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7240B1 - 노인복지 업무지원의 it 자동화 방법 - Google Patents

노인복지 업무지원의 it 자동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7240B1
KR101247240B1 KR1020110045523A KR20110045523A KR101247240B1 KR 101247240 B1 KR101247240 B1 KR 101247240B1 KR 1020110045523 A KR1020110045523 A KR 1020110045523A KR 20110045523 A KR20110045523 A KR 20110045523A KR 101247240 B1 KR101247240 B1 KR 101247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work support
mobile client
server
elderly welf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7803A (ko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이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훈 filed Critical 이동훈
Priority to KR1020110045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240B1/ko
Publication of KR20120127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클라이언트의 업무 기록이 노인복지 업무지원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실시간으로 기록되는 시스템을 이용하는 노인복지 업무지원 자동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클라이언트가 클라이언트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노인복지 업무지원 서버에 접속하고, 화면을 터치하면서 캐어대상자를 선정하고 정해진 서비스 항목을 선택하여 업무 프로세스를 개시하게 된다. 이때 해당 모바일 클라이언트의 위치정보와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가 서버로 전송되며, 서비스의 개시 시간과 종료 시간이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서비스 개시 시의 위치정보 및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와 서비스 종료 시의 위치정보 및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를 비교함으로써 업무 프로세스의 투명성 및 추적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노인복지 업무지원의 IT 자동화 방법{METHOD FOR BUSINESS SUPPORT SYSTEM OF ELDERLY WELFARE FACILITY}
본 발명은 노인복지 업무 지원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노인 장기요양 보험과 관련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계청 통계자료에 따르면 2009년 노인인구는 500만명을 넘었고, 급속히 노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상황이다. 전체 노인인구 중 7% 이상이 노인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여서 자체적으로 경제생활을 유지하기가 어려운 상황일 뿐만 아니라 상당수의 노인이 고령이나 노인성질병에 의해 일상생활을 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도입되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은 치매/중풍의 노화 및 노인성 질환 등으로 인하여 혼자 힘으로 일상 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운 대상자에게 요양시설이나 재가 장기요양기관을 통해 신체활동 또는 가사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도이다. 2010년 9월 현재 314,853명의 노인이 장기요양 인정자로 지정되어 있으며, 수만 개의 노인장기요양시설이 등록되어 있다.
현재 시스템은 장기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직원들이 정해진 항목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항목을 수기로 기록하고 조사하며, 시설의 사무요원이 이를 정리해서 국민건강보험 관리공단에 장기요양인정신청을 하고, 국민건강보험 관리공단에 정한 등급에 따라 장기요양급여를 지급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현재의 시스템은 모든 기록이 정해진 양식의 종이에 일일이 수기로 기록되기 때문에 투명성과 추적성에 커다란 문제를 보여왔다. 노인장기요양보험 시스템은 국가적인 시스템으로서 수조 원의 예산이 소요되는데 부정 수급은 국가 차원의 문제가 되었다. 예컨대 2010년 보건복지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전국 907개 요양기관 대상 감사결과 563곳(57%)에서 부정 수급이 적발되기도 했다.
또한, 수가 신청을 위한 기록 업무가 급증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종래에는 최초 현장 메모 작성, 기록의 수집 및 정리, 서류 작성으로 이루이지는 3단계 수기 작성에 따른 불편함이 있었고, 또한 야간 근무자가 주간의 메모와 기록을 수거하여 2차로 정리해야 하는 부담도 발생하였다.
한편, 체계적인 사례관리의 부재와 데이터에 대한 활용성도 전무하여, 체계적인 기록에 기반한 사례관리의 어려움이 있었고, 기록에 대한 2차 활용/서비스 개선 등의 활동이 전무하였다.
