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3730A - 디지털컨텐츠 배포 및 중고거래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컨텐츠 배포 및 중고거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3730A
KR20210063730A KR1020190152203A KR20190152203A KR20210063730A KR 20210063730 A KR20210063730 A KR 20210063730A KR 1020190152203 A KR1020190152203 A KR 1020190152203A KR 20190152203 A KR20190152203 A KR 20190152203A KR 20210063730 A KR20210063730 A KR 20210063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ontent
information
user
distributed ledg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3423B1 (ko
Inventor
정승욱
Original Assignee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52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423B1/ko
Publication of KR20210063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06Q20/1235Shopping for digital content with control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2During e-commerce, i.e. online transa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컨텐츠 배포 및 중고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에 의해 등록된 디지털컨텐츠 및 디지털컨텐츠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되는 스마트 컨트랙트가 블록체인에 포함되어,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에 따라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배포 및 중고거래를 수행하는, 디지털컨텐츠 배포 및 중고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지털컨텐츠 배포 및 중고거래 시스템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and Used Trading System}
본 발명은 디지털컨텐츠 배포 및 중고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에 의해 등록된 디지털컨텐츠 및 디지털컨텐츠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되는 스마트 컨트랙트가 블록체인에 포함되어,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에 따라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배포 및 중고거래를 수행하는, 디지털컨텐츠 배포 및 중고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테블릿 PC와 같이 개인용 단말기의 성능 및 5세대 이동 통신기술과 같이 무선 통신기술이 향상됨에 따라서, 영화, 음악, 전자책, 게임 등의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디지털컨텐츠를 소비하는 방식은 크게 디지털컨텐츠 스트리밍 플랫폼을 사용하거나, 디지털컨텐츠를 직접 구매하여 사용자의 저장매체에 직접 다운로드 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디지털컨텐츠 스트리밍 플랫폼을 통해 소비자는 해당 플랫폼에 소정의 비용을 지불하고, 해당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디지털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소비할 수 있다. 한편, 소비자는 포털사이트 등과 같이 디지털컨텐츠를 판매하는 웹페이지를 통해 소정의 비용을 지불하여 디지털컨텐츠를 구매하고, 구매한 디지털컨텐츠를 해당 소비자의 단말기에 다운로드 하여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소비할 수 있다.
그러나 디지털컨텐츠 스트리밍 플랫폼 방식의 경우 해당 소비자가 특정 디지털컨텐츠를 소유하는 개념을 포함하고 있지 않고, 직접 디지털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방식의 경우 디지털 권리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DRM)기술이 포함된 디지털컨텐츠는 해당 소비자만 소비할 수 있도록 강제하며, DRM Free가 적용된 디지털컨텐츠는 타인에게 복사 및 전송이 용이하므로, 소비자가 구매한 디지털컨텐츠의 중고거래는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디지털컨텐츠의 저작권자, 배급자, 유통자 등과 같이 디지털컨텐츠를 공급하는 측에서는 디지털컨텐츠를 신규 판매하는 것으로만 유일하게 수익을 창출할 수 있으므로, 신규 출시일을 기점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익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수익 모델을 갖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디지털컨텐츠를 구매하는 소비자의 경우에는 최초 구매한 디지털컨텐츠를 다시 사용하지 않으므로 불필요한 디지털컨텐츠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컨텐츠의 공급을 담당하는 측면에서는 지속적으로 해당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고, 디지털컨텐츠를 소비하는 소비자의 측면에서는 더욱 합리적으로 디지털컨텐츠를 구매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에 의해 등록된 디지털컨텐츠 및 디지털컨텐츠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되는 스마트 컨트랙트가 블록체인에 포함되어,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에 따라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배포 및 중고거래를 수행하는 디지털컨텐츠 배포 및 중고거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서비스서버를 포함하는 디지털컨텐츠 배포 및 중고거래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비스서버에서,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디지털컨텐츠를 상기 서비스서버의 DB에 등록하는 디지털컨텐츠등록단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정보, 상기 디지털컨텐츠의 제공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디지털컨텐츠의 거래관련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기록하는 제1분산원장기록단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디지털컨텐츠를 신규 구매하고자 하는 제1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규구매요청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사용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전자지갑으로 기설정된 포인트의 이체기록을 상기 분산원장에 기록하고, 상기 제1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분산원장의 상기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에 추가하는 제2분산원장기록단계; 상기 서비스서버에서, 상기 제1사용자의 단말기의 제공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컨텐츠를 상기 제1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신규디지털컨텐츠제공단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1사용자의 단말기의 중고전환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에 중고거래가 가능함을 기록하는 제3분산원장기록단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디지털컨텐츠를 중고 구매하고자 하는 제2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중고구매요청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산원장의 상기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에 제2사용자의 정보를 추가하는 기록을 하고, 상기 제2사용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제1사용자의 전자지갑 및 상기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전자지갑으로 기설정된 포인트의 이체기록을 상기 분산원장에 기록하는 제4분산원장기록단계; 및 상기 서비스서버에서, 상기 제2사용자의 단말기의 제공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컨텐츠를 상기 제2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중고디지털컨텐츠제공단계;를 수행하는, 디지털컨텐츠 배포 및 중고거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분산원장기록단계에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기록되는 상기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디지털컨텐츠의 제공자에 대한 정보는 해당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전자지갑에 대한 주소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디지털컨텐츠의 거래관련정보는 신규가격정보, 신규가격배당정보, 중고가격정보, 중고가격할당정보, 중고가격배당정보 및 중고화필요기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분산원장기록단계에서, 상기 디지털컨텐츠의 거래관련정보는 신규가격정보 및 신규가격배당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분산원장기록단계는, 상기 제1사용자의 전자지갑에서 출금된 상기 신규가격정보에 상응하는 제1포인트 및 상기 신규가격배당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된 제2포인트의 상기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전자지갑으로의 이체기록을 상기 분산원장에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분산원장기록단계에서, 상기 디지털컨텐츠의 거래관련정보는 중고화필요기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분산원장기록단계는, 상기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에 비활성화값을 포함하는 중고상태정보를 더 추가하고, 상기 제3분산원장기록단계는, 상기 중고화필요기간정보에 상응하는 기간을 초과한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상기 제1사용자의 단말기의 중고전환요청에 따라 상기 중고상태정보를 활성화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분산원장기록단계에서, 상기 디지털컨텐츠의 거래관련정보는 중고가격정보, 중고가격할당정보 및 중고가격배당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4분산원장기록단계는, 상기 제2사용자의 전자지갑에서 출금된 상기 중고가격정보에 상응하는 제3포인트 및 상기 중고가격할당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된 제4포인트의 상기 제1사용자의 전자지갑으로의 이체기록 및 상기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전자지갑으로 상기 제3포인트, 상기 중고가격할당정보 및 상기 중고가격배당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된 제5포인트의 이체기록을 상기 분산원장에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기록되므로,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구매하는 