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4011A - 구멍쇠미역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멍쇠미역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4011A
KR20210064011A KR1020200024452A KR20200024452A KR20210064011A KR 20210064011 A KR20210064011 A KR 20210064011A KR 1020200024452 A KR1020200024452 A KR 1020200024452A KR 20200024452 A KR20200024452 A KR 20200024452A KR 20210064011 A KR20210064011 A KR 20210064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betes
present
compound
seawee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6890B1 (ko
Inventor
곽종환
윤환수
전유경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064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02Acyclic radicals, not substituted by cyclic structures
    • C07H15/04Acyclic radicals, not substituted by cyclic structures attached to an oxyge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iabet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조류인 구멍쇠미역(Agarum clathratum subsp. yakishiriense Yamada ex G.H. Boo & P.C. Silva)에서 분리된 신규한 모노갈락토실모노아실글리세롤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천연물 유래 성분으로 인체에 독성이 없어 안전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신규한 모노갈락토실모노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은 제1형 및 제2형 당뇨병에 의한 고혈당을 감소시켜 줄 수 있고, 당뇨병에 의한 증상들을 개선시킬 수 있어,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바, 관련 산업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구멍쇠미역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DIABETES CONTAINING NOVEL COMPOUNDS ISOLATED FROM AGARUM CLATHRATUM}
본 발명은 해조류인 구멍쇠미역(Agarum clathratum subsp. yakishiriense Yamada ex G.H. Boo & P.C. Silva)에서 분리된 신규한 모노갈락토실모노아실글리세롤 화합물 및 이의 당뇨병의 치료 및 예방 용도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생체내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 β세포의 파괴 혹은 기능저하로 인해 인슐린 분비의 저하 및 유전적 요인이나 비만에 의해 조직내 인슐린 수용체의 거부반응으로 혈당이 조직으로 운반되지 않고 소변을 통해 배설되는 대사성 질환으로 고혈당, 고당뇨를 주요 특징으로 한다. 당뇨가 유발되면 인슐린과 글루카곤의 분비상태가 교란되어 탄수화물 뿐 만 아니라, 단백질 및 지질대사 등 생체 내 대사 조절기능에 이상이 생겨 여러 가지 대사질환이 나타나게 되며, 당뇨 증상이 오래 지속되면 모세혈관의 상피 세포막의 비후가 일어나 순환기계 등에 많은 합병증의 유발이 문제시되고 있다. 당뇨병 치료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목표는 혈당치를 가능한 정상치에 가깝게 조절하는 것이며, 치료 방법으로 약물요법, 식이요법 및 운동요법을 실시하고 있다. 현재 제 1형 및 제 2형 당뇨병 환자에게 사용되는 경구혈당강하제로, α-글루코시다아제(α-glucosidase) 억제제, 설포닐우레아(sulfonylurea) 제제 및 비구아니드(biguanide) 제제가 있으며, α-글루코시다아제 억제제는 섭취한 식이 중의 탄수화물의 소화와 흡수를 지연시켜 식후 혈당 및 혈중 인슐린의 상승을 감소시킴으로써 당뇨병의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α-글루코시다아제 억제제는 고인슐린혈증이나 저혈당을 유발하지 않고, 인슐린분비를 촉진시키며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하는 글루카곤-유사-펩티드-1(glucagon-like peptide-1)의 소장에서의 분비를 촉진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는 아카보스(acarbose), 보길리보스 (voglibose) 및 미글리톨(miglitol) 등이 있으나, α-글리코시다아제 억제제를 장기간 복용한 경우 일부 환자에 있어서 복부 팽만감, 구토 설사 등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어 그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당뇨병의 치료제료서, 스타틴류 약물을 투여하였고, 상기 스타틴류 약물은 LDL(low-density lipoprotein)의 감소를 유발하나, HDL(High-density lipoprotein) level을 높이지는 못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스타틴류 약물이 근육의 에너지 생산을 돕는 코엔자임 Q10의 체내 합성을 줄이고 근육 독성을 유발하는 물질을 증가시키며 스타틴류 약물의 복용시 약 9%의 당뇨병 발생 확률이 연구결과를 통해 확인되었다. 2012년 미국에서는 모든 스타틴 계열 약물에 당뇨 발생의 위험성을 고지하는 내용의 라벨을 추가한 바 있으며 한국 역시 스타틴 성분의 몇몇 제품의 당뇨병 유발 가능성을 알린 바 있다. 또한 스타틴 사용 시 폐암, 대장암, 유방암, 위암, 피부암의 발생과 연관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 따라서 치료약의 부작용을 해결할 대체 물질 개발이 필수적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68658호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구멍쇠미역에서 분리된 신규한 모노갈락토실모노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분리하고, 이 화합물이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식에서,
