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영역(130)에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직원들의 리스트(131…)이 위치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는 이 리스트에서 해당 직원을 선택할 수 있다.
"A"라는 직원을 선택하고, 다음 버튼(191)을 선택하면, 도 7과 같이 인터페이스 120에 "A"가 표시되고, 우측에 선택캐어대상, 즉 케어 대상자를 선택하는 영역(140)이 표시될 수 있다. 이 영역(140)에는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케어 대상자들의 리스트(141…)가 표시되며, 클라이언트는 이 리스트에서 해당 케어 대상자를 선택할 수 있다.
"a"라는 케어 대상자를 선택하고, 다음 버튼(191)을 선택하면, 도 8과 같이 인터페이스 120에 "A"가 표시되고, 인터페이스 121에 케어 대상자 "a"가 표시됨과 동시에, 우측에 업무 내용, 즉 서비스 항목을 선택하는 영역(150)이 표시될 수 있다. 이 영역(150)에는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개별 서비스 항목(151…)이 표시된다. 서비스 항목(151)의 개수가 많기 때문에 화면 크기를 고려하여 스크롤 바(155)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머리감기기"라는 서비스 항목을 선택하면, 예컨대 "a에 대한 머리감기기 업무를 시작합니다"라는 메시지가 팝업될 수 있다. 다음으로 팝업 창에서 확인버튼을 누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100)의 서비스 개시 시간, 위치 정보 및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가 서버(10)로 전송되도록 한다.
6. 오피스 단말(50)과 서버(10)의 관계
도 9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있어서, 오피스 단말(50)과 서버(10)와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오피스 단말(50)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데이터 송수신 모듈을 통해 서버(10)와 통신한다. 오피스 단말(50)이 서버(10)에 접속할 때, 바람직하게는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를 서버(10)에 알려준다. 또한 오피스 단말(50)은 등록된 계정에 의해 로그인을 한 다음에 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며, 다양한 관리 업무 이벤트를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업무로는 인적관리(케어 대상자관리, 직원관리, 부서관리 등), 업무관리(업무관리, 약품관리, 질병관리 등), 시설관리, 기록관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오피스 단말(50)이 보고서 생성 명령을 전송할 수 있고, 서버(1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정해진 규칙에 따라 수집하여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보고서 양식은 미리 탬플릿을 저장될 수 있으며, 생성된 보고서가 장기요양급여제공 보고서인 경우에는 도 4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보고서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오피스 단말(50)이 생성하는 보고서에는 케어 대상자의 보호자 단말로 보호자용 보고서가 포함될 수 있다. 이 또한 보고서 양식이 미리 탬플릿으로 저장되어 있으며, 보고서 전송을 위한 일련의 절차가 소프트웨어로 정의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오피스 단말(50)은 해당 보고서를 열람, 출력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기타 보고서로는 시설별생활일지, 시설별상담일지, 부서별업무일지, 직원별업무일지, 투약기록지, 낙상 측정기록, 욕창 측정기록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7. 보호자 단말(200)로의 보고서 전송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자 서비스 제공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시스템에 미리 저장된 보호자 정보를 이용하여 보호자 단말로 케어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보호자용 보고서를 전송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3')는 케어 대상자와 매치되는 보호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케어 대상자에 대한 각종 사례관리 기록들이 저장될 수 있다. 케어 대상자에 대한 보호자 정보와 케어 대상자에 대한 각종 케어 기록을 개념적으로 분리한다는 측면에서 도 10의 데이터베이스(13, 13')가 구분되어 있으나, 임의적이다. 오피스 단말(50)는 서버(10)에 접속하여 데이터베이스(13, 13')에서 보호자 단말(200)로 전송할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정보는 분류기(20)를 통해 분류된 다음에, 케어 대상자의 보호자 단말(200)로 전송된다. 바람직하게는 보호자 단말(200)의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이메일 계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보고서가 보호자 단말(2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1은 보고서 전송을 위해서 서버(10)와 오피스 단말(50)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소프트웨어적인 절차를 개념적으로 구분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고서 전송을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은 데이터베이스(13)에 액세스하여 선택된 케어 대상자에 대한 일련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기(13"), 추출된 정보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기(20), 분류된 정보를 바탕으로 오피슨 단말(50)이 보고서의 내용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며 템플릿을 사용하는 편집기(30), 케어 대상자의 보호자 단말로 최종 보고서를 발송하는 발송기(4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소프트웨어 단계는 어떤 실시예에서는 오피스 단말이 보호자용 보고서를 생성을 요청하는 경우 보호자 단말(200)로 발송하기 직전까지 정해진 규칙(데이터 추출규칙, 분류규칙, 편집규칙)대로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추출되고 분류되며 편집된 데이터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템플릿과 자동으로 결합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오피스 단말이 각각의 단계마다 판단을 입력하는 입력수단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호자 단말(200)로 소정의 보고서를 전송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먼저 오피스 단말은 케어 대상자를 선택한다(S10). 오피스 단말의 사용자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케어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보고서를 제공하는 프로세스 개시를 명령하는 경우, 케어 대상자의 이름과 생년월일, 기간을 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오피스 단말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S10 단계에서 케어 대상자가 선택되고 기간이 선택될 수 있다.