데 있어 투명하게 구매내역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가 기록된 분산원장에 따라서 기설정된 포인트를 신규 구매자의 전자지갑에서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전자지갑으로 이체하므로, 구매자 혹은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별도의 포인트를 분배하기 위한 수행 없이 디지털컨텐츠를 구매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컨텐츠를 구매한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개인키의 서명에 대한 값에 기초하여 검증과정을 수행하고, 검증이 완료된 경우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므로, 디지털컨텐츠를 제공하는데 있어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는 중고화필요기간정보를 포함하여, 해당 디지털컨텐츠가 중고화필요기간정보에 상응하는 기간이 초과된 이후에 중고로 판매할 수 있도록 하므로, 무분별하게 신규 구매한 디지털컨텐츠를 중고로 판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디지털컨텐츠를 신규 구매하거나, 디지털컨텐츠를 중고 구매하는 경우에 분산원장에 해당 구매자의 정보가 기록되므로, 투명하게 디지털컨텐츠를 관리할 수 있고, 기록된 사용자의 정보 및 해당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제공요청을 하는 사용자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여 디지털컨텐츠를 제공하므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가 기록된 분산원장에 따라서 기설정된 포인트를 중고로 구매하는 사용자의 전자지갑에서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전자지갑 및 중고로 판매하는 사용자의 전자지갑으로 이체하므로, 해당 주체들의 별도의 포인트를 분배하기 위한 수행 없이 디지털컨텐츠를 중고 구매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컨텐츠 배포 및 중고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컨텐츠가 서비스서버에 등록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가 분산원장에 기록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컨텐츠를 신규 구매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규 구매한 디지털컨텐츠를 중고로 등록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컨텐츠를 중고 구매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제공요청에 따라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검증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저장되는 블록들의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컨텐츠 배포 및 중고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지털컨텐츠 배포 및 중고거래 시스템은 서비스서버(10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를 포함하고, 복수의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단말기(300.N) 및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기(400.M)와 통신을 수행하여, 디지털컨텐츠의 배포 및 중고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되는 각각의 구성요소는 일 실시예인 것으로써,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100)는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한다. 서비스서버(100)는 복수의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단말기(300.N),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기(400.M)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와 통신을 수행하며, 각각의 구성요소와 통신을 수행하여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털컨텐츠의 배포 및 중고거래를 위한 단계들을 수행한다.
서비스서버(100)는 DB를 포함하여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단말기(300.N)로부터 수신한 디지털컨텐츠를 저장하고, 소정의 과정을 수행하여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구매한 사용자의 단말기(400.M)로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서비스서버(100)는 DB에 저장된 디지털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400.M)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DB는 물리적으로 서비스서버(100) 내에 포함되거나 혹은 서비스서버(100)의 외부에 배치되어 서비스서버(100)의 요청에 의해 디지털컨텐츠를 저장하고, 서비스서버(100)의 호출에 의해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서버(1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로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스마트 컨트랙트를 기반으로 트랜잭션을 생성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서비스서버(100)는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단말기(300.N)로부터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정보에 기초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에 포함된 복수의 노드(210.K) 가운데 특정 노드(210.1)에게 해당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도록 하는 요청정보를 송신한다. 해당 요청정보를 수신한 특정 노드(210.1)는 요청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초하여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배포, 중고거래, 제공 과정에 있어서의 다양한 트랜잭션이 생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는 서비스서버(100)가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의 노드(210.K)로 참여하고 있지 않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비스서버(100)가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의 노드(210.K)로 참여하여 직접 해당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고, 이에 기반하여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도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는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복수의 노드(210.K)들을 포함한다. 상기 블록체인 기술은 블록이 체인형태로 연결된 저장 구조를 사용하여,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 및 해당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디지털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210.K)들에 저장하는 분산 저장 기술이다.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는 특정 노드(210.K)에서 생성된 스마트 컨트랙트 혹은 트랜잭션을 기설정된 합의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블록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블록 형태로 저장되는 데이터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210.K)들에 의해 상호 공유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는 구현 형태에 따라서 임의의 노드들이 합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개방형(Public) 블록체인 네트워크 또는 기설정된 노드 혹은 별도의 승인과정을 통해 결정되는 노드만이 합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폐쇄형(Private) 블록체인 네트워크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에서 수행되는 합의 알고리즘은, Proof of Work(PoW) 알고리즘, Proof of Stake(PoS) 알고리즘, Delegated Proof of Stake(DPoS) 알고리즘, 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PBFT) 알고리즘, Delegated Byzantine Fault Tolerance(DBFT) 알고리즘, Redundant Byzantine Fault Tolerance(RBFT) 알고리즘, Sieve 알고리즘, Tendermint 알고리즘, Paxos 알고리즘, Raft 알고리즘, Proof of Authority(PoA) 알고리즘, 또는 Proof of Elapsed Time(PoET)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에 포함되는 각각의 노드(210.K)들은 계층 구조에 따른 블록체인 코어 패키지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상기 계층 구조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에서 다뤄지는 데이터의 구조를 정의하고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계층, 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블록을 생성하는 마이닝을 수행하고 마이닝 과정에서 채굴자에게 지급되는 수수료의 처리를 담당하는 합의 계층, 스마트 컨트랙트를 처리 및 실행시키는 스마트 컨트랙트 계층, P2P 네트워크 프로토콜, 해시 함수, 전자서명, 인코딩 및 공통 저장소를 구현 및 관리하는 공통 계층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생성, 처리 및 관리되는 응용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스마트 컨트랙트는 디지털컨텐츠와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디지털컨텐츠의 신규판매 가격, 신규판매 가격에 대한 배당률, 중고판매가 가능한 최소한의 기간 등과 같은 정보들이 프로그래밍 가능한 언어로 작성되고 임의의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즉, 스마트 컨트랙트에 포함된 코드 또는 함수가 실행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과 같이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신규거래 및 중고거래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컨트랙트는 새로운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는 방식, 특정 스마트 컨트랙트 상의 코드 또는 함수를 실행하는 방식, 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에서 유통되는 포인트를 이체하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컨트랙트는 외부 소유 계정에 의해서 발생한 트랜잭션이나 다른 컨트랙트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포인트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0) 상에서 동작 가능한 임의의 형태의 가상 화폐 또는 토큰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포인트는 상기 서비스서버(100) 혹은 별도의 서버에 의해 시세에 따라 현금으로의 환전이 가능할 수도 있다.
