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665B1 - 구멍쇠미역을 함유하는 변비개선용 식품조성물 - Google Patents

구멍쇠미역을 함유하는 변비개선용 식품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665B1
KR101459665B1 KR1020130037217A KR20130037217A KR101459665B1 KR 101459665 B1 KR101459665 B1 KR 101459665B1 KR 1020130037217 A KR1020130037217 A KR 1020130037217A KR 20130037217 A KR20130037217 A KR 20130037217A KR 101459665 B1 KR101459665 B1 KR 101459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nstipation
group
cholesterol
foo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7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1055A (ko
Inventor
박성진
박태길
Original Assignee
한림성심대학교 산학협력단
경포대영어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성심대학교 산학협력단, 경포대영어조합법인 filed Critical 한림성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37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665B1/ko
Publication of KR20140121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1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멍쇠미역을 함유하는 변비개선용 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구멍쇠미역에 우수한 변비 개선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구멍쇠미역은 변비개선능을 갖는 식품조성물로 개발되어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구멍쇠미역을 함유하는 변비개선용 식품조성물{Food composition with Agarum cribrosum against constipation}
본 발명은 변비개선용 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멍쇠미역을 함유하는 변비개선용 식품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경제의 급속한 발달로 우리의 생활은 예전에 비해 풍요로워졌지만 환경오염, 생활 스트레스, 운동량 부족, 식습관 변화로 인한 영양 불균형 등의 이유로 생활습관병을 포함한 각종 만성질환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만성질환은 현재까지 의학적 방법이 주된 치료 방법으로 이용되어 왔지만, 치료의 한계성 및 치료약의 부작용 등으로 인해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그런데, 식품 중에 함유된 유효성분에 의한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효과들이 여러 연구로부터 증명되면서, 식품이나 음식의 조절을 통해 생활습관으로 말미암은 만성질환의 예방이 점차 가능해지고 있다.
현대인은 생활 스트레스의 증가, 불규칙적이고 불균형된 식생활, 운동부족 등과 같은 복합적 생활요인들로 인해 장기능의 저하와 만성적 변비, 과민성 대장증후군, 설사, 장염 등 각종 대장 관련 질병을 겪고 있다. 변비가 발생하면, 체 내 유해 물질을 몸 밖으로 배설하는 작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변의 독소가 장을 통해 혈액에 흡수됨으로써 여드름, 기미, 피부노화를 촉진시키기도 한다(Corfield AP, Carrol D, Myerscouh N, Probert CS. 2001. Mucin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 health and disease. Front Biosci 6: 1321-1327). 또한, 변비로 인해 장내 이상 발효로 생긴 유해물질 등이 두통, 식용부진, 복부 불쾌감, 알레르기의 원인이 되고, 나아가 치질, 대장게실증 및 대장암 발생과 뇌졸등 위험 등 2차 질환의 원인 될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Park JG. 2005. Coloproctology. pp. 273-275. Ilchokak, Seoul, Korea).
한편, 식이섬유는 인체의 소화효소에 의하여 분해되지 않는 난분해성의 복합 다당류로, 식이섬유가 풍부한 식품을 섭취하면 위에 포만감을 주어서 음식섭취량을 줄일 수 있으며, 배설물의 부피를 증가시키고 음식물의 장 통과 속도를 빠르게 하여 영양소의 흡수를 저하시키므로 비만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식이섬유는 셀룰로오스(cellulose), 헤미셀룰로오스(hemicelluloses), 리그닌(lignin) 등 종류가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수용성 식이섬유(SDF,soluble dietary fiber)와 불용성 식이섬유(IDF, insoluble dietaryfiber)로 구분되는데, 구성 성분과 구조에 기인되는 물리화학적 성질에 따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Lee HJ, Hwang EH. 1997. Effects of alginic acid, cellulose and pectin level on bowel function in rats. Korean J Nutr 30: 456-477).
