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5573A - 물건 이송 대차의 제작시스템 - Google Patents

물건 이송 대차의 제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5573A
KR20210065573A KR1020190154482A KR20190154482A KR20210065573A KR 20210065573 A KR20210065573 A KR 20210065573A KR 1020190154482 A KR1020190154482 A KR 1020190154482A KR 20190154482 A KR20190154482 A KR 20190154482A KR 20210065573 A KR20210065573 A KR 20210065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part
unit
movable
processing system
horizontal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4808B1 (ko
Inventor
윤주희
Original Assignee
윤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주희 filed Critical 윤주희
Priority to KR1020190154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808B1/ko
Publication of KR20210065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05B13/023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the movement of the objects being a combination of rotation and linear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물건 이송 대차의 가공시스템으로서, 상기 물건이송 대차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모터(30)와, 상기 모터(3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축(40)과, 상기 프레임(10)에 상기 구동축(40)에 연결되어 이동되는 바퀴(50)와, 상기 프레임(10) 후방에 물건을 안치하는 작업대(60) 및 상기 작업대(60)에 턴테이블(90)을 포함하며, 상기 물건 이송 대차는, 적어도 일부 조립된 상태에서 보호막 형성 장치(100)를 통하여 표면에 보호막 처리가 수행되거나, 상기 바퀴(50), 상기 작업대(60) 및 상기 턴테이블(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보호막 형성 장치(100)를 통하여 표면에 보호막 처리가 수행되는 물건 이송 대차의 가공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대상물의 효과적인 취급이 가능하며, 취급과정에서 이송수단의 접촉면 내구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물건 이송 대차 제작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물건 이송 대차 제작시스템{Producing system for goods transfer carriage}
본 발명은 물건 이송 대차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물의 효과적인 취급이 가능하며, 취급과정에서 이송수단의 접촉면 내구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물건 이송 대차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상물 이송을 위한 이송수단은 다양하게 존재하며, 예컨대 화물이송용 대차는 공장 내 등에서 물건을 실어나르기 위한 널리 사용되며는 동력에 의해 리모콘을 사용하여 사람이 타지 않고 원격으로 조작하게 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송수단은 기술 개발의 초점이 구동력을 보강하기 위한 내부 구조 자체 개량에만 치중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때문에, 기본적으로 대상물의 취급으로 인하여 이송수단에 발생되는 외부적인 문제점을 등한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상물의 외부에 발생되는 내구성을 효율적으로 보완하기에는 현재 개시된 기술들로서는 여전히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물건 이송 대차를 제공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60079호
본 발명은, 대상물의 효과적인 취급이 가능하며, 취급과정에서 이송수단의 접촉면 내구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물건 이송 대차 제작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건 이송 대차의 가공시스템으로서, 상기 물건이송 대차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모터(30)와, 상기 모터(3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축(40)과, 상기 프레임(10)에 상기 구동축(40)에 연결되어 이동되는 바퀴(50)와, 상기 프레임(10) 후방에 물건을 안치하는 작업대(60) 및 상기 작업대(60)에 턴테이블(90)을 포함하며, 상기 물건 이송 대차는, 적어도 일부 조립된 상태에서 보호막 형성 장치(100)를 통하여 표면에 보호막 처리가 수행되거나, 상기 바퀴(50), 상기 작업대(60) 및 상기 턴테이블(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보호막 형성 장치(100)를 통하여 표면에 보호막 처리가 수행되는 물건 이송 대차의 가공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물의 효과적인 취급이 가능하며, 취급과정에서 이송수단의 접촉면 내구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물건 이송 대차 제작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물건 이송 대차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물건 이송 대차 반대각도에서의 그림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물건 이송 대차의 전달축 부분의 그림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물건 이송 대차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물건 이송 대차 턴테이블 하부 그림이다.
도 6은 도 1에 다른 물건 이송 대차 하부 롤러형상 바퀴 그림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물건 이송 대차 뒤집은 상태의 하부 롤러형상 바퀴의 상세 그림이다.
도 8은 도 1에 따른 물건 이송 대차 하부 캐스터 그림이다.
도 9는 도 1에 따른 물건 이송 대차에 롤러자석이 결합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막 형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막 형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측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막 형성 장치에 의해 대상표면이 도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막 형성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0은 도 18에 따른 보호막 형성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 내지 도 29는 도 23에 따른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발명은 물건 이송 대차에 관한 것으로, 작업장내에서 물건을 근거리내에서 이동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모터로 구동되는 물건 이송 대차에 있어서, 상기 물건 이송 대차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 위에 설치되되 밧데리(20)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30)와, 상기 모터(3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축(40)과, 상기 구동축(40)에 연결되어 전후진으로 이동되는 바퀴(50)와, 상기 프레임(10) 후방에 위치하며 물건을 안치하는 작업대(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우측 전방에 밧데리(20)가 설치되고 좌측 전방에는 모터(30)가 설치되며, 상기 모터(30)에 연결된 구동축(40)의 끝단에는 구동기어(11)가 부착되며, 상기 구동기어에는 전달축(12)의 일단에 부착된 피동기어(13)가 접촉되어, 동력이 전달되며 상기 전달축(12)의 타단에는 체인(70) 일단이 결합되며, 체인(70)의 타단은 후방 작업대(60)의 하부에 설치되되 양측면으로 돌출된 구동바퀴(80)의 회전축(81)과 연결되어, 모터(30)의 회전력으로 구동바퀴(80)가 구동되되, 구동바퀴(80)는 롤러 형상이며, 또한 전방 하면 양측에는 각각 바퀴(50)가 부착되되 캐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대(60)의 중심부에는 턴테이블(9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60)의 전면에는 손잡이봉(61)의 양단이 결합되어 있어서, 손잡이봉(61)을 작업자가 잡고서 들어올려 물건 이송 대차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발명 물건 이송 대차 사진, 도 2는 본발명 물건 이송 대차 반대각도에서의 사진, 도 3은 본발명 물건 이송 대차의 전달축 부분 사진, 도 4는 본발명 물건 이송 대차 사진, 도 5는 본발명 물건 이송 대차 턴테이블 하부 사진, 도 6은 본발명 물건 이송 대차 하부 롤러형상 바퀴 사진, 도 7은 본발명 물건 이송 대차 뒤집은 상태의 하부 롤러형상 바퀴 상세 사진, 도 8은 본발명 물건 이송 대차 하부 캐스터 사진, 도 9는 본발명 물건 이송 대차에 롤러자석이 결합된 도면이다.