R은 C2-20 알킬 또는 C2-20 알켄임.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diabetes mellitus)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멍쇠미역(Agarum clathratum subsp. yakishiriense Yamada ex G.H. Boo & P.C. Silv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멍쇠미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멍쇠미역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모노갈락토실모노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은 천연물 유래 성분으로 인체에 독성이 없어 안전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신규한 모노갈락토실모노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은 제1형 및 제2형 당뇨병에 의한 고혈당을 감소시켜 줄 수 있고, 당뇨병에 의한 증상들을 개선시킬 수 있어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바, 관련 산업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구멍쇠미역의 추출 및 용매 분획 스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구멍쇠미역 에탄올추출물의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화합물의 분리 스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멍쇠미역에서 분리된 화합물 1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멍쇠미역에서 분리된 화합물 1의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멍쇠미역에서 분리된 화합물 2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멍쇠미역에서 분리된 화합물 2의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멍쇠미역에서 분리된 화합물 3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멍쇠미역에서 분리된 화합물 3의 13C-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멍쇠미역 에탄올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alloxan유발 제1형 당뇨에 대한 회복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멍쇠미역 에탄올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과다 insulin유발 제2형 당뇨에 대한 회복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멍쇠미역에서 분리된 화합물 1의 alloxan유발 제1형 당뇨에 대한 회복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구멍쇠미역에서 분리된 화합물의 과다 insulin유발 제2형 당뇨에 대한 회복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 당업자에게 주지 저명한 기술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해조류인 구멍쇠미역(Agarum clathratum subsp. yakishiriense Yamada ex G.H. Boo & P.C. Silva)에서 분리된 신규한 모노갈락토실모노아실글리세롤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식에서,
R은 C2-20 알킬 또는 C2-20 알켄임.
상기 신규한 모노갈락토실모노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산 부가염은 염산, 질산, 인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아질산, 아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류, 지방족 모노 및 다이카르복실레이트, 페닐-치환된 알카노에이트, 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및 알칸디오에이트, 방향족 산류, 지방족 및 방향족 설폰산류 등과 같은 무독성 유기산, 아세트산, 안식향산, 구연산, 젖산, 말레인산, 글루콘산, 메탄설폰산, 4-톨루엔설폰산, 주석산, 푸마르산등과 같은 유기산으로부터 얻는다. 이러한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의 종류로는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나이트레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다이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플루오라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레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산-1,6-다이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 벤조에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테레프탈레이트, 벤젠설포네이트, 톨루엔설포네이트, 클로로벤젠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β-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말레이트, 타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만델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 부가염은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다이클로로메탄, 아세토나이트릴 등과 같은 유기용매에 녹이고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가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 건조시켜 제조하거나, 용매와 과량의 산을 감압 증류한 후 건조시켜 유기용매 하에서 결정화시켜셔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금속염을 만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 염을 여과하고,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는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다. 또한, 이에 대응하는 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을 적당한 음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용매화물, 수화물 등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보조제(adjuvant)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프로인트(Freund)의 완전 보조제 또는 불완전 보조제를 더 포함하여 그 면역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에 혼입시킨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제약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이용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는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전,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통상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그러한 고형 제제는 유효성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르보네이트,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용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용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유와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개체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이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정맥, 근육, 피하, 복강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개체의 연령, 체중, 성별, 신체 상태 등을 고려하여 선택된다. 