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4875A -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 - Google Patents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4875A
KR20210064875A KR1020190153586A KR20190153586A KR20210064875A KR 20210064875 A KR20210064875 A KR 20210064875A KR 1020190153586 A KR1020190153586 A KR 1020190153586A KR 20190153586 A KR20190153586 A KR 20190153586A KR 20210064875 A KR20210064875 A KR 20210064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ckaging material
filler
present
fil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덕중
Original Assignee
(주)듀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듀페이스 filed Critical (주)듀페이스
Priority to KR1020190153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4875A/ko
Publication of KR20210064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2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 공기충진구를 포장재에 부착하여 공기주입이 가능하도록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공기의 충진을 용이하게 하고, 포장재의 밀봉을 유지하여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포장물품이 수용되는 포장재와, 상기 포장재의 내측 표면에 공기충진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 {Air filled packing material}
본 발명은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 공기충진구를 포장재에 부착하여 공기주입이 가능하도록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공기의 충진을 용이하게 하고, 포장재의 밀봉을 유지하여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물품을 수송할 때에는, 수송 중에 받을지도 모를 충격이나 진동 등으로부터 물품을 효율적으로 보호하기 위해서, 통상은 완충성을 가진 종이나 플라스틱 시트 등의 완충재를 이용해서 포장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물품이 움직이지 않는 충전물을 넣어서 포장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포장재의 완충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포장재의 외부에 합성수지 필름을 적용하고, 포장재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그 완충성을 향상시킨 공기충전형 포장재가 널리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공기충전형 포장재는 그 제조공정이 매우 번거로워 제조단가를 상승시키고, 공기의 주입이 용이하지 못하며, 또한 그 주입된 공기의 밀봉이 완벽하지 못하여 쉽게 누설되는 단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08-0089776호 공개특허 제10-2011-005630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충진구를 포장재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공기주입이 가능하도록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공기의 충진을 용이하게 하고, 포장재의 밀봉을 유지하여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순한 구성에 의해 공기 충진 시 사용되는 공기주입기에 의해 포장재나 물품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포장재에 공기충진구를 부착하여 공기를 주입하면 공기충진이 완료되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포장재 자체에 공기가 충전되어 물품을 보호하도록 함으로써 물품 포장 시 불필요한 공지의 공기충전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포장물품이 수용되는 포장재와, 상기 포장재의 내측 표면에 공기충진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공기충진구는 하부면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충진구는 일측에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에는 접착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충진구는 고무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충진구는 하부면에 경질재가 구비되고, 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공기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공기충진구의 플랜지 중심부에는 비접착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주입구를 포장재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공기주입이 가능하도록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공기의 충진을 용이하게 하고, 포장재의 밀봉을 유지하여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한 구성에 의해 공기 충진 시 사용되는 공기주입기에 의해 포장재나 물품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포장재에 공기충진구를 부착하여 공기를 주입하면 공기충진이 완료되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재 자체에 공기가 충전되어 물품을 보호하도록 함으로써 물품 포장 시 불필요한 공지의 공기충전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가 구비된 포장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가 구비된 포장재에 공기를 충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다른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의 여러 실시 예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가 구비된 포장재에 공기를 충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충진구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가 구비된 포장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가 구비된 포장재에 공기를 충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다른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의 여러 실시 예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가 구비된 포장재에 공기를 충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충진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공기충진구를 포장재에 부착하여 공기주입이 가능하도록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공기의 충진을 용이하게 하고, 포장재의 밀봉을 유지하여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10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포장물품이 수용되도록 공간부(112)가 형성된 포장재(110)와, 상기 포장재(110)의 표면에 구비되는 공기충진구(120)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포장재(110)는 내부에 포장물품이 수용되도록 공간부(112)가 형성되며, 포장물품을 수용한 이후 밀폐되도록 하여 포장물품의 이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포장재(110)는 비닐, 종이, 은박지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포장재(110)의 구성은 공지의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공기충진구(120)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어 상기 포장재(110)의 내측부 일측에 간편하게 부착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포장재(110)의 내측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기(200)가 용이하게 관통되고, 공기주입기(200)의 제거 시 밀폐가 될 수 있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공기충진구(120)는 점, 탄성이 있는 고무재질, 실리콘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고무재질, 실리콘 등의 합성수지 재질은 공기 주입시 공기주입기(200)에 의해 미세공이 형성되어도 점, 탄성에 의해 미세공이 밀폐되어 공기의 누설이 차단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래서, 공기주입용 바늘로 이루어지는 상기 공기주입기(200)가 상기 공기충진구(120)를 관통하여 포장재(110)의 내측에 공기를 주입한 후 공기주입기(200)를 제거하더라도 공기충진구(120)의 고무재질, 실리콘 등의 합성수지 재질의 특성에 따라 공기충진구(120)에 형성된 미세공을 통해서 포장재(110) 내측에 충전된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되어 포장재(110) 내측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포장물품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기충진구(120)의 하부면은 내측으로 오목하게 오목부(120a)가 형성되는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충진구(120)의 둘레가 반대편 포장재(110)나 포장된 물품에 맞닿아 오목부(120a)에 의해 공기충진구(120)와 포장재(110) 등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공기 주입을 위해 공기주입기(200)의 관통 시 공기주입기(200)의 단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공간 내에 위치하게 되고, 오목부(120a)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반대편 포장재(110)나 포장된 물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오목부(120a)는 도 3의 (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형상 외에 삼각형상, 사각형상 등 다양한 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공기주입기(200)는 공기주입구(120)에 관통 시 단부가 오목부(120a)에 위치하는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충진구(120)의 하부면이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공기충진구(120)의 재질의 밀집이 이루어져 보다 안정적으로 공기충진구(120)에 형성되는 미세공의 밀폐가 이루어져 포장재(110) 내측에 충진된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포장물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공기충진구(120)는 일측에 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플랜지(122)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122)에는 접착면(124)이 형성되어 접착제 또는 열융착에 의해 상기 포장재(110)의 외측에 접착 설치되게 된다.
이때, 도 6과 같이 상기 공기충진구(120)의 플랜지(122)에 형성된 접착면(124)의 중심부에 비접착면(124a)을 형성할 수 있는데, 포장재(110)가 불투명소재로 이루어진 경우 포장재(110)의 내측에 부착되는 공기충진구(120)의 중심부를 비접착면(124a)에 의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공기주입기(200)의 주입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상기 공지의 포장재(110)에 공기충진구(120)를 부착 설치함으로써 포장재(110)가 완성되는 것으로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100')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도 4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충진구(120')의 하부면에 경질재(126)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충진구(120')의 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공기통로(128)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충진구(120')의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공기충진구(120')의 하측 단부에 경질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의 얇은 판 형상의 경질재(126)가 인서트 사출에 의해 구비되어, 공기주입기(200)의 단부가 경질재(126)에 의해 관통되지 않게 되어 포장재(110)의 타측면이나 포장물품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주입기(2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공기통로(128)을 통해 포장재(110) 내측으로 공급되어 포장이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100,100')에 의하면, 포장재(110)에 공기충진구(120,120')를 부착하여 공기주입이 가능하도록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공기의 충진을 용이하게 하고, 단순한 구성에 의해 공기 충진 시 사용되는 공기주입기(120,120')에 의해 포장재(110)나 물품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포장재(110)의 밀봉을 유지하여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포장재(110)에 공기충진구(120,120')를 간단히 부착만 하면 포장재가 완성되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이 절감되며, 포장재(110) 자체에 공기가 충전되어 물품을 보호하도록 함으로써 물품 포장 시 불필요한 공지의 공기충전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 공기충진구를 포장재에 부착하여 공기주입이 가능하도록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공기의 충진을 용이하게 하고, 포장재의 밀봉을 유지하여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100,100':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
110: 포장재 112: 공간부
120,120': 공기충진구 122: 플랜지
124: 접착면 126: 경질재
128: 공기통로 200: 공기주입기