수용성 식이섬유는 위에서 음식물 체류시간을 증가시켜 포만감을 제공하고 장내에서의 영양소 흡수속도를 느리게 하며, 지질대사에 관여하여 혈청 콜레스테롤을 조절하고, 동맥경화를 예방하며, 대장암의 발병률을 낮추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불용성 식이섬유는 수분 보유능이 커, 변을 묽게 하여 분변의 장내통과시간을 촉진하고, 분변 양을 증가시켜 변비를 예방하거나 치료하며, 대장 기능에 관련된 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구멍쇠미역(Agarum cribrosum)은 다시마과에 속하고 일본의 홋카이도, 쿠릴열도, 아메리카 태평양연안, 베링해에 분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동해안 중부 이북지방에 분포한다. 잎의 모양이 둥근 특징을 가지고 있고, 둥근 잎에는 많은 구멍이 있으며, 수심 30 m의 깊은 곳에 서식하며 최근에 식용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구멍쇠미역에 대한 연구로는 발암성 니트로사민 생성인자의 하나인 아질산염을 효과적으로 전화시켜 발암성 니트로사민 생성억제를 보고한 연구(Park YB. 2005. Determination of nitrite-scavenging activity of seawee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1293-1296), 만성병을 유발하는 5-리폭시제나아제(lipoxygenase)의 저해제가 구멍쇠미역 등의 수산생물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는 연구(Cho SY, You BJ, Chang MH, Lee SJ, Sung NJ, Lee EH. 1994. Screening for porare lipoxygenase- inhibitor in unused marine resources by the polarographic method.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37:451-455)도 보고되었으며, 최근에는 치매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물질 탐색(Jeon YE, Yin XF, Lim SS, Chung CK, Kang IJ. 2012. Antioxidant activities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ies from seaweed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434-449),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Park SJ, Min KJ, Park TG. 2012.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Screening of the Biological Activity of Agarum cribrosum. Korean J Food & Nutr 25:842-849) 탐색 등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45746호(공개일자: 2011.05.04)에는, 구멍쇠미역(Agarum clathratum)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 및 인지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1999-0084271호(공개일자: 1999.12.06)에는, 변비증상 개선 효과가 있는 차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 생약재 중 동규자, 동규자엽, 결명자, 결명자엽, 노회, 대황, 망초, 센나엽, 마자인, 감수, 대극, 원화, 파두, 흑축, 이질풀, 몰식자나무, 느릅나무, 무화과나무, 하수오, 마디풀, 호장, 장군풀, 종대황, 금문대황, 자리공, 쇠비름, 피마자유, 얄라파, 카스카라사그라다, 후랑굴라피, 망강남, 삼백초 또는 차전자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기호성이 우수하고 변비증상 개선효과가 우수한 차 및 이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멍쇠미역 투여가 동물의 체중변화와 식이효율 및 장내용물의 장통과시간과 배변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변비예방용 식품조성물로 개발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구멍쇠미역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비개선용 식품조성물 제공한다. 하기 본 발명의 실험에 의할 경우, 구멍쇠미역에 현저한 변비개선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변비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구멍쇠미역을 포함하기만 하면 그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일 예로 카페인 음료, 일반음료, 빵류, 과자류, 피자, 젤리, 면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성 음료 및 그 밖의 선식, 건식 등 건강보조식품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변비개선용 식품조성물에 있어서, 구멍쇠미역은 바람직하게 분말 형태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변비개선용 식품조성물에 있어서, 구멍쇠미역은 바람직하게 5~10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구멍쇠미역에 우수한 변비 개선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멍쇠미역은 변비개선능을 갖는 식품조성물로 개발되어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변비 유도쥐 분변의 수분함량에 대해 구멍쇠미역이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그래프 중 a~d는 유의적(p<0.05)으로 다름을 의미한다. N: 정상식이군, C: 정상식이 및 로퍼아마이드 처리군(변비유도군), SD5: 5% 구멍쇠미역 및 로퍼아마이드 처리군, SD10: 10% 구멍쇠미역 및 로퍼아마이드 처리군.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험 및 실시예를 통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구멍쇠 미역 급여에 의한 생리학적 변화 관찰]
본 실험에 사용된 구멍쇠 미역(Agarum cribrosum)은 2011년도에 강원도 동해안에서 채취한 것을 경포대영어조합법인에서 공여받았다. 깨끗하게 수세한 생체를 냉풍제습건조기(TJHP-1003, Joogang Precision, Daegu, Korea)에서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4주령 Sprague-Dawley종 수컷 흰쥐(Central Lab animal, Seoul, Korea)를 환경이 조절된 사육실(기온 20℃, 습도 55%, 12시간 dark/light cycle)에서 펠렛형 고형사료(Jeil animal feed Co., Daejeon, Korea)로 2주간 사육하여 평균 체중이 200 g정도로 성장한 6주령의 쥐를 사용하여 평균 체중이 유사하도록 10마리씩 4군으로 나누었다.