상기 약학 조성물 중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농도는 대상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바람직하게는 약학 조성물에 0.01 ~ 5,000 ㎍/ml의 농도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농도가 0.01 ㎍/ml 미만일 경우에는 약학 활성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5,000 ㎍/ml를 초과할 경우에는 인체에 독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다양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제형의 대표적인 것은 주사용 제제이며, 주사용 제제의 용매로서 물, 링거액, 등장성 생리식염수 또는 현탁액을 들 수 있다. 상기 주사용 제제의 멸균 고정 오일은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사용할 수있으며 모노-,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여 어떠한 무자극성 고정오일도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용 제제는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추출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정제,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성 식품 조성물'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 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멍쇠미역(Agarum clathratum subsp. yakishiriense Yamada ex G.H. Boo & P.C. Silv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에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및 아세토나이트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구멍쇠미역을 추출하기 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분획물은 디클로로메탄,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메탄올, 에탄올 및 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된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디클로로메탄, 부탄올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추출물은 상기한 열수 추출 또는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구멍쇠미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은 상술한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제제 또는 식품 제제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술한 본 발명의 조성물과 중복된 내용은 중복된 내용의 기재에 의한 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구멍쇠미역 추출물 및 분획물의 제조
1-1. 구멍쇠미역의 추출
동결 건조한 구멍쇠미역 1kg을 에탄올로 실온에서 2회 추출하고 60℃의 수욕 상에서 1회 추출 및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1-2. 구멍쇠미역 추출물의 유기용매 분획
상기 1-1에서 얻어진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물로 현탁한 후 동량의 증류수 900ml에 현탁하고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로 각각 3회 상법에 따라 분획하여 디클로로메탄(10.76g), 에틸아세테이트(2.3g), n-부탄올(4.85g) 및 물 분획(74.89g)을 얻었다(도 1).
1-3. 구멍쇠미역의 에틸아세테이트로부터 모노갈락토실모노아실글리세롤류의 분리
상기 1-2에서 얻어진 구멍쇠미역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2.3g)을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용출액; methanol)로 분리하였다. 이 중 1번 분획(E1) 612.8mg을 ethyl acetate:methanol:water(100:3:2)의 혼합용매를 사용한 silica gel chromatography로 부터 12개의 분획물을 얻었다. 88.4mg의 4번 분획(E1-4)을 다시 LiChroprep RP-18 (40-63μm, Merck, U.S.A.) chromatography(용출액; 70% methanol)하여, compound 1 (9.6mg), compound 2 (6.5mg) 및 compound 3 (6.6mg)을 얻었다(도 2).
상기에서 분리된 3종의 모노갈락토실모노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의 구조는 1D- 및 2D-NMR을 포함한 기기분석 데이터로부터 화합물 1(화학식 2)과 2(화학식 3)는 monogalactosylmonoacylglycerol류의 신규 화합물로 그 화학구조는 하기와 같으며, (2S)-1-O-(6Z,9Z,12Z,15Z-hexadecatetraenoyl)-3-O-β-D-galactopyranosyl glycerol (1) 및 (2S)-1-O-(6Z,9Z,12Z-hexadecatetraenoyl)-3-O-β-D- galactopyranosylglycerol (2)로 결정하였고, 하나의 알려진 동일 계열의 화합물인 화합물 3(화학식 4)는 (2S)-1-O-(9Z-hexadecatetraenoyl)-3-O-β-D-galactopyranosylglycerol (3)로 확인하였다(도 3 내지 도 8).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실시예 2. 구멍쇠미역 추출물과 분획물 그리고 구멍쇠미역에서 분리된 모노갈락토실모노아실글리세롤류의 항당뇨 활성
2-1. 알록산으로 유발한 제1형 당뇨 제브라피쉬 모델
제브라피쉬를 이용한 제 1형 당뇨 모델은 제브라피쉬의 치어를 alloxan을 통해 당뇨를 유발하고 형광물질인 2-NBDG를 이용하여 형태학적으로 pancreatic islet을 평가하였다. 5 dpf (day post fertilization)의 제브라피쉬 치어를 96 well에 위치시킨 후 25 μM 2-NBDG로 12시간 동안 염색하였다. 그런 다음 100 μM alloxan 에 15분간 노출시켰으며, 0.03% sea salt 용액으로 바꾸어 5시간째까지 노출하였다. 직접적인 pancreatic islet의 관찰을 위해 형광현미경 (Olympus 1X70, Olympus, Japan) 을 사용하였으며, 형광 현미경 관찰 전에 25 μM 2-NBDG를 1시간 동안 재 염색하였다. 1차 현미경 촬영 후에 각 해양식물 추출물 100 μg/mL를 제조하여 1시간동안 노출하였다. 해양식물 추출물로 인한 pancreatic islet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2차 현미경 촬영을 하였으며, 1차 현미경 촬영과 동일하게 형광현미경 관찰 전에 25 μM 2-NBDG를 1시간동안 재염색하였다. 형광현미경을 통해 획득한 이미지는 Focus Lite 및 Image J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제브라피쉬의 pancreatic islet 크기와 pancreatic islet의 형광 염색 intensity를 분석하였다.
