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3740A -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3740A
KR20210063740A KR1020190152219A KR20190152219A KR20210063740A KR 20210063740 A KR20210063740 A KR 20210063740A KR 1020190152219 A KR1020190152219 A KR 1020190152219A KR 20190152219 A KR20190152219 A KR 20190152219A KR 20210063740 A KR20210063740 A KR 20210063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ll
coupling
auxiliary fram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4857B1 (ko
Inventor
이청종
Original Assignee
이청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청종 filed Critical 이청종
Priority to KR1020190152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857B1/ko
Priority to PCT/KR2020/016713 priority patent/WO2021107571A1/ko
Publication of KR20210063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4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62Cross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으로서, 바닥면에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향하여 천장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 건축물의 측벽에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 하단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며 측단부가 상기 수직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벽체; 및 좌우의 상기 수직 프레임 또는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나사결합되는 원통형 머리 나사를 매개로 하여 상기 벽체를 가로지르도록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함으로써, 보조 프레임을 좌우의 수직 프레임 사이 또는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 사이의 원하는 위치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Auxiliary Frame Easy-To-Install Wall System}
본 발명은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하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 수직 프레임 및 이에 결합되는 벽체를 포함하는 벽체 시스템에서 좌우의 수직 프레임 또는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에 나사결합되는 다보나사를 매개로 하여 벽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보조 프레임을 구비하여, 보조 프레임을 좌우의 수직 프레임 사이 또는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 사이의 원하는 위치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바닥면에 밀착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벽체의 일단부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고정 몰딩부 및 베이스부의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벽체의 일단부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결합 몰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동일한 구조의 하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건축물의 실내공간에 조립식 벽체를 쉽게 설치할 수 있고 해체 및 재조립이 용이하며, 설치나 해체 작업을 소수의 인원이 한 번에 할 수 있고 인건비가 저감되며 공기가 단축되는,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의 실내공간 구획은 고정식 벽체 또는 조립식 벽체로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여러 공정을 대신하여 복수의 판재를 제작하여 조립하는 조립식 벽체가 많이 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의 조립식 벽체는 자재의 조립에만 주안점을 두고 해체는 등한시하여 일단 시공된 벽체의 이전 설치 및 자재의 재사용이 어려운 실정이고, 런너, 스터드, 몰딩, 고정부재, 마감부재 등 많은 부재들로 시공하여 시공인력을 많이 필요로 하며, 시공작업이 복잡하게 이루어지고 시공 기간이 길어 조립식 벽체의 유지·보수가 용이치 못한 단점이 있었다.
조립식 벽체 중에서 유리벽체는 투명한 강화유리나 무늬를 새겨넣은 반투명 무늬유리 또는 내부에 금속망을 삽입하고 압착성형한 망입유리 등의 규격화된 원판을 벽체 프레임에 맞는 크기로 재단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사용상의 필요에 의하여 또는 장식적인 목적으로, 벽체 프레임에 벽체 프레임을 가로 또는 세로로 가로지르는 분할 프레임이 추가적으로 구비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는 분할 프레임에 의해 나누어진 칸에 맞는 크기로 유리벽체를 재단하여 각각의 칸에 별도의 유리벽체를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유리벽체를 설치할 경우에는, 분할 프레임에 의해 나누어진 각각의 칸에 맞는 크기로 유리벽체를 재단하여 사용하여야 하는바 유리벽체의 추가적인 절단작업이 필요해지게 되고, 규격화된 원판의 일부만 재단하여 사용하고 나머지 쓰지 못하는 부분은 버리게 되므로 재료비가 상승되며, 각각의 칸에 별도의 유리벽체를 개별적으로 설치해야 하는바 설치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8832호(공고일자 2015년 03월 05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63507호(공고일자 2018년 06월 01일)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 수직 프레임 및 이에 결합되는 벽체를 포함하는 벽체 시스템에서 좌우의 수직 프레임 또는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에 나사결합되는 다보나사를 매개로 하여 벽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보조 프레임을 구비하여, 보조 프레임을 좌우의 수직 프레임 사이 또는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 사이의 원하는 위치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바닥면에 밀착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벽체의 일단부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고정 몰딩부 및 베이스부의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벽체의 일단부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결합 몰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동일한 구조의 하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건축물의 실내공간에 조립식 벽체를 쉽게 설치할 수 있고 해체 및 재조립이 용이하며, 설치나 해체 작업을 소수의 인원이 한 번에 할 수 있고 인건비가 저감되며 