한편,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단말기(300.N)는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저작권자, 유통자, 배급자 등과 같이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서비스서버(100)로 제공하기 위한 모든 주체가 사용하는 단말기에 해당한다. 또한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단말기(300.N)는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써, 구체적으로 상기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단말기(300)는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워크스테이션 PC(Workstation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phone), 테블릿(Tablet),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을 포함한다.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단말기(300.N)는 서비스서버(100)와 유선 혹은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상호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서비스서버(100)로 디지털컨텐츠 및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복수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기(400.M)는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단말기(300.N)를 통해 서비스서버(100)에 등록된 디지털컨텐츠를 신규 구매하거나, 신규 구매한 디지털컨텐츠를 중고 판매 및 구매하는 모든 주체가 사용하는 단말기에 해당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단말기(400.M)는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써,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는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워크스테이션 PC(Workstation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phone), 테블릿(Tablet),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을 포함한다.
한편, 복수의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단말기(300.N) 및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기(400.M) 각각에 상응하는 전자지갑(310.N, 410.M)을 포함한다. 각각의 전자지갑(310.N, 410.M)에는 해당 디지털컨텐츠 제공자 혹은 사용자가 보유한 포인트를 포함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에서 유통되는 포인트는 각각의 전자지갑(310.N, 410.M)에 할당된 고유 주소에 따라서 해당 포인트를 이체되고, 이체기록이 블록 내의 트랜잭션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각 전자지갑(310.N, 410.M)의 주소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에서 디지털컨텐츠 제공자 혹은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후술하는 제1사용자의 단말기(400) 및 제2사용자의 단말기(500)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디지털컨텐츠 제공자가 등록한 디지털컨텐츠를 신규 구매하는 사용자를 제1사용자로 명명하고, 상기 제1사용자가 구매한 디지털컨텐츠를 중고 구매하는 사용자를 제2사용자로 명명하였으나, 상기 제1사용자 및 상기 제2사용자는 신규 구매만 수행하거나 중고 구매만 수행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컨텐츠가 서비스서버에 등록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가 분산원장에 기록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서버(100)에서,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디지털컨텐츠를 상기 서비스서버(100)의 DB에 등록하는 디지털컨텐츠등록단계(S20);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에서, 상기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정보(610), 상기 디지털컨텐츠의 제공자에 대한 정보(620), 및 상기 디지털컨텐츠의 거래관련정보(630)를 포함하는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600)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의 분산원장에 기록하는 제1분산원장기록단계(S40);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단말기(300)는 해당 디지털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고자 하는 디지털컨텐츠를 서비스서버(100)로 송신하는 단계(S10)를 수행한다. 해당 단계(S10)에서는 디지털컨텐츠 파일 뿐만 아니라, 해당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600)를 더 포함하여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600)는 해당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정보(610), 상기 디지털컨텐츠의 제공자에 대한 정보(620) 및 상기 디지털컨텐츠의 거래관련정보(630)를 포함하며, 즉 상기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600)는 해당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메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단말기(300)를 통해 A 영화를 송신하는 경우, A 영화가 재생될 수 있는 영상데이터 및 A 영화에 대한 메타정보를 서비스서버(100)로 송신한다.
서비스서버(100)는 해당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디지털컨텐츠를 DB에 등록하는 디지털컨텐츠등록단계(S20)를 수행한다. 상기 디지털컨텐츠등록단계(S20)를 수행하여 서비스서버(100)는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DB에 저장하고, 추후에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구매한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제공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서버(100)는 상기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디지털컨텐츠에 기초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로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분산원장에 기록하도록 하는 요청정보를 송신하는 단계(S30)를 수행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서버(100)는 상기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600)를 포함하는 상기 요청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요청정보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210.K) 가운데 특정 노드(210.K)로 송신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요청정보는 상기 특정 노드(210.K)에서 해당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도록 하는 요청정보에 해당한다.
서비스서버(100)로부터 상기 요청정보를 수신한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의 특정 노드(210.K)는 해당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600)를 분산원장에 기록하는 제1분산원장기록단계(S40)를 수행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분산원장기록단계(S40)를 통해 상기 특정 노드(210.K)는 상기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600)에 기초하여 해당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스마트 컨트랙트를 분산원장 즉, 블록체인을 형성하는 블록의 트랜잭션에 기록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에 포함되는 정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3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분산원장기록단계(S40)에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의 분산원장에 기록되는 상기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600)에 포함되는 상기 디지털컨텐츠의 제공자에 대한 정보(620)는 해당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전자지갑에 대한 주소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600)에 포함되는 상기 디지털컨텐츠의 거래관련정보(630)는 신규가격정보(631), 신규가격배당정보(632), 중고가격정보(633), 중고가격할당정보(634), 중고가격배당정보(635) 및 중고화필요기간정보(636)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600)는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메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600)는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정보(610), 디지털컨텐츠의 제공자에 대한 정보(620) 및 디지털컨텐츠의 거래관련정보(630)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정보(610)는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제목정보,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이미지 혹은 썸네일(Thumbnail) 이미지정보,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장르정보 등과 같이 디지털컨텐츠를 카테고리화 하기 위한 정보 및 디지털컨텐츠 자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컨텐츠의 제공자에 대한 정보(620)는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송신한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단말기(300) 혹은 해당 디지털컨텐츠 제공자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식별정보 및 해당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단말기(300)에 포함되는 전자지갑의 주소정보 등과 같이,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서비스서버(100)로 송신한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단말기(30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전자지갑의 주소정보 자체로써 고유식별정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고유식별정보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컨텐츠의 제공자에 대한 정보(620)는 단일 주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거나 혹은 복수의 주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디지털컨텐츠를 제공하는 주체가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제작한 저작권자,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유통하는 유통자 및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배급하는 배급자와 같이 복수의 주체에 의해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디지털컨텐츠의 제공자에 대한 정보(620)는 각각의 주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컨텐츠의 저작권자, 유통자 및 배급자가 각각 복수의 주체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상기 디지털컨텐츠의 제공자에 대한 정보(620)는 각각의 주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컨텐츠의 거래관련정보(630)는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신규가격정보(631), 신규가격배당정보(632), 중고가격정보(633), 중고가격할당정보(634), 중고가격배당정보(635) 및 중고화필요기간정보(636) 등과 같이,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배포(신규거래) 및 중고거래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신규가격정보(631)는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디지털컨텐츠의 제공자가 최초로 등록하여 사용자에게 판매하기 위한 포인트정보에 해당한다. 