정상대조군을 제외한 세 군의 동물은 전 실험기간 동안 실험식이에 로퍼아마이드(loperamide, Sigma, St. Louis, MO, USA)를 0.03% 수준으로 첨가 투여하여 변비상태를 유발하였다. 정상군(N)과 대조군(C)은 AIN-76 사료를 공급하였고, SD5군과 SD10군은 구멍쇠미역분말 5% 및 10%를 첨가한 사료를 5주 동안 자유 급이하였다. 모든 실험 식이는 총 탄수화물(65%), 총 단백질(20%), 총지방(15%)의 비율을 동일하게 하여, 이소칼로리 식이(isocaloric diet)가 되도록 제조하였으며, 실험 식이의 조성은 표 1과 같았다.
실험 식이의 조성(g/식이100g)
성분 그룹1 )
N C SD 5 SD10
Casein 20 20 20 20
Sucrose 10 10 10 10
Corn oil 5 5 5 5
Vitamin mix2) 1 1 1 1
Mineral mix3) 3.5 3.5 3.5 3.5
Choline chloride 0.2 0.2 0.2 0.2
DL-methionine 0.3 0.3 0.3 0.3
Corn starch 60 60 60 60
Agarum cribrosum
powder
- - 5 10
Loperamide - 0.03 0.03 0.03
1)N: normal diet group, C: normal diet and loperamide-treated group, SD5: 5% of Agarum cribrosum powder and loperamidetreated group, SD10: 10% of Agarum cribrosum powder and loperamide-treated group.
2)AIN-76 vitamin mix (g/kg mix): thiamin-HCl 0.6, riboflavin 0.6, pyridoxine HCl 0.7, nicotinic acid 3, D-calcium pantothenate 1.6, folic acid 0.2, cyanocobalamin 0.001, retinyl palmitate 0.8 (500,000 IU/g), DL-a-tocopheryl acetate 20 (2,501 IU/g), cholecalciferol 0.0025, menaquinone 0.005, sucrose to make 1kg
3)AIN-76 mineral mix (g/kg mix): calcium phosphate dibasic 500, sodium chloride 74, potassium citrate monohydrate 220, potassium sulfate 52, magnesium oxide 24, manganous carbohydrate 3.5, ferric citrate 6, zinc carbonate 1.6, cupric carbonate 0.3, potassium iodate 0.01, sodium selenite 0.01, chromium potassium sulfate 0.55, sucrose to make 1 kg
실험 결과는 SPSS package program(version 12.0)을 이용하여 평균±표준오차로 나타내었으며, 각 군의 평균치간의 차이에 대한 유의성은 one-way ANOVA (analysis of variance)와 Duncanmultiple comparison test에 의해 p<0.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1) 체중변화와 식이효율 측정
실험기간 동안 식이섭취량은 일주일에 3회, 체중은 일주일에 1회 일정한 시간에 측정하였고, 식이효율(feed efficiency ratio:FER)은 사육기간 동안의 체중증가량을 같은 기간 동안 섭취한 식이량으로 나누어 산출하였다.
실험기간 5주 동안 정상대조군은 평균 150 g의 체중 증가를 보인데 비해, 변비유발군들은 평균 19~64 g의 유의적으로 낮은 체중증가를 보였다(표 2).
체중, 식이섭취량 및 FER
그룹1 ) 초기 체중 최종 체중 체중 증가량 식이 섭취량 FER2)
(g) (g) (g/35 days) (g/day)
N 203.413)ns4) 354.20a5) 150.79a 25.35a 0.17a
C 206.11 270.18b 64.07b 22.88b 0.08b
SD 5 203.25 223.36c 20.11c 14.61c 0.04c
SD 10 206.27 225.97c 19.70c 18.54d 0.03c
1)See the footnote of Table 1
2)FER: feed efficiency ratio (weight gain g/feed intake g)
3)Mean(n=10)
4)ns: not significant
5)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 within a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0.05 by Duncanmultiple range test
로퍼아마이드는 배변 기간의 증가, 대장 연동 운동의 저하와 더불어 일정기간 연속적으로 투여하면 대장 관내 점액질의 두께가 얇아져서 대장 내용물의 이동에 지장을 초래하여 변비를 유발하고, 그 증상이 사람에게서 일어나는 변비와 유사하다고 보고되어 있다(Cepinskas G. 1993. Adaptive cytoprotection in the small intestine: Role of mucus. Am J Physiol 264:921-927).
