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3216A -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3216A
KR20210063216A KR1020200117518A KR20200117518A KR20210063216A KR 20210063216 A KR20210063216 A KR 20210063216A KR 1020200117518 A KR1020200117518 A KR 1020200117518A KR 20200117518 A KR20200117518 A KR 20200117518A KR 20210063216 A KR20210063216 A KR 20210063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forgery
verification
scan data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남
박행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코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코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코더
Priority to KR1020200117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3216A/ko
Publication of KR20210063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2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6Image acquisition using multiple overlapping images; Image stitching
    • G06K9/2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98Detection or correction of errors, e.g. by rescanning the pattern or by human intervention;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the acquired patterns
    • G06V10/993Evaluation of the quality of the acquired pattern
    • G06K2009/2045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는, 육안 식별이 가능한 제1 패턴과 육안 식별이 불가능한 제2 패턴을 포함하는 판별대상의 스캔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수신한 스캔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근거로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의 인식 여부에 따라 복제 또는 위변조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Apparatus for Verifying Counterfeit and falsification by Using Different Patterns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불투명의 패턴과 투명의 패턴을 혼합하여 비표를 형성함으로써 이중 검증이 가능하게 하는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IT 기술의 발달에 따라 스캐너, 프린터, 복합기, 소프트웨어 등 컴퓨터 관련 기기들의 해상도 및 재현능력 향상에 따라 은행권이나 수표, 각종 증명서, 보안문서 등을 쉽게 복사하여 이용하는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각종 위변조방지 망점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종래에는 자외선 잉크나 적외선 잉크, 홀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위변조를 방지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복사시 형광 램프 등을 이용하여 기본적으로 진위여부의 확인은 가능하나 원본의 내용을 인식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없다. 또한, 홀로그램이나 잉크 등을 추가로 적용하는 데에 따른 원료나 인건비, 추가 공정 등에 따른 생산비용 증가가 불가피하다.
이에, 은행권이나 수표, 각종 증명서, 보안문서 등을 복사시 원본의 내용 파악이 어렵도록 원도의 선과 망점, 큰 망점과 작은 망점, 점선과 점선의 각도변환, 점선과 선 또는 각도를 변환시킨 기다란 곡선으로 복사시 잠상을 현출시키는 방법으로 위조를 방지하였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망점과 도형을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하고 스크린 농도를 균일하게 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경우, 소실 부분과 현출 부분의 크기가 상이하게 배치함으로써 크기 차이가 클수록 복사시 소실부분과 현출부분의 구분 효과가 좋으나, 크기 차이가 크면 복사 전 인쇄물 원본에서도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여 그 기술의 적용을 쉽게 알 수 있어 실용성이 떨어진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만약 배경 패턴과 현출 패턴의 크기 차이를 작게 한다면 복사시 소실 및 현출 효과가 미흡하여 기술의 효과가 현저히 낮아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배경 패턴과 현출 패턴의 크기 차이 이외에도 모양 자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복사 전 인쇄물 원본에서도 기술의 적용 유무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이 가능하여 기술의 실용성이 떨어지는 단점 또한 가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특1994-0006793(1994.04.25) 한국등록특허공보 특1996-0007351(1996.05.31)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1-0070865(2001.07.27)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05828호(2003.11.04)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87621호(2006.05.30)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70984호(2017.08.18)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3563호(2009.05.27)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불투명의 패턴과 투명의 패턴을 혼합하여 비표를 형성함으로써 이중 검증이 가능하게 하는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는, 육안 식별이 가능한 제1 패턴과 육안 식별이 불가능한 제2 패턴을 포함하는 판별대상의 스캔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스캔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의 인식 여부에 따라 복제 또는 위변조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판별대상의 스캔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의 스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1 스캔 방식의 제1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제2 