공기가 단축되는,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하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 수직 프레임 및 보조 프레임의 구성이 단순하여 벽체 시스템의 설치, 해체 및 재조립이 용이하고, 벽체 시스템의 해체 및 재조립 시에 상부 프레임, 수직 프레임, 보조 프레임 및 가스켓을 재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설치된 벽체의 외형이 슬림하고 미려한,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으로서, 바닥면에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향하여 천장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 건축물의 측벽에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 하단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며 측단부가 상기 수직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벽체; 및 좌우의 상기 수직 프레임 또는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나사결합되는 원통형 머리 나사를 매개로 하여 상기 벽체를 가로지르도록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에 의하면, 하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 수직 프레임 및 이에 결합되는 벽체를 포함하는 벽체 시스템에서 좌우의 수직 프레임 또는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에 나사결합되는 다보나사를 매개로 하여 벽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보조 프레임을 구비하여, 보조 프레임을 좌우의 수직 프레임 사이 또는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 사이의 원하는 위치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바닥면에 밀착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벽체의 일단부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고정 몰딩부 및 베이스부의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벽체의 일단부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결합 몰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동일한 구조의 하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건축물의 실내공간에 조립식 벽체를 쉽게 설치할 수 있고 해체 및 재조립이 용이하며, 설치나 해체 작업을 소수의 인원이 한 번에 할 수 있고 인건비가 저감되며 공기가 단축되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하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 수직 프레임 및 보조 프레임의 구성이 단순하여 벽체 시스템의 설치, 해체 및 재조립이 용이하고, 벽체 시스템의 해체 및 재조립 시에 상부 프레임, 수직 프레임, 보조 프레임 및 가스켓을 재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설치된 벽체의 외형이 슬림하고 미려한,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벽체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하부 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하부 프레임의 베이스부 및 고정 몰딩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하부 프레임의 결합 몰딩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가스켓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보조 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1에 따른 벽체 시스템의 수직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측면", "예시" 등은 기술된 임의의 양상(aspect)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또는' 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 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 를 의미한다. 즉,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 라는 표현은 포함적인 자연 순열들(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a" 또는 "an")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또는 단수 형태에 관한 것이라고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벽체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하부 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하부 프레임의 베이스부 및 고정 몰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하부 프레임의 결합 몰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시스템(1)은, 하부 프레임(10), 상부 프레임(미도시), 수직 프레임(20), 벽체(30), 그리고 원통형 머리 나사(40)를 매개로 하여 벽체(30)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가로지르도록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프레임(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 프레임(10), 상부 프레임(미도시) 및 수직 프레임(20)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시스템(1)을 하부, 상부 및 측부에서 지지하는 골격을 이루는 구성요소이다.
벽체(30)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시스템(1)의 측면부 대부분을 이루는 평판형 부재로서, 하단부는 하부 프레임(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단부는 상부 프레임(미도시)의 내부에 배치되며 측단부는 수직 프레임(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설치 고정된다.
이러한 벽체(50)로는 다양한 소재와 크기의 평판형 패널이 사용될 수 있는바, 라미네이트 보드, 마그네슘 보드, 파티클 보드, MDF 보드 또는 강화유리 등의 패널이 사용될 수 있으며, 벽체(50)의 외표면에는 다양한 색상과 무늬를 갖는 필름 등을 씌워 입히는 래핑 처리가 될 수 있고, 강화유리인 경우에는 표면에 무늬를 새겨넣은 반투명 무늬유리나 내부에 금속망을 삽입하고 압착 성형한 망입유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부 프레임(1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부 프레임(10)은 건축물의 바닥면에 설치 고정되어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시스템(1)의 수직 하중의 대부분을 지지하는 부재로서, 베이스부(11), 고정 몰딩부(12) 및 결합 몰딩부(13)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는 하부 프레임(10)을 바닥면에 설치하는 경우 바닥면에 접하도록 설치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바닥면에 평행하게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부분이며, 일정한 폭으로 충분히 길게 형성되어 나사 등에 의해 바닥면에 고정되게 된다.