상기 신규가격배당정보(632)는 상기 신규가격정보(631)에 상응하는 포인트에서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제공자에게 배분되는 배당률에 대한 정보에 해당한다. 상기 중고가격정보(633)는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중고로 판매하기 위한 포인트정보에 해당한다. 상기 중고가격할당정보(634)는 상기 중고가격정보(633)에 상응하는 포인트에서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중고판매하는 사용자를 제외한 나머지 주체들에게 배분되는 배당률에 대한 정보에 해당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나머지 주체에는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제공한 디지털컨텐츠의 제공자 및 디지털컨텐츠 배포 및 중고거래 시스템을 운영하는 운영자, 바람직하게는 서비스서버(100)를 운영하는 운영자를 포함한다. 상기 중고가격배당정보(635)는 상기 중고가격정보(633)에서 상기 중고가격할당정보(634)를 고려한 포인트에서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제공자에게 배분되는 배당률에 대한 정보에 해당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중고화필요기간정보(636)는 서비스서버(100)에 신규 등록된 디지털컨텐츠를 중고로 판매할 수 있는 기간에 대한 정보에 해당한다. 더 구체적으로, 오늘 신규로 제공되는 디지털컨텐츠를 사용자가 구매한 후 바로 중고거래가 가능한 경우에,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신규로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감소하여, 결과적으로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제공자의 수익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중고화필요기간정보(636)는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신규 거래가 충분히 이루어진 후에 중고거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기간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고화필요기간정보(636)는 최초 등록 후 1년 혹은 2019년 11월 13일과 같이 특정 기간 혹은 시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고화필요기간정보(636)를 통해 신규 등록된 디지털컨텐츠의 무분별한 중고거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에 대한 정보가 복수의 주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신규가격배당정보(632) 및 상기 중고가격배당정보(635)는 각각의 주체에 대해 배분되는 각각의 배당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600)를 수신한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의 특정 노드(210.K)는 상기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600)에 기초하여 해당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스마트 컨트랙트를 분산원장에 기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는 별도의 DB를 포함하여, 노드(210.K)에서 생성된 스마트 컨트랙트 및 스마트 컨트랙트의 최신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600)에는 해당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포인트의 이동이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신규 구매한 제1사용자의 전자지갑에서 해당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전자지갑으로의 소정의 포인트의 이체 기록 및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중고 구매한 제2사용자의 전자지갑에서 중고 판매자에 해당하는 제1사용자의 전자지갑 또는 해당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전자지갑으로의 소정의 포인트의 이체가 기록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컨텐츠를 신규 구매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에서, 상기 디지털컨텐츠를 신규 구매하고자 하는 제1사용자의 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한 신규구매요청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사용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전자지갑으로 기설정된 포인트의 이체기록을 상기 분산원장에 기록하고, 상기 제1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분산원장의 상기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600)에 추가하는 제2분산원장기록단계(S110);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서버(100)는 상기 디지털컨텐츠를 신규 구매하고자 하는 제1사용자의 단말기(400)의 요청에 기초하여 DB에 등록된 1 이상의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리스트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리스트정보는 상기 제1사용자의 단말기(400)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어 특정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신규구매요청정보를 제1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1사용자의 단말기(400)는 상기 제1사용자가 선택한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신규구매요청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100)로 송신하는 단계(S50)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신규구매요청정보는 상기 제1사용자의 단말기(400)에 포함된 전자지갑의 주소정보 및 제1사용자의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서버(100)는 상기 제1사용자의 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한 신규구매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로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신규구매의 수행을 요청하는 단계(S60)를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사용자의 단말기(400)에 포함된 전자지갑에 기록된 포인트가 상기 디지털컨텐츠의 신규가격정보(631)에 상응하는 포인트 이상인지 판별한 후, 신규가격정보(631)에 상응하는 포인트 이상인 경우에,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로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신규구매의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사용자의 단말기(400)에 포함된 전자지갑에 기록된 포인트의 판별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에서 해당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분산원장기록단계(S110)는, 상기 제1사용자의 전자지갑에서 출금된 상기 신규가격정보(631)에 상응하는 제1포인트 및 상기 신규가격배당정보(632)에 기초하여 도출된 제2포인트의 상기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전자지갑으로의 이체기록을 상기 분산원장에 기록한다.
더 구체적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는 상기 서비스서버(100)로부터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신규구매의 수행을 요청 받는 경우, 해당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에 따라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신규 구매를 위한 포인트의 이체를 수행한다. 우선,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신규 구매하고자 하는 제1사용자의 전자지갑에서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신규가격정보(631)에 상응하는 제1포인트를 출금(S70)하여, 상기 제1사용자의 전자지갑의 총 포인트에서 제1포인트 만큼 차감(S80)된다. 한편, 출금된 상기 제1포인트에서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신규가격배당정보(632)를 고려하여 산출된 제2포인트를 해당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전자지갑으로 송금(S90)하고, 상기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전자지갑에는 상기 제2포인트가 입금(S100)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포인트에서 상기 제2포인트를 차감한 나머지 포인트의 경우 해당 서비스서버(100), 바람직하게는 해당 서비스서버(100)의 전자지갑으로 송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컨텐츠 'A'의 신규가격정보(631)가 1,000포인트이고, 신규가격배당정보(632)가 80%인 경우, 디지털컨텐츠 'A'를 신규 구매하고자 하는 제1사용자의 전자지갑에서 제1포인트에 해당하는 1,000포인트를 출금하고, 1,000포인트에서 신규가격배당정보(632)를 적용한 제2포인트에 해당하는 800포인트를 디지털컨텐츠 'A'의 제공자의 전자지갑으로 입금하고, 나머지 200포인트를 서비스서버(100)의 전자지갑으로 입금하며, 상술한 포인트의 이체과정은 해당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는 상기 제1포인트 및 상기 제2포인트에 대한 이체기록을 상기 분산원장에 추가하는 제2분산원장기록단계(S110)를 수행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2분산원장기록단계(S110)는 분산원장에 해당 이체기록을 추가하며, 현재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구매한 사용자를 상기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600)에 기록하기 위하여 해당 사용자의 고유식별정보 및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중고상태 여부에 대한 중고상태정보를 더 추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의 고유식별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전자지갑 주소정보가 해당될 수 있고, 도 4와 같이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신규로 구매한 경우에는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중고화필요기간정보(636)에 상응하는 기간을 초과하지 않았으므로, 중고상태정보는 비활성화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200)가 노드(210.K)에서 생성된 스마트 컨트랙트 및 스마트 컨트랙트의 최신 상태를 저장하는 별도의 DB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DB에는 상기 제2분산원장기록단계(S110)에서 추가되는 기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규 구매한 디지털컨텐츠를 중고로 등록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에서, 상기 제1사용자의 단말기(400)의 중고전환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600)에 중고거래가 가능함을 기록하는 제3분산원장기록단계(S140);를 수행하고,
상기 제3분산원장기록단계(S140)는, 상기 중고화필요기간정보(636)에 상응하는 기간을 초과한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상기 제1사용자의 단말기(400)의 중고전환요청에 따라 상기 중고상태정보를 활성화값으로 변경한다.