패턴을 인식하여 상기 판별대상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2 스캔 방식의 제2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제1 패턴을 인식하여 상기 판별대상의 복제 또는 위변조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는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을 포함하는 상기 판별대상의 스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방법은, 육안 식별이 가능한 제1 패턴과 육안 식별이 불가능한 제2 패턴을 포함하는 판별대상의 스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스캔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의 인식 여부에 따라 복제 또는 위변조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스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판별대상의 스캔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의 스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복제 또는 위변조를 판단하는 단계는, 제1 스캔 방식의 제1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제2 패턴을 인식하여 상기 판별대상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복제 또는 위변조를 판단하는 단계는, 제2 스캔 방식의 제2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제1 패턴을 인식하여 상기 판별대상의 복제 또는 위변조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스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는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을 포함하는 상기 판별대상의 스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제 또는 위변조의 검증이 이루어지는 장치의 유형에 관계없이 진품, 원본, 복제 및 위변조를 쉽게 판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필요시에는 진위 여부의 이중 검증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검증서비스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별대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검증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검증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검증서비스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별대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검증서비스시스템(90)은 복사기(100), 사용자 단말장치(110), 통신망(120) 및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턴을 인쇄하는 인쇄기(혹은 인쇄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인쇄기나 복사기(100)와 같은 구성요소가 스탠드얼론(stand alone) 형태로 동작하거나,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와 같은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2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 판별을 받는 판별대상(97)은 별도의 인쇄기(또는 프린터)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문서 등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별도의 마크(mark) 즉 비표 형태로 형성되어 제품에 부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별대상(97)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느냐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판별대상(9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층(layer)에서 투명 및 불투명 조합을 이용하여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판별대상(97)은 2차원 패턴 코드를 유색 잉크와 투명 잉크로 구현하며 가령 각각의 패턴(97a, 97b)을 이중 인쇄하여 육안으로 식별될 수 있는 유색 코드와 색상차가 존재하지 않는 투명 코드를 적용 후 원본은 투명 인쇄된 코드만 인식하고, 복사기(100) 등에서의 복제 및 위변조시에는 남겨진 일반 코드만 인식하여 진위 여부 및 이중 검증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일반 코드"는 불투명 패턴 즉 유색 잉크에 의해 형성된 패턴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볼 때, 판별대상(97)은 베이스층 상에 육안 식별이 가능한 유색의 제1 패턴(97a)과 육안 식별이 불가능한 투명의 제2 패턴(97b)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패턴(97a) 및 제2 패턴(97b)은 동일 층(layer)에 형성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여기서, 제1 패턴(97a) 및 제2 패턴(97b)은 코드이며 정보를 갖는다. 예를 들어, 바코드나 QR코드의 인쇄 패턴은 정보를 담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의 또는 유색의 패턴(97a, 97b)의 경우에는 육안 판별이 불가능하도록 미세하게 베이스층에 형성되고, 또한 투명의 패턴 즉 제2 패턴(97b)은 육안으로 판별이 불가능하여 육안으로 판별대상(97)을 볼 때, 실제 제1 패턴(97a)만 외부로 드러나 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투명 패턴을 G(Gost)-DoT(Data of Things)라 명명할 수 있고, 유색 패턴은 D-DoT라 명명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혼합하여 G/D-DoT라 명명할 수 있다.
판별대상(97)에 제1 패턴(97a)과 제2 패턴(97b)을 함께 형성하는 이유는, 여러 목적이 있겠지만, 스마트폰 등을 사용하는 일반 사용자의 경우에는 자신의 스마트폰을 통해 판별대상(97)이 부착되거나 형성되어 있는 상품이나 제품에서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통해 진품 여부를 쉽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고, 또 해당 판별대상(97)을 복제하여 제품이나 상품에 부착하려는 경우, 또는 이를 검증하려는 경우 위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방식과 함께 이중 검증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진품인지 복제품인지를 좀더 정확히 판단하기 위하여 해당 판별대상(97)을 복사기(100)에 복사해 봄으로써 이중 검증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복사기(100)에 의해 드러나는 불투명의 제1 패턴(97a)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면 되는 것이다.