2-2. 고농도 인슐린으로 유발한 제2형 당뇨 제브라피쉬 모델
Type 2 diabetic zebrafish 모델은 치어를 높은 농도의 인슐린에 노출시켜 인위적인 인슐린 저항성을 일으켜 2형 당뇨를 유발하였다. 2형 당뇨 유발은 pancreatic islet을 통해 사이즈 측정을 하여 손상정도를 확인하였고, 형광밝기를 측정하여 당흡수 능력을 평가하였다. 5 dpf (day post fertilization)의 제브라피쉬 치어를 6 well에 위치시킨 후, 10 μM insulin에 48시간 노출시켰으며, 이 후에 각 해양식물 추출물 100 μg/mL를 제조하여 48시간 동안 노출하였다. 직접적인 pancreatic islet의 관찰을 위해 형광현미경 (Olympus 1X70, Olympus, Japan) 을 사용하였으며, 형광현미경 관찰 전에 40 μM 2-NBDG를 30분동안 염색하였다. 형광현미경을 통해 획득한 이미지는 Focus Lite 및 Image J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제브라피쉬의 pancreatic islet 크기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는 Graphpad Prism (version 5)를 이용하여 one-way ANOVA로 분석하였고, 집단 간 비교를 위한 사후 분석은 Tukey로 검증하였으며, P < 0.05 이상일 때만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2-3. 구멍쇠미역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당뇨 활성
구멍쇠미역의 에탄올 추출물과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및 물 분획물은 모두 상기 2-1의 제1형 당뇨모델인 alloxan 유발 췌장의 손상을 유의성 있게 회복시킴을 확인하였다(도 9). 또한, 상기 2-2의 제2형 당뇨모델인 고농도 insulin 유발 췌장의 손상에 대하여 구멍쇠미역의 에탄올 추출물과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물 분획물은 강한 항당뇨 효과를 보였다(도 10).
이상의 결과로부터 구멍쇠미역의 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은 제1형 및 제2형의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2-4. 모노갈락토실모노아실글리세롤류의 항당뇨 활성
구멍쇠미역으로부터 분리된 모노갈락토실모노아실글리세롤류의 신규 화합물인(2S)-1-O-(6Z,9Z,12Z,15Z-hexadecatetraenoyl)-3-O-β-D-galacto- pyranosylglycerol (1), (2S)-1-O-(6Z,9Z,12Z-hexadecatetraenoyl)-3-O-β-D-galactopyranosylglycerol (2)과 하나의 알려진 동일 계열의 화합물 (2S)-1-O-(9Z-hexadecatetraenoyl)-3-O-β-D-galactopyranosylglycerol (3)을 유효성분으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상기 화합물 1은 상기 실시예 2-1의 제1형 당뇨모델인 alloxan 유발 췌장의 손상을 유의성 있게 회복시킴을 확인하였다(도 11).
또한, 상기 2-2의 제2형 당뇨모델인 insulin 유발 췌장의 손상에 대하여 상기 화합물 1-3은 모두 강한 항당뇨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도 12).
이상의 결과로부터 구멍쇠미역에서 분리된 모노갈락토실모노아실글리세롤류 및 이를 함유하는 추출물 및 특정 분획물은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에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
    [화학식 1]
    Figure pat00009

    상기 식에서,
    R은 C2-20 알킬 또는 C2-20 알켄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 2 내지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3. 제1항 또는 제2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diabetes mellitus)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5. 구멍쇠미역(Agarum clathratum subsp. yakishiriense Yamada ex G.H. Boo & P.C. Silv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에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및 아세토나이트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것인,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디클로로메탄,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메탄올, 에탄올 및 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된 것인, 조성물.