쉬모토요돔 등(Shimotoyodome A, Meguro S, Hase T, Tokimitsu I, Sakata T. 2000. Decreased colonic mucus in rats with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Comp Biochem Physiol 126:203-211)은 로퍼아마이드를 투여할 경우 복부팽만, 식욕 저하 등의 증상에 의해 실험동물의 식이섭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보고한 바 있으며, 본 실험에서 변비유발군들의 평균 체중 증가가 정상대조군에 비해 낮은 이유도 식이섭취량의 감소에 따른 체중증가의 억제의 결과로 보여진다. 식이효율은 N군에 비해 C군, SD 5군, SD 10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2) 장 통과시간( gastrointestinal ( GI ) transit time ) 측정
장 내용물의 장 통과시간(GI transit time)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실험식이 투여 후 4주째에 실험동물을 12시간 절식시킨 후, 장 통과 표지물질로 카르민 레드(carmine red, Sigma)를 0.5% 혼합한 식이 10 g씩을 먼저 급여하여 다 섭취시킨 후 실험 식이를 평상일과 같은 시간에 제공하였다. 카르민 레드(carmine red) 혼합식 급여 후 30분 간격으로 변 중에 적색 표지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여 표지 혼합식 급여 시간으로부터 표지가 변 중에 처음 나타난 시간까지의 간격을 장 통과시간으로 하였다.
실험결과는 표 3과 같았다.
장 내용물의 장 통과시간(GI transit time) 측정
그룹1 ) GI transmit time (min)
N 853.1NS2)
C 890.3
SD 5 821.4
SD 10 789.7
1)See the footnote of Table 1
2)NS: not signficant.
실험식이 섭취후 4주째 측정한 장통과시간을 보면 대조군이 853.1분이었고, SD 10군에서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789.7분으로 감소하였다.
스필러 등(Spiller GA, Chernoff MC, Hill RA, Gates JE, Nassar JJ, Shipley EA. 1980. Effect of purified cellulose, pectin, and a low residue diet on fecal volatile fatty acids, transit time and fecal weight in humans. Am J Clin Nutr 33: 754-759)은 사람에게 셀룰로오스와 펙틴을 섭취시켰을 때 셀룰로오스는 유의적으로 장 통과시간을 감소시켰으나, 펙틴은 대조군에 비해 오히려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고 보고하였다. 즉, 불용성 식이섬유는 총 장 통과시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나 수용성 식이섬유는 그러한 효과가 적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Kim MH. 2000. The water-soluble extract of chicory reduces cholesterol uptake in gut-perfused rats. Nutr Res 20:1017-1026).
일반적으로 불용성 식이섬유는 대장에서 박테리아에 의한 분해에 저항성을 가지고 있어 물리적 구조를 유지하기 때문에 위에서 물을 흡수, 팽윤하여 콜로이드상이 되어 배설물의 용적 및 무게를 증가시킴으로 배변량 및 배변 횟수를 증가시킨다(Blackburn NA, Johnson IT. 1981. The effect of guar gum on the viscosity of the gastrointestinal contents and glucose uptake form the perfused jejunum in the rat. Brit J Nutr 46:239-246). 또한, 장내 미생물군의 생존을 유지해 잔사의 보수력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부피를 증가시켜 장벽을 자극하고 장운동을 촉진시킴으로써 변의 대장 통과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Cummings JH, Beatty ER, Kingman SM, Bingham SA, Englyst HN. 1996. Digestion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resistant starch in the human large bowel. Brit J Nutr 75:733-747).
구멍쇠미역은 본 발명에서 장통과시간의 단축효과가 나타나 변비증세의 완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3) 조직 중량 및 장 길이 측정
변비를 유발시키면서 식이섬유를 급이한 흰쥐의 조직 중량 및 장 길이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사육기간이 끝난 실험동물들을 12시간 절식시킨 후 희생일 아침 1% 케타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ketamine hydrochloride, Sigma) 용액을 체중 100 g 당 0.2 mL 양으로 복강 내 주사하여 마취시킨 후 개복하였다. 간, 신장은 적출 후 지방을 제거하고 냉장 생리 식염수로 3회 세척 후 거즈로 수분을 제거하여 중량을 측정하였고, 소장과 대장은 채취한 후 바로 길이를 측정하였다.