판별대상(97)은 진품 등의 종류에 따라, 또는 제조사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1 패턴(97a) 및 제2 패턴(97b)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97a) 및 제2 패턴(97b)은 제조사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이다.물론 제1 패턴(97a)만을 사용하거나 제2 패턴(97b)만을 사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중 검증을 감안하여 이종 패턴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판별대상(97)은 서비스 방식에 따라, 가령 도 1의 복사기(100)나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진위 여부에 대한 판별을 요청할 때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판별대상(97)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진품이 출고될 때, 부착되는 판별대상(97)을 스캔하여 또는 관리자의 컴퓨터에서 프로그램적으로 기준 데이터를 생성해 이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별대상(97)은 생산 공정에서 제1 패턴(97a) 및 제2 패턴(97b)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턴(97a) 및 제2 패턴(97b)을 형성하는 챔버(Chamber) 내에서 형성할 수 있지만, 롤러(roller)를 이용한 프린팅(printing)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해당 판별대상(97)은 품질 검사시 검증을 통해 제품에 부착될 수 있으며, 기준 데이터로 생성되어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의 DB(130a)에 저장되거나 프로그램이나 앱 등을 통해 복사기(100)나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판별대상(97)의 제1 패턴(97a) 및 제2 패턴(97b)은, 특히 유색 잉크를 사용하는 불투명의 제1 패턴(97a)은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장치(110)에 의해 스캔 이미지에 모습이 드러나지 않고, 복사기(100)에서는 외부로 드러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1 패턴(97a)이 사용자 단말장치(110)에 의해 스캔 이미지상에 모습이 드러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음영을 형성할 수도 있다. 반면, 복사기(100)의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장치(110)와 스캔 이미지를 형성하는 스캔 방식이 상이하여, 예를 들어 복사기(100)는 라인별 스캔 동작을 하고,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경우에는 전면에 빛을 비춰 스캔 이미지를 취득하므로, 스캔 방식의 차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이중 검증을 수행하는 것이며, 하지만, 이외에도 이종 패턴을 이용해 검증을 위한 다양한 방식이 더 가능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복사기(100)는 인쇄기, 사용자 단말장치(110)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검증장치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독자적인 동작뿐 아니라 병행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복사기(100)는 일반적인 복사기뿐 아니라 시중에 출시되는 제품 중에 문서 등의 위변조가 가능할 수 있는 고해상도 컬러복사기를 포함한다. 기술이 점점더 발전함에 따라 고성능의 컬러복사기 등에 의해 정품 또는 진품의 위변조를 방지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사기(100)는 위변조 검증을 위한 기술을 내부에 포함할 수 있지만, 판별대상(97)이 위변조될 때 이를 검증 즉 확인해 주는 장치에 불과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검증에 있어서 복사기(100)의 내부 복사 조건은, 가령 램프의 스캔시 밝기, 데이터 변환 등은 판별대상(97)의 제1 패턴(97a)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컬러복사기의 성능이 점점더 진화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제1 패턴(97a)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판별대상(97)에 대하여 이중 검증이 필요할 때, 먼저 복사기(100)를 통해 진위 여부를 판별한 후,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통해서도 진위 여부를 판별해 볼 수 있다. 또한, 복사기(100)를 통해 복사될 때, 외부로 제1 패턴(97a)이 드러나는지, 또 드러난다 하더라도 그에 따라 인식되는 정보가 일치하는지 등을 판단해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진위 여부를 판별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패턴(97a)을 통해 제조사명, 제조년월 및 제품모델명 등이 담겨있다면, 이러한 것을 확인해 본 후, 진위 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복사기(100)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검증을 위한 위변조검증장치로서의 역할을 또한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스마트폰이나 국내 S사의 갤럭*기어와 같은 웨어러블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촬영이 가능한 고해상도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복사기(100)의 스캐너를 통해 문서를 읽어들이는 원리는 고해상도의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촬영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경우에도 복사기(100)와 마찬가지로 위변조가 있다는 것을 얼마든지 검증해 줄 수는 있다. 다만,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판별대상(97)의 전면에 비추는 빛의 특성을 이용하는 반면, 복사기(100)는 스캔 라인별 구동이 이루어지므로, 스캔 방식이 다소 상이하다. 이러한 이유로, 동일한 판별대상(97)에 대하여 서로 다른 검증방식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불투명 패턴의 음영 유무 등도 분석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면 이중 검증이 아닌 3중 검증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더 정확하게는 전용 앱을 실행하여 판별대상(97)을 촬영하게 되면, 가령 투명 잉크로 형성되어 있는 제2 패턴(97b)에 의해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플래시에 의한 빛이 반사되어 촬영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반사 특성은 판별대상(97)의 위변조나 복제를 판별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물론 불투명 패턴인 유색의 제1 패턴(97a)은 주변에 음영을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제2 패턴(97b)을 통해 반사영역이 검출될 때 해당 판별대상(97)이 원본 또는 진본이라고 판단할 수 있고, 반사영역이 감지되지 않을 때 복제나 위변조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물론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앱을 통해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제1 패턴(97a)의 음영 정보를 더 이용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위변조 검증을 위하여 외부(예: 앱스토어)에서 내려받은 전용 앱을 통해 위에서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지만, 앱을 활용하되 위변조 여부를 검증해 달라고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로 요청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촬영된 스캔 데이터를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로 전송하여 그에 대한 검증 결과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단말장치(110)는 복사기(100)의 경우도 마찬가지지만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동작할 수 있을 것이다.
