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4055A -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4055A
KR20210064055A KR1020200150780A KR20200150780A KR20210064055A KR 20210064055 A KR20210064055 A KR 20210064055A KR 1020200150780 A KR1020200150780 A KR 1020200150780A KR 20200150780 A KR20200150780 A KR 20200150780A KR 20210064055 A KR20210064055 A KR 20210064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ckness
substrate
display device
layer
limi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엔-린 우
유-치아 후앙
쿠안-펑 리
Original Assignee
이노럭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럭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노럭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064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0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79/00Other polymers hav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in the main chain
    • B32B2379/08Poly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이식 커버를 포함한다. 접이식 커버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된다. 접이식 커버는 내부 기판, 외부 기판 및 제1 접착부를 포함한다. 제1 접착부는 내부 기판과 외부 기판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접착부의 두께는 1 마이크로 미터에서 40 마이크로 미터 범위이며, 접이식 커버의 두께에 대한 제1 접착부의 두께와 내부 기판의 두께의 합의 비율은 0.5 이상 1 미만이다. 또한,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이식 커버 사이에 배치된 제2 접착부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FOLD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제품이 발전됨에 따라 전자 제품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기술이 최근 접이식 전자 장치 또는 변형 가능한 전자 장치는 차세대 전자 기술의 화두 중 하나가 되었다. 상대적으로 전자 장치에 통합될 수 있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명 및/또는 신뢰성 또한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소재 및/또는 구조의 설계를 통해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변형 효과, 수명, 디스플레이 효과 등 원하는 제품 사양을 달성하는 것이 관련 분야의 발전 방향이다.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접이식 커버를 통해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관련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이식 커버를 포함한다. 접이식 커버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착될 수 있다. 접이식 커버는 내부 기판(inner substrate), 외부 기판(outer substrate) 및 제1 접착부를 포함한다. 제1 접착부는 내부 기판과 외부 기판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접착부의 두께는 1 마이크로 미터 내지 40 마이크로 미터 범위이고, 접이식 커버의 두께에 대한 제1 접착부의 두께와 내부 기판의 두께의 합의 비율은 0.5 이상 1 미만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패널, 접이식 커버 및 제2 접착부를 포함한다. 접이식 커버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패널에 배치된다. 접이식 커버는 내부 기판, 외부 기판 및 제1 접착부를 포함한다. 제1 접착부는 내부 기판과 외부 기판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접착부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이식 커버 사이에 배치된다.
본 개시의 이들 및 다른 목적은 다양한 도면 및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은 후 의심할 여지없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비 접힘 상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힌 상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 접힘 상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커버 구조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커버 구조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커버 구조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커버 구조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특정 요소를 지칭하기 위해 본 개시 내용의 설명 및 다음의 청구 범위 전체에 걸쳐 특정 용어가 사용된다.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장비 제조업체는 다른 이름으로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이름이 다르지만 기능이 없는 요소를 구별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다음의 설명 및 청구 범위에서, 용어 "포함하다(include)" 및 "포함하다(comprise)"는 개방형 방식으로 사용되며, 따라서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요소 또는 층이 다른 요소 또는 층에 "배치된" 또는 "연결된" 것으로 언급될 때, 다른 요소 또는 층에 직접 연결되거나 다른 요소 또는 층에 직접 연결되거나 중간 요소 또는 층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요소가 다른 요소 또는 층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또는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중간 요소 또는 층이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다.
명세서에 사용된 서수와 "제1 " 및 "제2 "와 같은 청구항은 청구항의 요소를 수정하는 데 사용되며, 이는 요청된 요소에 이전 서수가 있음을 의미하거나 나타내지 않으며 요청된 요소 중 하나와 요청된 요소 중 다른 하나의 순서 또는 제조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지 않는다. 서수는 특정 이름을 가진 요청된 요소를 동일한 특정 이름을 가진 다른 요청된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이하의 내용에 열거된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기술적 특징이 각각 설명되어 있지만, 기술적 특징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혼합되거나 서로 충돌하지 않고 서로 재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부 표면,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101)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비 접힘 상태의 디스플레이 장치(101)의 부분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접힌 상태의 디스플레이 장치(101)의 부분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1)의 단면도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A-A '선을 따라 그려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1)가 제공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1)는 디스플레이 패널(10) 및 커버 구조(cover structure)(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어,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01) 및 다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로 간주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접이식 디스플레이 패널로 간주될 수 있으며, 커버 구조(20)는 접이식 커버로 간주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커버 구조(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 구조(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접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커버 구조(20)는 내부 기판(inner substrate)(22), 외부 기판(outer substrate)(26) 및 제1 접착부(first adhesive)(24)(접착층(adhesive layer)과 같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내측은 전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앙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측면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외측은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의 중심에서 상대적으로 먼 측면으로 간주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접착부(24)는 내부 기판(22)과 외부 기판(2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방향 X는 가상 평면(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기 위해 방향 Y에 직교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가치가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1)가 비 접힘 상태에서, 가상 평면은 디스플레이 장치(101)의 표면과 평행하고, Z 방향은 X 방향과 Y 방향으로 이루어진 평면의 법선 방향으로 간주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1)는 디스플레이 패널(10)과 커버 구조(20) 사이에 배치된 제2 접착부(second adhesive)(30)(접착층과 같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접착부(30)는 내부 기판(22)을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접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장치(101)는 