변비를 유발시키면서 식이섬유를 급이한 흰쥐의 간 및 신장의 무게변화는 표 4와 같이, 체중 대비 간의 무게는 모든 실험군에서 정상군과 차이가 없었으며, 신장의 무게도 각 실험군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조직 중량 및 장 길이 측정
그룹1 ) 간 무게 신장 무게 소장 길이 대장 길이
(g/100 g BW) (g/100 g BW) (cm) (cm)
N 2.852)ns3) 0.67 97.34 16.24
C 3.53 1.05 97.03 16.75
SD 5 3.51 1.11 98.31 18.57
SD 10 3.84 1.12 98.36 18.38
1)See the footnote of Table 1
2)Mean(n=10)
3)ns: not significant
가르시아 등(Garcia DF, Garcia MV, Bayon JE, Gonzalez GJ. 1996. Pectin feeding influences fecal bile acids excretion, hepatic bile acid, and cholesterol synthesis and serum cholesterol in rats. J Nutr 126:1766-1771)의 연구에서도 정상상태에서 식이섬유 종류별 섭취에 따른 간과 신장 무게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다고 보고하고 있어 본 실험의 결과와 일치했다.
실험동물들의 소장 및 대장의 길이는 변비의 유무와 식이섬유 급원에 따른 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상기 표 4). 설 등(Seol SM, Bang MH, Choi OS, Kim WK. 2003. Effects of high amylose starch on lipid metabolism and immune response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450-457)도 식이를 4주간 흰쥐에게 사육한 결과 소장의 길이는 식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보고하여 식이섬유의 종류와 양에 의한 소장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은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는 식이섬유로 인한 영양소 흡수저해에 적응하기 위해 초기에는 소장의 길이가 증가하기도 하지만 섬유소가 장 내용물의 체류시간을 지연시켜 장관 벽과 영양소 간의 접촉시간을 늘려주게 됨에 따라 적응의 필요성이 줄어들면서 다시 정상 길이로 회복되기 때문인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4) 분변량 및 수분함유 측정
구멍쇠 미역 첨가 식이가 변비 증세 호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실험동물을 희생하기 전 24시간 동안 배설되는 분변을 하루에 2회 수집하여 즉시 분변 무게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분변은 105℃에서 항량에 달할 때까지 건조시킨 후에 건조 중량을 측정하고, 건조 전후 중량의 차이를 분변의 수분함량으로 하였다.
분변량을 측정한 결과는 표 5와 같았다.
분변량 측정 결과
그룹1 ) 분변 무게
(g/day)
N 2.842)a3)
C 1.34d
SD 5 1.57c
SD 10 2.02b
1)See the footnote of Table 1
2)Mean(n=10)
3)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 within a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0.05 by Duncanmultiple range test
N군의 1일 평균 분변량은 2.84 g, C군은 1.34 g, SD 5군은 1.57 g, SD 10군은 2.02 g으로 나타났는데, 구멍쇠 미역의 섭취가 변비 증상 호전에 영향을 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변의 수분함량 측정 결과, 로퍼아마이드를 단독 투여한 대조군(C) 분변의 수분함량이 정상군(N)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로포아마이드 투여로 인해 변비가 유발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구멍쇠미역 5% 및 10%가 함유된 사료를 급이한 군(SD5, D10)은 정상군에 비해 분변의 수분함량이 각각 1.6배 및 2.1배 증가하였다(도 1). 이와 같은 결과는 구멍쇠미역의 변비 개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5)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농도 측정
구멍쇠 미역을 급이한 흰쥐의 혈청 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triglyceride) 함량 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혈청분석은 시험종료일에 실험동물을 마취시킨 후 개복하여 후대정맥에서 채혈하였으며, 혈액을 원심분리 하여 혈청을 분리 후, 분석용 키트(Asan Pharmaceutical Co.,Seoul, Korea)를 이용하여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triglyceride)을 측정하였다.(표 6).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측정 결과(mg/dL)
그룹1 ) 총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Triglyceride)
N 67.212)a3) 57.21a 49.34a
C 60.47b 48.31b 43.38a
SD 5 58.34b 37.24c 40.21a
SD 10 40.21c 34.94c 33.48b
1)See the footnote of Table 1
2)Mean(n=10)
3)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 within a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0.05 by Duncanmultiple range test
측정 결과,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구멍쇠 미역 5% 급이군(SD5)에서 로퍼아마이드로 변비를 유발한 대조군(C)에 비해 3.5%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구멍쇠 미역 10% 급이군(SD10)은 40.21 mg/dL로 33.5% 감소하여 구멍쇠 미역의 섭취량이 높아질수록 흰쥐의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이 감소하였다.
