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9151A - 해양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 - Google Patents

해양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9151A
KR20110039151A KR1020090096473A KR20090096473A KR20110039151A KR 20110039151 A KR20110039151 A KR 20110039151A KR 1020090096473 A KR1020090096473 A KR 1020090096473A KR 20090096473 A KR20090096473 A KR 20090096473A KR 20110039151 A KR20110039151 A KR 20110039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eed
obesity
extract
group
amyl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5185B1 (ko
Inventor
여경목
권상오
김복남
홍미정
김상무
한대석
이선영
김인호
이창호
김영언
장여정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앤.디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앤.디,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주)에스.앤.디
Priority to KR1020090096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185B1/ko
Publication of KR20110039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5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66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83Capsule finishing, e.g. dyeing, aromatising, pol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5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e.g. chopping up, cutting or gr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멍쇠미역(agarum cribrosum), 알쏭이모자반(sargassum confusum),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 미역(undaria pinnatifida), 다시마(laminaria japonica) 및 말잘피(zostera marin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해양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아밀라제(a-amylase) 저해제 및 상기의 해양생물 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및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는 아밀라제 저해용 캡슐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해양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밀라제 저해제는 과체중 및 비만의 소견을 보이는 현대인에게 기능성 다이어트 식품 등으로 제공되어 질 수 있으며, 해양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캅셀은 항비만용 기능성 식품으로써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구멍쇠미역, 알쏭이모자반, 미역, 다시마, 항비만, 아밀라제 저해제

Description

해양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α-amlyase inhibitor containing the extracts from oceanic life species for anti-obesity}
본 발명은 해양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멍쇠미역(agarum cribrosum), 알쏭이모자반(sargassum confusum),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 미역(undaria pinnatifida), 다시마(laminaria japonica) 및 말잘피(zostera marin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해양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아밀라제(a-amylase) 저해제 및 상기의 해양생물 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및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는 아밀라제 저해용 캡슐제제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5D(disfigurement, discomfort, disability, disease, death)의 위험이 있으며, 여러 가지 합병증을 유발하고 결국 사망의 원인이 되므로 가능하면 예방하고, 비만하면 치료하여야 한다. 비만인은 여러 가지 증상으로 생산성이 낮아지며 지체부자유한 상태가 되므로 삶의 질에도 악영향을 미치며 비용, 효과 면에서도 이롭지 못하다.
국민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 국민의 27.3%가 BMI가 25 이상인 비만인으로 판정받고 있으며 향후 5년 내에 40%까지 증가할 전망이라고 한다. 비만은 그 자체로도 문제이지만 당뇨, 고지혈증, 혈관순환기계 질병 등 성인병으로 이어지는 각종 합병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더욱 더 커다란 문제라서 한국의사협회는 비만을 질병으로 분류하고 이를 치료해야 할 대상으로 명시하고 있다. 비만은 부유한 나라 또는 선진국일수록 문제가 더 심각하며, 전 세계 대부분 인류의 문제이기 때문에 이 질병의 치료를 위한 의약품의 개발에 전 세계 선진국이 앞장서 연구를 수행해 왔다. 그 결과 최근에는 Xenical이나 Reductil 등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는데, 현재 전 세계 비만치료의약품 시장은 29억$(2004년 추산액)에 이르고 있으며 향후 10년 내에 80억$ 규모로 확대되리라고 예측되고 있다.
한편, 비만인은 자신의 신체에 대한 사회적인 편견, 불평등을 느끼며, 여성에게는 부끄러움으로 받아들여져 불안이나 우울증, 적응장애, 인격장애, 히스테리 등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들은 사회적으로 열등감을 느끼며 체중 감량에 대해 스스로 조절 능력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에 대해서 죄책감을 갖기도 한다. 즉, 외모를 중시하는 현재의 추세에서 날씬해지려는 사람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비만억제 또는 체중 감량이 외모관리 산업의 하나로 자리매김 하면서 관련 산업의 규모가 급증하고 있다.
비만이란 문제의 심각성에 비추어 지금까지 전 세계적으로 수 없이 많은 연구비, 연구인력 및 시간이 투입되어 식사, 운동, 행동수정 요법을 중심으로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었지만 그 실패율이 95%에 달하고 있으므로 아직까지도 속 시원한 해결책은 없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기존의 연구를 개선한다거나 새로운 해결책에 대한 연구가 새롭게 시도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만약 비만 문제의 해결에 지엽적이든 근본적이든 새로운 방안이 제시된다면 이는 개인의 건강한 삶의 질 향상뿐만 아니라 경제적, 사회적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자원원료인 해양생물로부터 비만을 예방 및 저해할 수 있는 효소 저해제를 추출하여 이용하고자 함이며, 또한 상기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다이어트 식품을 개발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구멍쇠미역(agarum cribrosum), 알쏭이모자반(sargassum confusum),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 미역(undaria pinnatifida), 다시마(laminaria japonica) 및 말잘피(zostera marin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해양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아밀라제(a-amylase) 저해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해양생물 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및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는 아밀라제 저해용 캡슐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양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밀라제 저해제는 과체중 및 비만의 소견을 보이는 현대인에게 기능성 다이어트 식품 등으로 제공되어 질 수 있으며, 해양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캅셀은 항비만용 건강기능식품으로써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구멍쇠미역(agarum cribrosum), 알쏭이모자반(sargassum confusum),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 미역(undaria pinnatifida), 다시마(laminaria japonica) 및 말잘피(zostera marin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해양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아밀라제(a-amylase) 저해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상기 해양생물을 분쇄하고 20~60메쉬(mesh)의 체로 거른 후, 거른 시료와 정제수 또는 에탄올을 1:3~10의 함량비(w/v)로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추출액을 얻고, 여과 및 감압농축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구멍쇠미역, 알쏭이모자반, 괭생이모자반, 미역, 다시마 및 말잘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해양생물 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및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는 아밀라제 저해용 캡슐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슐제제는 치자그린, 홍화황색소 및 홍국적색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천연색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캡슐제제는 해양생물 추출물의 농축물과 결정셀룰로오스가 5:5~7:3의 중량비로 혼합되며, 미황색캡슐에 350~450mg씩 충진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 및 아밀라제 저해용 캡슐제제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비만의 예방을 위해 탄수화물 소화효소인 아밀라제의 활성을 억제시킴으로써 탄수화물의 체내 흡수를 감소시키는 원리에 의해 비만을 방지할 수 있는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는 해양생물인 모자반이나 미역류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으로 원료수급이 용이하고, 기능성 식품으로서도 안전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항비만용의 기능과 아울러 해양생물이 지닌 영양분으로써 각종 철분 및 미네랄을 포함하고 있어 건강식으로서의 기능도 한다.
