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130B1 -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130B1
KR102426130B1 KR1020170095673A KR20170095673A KR102426130B1 KR 102426130 B1 KR102426130 B1 KR 102426130B1 KR 1020170095673 A KR1020170095673 A KR 1020170095673A KR 20170095673 A KR20170095673 A KR 20170095673A KR 102426130 B1 KR102426130 B1 KR 102426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us
display device
window
display panel
curv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4185A (ko
Inventor
이정섭
신헌정
오혜진
최민훈
김경태
김보아
김상훈
박상일
오현준
한정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5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130B1/ko
Priority to US15/957,659 priority patent/US11398607B2/en
Publication of KR20190014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H01L27/323
    • H01L27/3262
    • H01L51/0097
    • H01L51/525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Surface property or characteristic of web, sheet or bloc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윈도우 부재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일면 상에 배치된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의 복원율은 40% 이상이며, 상기 제1 부재의 복원율과 상기 제2 부재의 복원율 차이의 절대값은 45% 이하일 수 있다.

Description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WINDOW MEMBE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모니터, TV등의 전자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 상부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을 보호하는 윈도우 패널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로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전기 습윤 디스플레이 장치(Electro Wetting Display Device: EW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기 영동 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EPD) 등 다양한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표시 패널은 터치 기능을 내장할 수 있다.
윈도우 패널은 표시패널 상부에 부착된다. 표시패널에서 생성된 영상은 윈도우 패널을 투과하여 관찰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패널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내부 기능 층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이로 인해 외부 충격으로부터 가장 파손 위험이 높은 부분이기도 하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윈도우 패널은 폴딩 특성상 매우 얇아야 하며, 이로 인하여 외부 충격에 대해 더욱 민감한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은 롤링이 가능하며 내충격성이 향상된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일면 상에 배치된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의 복원율은 40% 이상이며, 상기 제1 부재의 복원율과 상기 제2 부재의 복원율 차이의 절대값은 4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복원율은 상기 윈도우 부재를 5% 인장 후 측정한 복원율일 수 있다.
상기 제2 부재의 모듈러스는 상기 제1 부재의 모듈러스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의 모듈러스는 1MPa 이하이고, 상기 제2 부재의 모듈러스는 100MPa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두께 비는 1:1일 수 있다.
상기 윈도우 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롤링될 수 있다.
동일한 곡률 중심에 대하여 상기 제1 부재의 곡률 반경은 제2 부재의 곡률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 부재의 경도는 제1 부재의 경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각각 실리콘 계열, 우레탄 계열, 및 아크릴 계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며, 제1 모듈러스를 갖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모듈러스 보다 큰 제2 모듈러스를 갖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부재의 복원율은 40% 이상이며, 상기 제1 부재의 복원율과 상기 제2 부재의 복원율 차이의 절대값은 4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복원율은 5% 인장 후 측정한 복원율일 수 있다.
상기 제1 모듈러스는 1MPa 이하이고, 상기 제2 모듈러스는 100MPa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두께 비는 1:1일 수 있다.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각각 실리콘 계열, 우레탄 계열, 및 아크릴 계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 및 윈도우 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롤링될 수 있다.
상기 곡률 반경은 10mm 이하일 수 있다.