고정 몰딩부(12)는 베이스부(11)의 중앙부 윗쪽에 놓여지는 벽체(30)의 일단부의 일측면을 측방에서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으로서, 베이스부(11)의 일측의 상면부에 대략적으로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부분이다.
결합 몰딩부(13)는 베이스부(11)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베이스부(11)의 중앙부 윗쪽에 놓여지는 벽체(30)의 일단부의 타측면을 측방에서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으로서, 전체적으로 하면부가 개방된 'ㄷ'자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몰딩부(13)의 폭 방향 양측 하부에는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1 결합돌기(13a)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부(11)의 타측의 상면부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결합돌기(13a)와 억지끼움식 결합이 가능하도록 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 1 걸림턱(11a)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베이스부(11)의 중앙부 윗쪽에 벽체(30)의 일단부를 배치한 후, 결합 몰딩부(13)를 탄성 변형시켜 제 1 결합돌기(13a)가 베이스부(11)의 타측의 제 1 걸림턱(11a)에 걸려지도록 베이스부(11)와 결합시킴으로써 벽체(30)의 일단부를 하부 프레임(10) 내부에 설치 고정 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베이스부(11)의 중앙부 윗쪽에 배치되는 벽체(30)의 일단부는 후술하게 될 한 쌍의 가스켓(60)을 매개로 하여 하부 프레임(10)의 내부에 설치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몰딩부(12)는 베이스부(11)의 중앙부를 향하는 내면부에 제 1 가스켓 결합홈(125)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몰딩부(13)는, 결합 몰딩부(13)가 베이스부(11)의 타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부(11)의 중앙부를 향하게 되는 내면부에 제 2 가스켓 결합홈(135)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스켓 결합홈(125) 및 제 2 가스켓 결합홈(135) 각각의 상측 내면부와 하측 내면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 2 걸림턱(125a, 135a)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 프레임(미도시) 및 수직 프레임(20)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하부 프레임(1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상부 프레임(미도시)은 하부 프레임(1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을 상하를 뒤집어서 하부 프레임(10)에 대향하여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 고정하게 되며, 수직 프레임(20)은 하부 프레임(1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을 수직 방향으로 세워서 건축물의 측벽에 설치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하부 프레임(10), 상부 프레임(미도시) 및 수직 프레임(20)은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가공성이 좋고 가벼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시스템(1)은 복수 개의 가스켓(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11)의 중앙부 윗쪽에 배치되는 벽체(30)의 일단부는 한 쌍의 가스켓(60)을 매개로 하여 하부 프레임(10)의 내부에 설치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가스켓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가스켓(60)은, 하부 프레임(10)의 중앙부 윗쪽에 배치되는 벽체(30)의 일단부와 고정 몰딩부(12) 또는 결합 몰딩부(13) 사이에 설치되어, 고정 몰딩부(12)와 벽체(30) 사이 또는 결합 몰딩부(13)와 벽체(30) 사이를 막아서 마감하면서 벽체(30)의 일단부를 측방에서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접촉부(61) 및 몰딩 결합부(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가스켓(60)의 폭 방향 일측에는 벽체(30)에 밀착되는 접촉부(61)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폭 방향 타측에는 제 1 가스켓 결합홈(125) 또는 제 2 가스켓 결합홈(135)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몰딩 결합부(62)가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접촉부(61)는, 벽체(30)에 밀착되는 부분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벽체(30)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홈이나 돌기 등이 특정 방향으로(예를 들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몰딩 결합부(62)에는 중앙부에 분리홈(621)이 길이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분리홈(621)의 상측과 하측에 상측 결합편(622)과 하측 결합편(623)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가스켓 결합홈(125) 또는 제 2 가스켓 