본 발명의 발명가는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 노력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노인복지 업무에 특화된 업무지원 솔루션으로서, 업무의 효율을 극대화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국민 노인복지 서비스 질을 개선하고자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 노인장기요양보험 시스템에서 발생하였던 투명성 및 추적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 기록업무의 폐해를 극복하기 위하여 공단에 제출하는 보고서 등 각종 보고서가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바일 클라이언트의 업무 기록이 노인복지 업무지원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실시간으로 기록되는 시스템을 이용하는 노인복지 업무지원 자동화 방법에 있어서,
(a) 모바일 클라이언트가 클라이언트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노인복지 업무지원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가 캐어대상자를 선정하고 정해진 서비스 항목을 선택하여 업무 프로세스를 개시할 때 해당 모바일 클라이언트의 고유한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PSN1)를 상기 노인복지 업무지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노인복지 업무지원 서버가 상기 고유한 프로그램 시리얼번호(PSN1)를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가 상기 서비스 항목에 대한 업무 프로세스를 종료할 때 모바일 클라이언트의 고유한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PSN2)를 상기 노인복지 업무지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노인복지 업무지원 서버가 고유한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PSN2)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서비스 개시 시의 고유한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PSN1)와 서비스 종료 시의 고유한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PSN2)를 비교함으로써 업무 프로세스의 추적성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유한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PSN1, PSN2)는 시설정보, 플랫폼과 프로그램 유형을 나타내는 프로그램구분코드 및 랜덤한 문자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인복지 업무지원 자동화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가 소속된 오피스 단말이 상기 노인 복지 업무지원 서버에 접속하여, 저장된 양식의 보고서 생성 명령을 전송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정해진 규칙에 따라 수집하여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으로서, 모바일 클라이언트의 업무 기록이 노인복지 업무지원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실시간으로 기록되는 시스템을 이용하는 노인복지 업무지원 자동화 방법에 있어서,
(a) 모바일 클라이언트가 클라이언트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노인복지 업무지원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가 캐어대상자를 선정하고 정해진 서비스 항목을 선택하여 업무 프로세스를 개시할 때 해당 모바일 클라이언트의 위치정보를 상기 노인복지 업무지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노인복지 업무지원 서버가 상기 위치정보를 저장하며, 또한 서비스 개시 시간을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가 상기 서비스 항목에 대한 업무 프로세스를 종료할 때 모바일 클라이언트의 위치정보를 상기 노인복지 업무지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노인복지 업무지원 서버가 상기 위치정보를 저장하며, 또한 서비스 종료 시간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서비스 개시 시의 위치정보와 서비스 종료 시의 위치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업무 프로세스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노인복지 업무지원 자동화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및 (d)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의 고유한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PSN1, PSN2)가 상기 노인복지 업무지원 서버에 함께 전송되며, 상기 (c) 및 (e) 단계에서 전송된 고유한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PSN1, PSN2)도 함께 저장되며, 서비스 개시 시의 고유한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PSN1)와 서비스 종료 시의 고유한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PSN2)를 비교함으로써 업무 추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넷북인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노인복지 업무지원 자동화 방법은, 상기 노인복지 업무지원 자동화 방법에서의 업무는 장기요양급여제공업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노인복지 시스템에서, 특히 노인장기요양보험 업무와 관련된 업무 서비스의 투명성과 추적성이 완벽하게 확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와 각종 업무를 관리하는 오피스의 각각의 업무가 자동화되기 때문에 업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노인복지 서비스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단에 제출하는 보고서 등 각종 보고서가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서버(10)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100)와 서버(10)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장기요양급여제공기록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진행과 관련된 클라이언트(100)와 서버(10) 간의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클라이언트(100)의 화면 구성 예를 프로세스 진행에 따라 예시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피스 단말(50)과 서버(10)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수기식 기록으로 작성되던 요양서비스 제공 기록을 간단한 터치식 입력으로 개선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있어서 장기요양서비스를 제공하고 기록하는 사람은 네트워크 상의 모바일 클라이언트의 지위를 갖는다. 