통신망(12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2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20) 내의 AP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20)은 AP를 포함할 수 있다. AP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복사기(100)나 사용자 단말장치(110)를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AP는 복사기(100)나 사용자 단말장치(110)와 지그비(zig-bee)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AP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앞서 언급한 대로 와이파이 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UHF 및 VHF와 같은 RF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AP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로 전달할 수 있다. AP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는 가령 DoT 서비스를 운영하는 운영사의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음악을 재생시키거나 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는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되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변조 검증 동작은 실질적으로 위변조검증장치로서 동작하는 복사기(100)나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자체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다. 다만,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앱을 내려주거나 데이터를 생성해주거나 생성한 데이터를 관리하고, 또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검증 요청이 있을 때 검증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경우 검증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의 판별대상(97)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일종의 DoT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는 복사기(100)나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의 위변조 동작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즉 통합관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복사기(100)가 있는 어느 곳에서 위변조 사건이 발생하였는지 등을 판단하여 위변조 사건의 발생시에도 신속하게 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나아가,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는 DB(130a)를 포함함으로써 도 1의 판별대상(97)을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를 생성 및 저장하고, 갱신하는 등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에서 사물 데이터(DoT)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에 따르는 광고 수익 등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데이터 관리에 보다 용이할 수 있다. 가령, 제조사마다 제조되는 제품들에 대한, 또는 서비스하고자 하는 음악 등의 서비스 대상에 대한 원활한 서비스를 위하여 통합하여 관리되는 것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이나 앱의 위변조 여부도 무시할 수는 없으므로,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는 이를 위해서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는 등 통합 관리시에는 이러한 기술을 더 적용하여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검증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검증장치(100, 110)는 도 1의 복사기(100), 사용자 단말장치(110) 및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로서, 물론 인쇄기 즉 인쇄장치도 위변조검증장치의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겠지만,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로 가정해 볼 때, 통신 인터페이스부(혹은 인터페이스부, 스캔부)(300), 제어부(310), 위변조검증부(320) 및 저장부(3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3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위변조검증부(3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3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검증장치는 다양한 장치가 가능할 수 있는 만큼, 제3자가 사용할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인쇄기를 제외하면,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를 예로 들어 설명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물론, 인쇄업자의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을 사용할 여지는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를 이용한 검증의 관점에서만 살펴보기로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가령 도 1의 복사기(100)나 사용자 단말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에 의해 복사기(100)나 사용자 단말장치(110), 더 정확하게는 사용자 단말장치(110)로부터 판별대상(97)의 스캔 이미지(혹은 촬영이미지, 촬영영상)에 대한 스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사용자 단말장치(110)로부터의 위변조 검증 요청에 따라 검증된 검증 결과를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물론 이에 앞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용 앱을 내려줄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도 1의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는 앱저장소와 같은 서버가 될 수 있다.
