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5731A - 오버랩 장치 - Google Patents

오버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5731A
KR20210065731A KR1020190154819A KR20190154819A KR20210065731A KR 20210065731 A KR20210065731 A KR 20210065731A KR 1020190154819 A KR1020190154819 A KR 1020190154819A KR 20190154819 A KR20190154819 A KR 20190154819A KR 20210065731 A KR20210065731 A KR 20210065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bag
unit
sealing
edge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2380B1 (ko
Inventor
이상영
장기철
오종혁
Original Assignee
제이더블유홀딩스 주식회사
신진엠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더블유홀딩스 주식회사, 신진엠텍(주) filed Critical 제이더블유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4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380B1/ko
Publication of KR20210065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4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 B65B31/06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 being arranged for insertion into, and withdrawal from, the mouth of a filled container and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means for sealing the container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30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grippers engaging opposed walls, e.g. suction-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65B51/146Closing bags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 에지가 개방된 포장봉투를 실링하는 포장부를 포함하는 오버랩 장치로서, 상기 포장부는, 관형 제1 부재와 관형 제2 부재를 포함하는 제1 석션부; 상기 포장봉투의 상면을 흡착하여 상기 포장봉투의 일측 에지를 상하 방향으로 벌리는 제2 석션부; 및 상기 포장봉투의 일측 에지의 상면과 하면을 압착하여 개방된 상기 일측 에지를 밀폐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포장봉투의 내측에서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좌우 방향으로 상기 일측 에지를 벌린 후, 상기 포장봉투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빼내는 오버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버랩 장치{Apparatus for overwrapping}
실시예는 오버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버랩 장치는 내용물이 담긴 포장봉투의 공기를 빼낸 후, 개방된 일측 에지를 실링하는 장치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1576호(2019.06.20. 공고, 이하 본 문헌이라 한다)에서는, 진공포장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본 문헌의 진공포장장치는, 포장봉투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관을 포함한다. 본 문헌의 경우, 흡입관의 흡입위치와 포장봉투의 실링위치가 포장봉투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이하기 때문에, 포장봉투가 실링위치로 이송되는 동안, 흡입관이 회전하면서 포장봉투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진공포장장치는, 포장봉투가 이동함에 따라 흡입관이 회전하면서 공기를 흡입하기 때문에 포장봉투 내의 공기를 충분히 흡입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는 포장봉투가 실링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공기가 다시 봉투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1576호(2019.06.20. 공고)
본 발명은 포장봉투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빼면서 신속하게 실링을 수행할 수 있는 오버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일측 에지가 개방된 포장봉투를 실링하는 포장부를 포함하는 오버랩 장치로서, 상기 포장부는, 관형 제1 부재와 관형 제2 부재를 포함하는 제1 석션부와, 상기 포장봉투의 상면을 흡착하여 상기 포장봉투의 일측 에지를 상하 방향으로 벌리는 제2 석션부 및 상기 포장봉투의 일측 에지의 상면과 하면을 압착하여 개방된 상기 일측 에지를 밀폐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포장봉투의 내측에서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좌우 방향으로 상기 일측 에지를 벌린 후, 상기 포장봉투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빼내는 오버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각각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포장봉투 내부로 진입하거나 진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그리고 상기 포장봉투에 질소를 공급하는 제3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포장봉투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빼낼 때, 상기 포장봉투의 일측 에지를 압착하는 압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착부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및 상기 포장봉투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1 파트와,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및 상기 포장봉투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2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포장봉투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빼낸 후, 상기 포장봉투의 일측 에지를 압착하여 실링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링부는, 상기 포장봉투에 대한 실링위치가 상기 압착부의 압착위치 보다 상기 포장봉투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링부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포장봉투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3 파트와,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포장봉투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4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파트 및 상기 제4 파트는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압착부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부재와 및 상기 제2 부재는 각각, 상기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높이는 상기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부재와 및 상기 제2 부재는, 각각,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는 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단면 형상은 타원형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봉투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빼면서 신속하게 포장봉투를 실링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부의 한 지점에서, 공기를 빼내는 작업과 실링 작업이 모두 수행되기 때문에, 설비의 크기를 줄이고, 구성을 간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부의 한 지점에서, 공기를 빼내는 작업과, 실링 작업이 모두 수행되기 때문에, 공기가 포장봉투 내부로 다시 봉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를 빼내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포장봉투를 좌우방향으로 벌리기 때문에. 상하방향으로 수행되는 실링이 용이하게 수행되면, 실링 품질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를 효과적으로 빼내면서, 질소를 투입함으로써, 포장봉투 내부를 질소로 효과적으로 대체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오버랩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포장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제1 석션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제1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2 석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2 석션부와 압착부와 실링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압착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실링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오버랩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2 석션부가 포장봉투를 흡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제2 석션부가 포장봉투의 일측 에지를 상하방향으로 벌리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제1 부재, 제2 부재 및 제3 부재가 포장봉투에 진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포장봉투 내부에 위치한 제1 부재, 제2 부재 및 제3 부재의 정면도,
도 14는 제1 석션부의 제1 부재, 제2 부재가 포장봉투를 좌우방향으로 벌리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포장봉투를 좌우방향으로 벌리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압착부가 압착위치에서, 포장봉투의 일측 에지를 압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제1 석션부가 포장봉투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제3 부재가 포장봉투 내부로 질소를 공급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실링부가 포장봉투의 일측 에지를 가압하여 실링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오버랩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x축은 오버랩 장치의 좌우방향을 나타내며, y축은 오버랩 장치의 전후방향을 나타내며, z축은 오버랩 장치의 상하방향을 나타낸다.