본발명 물건 이송 대차는 작업장내에서 물건을 근거리내에서 이동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모터로 구동되는 물건 이송 대차이다. 상기 물건 이송 대차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 위에 설치되되 밧데리(20)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30)와, 상기 모터(3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축(40)과, 상기 구동축(40)에 연결되어 전후진으로 이동되는 바퀴(50)와, 상기 프레임(10) 후방에 위치하며 물건을 안치하는 작업대(6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의 우측 전방에 밧데리(20)가 설치되고 좌측 전방에는 모터(30)가 설치되며, 상기 모터(30)에 연결된 구동축(40)의 끝단에는 구동기어(11)가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에는 전달축(12)의 일단에 부착된 피동기어(13)가 접촉되어, 동력이 구동축에서 전달축으로 전달되며 상기 전달축(12)의 타단에는 체인(70) 일단이 결합된다. 그리고 체인(70)의 타단은 후방 작업대(60)의 하부에 설치되되 양측면으로 돌출된 구동바퀴(80)의 회전축(81)과 연결되어, 체인(70) 일단이 결합되며 체인(70)의 타단은 후방 작업대(60)의 하부에 설치되되 양측면으로 돌출된 구동바퀴(80)의 회전축(81)과 연결된다. 그러므로 모터(30)의 회전력으로 구동바퀴(80)가 구동되되, 구동바퀴(80)는 롤러 형상이며, 다수 개가설치된다. 그리고 회전축을 여러 개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구동바퀴 회전축 양단에 구동바퀴가 장착되고 각각의 회전축 중간에 각각 연결기어(82)가 설치된다. 각 구동바퀴 회전축 사이에는 연결축이 나란히 설치되고, 상기 연결축 중앙에는 전달기어(83)이 설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회전축을 인접하게 설치하면 제1, 2, 3...순으로 연결기어와 전달기어가 각각 접촉하여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체인은 제1회전축에만 연결된다. 또한 전방하면 양측에는 각각 바퀴(50)가 부착되되 관용의 캐스터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60)의 중심부에는 턴테이블(90)이 설치되어 좁은 지역에서는 턴테이블이 회전되어 턴테이블위에 놓인 물건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턴테이블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턴테이블판과 작업대 사이에 다수개의 볼베어링이 삽입되어 있어서,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턴테이블판은 중심축 하단부에 지지판이 설치되어, 상기 지지판이 작업대면에서 상부로 이탈되지 않게 하며, 회전만이 될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턴테이블 상면에는 별개의 고정판이 용접 또는 볼트너트 체결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고정판은 표면에 다수 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 내부에는 롤러자석이 결합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운반할 물건이 자석에 붙는 철물일 경우 자석에 의해 운반시 떨어지지 않게 하는 장점이 있다. 롤러자
석은 자석케이스 내부에 단면이 원형이고, 길이가 긴 원통형의 영구자석이 움직일 수 있게 내장한 것이다.롤러자석은 상대 물체의 자석 극성이 N, S 극중 어떤 극을 띄더라도, 롤러 자석이 자석케이스 내부에서 회전하여 대향되는 S, N극쪽으로 변할 수 있으므로, 롤러 자석과 상대 물체간에 척력이 발생되지 않고 인력만이 발생되어 용이하게 부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프레임(60)의 전면에는 철재 손잡이봉(61)의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있어서, 손잡이봉(61)을 작업자가 잡고서 들어올려 물건 이송 대차의 방향을 바꿀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발명은 작업장내에서 물건을 근거리내에서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동시키며 턴테이블에 의해 방향을 쉽게 바꿀 수 있으며 고장이 없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0 및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막 형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12 및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막 형성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측면도이다. 도 10내지 도 1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막 형성 장치(100)는 대상표면에 도료를 분사하기 위한 장치로, 바디부(110), 분사부(120), 이동지지부(130) 및 승강부(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상표면은 플랜트 설비의 가동 시 발생되는 폐수를 저장하기 위한 폐수 처리용 수조의 내면일 수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료의 분사에 의해 표면을 도포할 필요가 있는 모든 설비의 일면 또는 그림, 문자, 기호, 로고 등의 각종 이미지를 인쇄할 필요가 있는 건축물의 일면일 수도 있다. 상기 보호막 형성 장치(100)에 의해 분사되는 도료는 상기 폐수 처리용 수조를 방수 처리하기 위한 방수용 도료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색상의 잉크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막 형성 장치(100)는 대상표면에 물 또는 세척제 등을 포함하는 액체를 분사하여 상기 대상표면을 자동을 세척할 수 있는 일종의 자동 세척 장치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막 형성 장치(100)에 포함되는 각종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바디부(110)는 상기 분사부(120), 이동지지부(130) 및 승강부(140)를 지지하는 동시에 이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일종의 차체로, 직선 이동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1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바퀴(112)의 회전에 의해 위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0)는 위치 이동을 위한 각종의 구성요소, 예를 들면, 모터, 복수의 기어, 조향 장치 등이 위치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분사부(120)에 의한 도료 분사에 필요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부, 상기 압축 공기부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부, 상기 압축 공기부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부, 도포 공정이 완료된 후 분사부(120)에 남아 있는 잔류 도료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 탱크 등이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상기 바디부(110)는 소정의 부피를 차지할 수 밖에 없어 소정의 높이를 가질 수 밖에 없다. 상기 분사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료가 저장된 됴료 저장부로부터 상기 도료가 공급되어 고압으로 상기 도료를 대상표면에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분사부(120)를 통한 상기 도료의 분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분사력을 제공하는 상기 압축 공기부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압축공기의 압력은 압력조절부에 의해 조절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분사부(120)를 통한 상기 도료의 분사력도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료 저장부로부터 상기 분사부(120)로 공급되는 상기 도료는 수분제거부에 의해 수분이 제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분사부(120)로부터 분사되는 상기 도료는 상기 대상표면으로부터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호막 형성 장치(1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상기 도료에 의한 도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항온 및/또는 항습 기능 등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항온 기능은 상기 노즐의 주변에 위치하여 상기 노즐의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센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항습 기능은 상기 노즐의 주변에 위치하여 상기 노즐의 주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감지 센서에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온도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노즐의 주변의 온도가 비정상적인 상태임이 감지되면, 상기 노즐의 주변의 온도가 정상 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냉각수단 또는 발열수단이 동작될 수 있으며, 상기 냉각수단 또는 상기 발열수단은 공지의 수단, 예를 들어, 펠티어 소자 등의 열전 소자, 방열소자, 팬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습도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노즐의 주변의 습도가 비정상적인 상태임이 감지되면, 상기 노즐의 주변의 습도가 정상 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제습수단 또는 가습수단이 동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제습수단 또는 상기 가습수단은 공지의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항온 기능 및/또는 상기 항습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는 미도시된 제어부에 의해 자