본 발명의 아밀라제 저해용 캡슐제제는 언제 어디서나 복용이 가능하고, 휴대가 용이한 기능성 제제로서의 역할도 한다.
본 발명은 구멍쇠미역, 괭생이모자반, 알쏭이모자반, 미역, 다시마 및 말잘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해양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해양생물 중 구멍쇠미역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상기 해양생물을 분쇄하고 20~60메쉬의 체로 거른 후, 거른 시료와 정제수 또는 에탄올을 1:3~10의 함량비(w/v)로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추출액을 얻고, 여과 및 감압농축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은 상기 해양생물을 상용화된 분쇄기로 분쇄하고, 40메쉬의 체로 쳐서 시료로 사용하며, 상기 시료와 에탄올을 1:5의 함량비(w/v)로 혼합하고 실온에서 120rpm의 속도로 24시간 교반하면서 추출액을 얻고, 4℃에서 10,000rpm의 속도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하여 분석시까지 -20℃에서 보관하며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구멍쇠미역, 괭생이모자반, 알쏭이모자반, 미역, 다시마 및 말잘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해양생물 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및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는 아밀라제 저해용 캡슐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슐제제는 치자그린, 홍화황색소 및 홍국적색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천연색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캡슐제제는 해양생물 추출물의 농축물과 결정셀룰로오스가 5:5~7:3의 중량비로 혼합되며, 미황색캡슐에 350~450mg씩 충진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구멍쇠미역을 에탄올 추출한 후, 35Brix로 농축하고 상기 농축물에 결정셀룰로오스101을 고형분대비 6: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반죽하고 60에서 수분이 2.3%가 될 때까지 건조한 후, 이를 18메쉬의 체로 거르고 스테아린산 마그네슘과 이산화규소를 첨가해 혼합하고 미황색 캡슐에 350mg씩 충진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해양생물로부터 아밀라제(a-amylase) 저해제 시료의 추출
효소 저해활성 측정용 시료는 강릉대학교 정인학 교수님으로부터 해조류 8종(알쏭이모자반, 괭생이모자반, 미역, 쇠미역, 구멍쇠미역, 다시마, 말잘피, 보라잎)을 획득하여 분쇄기로 분쇄한 후 40 mesh로 쳐서 시료로 사용하였다. 추출 방법은 각 시료와 물을 1:5의 비율(w/v)로, 그리고 각 시료와 에탄올을 1:5의 비율(w/v)로 섞어 사용하였으며 실온에서 120 rpm의 속도로 2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추출한 후, 4℃에서 10,000 rpm의 속도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하여 분석 시까지 -20℃에서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해양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캡슐제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해양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캡슐제제를 제조하였다.
대표적 실시원료로 구멍쇠미역을 이용하였으며, 구멍쇠미역의 염분을 없애기 위하여 채취 후 물로 헹구어 음지에서 건조하여 50% 에탄올(주정)으로 추출하여 농축(Brix:35%)하였다. 이 농축물에 결정셀룰로오스101을 고형분대비 6:4의 비율로 혼합해 반죽하여 60에서 수분이 2.3%가 될 때까지 건조하였다. 이를 18mesh의 체에 내려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mg과 이산화규소 5mg을 첨가해 혼합한 후, 미황색 캡슐에 350mg씩 충진하였다. 위약은 결정셀룰로오스101과 정제수를 혼합한 뒤 천연색소인 치자그린, 홍화황색소, 홍국적색소를 각각 5mg을 넣어 반죽한 후 건조키고(위약과립물)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mg과 이산화규소 5mg을 첨가해 혼합한 후, 미황색 캡슐에 450mg씩 충진하였다.
<실험예 1> 해양생물로부터 추출된 아밀라제(a-amylase) 저해활성 실험
1. 해양생물 추출물로부터 효소 저해제 검색(Screening)
아밀라제 저해활성 측정은 DNS 발색법으로 진행하였다. 각각의 해양생물 추출물 100㎕를 기질 1% starch용액(0.02 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9) 500㎕와 혼합한 후 효소액 (0.02 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9) 500㎕를 넣어 반응을 시작하였다. 37에서 10분 반응 후 500㎕의 DNS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키고 끓는 물에서 15분간 가열하여 발색시켰다. 발색 반응 후 5분 동안 냉각하여 UV-spectrophotometer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저해제의 활성은 저해제를 첨가하지 않은 때의 효소활성을 100으로 하여 저해제의 존재시 효소활성을 상대적인 수치로 표시하였다.
DNS 발색법으로 총 8종의 해조류 추출물을 대상으로 하여 아밀라제(a-amylase) 저해활성을 보이는 생물을 탐색한 결과 알쏭이모자반, 괭생이모자반, 구멍쇠미역, 다시마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100%의 완전저해 활성이 나타났으며, 괭생 이모자반, 구멍쇠미역의 물 추출물에서는 90% 이상의 저해활성이 나타났다(이하 표 1 참조).