도 1을 실시예에 따른 오버랩 장치는, 포장부(10)와 이송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오버랩 장치는 포장부(10)와 연결되는 진공펌프 어셈블리(3)와, 제어부(4)를 포함할 수 있다. 포장봉투(1)에 내용물이 담긴 상태로 포장봉투(1)는 이송부(20)를 통해 좌우방향(x)을 따라 포장부(10)로 이송될 수 있다. 포장부(10)는 포장봉투(1)에서 공기를 빼내고 개방된 일측 에지를 실링하는 역할을 한다. 이송부(20)는 포장봉투(1)를 일측 에지가 개방된 상태로 포장부(10)에 공급한다. 진공펌프 어셈블리(3)는 포장부(10)에서 수행되는 석션 작업을 지원한다. 제어부(4)는 포장부(10)와 이송부(20)의 작동을 제어한다.
포장부(10)는 내용물이 담긴 포장봉투(1)에서 공기를 빼내는 작업과 더불어 포장봉투(1)를 실링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포장부(10)는 공기를 빼내는 작업과 실링작업을 이송부(20)의 한 지점에서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도 2는 포장부(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포장부(10)는, 제1 석션부(100)와 제2 석션부(200)와 압착부(300)와 실링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후방향(y)을 기준으로, 포장봉투(1)의 후방에 제2 석션부(2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석션부(200)의 후방에 실링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400)의 후방에 압착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압착부(300)의 후방에 제1 석션부(1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석션부(200)와 압착부(300)와 실링부(40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1 석션부(100)는 전후방향(y)으로 이동한다.
도 2의 P1은 전후방향(y)을 기준으로, 제2 석션부(200)의 석션위치를 나타내고, 도 2의 P2는 압착부(300)의 압착위치를 나타내고, 도 2의 P3는 실링부(400)의 실링위치를 나타낸다.
실링위치(P3)보다 압착위치(P2)가 후방에 있으며, 제2 석션부(200)의 석션위치(P1)는 실링위치(P3)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도 3은 제1 석션부(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석션부(100)는 포장봉투(1)에서 공기를 빼내는 작업을 수행하고, 아울러 포장봉투(1)의 일측 에지를 좌우방향(x)으로 벌려, 실링을 위한 예비 작업을 수행하는 특징이 있다. 제1 석션부(100)는 관형의 제1 부재(110)와 관형의 제2 부재(120)와 제1 구동부(140)와 제2 구동부(150)와 제3 구동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110), 제2 부재(120)는 전방을 향하여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부재(130)도 전방을 향하여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좌우방향(x)을 기준으로, 제3 부재(130)는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동부(140)는 제1 부재(110)에 연결되어 좌우방향(x)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다. 제1 구동부(140)는 제1 부재(1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구동부(140)는 제1 부재(110)를 좌우방향(x)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구동부(150)는 제2 부재(120)에 연결되어 좌우방향(x)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다. 제2 구동부(150)는 제2 부재(1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구동부(150)는 제2 부재(120)를 좌우방향(x)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3 구동부(160)는 제1 구동부(140), 제2 구동부(150) 및 제3 부재(130)와 연결되어 전후방향(y)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다. 제3 구동부(160)는 제1 구동부(140), 제2 구동부(15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구동부(160)는 제1 부재(110), 제2 부재(120) 및 제3 부재(130)를 전후방향(y)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3 부재(130)는 제3 구동부(160)에 의해 전후방향(y)으로 이동하나, 좌우방향(x)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제3 구동부(16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구동부(140)와 제2 구동부(150)와 제3 구동부(160)는, 각각 모터, 모터와 연결되는 이송블록과, 이송블록을 지지하는 레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제1 부재(1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와 제3 부재(130)는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제1 부재(11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1 부재(110)는 관형의 케이스(S1)와 케이스(S1) 내부에 배치되는 봉부재(S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S1) 내부는 비어 있어,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의 경우, 포장봉투(1)의 공기를 석션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고. 제3 부재(130)의 경우, 포장봉투(1)에 공급되는 질소가 지나가는 유로가 형성된다. 봉부재(S2)는 길게 형성된 케이스(S1)가 휘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케이스(S1)를 지지한다.