동적으로 실시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동지지부(130)는 상기 분사부(120)가 장착되어 상기 분사부(120)의 위치 이동을 지지하는 구성요소로, 상기 분사부(120)가 좌우방향(D1)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분사부(120)를 지지하는 좌우방향이동지지부(132) 및 상기 좌우방향이동지지부(132)가 상하방향(D2)으로 이동되어 상기 분사부(120)가 상기 상하방향(D2)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좌우방향이동지지부(132)를 지지하는 상하방향이동지지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우방향이동지지부(132) 및 상기 상하방향이동지지부(134)는 일종의 트랙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며, 특정 구성요소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는 구성이면 모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분사부(120)는 상기 좌우방향이동지지부(132) 상에서 좌우방향(D1)으로 이동하면서 도료를 분사할 수 있으며, 상기 분사부(120)의 상기 좌우방향이동지지부(132)를 따른 이동은 미도시된 모터 등의 동력 제공부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각종 기어 등의 구성요소를 통해 동력이 전달되어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사부(120)가 상기 좌우방향이동지지부(132)를 따라 이동되기 위한 상기 동력 제공부의 동력 제공은 미도시된 제어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좌우방향이동지지부(132)는 상기 상하방향이동지지부(134) 상에서 상하방향(D2)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분사부(120)는 상하방향(D2)으로 이동하면서 도료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좌우방향이동지지부(132)의 상기 상하방향이동지지부(134)를 따른 이동은 미도시된 모터 등의 동력 제공부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각종 기어 등의 구성요소를 통해 동력이 전달되어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좌우방향이동지지부(132)가 상기 상하방향이동지지부(134)를 따라 이동되기 위한 상기 동력 제공부의 동력 제공은 미도시된 제어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지지부(130)는 상기 상하방향이동지지부(134)가 장착되어 상기 상하방향이동지지부(134)를 지지하는 이동프레임(136)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프레임(136)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136a) 및 수직부(136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이동프레임(136)은 반드시 수평부(136a) 및 수직부(136b)로 구현될 필요는 없으며, 수직부(136b)가 제거된 채 수평부(136a) 만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이동프레임(136)은 바디부(110)를 기준으로 전후방향(D3)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승강부(140)가 연결되는 지지프레임(138)을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전후방향(D3)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이동프레임(136)이 전후방향(D3)으로 이동되는 경우 분사부(120)도 전후방향(D3)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프레임(136)의 전후방향(D3)으로의 이동은 전후방향이동동력제공부(150)에 의해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구현될 수 있으며, 각종 기어 등의 구성요소를 통해 상기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전후방향이동동력제공부(150)의 동력 제공은 미도시된 제어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38)은 상기 이동프레임(136)의 이동을 위한 각종의 구성요소, 예를 들면, 모터 및 복수의 기어 등이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사부(120)의 전후방향(D3)으로의 이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프레임(136)의 전후방향(D3)으로의 이동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분사부(120) 자체가 상기 이동지지부(130)를 기준으로 전후방향(D3)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분사부(120)가 좌우방향이동지지부(132)로부터 전후방향(D3)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좌우방향이동지지부(132)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승강부(140)는 상기 바디부(110)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지지부(130)를 승강시킬 수 있는 구성요소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저스 타입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승강을 위한 구조물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승강부(140)는 유압식 또는 공압식 구조물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승강부(140)는 상기 분사부(120)로부터 분사되는 도료에 의해 대상표면의 제1 기준선으로부터 상기 제1 기준선의 상측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대상표면의 제1 영역이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140)의 승강을 위한 동력 제공은 미도시된 모터 등의 동력 제공부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각종 기
어 등의 구성요소를 통해 동력이 전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부(140)와 관련한 동력 제공부는 바디부(110)에 수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디부(110) 상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상기 동력 제공부의 동력 제공은 제어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다만, 상기 승강부(140)가 유압식 또는 공압식 구조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상기 바디부(110)에 수용되거나 상기 바디부(110)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지지부(130)는 상기 분사부(120)로부터 분사되는 상기 도료에 의해 상기 대상표면의 제1 기준선으로부터 상기 제1 기준선의 하측 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대상표면의 제2 영역이 도포되도록, 상기 분사부(12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대상표면의 제1 기준선을 기준으로 한 도포의 원리 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막 형성 장치에 의해 대상표면이 도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막 형성 장치(100)에 의해 대상표면(S)이 도포되는 과정, 즉, 상기 보호막 형성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보호막 형성 장치(100)를 대상표면(S)을 기준으로 제1 위치에 위치시키는 제1 단계, 상기 보호막 형성 장치(100)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대상표면(S)으로부터 상기 분사부(1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제2 단계, 상기 분사부(120)로부터 상기 대상표면(S)에 상기 도료를 분사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바디부(110)를 이동시켜 상기 보호막 형성 장치(100)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로 하여 각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0내지 도 13를 참조로 설명한 보호막 형성 장치(100)를 도포가 필요한 대상표면을 기준으로 제1 위치에 위치시키는 제1 단계가 진행된다. 