디스플레이 영역(display region)(RG1) 및 주변 영역(peripheral region)(RG2)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 RG1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1)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요소(L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변 영역(RG2)은 디스플레이 영역(RG1)에 인접하고, 디스플레이 영역(RG1)은 도 1에 도시된 화살표 RG1로 디스플레이 된 점선 프레임의 영역 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영역(RG1)의 형태는 점선 프레임의 형태에 국한되지 않고 디자인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변 영역(RG2)은 디스플레이 영역(RG1)을 둘러싸고, 주변 영역(RG2)은 전술한 디스플레이 영역(RG1)의 점선 프레임 밖의 부분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 구조(20)의 Z 방향으로의 투영 영역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보호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10)의 디스플레이 영역(RG1) 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커버 구조(20)의 돌출 영역은 주변 영역(RG2)에 위치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1)가 접힐 때 커버 구조(20)가 디스플레이 패널(10)로부터 돌출될 가능성이 적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평면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1)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삼각형, 프리즘, 사다리꼴, 쐐기, 기타 다각형 또는 곡선 모서리를 가진 불규칙한 모양과 같이 디자인의 요구에 따라 다른 적합한 모양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1)는 방향(예를 들어, Y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힙 영역(RG3)을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1)는 접힙 영역(RG3)의 양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비 접힘 영역(RG4)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1)는 설계 요구에 따라 복수의 접힙 영역(RG3)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비 접힘 영역(RG4)은 접힙 영역(RG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1)는 접힘 축(folding axis)(FX)을 따라 접히거나, 휘거나, 늘어나거나, 구부러지고 및/또는 말릴 수 있다. 접힘 축(FX)은 접힘 영역(RG3)과 Z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으며, 접힙 축(FX)은 접힙 영역(RG3)의 연장 방향과 평행 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1)는 디자인의 요구에 따라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접힐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힙 축 FX가 디스플레이 패널(10)에서 멀리 떨어진 커버 구조(20)의 측면에 위치하는 경우(예를 들어, 외부 표면(26)의 상부 표면(top surface)(S6) 위에 위치됨), 디스플레이 패널(101)은 접힙 축(FX)을 따라 안쪽으로 접힐 수 있다(도 3 참조). 상대적으로, 또한, 접힙 축(FX)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커버 구조(20)에서 멀리 떨어진 측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1)가 접힙 축(FX)을 따라 바깥쪽으로 접힐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1)의 접는 각도는 디자인의 요구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을 수 없는 영역 RG4에서, 접힙 축(FX)의 두 대향 측면에서 외부 기판(26)의 상부 표면(S6)(예를 들어, 상부 표면(S6-1 및 상부 표면(S6-2)))은 서로 평행할 수 있고(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는 이들 사이에 끼인각(included angle)이 존재할 수 있으며, 및 접힘 축(FX)의 양측에 있는 외부 기판(26)의 하부 표면(S5)(예를 들어, 하부 표면(S5-1) 및 하부 표면(S5-2))은 서로 평행할 수 있거나(도 3에 도시됨) 또는 그 사이에 끼인각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1)의 접힌 상태는 디스플레이 장치(101)의 층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접혀서 층의 표면의 상이한 부분들이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비 접힘 영역(RG4)의 제1 접착부(24)의 상부 표면(S4-1)과 상부 표면(S4-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할 수 있다. 그런 상황에서, 가상 원(VC)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며, 가상 원(VC)은 상부 표면(S4-1) 및 상부 표면(S4-2)에 접할 수 있다(예를 들어, 가상 원(VC)은 점(P1) 및 점(P2)를 통해 상부 표면(S4-1) 및 상부 표면(S4-2)에 접할 수 있다). 가상 라인(LL)은 접선 점(예를 들어, 점(P1) 및 점(P2))과 가상 원(VC)의 중심을 통과할 수 있으며, 가상 원(VC)의 반경은 제1 접착부(24)의 곡률 반경(R)(예를 들어, 점(P1)과 점(P2) 사이의 거리의 절반)으로 간주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가상 라인(LL)은 접힙 축(FX)과 중첩될 수 있다. 커버 구조(20)에서 다른 층의 곡률 반경을 얻기 기해 위에서 언급한 방법(층의 곡률 반경을 얻기 위해 층의 표면에 접하는 가상 원을 형성)은 다른 층(내부 기판(22)과 같은)에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가치가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자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비-자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다른 적절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자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LED)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발광 다이오드는, 예를 들어 미니 LED, 마이크로 LED, 유기 LED(OLED), 양자점 LED(QD-LED) 또는 위에서 언급한 LED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비-자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요소,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요소, 마이크로미케니컬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디스플레이 요소, 전자 잉크 디스플레이 요소 또는 전술한 요소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커버 구조(20)를 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측면에서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은 커버 구조(20)에서 멀리 떨어진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측면에서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단면 디스플레이 패널, 양면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 구조(20)의 외부 기판(26)은 광학 요건(예를 들어, 광학 성능), 사용 터치 및/또는 스크래치 저항과 같은 필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커버 구조(20)의 제1 접착부(24)는 장치가 접힐 때 장치의 내부 링(inner ring)과 외부 링(outer ring) 사이의 접착력 및 응력 균형(stress balance)을 제공할 수 있으며, 커버 구조(20)의 내부 기판(22)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을 보호하기 위해 외력에 대한 완충층 역할을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관련 특성(예를 들어, 접힘 효과, 신뢰성 및/또는 제품의 수명)은 다층의 물질로 형성된 커버 구조(20)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외부 기판(26)의 영률(Young's modulus)은 내부 기판(22)의 영률 보다 클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유리와 사파이어 유리의 영률은 71.7 GPa 이상일 수 있다.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PEN) 및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PC)의 영률은 10GPa 미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1 GPa는 106 Pa와 같고 1 Pa는 평방 미터당 1 뉴턴(1 N/m2)과 같다.