결합홈(135)의 하나 이상의 제 2 걸림턱(125a, 135a)에 걸려지도록 상측 결합편(622)의 상면부 및 하측 결합편(623)의 하면부 각각에는 하나 이상의 제 2 결합돌기(622a, 623a)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가스켓(60)을 이용하여 벽체(30)를 하부 프레임(10), 상부 프레임(미도시) 및 수직 프레임(20) 사이에 설치할 경우에는, 먼저, 제 2 결합돌기(622a, 623a)가 제 2 걸림턱(125a, 135a)에 걸려지도록 복수 개의 가스켓(60)의 몰딩 결합부(62)를 하부 프레임(10), 상부 프레임(미도시) 및 수직 프레임(20)을 구성하는 고정 몰딩부(12)의 제 1 가스켓 결합홈(125) 및 결합 몰딩부(13)의 제 2 가스켓 결합홈(135) 각각에 길이 방향으로 밀어 넣어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하부 프레임(10), 상부 프레임(미도시) 및 수직 프레임(20)을 구성하는 고정 몰딩부(12) 및 결합 몰딩부(13) 각각에 가스켓(60)이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 프레임(10), 상부 프레임(미도시) 및 수직 프레임(20)의 고정 몰딩부(12)에 결합된 가스켓(60)의 접촉부(61)에 벽체(30)의 상단부, 하단부 및 측단부의 일측면이 밀착되도록 벽체(30)를 배치시키게 된다.
그 다음에, 결합 몰딩부(13)를 하부 프레임(10), 상부 프레임(미도시) 및 수직 프레임(20) 각각의 베이스부(11)에 결합시켜서 고정 몰딩부(12) 및 결합 몰딩부(13)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가스켓(60) 사이에 벽체(30)의 상단부, 하단부 및 측단부가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벽체(30)를 하부 프레임(10), 상부 프레임(미도시) 및 수직 프레임(20) 사이에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상부 프레임의 경우에는 벽체(30)의 상단부가 상부 프레임의 내부로 충분히 삽입되었다가 내려지면서 벽체(30)의 하단부가 하부 프레임(10)의 베이스부(11)의 중앙부 윗쪽에 놓여질 수 있을 정도의 높이를 가져야 함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시스템(1)의 경우에는 상부 프레임(미도시)이 벽체(30)의 상단부의 양측면을 측방에서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만 갖도록 형성되어도 충분하게 되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시스템(1)은 받침고무(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고무(70)는 벽체(30)의 하단부가 하부 프레임(10)의 베이스부(11)의 중앙부 윗쪽에 놓여질 경우에 베이스부(11)의 중앙부 상면에 놓여지는 부재로서, 벽체(30)의 하단부를 지지하면서 벽체(30)의 하중을 베이스부(11)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며, 하중이 집중되거나 베이스부(11)와의 마찰 등에 의해 벽체(30)의 하단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받침고무(70)는 일정한 폭으로 충분히 길게 형성된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적절한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받침고무(70)가 하부 프레임(10)의 베이스부(11)의 중앙부 상면에 배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보조 프레임(5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보조 프레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보조 프레임(50)은, 좌우의 수직 프레임(20) 또는 하부 프레임(10)과 상부 프레임(미도시)에 나사결합되는 원통형 머리 나사(40)를 매개로 하여, 벽체(30)를 가로지르도록 좌우의 수직 프레임(20)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하부 프레임(10)과 상부 프레임(미도시)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상판부(51), 하판부(52), 측판부(53) 및 격판(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보조 프레임(50)이 벽체(30)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보조 프레임(50)은 전체적으로 내면부가 개방된 'ㄷ'자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벽체(30)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측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상판부(51), 벽체(30)에 수직한 방향으로 하측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하판부(52), 상판부(51)의 외측 단부와 하판부(52)의 외측 단부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판부(53) 및 상판부(51)와 하판부(52)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지만 중앙부에는 개구부(54a)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격판(54)을 포함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프레임(50)이 벽체(30)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될 경우 벽체(30)에 인접하게 되는 상판부(51)의 내측 단부와 하판부(52)의 내측 단부 사이(내면부)는 개방된 형태이고, 격판(54)은 보조 프레임(50)의 내부 공간을 벽체(3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여유 공간부(55)와 커넥터 수용부(56)로 구획하게 되며, 커넥터 수용부(56) 내부에는 후술하게 될 커넥터(80)가 결합되게 된다.