여기서, 상기 보호막 형성 장치(100)의 상기 제1 위치로의 이동은 전자단말기 또는 컴퓨터 등으로부터의 무선 통신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보호막 형성 장치(100)는 통신을 위한 통신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보호막 형성 장치(100)의 상기 제1 위치로의 이동은 전술한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구현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보호막 형성 장치(100)의 상기 제1 위치로의 이동은 제어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보호막 형성 장치(100)는 자동 이동을 위한 각종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단계의 진행에 의해 상기 보호막 형성 장치(100)가 제1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보호막 형성 장치(100)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대상표면(S)으로부터 상기 분사부(1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제2 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대상표면(S)으로부터 상기 분사부(120) 사이의 거리 조절은 전자단말기 또는 컴퓨터 등으로부터의 무선 통신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보호막 형성 장치(100)는 대상표면(S)과 분사부(12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가 감지하는 결과값에 기초하여 제어부는 자동적으로 상기 분사부(1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대상표면(S)으로부터의 상기 분사부(120) 사이의 거리 조절은 지지프레임(138)을 기준으로 한 이동프레임(136)의 전후방향(D3)으로의 이동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분사부(120)가 상기 좌우방향이동지지부(132) 상에서 전후방향(D3)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현되는 경우에는 상기 분사부(120) 자체의 이동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대상표면(S)으로부터의 상기 분사부(120) 사이의 거리 조절은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촬상 장치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등을 기초로 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상기 분사부(12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7을 참조하면, 제2 단계에 의해 분사부(120)와 대상표면(S)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면, 상기 분사부(120)로부터 상기 대상표면(S)에 상기 도료를 분사하는 제3 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분사부(120)는 좌우방향이동지지부(132)를 따라 좌우방향(D1)으로 이동되면서 도료를 분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분사부(120)에 의한 도료의 분사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상표면(S)의 제1 기준선으로부터 상기 제1 기준선의 하측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대상표면(S)의 제2 영역이 상기 대상표면(S)의 제1 기준선으로부터 상기 제1 기준선의 상측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대상표면(S)의 제1 영역보다 먼저 도포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분사부(120)에 의한 도료의 분사는 상기 승강부(140)가 상기 바디부(110) 상에서 최저로 하강되고 상기 분사부(120)가 상기 이동지지부(130) 상에서 최저로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분사부(120)를 상기 이동지지부(130) 상에서 상승시키면서 상기 제2 영역이 도포되도록 한 후, 상기 바디부(110) 상에서 상기 승강부(140)를 승강시키면서 상기 제1 영역이 도포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 기준선은 상기 승강부(140)가 상기 바디부(110) 상에서 최저로 하강된 상태에서의 상기 분사부(120)의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기준선은 상기 분사부(120)가 상기 이동지지부(130) 상에서 최고로 상승된 상태에서의 상기 분사부(120)의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제1 기준선은 상기 대상표면(S)을 기준으로 상기 바디부(110)의 높이와 상기 승강부(140)가 상기 바디부(110)상에서 최저로 하강된 상태의 높이의 합과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상기 분사부(120)는 좌우방향이동지지부(132)가 상하방향이동지지부(134)를 기준으로 최저로 하강된 상태에서 좌우방향이동지지부(132)를 따라 좌우방향(D1)으로 이동하면서 대상표면에 도료를 분사하게 되며, 이후에는 상기 좌우방향이동지지부(132)가 상기 상하방향이동지지부(134)를 따라 상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분사부(120)가 좌우방향(D1)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대상표면(S)에 도료를 분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좌우방향이동지지부(132)가 상기 상하방향이동지지부(134)를 기준으로 최고
로 상승되어 상기 분사부(120)가 상기 이동지지부(130) 상에서 최고로 상승된 상태가 되면, 상기 대상표면(S)의 제2 영역은 도포가 완료하게 된다. 상기 대상표면(S)의 제2 영역의 도포가 완료되면, 이후에는 승강부(140)가 작동하게 되며, 승강부(140)의 상승과 함께 분사부(120)의 좌우방향(D1)으로의 이동에 의해 상기 대상표면(S)의 제1 영역은 도포되게 되며, 결국, 상기 대상표면(S)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도포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호막 형성 장치(100)는 바디부(110)와 승강부(140) 등이 차지하고 있는 부피로 인한 높이에도 불구하고 대상표면(S)의 하측 영역 및 상측 영역을 불문하고 모든 영역을 도포할 수 있으며, 이는 이동지지부(130)가 상기 승강부(140) 및 상기 바디부(110) 중 적어도 하나의 전방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이동지지부(130)는 상기 승강부(140)가 상기 바디부(110) 상에서 최저로 하강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승강부(140) 및 상기 바디부(110) 중 적어도 하나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좌우방향이동지지부(132)가 상기 바디부(110)의 하측까지 하강되어 분사부(120)도 상기 바디부(110)의 하측까지 하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분사부(120)는 상기 이동지지부(130)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이동지지부(130)의 전방에서 모든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지지부(130)의 전방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노즐에 대한 분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상기 대상표면(S)이 천장면이거나 바닥면 등 굴곡진 면일지라도 균일한 도포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또한, 상하방향이동지지부(134)를 수평부(136a)까지 연장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천장면도 상기 분사부(120)에 의해 도포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분사부(120)에 의한 도료의 분사는 상기 바디부(110) 상에서 상기 승강부(140)를 승강시키거나 상기 이동지지부(130) 상에서 상기 분사부(120)를 승강시키는 도중에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대상표면(S)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도포가 완료되면, 상기 보호막 형성 장치(100)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과 이웃하는 영역을 도포하기 위해 위치 이동되는 제4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승강부(140)가 상기 바디부(110) 상에서 최저로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110)를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만약 상기 승강부(140)가 상기 바디부(110) 상에서 상승된 채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게 되면 전복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승강부(140)는 상기 바디부(110)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바디부(110)에 그라인딩을 위한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바디부(110)에 그라인딩 공정, 도포 공정 등 다양한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지지부(130)는 상기 승강부(14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승강부(140)에 그라인딩을 위한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동지지부(130)는 지지프레임(138)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는 상기 분사부(120)에 의해 분사되는 도료에 의해 대상표면(S)의 제2 영역이 상기 대상표면(S)의 제1 영역보다 먼저 도포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제2 영역보다 우선적으로 도포되어도 무방하며, 특정 영역이 복수 회 도포되어도 무방한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막 형성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8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물건 이송 대차 제작방법으로서, 물건이송 대차는 프레임(10)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10)에 모터(30)와, 상기 모터(3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축(40)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10)에 상기 구동축(40)에 연결되어 이동되는 바퀴(50)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10) 후방에 물건을 안치하는 작업대(60)를 구비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대(60)에 턴테이블(90)을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상기 물건 이송 대차는, 적어도 일부 조립된 상태에서 보호막 형성 장치(100)를 통하여 표면에 보호막 처리가 수행되거나, 상기 바퀴(50), 상기 작업대(60) 및 상기 턴테이블(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보호막 형성 장치(100)를 통하여 표면에 보호막 처리가 수행된다.