동일한 곡률 중심에 대하여 상기 제1 부재의 곡률 반경은 제2 부재의 곡률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상기 제2 부재의 경도는 제1 부재의 경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된 보호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보호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롤링 특성 및 내충격성이 향상된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선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의 변형율 및 복원율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의 Stress-Strain Curve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상에" 배치된다고 하는 것은 상부뿐 아니라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장치(10)는 표시장치(100) 및 하우징(20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100)는 영상을 표시한다. 하우징(200)은 개구부(OP)를 갖는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00)는 하우징(200)의 내부에 말려 보관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100)는 외력에 의해 하우징(200)의 외부로 노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블 표시장치(10)는 손잡이(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30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손잡이(300)는 표시장치(100)와 연결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00)는 플렉서블한 소재의 기판을 채용하여 플렉서블할 수 있다. 플렉서블한 소재의 기판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술폰(PSF),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 및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CO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표시장치(100)는 하우징(200)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롤링축을 기준으로, 권취심(210)에 말리거나 펼쳐질 수 있다. 표시장치(100)는 외력이 가해져, 하우징(2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200) 내부에 말려 보관되던 표시장치(100)는 외력에 의해, 하우징(200)의 개구부(OP)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하우징(200)은 표시장치(100)를 보관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하우징(200)이 대략적으로 원통 형상을 갖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200)은 내부에 표시장치(100)가 말려 보관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하우징(200)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하우징(200)은 두 개 이상의 서브 하우징들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것일 수도 있다.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표시장치(100)가 말려 보관된다. 예를 들어, 표시장치(100)는 하우징(200)에 포함되는 권취심(210)과 연결되어, 말리거나 펼쳐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표시장치(100)가 원통 형상을 갖는 권취심(210)을 둘러싸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권취심(210)은 표시장치(100)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고, 표시장치(100) 체결홈에 표시장치(100)가 체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권취심(210)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권취심(210)은 두 개 이상의 서브 권취심들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I-I'선에 대응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표시장치(100)는 하부패널(CP), 접착부재(AM), 표시패널(PN) 및 윈도우 부재(WM)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패널(CP)은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하부패널(CP)의 평면상 형상 및 크기는 제한되지 않으나, 하부패널(CP)은 평면에서 사각형인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다. 하부패널(CP)은 표시패널(PN)의 배면에 배치되어 표시패널(PN)을 보호하며, 하부패널(CP)은 플렉서블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하부패널(CP)은 표시패널(PN)의 내 충격성을 보완한다. 표시장치(100)는 하부패널(CP)을 포함함으로써, 향상된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접착부재(AM)는 하부패널(CP)의 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부재(AM)는 하부패널(CP)과 표시패널(PN) 사이에 배치된다. 접착부재(AM)는 하부패널(CP)과 표시패널(PN)을 물리적으로 결합시킨다.
접착부재(AM)는 액상의 접착물질이 도포된 후, 경화되어 제조된 접착층이거나, 별도로 제조된 접착시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부재(AM)는 감압 접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광학 투명 점착제(optical clear adhesive, OCA), 또는 광학 투명 레진(optical clear resin, OC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접착부재(AM)는 생략될 수 있다.
표시패널(PN)은 접착부재(AM)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패널(PN)은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표시패널(PN)은 액정표시패널, 유기발광 표시패널, 전기영동 표시패널, 또는 전기습윤 표시패널 등일 수 있고,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다. 표시패널(PN)은 플렉서블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표시패널(PN)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광학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외부 충격이나 외부 환경으로부터 표시패널(PN)을 보호한다.
윈도우 부재(WM)는 제1 부재(W1) 및 제1 부재(W1) 상에 배치되는 제2 부재(W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재(W2)의 복원율을 40% 이상일 수 있으며, 제1 부재(W1)의 복원율과 제2 부재(W2)의 복원율 차이의 절대값은 45% 이하일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전술한 복원율을 가질 경우 롤링 특성이 우수하며, 변형에 의한 응력 완화 효과가 우수하다. 제1 부재(W1)는 롤링 시 발생하는 내부 스트레스를 이완시켜주며, 제2 부재(W2)는 내스크래치성, 내충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반면, 복원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롤링 시 내부 스트레스에 의하여 크랙 등이 발생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부재의 변형률 및 복원율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복원율이란 복원(recovery)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물체에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힘(Load)를 인가하면 물체 내의 미소 요소가 전단력을 받게 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하는 변이 어긋남으로써 각변화가 생기게 되며, 이를 전단변형률(Shear strain)이라 한다. 이후, 힘을 제거하였을 때 물체가 복원되는 정도를 측정한 것이 복원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윈도우 부재(WM)를 5% 인장시킨 후, 10초 후에 윈도우 부재(WM)가 복원되었을 때의 잔류 변형(strain)을 복원율로 계산하였다. 도 9에 도시된 응력-변형 곡선(Stress-Strain Curve)에서 응력이 제거된 A의 잔류 변형률(strain)을 복원율로 계산하였다.
표시장치(100)는 소정의 곡률 반경으로 롤링될 수 있으며, 제2 부재(W2)가 외부를 향하도록 롤링될 수 있다. 표시장치(100)를 롤링하는 동안, 표시장치(100)에 스트레스가 가해진다. 제1 부재(W1)와 제2 부재(W2)에 전술한 바와 같은 복원율을 형성하는 경우, 표시장치(100)가 유연한 가요성과 우수한 복원력을 동시에 구비할 수 있게 된다.