HDL-콜레스테롤은 대조군에 비해 SD5군과 SD10군이 각각 22.9% 및 27.7% 감소하였으나 첨가 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으며, 혈중 중성지방 농도는 대조군(C)에 비해 SD10군에서 22.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6) 혈중 GOT, GPT, BUN 및 포도당 농도 측정
구멍쇠미역을 급이한 흰쥐의 혈청 중 GOT, GPT, BUN 및 포도당 함량 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STANBIO사(Boerne, TX,USA)의 측정용 kit를 이용하여 GOT, GPT, BUN 및 포도당을 분석하였다(표 7)
GOT, GPT, BUN 및 포도당 농도 (mg/dL)
그룹1 ) GOT GPT BUN 포도당
N 31.002)a3) 27.13a 40.34a 251.31a
C 28.37a 29.00a 39.85a 257.99a
SD 5 30.84a 25.13a 39.98a 250.17a
SD 10 31.09a 28.75a 37.55a 251.73a
1)See the footnote of Table 1
2)Mean(n=10)
3)3)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 within a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0.05 by Duncanmultiple range test
간기능의 지표로 간 기능에 이상이 있을 때 수치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GOT(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및 GTP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는 각 실험군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신 장 기능 장애의 임상지표인 BUN(blood urea nitrogen) 농도는 대조군(C)에 비해 SD10 군에서 낮게 나타났다. 혈중 포도당 농도는 각 실험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7) 간 조직 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 지방 함량 측정
간 조직 내 콜레스테롤 및 중성 지방 함량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간 조직 1 g에 클로로포름-메탄올(2:1, v/v) 용액 6 mL을 첨가하여 냉장상태에서 3일간 방치하며 수시로 교반한 후, 2 mL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1,900×g에서 20분간 원심분리시킨 다음 지질이 녹아있는 클로로포름 층을 피펫으로 취하였다.
간 조직 내의 총콜레스테롤 분석 결과는 표 8과 같았다.
간 조직 중 총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및 중성 지방 함량 (mg/g)
그룹1 ) 총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Triglyceride)
N 116.182)b3) 89.27a 257.64a
C 131.24a 75.24b 269.11a
SD 5 94.31c 80.67c 199.27a
SD 10 93.94c 81.24c 201.67a
1)See the footnote of Table 1
2)Mean(n=10)
3)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 within a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0.05 by Duncanmultiple range test
구멍쇠 미역 급이군(SD5, SD10) 모두 정상군(N) 및 대조군(C)에 비해 총콜레스테롤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로퍼아마이드 투여에 의해 감소되었던 HDL-콜레스테롤은 구멍쇠 미역 급이시 대조군(C)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또한, 중성지방 함량은 총콜레스테롤과 마찬가지로 구멍쇠 미역 급이군(SD5, SD10)이 정상군(N)과 대조군(C)에 비해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사실로부터, 구멍쇠 미역이 간에 중성지방 축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나 구멍쇠 미역 첨가량에 따른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차이는 나타나지 않아 추후 첨가량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실시예 2: 변비개선용 식품 조성물 제조]
실시예 2에서는 하기와 같이 변비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 선식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의 분말로 준비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및 들깨 각각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후 배전 및 분쇄하여 입도 60메쉬의 분말로 준비하였다. 이후, 현미 30중량%, 율무 15중량%, 보리 20중량%, 찹쌀 9중량%, 들깨 7중량%, 검정콩 8중량%, 검정깨 3중량%, 구멍쇠미역 7중량%, 영지 0.5중량% 및 지황 0.5중량%을 혼합하여 선식을 제조하였다.