일부 실시예에서, 내부 기판(22) 및 외부 기판(26)의 물질은 각각 유리, 고무, 폴리머 물질(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 카보네이트, 폴리 우레탄, 폴리 디메틸렌 실록산 및/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상기 언급된 물질 중 적어도 하나, 상기 언급된 물질 또는 다른 적절한 물질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및 내부 기판(22)의 물질은 외부 기판(26)의 물질과 동일하거나 또는 외부 기판의 물질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 기판(22)은 폴리이미드를 포함할 수 있고, 외부 기판(26)은 일부 실시예에서 유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외부 기판(26)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acrylate)(PMMA)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기판(26)은 스크래치 방지 및/또는 광학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내부 기판(22) 및 외부 기판(26)은 전술한 물질로 형성된 단층 또는 다층 구조 일 수 있으며,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PMMA 등), 벤조사이클로부틴(Benzocyclobutene)(BCB),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PDMS)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내부 기판(22) 및/또는 외부 기판(26)이 다층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 층은 코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착부(24)는 광학 투명 접착부(optical clear adhesive)(OCA), 감압 접착부(pressure sensitive adhesive)(PSA) 또는 적절한 특성을 갖는 다른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착부(24)는 투명 접착부 층(transparent adhesive layer)일 수 있고, 제1 접착부(24)의 물질은 아크릴 레이트, 우레탄계 조성물, 아크릴계 조성물, 실리콘계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거나, 다른 적합한 접착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접착부(24)는 폴리머 접착부 층(polymeric adhesive layer)일 수 있다. 또한, 제2 접착부(30)의 물질은 제1 접착부(24)의 물질과 유사할 수 있으며, 제2 접착부(30)의 두께 및 접착력은 설계의 요구에 따라 제1 접착부(24)의 두께 및/또는 접착력과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접착부(24)는 내부 기판(22)을 외부 기판(26)에 접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내부 기판(22)의 상부 표면(top surface)(S2)은 제1 접착부(24)의 하부 표면(bottom surface)(S3)과 직접 접촉할 수 있고, 외부 기판(26)의 하부 표면(bottom surface)(S5)은 제1 접착부(24)의 상부면(S4)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내부 기판(22), 제1 접착부(24) 및 외부 기판(26)은 각각 Z 방향으로 두께(T1), 두께(T2) 및 두께(T3)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두께(T1)는 디스플레이 장치(101)가 비 접힘 상태에서 내부 기판(inner substrate)(22)의 하부 표면(S1)에서 내부 기판(22)의 상부 표면(S2)까지 Z 방향의 거리 일 수 있다. 두께(T2)는 디스플레이 장치(101)가 비 접힘 상태에서 Z 방향으로 제1 접착부(24)의 하부 표면(S3)으로부터 제1 접착부(24)의 상부 표면(S4)까지의 거리 일 수 있다. 두께(T3)는 디스플레이 장치(101)가 비 접힘 상태에서 Z 방향으로 외부 기판(26)의 하부 표면(S5)에서 외부 기판(26)의 상부 표면(S6)까지의 거리 일 수 있다.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는 비 접힘 영역(RG4) 및/또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응하는 비 접힘 영역(RG4)의 영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측정은 단일 지점의 값을 측정하거나 여러 지점에서 측정된 값의 평균을 구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1)의 관련 특성(예를 들어, 제품의 접힘 효과, 신뢰성 및/또는 수명)은 내부 기판(22), 제1 접착부(24) 및 외부 기판(26)의 두께 조건을 각각 제어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내부 기판(22)의 두께(T1)는 외부 기판(26)의 두께(T3) 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외부 기판(26)의 두께(T3)는 제1 접착부(24)의 두께(T2) 보다 클 수 있고, 제1 접착부(24)의 두께(T2)에 대한 외부 기판(26)의 두께(T3)의 비율(T3/T2)은 2보다 크거나 60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내부 기판(22)의 두께(T1)는 제1 접착부(24)의 두께(T2)보다 클 수 있고, 제1 접착부(24)의 두께(T2)에 대한 내부 기판(22)의 두께(T1)의 비율(T1/T2)은 1보다 크고 100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커버 구조(20)의 두께에 대한 제1 접착부(24)의 두께(T2)와 내부 기판(22)의 두께(T1)의 합의 비율(예를 들어, 위에서 언급한 두께 T1, 두께 T2 및 두께 T3의 합) )는 0.5 이상 1 미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일부 실시예에서, 내부 기판(22)의 두께(T1), 제1 접착부(24)의 두께(T2) 및 외부 기판(26)의 두께(T3)는 다음 식(I)을 만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0.5
Figure pat00001
(T1 + T2)/(T1 + T2 + T3) < 1 (I)
다음 표 1은 다양한 두께 조합에서 및 내부 기판(22), 제1 접착부(24) 및 외부 기판(26)이 접히지 않은 상태에서, 내부 기판(22), 제1 접착부(24) 및 외부 기판(26)의 볼 낙하 테스트 결과를 보여준다. 볼 낙하 테스트는 외부 기판(26)의 상부 표면(S6)에서 10cm 이상 떨어진 곳에서 약 8.5g의 무게를 가진 물체를 사용하여 수행하여 외부 응력을 견디는 커버 구조(20)의 능력을 테스트 할 수 있다(예를 들어, 외부 스트레스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이 파손되지 않도록 커버 구조(20)가 디스플레이 패널(10)을 보호할 수 있는지 여부를 테스트 한다) 또한, 표 1의 볼 낙하 테스트에서, 외부 기판(26)의 재질은 유리, 내부 기판(22)의 재질은 PET, 제1 접착부(24)의 접착력은 약 10gf/in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 및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커버 구조(20)의 두께에 대한 제1 접착부(24)의 두께(T2)와 내부 기판(22)의 두께(T1)의 합의 비율(예를 들어, 위에서 언급한 두께 T1, 두께 T2 및 두께 T3의 합) )는 볼 낙하 테스트를 통과하기 위해 0.5 이상이어야 한다. 제2 접착부(30)의 두께 및/또는 접착력은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언급된 볼 낙하 시험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다른 요구에 따라 제2 접착부(30)의 두께 및/또는 접착력의 조정 디자인의 고려되지 않는 다는 것을 주목할 가치가 있다. 다시 말해, 제2 접착부(30)의 두께 및/또는 접착력의 영향은 무시될 수 있으며, 주요 영향 요인은 내부 기판(22)의 두께(T1), 제1 접착부(24)의 두께(T2), 외부 기판(26)의 두께(T3) 및 이들의 비율 관계 일 수 있다.
조합 1 2 3 4 5 6 7 8
T3(마이크로미터) 40 40 40 40 40 40 40 40
T2(마이크로미터) 0.1 1 5 5 15 15 10 40
T1(마이크로미터) 10 10 10 20 25 50 60 60
(T1+T2)/(T1+T2+T3) 0.20 0.22 0.27 0.38 0.50 0.62 0.64 0.71
아래 표 2는 내부 기판(22), 제1 접착부(24) 및 외부 기판(26)의 두께를 고정하고 내부 기판(22)의 재질을 변경 한 상태에서 볼 낙하 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여기서 사용되는 유리 및 사파이어(A12O3) 유리의 영률은 71.7 GPa 이상일 수 있으며, 사용되는 PI, PET 및 PC의 영률은 10 GPa 미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2 및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부 기판(22)의 영률은 볼 낙하 테스트를 통과하기 위해 10GPa 미만이어야 하며, 외부 기판(26)의 영률은 내부 기판(22)의 영률보다 클 수 있다.
조합 9 10 11 12 13
외부 기판(40 마이크로미터) 유리 유리 유리 유리 유리
제1 접착부(10 마이크로미터) 10 gf/in의 접착력을 갖는 물질 10 gf/in의 접착력을 갖는 물질 10 gf/in의 접착력을 갖는 물질 10 gf/in의 접착력을 갖는 물질 10 gf/in의 접착력을 갖는 물질
내부 기판(25 마이크로미터) 유리 사파이어 글라스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테트라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결과 실패 실패 통과 통과 통과
또한, 제1 접착부(24)의 두께는 디스플레이 장치(101)를 접을 때 스트레스 균형을 제공하도록 변경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접힙 영역(foldable region)(RG3)에서 제1 접착부(24)의 두께(T4)는 비 접힙 영역(non-foldable region)(RG4)에서 제1 접착부(24)의 두께(T2)보다 작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위에서 언급한 두께(T4)의 측정 방법은 접힌 상태에서 접힘 영역(RG3)의 제1 접착부(24)의 두께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접힌 상태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1)의 층 중 적어도 하나가 접혀져 층의 표면의 상이한 부분들이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비 접힘 영역(RG4)의 제1 접착부(24)의 상부 표면(S4-1)과 상부 표면(S4-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및 두께 측정은 단일 지점의 값을 측정하거나 여러 지점에서 측정된 값의 평균을 구하여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기 표 3은 내부 기판(22) 및 외부 기판(26)의 두께를 고정하고 제1 접착부(24)의 두께를 변경한 조건에서 접힘 테스트의 결과를 나타낸다. 접힘 테스트는 곡률 반경(R)이 약 1mm(mm) 인 조건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1)를 가장 극단적인 상태로 접히도록 수행할 수 있으며, 접는 동작을 약 10 만회 반복하여 커버 구조(20)의 신뢰성과 수명을 테스트한다. 또한 표 3의 접힘 테스트에서, 외부 기판(26)의 물질은 유리 일 수 있고, 내부 기판(22)의 물질은 PET 일 수 있으며, 제1 접착부(24)의 접착력은 약 10gf/in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 도 3 및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착부(24)의 두께 T2가 너무 얇은 경우(예를 들어, 두께 T2가 1 마이크로 미터 미만인 경우), 접힙 영역(RG3)의 제1 접착부(24)의 두께(T4)는 접는 동안 쉽게 부족하여 외부 기판(26)과 내부 기판(22) 사이의 마찰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외부 기판(26) 및 내부 기판(22)의 균열을 야기한다. 제1 접착부(24)가 너무 두꺼우면(예를 들어, 두께 T2가 20 마이크로 미터보다 큰 경우), 외부 기판(26)과 내부 기판(22) 사이의 상대적인 오정렬은 테스트를 통과하기에는 너무 클 수 있다. 따라서, 제1 접착부(24)의 두께(T2)는 접힘 시험을 통과하기 위해 1 마이크로 미터 이상 40 마이크로 미터 이하이어야 한다. 제2 접착부(30)의 두께 및/또는 접착력은 일부 실시예에서 위에서 언급한 접힘 테스트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따라서 디자인의 다른 요구에 따른 제2 접착부(30)의 두께 및/또는 접착력의 조정은 고려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할 가치가 있다. 다시 말해, 제2 접착부(30)의 두께 및/또는 접착력의 영향은 무시될 수 있으며, 주요 영향 요인은 내부 기판(22)의 두께(T1), 제1 접착부(24)의 두께(T2), 외부 기판(26)의 두께(T3) 및 이들의 비율 관계 일 수 있다.