이때, 격판(54)의 중앙부에는 개구부(54a)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데, 이는 보조 프레임(50)을 설치할 때 미리 좌우의 수직 프레임(20) 또는 하부 프레임(10)과 상부 프레임(미도시)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원통형 머리 나사(40)의 머리부가 보조 프레임(50)의 길이 방향 양단부의 개구부(54a)를 통하여 여유 공간부(55)로부터 커넥터 수용부(56)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보조 프레임(50)은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가공성이 좋고 가벼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시스템(1)은, 보조 프레임(50)의 길이 방향 양단부의 내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1에 따른 벽체 시스템의 수직 단면도이다.
길이 방향 양단부의 내부에 한 쌍의 커넥터(80)가 각각 결합되어 있는 보조 프레임(50)을 좌우의 수직 프레임(20)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하거나 하부 프레임(10)과 상부 프레임(미도시)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할 경우에, 한 쌍의 커넥터(80)는 좌우의 수직 프레임(20) 또는 하부 프레임(10)과 상부 프레임(미도시)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원통형 머리 나사(40)의 머리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보조 프레임(50)이 좌우의 수직 프레임(20)사이에 설치되거나 하부 프레임(10)과 상부 프레임(미도시) 사이에 설치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커넥터(80) 각각에는, 내부에 폭 방향 일측 방향으로 개방된 설치공간(81)이 형성되며, 설치공간(81)의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고 원통형 머리 나사(40)의 머리부와 결합될 수 있는 집게부(82)가 구비된다.
한 쌍의 커넥터(80) 각각은, 원통형 머리 나사(40)의 머리부와 충분한 결합력으로 결합될 수 있을 정도의 적절한 길이로 형성되어 보조 프레임(50)의 길이 방향 양단부의 커넥터 수용부(56)에 삽입된 후 접착됨으로써 보조 프레임(50)의 길이 방향 양단부의 내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도 2 참조), 접착수단으로는 폴리우레탄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을 포함하는 접착제, 에폭시 수지 등의 합성수지, 핫멜트 필름과 같은 접착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한 쌍의 커넥터(80) 각각을 보조 프레임(50)의 길이 방향 양단부의 커넥터 수용부(56)에 삽입시킬 때에는, 커넥터(80) 내부의 설치공간(81)이 격판(54)의 개구부(54a) 및 여유 공간부(55)와 연통될 수 있도록 방향을 맞추어 삽입시켜야 한다.
이러한 한 쌍의 커넥터(80)는 충분한 탄성 및 강도를 갖는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합성수지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통형 머리 나사(40)는 일반적으로 '다보나사'라고 불리는 선반지지나사(Shelf Support Screw)로서, 외측면에 나사가 형성된 축부 및 원통형 형상의 머리부를 포함하며, 머리부의 상면부에는 공구로 원통형 머리 나사(40)를 회전시키기 위한 일자 홈, 십자 홈 또는 다각형 홈이 구비된다.
보조 프레임(50)을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좌우의 수직 프레임(20) 또는 하부 프레임(10)과 상부 프레임(미도시)의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의 원통형 머리 나사(40)를 각각 나사결합시켜 설치하게 되는데, 보조 프레임(50)의 길이 방향 양단부의 내부에 결합되어 있는 커넥터(80)에는 원통형 머리 나사(40)의 머리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집게부(82)가 구비되어 있는바, 보조 프레임(50)을 벽체(30)에 인접한 방향으로 밀게 되면 집게부(82)가 원통형 머리 나사(40)의 머리부와 결합되게 되므로, 보조 프레임(50)은 원통형 머리 나사(40) 및 커넥터(80)를 매개로 하여 좌우의 수직 프레임(20)사이 또는 하부 프레임(10)과 상부 프레임(미도시) 사이에 설치되게 된다.