구체적으로, 특정 디지털컨텐츠를 구매한 제1사용자는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중고거래하기 위하여 해당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중고전환요청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100)로 송신(S120)한다. 한편 상기 중고전환요청정보에는 제1사용자의 전자지갑주소 혹은 제1사용자의 고유식별정보 및 제1사용자의 개인키의 서명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사용자는 제1사용자의 단말기(400)로 별도의 입력을 서비스서버(100)로 송신하고, 서비스서버(100)는 상기 제1사용자가 구매한 1 이상의 디지털컨텐츠 가운데 중고거래가 가능한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상기 제1사용자의 단말기(40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해당 리스트는 상기 제1사용자의 단말기(4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제1사용자는 중고거래 하고자 하는 특정 디지털컨텐츠를 선택하여 상기 단계(S120)를 수행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고거래가 가능한 디지털컨텐츠는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중고화필요기간정보(636)에 상응하는 기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해당 기간을 초과하는 경우에 중고거래가 가능한 디지털컨텐츠로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서비스서버(100)에서 상기 제1사용자가 구매한 전체 디지털컨텐츠의 리스트를 상기 제1사용자의 단말기(400)로 송신하고, 해당 리스트에서 중고거래가 가능한 디지털컨텐츠를 구분되도록 상기 제1사용자의 단말기(400)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한편, 해당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중고전환요청을 수신한 상기 서비스서버(1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로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중고상태정보의 변경을 요청(S130)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는 상기 서비스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요청에 따라 해당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비활성화값을 포함하는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중고상태정보를 활성화값으로의 변경을 기록하는 제3분산원장기록단계(S140)를 수행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3분산원장기록단계(S140)는 상기 제2분산원장기록단계(S110)에서 추가된 사용자의 고유식별정보 및 상기 중고전환요청정보에 포함된 고유식별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별하고, 실제 제1사용자가 중고전환요청을 하였는지 상기 중고전환요청에 포함된 개인키의 서명을 사용하여 검증을 수행한 후에 상기 제2분산원장기록단계(S110)에서 추가한 비활성화값을 포함하는 중고상태정보를 활성화값으로의 변경을 기록한다.
한편 상기 제3분산원장기록단계(S140)에서는 중고전환 하고자 하는 디지털컨텐츠에 대하여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중고화필요기간정보(636)에 상응하는 기간을 초과하였는지 판별한 후, 초과된 경우에 중고상태정보의 활성화값으로의 변경을 기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200)가 노드(210.K)에서 생성된 스마트 컨트랙트 및 스마트 컨트랙트의 최신 상태를 저장하는 별도의 DB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DB에는 상기 제3분산원장기록단계에서 변경되는 기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컨텐츠를 중고 구매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에서, 상기 디지털컨텐츠를 중고 구매하고자 하는 제2사용자의 단말기(500)로부터 수신한 중고구매요청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산원장의 상기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600)에 제2사용자의 정보를 추가하는 기록을 하고, 상기 제2사용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제1사용자의 전자지갑 및 상기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전자지갑으로 기설정된 포인트의 이체기록을 상기 분산원장에 기록하는 제4분산원장기록단계(S230);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서버(100)는 상기 디지털컨텐츠를 중고구매하고자 하는 제2사용자의 단말기(500)의 요청에 기초하여 DB에 등록된 1 이상의 중고구매 가능한 디지털컨텐츠, 바람직하게는 중고상태정보가 활성화값을 포함하는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리스트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리스트정보는 상기 제2사용자의 단말기(500)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어 특정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중고구매요청정보를 제2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2사용자의 단말기(500)는 상기 제2사용자가 선택한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중고구매요청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100)로 송신하는 단계(S150)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고구매요청정보는 상기 제2사용자의 단말기(500)에 포함된 전자지갑의 주소정보 및 제2사용자의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서버(100)는 상기 제2사용자의 단말기(500)로부터 수신한 중고구매요청정보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로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중고구매의 수행을 요청하는 단계(S160)를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사용자의 단말기(500)에 포함된 전자지갑에 기록된 포인트가 상기 디지털컨텐츠의 중고가격정보(633)에 상응하는 포인트 이상인지 판별한 후, 중고가격정보(633)에 상응하는 포인트 이상인 경우에,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로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중고구매의 수행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2사용자의 단말기(500)에 포함된 전자지갑에 기록된 포인트의 판별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에서 해당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4분산원장기록단계(S230)는, 상기 제2사용자의 전자지갑에서 출금된 상기 중고가격정보(633)에 상응하는 제3포인트 및 상기 중고가격할당정보(634)에 기초하여 도출된 제4포인트의 상기 제1사용자의 전자지갑으로의 이체기록 및 상기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전자지갑으로 상기 제3포인트, 상기 중고가격할당정보(634) 및 상기 중고가격배당정보(635)에 기초하여 도출된 제5포인트의 이체기록을 상기 분산원장에 기록한다.