[표 1] 해양생물 추출물의 아밀라제 저해활성 측정결과(Inhibition activities of extracts prepared various oceanic life species against a-amylase)
시료 학명 a-amylase
Ethanol Water
알쏭이모자반 Sargassum confusum 100 36.9
괭생이모자반 Sargassum horneri 100 98.0
미역 Undaria pinnatifida 64.2 36.3
쇠미역 Costaria costata -11.1 51.7
구멍쇠미역 Agarum cribrosum 100 100
다시마 Laminaria japonica 100 12.1
말잘피 Zostera marina 23.7 26.2
보라잎 Polyneura hilliae -6.8 33.8
2. IC50값(㎎/㎖) 측정
1) 실시예 1.의 시료를 일정한 농도로 희석 한 후에 효소저해효과를 측정한 다음 이들 농도에 대한 회귀곡선을 산출하여 IC50값을 측정하였다. 아밀라제(a-amylase)의 회귀곡선은 각각 0.25㎎, 0.5㎎, 1㎎, 2㎎을 가하였고, 저해율을 조사하여 직선을 산출하여 효소를 50% 저해하는데 필요한 양(㎎/㎖)을 계산하여 나타내었다(이하 표 2 및 도 1 참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밀라제에 대하여 높은 저해활성이 나타나는 구멍쇠미역을 최종 선발하여 대량 추출하였다.
[표 2] IC50값(㎎/㎖) 측정결과
효소 시료 IC50(㎎/㎖)
에탄올 정제수
아밀라제
(a-amylase)
알쏭이모자반 1.9
괭생이모자반 1.4 3.1
구멍쇠미역 1.5 18.7
다시마 13.9
2) Human기원 소화효소에 대한 저해활성
해양생물 추출물을 일정한 농도(10㎎/㎖)로 희석 한 후에 소화효소에 대한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소화효소는 porcine과 human기원 2가지를 이용하였다. 구멍쇠미역은 porcine 기원 아밀라제보다 human기원 아밀라제에 훨씬 낮은 농도에 강력한 저해활성을 나타내, 인체의 비만 억제에 강력한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이하 표 3 참조).
[표 3] Human기원 소화효소의 IC50값(㎎/㎖) 측정결과
효소 IC50(㎎/㎖)
아밀라제(a-amylase) porcine human
5.953 0.480
<실험예 2> 전지방세포의 증식억제 실험
1. 세포배양
실험에 사용된 3T3-L1세포의 배양액은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이였으며, 실험조건에 따라 다양한 농도의 fetal bovine serum(FBS), penicillin(100 units/㎖), streptomycin(100㎍/㎖)등을 첨가하였다. 3T3-L1은 배양 3~4일 간격으로 배양세포 표면을 Dulbecco's phosphate buffered saline A(DPBS-A) 용액으로 씻어준 후 50㎖ flask당 1㎖의 0.25% trypsin 용액을 넣고 실 온에서 1분간 처리한 다음 trypsin 용액을 버리고 37에서 5분간 보관하여 세포를 탈착하여 계대배양 하였다. 탈착된 세포는 10% FBS가 첨가된 DME(DME/FBS10) 10㎖에 부유시킨 다음 새로운 배양용기에 1: 20의 split ratio로 옮겨 CO2 배양기(37℃, 5% CO2)에서 배양하였다. 이러한 계대배양 조건에서 3T3-L1은 preadipocyte 상태로 유지된다고 알려져 있다.
2. MTT 법에 의한 세포 증식률 측정
3T3-L1세포의 증식능은 Moseman의 방법을 개량한 Skaper 등의 방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증식능 측정에 사용한 MTT는 DPBS-A에 5㎎/㎖ 농도로 용해시켜 여과멸균 하였으며 세포는 24-well plate에 3.1×04 cells/well 농도로 접종하고 배양액의 최종 용적은 1㎖로 하였다. 세포배양 종료 4시간 전에 MTT 용액을 첨가하였으며(100㎕/well) 배양종료 후 세포배양액을 제거하고 400㎕의 DMSO을 첨가하여 세포에 의해 생성된 청색 결정의 formazan을 용해시켰다. Fomazan이 용해된 배양 plate의 각 well의 흡광도는 ELISA Reader로 570 nm에서 측정하였다. 이상의 과정에서 MTT용액을 첨가한 다음부터는 배양 plate를 은박지로 포장하고 빛을 차단시킨 상태로 배양하여 빛에 의한 MTT의 환원을 최소화 하였다.
3. 세포증식률 측정을 위한 배양 조건
계대배양 중인 배양 3일째의 3T3-L1세포를 trypsin 처리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탈착시켜 실험조건에 따라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양액에 부유시켰다. 세포부유액 100㎕씩을 24-well plate의 각 well에 분주하여 well당 3.1×104세포가 접종되게 한 다음 CO2 배양기(37℃, 5% CO2)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세포를 부착시켰다. 그 후 다시 well에 희석된 검액 또는 배양액을 50㎕씩 첨가하여 최종용적이 1㎖이 되게 하였다. 이상과 같이 처리한 다음 CO2 배양기에서 3일간 배양하여 3T3-L1세포의 증식능에 미치는 검액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4. 3T3-L1세포증식에 미치는 검액의 영향
구멍쇠미역 추출물을 다양한 농도로 배양액에 희석하고 여과멸균 시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부착된 3T3-L1세포에 처리하였다. 세포의 증식률에 미치는 검액의 효과는 MTT 법으로 측정한 대조군의 흡광도에 대한 실험군의 흡광도를 백분율로 환산하여 산정하였다. 그 결과 아무처리도 하지 않은 control보다 구멍쇠미역 추출물의 경우 0.5㎎/㎖의 농도에서 최대 약 80%이상의 증식 억제율이 나타났다(도 2 참조).
<실험예 3> 동물 실험을 이용한 효능 평가 실험
오늘날 경제수준의 향상으로 동물성 포화지방의 섭취가 증가하게 됨에 따라 고혈압, 동맥경화증, 심장병 등의 순환기계 질환의 발병률이 높아지는 등 영양학적 불균형으로 인하여 다향한 건강장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비만은 그 자체로도 문 제이지만 당뇨, 고지혈증, 혈관순환계 질병 등 성인병으로 이어지는 각종 합병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더욱더 커다란 문제로 대두 되고 있으며, 한국의사협회는 비만을 질병으로 분류하고 이를 치료해야 할 대상으로 명시하고 있다. 비만은 부유한 나라 또는 선진국일수록 문제가 더 심각하며, 전 세계 대부분 인류의 문제로 대두 대고 있다. 현대의 비만인들이 비만 치료를 위해서 실시하는 방법으로는 체내 지방 대사를 조절하는 법, 식이요법, 운동, 외과적 수술 등이 시술되고 있다.