도 9에는 벽체(30)의 하단부가 하부 프레임(10)의 내부에 설치 고정된 상태에서 한 쌍의 보조 프레임(50)이 벽체(30)의 양측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상태인 벽체 시스템(1)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에 의하면, 하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 수직 프레임 및 이에 결합되는 벽체를 포함하는 벽체 시스템에서 좌우의 수직 프레임 또는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에 나사결합되는 다보나사를 매개로 하여 벽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보조 프레임을 구비하여, 보조 프레임을 좌우의 수직 프레임 사이 또는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 사이의 원하는 위치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바닥면에 밀착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벽체의 일단부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고정 몰딩부 및 베이스부의 타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벽체의 일단부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결합 몰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동일한 구조의 하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건축물의 실내공간에 조립식 벽체를 쉽게 설치할 수 있고 해체 및 재조립이 용이하며, 설치나 해체 작업을 소수의 인원이 한 번에 할 수 있고 인건비가 저감되며 공기가 단축되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하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 수직 프레임 및 보조 프레임의 구성이 단순하여 벽체 시스템의 설치, 해체 및 재조립이 용이하고, 벽체 시스템의 해체 및 재조립 시에 상부 프레임, 수직 프레임, 보조 프레임 및 가스켓을 재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설치된 벽체의 외형이 슬림하고 미려한,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벽체 시스템
10: 하부 프레임
11: 베이스부 11a: 제 1 걸림턱
12: 고정 몰딩부
125: 제 1 가스켓 결합홈 125a: 제 2 걸림턱
13: 결합 몰딩부 13a: 제 1 결합돌기
135: 제 2 가스켓 결합홈 135a: 제 2 걸림턱
20: 수직 프레임
30: 벽체
40: 원통형 머리 나사
50: 보조 프레임 51: 상판부
52: 하판부 53: 측판부
54: 격판 54a: 개구부
55: 여유 공간부 56: 커넥터 수용부
60: 가스켓
61: 접촉부
62: 몰딩 결합부 621: 분리홈
622: 상측 결합편 622a: 제 2 결합돌기
623: 하측 결합편 623a: 제 2 결합돌기
70: 받침고무
80: 커넥터
81: 설치공간 82: 집게부

Claims (9)

  1. 바닥면에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향하여 천장에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
    건축물의 측벽에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
    하단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며 측단부가 상기 수직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벽체; 및
    좌우의 상기 수직 프레임 또는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나사결합되는 원통형 머리 나사를 매개로 하여 상기 벽체를 가로지르도록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바닥면에 밀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의 상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벽체의 일단부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고정 몰딩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벽체의 일단부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결합 몰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은 상기 하부 프레임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몰딩부의 폭 방향 양측 하부에는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 1 결합돌기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의 상면부 양측에는 상기 제 1 결합돌기와 억지끼움식 결합이 가능하도록 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 1 걸림턱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몰딩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부를 향하는 내면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 1 가스켓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몰딩부는,
    상기 결합 몰딩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부를 향하게 되는 내면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 2 가스켓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가스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가스켓 각각은,
    상기 벽체에 밀착되도록 폭 방향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제 1 가스켓 결합홈 또는 상기 제 2 가스켓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폭 방향 타측에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몰딩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스켓 결합홈과 상기 제 2 가스켓 결합홈 각각의 상측 내면부와 하측 내면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 2 걸림턱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몰딩 결합부에는 중앙부에 분리홈이 길이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분리홈의 상측과 하측에 상측 결합편과 하측 결합편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측 결합편의 상면부 및 상기 하측 결합편의 하면부 각각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 2 걸림턱에 걸려지도록 하나 이상의 제 2 결합돌기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의 하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부 위에 놓여지는 받침고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의 길이 방향 양단부의 내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프레임은,