더 구체적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는 상기 서비스서버(100)로부터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중고구매의 수행을 요청받는 경우, 해당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에 따라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중고구매를 위한 포인트의 이체를 수행한다. 우선,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중고구매하고자 하는 제2사용자의 전자지갑에서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중고가격정보(633)에 상응하는 제3포인트를 출금(S170)하여, 상기 제2사용자의 전자지갑의 총 포인트에서 제3포인트 만큼 차감(S180)된다. 한편, 출금된 상기 제3포인트에서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중고가격할당정보(634)를 고려하여 산출된 제4포인트를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중고판매하는 제1사용자의 전자지갑으로 송금(S190)하고, 상기 제1사용자의 전자지갑에는 상기 제4포인트가 입금(S200)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4포인트는 상기 제3포인트 및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중고가격할당정보(634)에 상응하는 비율을 곱한 결과값과 상기 제3포인트의 차액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제3포인트에서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중고가격할당정보(634) 및 중고가격배당정보(635)를 고려하여 산출된 제5포인트를 해당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전자지갑으로 송금(S210)하고, 상기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전자지갑에는 상기 제5포인트가 입금(S220)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3포인트에서 상기 제4포인트 및 상기 제5포인트를 차감한 나머지 포인트의 경우 해당 서비스서버(100), 바람직하게는 해당 서비스서버(100)의 전자지갑으로 송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컨텐츠 'A'의 중고가격정보(633)가 800포인트이고, 중고가격할당정보(634)가 25%, 중고가격배당정보(635)가 50%인 경우, 디지털컨텐츠 'A'를 중고구매 하고자 하는 제2사용자의 전자지갑에서 제3포인트에 해당하는 800포인트를 출금하고, 800포인트에서 중고가격할당정보(634) 25%를 적용한 200포인트 및 제3포인트에 해당하는 800포인트의 차액에 해당하는 600포인트가 제4포인트로 산출되어 디지털컨텐츠 'A'를 중고판매하는 제1사용자의 전자지갑으로 입금되고, 제3포인트에 해당하는 800포인트에서 중고가격할당정보(634) 25% 및 중고가격배당정보(635) 50%를 적용한 제5포인트에 해당하는 100포인트를 디지털컨텐츠 'A'의 제공자의 전자지갑으로 입금하고, 나머지 100포인트를 서비스서버(100)의 전자지갑으로 입금하며, 상술한 포인트의 이체과정은 해당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는 상기 제3포인트, 상기 제4포인트 및 상기 제5포인트에 대한 이체기록을 상기 분산원장에 추가하는 제4분산원장기록단계(S230)를 수행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4분산원장기록단계(S230)는 분산원장에 해당 이체기록을 추가하며, 현재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구매한 사용자를 상기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600)에 기록하기 위하여 해당 사용자의 고유식별정보 및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중고상태 여부에 대한 중고상태정보를 더 추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의 고유식별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전자지갑 주소정보가 해당될 수 있고, 중고판매하기 위하여 활성화값을 포함하는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중고상태정보는 다시 비활성화값으로 변경될 수 있고, 추후에 상기 제2사용자가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중고 판매하기 위하여 중고전환요청을 수행하는 경우에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중고상태정보는 활성화값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200)가 노드(210.K)에서 생성된 스마트 컨트랙트 및 스마트 컨트랙트의 최신 상태를 저장하는 별도의 DB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DB에는 상기 제4분산원장기록단계(S230)에서 수행되는 기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상기 분산원장에는 본 발명에서의 디지털컨텐츠 등록, 배포, 포인트의 이동 혹은 이체, 전자지갑에 대한 정보 등과 같이 다양한 정보가 트랜잭션의 형태로 기록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600)는 이와 같은 분산원장에 기록될 수 있고, 디지털컨텐츠의 제공자 혹은 디지털컨텐츠를 신규 또는 중고 구매하는 사용자에 대한 각각의 전자지갑에 기록된 포인트 정보, 예를 들어 보유포인트, 이동 혹은 이체된 포인트에 대한 정보는 상기 분산원장 상에서의 상기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600)에 포함되는 형태로 기록될 수도 있고, 혹은 상기 분산원장의 상기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600) 외에 다른 형태의 데이터로 등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산원장에 기록되는 데이터 카테고리로는 포인트데이터라는 항목이 존재할 수 있고, 이와 같이 포인트데이터라는 항목으로 상기 디지털컨텐츠의 제공자 혹은 사용자의 포인트에 대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포인트데이터는 상기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6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제공요청에 따라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검증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증과정은, 상기 서비스서버(100)에서, 상기 제1사용자의 단말기(400)의 제공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컨텐츠를 상기 제1사용자의 단말기(400)로 제공하는 신규디지털컨텐츠제공단계; 및 상기 서비스서버(100)에서, 상기 제2사용자의 단말기(500)의 제공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컨텐츠를 상기 제2사용자의 단말기(500)로 제공하는 중고디지털컨텐츠제공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검증과정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사용자의 단말기(400)는 상기 제1사용자가 신규 혹은 중고구매한 1 이상의 디지털컨텐츠 가운데 제공받고자 하는 특정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제공요청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100)로 송신하는 단계(S240)를 수행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공요청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개인키의 서명에 대한 값 및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고유식별정보는 해당 사용자의 전자지갑 주소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사용자의 단말기(400)로부터 제공요청정보를 수신한 상기 서비스서버(100)는 상기 제공요청정보에 기초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로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검증을 요청하는 단계(S250)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S250)를 통해 검증을 요청받은 블록체인 네트워크(200)는 해당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해당 디지털컨텐츠에 현재 기록된 사용자의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검증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의 고유식별정보가 일치하는 지를 판별하고, 상기 검증 요청에 포함된 사용자의 개인키의 서명을 개인키와 대응되는 공개키를 사용하여 검증하는 단계(S260)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S260)를 통해 정상적으로 검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서비스서버(100)는 DB에 기저장된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상기 제1사용자의 단말기(400)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온전히 실행하기 위한 파일을 다운로드 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상기 제1사용자의 단말기(400)로 제공하여 해당 디지털컨텐츠의 무단 복제 및 전송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검증과정은 서비스서버(100)에서 디지털컨텐츠를 구매한 사용자에게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에 수행되는 검증과정을 도시한 것이나, 사용자가 디지털컨텐츠를 신규 혹은 중고구매 하는 과정에서도 해당 검증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저장되는 블록들의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에서의 저장 단위인 블록(700.1, 700.2 및 700.3)은 서로 연결되어 블록체인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블록(700.1, 700.2 및 700.3)은 블록헤더 및 트랜잭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블록헤더는 이전 블록헤더의 해시값, Nonce값 및 트랜잭션 그룹(머클트리)의 해시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once값은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에 포함되는 노드가 블록(700.1, 700.2 및 700.3)을 생성하기 위해 변경하는 값으로서, 블록헤더의 해시값이 사전에 설정된 난이도값 보다 작게 나온 경우, 해당 블록헤더에 대한 해시값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트랜잭션 그룹(머클트리)의 해시값은 1 이상의 트랜잭션에 포함된 데이터들의 Root 해시값을 의미할 수 있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15의 블록헤더의 해시값을 도출하기 위해서 블록 #14의 블록헤더의 해시값을 입력값으로 사용하므로, 블록 #14 및 블록 #15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블록헤더의 해시값을 도출하는 데 있어서, 1 이상의 트랜잭션들을 대표하는 해시값인 트랜잭션 그룹(머클트리)의 해시값을 추가적인 입력값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트랜잭션에 대해 위변조가 발생하는 경우, 트랜잭션 그룹의 해시값이 변경되므로,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웃하는 블록(700.1, 700.2 및 700.3)들은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블록(700.1, 700.2 및 700.3) 내에서의 트랜잭션 정보가 무결성 있게 저장될 수 있다.