제1 부재(W1)는 제1 모듈러스를 가지고, 제2 부재(W2)는 제1 모듈러스보다 큰 제2 모듈러스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부재(W2)의 경도는 제1 부재(W1)의 경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모듈러스는 인장에 대한 탄성계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제1 부재(W2)는 모듈러스가 증가할수록 딱딱한 성질을 가져 내스크래치성 및 내충격성이 향상되며, 복원력이 향상될 수 있다. 반면에, 모듈러스가 작을수록 제1 부재(W1)는 연신성이 증가하여, 롤링 시 발생하는 내부 스트레스를 이완시켜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듈러스는 1MPa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모듈러스는 100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500MPa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0MPa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는 제1 부재(W1)의 두께(T1), 제2 부재(W2)의 두께(T2), 및 윈도우 부재의 두께(T3)를 각각 도시하였다. 제1 부재(W1)의 두께(T1) 및 제2 부재(W2)의 두께(T2)의 비가 1:1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부재(W1)의 두께(T1) 및 제2 부재(W2)의 두께(T2)의 비가 1:1일 경우, 제1 부재(W1)는 롤링 스트레스에 대해 향상된 강성을 가질 수 있고, 제2 부재(W2)는 높은 내충격성을 가질 수 있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패널(PN)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윈도우 부재(WM)의 두께(T3)는 200 내지 30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부재(W1), 제2 부재(W2), 및 윈도우 부재(WM)의 두께는 각 부재의 모듈러스에 의해 제어가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100)는 소정의 곡률 반경(RC)으로 롤링될 수 있다. 곡률 반경(RC)은 곡률 중심(RX)으로부터 표시장치(100) 사이의 최단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곡률 반경(RC)은 10m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미세 곡률에서도 향상된 롤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표시장치(100)를 구성하는 하부패널(CP), 접착부재(AM), 표시패널(PN), 및 윈도우 부재(WM) 각각은 권취심(210)을 중심으로 롤링된다. 이때, 제1 부재(W1) 및 제2 부재(W2) 각각은 곡률 중심(RX)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따라 상이한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부재(W1)는 제2 부재(W2)와 상이한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부재(W1)가 제2 부재(W2)에 비해 상대적으로 곡률 중심(RX)에 근접하므로, 제1 부재(W1)의 곡률 반경(RC1)은 제2 부재(W2)의 곡률 반경(RC2)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 부재(W1) 및 제2 부재(W2)는 각각 통상적인 고무 재질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실리콘 계열, 우레탄 계열, 및 아크릴 계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우레탄 계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제1 부재(W1) 및 제2 부재(W2)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우레탄 계열을 사용하는 방법을 예로 드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표시패널(PN) 상에 우레탄 계열인 폴리우레탄을 도포한 후 경화하여 제1 부재(W1)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W1) 상에 폴리우레탄을 도포한 후 경화하여 제2 부재(W2)를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직접 코팅 방법을 사용하여 표시패널(PN) 상에 제1 부재(W1)를 형성하고, 제1 부재(W1) 상에 제2 부재(W2)를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접착 부재는 필요로 하지 않는다. 반면, 직접 코팅 방법이 아닌 접착 부재를 사용하여 각 부재를 부착할 경우에는 접착 부재의 낮은 모듈러스로 인하여 윈도우 부재(WM)의 복원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는 표시패널(PN)의 일부분을 간략히 도시하였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PN)은 평면상에서 복수의 발광영역들(LA(i,j)~LA(i+1,j+2)) 및 발광영역들(LA(i,j)~LA(i+1,j+2))을 에워싸는 비 발광영역(NL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5에는 6개의 발광영역들(LA(i,j)~LA(i+1,j+2))이 제공된 부분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발광영역들(LA(i,j)~LA(i+1,j+2))은 각각 소정의 광을 방출한다. 6개의 발광영역들(LA(i,j)~LA(i+1,j+2))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컬러의 광들을 방출할 수 있다.
비 발광영역(NLA)은 실질적으로 발광영역들(LA(i,j)~LA(i+1,j+2))을 구분하는 구성일 수 있다. 비 발광영역(NLA)은 발광영역들(LA(i,j)~LA(i+1,j+2)) 주변으로 방출되는 광을 차단하여 빛샘 등을 방지하고, 발광영역들(LA(i,j)~LA(i+1,j+2))이 분명하게 구획되도록 한다.