이 모바일 클라이언트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넷북과 같은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이다. 이 모바일 클라이언트에 저장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액세스 , 데이터 기록 및 수정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모바일 클라이언트를 통해서 서비스 제공은 실시간으로 기록되며, 모바일 클라이언트의 업무 완료 입력을 통해서 해당 업무의 종료시간이 전자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또한, 미리 저장된 템플릿에 따라 국민건강보험공단 제출용 서류가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노인복지 현장과 공단과의 커뮤니케이션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가 업무에 집중 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클라이언트의 위치 정보가 수집되고 이 위치 정보와 서비스 제공시간/종료 시간을 매칭하여 보다 투명한 서비스 제공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클라우드(cloud) 컴퓨팅 환경와 RESTful Service에 기반할 수 있으며, 설계/운용에 따른 높은 확장성/이식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는 서비스 플랫폼의 확장성(Scalability) 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 플랫폼의 다변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171개 이상의 향후 변화 가능한 항목을 가진 KOMI 사례관리툴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향후 데이터마이닝 등을 위해 NoSQL의 Schemaless형태이며 동시에 MapReduce가 가능한 MongoDB를 구축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노인복지 업무지원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서버(10)는 주요 데이터를 저장하며,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하고 다수의 클라이언트(100) 및 오피스 단말(50)과 데이터 송수신을 한다. 다수의 클라이언트(100)는 모바일 단말이며,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넷북과 같은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이다. 이러한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공통된 특징은 소형이며, 이동식으로 휴대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으로 화면구성이 되어서 터치입력이 가능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능이 편리하다는 점 등이다. 재가 서비스와 같은 경우는 캐어대상자의 집을 방문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이동성이 요구되고, 상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는 그와 같은 이동성을 충족시킬 수 있다.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의 하드웨어적인 구성은 공지된 것이어서 이 분야의 당업자들에게는 충분히 이해될 수 있다. 오피스 단말(50)은 통상의 PC를 이용할 수 있다. 오피스 단말(50)은 상기 클라이언트(100)가 소속된 시설의 관리자의 단말로서 각종 업무를 관리하며, 보고서를 생성하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단말이다.
상기 클라이언트(100) 및 오피스 단말(50)에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클라이언트(100)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 송수신 모듈, 계정설정 모듈, 업무진행 모듈, 서버의 DB 열람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각 클라이언트(10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은 각각의 고유한 프로그램 시리얼번호(Program Serial Number; PSN)가 할당된다.
서버(10)는 Glassfish 서버로서 WAS(Web Application Server) 서버이며, 실제 비즈니스 로직들이 여기에서 수행되고, 모든 시간 기준은 이 서버를 기준으로 수행된다. 서버(10)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크게 네 개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에는 클라이언트(100)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GPS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리소스 레이어(15)는 데이터에 대한 전처리 레이어이며, RESTful 서비스 기반으로 할 수 있다. RESTful 서비스는 HTTP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URI로 모든 리소스와 정보를 표현하고, 이를 상호 연결하며, Stateless하며(즉, 세션 등을 활용하지 않음), HTTP가 규정하는 표준 메소드를 활용하여 동작을 정의하는 형태의 웹 서비스 설계, XML/JSON 형태의 데이터 구조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따라서, 기존의 RPC remote procedure call 등과 달리, 표준 HTTP 프로토콜과 포트를 사용함으로써, 방화벽 등의 제한에 자유로우며, 거의 모든 End-User 장비들과 OS/Platform(iOS, Google 안드로이드, Samsung Bada 등)들이 HTTP 프로토콜에 대해서 기본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므로, 유저에게 따로 어떠한 형태의 추가적인 설치/준비가 필요로 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레벨에서부터 웹 캐싱 기술 등 고도의 기술들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서버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Restful 서비스에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Cloud Computing) 기술이 결합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사용량에 따라서 동적으로 자원할당량이 변화함으로써 능동적으로 사용량 폭주/감소에 대처할 수 있다. 세션을 쓰지 않는 Restful한 서비스 설계를 통해서 클라우드 컴퓨팅의 자원 할당량 증가에 맞추어 서비스를 확장할 수 있게 된다.