최근에는 체중과 체지방을 적절하게 감소시키더라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는 연구가 일본이나 프랑스 등에서 해조류 추출물을 이용하여 시도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오래전부터 미역내의 다당류가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비방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강정호, 1968)는 보고가 있으며, 식이 내 미역함량과 지방의 종류에 따른 영향에서 미역 첨가군이 비첨가군에 비해 혈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연구보고도 있다(김은주, 1983). 그리고 해조류(미역, 김)의 섭취가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혈당이나 혈장 중성지방에서는 섬유소(pectin, cellulose, 미역, 김)의 첨가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총 지질함량은 다른 섬유소 첨가군보다 미역과 김을 첨가한 그룹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는 결과가 발표(경선이, 1991)되고 있어 비만인 들에게나 이러한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긍정적인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흰 쥐를 대상으로 고지방식이를 섭취시켜 비만을 유도 시킨 후 갈조류(Phaeophyceae)에 속하는 알쏭이모자반(Sargassum confusum)과 구멍쇠미역(Agarum cribrosum)을 채취해 에탄올로 추출, 여과, 농축시킨 물질을 고지방 식 이에 첨가하여 섭취시킴으로써 체중과 체지방의 감소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1. 비만유도 동물실험
1) 재료 및 방법
① 동물실험
6주령 Sprague-Dawley 계통의 수컷 흰쥐 40마리를 중앙동물실험실에서 구입하여 일주일간 일반사료를 급여하여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다. 비만 유도를 확인하기위해 대조군으로 일반식이급여군(Normal) 10마리와 식이 칼로리의 40%를 지방으로 대체한 고지방식이(high-fat diet, HFD) 급여군 30마리 두 군을 두어 실험을 5주 동안 수행하였다.
② 식이조제
식이는 AIN-93G에 기준하여 정상군의 식이를 제조하였고(398.8 kcal/100g), 실험군은 비만을 유도하기 위하여 고지방식이(477.8 kcal/100g)로 제조하였다. 식이섭취량과 체중은 매주 한 번씩 측정하였고, 식이는 조제하여 고형으로 만들어 건조 후 -20℃에 냉동보관 하면서 공급하였다. 그리고 물은 제한 없이 자유공급 하였다.
2) 결과
일반사료 급여군과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식이섭취량과 체중 변화를 이하의 표 4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실험동물의 비만 유도기간은 5주였다. 일반사료급여군은 일일 평균 23.92 g을 섭취하였고 사료효율이 0.20이었으며, HFD군은 사 료섭취량이 작았지만 일일 평균 체중 증가량이 5.77 g으로 식이효율이 0.28로 높게 나타났다. 5주 만에 일반식이급여군보다 고지방식이급여군이 체중이 평균 38.5 g(16%) 더 증가하였다. 통계 처리한 결과 HFD군의 체중이 일반식이급여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기 때문에 비만이 유도되었다고 판단하여 다음 실험에 사용하였다.
[표 4] 실험쥐의 최초 및 최종 무게, 무게증가량, 하루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Body weight, body weight gain, food intake and food efficiency ratio in rats fed experimental diet for the period of inducing obesity)
Group Body weight(g) Body weight gain(g/day) Food intake
(g/day)
Food efficiency ratio1)
Initial Final
ND 236.4±6.27 399.8±20.45b 4.67±0.51b 23.92±1.33a 0.20±0.02b
HFD 236.3±8.03 438.2±29.82a 5.77±0.86a 20.53±1.45b 0.28±0.03a
Values are mean±SD of 10 rats per group.
1) Food efficiency ratio : body weight gain/food intake for 5 weeks
ND: normal diet, HFD: high fat diet
a-bData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one-way ANOVA followe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the 0.05 level of significance.
2. 비만 억제 동물실험
1) 재료 및 방법
① 동물실험
6주령 Sprague-Dawley 계통의 수컷 흰쥐 30마리를 중앙실험동물(주)에서 구 입하여 일주일간 일반식이로 적응시킨 후 정상군을 제외한 모든 실험군은 총 칼로리의 약 40%가 지방인 고지방식이로 5주간 비만을 유도하였고, 6주에서 11주까지 구멍쇠미역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고지방식이에 3%의 구멍쇠미역추출물 분말을 섞어 식이를 제조하여 급여시키면서 사육하였다. 실험군은 정상군(normal diet group, ND), 대조군(high fat diet group), HFD+구멍쇠미역 추출물 3% 첨가군(α-amylase inhibitor, α-AI군)으로 나누었고 각 군당 10마리씩 난괴법(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으로 분류하였다. 쥐는 한 케이지 당 두 마리씩 사육하였고 사육실의 온도와 습도는 각각 22±0.5℃, 55±5%로 조절하였고 명암주기는 12시간으로 조절하였다.
② 식이조제
식이는 AIN-93G에 기준하여 정상군의 식이를 제조하였고(398.8 kcal/100 g), 실험군은 비만을 유도하기 위하여 고지방식이(477.8 kcal/100 g)로 제조하였다(표 5). 고지방식이를 섭취하는 각 실험군(HFD, α-AI군)의 식이는 동일한 에너지 수준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식이공급은 고지방식이군의 평균적인 섭취량에 맞추어 공급하여 섭취되는 에너지 수준이 실험군 간에 거의 동일시되도록 조절함으로써 구멍쇠미역추출물의 효과를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식이섭취량과 체중은 매주 한 번씩 측정하였고, 식이는 조제하여 고형으로 만들어 건조 후 -20℃에 냉동보관 하면서 공급하였다. 그리고 물은 제한 없이 자유공급 하였다.