발광영역들(LA(i,j)~LA(i+1,j+2)) 각각에는 광을 생성하는 표시소자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소자는 유기발광소자일 수 있다. 표시소자들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신호 배선들은 비 발광영역(NLA)에 중첩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는 화소(PX(i,j))의 등가회로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화소(PX(i,j))는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표시소자를 포함한다. 도 6에서 표시소자는 상술한 유기발광소자(OLED)가 적용된 실시예로 도시되었다. 화소(PX(i,j))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화소(PX(i,j))는 i번째 게이트 라인(GLi)으로부터 게이트 신호를 수신하고, j번째 데이터 라인(DLj)으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 화소(PX(i,j))는 전원라인(KL)으로부터 제1 전원전압(ELVDD)을 수신한다. 화소(PX(i,j))는 유기발광소자(OLED)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부로써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R-S),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D), 및 커패시터(Cap)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R-S)는 i번째 게이트 라인(GLi)에 인가된 게이트에 응답하여 j번째 데이터 라인(DLj)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 커패시터(Cap)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R-S)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D)는 유기발광소자(OLED)에 연결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D)는 커패시터(Cap)에 저장된 전하량에 대응하여 유기발광소자(OLED)에 흐르는 구동전류를 제어한다. 유기발광소자(OLED)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D)의 턴-온 구간 동안 발광한다.
도 7에는 용이한 설명을 위해 도 6에 도시된 등가회로 중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D)와 유기발광소자(OLED)가 배치된 부분의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베이스 기판(SUB) 상에 절연층들(IL1, IL2, IL3),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D), 및 유기발광소자(OLED)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SUB)은 플렉서블하고 절연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기판(SUB)은 폴리이미드(polyimide, PI)를 포함하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SUB) 상에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D)의 반도체 패턴(AL)이 배치된다. 베이스 기판(SUB) 상에 반도체 패턴(AL)을 커버하는 제1 절연층(IL1)이 배치된다. 제1 절연층(IL1)은 유기막 및/또는 무기막을 포함한다. 제1 절연층(IL1)은 복수 개의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IL1) 상에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D)의 제어전극(GE)이 배치된다. 제1 절연층(IL1) 상에 제어전극(GE)을 커버하는 제2 절연층(IL2)이 배치된다. 제2 절연층(IL2)은 유기막 및/또는 무기막을 포함한다. 제2 절연층(IL2)은 복수 개의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IL2) 상에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D)의 입력전극(SE) 및 출력전극(DE)이 배치된다. 입력전극(SE)과 출력전극(DE)은 제1 절연층(IL1) 및 제2 절연층(IL2)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CH1)과 제2 관통홀(CH2)을 통해 반도체 패턴(AL)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D)는 바텀 게이트 구조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제2 절연층(IL2) 상에 입력전극(SE) 및 출력전극(DE)을 커버하는 제3 절연층(IL3)이 배치된다. 제3 절연층(IL3)은 유기막 및/또는 무기막을 포함한다. 제3 절연층(IL3)은 복수 개의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절연층(IL3) 상에 화소 정의막(PXL) 및 유기발광소자(OLED)가 배치된다. 유기발광소자(OLED)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전극(AE), 제1 공통층(CL1), 유기 발광층(EML), 제2 공통층(CL2), 제2 전극(CE)을 포함한다. 제1 전극(AE)은 제3 절연층(IL3)을 관통하는 제3 관통홀(CH3)을 통해 출력전극(DE)에 연결된다. 유기발광소자(OLED)의 발광 방향에 따라 제1 전극(AE)과 제2 전극(CE)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고, 제1 공통층(CL1)과 제2 공통층(CL2)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제3 절연층(IL3) 상에 제1 전극(AE)이 배치된다. 화소 정의막(PXL)의 개구부(OP)는 제1 전극(AE)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킨다.
제1 공통층(CL1)은 제1 전극(AE) 상에 배치된다. 제1 공통층(CL1)은 개구부(OP)에 대응하는 발광영역(LA)뿐만 아니라 비 발광영역(NLA)에도 배치된다. 제1 공통층(CL1)은 정공 제어 영역일 수 있다. 제1 공통층(CL1)은 정공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제어하고 전자의 이동과 균형을 맞추도록 정공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공통층(CL1)은 정공 수송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통층(CL1) 상에 유기 발광층(EML)이 배치된다. 유기 발광층(EML)은 상기 개구부(OP)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배치된다. 유기발광층(EML) 상에 제2 공통층(CL2)이 배치된다. 제2 공통층(CL2)은 전자 주입층을 포함한다. 제2 공통층(CL2)은 전자 제어 영역일 수 있다. 제2 공통층(CL2)은 전자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제어하고 정공의 이동과 균형이 맞도록 전자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공통층(CL1)은 전자 수송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통층(CL2) 상에 제2 전극(CE)이 배치된다. 제2 전극(CE)은 개구부(OP)에 대응하는 발광영역(LA)뿐만 아니라 비 발광영역(NLA)에도 배치된다.