조합 14 15 16 17 18 19 20 21
T3(마이크로미터) 40 40 40 40 40 40 40 40
T2(마이크로미터) 0.1 0.5 0.8 1 5 10 40 50
T1(마이크로미터) 40 40 40 40 40 40 40 40
결과 실패 실패 실패 통과 통과 통과 통과 실패
일부 실시예에서, 내부 기판(22)의 두께(T1)는 0.2 마이크로 미터 내지 150 마이크로 미터 범위 일 수 있고, 제1 접착부(24)의 두께(T2)는 0.1 마이크로 미터 내지 40 마이크로 미터 범위 일 수 있고, 외부 기판(26)의 두께(T3)는 20 마이크로 미터 내지 100 마이크로 미터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언급된 "내부 기판(22)의 두께 T1은 0.2 마이크로 미터 내지 150 마이크로 미터의 범위"는 두께 T1이 0.2 마이크로 미터 이상 150 마이크로 미터 이하임을 나타내고, 본 명세서에서 "범위"라는 용어는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내부 기판(22)의 두께(T1)는 20 마이크로 미터 내지 100 마이크로 미터 범위 일 수 있고, 제1 접착부(24)의 두께(T2)는 1 마이크로 미터 내지 40 마이크로 미터 범위 일 수 있으며, 외부 기판(26)의 두께(T3)는 40 마이크로 미터 내지 60 마이크로 미터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내부 기판(22)의 두께(T1)는 커버 구조(20)의 두께(T5)의 30 % 내지 55 % 범위 일 수 있고(예를 들어, 30 % ≤ T1/T5 ≤ 55 %), 제1 접착부(24)의 두께(T2)는 커버 구조(20)의 두께(T5)의 1.6 % 내지 35 % 범위 일 수 있고(예를 들어, 1.6 % ≤T2/T5 ≤ 35 %), 및 외부 기판(26)의 두께(T3)는 커버 구조(20)의 두께(T5)의 20 % 내지 50 %(예를 들어, 20 % ≤ T3/T5 ≤ 50%)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언급한 두께 T1, 두께 T2 및 두께 T3의 범위는 비 접힘 영역(RG4)의 내부 기판(22), 제1 접착부(24) 및 외부 기판(26) 및/또는 접힘 영역(RG3)의 내부 기판(22), 제1 접착부(24) 및 외부 기판(26)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접착부(24)의 접착력(AS)은 인치당 10g(gf/in) 내지 60 gf/in(예를 들어, 10gf/in≤AS≤60gf/in) 범위 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내부 기판(22), 제1 접착부(24) 및 외부 기판(26)의 광학 굴절률(예를 들어, N = 1.5)은 서로 유사할 수 있으며(예를 들어, 굴절률은 ± 0.3 범위 이내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음),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상의 커버 구조(20)의 부정적인 영향(예를 들어, 광의 산란)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1)는 제2 접착부(30)와 내부 기판(22) 사이에 배치된 이형층(release layer)(32)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도면을 단순화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접힌 상태의 디스플레이 장치(101)의 이형층(32)은 생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형층(32)은 내부 기판(22)의 하부 표면(S1)과 직접 접촉할 수 있으며, 이형층(32)은 수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예를 들어, 수소 함유 비정질 실리콘층 또는 다른 수소 함유 물질층일 수 있음), 레이저 어닐링 공정을 사용하여 이형층(32)과 내부 기판(22) 사이의 계면에서 수소 폭발을 일으킬 수 있으며, 커버 구조(20)가 디스플레이 패널(10)에서 분리되어 커버 구조(20)를 교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교체 방법을 통해, 응력에 의한 커버 구조(20)의 찢김으로 인한 손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전술한 레이저 어닐링 공정은 디스플레이 장치(101)의 상측에서 수행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1)의 하측에서 수행될 수도있다. 또한, 레이저 공정은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전기 요소에 미치는 악영향을 줄이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1)의 국부적인 위치에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특징은 스마트 윈도우, 안테나, 터치 장치 등과 같은 다른 종류의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층은 작동 매체층(working medium layer)으로 대체될 수 있고, 작동 매체층은 예를 들어 액정 안테나의 액정, 액정 윈도우의 액정 또는 특정 기능을 갖는 다른 작동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음에서 설명될 것이다. 설명을 간략화 하기 위해 각 실시예의 차이점을 상세히 설명하고, 반복되는 특징은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 내용의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요소의 라벨은 각 실시예 간의 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동일할 것이다. 각 실시예의 특징은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거나 서로 충돌하지 않고 혼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부 표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2)의 부분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은 디스플레이 층(display layer)(12) 및 플렉서블 기판(flexible substrate)(15)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층(12)은 플렉서블 기판(15)과 커버 구조(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층(12)은 자기 발광 디스플레이 요소, 비-자기 발광 디스플레이 요소 또는 다른 적절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자기 발광 디스플레이 요소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발광 다이오드는 예를 들어, 미니 발광 다이오드,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전술한 LED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전술한 비-자기 발광 디스플레이 요소는 액정 디스플레이 요소,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요소, 마이크로 전자 기계 시스템 디스플레이 요소, 전자 잉크 디스플레이 요소 또는 전술한 요소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커버 구조(20) 및 플렉서블 기판(15)은 각각 Z 방향으로 두께(T5) 및 두께(T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두께(T5)는 전술한 두께(T1), 두께(T2) 및 두께(T3)의 합과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두께(T6)는 디스플레이 장치(102)가 비 접힘 상태에서 플렉서블 기판(15)의 하부 표면(S7)에서 플렉서블 기판(15)의 상부 표면(S8) 방향 Z 방향의 거리 일 수 있다. 