케이스(S1)의 단면형상은 상하방향으로 기준으로 하는 높이(H)보다 좌우방향(x)을 기준으로 하는 폭(W)이 큰 타원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제1 부재(110)의 양측 에지는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각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제1 부재(110)는 포장봉투(1)에 진입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이와 같은 제1 부재(110)의 형상은, 제1 부재(110)가 포장봉투(1) 내부로 진입 후, 포장봉투(1)의 일측에지의 측면을 밀어 포장봉투(1)의 상면과 하면이 최대한 가깝게 하도록 포장봉투(1)를 벌리는 유리한 형상이다. 포장봉투(1)의 상면과 하면을 최대한 가깝게 벌리면, 포장봉투(1) 내부의 공기를 빼내는데 용이하여, 포장봉투(1)의 일측에지에 대한 실링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5는 제2 석션부(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석션부(200)는, 포장봉투(1)의 상면을 흡착하여 포장봉투(1)의 일측 에지를 상하 방향으로 벌리는 장치이다. 제2 석션부(200)는, 바디(210)와, 바디(210)에 결합하는 노즐(220)과, 노즐(220)에 결합하는 석션팁(230)과, 제4 구동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210)는 제4 구동부(240)에 결합한다. 노즐(220)은 진공펌프 어셈블리(도 1의 3)에 연결된다. 석션팁(230)은 노즐(220)에 결합한다. 석션팁(230)은 포장봉투(1)의 상면과 접촉한다. 석션팁(230)은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4 구동부(240)에 의해 바디(210)는 상하이동한다. 바디(210)가 상하이동하면 이에 연동하여 노즐(220)과 석션팁(230)이 상하이동한다.
도 6은 제2 석션부(200)와 압착부(300)와 실링부(4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압착부(3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압착부(300)는 제1 석션부(100)가 포장봉투(1) 내부의 공기를 빼내기 전에, 포장봉투(1)의 개방된 일측 에지를 압착하여 포장봉투(1)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빼내기 위한 장치이다.
압착부(300)는 제1 파트(311)와 제2 파트(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311)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제1 부재(110) 및 제2 부재(120)의 상측에 배치된다. 또한, 제1 파트(311)는 포장봉투(1)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1 파트(311)는 제1 블록(313)에 배치된다. 제1 블록(313)은 모터 등의 구동모듈에 의해 상하이동한다. 제2 파트(312)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제1 부재(110) 및 제2 부재(120)의 하측에 배치된다. 또한, 제2 파트(312)는 포장봉투(1)의 하측에 배치된다. 제2 파트(312)는 제2 블록(314)에 배치된다. 제2 블록(314)은 모터 등의 구동모듈에 의해 상하이동한다.
제1 파트(311)와 제2 파트(312)는 실리콘 같은 탄성 변형 가능한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파트(311)와 제2 파트(312)는 좌우방향(x)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파트(311)는 압착위치(P2)에서 포장봉투(1)의 상면과 더불어 제1 부재(110), 제2 부재(120) 및 제3 부재(130)의 상면을 압착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파트(312)는 압착위치(P2)에서 포장봉투(1)의 하면과 더불어 제1 부재(110), 제2 부재(120) 및 제3 부재(130)의 하면을 압착할 수 있다.