제2 전극(CE) 상에 봉지층(ECL)이 배치된다. 봉지층(ECL)은 발광영역(LA)와 비 발광영역(NLA)에 모두 중첩한다. 봉지층(ECL)은 유기막 및/또는 무기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전극(CE)과 봉지층(ECL) 사이에는 평탄화를 위한 제4 절연층(미 도시)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봉지층(ECL)은 봉지기판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R-S)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R-D)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커패시터(Cap)의 2개의 전극들은 제1 절연층(IL1), 제2 절연층(IL2), 및 제3 절연층(IL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00㎛ 두께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 상에 접착부재를 배치한 후, 상기 접착부재 상에 표시패널을 부착하였다. 이후, 상기 표시패널 상에 폴리우레탄을 100㎛ 두께로 도포한 후, 경화하여 91.2%의 복원율을 갖는 제1 부재를 형성하였다. 상기 제1 부재 상에 폴리우레탄을 100㎛ 두께로 도포한 후, 경화하여 50.1%의 복원율을 갖는 제2 부재를 형성하여 윈도우 부재를 형성하였다.
이때, 윈도우 부재를 1.52mm/s의 속도로 5% 인장시킨 후, 10초 후에 윈도우 부재가 복원되었을 때의 잔류 변형률(도 9의 A)을 복원율로 계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6]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복원율을 하기 표 1과 같이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시장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6]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복원율을 하기 표 1과 같이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시장치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롤링 특성 확인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각각 제조한 표시장치를 곡률 반경 10mm로 롤링을 하였다. 이때, 제2 부재의 크랙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제2 부재의 복원율이 40% 이상이고, 제1 부재의 복원율과 제2 부재의 복원율 차이의 절대값이 45% 이하인 경우(실시예 1 내지 6), 표시장치를 롤링할 시 제2 부재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제2 부재의 복원율이 40% 미만이거나, 제1 부재의 복원율과 제2 부재의 복원율 차이의 절대값이 45%를 초과하는 경우(비교예 1 내지 6)에는 표시장치를 롤링할 시 제2 부재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와 비교예 3 내지 5를 비교하면, 제1 부재의 복원율이 45.6%이고, 제1 부재의 복원율과 제2 부재의 복원율 차이의 절대값이 37.5%인 실시예 2의 경우에는 표시장치 롤링 시 제2 부재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으나, 제1 부재의 복원율이 45.6%이나, 제1 부재의 복원율과 제2 부재의 복원율 차이의 절대값이 45%를 초과하는 비교예 3 내지 5의 경우에는 표시장치 롤링 시 제2 부재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5와 비교예 2를 비교하면, 제2 부재의 복원율은 동일하나 제1 부재의 복원율과 제2 부재의 복원율 차이의 절대값이 상이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제1 부재의 복원율과 제2 부재의 복원율 차이의 절대값이 22.1%인 실시예 5의 경우에는 표시장치 롤링 시 제2 부재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으나, 비교예 2는 제1 부재의 복원율과 제2 부재의 복원율 차이의 절대값이 98.5%로 45%를 초과하여 표시장치 롤링 시 제2 부재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제2 부재의 복원율이 40% 이상, 제1 부재의 복원율과 제2 부재의 복원율 차이의 절대값이 45% 이하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 표시장치 롤링 시 외부층인 제2 부재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아 롤링 특성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 부재의 복원율(%) 제2 부재의 복원율(%) △복원율
(제2 부재-제1 부재)
크랙 발생 여부
실시예 1 91.2 50.1 41.1 X
실시예 2 45.6 83.1 37.5 X
실시예 3 98.5 83.1 15.5 X
실시예 4 45.6 76.5 30.9 X
실시예 5 98.5 76.5 22.1 X
실시예 6 6.0 44.2 38.1 X
비교예 1 77.5 9.0 68.4 O
비교예 2 98.5 0 98.5 O
비교예 3 45.6 0 45.6 O
비교예 4 45.6 23.4 22.2 O
비교예 5 45.6 10.7 34.9 O
비교예 6 6.0 65.9 59.9 O
[실시예 7]
100㎛ 두께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 상에 접착부재를 배치한 후, 상기 접착부재 상에 표시패널을 부착하였다. 이후, 상기 표시패널 상에 폴리우레탄을 100㎛ 두께로 도포한 후, 경화하여 91.2%의 복원율 및 1MPa의 모듈러스를 갖는 제1 부재를 형성하였다. 상기 제1 부재 상에 폴리우레탄을 100㎛ 두께로 도포한 후, 경화하여 50.1%의 복원율 및 100MPa의 모듈러스를 갖는 제2 부재를 형성하여 윈도우 부재를 형성하였다.