상기 보호막 형성 장치(100)는, 바디부(110)와, 도료를 분사하기 위한 제1 분사부(120a)와, 상기 제1 분사부(120a)가 장착되어 상기 제1 분사부(120a)의 위치 이동을 위한 제1 가동부(132a)와, 상기 제1 가동부(132a)가 구비되는 제3 가동부(134)와 , 상기 제3 가동부(134)가 구비되는 수직부(136b)와, 상기 수직부(136b)와 연장되는 수평부(136a)가 구비되는 이동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가동부(134)는 내부에 홈이 형성된 링(ring) 형상체로서 상기 수직부(136b)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가동부(132a)는 내부에 홈이 형성된 바(bar) 형상체로서 상기 제3 가동부(134)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 분사부(120a)는, 상기 제1 가동부(132a)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유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물건 이송 대차는 바닥부(110)의 하부에 다수의 지지물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물은, 상기 바닥부(110)의 하부에 연동되는 제1 패널부(211)와, 상기 제1 패널부(211) 하방에 구비되는 제2 패널부(221)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패널부(211)와 상기 제2 패널부(221) 사이 각 엣지부에는 상기 제1 패널부(211)과 상기 제2 패널부(221)을 상호 결속시키는 다수의 받침체(212, 213, 214)가 구비되며, 상기 받침체(212, 213, 214)들 사이에는 각각 유동체(222)가 구비되며, 상기 유동체(222)는, 수평방향에서 일정범위로 회전힘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되어, 양측에 위치한 상기 각 받침체(212, 213, 214)를 가압한다.
상기 제1 가동부(132a) 및 상기 제2 가동부(132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부에서 소정의 절개홈(미도시)을 매개로 상기 제1 분사부(120a)와 접촉 연동되는 제1 연동부(161)와, 제1 연동바(162)를 매개로 상기 제1 연동부(161)를 구동시키는 제1 구동부(163)를 포함하는 제1 구동부재(16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연동부(161)는, 상기 제1 가동부(132a)에서 회전 유동 또는 미끄럼 마찰 유동을 위하여 롤러 형상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연동부(161)는 상기 제1 연동바(162)를 매개로 상기 제1 연동부(161)를 구동시키며, 상기 제1 연동부(161)는, 회전 유동 되도록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 연동바(162)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20은 도 18에 따른 보호막 형성 장치의 변형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 내지 도 29는 도 20에 따른 구성 및 각 구성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
도 20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제3 가동부(134)에서 상기 제1 가동부(132a)와 대칭형으로 마주하도록 상기 제3 가동부(134)에 구비되는 제2 가동부(132b)가 구비되며, 상기 제2 가동부(132b)는 제2 분사부(120b)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가동부(132a)와 상기 제2 가동부(132b)는 상기 제3 가동부(134)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며 각각 상기 제1 제1 분사부(120a)와 상기 제2 분사부를 통해 대상물에 대한 유체 분사를 수행한다.
상기 제1 가동부(132a)는, 일측에 제1-1 수평구간(se11)과, 타측에 제1-2 수평구간(se12)과, 상기 제1-1 수평구간(se11)과 상기 제1-2 수평구간(se12) 사이에 구비되며 상방으로 라운드지는 제1 절곡구간(se13)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부(120a)는 상기 제1-1 수평구간(se11) 내지 상기 제1-2 수평구간(se12)을 왕복 유동한다.
상기 제2 가동부(132b)는, 일측에 제2-1 수평구간(se21)과, 타측에 제2-2 수평구간(se22)과, 상기 제2-1 수평구간(se21)과 상기 제2-2 수평구간(se22) 사이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라운드지는 제2 절곡구간(se23)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분사부(120b)는 상기 제2-1 수평구간(se21) 내지 상기 제2-2 수평구간(se22)을 왕복 유동한다.
상기 제1 가동부(132a)는, 일측에 제1-1 수평구간(se11)과, 타측에 제1-2 수평구간(se12)과, 상기 제1-1 수평구간(se11)과 상기 제1-2 수평구간(se12) 사이에 구비되며 상방으로 라운드지는 제1 절곡구간(se13)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부(120a)는 상기 제1-1 수평구간(se11) 내지 상기 제1-2 수평구간(se12)을 왕복 유동한다. 상기 제2 가동부(132b)는, 일측에 제2-1 수평구간(se21)과, 타측에 제2-2 수평구간(se22)과, 상기 제2-1 수평구간(se21)과 상기 제2-2 수평구간(se22) 사이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라운드지는 제2 절곡구간(se23)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분사부(120b)는 상기 제2-1 수평구간(se21) 내지 상기 제2-2 수평구간(se22)을 왕복 유동한다.
상기 제1 가동부(132a)는, 중앙의 제1-1 가동부(SP11)와, 상기 제1-1 가동부와 연동되는 일측의 제1-2 가동부(SP12)와, 상기 제1-1 가동부와 연동되는 타측의 제1-3 가동부(SP13)가 구비된다. 상기 제1-1 가동부(SP11)와 상기 제1-2 가동부(SP12)는, 상기 제1-1 가동부(SP11)에 제1 삽입홈(H1)이 구비되며, 상기 제1-2 가동부(SP12)는 제1 삽입체(T1)가 구비되어, 상기 제1-1 가동부(SP11)가 일점 범위 회동 가능하에 축결합된다. 상기 제1-1 가동부(SP11)와 상기 제1-3 가동부(SP13)는, 상기 제1-1 가동부(SP11)에 제2 삽입홈(H2)이 구비되며, 상기 제1-3 가동부(SP13)는 제2 삽입체(T2)가 구비되어, 상기 제1-1 가동부(SP11)가 일점 범위 회동 가능하에 축결합되며, 상기 제1-1 가동부(SP11)는 회동에 기반하는 회동형 유체 분사가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 가동부(132b)는, 중앙의 제2-1 가동부(SP21)와, 상기 제2-1 가동부와 연동되는 일측의 제2-2 가동부(SP22)와, 상기 제2-1 가동부와 연동되는 타측의 제2-3 가동부(SP23)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가동부(SP21)와 상기 제2-2 가동부(SP22)는, 상기 제2-2 가동부(SP22)에 제1 슬이딩홈(SH1)이 구비되며, 상기 제2-1 가동부(SP21)는 제1 슬라이딩 삽입체(SP21)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가동부(SP21)와 상기 제2-3 가동부(SP23)는, 상기 제2-3 가동부(SP23)에 제2 슬이딩홈(SH2)이 구비되며, 상기 제2-1 가동부(SP21)는 제2 슬라이딩 삽입체(SP22)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가동부(SP21)는 상기 제2-2 가동부(SP22)와 상기 제2-3 가동부(SP23)에서의 슬라이딩 방식 유동에 기반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1 가동부(SP21)는 전후 이동에 기반하는 진퇴형 유체 분사가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연동바(162)는, 상기 제1 연동부(161) 인접부에 소정의 장애물 감지를 위한 대상물 감지센서부(SM)가 구비되어, 이동방향에 장애물을 감지하면 대상물 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1 구동부(163)는, 상기 대상물 감지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연동바(162)의 높이를 상승 시키도록 구동된다.