이러한 압착부(300)는 실링부(400)의 바로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실링부(4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실링부(400)는 제1 석션부(100)가 포장봉투(1) 내부의 공기를 빼낸 후, 포장봉투(1)의 개방된 일측 에지를 가압하여 실링하는 장치이다.
실링부(400)는 제3 파트(411)와 제4 파트(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파트(411)는 상하방향(z)을 기준으로 제1 부재(110) 및 제2 부재(120)의 상측에 배치된다. 또한, 제3 파트(411)는 포장봉투(1)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3 파트(411)는 포장봉투(1)의 상면과 접촉한다. 제3 파트(411)는 제3 블록(413)에 배치된다. 제3 블록(413)은 모터 등의 구동모듈에 의해 상하이동한다. 제4 파트(412)는 상하방향(z)을 기준으로 제1 부재(110) 및 제2 부재(120)의 하측에 배치된다. 또한, 제4 파트(412)는 포장봉투(1)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4 파트(412)는 포장봉투(1)의 하면과 접촉한다. 제4 파트(412)는 제4 블록(414)에 배치된다. 제4 블록(414)은 모터 등의 구동모듈에 의해 상하이동한다.
제3 파트(411)와 제4 파트(412)는 케이블이 연결되어 전기가 공급될 수 있다. 제3 파트(411)와 제4 파트(412)는 전기가 공급되면 발열되는 소재일 수 있다. 제3 파트(411)와 제4 파트(412)는 좌우방향(x)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파트(411)와 제4 파트(412)는, 실링위치(P3)에서 상하방향(z)으로 포장봉투(1)의 일측 에지를 열융착하여 포장봉투(1)를 실링한다.
실링부(400)는 압착부(300)의 바로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오버랩 장치를 이용한 오버랩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송부(20)가 포장봉투(1)를 포장부(10)의 전방으로 이송시키면, 좌우방향(x)을 기준으로, 제2 석션부(200)와 포장봉투(1)가 정렬된다. 이때, 포장봉투(1)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이며, 일측에지가 개방된 상태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오버랩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제2 석션부(200)가 포장봉투(1)를 흡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제2 석션부(200)가 포장봉투(1)의 일측 에지를 상하방향(z)으로 벌리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석션부(200)는 포장봉투(1)의 일측 에지를 상하방향(z)으로 벌린다.(S100) 제2 석션부(200)의 바디(210)가 하강하여 석션팁(230)이 포장봉투(1)의 상면과 접촉하면, 석션이 시작하여 포장봉투(1)의 상면은 석션팁(230)에 흡착된다. 포장봉투(1)의 상면이 석션팁(230)에 흡착된 상태로 바디(210)가 상승이동하면 포장봉투(1)의 상면도 상측으로 들리면서 포장봉투(1)의 일측 에지가 벌어져, 제1 부재(110), 제2 부재(120) 및 제3 부재(130)가 진입하는 공간이 확보된다.
도 12는 제1 부재(110), 제2 부재(120) 및 제3 부재(130)가 포장봉투(1)에 진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포장봉투(1) 내부에 위치한 제1 부재(110), 제2 부재(120) 및 제3 부재(130)의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제1 석션부(100)와 제3 부재(130)가 포장봉투(1)의 내측으로 진입한다.(S200)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와 제3 부재(130)가 전진이동하여 끝단이 적어도 포장봉투(1) 내부에 위치하도록 포장봉투(1)에 진입한다. 제2 석션부(200)에 의해 포장봉투(1)의 일측 에지가 상하방향(z)으로 벌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와 제3 부재(130)는 포장봉투(1)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도 14는 제1 부재(110), 제2 부재(120)가 포장봉투(1)를 좌우방향(x)으로 벌리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포장봉투(1)를 좌우방향(x)으로 벌리는 제1 부재(110) 및 제2 부재(120)의 정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다음으로, 제1 석션부(100)가 포장봉투(1)의 일측 에지를 좌우방향(x)으로 벌린다.(S300) 즉, 제1 부재(110)는 도면에서 좌측으로 수평이동하여, 포장봉투(1)의 좌측을 밀면서 이동한다. 동시에 제2 부재(120)는 도면에서 우측으로 수평이동하여, 포장봉투(1)의 우측을 밀면서 이동한다.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3 부재(130)는 좌우방향(x)으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이다. 이렇게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가 이동함에 따라, 상하방향(z)으로 벌어진 포장봉투(1)는 좌우방향(x)으로 벌어진다. 타원형으로 양측에 모서리를 가지는 제1 부재(110)의 단면 형상과 제2 부재(120)의 단면 형상은 포장봉투(1)를 좌우방향(x)으로 벌리기 용이한 형상이다. 좌우방향(x)으로 벌어진 포장봉투(1)는 공기를 빼내기 용이하며, 상하방향(z)으로 이동하는 실링부(400)의 움직임을 고려할 때, 실링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6은 압착부(300)가 압착위치(P2)에서, 포장봉투(1)의 일측 에지를 압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다음으로, 압착부(300)가 압착위치(P2)에서, 포장봉투(1)의 일측 에지와 제1 부재(110), 제2 부재(120) 및 제3 부재(130)를 상하 방향으로 압착한다.(S400) 제1 파트(311)가 하강이동하고 동시에 제2 파트(312)가 상승이동하여 포장봉투(1)의 일측 에지를 압착한다. 또한, 제1 파트(311)와 제2 파트(312)는 제1 부재(110), 제2 부재(120) 및 제3 부재(130)를 압착한다. 제1 파트(311)와 제2 파트(312)는 탄성 변형 가능한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져, 포장봉투(1)의 일측 에지와 함께, 제1 부재(110), 제2 부재(120) 및 제3 부재(130)를 밀착하여 가압할 수 있다. 이렇게 압착부(300)에 의해, 포장봉투(1)는 제1 부재(110), 제2 부재(120) 및 제3 부재(130)가 진입한 상태에서 임시적으로 밀폐 상태를 유지한다.