두께(T6)의 측정 방법은 위에서 언급한 두께(T1), 두께(T2) 및 두께(T3)의 측정 방법과 유사할 수 있으며, 여기서 중복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접힘 상태에 따라 구부러진 중심선(CL)을 포함할 수 있고, 중심선(CL)의 양측 층에 가해지는 응력은 더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 구조(20)의 두께(T5) 대 플렉서블 기판(15)의 두께(T6)의 비율(T5/T6)은 0.8 이상 1.2 이하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2)의 중심선(CL)이 디스플레이 층(12)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2)를 접을 때 스트레스로 인한 디스플레이 층(12)의 손상 가능성을 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 중심선(CL)은 디스플레이 장치(102) 전체의 Z 방향 두께의 중심선으로 간주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중심선(CL)은 디스플레이 장치(102)의 중립 면(neutral plane)일 수 있으며, 압축 응력과 인장 응력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로 간주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기판(15)은 단층 물질 구조 또는 다층 물질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렉서블 기판(15)은 제1 기판(14), 제3 접착부(16)(접착층과 같은) 및 제2 기판(18)을 포함할 수 있고, 제3 접착부(16)는 제1 기판(14)과 제2 기판(18)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기판(14)은 제3 접착부(16)와 디스플레이 층(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기판(15)의 하부 표면(S7)은 제2 기판(18)의 하부 표면이 될 수 있으며, 플렉서블 기판(15)의 상부 표면(S8)은 제1 기판(14)의 상부 표면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기판(14) 및 제2 기판(18)의 물질은 각각 유리, 고무, PI, PEN, PC, 폴리우레탄, 폴리디메틸실록산 및/또는 PET와 같은 고분자 물질, 상기 언급된 물질 중 적어도 하나, 이들의 혼합물 또는 기타 적절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기판(14)의 물질과 제2 기판(18)의 물질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3 접착부(16)의 물질은 전술한 제1 접착부(24)의 물질과 유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이 단면 디스플레이 패널 인 경우, 제3 접착부(16)는 불투명한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이 양면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인 경우, 제3 접착부(16)는 투명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부 표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비 접힘 상태의 디스플레이 장치(103)의 부분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 구조(20)는 접힙 축(FX)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리세스(first recess)(내부 기판(22)의 리세스(RC1) 및/또는 외부 기판(26)의 리세스(RC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리세스(RC1) 및/또는 리세스(RC2)는 Z 방향으로 접힙 축과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 기판(22)은 접힙 축(FX)에 대응하는 리세스(RC1)를 포함하고, 외부 기판(26)은 접힙 축(FX)에 대응하는 리세스(RC2)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리세스(RC1)만이 내부 기판(22)에 배치되거나 리세스(RC2)만이 설계의 요구에 따라 외부 기판(26)에 배치된다. 내부 기판(22)의 리세스(RC1)는 디스플레이 패널(10)에 접근하는 방향을 향한 상부 표면(S2)의 리세스고, 외부 기판(26)의 리세스(RC2)는 디스플레이 패널(10)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한 하부 표면(S5)의 리세스고, 따라서, 제1 접착부(24)의 일부는 내부 기판(22)의 리세스(RC1) 또는 외부 기판(26)의 리세스(RC2)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리세스(RC1)의 두께(H1) 및/또는 리세스(RC2)의 두께(H2)는 100 마이크로 미터 미만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두께(H1)는 50 마이크로 미터 내지 80 마이크로 미터의 범위 일 수 있고, 내부 기판(22)의 두께(T1) 및/또는 외부 기판(26)의 두께(T3)는 300 마이크로 미터 내지 2000 마이크로 미터의 범위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리세스의 두께 측정 방법은 리세스의 하부 표면에서 대응면(corresponding surface)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할 가치가 있다. 예를 들면, 리세스(RC1)의 두께(H1)는 리세스(RC1)의 하부 표면에서 내부 기판(22)의 하부 표면(S1)까지의 거리 일 수 있으며, 리세스(RC2)의 두께(H2)는 리세스(RC2)의 하부 표면에서 외부 기판(26)의 상부 표면(S6)까지의 거리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내부 기판(22)의 두께(T1)에 대한 리세스(RC1)의 두께(H1)(예를 들어, H1/T1)의 비율은 0.02보다 크거나 같고 0.2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고, 외부 기판(26)의 두께(T3)에 대한 리세스(RC2)의 두께(H2)의 비율(H2/T3)은 0.02 이상 0.2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두께 T1의 범위 및 두께 T3의 범위는 본 실시예에서 비 접힘 영역(RG4)에 위치하는 내부 기판(22) 및 외부 기판(26)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할 가치가 있다.