상기 제1 가동부(132a)는, 상기 수직부(136b)에 제1 회전축(b1)을 매개로 상기 수직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동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직부(136b)에는 상기 제1 회전축(b1)이 연동되는 제1 틸트모듈(TM1)이 구비되어, 상기 제1 회전축(b1)을 틸트시켜 상기 제1 가동부(132a)를 상하 유동시킨다. 상기 제2 가동부(132b)는, 상기 수직부(136b)에 제2 회전축(b2)을 매개로 상기 수직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동되어 구비되며, 상기 수직부(136b)에는 상기 제2 회전축(b2)이 연동되는 제2 틸트모듈(TM2)이 구비되어, 상기 제2 회전축(b2)을 틸트시켜 상기 제2 가동부(132b)를 상하 유동시킨다.
상기 제1 회전축(b1)은, 소정의 제1 결속모듈(LM1)을 매개로 상기 제1 틸트모듈(TM1)측에 구비되는 제1-1 회전축(b11)과, 상기 제1 결속모듈(LM1)을 매개로 상기 제1 가동부(132a)측에 구비되는 제1-2 회전축(b1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결속모듈(LM1)은, 상기 제1-2 회전축(b12)의 유동에 기반하여 유동되되, 상기 제1-1 회전축(b11)을 상하 방향으로 틸트 유동시킨다.
상기 제2 회전축(b2)은, 소정의 제2 결속모듈(LM2)을 매개로 상기 제2 틸트모듈(TM2)측에 구비되는 제2-1 회전축(b21)과, 상기 제2 결속모듈(LM2)을 매개로 상기 제2 가동부(132b)측에 구비되는 제2-2 회전축(b22)이 구비된다. 상기 제2 결속모듈(LM2)은, 상기 제2-2 회전축(b22)의 유동에 기반하여 유동되되, 상기 제2-1 회전축(b21)을 전후 방향으로 진퇴 유동시킨다.
상기 제1 가동부(132a)와 상기 제2 가동부(132b) 사이에 구비되는 제1 연결모듈(BM1)과, 제2 연결모듈(BM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모듈(BM1)은, 일측에 구비되는 제1 구동수단(BM11)과, 상기 제1 구동수단(BM11)의 상부에서 상기 제1 가동부(132a)에 결속되는 제1-1 접촉수단(BM12)과, 상기 제1 구동수단(BM11)의 하부에서 상기 제2 가동부(132b)에 결속되는 제1-2 접촉수단(BM13)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연결모듈(BM2)은, 일측에 구비되는 제2 구동수단(BM21)과, 상기 제2 구동수단(BM21)의 상부에서 상기 제1 가동부(132a)에 결속되는 제제2-1 접촉수단(BM21)과, 상기 제2 구동수단(BM21)의 하부에서 상기 제2 가동부(132b)에 결속되는 제2-2 접촉수단(BM23)을 포함한다. 상기 제1-1 접촉수단(BM12)과 상기 제1-2 접촉수단(BM13)은 상기 제1 구동수단(BM11)으로부터 일정범위로 진퇴 유동되고, 상기 제2-1 접촉수단(BM22)과 상기 제2-2 접촉수단(BM23)이 상기 제2 구동수단(BM21)으로부터 일정범위로 진퇴 유동되어, 상기 제1 가동부(132a)와 상기 제2 가동부(132b) 상호 간의 간격이 조정된다.
상기 제1 구동수단(BM11)은, 상기 제1-1 접촉수단(BM12)과 상기 제1-2 접촉수단(BM13) 왕복 유동시켜, 상기 제1 분사부(120a) 및 상기 제2 분사부(120b)의 분사 동작을 가변시킨다. 상기 제2 구동수단(BM21)은, 상기 제2-1 접촉수단(BM21)과 상기 제2-2 접촉수단(BM23) 왕복 유동시켜, 상기 제1 분사부(120a) 및 상기 제2 분사부(120b)의 분사 동작을 가변시킨다. 상기 제1 연결모듈(BM1)과 타측의 제2 연결모듈(BM2)은 상호 교대로 승강과 하강 되도록 제1 모드로 구동되도록 하거나, 일측의 상기 제1 연결모듈(BM1)과 타측의 제2 연결모듈(BM2)이 상호 동시적으로 승강과 하강 되도록 제2 모드로 구동되도록 한다.
상기 제1 연결모듈(BM1)과 상기 제2 연결모듈(BM2) 사이에 구비되는 고정바(LB)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바(LB)는, 상기 제1 구동수단(BM11)과 상기 제2 구동수단(BM21) 사이에 결속되며, 상기 제1 가동부(132a) 및 상기 제2 가동부(132b)의 일측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제1 감지부(SM1)와, 상기 제1 가동부(132a) 및 상기 제2 가동부(132b)의 타측에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제2 감지부(SM2)와, 상기 제1 감지부(SM1)와 상기 제2 감지부(SM2) 사이에서 상기 제1 가동부(132a) 및 상기 제2 가동부(132b)에 대향하도록 구비되는 제3 감지부(SM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감지부(SM1)는, 상기 제1 가동부(132a)의 상기 제1-1 가동부(SP11)와 상기 제2-1 가동부(SP21) 상호간의 이격거리를 감지하여 제1 감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감지부(SM2)는, 상기 제1 가동부(132a)의 상기 제1-2 가동부(SP12)와 상기 제2-2 가동부(SP22) 상호간의 이격거리를 감지하여 제2 감지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제3 감지부(SM3)는, 상기 제1 가동부(132a)의 상기 제1-3 가동부(SP13)와 상기 제2-3 가동부(SP23) 상호간의 이격거리를 감지하여 제3 감지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1 가동부(132a)와 상기 제2 가동부(132b)의 동작상태가 별도 제어수단에 의하여 감시된다.