도 17은 제1 석션부(100)가 포장봉투(1)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제3 부재(130)가 포장봉투(1) 내부의 질소를 공급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다음으로, 제1 석션부(100)는 포장봉투(1)의 공기를 빼낸다.(S500) 압착부(300)에 의해 포장봉투(1)가 임시적으로 밀폐된 상태에서, 관형의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는 포장봉투(1)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다. 그리고 도 18을 참조하면, 제3 부재(130)는 포장봉투(1)에 질소를 공급할 수 있다. 포장봉투(1) 내부에서 공기가 빠지고 질소가 공급되어 대체되면서 포장봉투(1)에 질소가 충진될 수 있다. 이때, 포장봉투(1)의 내부는 압착부(300)에 의해 임시적으로 밀폐된 상태이기 때문에 공기가 효과적으로 포장봉투(1)에서 빠질 수 있으며, 포장봉투(1)에 질소가 효과적으로 충진될 수 있다. 포장봉투(1) 내에 충진된 질소는 내용물이 산소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여 내용물이 산패되거나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가 포장봉투(1)를 벌린 상태에서,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제3 부재(130)는 포장봉투(1)의 중앙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포장봉투(1) 내부로 질소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19는 실링부(400)가 포장봉투(1)의 일측 에지를 가압하여 실링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다음으로, 포장봉투(1)에 질소 충진이 완료되면, 실링부(400)는 포장봉투(1)를 상하방향(z)으로 가압하여 포장봉투(1)의 일측 에지를 실링한다.(S600) 제1 부재(110), 제2 부재(120) 및 제3 부재(130)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포장봉투(1)에서 빠짐과 동시에, 실링부(400)의 제3 파트(411)가 하강이동하고, 제4 파트(412)가 상승이동하여, 실링위치(P3)에서 포장봉투(1)의 일측 에지를 사이에 주고 가압하여 열융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압착부(300)에 의해 압착위치(P2)에서 포장봉투(1)가 밀폐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1 부재(110), 제2 부재(120) 및 제3 부재(130)가 포장봉투(1)에서 빠지는 과정 중이나 제3 파트(411)와 제4 파트(412)가 이동하는 중에, 포장봉투(1)로 공기가 유입되거나 충진된 질소가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포장봉투(1)의 일측 에지에 대한 실링이 완료되면, 포장봉투(1)는 최종적으로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밀폐되어 상품으로 제공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오버랩 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포장부
20: 이송부
100: 제1 석션부
110: 제1 부재
120: 제2 부재
130: 제3 부재
200: 제2 석션부
300: 압착부
400: 실링부

Claims (11)

  1. 일측 에지가 개방된 포장봉투를 실링하는 포장부를 포함하는 오버랩 장치로서,
    상기 포장부는,
    관형 제1 부재와 관형 제2 부재를 포함하는 제1 석션부;
    상기 포장봉투의 상면을 흡착하여 상기 포장봉투의 일측 에지를 상하 방향으로 벌리는 제2 석션부; 및
    상기 포장봉투의 일측 에지의 상면과 하면을 압착하여 개방된 상기 일측 에지를 밀폐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포장봉투의 내측에서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좌우 방향으로 상기 일측 에지를 벌린 후, 상기 포장봉투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빼내는 오버랩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각각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포장봉투 내부로 진입하거나 진퇴하는 오버랩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석션부는, 좌우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포장봉투에 질소를 공급하는 제3 부재를 포함하는 오버랩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포장봉투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빼낼 때, 상기 포장봉투의 일측 에지를 압착하는 압착부를 더 포함하는 오버랩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및 상기 포장봉투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1 파트와,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 및 상기 포장봉투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2 파트를 포함하는 