제어부(310)는 도 1의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를 구성하는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위변조검증부(320) 및 저장부(3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를 통해 도 1의 판매대상(97)에 대한 스캔 데이터가 제공되는 경우, 제어부(310)는 이를 저장부(330)에 임시 저장한 후 불러내어 위변조검증부(3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검증 요청에 따라 위변조검증부(320)에 검증 결과가 제공될 때 이를 사용자 단말장치(110)로 제공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를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위변조검증부(320)는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제공한 스캔 데이터를 분석하여 복제나 위변조 여부를 검증한다. 가령, 스캔 데이터의 화소(pixel)를 분석하여 256 계조(gray scale)를 판단하여 판별대상(97)의 제2 패턴(97b)에 의한 반사영역이 확인되는지 분석하여 반사영역이 확인될 때, 이에 관계되는 검증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반사영역이 확인되거나, 확인된 반사영역이 특정 영상을 가지거나 하는 등을 통해 정품 또는 진품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위변조검증부(320)는 복제나 위변조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검증할 수 있다. 첫째는 제2 패턴(97b)을 통해 판별되는 반사영역이 확인되는지, 또는 불투명한 제1 패턴(97a)에 의한 음영, 또 해당 반사영역이나 음영의 형상이나 위치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근거로 구체적인 정보를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조사, 제조년월, 모델명 등을 패턴 정보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겠지만, 정확도와 서비스의 편리성 등을 감안하여 이중 검증이 원본과 사본에서 각각 판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변조검증부(320)는 위변조 검증을 위한 기준데이터를 생성해 저장하거나, 저장부(330)에 저장된 기준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의 관리자장치(예: 컴퓨터, 스마트폰 등)로부터 제공되는 원본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로 저장한다. 여기서, 원본 데이터는 정품 또는 원본의 판별대상(97)을 형성한 후, 이를 통해 취득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관리자의 컴퓨터 등을 통해 프로그램적으로 생성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간단하게 관리자 전용 앱이 설치되는 스마트폰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통해 생성된 데이터가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저장부(330)는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정보는 간단한 제어명령을 의미한다면, 데이터는 스캔된 화소 데이터 등을 의미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용어의 개념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즉 위의 용어는 혼용될 수 있다.
한편, 도 3의 제어부(3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CPU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CPU와 메모리는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정보의 연산을, 명령어해석부는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해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 결과 가령 도 1의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의 초기 구동시 또는 필요시에 위변조검증부(320)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알고리즘을 메모리에 저장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연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검증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4를 도 1의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는 육안 식별이 가능한(또는 불투명의) 제1 패턴(97a)과 육안 식별이 불가능한(또는 투명의) 제2 패턴(97b)을 포함하는 판별대상(97)의 스캔 데이터를 수신한다(S400).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카메라를 통해 판별대상(97)을 촬영하여 스캔 이미지의 스캔 데이터를 취득한 후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로 스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는 수신한 스캔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근거로 제1 패턴(97a) 및 제2 패턴(97b)의 인식 여부에 따라 복제나 위변조를 판단한다(S410). 여기서, 복제나 위변조 판단과 관련하여 다양한 형태로 판단할 수 있는 것에 대하여는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충분히 설명한 바 있다. 