REST 라이브러리(17)는 XML/JSON을 객체로, 객체를 XML/JSON으로 변환하며, 상기 리소스 레이어(15)는 객체의 직렬화/역직렬화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레이어(16)는 비즈니스 로직 구현을 위한 레이어이며, 각종 기본 정보 조회/저장 로직이 수행된다. 캐어 대상자 기본정보, 요양시설/직원/부서/위치 기본 정보, 업무/약물/질병/프로그램(각종 치매예방 프로그램, 여가 프로그램 등)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레이어(16)에서는 서비스 제공 기록 조회/저장 로직이 수행된다. 장기요양서비스 제공기록의 저장, 서비스 제공 위치 저장, 업무 시작/업무 종료 기록의 저장, 각 조건 별 서비스 목록 (예컨대 서비스 진행 여부, 위치, 일시, 직원별, 케어대상자별, 업무별 등)의 저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업무 시작/업무 종료 기록의 저장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와 시간이 서버를 기준으로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각종 보고서 생성은 필요한 자료를 서버(10)의 서비스 레이어(16)에서 제공받아 오피스 단말(50)에서 조합하여 생성,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레이어(16)에는 서비스 계획 및 제공기록 검증 로직이 수행된다. 계획에 따른 서비스 제공 여부의 확인, 계획에 따른 실천도 확인 및 서비스 시작/종료 시 GPS 위치 대조를 통한 검증이 포함될 수 있다.
DAO(Data Access Objects) 레이어(18)는 실제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레이어이다. DB 접근 모듈을 포함하며, DB에 대한 공통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일관성 있는 데이터 접근을 확보할 수 있다. DB(11)은 일반적인 정보를 저장하는 MySQL DB이며, DB(13)은 문서 저장에 특허된 MongoDB로서, 내용이 많은 사례관리기록과 보고서 저장에 활용되며, 축적된 사례관리 기록들을 바탕으로 각 데이터에서 정보를 추출해내기 위한 데이터 마이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인증 레이어(Authentication Layer; 14)는 3가지 인증을 포함할 수 있다. 첫째 기관(Facility) 접속 인증이다. 기관 고유의 ID/Password를 인증하며, 인증이 성공한 경우 서버는 생성된 코드를 전송하고 DB에 저장하며, 해당 코드를 각 클라이언트들에서는 HTTP Request Header에 삽입하여 전송한다. 인증 코드가 잘못된 경우 HTTP Error Code Return을 수행한다. 둘째 HTTP Request Header에 있는 인증 코드를 확인하는 인증이다. DB 상에 저장된 코드와 대조하여 인증을 확인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라이언트(100)가 로그인을 성공하는 경우에, 특별하게 생성되는 고유 인증키를 클라이언트(100)에게 제공하고, 이 인증키를 DB에 키 생성시간과 함께 저장하여 보관한다. 이후 클라이언트(100)의 모든 통신의 HTTP Reqeust Header에 이 키를 삽입하여 전송하고, 서버 측에서는 전송 받은 인증 키를 인증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인증 레이어(14)의 세 번째 인증은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 인증이다. 각 클라이언트의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를 DB와 대조하여 인증을 수행하며, 인증 코드가 잘못된 경우 HTTP Error Code Return을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른 개별 클라이언트(100)과 서버(10)와의 관계에 대하여 주요 기능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도 3은 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클라이언트(100)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데이터 송수신 모듈을 통해 서버(10)와 통신한다. 클라이언트(100)는 클라이언트가 위치하는 위치정보를 서버(10)에게 제공한다. 또한 클라이언트(100)는 서버(10)에 접속할 때,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에 각각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를 서버(10)에 알려준다. 클라이언트(100)는 서버(10)의 DB에 접속하여 조회하고 가져오며 정해진 범위에서 수정하거나 입력할 수 있다. 서버(10)는 서비스 정보를 클라이언트(100)에 제공하고, 클라이언트(100)는 정해진 절차에 따라 기록을 입력하며 기록 입력 이벤트를 서버(10)에 전송한다.
클라이언트(100)가 서버(10)에 고유한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를 제공하고, 서버(10)가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를 인증하고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기록의 추적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클라이언트(10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마다 각각 고유한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를 부여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는 문자열 15자리로서 아래의 [표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내용 예시 비고
시설정보 8자리 ABCDEFGH 최초 서비스 가입시 기관(시설)별로 부여되는 ID
프로그램 구분코드 3자리 ADC: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 클라이언트
WNC: 윈도우 기반 클라이언트
WNO: 윈도우 기반 오피스 단말
플랫폼약어 2자리+프로그램 유형 1자리
문자열 4자리 HTNK 랜덤한 문자열
예컨대 임의의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클라이언트의 경우 "ABCDEFGHADCHTNK"라는 고유한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가 할당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의 투명성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문자열이 아니라 숫자열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 설정에 대한 목적이 동일한 범위 내에서 그 개수와 구성을 다르게 바꿀 수 있으며, 이러한 치환과 변경 그 자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고, 그 치환과 변경에 의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되지 아니함을 첨언해 둔다.