이때, 모듈러스는 하기와 같은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1) 샘플 크기: 폭 25mm, 길이 100mm, 두께: 100㎛
2) 평가 속도: 50mm/min
3) 모듈러스 구간: 0.025~0.5% strain 구간의 기울기
[실시예 8 내지 9]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모듈러스를 하기 표 2와 같이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시장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내지 12]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두께를 각각 150㎛로 변경하고, 모듈러스를 하기 표 2와 같이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시장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7 내지 9]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모듈러스를 하기 표 2와 같이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시장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0 내지 12]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두께를 각각 150㎛로 변경하고, 모듈러스를 하기 표 2와 같이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시장치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2] 윈도우 부재의 모듈러스 및 두께에 따른 내충격성 확인
실시예 7 내지 12 및 비교예 7 내지 12에서 각각 제조한 표시장치의 충격 시험을 측정하였다. 충격 시험은 펜 드롭(pen drop) 및 볼 드롭(ball drop) 방식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표시패널에 인가되는 임계변형(critical strain)을 해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임계변형이 0.7% 이하인 경우를 OK 판정하였다.
제1 부재의 모듈러스가 1MPa이고, 제2 부재의 모듈러스가 100MPa 이상일 경우(실시예 7 내지 9), 임팩트 볼(Impact Ball) 특성에서 표시패널에 인가되는 임계변형이 0.7% 이하로 내충격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의 모듈러스가 1MPa이고, 제2 부재의 모듈러스가 1000MPa인 경우(실시예 9), 임팩트 볼(Impact Ball) 및 임팩트 펜(Impact Pen) 특성에서 표시패널에 인가되는 임계변형이 모두 0.7% 이하로 내충격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예 7 내지 9와 같이 제1 부재의 모듈러스가 5MPa인 경우에는 임팩트 볼(Impact Ball) 및 임팩트 펜(Impact Pen) 특성에서 표시패널에 인가되는 임계변형이 모두 0.7% 초과로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두께가 각각 100㎛로 윈도우 부재의 두께가 200㎛일 경우에는, 제1 부재의 모듈러스가 1MPa이고, 제2 부재의 모듈러스가 1000MPa를 만족하는 경우에 표시장치의 내충격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의 모듈러스가 1MPa이고, 제2 부재의 모듈러스가 100MPa일 때(실시예 10), 임팩트 볼(Impact Ball) 및 임팩트 펜(Impact Pen) 특성에서 표시패널에 인가되는 임계변형이 모두 0.7% 이하로 내충격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두께가 각각 150㎛로 윈도우 부재의 두께가 300㎛일 경우에는, 제1 부재의 모듈러스가 1MPa이고, 제2 부재의 모듈러스가 100MPa를 만족하는 경우에 표시장치의 내충격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제1 부재의 두께(㎛) 제2 부재의 두께(㎛) 제1 부재의 모듈러스
(MPa)
제2 부재의 모듈러스
(MPa)
Impact Ball(%) Impact Pen(%)
7cm 9cm 7cm 9cm
실시예 7 100 100 1 100 0.6130 0.6740 1.1350 1.347
실시예 8 1 500 0.6243 0.6950 0.6826 0.842
실시예 9 1 1000 0.6103 0.6770 0.5024 0.602
실시예 10 150 150 1 100 - 0.4937 - 0.6970
실시예 11 1 500 - - - 0.3538
실시예 12 1 1000 - - - -
비교예 7 100 100 5 100 - 1.3760 - 1.636
비교예 8 5 500 - 1.4900 - 1.270
비교예 9 5 1000 - 14880 - 1.099
비교예 10 150 150 5 100 - 1.1650 - 0.131
비교예 11 5 500 - 1.2200 - 0.870
비교예 12 5 1000 - 1.1900 - 0.717
[실시예 13 내지 17]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모듈러스와 두께를 각각 하기 표 3과 같이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시장치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3] 제1 부재 및 제2 부재의 두께비 및 모듈러스에 따른 내충격성 확인
실시예 13 내지 27 및 비교예 13 내지 27에서 각각 제조한 표시장치의 충격 시험을 측정하였다. 충격 시험은 펜 드롭(pen drop) 및 볼 드롭(ball drop) 방식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표시패널에 인가되는 임계변형(critical strain)을 해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임계변형이 0.7% 이하인 경우를 OK 판정하였다.