한편, 전술한 내용에 기반하는 물건 이송 대차의 가공시스템은, 상기 물건이송 대차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모터(30)와, 상기 모터(3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축(40)과, 상기 프레임(10)에 상기 구동축(40)에 연결되어 이동되는 바퀴(50)와, 상기 프레임(10) 후방에 물건을 안치하는 작업대(60) 및 상기 작업대(60)에 턴테이블(90)을 포함한다. 상기 물건 이송 대차는, 적어도 일부 조립된 상태에서 보호막 형성 장치(100)를 통하여 표면에 보호막 처리가 수행되거나, 상기 바퀴(50), 상기 작업대(60) 및 상기 턴테이블(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보호막 형성 장치(100)를 통하여 표면에 보호막 처리가 수행되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보호막 형성 장치
110: 바디부
120: 분사부

Claims (12)

  1. 물건 이송 대차의 가공시스템으로서,
    상기 물건이송 대차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모터(30)와, 상기 모터(3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축(40)과, 상기 프레임(10)에 상기 구동축(40)에 연결되어 이동되는 바퀴(50)와, 상기 프레임(10) 후방에 물건을 안치하는 작업대(60) 및 상기 작업대(60)에 턴테이블(90)을 포함하며,
    상기 물건 이송 대차는,
    적어도 일부 조립된 상태에서 보호막 형성 장치(100)를 통하여 표면에 보호막 처리가 수행되거나, 상기 바퀴(50), 상기 작업대(60) 및 상기 턴테이블(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보호막 형성 장치(100)를 통하여 표면에 보호막 처리가 수행되는 물건 이송 대차의 가공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 형성 장치(100)는,
    바디부(110)와, 도료를 분사하기 위한 제1 분사부(120a)와, 상기 제1 분사부(120a)가 장착되어 상기 제1 분사부(120a)의 위치 이동을 위한 제1 가동부(132a)와, 상기 제1 가동부(132a)가 구비되는 제3 가동부(134)와, 상기 제3 가동부(134)가 구비되는 수직부(136b)와, 상기 수직부(136b)와 연장되는 수평부(136a)가 구비되는 이동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가동부(134)는 내부에 홈이 형성된 링(ring) 형상체로서 상기 수직부(136b)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가동부(132a)는 내부에 홈이 형성된 바(bar) 형상체로서 상기 제3 가동부(134)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부(120a)는,
    상기 제1 가동부(132a)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물건 이송 대차의 가공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 가동부(134)에서 상기 제1 가동부(132a)와 대칭형으로 마주하도록 상기 제3 가동부(134)에 구비되는 제2 가동부(132b)가 구비되며,
    상기 제2 가동부(132b)는 제2 분사부(120b)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가동부(132a)와 상기 제2 가동부(132b)는 상기 제3 가동부(134)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며 각각 상기 제1 제1 분사부(120a)와 상기 제2 분사부를 통해 대상물에 대한 유체 분사를 수행하는 물건 이송 대차의 가공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부(132a)는,
    일측에 제1-1 수평구간(se11)과, 타측에 제1-2 수평구간(se12)과, 상기 제1-1 수평구간(se11)과 상기 제1-2 수평구간(se12) 사이에 구비되며 상방으로 라운드지는 제1 절곡구간(se13)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분사부(120a)는 상기 제1-1 수평구간(se11) 내지 상기 제1-2 수평구간(se12)을 왕복 유동하며,
    상기 제2 가동부(132b)는,
    일측에 제2-1 수평구간(se21)과, 타측에 제2-2 수평구간(se22)과, 상기 제2-1 수평구간(se21)과 상기 제2-2 수평구간(se22) 사이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라운드지는 제2 절곡구간(se23)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분사부(120b)는 상기 제2-1 수평구간(se21) 내지 상기 제2-2 수평구간(se22)을 왕복 유동하는 물건 이송 대차의 가공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물건 이송 대차는
    바닥부(110)의 하부에 다수의 지지물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물은,
    상기 바닥부(110)의 하부에 연동되는 제1 패널부(211)와,
    상기 제1 패널부(211) 하방에 구비되는 제2 패널부(221)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패널부(211)와 상기 제2 패널부(221) 사이 각 엣지부에는 상기 제1 패널부(211)과 상기 제2 패널부(221)을 상호 결속시키는 다수의 받침체(212, 213, 214)가 구비되며,
    상기 받침체(212, 213, 214)들 사이에는 각각 유동체(222)가 구비되며,
    상기 유동체(222)는,
    수평방향에서 일정범위로 회전힘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되어, 양측에 위치한 상기 각 받침체(212, 213, 214)를 가압하는 물건 이송 대차의 가공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부(132a)는,
    중앙의 제1-1 가동부(SP11)와,
    상기 제1-1 가동부와 연동되는 일측의 제1-2 가동부(SP12)와,
    상기 제1-1 가동부와 연동되는 타측의 제1-3 가동부(SP13)가 구비되며,
    상기 제1-1 가동부(SP11)와 상기 제1-2 가동부(SP12)는,
    상기 제1-1 가동부(SP11)에 제1 삽입홈(H1)이 구비되며, 상기 제1-2 가동부(SP12)는 제1 삽입체(T1)가 구비되어, 상기 제1-1 가동부(SP11)가 일점 범위 회동 가능하에 축결합되며,
    상기 제1-1 가동부(SP11)와 상기 제1-3 가동부(SP13)는,
    상기 제1-1 가동부(SP11)에 제2 삽입홈(H2)이 구비되며, 상기 제1-3 가동부(SP13)는 제2 삽입체(T2)가 구비되어, 상기 제1-1 가동부(SP11)가 일점 범위 회동 가능하에 축결합되며,
    상기 제1-1 가동부(SP11)는 회동에 기반하는 회동형 유체 분사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물건 이송 대차의 가공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동부(132b)는,
    중앙의 제2-1 가동부(SP21)와,
    상기 제2-1 가동부와 연동되는 일측의 제2-2 가동부(SP22)와,
    상기 제2-1 가동부와 연동되는 타측의 제2-3 가동부(SP23)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가동부(SP21)와 상기 제2-2 가동부(SP22)는,
    상기 제2-2 가동부(SP22)에 제1 슬이딩홈(SH1)이 구비되며, 상기 제2-1 가동부(SP21)는 제1 슬라이딩 삽입체(SP21)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가동부(SP21)와 상기 제2-3 가동부(SP23)는,