서비스 현장의 단말인 어느 클라이언트에 의해 서비스가 개시되고, 동일한 현장에서 해당 클라이언트에 의해 서비스가 종료되는 경우, 서비스의 개시와 종료 시점에서의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는 동일하다. 그러나 서비스 현장의 단말인 어느 클라이언트에 의해 서비스가 개시되고, 동일한 현장에서 상이한 클라이언트에 의해 서비스가 종료되는 경우, 서비스의 개시와 종료 시점에서의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는 다르게 되고, 프로그램 유형은 일치하게 된다. 서비스 현장의 단말인 어느 클라이언트에 의해 서비스가 개시되고, 오피스 단말에 의해 서비스가 종료되는 경우, 서비스의 개시와 종료 시점에서의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가 다르며, 또한 프로그램 유형도 상이한 것으로 판단된다. 오피스 단말에서 서비스를 작성 시에는 시리얼 번호는 동일하나 프로그램 유형이 O로 표기될 것이다. 위와 같은 추적 방법에 의해 서비스 수급에 대한 투명성이 확보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추적 방법이 기술적인 타당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간과 위치라는 두 개의 요소를 도입한다.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제공에 관한 시간과 요소가 실제 프로세스에서 어떻게 작용하는가에 대해서는 도 5의 실시형태를 통해 설명될 것이다. 우선 그 전에, 본 발명의 클라이언트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가 어떤 것인지에 대해 정의할 필요가 있다.
도 4의 장기요양급여제공보고서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중 장기요양급여 제공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주요 서비스 항목들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서버(10)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되는 장기요양급여제공보고서에는, 세면도움, 구강관리, 머리 감기기, 몸단장, 옷 갈아입히기, 목욕도움, 식사도움, 체위변경, 이동도움, 신체기능 유지/증진, 화장실이용하기, 침구/린넨 교환, 환경관리, 물품관리, 세탁물관리, 신체기능 훈련, 기본동작훈련, 일상생활 동작 훈련, 물리치료, 작업치료, 인지 및 정신기능훈련, 언어치료, 그 밖의 재활치료, 외출(산책) 시 동행, 의사소통 도움, 간호처치/치매관리 자원 등의 서비스기재, 대상자 특성 등 기재, 입/퇴소 시간 기록이 필수적으로 포함되며, 이러한 서비스는 본 발명의 클라이언트(100)를 통해 수행되고 입력된다. 입력된 사항들은 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며, 오피스의 보고서 생성 명령에 의해 도 4의 장기요양급여제공보고서의 해당 테이블에 자동으로 기재되어 출력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서 요원이 케어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각 항목을 모두 수기로 작성한 다음에 이를 취합하여 재작성해야만 했다. 상기 장기요양급여제공 보고서 이외에, 생활/업무/프로그램 일지, 투약/상담/건강관리기록, 각종 체크리스트 양식이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으며, 클라이언트(100)의 기록과 오피스 단말(50)의 기록에 의해 작성될 수 있다.
이제 상기 서비스 항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클라이언트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가 정의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서비스 항목들이 본 발명의 클라이언트 업무의 서비스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항목이 노인의 건강을 캐어한다는 공통점이 있고, 이러한 공통점 범위 내에서 캐어대상자에 대한 캐어 서비스가 클라이언트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로 정의할 수 있다.