    상기 보조 프레임이 상기 벽체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될 경우를 기준으로,
    상기 벽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측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상판부;
    상기 벽체에 수직한 방향으로 하측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하판부;
    상기 상판부의 외측 단부 및 상기 하판부의 외측 단부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판부; 및
    상기 상판부와 상기 하판부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지만 중앙부에는 개구부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격판;을 포함하며,
    상기 벽체에 인접하게 되는 상기 상판부의 내측 단부와 상기 하판부의 내측 단부 사이는 개방된 형태이고,
    상기 격판은, 상기 보조 프레임의 내부를, 상기 벽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여유공간부와 상기 커넥터가 수용되는 커넥터 수용부로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커넥터 각각에는, 내부에 폭 방향 일측 방향으로 개방된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간의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 머리 나사의 머리부와 결합될 수 있는 집게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
KR1020190152219A 2019-11-25 2019-11-25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 KR102284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219A KR102284857B1 (ko) 2019-11-25 2019-11-25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
PCT/KR2020/016713 WO2021107571A1 (ko) 2019-11-25 2020-11-24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219A KR102284857B1 (ko) 2019-11-25 2019-11-25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740A true KR20210063740A (ko) 2021-06-02
KR102284857B1 KR102284857B1 (ko) 2021-07-30

Family

ID=76130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219A KR102284857B1 (ko) 2019-11-25 2019-11-25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84857B1 (ko)
WO (1) WO202110757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832B1 (ko) 2013-12-31 2015-03-05 윤종희 단창 구조 칸막이
KR200485826Y1 (ko) * 2017-08-22 2018-03-02 정범석 반사형 방음벽의 탈,부착식 방음판 및 방음패널 결합구조
KR101863507B1 (ko) 2017-07-20 2018-06-01 윤종희 칸막이의 중간프레임 간격조절 고정장치
KR20190122981A (ko) * 2018-04-23 2019-10-31 주식회사 태원에스아이 흡음 및 공기정화가 가능한 파티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8216A1 (es) * 2006-02-01 2007-08-09 Movinord, S.A. Sistema de partición espacial
US9506247B2 (en) * 2014-03-28 2016-11-29 Steelcase Inc. Transparent panel system for parti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832B1 (ko) 2013-12-31 2015-03-05 윤종희 단창 구조 칸막이
KR101863507B1 (ko) 2017-07-20 2018-06-01 윤종희 칸막이의 중간프레임 간격조절 고정장치
KR200485826Y1 (ko) * 2017-08-22 2018-03-02 정범석 반사형 방음벽의 탈,부착식 방음판 및 방음패널 결합구조
KR20190122981A (ko) * 2018-04-23 2019-10-31 주식회사 태원에스아이 흡음 및 공기정화가 가능한 파티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4857B1 (ko) 2021-07-30
WO2021107571A1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55906A1 (en) Garage door window frame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1529009B1 (ko) 착탈식 벽체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941918B1 (ko) 입체 간판용 신형 받침프레임
CA2809528C (en) Door assembly for a light fixture
KR20160063631A (ko) 벽체의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284857B1 (ko)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
KR101473753B1 (ko) 텐션클립을 이용한 패널
KR20200048077A (ko)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벽 패널 조립체
KR102007380B1 (ko) 커튼 월
CN210925211U (zh) 楼房模型
JP2007051494A (ja) 通風性採光ドア
EP3312357B1 (en) System for mak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environment using panes of glass, panels or the like
JP6867641B2 (ja) 透光壁パネル装置
JPH10299222A (ja) 外壁の化粧構造
CN216007599U (zh) 一种单软膜单木板型墙体面板模块结构
KR20190127334A (ko) 커튼월 외장 시스템의 외부 장식물 설치 구조
GB2583060A (en) Panel mount
KR101743177B1 (ko) 간판용 프레임
KR101703248B1 (ko) 간판용 프레임
KR20040034628A (ko) 칠판의 프레임 고정장치.
KR200300471Y1 (ko) 창호틀 조립체
JP3352015B2 (ja) ユニットルームの天井の構造
KR200325205Y1 (ko) 인테리어 프레임
KR102569942B1 (ko) 건축용 패널
JP2018184797A (ja) 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