대표적으로, 제2 패턴(97b)에 의한 반사영역의 유무를 판단하지만, 제1 패턴(97a)과 조합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코드나 QR 코드의 경우 형성된 패턴의 길이, 폭 등은 정보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패턴(97a)의 크기 또는 그룹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 패턴(97a)이 형성된 모양이나 배치 형태 등 코드 즉 패턴(97a, 97b)을 다양하게 형성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패턴(97b)의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장치(110)에서 진품으로 확인되고, 또 제1 패턴(97a)이 복사기(100)에서 복사되어 나온 사본에서 진본으로 판단되면 해당 제품은 이중 검증을 통해 진품이 명백해진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위변조검증장치로서 도 1의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사용자 단말장치(110)의 경우에도 도 4에서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4의 동작을 어느 하나의 장치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인쇄기의 경우에도 앞서 판별대상(97)을 설명하면서 충분히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인쇄기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인쇄기의 경우 챔버가 될 수 있지만, 롤링 장치가 될 수도 있으며, 프린터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3자의 활용 가능성 등을 고려하고 설명의 편의상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130)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양한 장치에서 활용될 수 있는 만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해당 장치들에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97: 판별대상 97a: 제1 패턴
97b: 제2 패턴 100: 복사기
110: 사용자 단말장치 120: 통신망
130: 위변조검증서비스장치 300: 통신 인터페이스부
310: 제어부 320: 위변조검증부
330: 저장부

Claims (10)

  1. 육안 식별이 가능한 제1 패턴과 육안 식별이 불가능한 제2 패턴을 포함하는 판별대상의 스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스캔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의 인식 여부에 따라 복제 또는 위변조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판별대상의 스캔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의 스캔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제 또는 위변조를 판단하는 단계는,
    제1 스캔 방식의 제1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제2 패턴을 인식하여 상기 판별대상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제 또는 위변조를 판단하는 단계는,
    제2 스캔 방식의 제2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제1 패턴을 인식하여 상기 판별대상의 복제 또는 위변조를 판단하는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는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을 포함하는 상기 판별대상의 스캔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방법.
  6. 육안 식별이 가능한 제1 패턴과 육안 식별이 불가능한 제2 패턴을 포함하는 판별대상의 스캔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스캔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의 인식 여부에 따라 복제 또는 위변조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판별대상의 스캔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의 스캔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스캔 방식의 제1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제2 패턴을 인식하여 상기 판별대상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 스캔 방식의 제2 사용자장치에서 상기 제1 패턴을 인식하여 상기 판별대상의 복제 또는 위변조를 판단하는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는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을 포함하는 상기 판별대상의 스캔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KR1020200117518A 2019-11-22 2020-09-14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100632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518A KR20210063216A (ko) 2019-11-22 2020-09-14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970A KR102163122B1 (ko) 2019-11-22 2019-11-22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0200117518A KR20210063216A (ko) 2019-11-22 2020-09-14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970A Division KR102163122B1 (ko) 2019-11-22 2019-11-22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216A true KR20210063216A (ko) 2021-06-01

Family

ID=728847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970A KR102163122B1 (ko) 2019-11-22 2019-11-22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0200117518A KR20210063216A (ko) 2019-11-22 2020-09-14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970A KR102163122B1 (ko) 2019-11-22 2019-11-22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163122B1 (ko)
WO (1) WO20211012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122B1 (ko) * 2019-11-22 2020-10-07 주식회사 더코더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793A (ko) 1992-09-29 1994-04-25 스기에 다께시 잠상표현식 복사위조 방지용지
KR960007351A (ko) 1994-08-31 1996-03-22 정몽원 전자제어식 동력조향장치의 압력조정밸브