다시 도 5로 돌아와서,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제공에 관한 시간과 요소가 실제 프로세스에서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살펴보자. 캐어대상자(Customer)를 대상으로 서비스가 개시된다. 클라이언트(100)는 클라이언트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서버(10)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수행하게 되는데, 특정 캐어대상자를 상대로 특정 서비스의 개시, 즉 업무 프로세스의 개시할 때, 해당 클라이언트의 GPS 위치 정보 및 고유한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PSN1)가 서버(10)로 전송된다. 서버(10)는 데이터베이스(11, 13)를 통해서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PSN1)를 조회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라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저장되는 서비스 정보로서 시간 요소, 위치 요소, 프로그램 시리얼번호(PSN1)가 포함된다. 서비스가 개시된 시간이 서버(10)의 기준 시각에 의해 저장되며, 클라이언트의 위치 정보가 저장된다. 즉 서비스 개시 시간과 서비스 개시 위치가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1, 13)에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 정보가 서버(10)를 통해 클라이언트(100)로 전송되며, 클라이언트(100)의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갱신된다.
해당 서비스가 종료되면(해당 클라이언트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가 1개만 수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전체가 종료되는 것이며, 제공되는 서비스가 복수인 경우에 그 일부만이 종료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100)는 이를 서버(10)에 통지하고 이때 해당 클라이언트의 GPS 위치 정보와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PSN2)가 전송된다. 서버(10)는 데이터베이스(11, 13)에 기존 서비스 정보를 불러오고 저장된 서비스 정보와 비교한다. 이때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서비스 개시 시의 위치정보와 서비스 종료 시의 위치정보가 동일한 경우 서비스 정보를 저장한다. 서비스가 종료된 시간이 서버(10)의 기준 시각에 의해 저장되며, 또한, 해당 클라이언트의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PSN2)가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로세스에 의해 서버(10)는 캐어대상자에 대해 수행되는 서비스에 관한 클라이언트(100)의 입력 이벤트에 대해서 시간 요소와 위치 요소를 통해 투명하게 추적할 수 있게 된다. 일련의 클라이언트(100)의 서비스 수행에 관련되는 서비스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정보에는, 시설 정보, 서비스 제공자 정보, 서비스 수급자 정보, 서비스 내용, 서비스 시작 시간, 서비스 종료 시간, 서비스 시작 위치, 서비스 종료 위치, 특이사항, 서비스 시작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 서비스 종료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언트(100)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구성 예를 나타낸다. 편의상 단순화 하여 나타내었다. 상단에는 업무를 개시하는 인터페이스(111), 현재 업무의 수행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인터페이스(113), 계정설정, 업무 설정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설정 인터페이스(114)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좌측에는 업무를 수행하는 직원을 선택하는 인터페이스(120), 선택캐어대상자를 지정하는 인터페이스(121), 선택업무를 지정하는 인터페이스(122)가 구성될 수 있다. 하부에는 전후 프로세스로 화면을 바꾸는 선택 버튼(190, 191, 192)가 구성될 수 있다.
도 6의 좌측에는 업무를 수행하는 직원을 선택하는 영역(130)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영역(130)에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직원들의 리스트(131…)이 위치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는 이 리스트에서 해당 직원을 선택할 수 있다. "A"라는 직원을 선택하고, 다음 버튼(191)을 선택하면, 도 7과 같이 인터페이스 120에 "A"가 표시되고, 우측에 선택캐어대상, 즉 캐어대상자를 선택하는 영역(140)이 표시될 수 있다. 이 영역(140)에는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캐어대상자들의 리스트(141…)가 표시되며, 클라이언트는 이 리스트에서 해당 캐어대상자를 선택할 수 있다. "a"라는 캐어대상자를 선택하고, 다음 버튼(191)을 선택하면, 도 8과 같이 인터페이스 120에 "A"가 표시되고, 인터페이스 121에 캐어대상자 "a"가 표시됨과 동시에, 우측에 업무 내용, 즉 서비스 항목을 선택하는 영역(150)이 표시될 수 있다. 이 영역(150)에는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개별 서비스 항목(151…)이 표시된다. 서비스 항목(151)의 개수가 많기 때문에 화면 크기를 고려하여 스크롤 바(155)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머리감기기"라는 서비스 항목을 선택하면, 예컨대 "a에 대한 머리감기기 업무를 시작합니다"라는 메시지가 팝업될 수 있다. 다음으로 팝업 창에서 확인버튼을 누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100)의 서비스 개시 시간, 위치 정보 및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가 서버(10)로 전송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있어서, 오피스 단말(50)과 서버(10)와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오피스 단말(50)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데이터 송수신 모듈을 통해 서버(10)와 통신한다. 오피스 단말(50)이 서버(10)에 접속할 때, 바람직하게는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를 서버(10)에 알려준다. 또한 오피스 단말(50)은 등록된 계정에 의해 로그인을 한 다음에 서버(10)의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며, 다양한 관리 업무 이벤트를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업무로는 인적관리(캐어대상자관리, 직원관리, 부서관리 등), 업무관리(업무관리, 약품관리, 질병관리 등), 시설관리, 기록관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오피스 단말(50)이 보고서 생성 명령을 전송할 수 있고, 서버(1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정해진 규칙에 따라 수집하여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다. 보고서 양식은 미리 탬플릿을 저장될 수 있으며, 생성된 보고서가 장기요양급여제공 보고서인 경우에는 도 4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보고서가 생성될 수 있다. 오피스 단말(50)은 해당 보고서를 열람, 출력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기타 보고서로는 시설별생활일지, 시설별상담일지, 부서별업무일지, 직원별업무일지, 투약기록지, 낙상 측정기록, 욕창 측정기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첨언한다.