(2) 비스킷 제조
박력 1급 22.59중량%, 중력 1급 19.22중량%, 정백당 4.80중량%, 식염 0.73중량%, 포도당 0.78중량%, 팜쇼트닝 11.78중량%, 암모니움 1.54중량%, 중조 0.17중량%, 중아황산나트륨 0.16중량%, 쌀가루 1.45중량%, 비타민 B₁0.0001중량%, 비타민 B₂0.0001중량%, 밀크향 0.04중량%, 물 20.6998중량%, 전지분유 1.16중량%, 대용분유 0.29중량%, 제일인산칼슘 0.03중량%, 살포염 0.29중량% 및 분무유 7.27중량%와 구멍쇠미역 7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비스킷을 제조하였다.
(3) 건강음료 제조
꿀 0.26중량%, 치옥토산아미드 0.0002중량%, 니코틴산아미드 0.0004중량%,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0.0001중량%, 염산피리독신 0.0001중량%, 이노시톨 0.001중량%, 오르트산 0.002중량%, 물 92.7362중량% 및 구멍쇠미역 7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건강 음료를 제조하였다.

Claims (3)

  1. 구멍쇠미역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비개선용 식품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구멍쇠미역은,
    분말 형태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비개선용 식품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구멍쇠미역은,
    5~1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변비개선용 식품조성물.
KR1020130037217A 2013-04-05 2013-04-05 구멍쇠미역을 함유하는 변비개선용 식품조성물 KR101459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217A KR101459665B1 (ko) 2013-04-05 2013-04-05 구멍쇠미역을 함유하는 변비개선용 식품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217A KR101459665B1 (ko) 2013-04-05 2013-04-05 구멍쇠미역을 함유하는 변비개선용 식품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055A KR20140121055A (ko) 2014-10-15
KR101459665B1 true KR101459665B1 (ko) 2014-11-12

Family

ID=51992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7217A KR101459665B1 (ko) 2013-04-05 2013-04-05 구멍쇠미역을 함유하는 변비개선용 식품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96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604A (ko) 2018-11-27 2020-06-0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장 염증 및 변비 개선 효능을 갖는 매실 유산발효액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9151A (ko) * 2009-10-09 2011-04-15 (주)에스.앤.디 해양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9151A (ko) * 2009-10-09 2011-04-15 (주)에스.앤.디 해양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604A (ko) 2018-11-27 2020-06-0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장 염증 및 변비 개선 효능을 갖는 매실 유산발효액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055A (ko) 201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anco et al. Psyllium (Plantago ovata Forsk): From evidence of health benefits to its food application
CN101606704B (zh) 一种具有多种功能作用的膳食纤维食品
Choi et al. Volatile N-nitrosamine inhibition after intake Korean green tea and Maesil (Prunus mume SIEB. et ZACC.) extracts with an amine-rich diet in subjects ingesting nitrate
JP6526021B2 (ja) 食事性脂肪吸収の低下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オクラを含む組成物
CN102406860A (zh) 预防和治疗糖尿病的组合物、其制备方法及应用
US20090148414A1 (en) Novel Composition to Improve Gut Health and Animal Performanc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N102429183B (zh) 一种具有增强免疫力和通便功能的果蔬组合物及其制备方法
Son et al. Effect of adlay, buckwheat and barley on lipid metabolism and aorta histopathology in rats fed an obesogenic diet
Basharat et al. Nutritional and functional profile of carob bean (Ceratonia siliqua): A comprehensive review
Fotschki et al. Effects of dietary addition of a low-pectin apple fibre preparation on rats
US20140335123A1 (en) Food Composition and Uses for Diabetes
CN101095520A (zh) 一种具有降脂减肥作用的功能食品
Azene et al. Nutritional, health benefits and toxicity of underutilized garden cress seeds and its functional food products: a review
KR101459665B1 (ko) 구멍쇠미역을 함유하는 변비개선용 식품조성물
KR101487769B1 (ko) 아스퍼질러스 오리재를 이용한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CN115968977A (zh) 一种减肥用宠物粮及其制备方法
KR101687558B1 (ko) 천연재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변비 및 숙변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4432068A (zh) 一种减肥保健食品
Preuss et al. Chitosan as a dietary supplement for weight loss: a review
KR101373493B1 (ko) 톳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19779B1 (ko) 체중 및 체지방 감소 효과가 있는 다이어트용 양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Matsuzaki et al. Application of seaweeds to human nutrition and medicine
JP2007215517A (ja) イグサ加工食品およびイグサ加工食品による体質改善方法
Williams A study of the laxative action of wheat bran
KR20150044014A (ko) 소화흡수를 억제하는 항비만용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