오버랩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포장봉투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빼낸 후, 상기 포장봉투의 일측 에지를 압착하여 실링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오버랩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포장봉투에 대한 실링위치가 상기 압착부의 압착위치 보다 상기 포장봉투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오버랩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포장봉투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3 파트와,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포장봉투의 하면과 접촉하는 제4 파트를 포함하는 오버랩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파트 및 상기 제4 파트는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압착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오버랩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및 상기 제2 부재는 각각, 상기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높이는 상기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폭보다 작은 포장봉투의 오버랩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와 및 상기 제2 부재는, 각각,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는 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단면 형상은 타원형인 오버랩 장치.
KR1020190154819A 2019-11-27 2019-11-27 오버랩 장치 KR102362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819A KR102362380B1 (ko) 2019-11-27 2019-11-27 오버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819A KR102362380B1 (ko) 2019-11-27 2019-11-27 오버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731A true KR20210065731A (ko) 2021-06-04
KR102362380B1 KR102362380B1 (ko) 2022-02-14

Family

ID=76391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819A KR102362380B1 (ko) 2019-11-27 2019-11-27 오버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3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683A (ko) * 2001-03-12 2002-09-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자동포장장치
JP2017145037A (ja) * 2016-02-19 2017-08-24 株式会社トーヨー ガス置換包装機
KR20180128591A (ko) * 2017-05-24 2018-12-04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배큠 패킹 장치
KR101991576B1 (ko) 2017-09-19 2019-06-20 전동표 포장지용 진공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683A (ko) * 2001-03-12 2002-09-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자동포장장치
JP2017145037A (ja) * 2016-02-19 2017-08-24 株式会社トーヨー ガス置換包装機
KR20180128591A (ko) * 2017-05-24 2018-12-04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배큠 패킹 장치
KR101991576B1 (ko) 2017-09-19 2019-06-20 전동표 포장지용 진공포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380B1 (ko) 202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2379B1 (ko) 오버랩 방법
EP0761544B1 (en) Device and method for creating a vacuum in bags
KR101906960B1 (ko) 포장기 및 그 포장 방법
CN107934047A (zh) 一种全自动包装方法
EA016018B1 (ru) Способ наполнения газом ручки контейнера
CN109080895B (zh) 一种试剂盒全自动灌装和封闭生产线及其生产工艺
KR101827788B1 (ko) 수액백 포장봉지 진공포장 시스템
CN113753329B (zh) 全自动真空包装设备
CN111107822B (zh) 填充医疗包装的方法、填充设备和构造成囊袋的医疗包装
CN210364541U (zh) 一种封口机
KR102362380B1 (ko) 오버랩 장치
KR102325552B1 (ko) 오버랩 장치
CN218704177U (zh) 包装设备
JPH09207909A (ja) 急速減圧装置
JP2018100095A (ja) 袋の封止方法及び封止装置
JP2018002252A (ja) 傾き移送式真空包装装置
JP7386126B2 (ja) 気体封入方法及び気体封入装置
KR20190127815A (ko) 이중 백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70029469A (ko) 진공 봉투용 자동 진공 밀봉 장치
CN216186338U (zh) 一种抽真空自动封袋装置
JP3237363U (ja) ストレート型真空包装装置
JP5658471B2 (ja) 袋状容器充填装置
CN218839938U (zh) 屏蔽袋夹持设备和显示器包装系统
CN211455829U (zh) 打钉装置
CN217836169U (zh) 一种自动压袋机构及具有其的真空封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