다음으로 DB 추출기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추출한다(S20). 이 데이터는 케어 대상자의 케어 정보이며 케어 정보를 보고서의 형태로 전송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가 추출된다. 미리 입력되어 있는 케어 대상자의 보호자 정보(이름, 연락처, 이메일 주소, 가족관계, 보호자의 욕구 등)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케어 대상자의 해당 기간에 작성된, 사례관리기록, 욕구사정결과, 서비스제공계획 및/또는 요양서비스기록이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욕구사정결과는 낙상, 신체상태, 질병, 인지상태, 의사소통 및 영양상태, 체중 및 사회적 상태, 가족 및 환경상태, 배설상태, 욕창, 기능회복훈련, 상담 등으로 구분되어 수행된 데이터이다. 상기 서비스제공계획은 서비스 제공계획과 서비스 일정표가 포함되며, 이들은 각 요양서비스기록를 대조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요양서비스기록은 생활일지기록으로서 기저귀교체, 체위변경, 양치, 화장실청소 등의 업무명과 수행일시, 메모(또는 특이사항) 등으로 구성된다.
데이터가 추출되면 분류기가 이들을 정해진 규칙에 따라 분류한다(S30). 분류기는 상기 S20 단계에서 추출된 케어 정보들을, 오피스 단말 사용자가 보고서를 최종 편집하는데 있어서, 많은 정보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표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분류기는 하기의 분류 내용을 오피스 단말의 화면에 표시해주고, 오피스 단말이 이를 선택 지정하거나 혹은 선택 입력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용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찾도록 지원할 수 있다.
주요 분류기로는, 부서별 분류 규칙, 주단위 압축형 분류 규칙, 메모길이 분류 규칙, 빈도 분류 규칙, 제공계획 대비 실천 분류 규칙이 설정된 분류기가 있다. 상기 부서별 분류는 일상생활기록을 부서별로 분류한다. 예컨대 케어부서와 간호부서의 구분이 그러하다. 상기 주단위 압축형 분류는 1주일 간의 기록을 압축하여 표시한다. 상기 메모길이 분류는 메모의 길이가 긴 내용은 서비스 현장의 근무자가 주목하여 작성한 내용이므로 이를 주목하여 분류한다. 상기 빈도 분류는 기간 내에 많이 혹은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기록은 주목할 만한 내용으로 이에 대한 분류를 수행한다. 상기 제공계획 대비 실천 분류는 기존에 수립한 서비스 제공에 의건한 실천 사항 구분으로 분류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오피스 단말은 편집기를 이용하여 상기 분류기를 통해서 분류된 정보를 기초로 보고서의 내용을 편집한다(S40). 이 단계는 오피스 단말의 사용자가 단말 화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보고서의 내용을 편집하는 단계이다.
편집기는 세 가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모듈, 디자인 템플릿, 보고서 작성 모듈을 들 수 있다. 필터 모듈은 분류기에 의해 분류된 내용에 부가하여 소정의 필터링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케어 대상자에 대해서 하루에 40건 정도의 일일생활기록이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을 1달 기준으로 본다면 1,200건 정도의 기록이 있는 것이다. 이것은 오피스 단말이 편집기를 통해서 보고, 쓰는 것은 매우 복잡하고 시간이 걸리는 작업일 수 있다. 필터 모듈은 이런 대규모 자료를 소정의 필터링 규칙(이 규칙은 미리 저장되고 사용자 화면에 조정수단을 표시해 줄 수 있다)에 의해필터링함으로써 편집기의 기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 즉, 편집기에서의 정보 표시범위를 유동으로 줄이는 기능을 수행한다. 필터 모듈로는 예컨대, 케어 대상자의 위치 필터링, 성별 필터링, 장기요양등급 필터링, 생활보호대상자 필터링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필터링 항목을 통해서 데이터베이스 조회를 수행하고, 조회 결과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 등으로 정렬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보고서 탬플릿은 보고서에 적용될 디자인을 미리 작성된 템플릿에서 선택하는 모듈이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 도 13도는 명세서 템플릿을, 도 14는 일반 보고서 템플릿의 일 예를 나타낸다.
보고서 작성 모듈은 분류기와 필터기 등을 통해서 추려진 내용을 기초로 보고서 텍스트를 작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템플릿들을 이용하며,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을 입력하거나 삽입할 수 있다. 도 15는 보고서 작성 모듈의 일 예를 나타낸다.
위와 같이 작성된 최종 보고서는 지정된 보호자 단말(케어 대상자의 보호자, 예컨대 케어 대상자의 아들이나 딸)로 이메일 전송을 할 수 있다. 서버 단의 이메일 서버를 통해서 발송될 것이다(S50).
한편,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첨언한다.