Claims (6)

  1. 내부에 포장물품이 수용되는 포장재와,
    상기 포장재의 내측 표면에 공기충진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충진구는 하부면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충진구는 일측에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에는 접착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충진구는 고무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충진구는 하부면에 경질재가 구비되고, 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공기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충진구의 플랜지의 중심부에는 비접착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
KR1020190153586A 2019-11-26 2019-11-26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 KR202100648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586A KR20210064875A (ko) 2019-11-26 2019-11-26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586A KR20210064875A (ko) 2019-11-26 2019-11-26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875A true KR20210064875A (ko) 2021-06-03

Family

ID=76396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586A KR20210064875A (ko) 2019-11-26 2019-11-26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487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9776A (ko) 2007-04-02 2008-10-08 임희봉 공기충전형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56307A (ko) 2008-09-19 2011-05-26 야마토 호소기쥬츠켕큐쇼 가부시키가이샤 택배편용 물품포장도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9776A (ko) 2007-04-02 2008-10-08 임희봉 공기충전형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56307A (ko) 2008-09-19 2011-05-26 야마토 호소기쥬츠켕큐쇼 가부시키가이샤 택배편용 물품포장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849B1 (ko) 에어백
WO2004071878A3 (en) Medicament vial having a heat-sealable cap,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the vial
CN104159622A (zh) 医疗用具包装体
SG146436A1 (en) Method for filling a vial
US10308402B2 (en) Spout stopper and packaging container
KR101405072B1 (ko) 수액백용 포트 부재, 및 수액백
BR102014027062A2 (pt) cabeça de tubo com um inserto formando uma barreira
KR20210064875A (ko) 공기충진구를 이용한 포장재
JP6047981B2 (ja) 包装袋およびこれを用いた包装体の製造方法
JP6414733B2 (ja) 液体収納容器、外装容器と液体収納容器の組合体、およびその内容液充填方法、内容液排出方法
KR101753084B1 (ko) 이중 구조의 완충 포장백
KR20210009831A (ko) 포장재공기충진구
JP2016013836A (ja) 空気クッション材
KR102155655B1 (ko) 에어포켓을 이용한 포장상자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포장상자의 포장방법
JP6015031B2 (ja) 緩衝材
US11992456B2 (en) Primary packaging
KR101342205B1 (ko) 배기구의 밀폐성이 개선된 시트형 풍선
KR20210093010A (ko) 피포장물의 밀림을 방지하는 공기 포장 비닐팩
JP2020162712A (ja) シリンジ、シリンジ組立体及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JP5595718B2 (ja) 空気セル緩衝材
JP6870176B2 (ja) 包装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90001532U (ko) 의료용 일체형 마개
CN209582405U (zh) 一种牙种植体包装组合
KR102646425B1 (ko) 선도유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도유지 방법
KR100844865B1 (ko) 수액 팩의 밀봉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