[표 5] 실험 식이조성(Composition of experiment diets)(g/ kg diet)
Ingredients Experimental Groups2 )
ND(n=10) HFD(n=10) α-AI(n=10)
Casein 200 200 200
Sucrose 100 100 100
Corn starch 397.486 254.5 249.5
Soybean oil 70 70 70
Dextrose 132 132 132
Lard - 150 150
Cellulose 50 50 25
L-cystine 3 3 3
AIN-93-mineral mixture 35 35 35
AIN-93-vitamin mixture 10 10 10
Choline bitrate 2.5 2.5 2.5
t-Butylhydroquinone 0.014 0.014 0.014
Agarum cribrosum
extract powder
- - 30
1)The diet was prepared to be isocaloric, 477.8 kcal/100 g, among experimental groups except normal diet (398.8 kcal/100 g) according to #110700 AIN-93G guide line.
2)ND: normal diet, HFD: high-fat diet, α-AI: HFD+Agarum cribrosum extract powder 3%
2) 결과
비만유도 후 식이섭취량 및 체중증가량, 식이효율은 표 6과 같고 실험 기간 중 체중의 변화는 도 4와 같다. 일일 체중 증가량은 ND군(2.19g/day) < α-AI군(2.22g/day) < HFD군(2.96g/day)순으로 고지방식이만 먹인 HFD군이 가장 많이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구멍쇠미역추출물을 첨가한 고지방식이가 체중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여 지는 결과이며, 식이섭취량은 ND군이 24.99g/day으로 HFD군 19.8g/day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고지방식이가 흰쥐의 사료섭취량을 제안 시키는 결과라고 사료된다. 또, HFD군의 식이효율은 0.15이었는데 ND군과 α-AI군은 각각 0.09, 0.11으로 HFD군에 비해 사료효율이 낮았다. 이것은 고지방식이가 calorie density가 높아 체중을 증가시켜 식이효율을 높이는 것으로 사료되는 결과이며, HFD군에 비해 α-AI군에서 식이효율이 다소 감소되었는데 이것은 구멍쇠미역추출물에 의하여 일부 영양소의 소화흡수율과 이용률이 저하된 것이라 사료된다. 즉, 같은 고지방 식이를 섭취하더라도 구멍쇠미역추출물에 의해 일부 영양소가 흡수되지 않고 배설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는 비만 치료의약품인 Xenical과 같은 원리에 의해 증체량 감소 효과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본 실험에 사용한 해조류 추출물은 사전에 스크리닝한 대로 모두 소화효소의 저해제(Digestive enzyme inhibitor, DEI)이다. In vitro 실험에서 확인하였듯이 구멍쇠미역추출물은 소화기관에서 분비되는 탄수화물분해효소의 저해제(α-amylase inhibitor, α-AI)로 구멍쇠미역은 실험동물이 사료로 섭취한 전분을 일부 소화시키지 못하게 함으로써 결국 전분의 흡수율을 낮추어 열량의 감소를 초래하여 증체량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즉, 실험동물이 식이로 섭취한 지방 또는 탄수화물의 일부가 소화되지 못하여 영양소로 흡수되지 않고 대변으로 배설되는 원리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표 6] 실험쥐의 체중, 체중증가량,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Body weight, body weight gain, food intake and food efficiency ratio in rats fed experimental diet)
Group Body weight(g) Body weight gain(g/day) Food intake
(g/day)
Food efficiency ratio1 )
Initial Final
ND 399.82±20.45b 467.66±21.41b 2.19±0.17b 24.99±2.11a 0.09±0.01c
HFD 438.30±26.01a 530.13±22.54a 2.96±0.31a 19.80±1.01b 0.15±0.01a
a-AI 438.31±30.03a 507.18±20.97a 2.22±0.32b 19.50±0.87b 0.11±0.02b
Values are mean±SD of 10 rats per group.
1) Food efficiency ratio : body weight gain/food intake for 5 weeks
ND: normal diet, HFD: high fat diet, α-AI: HFD+Agarum cribrosum extract powder 3%
a- cData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one-way ANOVA followe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the 0.05 level of significance.
<실험예 4> 인체효과 실험
1. 조사대상 및 시험방법
1) 시험제제로 구멍쇠미역 제제의 연구대상자들에게 2캡슐(상기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제조된 캡슐제제)을 200ml의 물과 함께 섭취토록 하였다. 식전에 섭취하지 못했을 경우, 최소한 식후 30분 이내에 섭취하도록 권고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들이 제제를 섭취하는 시점부터 총 12주간 수행되었다.
2) 시험내용 및 방법
①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
신체계측 및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연구대상자들의 사회경제학적 특성과 식생활, 생활습관, 운동습관 및 비만과 관련된 자기효능감등을 조사하였다. 기본적인 신체계측은 시험초기(0주)에, 설문조사는 시험 초기(0주)와 종료시점(12주)에 실시하였다. 조사항목으로 연령(세), 키(cm), 체중(kg), BMI(kg/m2), 교육정도, 직업, 혼인유무, 출산 경험 유무의 사회 경제적 특성과 체중감량과 관련된 조사항목으로 비만의 가족력 유무, 체중감량 경험 유무, 체중 감량 후의 현재 상태를 조사하였다. 식생활, 생활습관 및 운동습관의 조사항목은 건강상태, 수면시간, 수면상태, 주별 음주 횟수, 식사횟수, 간식 횟수, 식사량, 주별 운동 횟수이며 설문지 중에서 현재 체중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체형의 인식도, 감량하고자 하는 체중에 대한 문항을 채택하여 조사하였다.
② 신체계측 및 체구성성분 측정
신체계측은 시험 시작 전(0주), 4주, 8주, 12주에 걸쳐 총 4회 실시하였다. 신장은 맨발로 자연스럽게 직립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전자 신장계(Fanics, Korea)로 0.1cm까지 1회 측정하였다. 체중 및 체성분분석은 체성분분석기 In Body 2.0 (Biospace Co., Korea)을 이용하여 최소한의 옷을 입은 상태에서 측정하였으며 체중(Weight, kg), BMI(Body mass index, kg/m2), 제지방량(Lean body mass, kg), 체지방량(Body fat mass, kg), 체지방율(Percent Body Fat, %), 복부지방율(Waist-Hip circumference Ratio), BMR(Basal Metabolic Rate, kcal), Arm cir (Arm circumference, cm)의 수치를 연구결과로 사용하였다. 허리둘레는 직립자세에서 늑 골 최하단부위와 장골(ilium)사이의 중간지점에서 측정하고, 엉덩이 둘레는 대전자(great trochanter)부위의 가장 넓은 둘레를 측정하여 이로부터 허리/엉덩이 비율을 계산하였다.