  8. 구멍쇠미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200024452A 2019-11-25 2020-02-27 구멍쇠미역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3068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041 2019-11-25
KR20190152041 2019-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011A true KR20210064011A (ko) 2021-06-02
KR102306890B1 KR102306890B1 (ko) 2021-09-29

Family

ID=763728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452A KR102306890B1 (ko) 2019-11-25 2020-02-27 구멍쇠미역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200024451A KR102306888B1 (ko) 2019-11-25 2020-02-27 구멍쇠미역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451A KR102306888B1 (ko) 2019-11-25 2020-02-27 구멍쇠미역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068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8658A (ko) 2005-12-27 2007-07-02 한미약품 주식회사 암로디핀 캠실레이트 및 심바스타틴을 포함하는 복합제제,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39151A (ko) * 2009-10-09 2011-04-15 (주)에스.앤.디 해양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
KR20140070788A (ko) * 2012-11-27 2014-06-11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한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613B1 (ko) 2010-06-13 2013-11-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KR20180047659A (ko) * 2016-11-01 2018-05-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8658A (ko) 2005-12-27 2007-07-02 한미약품 주식회사 암로디핀 캠실레이트 및 심바스타틴을 포함하는 복합제제,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39151A (ko) * 2009-10-09 2011-04-15 (주)에스.앤.디 해양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
KR20140070788A (ko) * 2012-11-27 2014-06-11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포함하는 한과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 Agarwal et al., "Alpha-amylase inhibition can treat diabetes mellitus.", Research and Reviews Journal of Medical and Health Sciences, Vol.5, Issue 4 (2016.09.30)* *
P. B. Shinde et al., "New Glycerides from a Two-Sponge Association of Jaspis sp. and Poecillastra sp.", Pharmaceutical Biology, 2008, Vol.46, Nos.10-11, pp.814-818 (2009.01.05.)* *
Y. HIRAGA et al., "Three new glycolipids with cytolytic activity from cultured marine dinoflagellate Heterocapsa circularisquama", NaturalProduct Research, Vol.22, No.8(20) , pp.649-657 (2008.05.19.)* *
Zhe Fang et al., "Capsofulvesins A-C, cholinesterase inhibitors from Capsosiphon fulvescens", Chem. Pharm. Bull., 2012, Vol.60(11), pp.1351-1358. (2012.11.3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890B1 (ko) 2021-09-29
KR102306888B1 (ko) 2021-09-29
KR20210064010A (ko) 202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205B1 (ko) 한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3461486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ementia and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comprising acanthoside b extracted from glasswort
WO2016190566A2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1497109B1 (ko) Ppar 작용 조절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06890B1 (ko) 구멍쇠미역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22177A (ko) 생강의 용매분획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위장장애 및 위장관 운동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70067466A (ko) 스피루리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또는 인지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KR20220041735A (ko) 신품종 고춧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당강하용 조성물
KR102101342B1 (ko) 타제메토스타트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66966B1 (ko) 상백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92729B1 (ko)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10002028A (ko) 안토시아닌-음전하성 다당류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위염 또는 소화성 궤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66271B1 (ko) 선씀바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13526B1 (ko) 헛개나무 씨 유래 탁시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독성 질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644056B1 (ko) β-젠티오비오실 패오니플로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69125B1 (ko)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050043092A (ko) 산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성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3735591B (zh) 一种抗消化性溃疡的组合物及其应用
KR102474858B1 (ko) 잡곡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당뇨용 조성물
KR102430399B1 (ko) 엉겅퀴, 민들레, 양배추, 꿀 및 생강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에 의해 발생하는 위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912290B1 (ko) 신규6,8-디(γ,γ-디메틸알릴)-3,5,7,2&#39;,4&#39;,6&#39;-헥사히드록시플라바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KR20130099467A (ko) 호비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200008423A (ko) (3s,5r,6r,7e,9r)-3,5,6,9-테트라하이드록시-7-메가스티그멘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017741A1 (ko) 프루네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605286B1 (ko) 마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