제1 부재의 모듈러스가 1MPa이고, 제2 부재의 모듈러스가 100MPa 이상일 경우(실시예 13 내지 17)에는, 제1 부재의 두께가 제2 부재의 두께와 같거나, 제2 부재의 두께보다 두꺼울 때(실시예 15 내지 17)에 임팩트 볼(Impact Ball) 특성에서 표시패널에 인가되는 임계변형이 0.7% 이하로 내충격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의 모듈러스가 1MPa이고, 제2 부재의 모듈러스가 500MPa인 경우(실시예 18 내지 22)에도, 제1 부재의 두께가 제2 부재의 두께와 같거나, 제2 부재의 두께보다 두꺼울 때(실시예 20 내지 22)에 임팩트 볼(Impact Ball) 특성에서 표시패널에 인가되는 임계변형이 0.7% 이하로 내충격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제1 부재의 모듈러스가 1MPa이고, 제2 부재의 모듈러스가 800MPa인 경우(실시예 23 내지 27)에는, 제1 부재의 두께가 제2 부재의 두께와 같거나, 제2 부재의 두께보다 얇을 때(실시예 23 내지 25)에 임팩트 펜(Impact Pen) 특성에서 표시패널에 인가되는 임계변형이 0.7% 이하로 내충격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제1 부재의 두께가 제2 부재의 두께와 같거나, 제2 부재의 두께보다 두꺼울 때(실시예 25 내지 27)에 임팩트 볼(Impact Ball) 특성에서 표시패널에 인가되는 임계변형이 0.7% 이하로 내충격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제1 부재의 두께와 제2 부재의 두께의 비가 1:1일 경우에 내충격성이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제1 부재의 모듈러스가 1MPa이고, 제2 부재의 모듈러스가 800MPa인 경우, 임팩트 볼(Impact Ball) 및 임팩트 펜(Impact Pen) 특성에서 표시패널에 인가되는 임계변형이 모두 0.7% 이하로 내충격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1 부재의 모듈러스가 1MPa이고, 제2 부재의 모듈러스가 800MPa이며, 제1 부재의 두께와 제2 부재의 두께의 비가 1:1일 경우에 내충격성이 가장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펜과 볼의 드롭(drop) 높이가 9cm인 경우의 결과이며, 임팩트 타겟(Impact target)의 드롭(drop) 높이에 따라 충격 시험에 만족하는 제1 부재, 제2 부재, 및 윈도우 부재의 각 두께와 각 부재의 모듈러스는 변경되며 제어가 가능하다.
제1 부재의 두께(㎛) 제2 부재의 두께(㎛) 제1 부재의 모듈러스(MPa) 제2 부재의 모듈러스(MPa) Impact Ball(%) Impact Pen(%)
9cm 9cm
실시예 13 50 150 1 100 0.8071 1.2610
실시예 14 75 125 0.7691 1.3410
실시예 15 100 100 0.6735 1.3470
실시예 16 125 75 0.5981 1.4670
실시예 17 150 50 0.5322 1.7770
실시예 18 50 150 1 500 0.8899 0.7360
실시예 19 75 125 0.8131 0.8056
실시예 20 100 100 0.6951 0.8423
실시예 21 125 75 0.6099 1.075
실시예 22 150 50 0.565 1.248
실시예 23 50 150 1 800 0.8799 0.5991
실시예 24 75 125 0.8012 0.6349
실시예 25 100 100 0.6844 0.6614
실시예 26 125 75 0.6053 0.8114
실시예 27 150 50 0.5337 1.017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롤러블 표시장치 100: 표시장치
200: 하우징 300: 손잡이
W1: 제1 부재 W2: 제2 부재
WM: 윈도우 부재 PN: 표시패널
AM: 접착부재 CP: 보호패널

Claims (20)

  1.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일면 상에 배치된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의 복원율은 40% 이상이며,
    상기 제1 부재의 복원율과 상기 제2 부재의 복원율 차이의 절대값은 45% 이하인 윈도우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율은 상기 윈도우 부재를 5% 인장 후 측정한 복원율인 윈도우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의 모듈러스는 상기 제1 부재의 모듈러스 보다 큰 윈도우 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모듈러스는 1MPa 이하이고,
    상기 제2 부재의 모듈러스는 100MPa 이상인 윈도우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두께 비는 1:1인 윈도우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롤링되는 윈도우 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동일한 곡률 중심에 대하여 상기 제1 부재의 곡률 반경은 제2 부재의 곡률 반경보다 작은 윈도우 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의 경도는 제1 부재의 경도보다 큰 윈도우 부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각각 실리콘 계열, 우레탄 계열, 및 아크릴 계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
  10.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며, 제1 모듈러스를 갖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모듈러스 보다 큰 제2 모듈러스를 갖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부재의 복원율은 40% 이상이며,
    상기 제1 부재의 복원율과 상기 제2 부재의 복원율 차이의 절대값은 45% 이하인 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율은 5% 인장 후 측정한 복원율인 표시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듈러스는 1MPa 이하이고,