또한, 제1 접착부(24)는 접힘 상태에서 곡률 반경(R)을 포함할 수 있으며, 리세스(RC1)의 폭(W1)은 다음 수학 식(II)를 만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0.8πR
Figure pat00002
W1
Figure pat00003
1.5πR (II)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기판(15)은 커버 구조(20)의 접힙 축(FX)에 대응하는 제2 리세스(예를 들어, 리세스 RC3)를 포함할 수 있고, 리세스(RC3)는 커버 구조(20)에 접근하는 방향을 향하는 플렉서블 기판(15)의 하부 표면(예를 들어, 제2 기판(18)의 하부 표면(S7))의 리세스 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리세스의 폭(예를 들어, 리세스(RC1)의 폭(W1) 및/또는 리세스(RC2)의 폭(W2)) 대 리세스(RC3)의 폭(W3)(예를 들어, W1/W3 및/또는 W2/W3)의 비율은 0.7 이상 1.3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술한 폭(W1), 폭(W2) 및/또는 폭(W3)은 접힙 영역(RG3)이 비 접힘 상태에서 접힘 영역(RG3)의 X 방향의 폭(W4) 보다 작을 수 있으나(도 5 참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폭(W1), 폭(W2) 및/또는 폭(W3)은 디자인의 요구에 따라 접힙 영역(RG3)이 비 접힘 상태에서 X 방향으로 접힙 영역(RG3)의 폭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전술한 리세스의 폭을 측정하는 방법은 리세스의 표면의 경사가 변하기 시작하는 시작점(평면의 경사와 비교하여)에서 리세스의 폭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할 가치가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리세스(RC1)와 내부 기판(22)의 평탄 영역의 접합부는 아크형 에지(arc-shaped edge)(CE)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전술한 접합부의 형상이 너무 날카롭기 때문에 접힘이 수행될 때 내부 기판(22)과 외부 기판(26) 사이의 마찰에 의해 야기되는 손상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다른 실시예에서, 리세스(RC2)와 외부 기판(26)의 평탄 영역의 접합 및/또는 리세스(RC3)와 플렉서블 기판(15)의 평탄 영역의 접합은 또한 아크형 에지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전술한 리세스(RC1), 리세스(RC2) 및/또는 리세스(RC3)는 Z 방향으로 접힘 축(FX)과 중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리세스(RC1), 리세스(RC2) 및 리세스(RC3)는 각각 Y 방향(도 1에 도시 됨)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리세스(RC1), 리세스(RC2) 및 리세스(RC3)는 각각 선형 패턴, 접힌 패턴, 블록 패턴 또는 다른 적절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RC1), 리세스(RC2) 및 리세스(RC3)를 배치하고 두께 및/또는 폭을 조절함으로써, 비 접힘 영역(RG4)의 보호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고 디스플레이 장치(103)의 접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3)는 플렉서블 기판(15) 상에 배치된 기능층(functional layer)(40)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기능층(40)은 특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단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능층(40)은 터치 감지층(touch sensing layer), 편광판(polarizer), 지연층(retardation layer)(광학 지연층과 같은, 여기서 광학 지연층은
Figure pat00004
/2 지연층 및/또는
Figure pat00005
/4 지연층을 포함할 수 있음), 반사 방지층(anti-reflection layer) 및/또는 또는 다른 기능을 제공하는 다른 기능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능층(40)은 커버 구조(20)와 접이식 디스플레이 패널(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능층(40)은 제2 접착부(30)와 접이식 디스플레이 패널(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능층(40)은 커버 구조(20)에 포함되거나 커버 구조(20)의 기판 중 어느 하나의 적어도 일부로 간주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기능층(40)의 상대적 위치 및/또는 기능층(40)에서 각 층의 상대적 위치는 설계의 요구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기능층(40), 리세스(RC1), 리세스(RC2) 및/또는 하부 리세스(RC3)는 설계의 요구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주목할 가치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부 표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4)의 부분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층(12)은 유전체층(dielectric layer)(51), 유전체층(52), 복수의 제어 요소(TFT), 유전체층(53), 평탄화층(planarization layer)(54), 복수의 디스플레이 요소(LE), 화소 정의층(pixel defining layer)(56) 및 유전체층(59)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제어 요소(TFT)는 반도체층(semiconductor layer)(SC), 소스 전극(SE), 드레인 전극(DE), 게이트 전극(GE) 및/또는 소스 전극(SE) 또는 드레인 전극(DE)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콘택 구조(contact structure)(CT)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층(12)은 제1 전극(55), 제2 전극(58) 및 제1 전극(55)과 제2 전극(58) 사이에 배치된 발광층(light emitting layer)(57)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디스플레이 요소(LE)는 제1 전극(55)의 일부, 제2 전극(58)의 일부 및 제1 전극(55)과 제2 전극(58) 사이에 배치된 발광층(57)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요소(LE) 중 하나의 영역(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요소(LE)의 프레임)은 화소 정의층(56)의 바닥에 의해 정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유전체층(51)은 제1 기판(14) 상에 배치되고, 제1 기판(14)상의 유전체층(51)은 버퍼층 역할을 하여 버퍼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유전체층(51)은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질화물과 같은 단층 유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유전체층(51)은 실리콘 산화물 및 실리콘 질화물의 다층 구조와 같이 상이한 유전 물질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반도체층(SC)은 유전체층(51) 상에 배치되고, 반도체층(SC)의 일부가 도핑 되어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은 반도체층(SC)의 일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반도체층(SC)은 다결정 반도체층,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 또는 다른 적절한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층(52)은 반도체층(SC)과 게이트 전극(GE)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유전체층(53)은 유전체층(52) 및 게이트 전극(G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콘택 구조(CT)는 유전체층(53) 및 유전체층(52)을 관통할 수 있으며, 대응하는 소스 전극(SE) 또는 드레인 전극(DE)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평탄화층(54)은 유전체층(53) 및 콘택 구조(CT)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평탄화층(54) 상에는 제1 전극(55), 발광층(57), 제2 전극(58) 및 화소 정의층(56)이 배치될 수 있으며, 발광층(57)은 화소 정의층(56)에 의해 형성된 개구에 위치할 수 있고, 유전체층(59)은 캡슐화 및/또는 평탄화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요소(LE) 및 화소 정의층(56) 상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위에서 언급한 게이트 전극(GE), 접촉 구조(CT), 제1 전극(55) 및 제2 전극(58)의 물질은 금속 전도성 물질(예를 들어, 알루미늄, 몰리브덴, 구리, 티타늄, 텅스텐 또는 기타 적절한 전도성 물질) 또는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인듐 주석 산화물(ITO) 또는 기타 적합한 투명 전도성 물질). 유전체층(52), 유전체층(53) 및 유전체층(59)은 단일 층 구조 또는 유전 물질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기타 적절한 유전체 물질). 일부 실시예에서, 게이트 전극(GE), 제1 전극(55) 및 제2 전극(58)은 각각 반사 전극, 투명 전극 또는 반투명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 전극은은, 게르마늄, 알루미늄, 구리, 몰리브덴, 티타늄, 주석, 알루미늄 네오디뮴 합금(AlNd), 알루미늄 합금(ACX), 알루미늄 폴리머(APC) 등으로 형성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투명 전극은 인듐 주석 산화물 전극 또는 인듐 아연 산화물 전극과 같은 투명 전도성 산화물(TCO)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반투명 전극은 마그네슘은 합금 박막 전극, 금 박막 전극, 백금 박막 전극 및/또는 알루미늄 박막 전극과 같은 금속 박막 전극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평탄화층(54) 및 화소 정의층(56)의 물질은 각각 유기 유전체 물질(예를 들어, 아크릴 폴리머 물질 및/또는 실리콘 폴리머 물질) 또는 사진 패턴 화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른 적절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디스플레이 층(12)의 구동 회로 및 디스플레이 요소의 구조는 도 6에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설계의 요구에 따라 다른 적절한 유형의 구동 회로 및/또는 디스플레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할 가치가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기능층(40)은 디스플레이 층(12)과 커버 구조(20)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감지 요소(sensing element)(TS)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감지 요소(TS)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요소(display