    상기 제2-3 가동부(SP23)에 제2 슬이딩홈(SH2)이 구비되며, 상기 제2-1 가동부(SP21)는 제2 슬라이딩 삽입체(SP22)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가동부(SP21)는 상기 제2-2 가동부(SP22)와 상기 제2-3 가동부(SP23)에서의 슬라이딩 방식 유동에 기반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1 가동부(SP21)는 전후 이동에 기반하는 진퇴형 유체 분사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물건 이송 대차의 가공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부(132a) 및 상기 제2 가동부(132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부에서 소정의 절개홈(미도시)을 매개로 상기 제1 분사부(120a)와 접촉 연동되는 제1 연동부(161)와, 제1 연동바(162)를 매개로 상기 제1 연동부(161)를 구동시키는 제1 구동부(163)를 포함하는 제1 구동부재(160)가 구비되는 물건 이송 대차의 가공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동부(161)는,
    상기 제1 가동부(132a)에서 회전 유동 또는 미끄럼 마찰 유동을 위하여 롤러 형상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연동부(161)는 상기 제1 연동바(162)를 매개로 상기 제1 연동부(161)를 구동시키며,
    상기 제1 연동부(161)는,
    회전 유동 되도록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 연동바(162)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물건 이송 대차의 가공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동바(162)는,
    상기 제1 연동부(161) 인접부에 소정의 장애물 감지를 위한 대상물 감지센서부(SM)가 구비되어, 이동방향에 장애물을 감지하면 대상물 감지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1 구동부(163)는,
    상기 대상물 감지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연동바(162)의 높이를 상승 시키도록 구동되는 물건 이송 대차의 가공시스템.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부(132a)는,
    상기 수직부(136b)에 제1 회전축(b1)을 매개로 상기 수직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동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직부(136b)에는 상기 제1 회전축(b1)이 연동되는 제1 틸트모듈(TM1)이 구비되어, 상기 제1 회전축(b1)을 틸트시켜 상기 제1 가동부(132a)를 상하 유동시키며,
    상기 제2 가동부(132b)는,
    상기 수직부(136b)에 제2 회전축(b2)을 매개로 상기 수직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동되어 구비되며,
    상기 수직부(136b)에는 상기 제2 회전축(b2)이 연동되는 제2 틸트모듈(TM2)이 구비되어, 상기 제2 회전축(b2)을 틸트시켜 상기 제2 가동부(132b)를 상하 유동시키는 물건 이송 대차의 가공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b1)은,
    소정의 제1 결속모듈(LM1)을 매개로 상기 제1 틸트모듈(TM1)측에 구비되는 제1-1 회전축(b11)과,
    상기 제1 결속모듈(LM1)을 매개로 상기 제1 가동부(132a)측에 구비되는 제1-2 회전축(b1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결속모듈(LM1)은,
    상기 제1-2 회전축(b12)의 유동에 기반하여 유동되되,
    상기 제1-1 회전축(b11)을 상하 방향으로 틸트 유동시키는 물건 이송 대차의 가공시스템.
KR1020190154482A 2019-11-27 2019-11-27 물건 이송 대차의 제작시스템 KR102284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482A KR102284808B1 (ko) 2019-11-27 2019-11-27 물건 이송 대차의 제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482A KR102284808B1 (ko) 2019-11-27 2019-11-27 물건 이송 대차의 제작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573A true KR20210065573A (ko) 2021-06-04
KR102284808B1 KR102284808B1 (ko) 2021-08-02

Family

ID=76391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482A KR102284808B1 (ko) 2019-11-27 2019-11-27 물건 이송 대차의 제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48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0079A (ko) 2013-11-25 2015-06-03 (주)써포텍 흙막이 구조체
KR20160012422A (ko) * 2014-07-24 2016-02-03 김승수 물건이송대차
KR20190087151A (ko) * 2018-01-16 2019-07-24 주식회사 로보프린트 도료 분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89936B1 (ko) * 2019-09-10 2020-03-17 윤주희 물건 이송 대차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0079A (ko) 2013-11-25 2015-06-03 (주)써포텍 흙막이 구조체
KR20160012422A (ko) * 2014-07-24 2016-02-03 김승수 물건이송대차
KR20190087151A (ko) * 2018-01-16 2019-07-24 주식회사 로보프린트 도료 분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89936B1 (ko) * 2019-09-10 2020-03-17 윤주희 물건 이송 대차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4808B1 (ko) 202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12733A1 (en) Tracked climbing machine with compliant suspension apparatus
SI3071511T1 (en) Machine for mainly machine-picking of orders in warehouses
US20100212983A1 (en) Magnetic Coupling Mobile Robot
KR102185488B1 (ko) 선박 도장장치
CN110340868B (zh) 作业机构和自主移动搬运机器人
DE19614916A1 (de) Fahrroboter für die automatische Behandlung von Bodenflächen
US20200269641A1 (en) Mechanical Tire Lift
KR102089936B1 (ko) 물건 이송 대차 제작방법
CN108032277A (zh) 带有升降机构的机器人
CN111050619B (zh) 具有作业装置的全向移动的行驶平台
US20230166793A1 (en) Mobile transport system
KR102284808B1 (ko) 물건 이송 대차의 제작시스템
CN110576922B (zh) 一种带有匀速器的双脚行走机器人及其控制方法
EP3715313B1 (en) Compact omnidirectional autonomous drive unit
KR102490880B1 (ko) 도료 분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5182388A (ja) セル生産方法及びセル生産設備、並びに作業台車
JP5441403B2 (ja) 方向転換装置
Doroftei et al. Design and control of an omni-directional mobile robot
Chavan et al. Design of a Differential Drive Mobile Robot Platform for use in constrained environments
JP2023553969A (ja) ナビゲータ
CN207724289U (zh) 带有升降机构的机器人
CN107472798B (zh) 一种机架移动装置
RU2291811C2 (ru) Шасси мобиль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JPS6044062B2 (ja) 遠心鋳造管用中子の塗型装置
KR102140822B1 (ko) 유탕처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