    상기 제2 모듈러스는 100MPa 이상인 표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두께 비는 1:1인 표시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각각 실리콘 계열, 우레탄 계열, 및 아크릴 계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및 윈도우 부재는 롤링된 상태에서 곡률 반경을 갖는 윈도우 부재의 축 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롤링되는 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 반경은 10mm 이하인 표시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동일한 곡률 중심에 대하여 상기 제1 부재의 곡률 반경은 제2 부재의 곡률 반경보다 작은 표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2 부재의 경도는 제1 부재의 경도보다 큰 표시장치.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된 보호패널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보호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170095673A 2017-07-27 2017-07-27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426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673A KR102426130B1 (ko) 2017-07-27 2017-07-27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5/957,659 US11398607B2 (en) 2017-07-27 2018-04-19 Window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673A KR102426130B1 (ko) 2017-07-27 2017-07-27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185A KR20190014185A (ko) 2019-02-12
KR102426130B1 true KR102426130B1 (ko) 2022-07-29

Family

ID=65038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673A KR102426130B1 (ko) 2017-07-27 2017-07-27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398607B2 (ko)
KR (1) KR1024261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138B1 (ko) * 2018-01-04 2023-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KR102573255B1 (ko) * 2018-11-15 2023-08-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130565A (ko) * 2019-05-09 2020-1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102663520B1 (ko) * 2019-08-23 2024-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10033567A (ko) 2019-09-18 2021-03-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7496827A (zh) * 2019-11-22 2024-02-02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可弯折式电子装置
CN115713892B (zh) * 2022-11-03 2024-07-09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盖板、显示屏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38171A1 (en) * 2004-10-05 2006-04-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ollable display device
KR102039496B1 (ko) * 2013-08-19 2019-1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 장치
KR20150035642A (ko) 2013-09-27 2015-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윈도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132235B1 (ko) 2013-11-28 2020-07-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271485B1 (ko) * 2014-01-13 2021-07-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347532B1 (ko) 2014-01-23 2022-0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을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71174A (ko) 2014-12-11 2016-06-2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유연 전도성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US10752810B2 (en) * 2015-06-03 2020-08-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ssembly layer for flexible display
KR102094450B1 (ko) 2015-08-03 2020-03-27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렉시블 플라스틱 필름
KR101854524B1 (ko) 2015-08-06 2018-05-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KR102554290B1 (ko) 2016-05-23 2023-07-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98607B2 (en) 2022-07-26
KR20190014185A (ko) 2019-02-12
US20190036048A1 (en) 2019-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6130B1 (ko)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271485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651155B1 (ko) 전자 장치
US10440817B2 (en) Foldable display
CN105810104B (zh) 可折叠显示装置
CN107665063B (zh) 显示装置
KR102342846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230010267A (ko) 표시 장치
US20150200375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90000967A (ko) 전자 장치
KR20160047651A (ko) 롤러블 표시 장치, 롤러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TW201448314A (zh) 具有改良之彎曲特性的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US11074836B2 (en) Display apparatus
US11075358B2 (en) Display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KR102604282B1 (ko) 표시장치
KR20160078314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200102572A (ko) 표시장치
US11770946B2 (en) Window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0591958B2 (en) Rollable display device
KR102324027B1 (ko)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116123A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