element)(LE)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감지 요소(TS)는 저항형 터치 감지 요소, 자기 용량형 터치 감지 요소, 상호 정전 용량형 터치 감지 요소, 광학형 터치 감지 요소, 힘 감지형 터치 감지 요소 또는 기타 적절한 유형의 터치 감지 요소와 같은 터치 감지 요소(touch sensing ele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감지 요소(TS)는 또한 안테나, 이미지 센서, 압력 센서, 온도 센서 및/또는 가스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감지 요소(TS)는 설계상의 요구에 따라 일종의 감지 기능 또는 복수의 감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감지 요소(TS) 및/또는 디스플레이 층(12)은 설계 상의 요구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할 가치가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리세스(RC3)의 형상은 설계 요구에 따라 리세스(RC1)의 형상과 다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리세스(RC3)는 평평한 하부 표면 및/또는 비 아크형 측벽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리세스(RC1)의 두께(H1), 리세스(RC2)의 두께(H2) 및 리세스(RC3)의 두께(H3)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부 표면, 도 7a 내지도 7d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커버 구조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일부 실시 양태에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구조(20)는 커버 구조(20)의 주변 영역(RG2)에 위치하는 복수의 스페이서 구조(spacer structure)(6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스페이서 구조(60)는 외부 기판(26)과 내부 기판(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 구조(60)는 내부 기판(22)의 상부 표면(S2) 및 외부 기판(26)의 하부 표면(S5)에 각각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스페이서(6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스페이서(62)를 포함할 수 있고, 스페이서 구조(60)에 의해 커버 구조(20)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접힘이 수행될 때 내부 기판(22)과 외부 기판(26) 사이의 상대적인 정렬 불량의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 스페이서 구조(60)에서 제1 스페이서(61) 및 제2 스페이서(62)의 형상은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지 만, 도 7a에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그리고 디자인의 요구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스페이서(61)는 제2 스페이서(62)에 대응하는 리세스(61R)를 포함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스페이서(62)는 유사한 효과를 얻기 위해 제1 스페이서(61)에 대응하는 리세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리세스(RC1)의 측벽(SW1)은 내부 기판(22)의 상부 표면(S2)에 수직 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 양태에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 구조(60)는 복수의 제1 스페이서(61)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스페이서(62)는 X 방향으로 인접한 2 개의 제1 스페이서(61) 사이에 부분적으로 위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페이서 구조(60)는 복수의 제2 스페이서(6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스페이서(61)는 X 방향으로 인접한 2 개의 제2 스페이서(62) 사이에 부분적으로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리세스(RC1)의 측벽(sidewall)(SW1)의 형상은 설계 요구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리세스(RC1)의 측벽(SW1)과 내부 기판(22)의 하부 표면(S1) 사이의 끼인각은 0 도보 다 크고 90 도보 다 작을 수 있고, 또는 리세스(RC1)의 측벽은 호 형상의 에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리세스(RC1)는 인접한 서브 부분(sub portion)(22A)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인접한 서브 부분(22A)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리세스(RC1)는 내부 기판(22) 아래의 요소를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 양태에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홀(thorough hole)(TH)은 내부 기판(22)을 관통하여 내부 기판(22)을 적어도 2 개의 서브 부분(22A)으로 분할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통 홀(TH)은 Z 방향을 따라 내부 기판(22)을 관통하여 내부 기판(22) 아래의 요소들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통 홀(TH)은 Z 방향으로 접힘 축(FX)과 중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통 홀(TH)은 Y 방향(도 1에 도시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관통 홀(TH)의 측벽(SW2)의 형상은 설계의 요구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관통 홀(TH)의 측벽(SW2)과 내부 기판(22)의 하부 표면(S1)이 끼인 각도는 90 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 홀(TH)은 내부 기판(22) 상에 처리(예를 들어, 에칭, 레이저 또는 절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통 홀(TH)은 내부 기판(22)의 복수의 서브 부분(22A)의 조합(예를 들어, 서브 부분(22A)이 간격을 두고 접착됨)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 양태에서,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기판(22)은 접힙 영역(RG3)에 배치된 복수의 관통 홀(TH)을 포함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4 개의 관통 홀(TH)이 등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거리(DS)는 접힐 때 제1 접착부(24)의 연장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접히지 않은 상태에서, X 방향으로 제1 접착부(24)의 에지(24S)와 내부 기판(22)의 에지(22S) 및/또는 외부 기판(26)의 에지(26S) 사이가 포함될 수 있다. 거리(DS)는 1 마이크로 미터 이상 10 마이크로 미터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커버 구조(20)는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 7a 내지도 7d에 도시된 전술한 커버 구조(20)는 설계의 요구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할 가치가 있다.
도 8을 참조하부 표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5)의 부분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층(40)은 일부 실시예에서 Z 방향으로 적층되어 배치된 감지층(sensing layer)(42), 지연층(retardation layer)(44) 및 편광판(polarizer)(46)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층(42)은 도 6에 도시된 감지 요소(TS) 및/또는 다른 적절한 유형의 터치 감지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지연층(44)은
Figure pat00006
/2 지연층 및/또는
Figure pat00007
/4 지연층의 단일 층 또는 다중 층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기능층(40)에서 각 층의 상대적 위치는 설계의 요구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층(12)은 구동 회로, 디스플레이 요소 층(display element layer)(11)(위의 도 6에 도시된 제어 요소(TFT) 및 디스플레이 요소(LE)과 같은) 및 구동회로 및 디스플레이 요소 층(11) 상에 배치되는 캡슐화층(encapsulation layer)(13)(예컨대, 위의 도 6에 도시된 유전체층(59)과 같은)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기능층(40) 및/또는 디스플레이 층(12)은 설계상의 요구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할 가치가 있다.
도 9를 참조하부 표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6)의 부분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기능층(40)은 커버 구조(2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거나 커버 구조(20)에 포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기능층(40)의 감지 요소(TS)는 커버 구조에 배치되어 구조를 일체화 하거나 전체 두께를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내부 기판(22)의 상부 표면(S2)에는 복수의 감지 요소(TS)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접착부(24)는 감지 요소(TS)를 덮고, 감지 요소(TS)와 외부 기판(26) 사이에 부분적으로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감지 요소(TS)의 적어도 일부는 설계의 요구에 따라 외부 기판(26)의 하부 표면(S5)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접착부(24)는 내부 기판(22)을 덮고, 감지 요소(TS)와 내부 기판(22) 사이에 부분적으로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감지 요소(TS)의 커버 구조(20)에서의 형상 및 배치 위치는 도 9에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그리고 디자인의 요구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또한, 감지 요소 TS가 불투명 물질(예를 들어, 불투명 금속)을 포함하는 경우, 감지 요소(TS)는 디스플레이 층(12)의 디스플레이 요소(예를 들어, 상기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요소(LE)와 같은)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으며, 감지 요소(TS)가 디스플레이 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감소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커버 구조(20)에 배치된 감지 요소(TS)는 설계상의 요구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주목할 가치가 있다.