Claims (8)

  1. 모바일 클라이언트의 업무 기록이 노인복지 업무지원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실시간으로 기록되는 시스템을 이용하는 노인복지 업무지원 자동화 방법에 있어서,
    (a) 모바일 클라이언트가 클라이언트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노인복지 업무지원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가 캐어대상자를 선정하고 정해진 서비스 항목을 선택하여 업무 프로세스를 개시할 때 해당 모바일 클라이언트에 미리 고유하게 부여된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PSN1)를 상기 노인복지 업무지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노인복지 업무지원 서버가 상기 고유한 프로그램 시리얼번호(PSN1)를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가 상기 서비스 항목에 대한 업무 프로세스를 종료할 때 모바일 클라이언트에 미리 고유하게 부여된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PSN2)를 상기 노인복지 업무지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노인복지 업무지원 서버가 고유한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PSN2)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서비스 개시 시의 고유한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PSN1)와 서비스 종료 시의 고유한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PSN2)를 비교함으로써 업무 프로세스의 추적성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복지 업무지원 자동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한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PSN1, PSN2)는 시설정보, 플랫폼과 프로그램 유형을 나타내는 프로그램구분코드 및 랜덤한 문자열로 이루어지는 것인, 노인복지 업무지원 자동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가 소속된 오피스 단말이 상기 노인 복지 업무지원 서버에 접속하여, 저장된 양식의 보고서 생성 명령을 전송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정해진 규칙에 따라 수집하여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노인복지 업무지원 자동화 방법.
  4. 모바일 클라이언트의 업무 기록이 노인복지 업무지원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실시간으로 기록되는 시스템을 이용하는 노인복지 업무지원 자동화 방법에 있어서,
    (a) 모바일 클라이언트가 클라이언트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노인복지 업무지원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가 캐어대상자를 선정하고 정해진 서비스 항목을 선택하여 업무 프로세스를 개시할 때 해당 모바일 클라이언트의 위치정보를 상기 노인복지 업무지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노인복지 업무지원 서버가 상기 위치정보를 저장하며, 또한 서비스 개시 시간(-서버의 기준시각)을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가 상기 서비스 항목에 대한 업무 프로세스를 종료할 때 모바일 클라이언트의 위치정보를 상기 노인복지 업무지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노인복지 업무지원 서버가 상기 위치정보를 저장하며, 또한 서비스 종료 시간(-서버의 기준시각)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서비스 개시 시의 위치정보와 서비스 종료 시의 위치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업무 프로세스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복지 업무지원 자동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및 (d)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의 고유한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PSN1, PSN2)가 상기 노인복지 업무지원 서버에 함께 전송되며,
    상기 (c) 및 (e) 단계에서 전송된 고유한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PSN1, PSN2)도 함께 저장되며,
    서비스 개시 시의 고유한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PSN1)와 서비스 종료 시의 고유한 프로그램 시리얼 번호(PSN2)를 비교함으로써 업무 추적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복지 업무지원 자동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가 소속된 오피스 단말이 상기 노인 복지 업무지원 서버에 접속하여, 저장된 양식의 보고서 생성 명령을 전송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정해진 규칙에 따라 수집하여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노인복지 업무지원 자동화 방법.