③ 혈액채취 및 전처리
혈액채취 및 분석은 시험 시작 전(0주), 4주, 8주, 12주에 걸쳐 총 4회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채혈 전 12시간동안 금식하였으며 검사 당일 날 안정된 상태에서 임상병리사가 총 12㎖의 혈액을 상완정맥에서 채혈하였다. 이 중 5㎖의 혈액은 C-반응성 단백 및 유리지방산의 측정을 위해 30분간 실온에 방치한 후 3000rpm에서(4℃) 8분간 원심분리 해 혈청을 얻었다. 나머지 5㎖의 혈액은 혈청 지질, 단백질, 무기질 수준, 간기능 관련 효소 활성의 측정을 위해 즉시 3000rpm에서(4℃) 10분간 원심분리(Combi-514R, Hanil Co.)하여, 분석 시까지 -70℃에서 보관하였다. 2㎖의 전혈은 혈액 내 백혈구의 DNA 보호 효과와 헤모글로빈의 측정을 위해 항응고 처리된 tube에 분주하였고 채혈 후 3시간 이내에 분석에 사용되었다.
혈액의 생화학적 분석
혈액 분석은 모자반 추출물 제제의 섭취 시 항비만 효과의 평가와 신체 유해성 여부 및 영양 상태 평가를 위해 실시하였다.
-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측정
혈청 총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Allain의 방법을 활용한 Stanbio Laboratory Inc.(TX, USA)의 콜레스테롤 측정용 kit 시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원리는 다음과 같다. 혈청 내 존재하는 cholesterol ester는 cholesterol esterase에 의해 cholesterol과 지방산으로 가수분해된다. 형성된 cholesterol은 cholesterol oxidase의 존재 하에 cholest-4-en-one와 과산화수소로 분해되고 과산화수소는 4-aminophanazone 및 phenol과 결합해 산화되어 적색의 복합체가 형성된다. 이를 혈액 자동분석기(ARCO, Biotechnical사, Italy)로 500nm에서 비색 정량하였다.
- 중성지방(Triglyceride) 측정
혈청 중성지방 농도는 Wahlefeld의 방법을 활용한 Stanbio Laboratory Inc.(TX, USA)의 중성지방 측정용 kit 시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원리는 다음과 같다. 혈청 내 존재하는 중성지방을 lipase에 의해 glycerol과 지방산으로 분해한 후 glycerol은 ATP 존재 하에서 glycerol kinase로 글리세롤을 인산화 한다. Glycerol-3-phosphate를 glycerylphosphate oxidase(GPO)에 의해 산화시켜 과산화수소와 dihydroxyacetone phospate로 분해한다. 과산화수소는 4-chlorophenol, 4-aminopyrine과 반응해 적색의 quinoneimnie 복합체를 형성한다. 이를 혈액 자동분석기(ARCO, Biotechnical사, Italy)에서 500nm에서 비색 정량하였다.
- HDL-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측정
혈청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Abell Kendall의 방법을 활용한 Stanbio Laboratory Inc.(TX, USA)의 HDL-콜레스테롤 측정용 kit 시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청 내 존재하는 HDL-콜레스테롤을 제외한 지단백질을 α-cyclodextrin과 dextran sulfate를 가해 침전시키고, HDL-콜레스테롤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cholesterol oxidase를 사용한 효소 측정법으로 혈액 자동분석기(ARCO, Biotechnical사, Italy) 650nm에서 비색 정량하였다.
- LDL-콜레스테롤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측정
혈청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Abell Kendall의 방법을 활용한 Stanbio Laboratory Inc.(TX, USA)의 LDL-콜레스테롤 측정용 kit 시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원리는 다음과 같다. 혈청 내 존재하는 LDL-콜레스테롤을 제외한 지단백질을 magnesium sulfate 와 인산을 첨가하여 침전시키고, LDL-콜레스테롤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cholesterol oxidase를 사용한 효소 측정법으로 혈액 자동분석기(ARCO, Biotechnical사, Italy) 650nm에서 비색 정량하였다.
- 유리지방산(Free fatty acid, FFA) 측정
혈청 유리지방산 농도는 ACS-ACOD법을 활용한 Wako사의 NEFA HR kit 시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청 내 존재하는 유리지방산은 CoA와 ATP를 보조효소로 ACS와 마그네슘을 작용시키면 Acyl CoA, AMP, Pyrrolic(PPI)이 생성된다. 생성된 Acyl CoA에 ACOD를 작용시켜 2,3-Trans-enoyl-CoA 및 과산화수소를 생성시킨다. ACS 반응 후 남아있는 CoA는 N-ethyl malate로 침전시켜 제거하고 과산화수소와 POD를 작용시켜 자색의 quinone물질이 형성되면 혈액 자동분석기(Hitachi7180, Japan)를 이용하여 555nm에서 비색 정량하였다.
⑤ 배변 상황 및 수분 섭취 조사
연구기간 동안 연구대상자의 배변상황은 식사일지 작성 시 배변횟수(회/일)와 형태를 함께 기재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제제 섭취 기간 동안의 평균 횟수로 산출해 C군과 SC군을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자의 변의 형태가 시험시작 전과 다를 경우 문진과 식사일지 분석을 통해 그 원인을 파악하여 증세를 개선하도록 하였다. 수분 섭취량도 식사일지 작성 시 함께 기재하도록 하였으며 섭취 단위는 컵(200㎖) 또는 리터(ℓ)로 하였다.