블록(700.1, 700.2 및 700.3)의 트랜잭션은 수행된 트랜잭션들 중에서 블록(700.1, 700.2 및 700.3)에 포함된 트랜잭션들로서, 해당 트랜잭션이 블록(700.1, 700.2 및 700.3) 내에 포함된 경우, 해당 트랜잭션과 관련된 동작이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트랜잭션의 A, B, C, D, E 및 F는 상술한 전자지갑의 주소정보와 같이 블록체인 네트워크(200)에서 사용되는 주소와 대응될 수 있다. 또한, 트랜잭션의 Contract #1 및 Contract #2는 각각의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의미할 수 있다.
도시된 블록 #14에서의 트랜잭션은, A에서 B로 60포인트를 전송하는 트랜잭션(Tx 1) 및 C에 의해 Contract #1이 생성되거나, 수행되는 트랜잭션(Tx 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600) 또한 블록의 트랜잭션에 기록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블록(700.1, 700.2 및 700.3)의 블록헤더는 부모 블록(이전 블록)의 해시값(ParentHash), 현재 블록의 엉클블록(블록의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블록으로 채택되지못한 블록)들의 해시값(UncleHash), 마이닝후 해당 트랜잭션의 수수료를 받을 어카운트 주소(Coinbase), 어카운트의 상태정보가 모여있는 머클 패트리시아 트리의 루트 노드 해시값(Root), 블록의 모든 트랜잭션에 대한 머클트리의 루트노드 해시값(TxHash), 블록내 모든 트랜잭션에 대한 리시트들의 머클트리의 루트노드 해시값(ReceiptHash), 로그 정보를 사용하는데 사용하는 32바이트 블룸필터 정보(Bloom), 이전블록의 난이도와 타임스탬프로 계산되는 블록 난이도(Difficulty), 현재 블록번호(Number), 블록당 지급가능한 최대 가스(트랜잭션/스마트 컨트랙트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비용(토큰)의 개념)의 총합(GasLimit), 블록내 트랜잭션에 사용된 가스의 총합(GasUsed), 블록의 최초 생성시간(Time), 블록의 기타정보(Extra) 및/또는 작업증명에서 해시값을 계산하는데 충분한 계산횟수를 보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값(MixDigest, Nonce)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기록되므로,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구매하는 데 있어 투명하게 구매내역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가 기록된 분산원장에 따라서 기설정된 포인트를 신규 구매자의 전자지갑에서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전자지갑으로 이체하므로, 구매자 혹은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별도의 포인트를 분배하기 위한 수행 없이 디지털컨텐츠를 구매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컨텐츠를 구매한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개인키의 서명에 대한 값에 기초하여 검증과정을 수행하고, 검증이 완료된 경우 해당 디지털컨텐츠를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므로, 디지털컨텐츠를 제공하는데 있어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는 중고화필요기간정보를 포함하여, 해당 디지털컨텐츠가 중고화필요기간정보에 상응하는 기간이 초과된 이후에 중고로 판매할 수 있도록 하므로, 무분별하게 신규 구매한 디지털컨텐츠를 중고로 판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디지털컨텐츠를 신규 구매하거나, 디지털컨텐츠를 중고 구매하는 경우에 분산원장에 해당 구매자의 정보가 기록되므로, 투명하게 디지털컨텐츠를 관리할 수 있고, 기록된 사용자의 정보 및 해당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제공요청을 하는 사용자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여 디지털컨텐츠를 제공하므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가 기록된 분산원장에 따라서 기설정된 포인트를 중고로 구매하는 사용자의 전자지갑에서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전자지갑 및 중고로 판매하는 사용자의 전자지갑으로 이체하므로, 해당 주체들의 별도의 포인트를 분배하기 위한 수행 없이 디지털컨텐츠를 중고 구매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서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노드,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단말기 및 사용자의 단말기는 도 9에 도시되는 컴퓨팅장치의 1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장치(110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장치(11000)는 상기 서비스서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노드,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단말기 및 사용자의 단말기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100)는 단일 혹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연산처리속도 향상을 위하여 GPU 및 TPU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장치(11000)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9의 실시예는, 컴퓨팅장치(11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장치(11000)는 도 9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9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장치는 도 9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장치(1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장치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5)

  1.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서비스서버를 포함하는 디지털컨텐츠 배포 및 중고거래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비스서버에서,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디지털컨텐츠를 상기 서비스서버의 DB에 등록하는 디지털컨텐츠등록단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정보, 상기 디지털컨텐츠의 제공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디지털컨텐츠의 거래관련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기록하는 제1분산원장기록단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디지털컨텐츠를 신규 구매하고자 하는 제1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신규구매요청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사용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전자지갑으로 기설정된 포인트의 이체기록을 상기 분산원장에 기록하고, 상기 제1사용자의 정보를 상기 분산원장의 상기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에 추가하는 제2분산원장기록단계;
    상기 서비스서버에서, 상기 제1사용자의 단말기의 제공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컨텐츠를 상기 제1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신규디지털컨텐츠제공단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1사용자의 단말기의 중고전환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에 중고거래가 가능함을 기록하는 제3분산원장기록단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디지털컨텐츠를 중고 구매하고자 하는 제2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중고구매요청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산원장의 상기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에 제2사용자의 정보를 추가하는 기록을 하고, 상기 제2사용자의 전자지갑으로부터 상기 제1사용자의 전자지갑 및 상기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전자지갑으로 기설정된 포인트의 이체기록을 상기 분산원장에 기록하는 제4분산원장기록단계; 및