  7. 제1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클라이언트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넷북인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인, 노인복지 업무지원 자동화 방법.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인복지 업무지원 자동화 방법에서의 업무는 장기요양급여제공업무를 포함하는 것인, 노인복지 업무지원 자동화 방법.
KR1020110045523A 2011-05-16 2011-05-16 노인복지 업무지원의 it 자동화 방법 KR101247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523A KR101247240B1 (ko) 2011-05-16 2011-05-16 노인복지 업무지원의 it 자동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523A KR101247240B1 (ko) 2011-05-16 2011-05-16 노인복지 업무지원의 it 자동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803A KR20120127803A (ko) 2012-11-26
KR101247240B1 true KR101247240B1 (ko) 2013-03-25

Family

ID=47512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523A KR101247240B1 (ko) 2011-05-16 2011-05-16 노인복지 업무지원의 it 자동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72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72435A1 (en) * 2017-08-31 2019-03-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ashroom device installation system
KR102608284B1 (ko) * 2021-12-01 2023-11-29 박노선 기록지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판독가능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5996A (ja) * 1998-07-17 2000-02-02 Fujitsu Ltd 福祉サービス支援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JP2004139180A (ja) 2002-10-15 2004-05-13 Noritsu Koki Co Ltd 作業状況管理システム、出力装置及び受信装置
JP2005056023A (ja) 2003-07-31 2005-03-03 Secom Techno Service Co Ltd 作業管理システム
JP2006092249A (ja) * 2004-09-24 2006-04-06 Hitachi Information Systems Ltd 福祉データ登録システム及び福祉データ登録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5996A (ja) * 1998-07-17 2000-02-02 Fujitsu Ltd 福祉サービス支援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JP2004139180A (ja) 2002-10-15 2004-05-13 Noritsu Koki Co Ltd 作業状況管理システム、出力装置及び受信装置
JP2005056023A (ja) 2003-07-31 2005-03-03 Secom Techno Service Co Ltd 作業管理システム
JP2006092249A (ja) * 2004-09-24 2006-04-06 Hitachi Information Systems Ltd 福祉データ登録システム及び福祉データ登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803A (ko) 2012-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tterson et al. The longitudinal study of turnover and the cost of turnover in emergency medical services
Damen et al. Preoperative anticoagulation management in everyday clinical practice: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work-as-done using the functional resonance analysis method
CN106230787A (zh) 一种会员信息统一管理系统的认证方法
CN101251913A (zh) 一种自助报销管理系统及方法
CN105516085A (zh) 一种管理访客临时上网行为的系统及方法
Padma et al. Effective cleaning system management using JSP and Servlet Technology
WO2014033747A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clinical trial management
KR101313541B1 (ko) 노인복지 업무지원시스템의 보호자 서비스 제공 방법
JP6931990B2 (ja) 医療行為管理システム
JP6242469B1 (ja) 個人医療情報管理方法、個人医療情報管理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247240B1 (ko) 노인복지 업무지원의 it 자동화 방법
CN104521209B (zh) 用于提供定制网络的方法和系统
CN109726999A (zh) 一种家政服务卡管理系统
KR102297924B1 (ko) PS-LTE용 FIDO 거래인증 기반의 OneID 기록관리 블록체인 시스템
US20200293510A1 (en) Information linkage system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Davenport et al. Coming together while staying apart
EP3349155A1 (en) Ev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event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JP6097428B1 (ja) 報告書作成支援システム
Maitra et al. Covid-19 and Technology Interventions: An Exploratory Study of the Indian Hospitality Industry
CN204719732U (zh) 健康体检数据管理系统
JP2013016083A (ja) 介護支援システム
KR102596482B1 (ko) 외국인 계절근로자 통합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19012489A1 (en) APPARATUS FOR ANALYZING MOOD
Shenson et al. Polling places, pharmacies, and public health: Vote & Vax 2012
Cigler Emergency management challenges for the Obama presiden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