⑥ 통계방법
모든 자료의 분석 및 실험 결과는 SPSS/Windows 14.0을 이용하여 백분율 또는 평균치±표준편차로 나타냈으며, 두 군 간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요인들의 비교는 independent t-test 및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군별 측정 항목에 대한 제제 섭취 전 후 변화량의 차이는 paired t-test를 실시하였고, 측정 시점별 군 간 평균값 및 변화량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를 실시해 α=0.05 수준에서 비교 검정을 실시하였다.
2. 실험결과
1) 신체계측 및 체구성 성분 평가
연구대상자의 제제 섭취 전 후의 신체 계측과 체구성 성분 측정결과는 표 7과 같았다. C 군에 비하여 SC 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던 신체 계측치는 체중과 BMI, 상박둘레, 체지방량이었으며 위약군에서는 12주간 유의하게 변화한 신체 계측치는 없었다. 체지방율은 SC군의 4 주째 결과가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후 유의한 변화를 볼 수 없었으며 시험 시작 전과 종료 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체성분분석기를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산출된 기초대사량의 변화는 SC 군에서 8주에서 12주에 이르는 동안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외의 기간에는 유의한 변화를 볼 수 없었고 시험 전과 종류 후의 차이도 유의적이지는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위약군에 비하여 SC군이 시험 전보다 종료 후 수치가 체지방량과 체중, BMI, 상박둘레 등의 신체 계측치가 감소하여 다이어트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었다.
[표 7] 신체계측 결과
Figure 112009062110418-PAT00001
2) 혈액의 생화학적 평가
시험대상자의 제제 섭취에 따른 항비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혈중 지질과 C-반응성 단백, 렙틴 수준의 측정 결과로, 당질 대사 지표는 이하 표 8, 인체 유해성 여부 평가는 이하 표 9에 제시하였다.
항비만 효과를 평가 할 수 있는 혈중 지질의 주지표로 중성지방(Triglyceride)과 유리지방산(Free-fatty acid)을 들 수 있으나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등도 부지표로 이용되고 있으며 비만인의 경우 대체적으로 이들 지표의 수준이 정상인보다 높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대상자의 제제 섭취 전 실시한 혈액 분석 결과 HDL-콜레스테롤 농도의 초기치는 C군이 26.77±6.35(㎎/㎗), SC군이 29.16±9.38(㎎/㎗)으로 정상치(36.0~148.6㎎/㎗)보다 낮은 범위에 있었으나 제제 섭취 후 C군은 38.86± 10.54(㎎/㎗), SC군은 40.60±11.89(㎎/㎗)로 증가하여 모두 정상범위에 속하였다.
시험시작 당시 LDL-콜레스테롤은 C군이 137.71±31.97(㎎/㎗), SC군이 122.99±23.81(㎎/㎗)로 정상치(86.6~115.3㎎/㎗)보다 높았으나 제제 섭취 후에는 C군이 118.67±26.92(㎎/㎗), SC군이 109.10±22.50(㎎/㎗)로 감소하여 C군은 정상치를 상회하였으나 SC군은 정상치 범위내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총콜레스테롤 농도는 두 군 모두 유의한 변화를 보여주지 않았다. 따라서 시험기간 동안 동맥경화지수(HDL-cholesterol/total cholesterol)는 개선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체중조절을 위한 노력은 심순환계 질환의 위험요인을 감소시켜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혈중 triglyceride 농도의 정상치는 131.2~153.0㎎/㎗로서 두 군 모두 실험전이나 종료 후에도 평균보다 낮은 범위였으며 시험기간 동안 변화로서는 C 군에서 4주 째 열량섭취량이 증가하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가 감소한 외에 두 군 모두에서 시험 기간에 따른 변화를 볼 수 없었다. 유리 지방산은 C군에서는 감소하고 SC 군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개인차가 커서 두 군 모두 시험 전후 유의할만한 수준의 차이는 없었다. 렙틴은 지방조직에서 합성되어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시상하부에 작용하여 식욕 및 비만을 조절하며 비만인의 경우 렙틴 저항성이 존재해 수치가 정상인에 비해 높게 나타난다.
렙틴은 이외에 혈관 평활근 세포의 증식을 자극하고 혈관의 석회화를 가속화시키며 교감신경을 활성화시키고 혈압을 증가시키며 혈소판 응집과 이에 따른 혈액 응고를 촉진시켜 비만 이외의 심혈관질환의 발생에 주요한 변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비만인의 혈중 렙틴 농도 감소는 비만 증세의 개선 뿐 아니라 심혈관질환의 위험률을 낮추는데 의의가 있다. 본 시험에서 혈액의 렙틴수치는 시험 전 C군과 SC군 모두 상당히 높은 농도였으나 12주 후에는 두 군 모두 감소하였으며 (p<0.001), 특히 SC군에서 더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유의수준도 높았다. 혈중 C-반응성 단백(이하 CRP)은 급성기 면역 단백질의 하나로 전신적 염증 반응을 나타내는 민감한 지표이다.