Claims (4)

  1. 케어 대상자에 대한 사례 관리 기록과 케어 대상자와 매치되는 보호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노인복지 업무지원 시스템을 기반으로 케어 대상자의 케어 정보를 상기 보호자 정보에 기록된 보호자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a) 오피스 단말이 상기 노인복지 업무지원 시스템에 접속하여 케어 대상자를 선택하여 케어 기간이 설정된 케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오피스 단말이 노인복지 업무지원 시스템에 설치되는 편집기를 이용해서 보고서를 작성하고 미리 저장되어 있는 보고서 탬플릿과 결합함으로써 보호자용 보고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노인복지 업무지원 시스템의 서버가 상기 보호자용 보고서를 상기 보호자 단말의 이메일 계정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복지 업무지원 시스템의 보호자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a) 단계에서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되는 케어 정보는, 상기 노인복지 업무지원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DB 추출기가 사례관리기록, 욕구사정결과, 서비스제공계획, 요양서비스기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출하는 정보인, 노인복지 업무지원 시스템의 보호자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및 (b) 단계 사이에서, 상기 노인복지 업무지원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분류기가 추출된 케어정보를 부서별 분류 규칙, 주단위 압축형 분류규칙, 메모 길이 분류 규칙, 빈도 분류 규칙, 제공계획 대비 실천 분류 규칙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분류 규칙에 의해 분류하여 상기 오피스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노인복지 업무지원 시스템의 보호자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용 보고서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입력하거나 삽입되는 것인, 노인복지 업무지원 시스템의 보호자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10131498A 2011-12-09 2011-12-09 노인복지 업무지원시스템의 보호자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313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498A KR101313541B1 (ko) 2011-12-09 2011-12-09 노인복지 업무지원시스템의 보호자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498A KR101313541B1 (ko) 2011-12-09 2011-12-09 노인복지 업무지원시스템의 보호자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565A true KR20130082565A (ko) 2013-07-22
KR101313541B1 KR101313541B1 (ko) 2013-10-01

Family

ID=48993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498A KR101313541B1 (ko) 2011-12-09 2011-12-09 노인복지 업무지원시스템의 보호자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54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9716A1 (ja) * 2018-06-15 2019-12-1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レポート出力プログラム、レポート出力方法、およびレポート出力装置
KR20210022615A (ko) * 2019-06-10 2021-03-03 장봉석 수급자별 서비스 기록지
KR102369182B1 (ko) * 2021-07-03 2022-03-03 웰나우 주식회사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
KR20230006618A (ko) * 2021-07-03 2023-01-10 웰나우(주) 시니어케어 센터 장기요양수급자의 욕구사정 및 돌봄 서비스 운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451B1 (ko) * 2001-07-10 2003-08-14 정연기 티나 체계의 인트라넷 관리 보고서 자동 생성 방법
KR101506981B1 (ko) * 2007-12-31 2015-03-3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재택 건강 관리 시스템
KR20090116509A (ko) * 2008-05-07 2009-11-11 서현배 문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9716A1 (ja) * 2018-06-15 2019-12-1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レポート出力プログラム、レポート出力方法、およびレポート出力装置
JPWO2019239716A1 (ja) * 2018-06-15 2021-07-1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レポート出力プログラム、レポート出力方法、およびレポート出力装置
KR20210022615A (ko) * 2019-06-10 2021-03-03 장봉석 수급자별 서비스 기록지
KR102369182B1 (ko) * 2021-07-03 2022-03-03 웰나우 주식회사 장기요양 기관의 시니어 케어 맞춤형 동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 서비스운영 시스템
KR20230006618A (ko) * 2021-07-03 2023-01-10 웰나우(주) 시니어케어 센터 장기요양수급자의 욕구사정 및 돌봄 서비스 운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3541B1 (ko) 201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8811B1 (en) Dynamic secure interactive electronic vault
US2015001930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ollowing-up on business leads
Maiden et al. Computing technologies for reflective, creative care of people with dementia
JPWO2018030340A1 (ja) ケアプラン作成支援システム、記憶媒体、ケアプラン作成支援方法およびケアプラン作成支援プログラム
US1083186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remote care services
US117346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US9967349B2 (en) Integrated social media server and architecture
US11798690B2 (en) Method of using medical data related to patients suffering a given disease
CN105516085A (zh) 一种管理访客临时上网行为的系统及方法
KR101313541B1 (ko) 노인복지 업무지원시스템의 보호자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4033747A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clinical trial management
Tam et al. Where are the beds? Housing locations for transition age youth exiting public systems
JP6242469B1 (ja) 個人医療情報管理方法、個人医療情報管理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60071114A1 (en) Reporting management systems and techniques for regulatory compliance
US200800592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vanced credentialing and registration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EP4136607A1 (en) Storing, authenticating, and transmitting health data
KR101247240B1 (ko) 노인복지 업무지원의 it 자동화 방법
US20130297345A1 (en) Electronic Medical Record Hosting System and Method
US9201560B2 (en) Multiple user data entry system and method
Hanzlick et al. The unidentified decedent reporting system: a model national website registry for the unidentified deceased
US201700611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tenant healthcare relationship management
CN112420144A (zh) 居于区块链的居民健康档案管理方法、存储介质及终端
EP3642728A1 (en) An apparatus for analyzing mood
Escobar et al. MessageSpace: a messaging system for health research
US20130197933A1 (en) Healthcare and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