    상기 서비스서버에서, 상기 제2사용자의 단말기의 제공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컨텐츠를 상기 제2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중고디지털컨텐츠제공단계;를 수행하는, 디지털컨텐츠 배포 및 중고거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산원장기록단계에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기록되는 상기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디지털컨텐츠의 제공자에 대한 정보는 해당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전자지갑에 대한 주소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디지털컨텐츠의 거래관련정보는 신규가격정보, 신규가격배당정보, 중고가격정보, 중고가격할당정보, 중고가격배당정보 및 중고화필요기간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컨텐츠 배포 및 중고거래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산원장기록단계에서, 상기 디지털컨텐츠의 거래관련정보는 신규가격정보 및 신규가격배당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분산원장기록단계는,
    상기 제1사용자의 전자지갑에서 출금된 상기 신규가격정보에 상응하는 제1포인트 및 상기 신규가격배당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된 제2포인트의 상기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전자지갑으로의 이체기록을 상기 분산원장에 기록하는, 디지털컨텐츠 배포 및 중고거래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산원장기록단계에서, 상기 디지털컨텐츠의 거래관련정보는 중고화필요기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분산원장기록단계는, 상기 디지털컨텐츠등록정보에 비활성화값을 포함하는 중고상태정보를 더 추가하고,
    상기 제3분산원장기록단계는, 상기 중고화필요기간정보에 상응하는 기간을 초과한 디지털컨텐츠에 대한 상기 제1사용자의 단말기의 중고전환요청에 따라 상기 중고상태정보를 활성화값으로 변경하는, 디지털컨텐츠 배포 및 중고거래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산원장기록단계에서, 상기 디지털컨텐츠의 거래관련정보는 중고가격정보, 중고가격할당정보 및 중고가격배당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4분산원장기록단계는,
    상기 제2사용자의 전자지갑에서 출금된 상기 중고가격정보에 상응하는 제3포인트 및 상기 중고가격할당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된 제4포인트의 상기 제1사용자의 전자지갑으로의 이체기록 및
    상기 디지털컨텐츠 제공자의 전자지갑으로 상기 제3포인트, 상기 중고가격할당정보 및 상기 중고가격배당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된 제5포인트의 이체기록을 상기 분산원장에 기록하는, 디지털컨텐츠 배포 및 중고거래 시스템.
KR1020190152203A 2019-11-25 2019-11-25 디지털컨텐츠 배포 및 중고거래 시스템 KR102293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203A KR102293423B1 (ko) 2019-11-25 2019-11-25 디지털컨텐츠 배포 및 중고거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203A KR102293423B1 (ko) 2019-11-25 2019-11-25 디지털컨텐츠 배포 및 중고거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730A true KR20210063730A (ko) 2021-06-02
KR102293423B1 KR102293423B1 (ko) 2021-08-24

Family

ID=76372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203A KR102293423B1 (ko) 2019-11-25 2019-11-25 디지털컨텐츠 배포 및 중고거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4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343B1 (ko) * 2021-09-23 2022-09-01 여태환 통신 시스템에서 오리지널 ppl 상품의 유일무이성을 증명하면서 다수의 ppl 상품들의 정보를 재생 중인 미디어와 동기화하여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2244994A1 (ko) 2021-05-17 2022-11-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가스 벤팅 패스를 구비한 배터리 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4645A (ko) * 2014-06-17 2015-12-28 어준선 디지털 화폐와 연동되어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 제공, 재생하기 위한 방법, 이를 이용한 단말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60064360A (ko) * 2014-11-27 2016-06-08 김강인 중고 디지털 콘텐츠 매매 시스템 및 방법
KR101938878B1 (ko) * 2018-06-14 2019-01-15 김보언 블록체인 기반 저작권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4645A (ko) * 2014-06-17 2015-12-28 어준선 디지털 화폐와 연동되어 디지털 컨텐츠를 생성, 제공, 재생하기 위한 방법, 이를 이용한 단말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60064360A (ko) * 2014-11-27 2016-06-08 김강인 중고 디지털 콘텐츠 매매 시스템 및 방법
KR101938878B1 (ko) * 2018-06-14 2019-01-15 김보언 블록체인 기반 저작권 관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4994A1 (ko) 2021-05-17 2022-11-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가스 벤팅 패스를 구비한 배터리 팩
KR102439343B1 (ko) * 2021-09-23 2022-09-01 여태환 통신 시스템에서 오리지널 ppl 상품의 유일무이성을 증명하면서 다수의 ppl 상품들의 정보를 재생 중인 미디어와 동기화하여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3048461A1 (ko) * 2021-09-23 2023-03-30 여태환 통신 시스템에서 오리지널 ppl 상품의 유일무이성을 증명하면서 다수의 ppl 상품들의 정보를 재생 중인 미디어와 동기화하여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423B1 (ko) 202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05346B (zh) 基於中心化結算與區塊鏈存證的交易方法及系統
TWI729719B (zh) 基於區塊鏈的資料授權方法及裝置、電子設備及電腦可讀儲存媒介
US20210166203A1 (en) System and process for tokenization of digital media
US118936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yptographic trading
US20210049602A1 (en) Transac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centralized settlement and blockchain deposit certificates
US1059298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commodity contracts market using a secure distributed transaction ledger
JP2023184749A (ja) ブロックチェーンに登録されたデジタルアセットを分配する方法及び自律計算エージェント
US9398018B2 (en) Virtual currency system
CN109313685A (zh) 区块链系统的加密应用
US10614454B1 (en) Remote population and redaction of high security data
TW202008235A (zh) 基於中心化結算與區塊鏈存證的交易方法及系統
TW202026997A (zh) 基於區塊鏈的商品購置方法和裝置
WO2020015408A1 (zh) 一种基于区块链向作品使用者发放奖励的方法及装置
US20210192520A1 (en) Distributed credit ecosystem
CA3004263A1 (en) Virtual currency system
TW201935299A (zh) 用於處理金融資產之策略模型腳本之區塊鏈系統、節點伺服器及其方法
TW202006651A (zh) 基於區塊鏈對著作權使用者進行信用評價的方法及裝置
US11669812B2 (en) Contingent payments for virtual currencies
CN109493047A (zh) 一种基于区块链的佣金结算方法、装置及终端设备
WO2020015414A1 (zh) 一种基于区块链向作品发布者发放奖励的方法及装置
KR102293423B1 (ko) 디지털컨텐츠 배포 및 중고거래 시스템
JP2021131779A (ja) 情報処理装置、管理装置、データ管理システム、データ管理方法、及び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
KR20230043800A (ko) 컨텐츠 관리 서버
JP7460348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の拡張を可能にするトランザクション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23510320A (ja) 分散型台帳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コンテンツのセキュアなピアツーピア送信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