도 10을 참조하부 표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7)의 부분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언급된 기능층은 커버 구조(20)의 기판 중 어느 하나의 적어도 일부로 간주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내부 기판(22)은 구조를 통합하고 /하거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단일 층 또는 다중 층의 기능층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내부 기판(22)은 지연층(retardation layer)(21)과 적층되어 배치된 편광자(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지연층(21)은 일부 실시예에서
Figure pat00008
/2 지연층 및/또는
Figure pat00009
/4 지연층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접착부(30)는 디스플레이 패널(10) 위의 적층층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에 가장 가까운 접착부 층(예를 들어, 제2 접착부(30)의 두께가 30 마이크로 미터보다 클 수 있음) 일 수 있고, 제1 접착부(24)는 제2 접착부(30) 위의 가장 두꺼운 접착부 층일 수 있다. 내부 기판(22)은 전술한 제2 접착부(30)와 제1 접착부(24) 사이의 층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연층(21)과 편광판(23) 사이의 접착은 접착부 물질(예를 들어 두께가 25 마이크로 미터 미만인 접착부), 열 압착 접착, 접착 접착, 정적 접착 또는 다른 적절한 접착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내부 기판(22)은 일부 실시예에서 다른 효과를 제공하는 다른 기능성 필름(반사 방지 필름과 같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기능성 필름을 포함하는 내부 기판(22)은 설계의 요구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할 가치가 있다.
요약해서 말하자면, 다층의 물질로 형성된 커버 구조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관련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힘 효과, 신뢰성, 수명 및/또는 기타 관련 특성은 각각 내부 기판, 제1 접착층 및 외부 기판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장점을 설명하였으나, 당해 기술에 대한 평범한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변경, 교체, 및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 내용의 보호 범위는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 실시 양태에서의 공정, 기계, 제조, 물질 구성, 장치, 방법 및 단계로 제한되지 않는다. 기술 분야에 대한 상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공개된 내용으로부터 현재 또는 미래에 개발된 공정, 기계, 제조, 물질 구성, 장치, 방법 및 단계를 이해할 수 있으며, 이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거나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 내용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공정, 기계, 제조, 물질 구성, 장치, 방법 및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각각의 청구항은 개별적인 실시예를 구성하고,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또한 각각의 청구항 및 실시예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따라 정의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본 개시 내용의 교시를 유지하부 표면서 장치 및 방법의 수많은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쉽게 알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개시는 첨부된 청구 범위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접이식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접이식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착되는 접이식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접이식 커버는:
    내부 기판;
    외부 기판; 및
    상기 내부 기판과 상기 외부 기판 사이에 배치된 제1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부는 1 마이크로 미터 내지 40 마이크로 미터 범위의 두께를 가지고, 및
    상기 접이식 커버의 두께에 대한 상기 제1 접착부의 두께와 상기 내부 기판의 두께의 합의 비율은 0.5 이상 1 미만인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기판의 두께는 상기 외부 기판의 두께 보다 큰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판의 영률은 상기 내부 기판의 영률 보다 큰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기판은 폴리머 물질을 포함하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기판은 폴리이미드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기판은 유리를 포함하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판의 두께는 상기 제1 접착부의 두께 보다 큰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부의 두께에 대한 상기 외부 기판의 두께의 비율은 2 보다 크고 60 보다 작거나 같은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기판의 두께는 상기 제1 접착부의 두께 보다 큰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부의 두께에 대한 상기 내부 기판의 두께의 비율은 1 보다 크고 100 보다 작거나 같은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150780A 2019-11-22 2020-11-12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640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159194.9 2019-11-22
CN201911159194.9A CN112837613B (zh) 2019-11-22 2019-11-22 可弯折式显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055A true KR20210064055A (ko) 2021-06-02

Family

ID=73475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780A KR20210064055A (ko) 2019-11-22 2020-11-12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47395B2 (ko)
EP (2) EP4275895A3 (ko)
KR (1) KR20210064055A (ko)
CN (2) CN117496827A (ko)
PH (1) PH120200504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79667B (zh) * 2021-06-16 2022-10-01 大陸商宸美(廈門)光電有限公司 觸控顯示裝置及其電子裝置
CN115843207B (zh) * 2023-02-22 2024-03-22 科迪华显示技术(绍兴)有限公司 柔性oled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2010A (ja) * 2008-10-22 2010-05-06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パネル
KR102092707B1 (ko) * 2013-09-17 2020-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KR102206376B1 (ko) * 2013-09-24 2021-0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09703B1 (ko) * 2015-12-01 2022-06-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브드 표시장치
KR20170068823A (ko) * 2015-12-10 2017-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 이를 사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
CN113085302A (zh) * 2016-01-15 2021-07-09 康宁股份有限公司 可折叠电子器件组装件和用于其的覆盖元件
KR20180034056A (ko) * 2016-09-27 2018-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윈도우 및 표시 장치
CN108932074B (zh) * 2017-05-27 2021-05-25 和鑫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EP3635507A1 (en) * 2017-06-08 2020-04-15 Google LLC Foldable display neutral axis management with thin, high modulus layers
KR102426130B1 (ko) * 2017-07-27 2022-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0892296B2 (en) * 2017-11-27 2021-01-12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commonly connected LED sub-units
KR102458350B1 (ko) 2017-12-27 2022-10-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98621B1 (ko) 2017-12-29 2023-0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20190252637A1 (en) * 2018-02-13 2019-08-15 Innolux Corporation Foldable display device
US10367173B1 (en) * 2018-03-15 2019-07-30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CN109087586B (zh) * 2018-07-18 2021-05-18 广州国显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柔性显示面板
CN109148541B (zh) * 2018-08-30 2021-04-0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TWI691110B (zh) * 2018-11-09 2020-04-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可撓式顯示面板
CN109560110B (zh) * 2018-11-29 2020-10-16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柔性显示装置
CN109859642B (zh) * 2018-12-17 2021-02-09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0379306A (zh) * 2019-06-10 2019-10-2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可弯折显示面板的盖板、可弯折显示面板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75895A3 (en) 2024-01-17
US20210157367A1 (en) 2021-05-27
EP3825117B1 (en) 2023-10-11
CN117496827A (zh) 2024-02-02
EP4275895A2 (en) 2023-11-15
CN112837613B (zh) 2023-12-01
EP3825117A1 (en) 2021-05-26
CN112837613A (zh) 2021-05-25
US11947395B2 (en) 2024-04-02
PH12020050462A1 (en) 202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3210B2 (en) Flexible display panel having bent non-display regions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US11108014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9947882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robust flexible displays
CN109801561B (zh) 窗口构件以及包括窗口构件的显示设备
EP3772666A2 (en) Cover window and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10064055A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US11342539B2 (en) Display panel aligned with window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963314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20210405781A1 (en) Foldable display screen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apparatus
KR20180040226A (ko) 윈도우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CN112689789B (zh) 可折叠显示屏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KR20220022926A (ko) 표시 장치
EP3958093A1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TWI490553B (zh) 顯示裝置
KR20220022939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2689864A (zh) 可折叠显示屏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CN114071903B (zh) 可挠性电子装置
US20230375872A1 (en) Electronic device
US11899892B2 (en) Display device
CN220367929U (zh) 显示装置
KR20230167266A (ko) 원장보호필름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