증가된 CRP와 염증반응 관련 질환들 사이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들 질환에는 관상동맥질환을 비롯한 호흡계, 류마티스, 당뇨, 비만 등이 포함된다. 또한, 비만은 독립적으로 CRP와 관련되어 있으며 한국인의 경우 체질량 지수 25 이상부터 CRP의 증가 위험이 높아진다고 보고되고 있어 항비만 효과 판정에 유효하다고 사료된다. 제제 섭취 전 두군 모두 정상범위에 속하였고 섭취 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SC군에서 더 큰 폭으로 감소했다. CRP의 감소는 중등도의 규칙적인 운동으로도 이루어지며 면역기능을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와 지 방 섭취가 높을수록 CRP의 수치가 증가)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C군에서 섭취 기간 동안 운동이 증가하고 SC군에서 운동량이 감소한 것에 반하면 SC군에서 변화가 더욱 유의한 결과라 볼 수 있다. 공복 혈당은 제제 섭취 기간 동안 모든 군에서 소폭 증가하였으며 12주 동안 증가폭은 C군(9.1± 4.4 mg/dL)에 비하여 SC(6.5± 9.0 mg/dL)군에서 적었다. 공복 혈당의 경우 전날 섭취한 음식물의 내용이나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일별 변화가 심하기 때문에 정확한 공복혈당의 평가를 위해서는 채혈 전날 군별 식이 섭취량의 조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인슐린 생성량을 대변하는 혈중 C-펩타이드 농도는 SC군에서만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표 8]
Figure 112009062110418-PAT00002
[표 9]
Figure 112009062110418-PAT00003
본 발명의 해양생물의 추출물은 소화효소인 아밀라제의 활성을 저해하여 비만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에게 항비만용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역할을 하여, 국가의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구멍쇠미역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3T3-L1 세포의 증식률 저해 정도를 흡광도 값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구멍쇠미역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3T3-L1 세포의 증식률 저해 정도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실험쥐(정상식이 급여군과 고지방식의 급여군)의 무게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정상식이, 고지방식이, 고지방식이에 구멍쇠미역추출물을 첨가시킨 사료를 급여한 실험쥐의 체중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6)

  1. 구멍쇠미역, 알쏭이모자반, 괭생이모자반, 미역, 다시마 및 말잘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해양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 또는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상기 해양생물을 분쇄하고 20~60메쉬의 체로 거른 후, 거른 시료와 정제수 또는 에탄올을 1:3~10의 함량비(w/v)로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추출액을 얻고, 여과 및 감압농축하여 제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
  4. 구멍쇠미역, 알쏭이모자반, 괭생이모자반, 미역, 다시마 및 말잘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해양생물 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및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는 아밀라제 저해용 캡슐제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제제는 치자그린, 홍화황색소 및 홍국적색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천연색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아밀라제 저해용 캡슐제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제제는 해양생물 추출물의 농축물과 결정셀룰로오스가 5:5~7:3의 중량비로 혼합되며, 미황색캡슐에 350~450mg씩 충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아밀라제 저해용 캡슐제제.
KR1020090096473A 2009-10-09 2009-10-09 해양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 KR101125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473A KR101125185B1 (ko) 2009-10-09 2009-10-09 해양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473A KR101125185B1 (ko) 2009-10-09 2009-10-09 해양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151A true KR20110039151A (ko) 2011-04-15
KR101125185B1 KR101125185B1 (ko) 2012-03-19

Family

ID=44045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473A KR101125185B1 (ko) 2009-10-09 2009-10-09 해양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1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665B1 (ko) * 2013-04-05 2014-11-12 한림성심대학교 산학협력단 구멍쇠미역을 함유하는 변비개선용 식품조성물
US20150265663A1 (en) * 2014-03-24 2015-09-24 Maruhachi Muramatsu, Inc. Method for suppressing adipocyte formation
KR20210064011A (ko) * 2019-11-25 2021-06-0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구멍쇠미역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6086B1 (ko) * 2000-10-27 2003-06-02 김병수 해조류의 추출물을 이용한 건강식품 및 그의제조방법
JP5391536B2 (ja) * 2007-08-29 2014-01-15 株式会社カネカ 生理活性物質を濃縮した海藻由来製品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海藻由来製品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665B1 (ko) * 2013-04-05 2014-11-12 한림성심대학교 산학협력단 구멍쇠미역을 함유하는 변비개선용 식품조성물
US20150265663A1 (en) * 2014-03-24 2015-09-24 Maruhachi Muramatsu, Inc. Method for suppressing adipocyte formation
JP2015183002A (ja) * 2014-03-24 2015-10-22 株式会社マルハチ村松 脂肪細胞形成抑制方法
KR20210064011A (ko) * 2019-11-25 2021-06-0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구멍쇠미역으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5185B1 (ko) 2012-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yson A comprehensive review of apples and apple components and their relationship to human health
Taniguchi-Fukatsu et al. Natto and viscous vegetables in a Japanese-style breakfast improved insulin sensitivity, lipid metabolism and oxidative stress in overweight subjects with impaired glucose tolerance
CN102406860A (zh) 预防和治疗糖尿病的组合物、其制备方法及应用
Kim et al. Meal replacement with mixed rice is more effective than white rice in weight control, while improving antioxidant enzyme activity in obese women
CN1980682A (zh) 用于控制体重的亚麻子
CN105533132A (zh) 一种蛋鸡富硒饲料
Sirikanchanarod et al. The effect of mulberry fruits consumption on lipid profiles in hypercholesterolemic subjec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US20140275233A1 (en) Activated soy pod fiber
CN102150758A (zh) 一种改善肉鸡肉质的中草药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125185B1 (ko) 해양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
CN102613453A (zh) 一种用于糖尿病患者的海洋生物型肠内营养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2526360B (zh) 一种具有辅助减肥功能的保健品
CN102596214B (zh) 改善脂肪肝的组合物
KR101166354B1 (ko) 해양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리파아제 저해제
Laraeni et al. High antioxidant level in cajanus sajan reduces blood glucose level and improves blood lipid profile of rats as diabetes mellitus models
Steve et al. Comparative study on nutrient composition, functional property and glycaemic index of “Ogi” in healthy rats prepared from selected cereal grains
KR20130089361A (ko) 당뇨병 개선을 위한 혈당 저하 및 조절용 조성물
CN103705435B (zh) 一种富硒红薯护肤液
Venugopal et al. Management of diabetic dyslipidemia with subatmospheric dehydrated barley grass powder
CN102150779A (zh) 一种调节及稳定血糖的保健食品及制备方法
KR20100001635A (ko) 항당뇨 기능성 가시파래추출물,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기능성식이식품 및 가시파래의 사용방법
Okoroh et al. Proximate composition, macro-mineral concentration and phytochemical screening of seeds of Citrullus lanatus
Mgbemena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oximate and mineral composition of moringa olerifera roots, leaves and seeds obtained in okigwe imo state Nigeria
CN105520144B (zh) 一种修复葡萄糖耐量因子的营养早餐及其制备方法
CN109845776A (zh) 一种具有多元化补充微量元素面粉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