KR20010070865A (ko) 2001-06-14 2001-07-27 최종욱 문서의 복사 및 위조/변조 방지 및 인증 장치
KR100405828B1 (ko) 2002-02-01 2003-11-14 주식회사 마크애니 위변조의 방지가 가능한 문서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그리고 상기 문서를 인증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587621B1 (ko) 2004-12-16 2006-06-08 한국조폐공사 시변각 복합 잠상을 갖는 위·변조방지용 인쇄물 및 이의제조 방법
KR20090053563A (ko) 2007-11-23 2009-05-27 한국조폐공사 컬러 출력기에 의한 위조방지 인쇄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70984B1 (ko) 2016-03-14 2017-09-06 한국조폐공사 위조방지 인쇄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0948B2 (ja) * 2006-11-27 2010-07-14 独立行政法人 国立印刷局 偽造防止用印刷物
KR101384612B1 (ko) * 2012-06-20 2014-04-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코드마크 및 이의 제조방법, 인식 시스템, 인식 방법
JP6016167B2 (ja) * 2013-11-27 2016-10-26 独立行政法人 国立印刷局 印刷物、印刷物の作製方法及び作製システム
JP2019188756A (ja) * 2018-04-27 2019-10-31 凸版印刷株式会社 偽造防止用印刷物
KR102007685B1 (ko) * 2019-04-10 2019-08-06 주식회사서영컴퍼니 하이브리드 위폐 감별 장치 및 시스템
KR102163122B1 (ko) * 2019-11-22 2020-10-07 주식회사 더코더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793A (ko) 1992-09-29 1994-04-25 스기에 다께시 잠상표현식 복사위조 방지용지
KR960007351A (ko) 1994-08-31 1996-03-22 정몽원 전자제어식 동력조향장치의 압력조정밸브
KR20010070865A (ko) 2001-06-14 2001-07-27 최종욱 문서의 복사 및 위조/변조 방지 및 인증 장치
KR100405828B1 (ko) 2002-02-01 2003-11-14 주식회사 마크애니 위변조의 방지가 가능한 문서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그리고 상기 문서를 인증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587621B1 (ko) 2004-12-16 2006-06-08 한국조폐공사 시변각 복합 잠상을 갖는 위·변조방지용 인쇄물 및 이의제조 방법
KR20090053563A (ko) 2007-11-23 2009-05-27 한국조폐공사 컬러 출력기에 의한 위조방지 인쇄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70984B1 (ko) 2016-03-14 2017-09-06 한국조폐공사 위조방지 인쇄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1298A1 (ko) 2021-05-27
KR102163122B1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25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ng an authentication of an original ite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authentication status of a suspect item
US11587339B2 (en) Method for reading a code stored in a halftone image and comparison with a retrievable value
JP6765783B2 (ja) セキュリティ要素、及び印書の真正性を検査する方法
KR101574302B1 (ko) 데이터가 삽입된 이미지 생성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
CN104794629A (zh) 手机识别编码锯齿防伪方法
US10657636B1 (en) Methods and systems to ensure correct printing plate usage for encoded signals
EA025922B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аутентификации защищенного документа
US20230074616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to Administer a Security Device with Chaosmetric Patterns
US20140369569A1 (en) Printed Authentication Pattern for Low Resolution Reproductions
KR102163122B1 (ko) 이종 패턴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US20230043690A1 (en) Security Device with Chaosmetric Artifacts from Fractal Patterns
WO2021101290A1 (ko) 도트 난반사 특성을 이용한 진위여부 판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163120B1 (ko) 음영을 이용한 진위여부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US8893974B2 (en) Decoder for barcodes with anti-copy feature
CN204377009U (zh) 一种用于纸质文本水印解密认证的便携扫描仪
CN107578079B (zh) 一种在信息码区域进行高保真藏图的防伪方法
KR102163121B1 (ko) 잠상기술을 이용한 위변조 검증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JP2016076079A (ja) 判別システム及び判別方法、判別装置及び撮像装置並びに判別装置用プログラム及び撮像装置用プログラム
US20230023503A1 (en) Security Devices of Various Form factors with Chaosmetric Artifacts
CN113348092B (zh) 用调幅栅格印刷来印刷验证标识的方法
KR102500424B1 (ko) 서명을 포함하는 보안 장치를 검증하는 방법
JP5127297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製本物管理方法
JP2004158010A (ja) 図形の真偽識別システム
JPH04227365A (ja) 画像形成装置
KR101858965B1 (ko) 이미지에 진위 판별 코드 삽입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된 생산물의 진위 여부 판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