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3043A - 휴대용 의류 관리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의류 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3043A
KR20210063043A KR1020190151478A KR20190151478A KR20210063043A KR 20210063043 A KR20210063043 A KR 20210063043A KR 1020190151478 A KR1020190151478 A KR 1020190151478A KR 20190151478 A KR20190151478 A KR 20190151478A KR 20210063043 A KR20210063043 A KR 20210063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peration bar
hanger
hol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욱
Original Assignee
한승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욱 filed Critical 한승욱
Priority to KR1020190151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3043A/ko
Publication of KR20210063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0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D06F59/02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69/00Iron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구조물들을 내부에 수납하여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하고 가정은 물론 여행지에서도 간단히 설치하여 각종 의류를 효과적으로 건조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일측이 트여지고 속이 빈 사각 함체 형상으로 격벽(11)(12)들에 의해 수납실(13)(14)이 마련되어 있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트여진 개구부를 향해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송풍팬(20)과,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는 가이더(18)의 안내로 하우징(10)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고정구멍(31)이 뚫어지는 작동바(30)와, 상기 작동바(30)의 일측으로 연결된 링크(41)를 선회하여 작동바(30)를 좌우로 슬라이드 되도록 구동시키는 모터(40)와, 상기 작동바(30)의 고정구멍(31)으로 체결되도록 돌기(51)가 마련되며 끝단에 후크(52)가 구비되는 연결편(50)과, 상기 연결편(50)의 후크(52)에 끼워 걸려지도록 걸림구멍(61)이 파여지며, 힌지(62)에 의해 펼침과 절첩이 이루어지는 행거(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의류 관리기{Portable clothes management}
본 발명은 휴대용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구조물들을 내부에 수납하여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하고 가정은 물론 여행지에서도 간단히 설치하여 각종 의류를 신속히 효과적으로 건조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류 관리기는 부피가 크다.
따라서, 휴대 및 이동이 불편하며 단지 주거 환경에서는 사용이 적합하지만, 여행중에 의류를 갈아 입고 세탁하는 경우 주로 자연 방식으로 의류를 건조시키고 있다.
호텔의 경우 의류 관리기를 구비하지 않거나, 또는 공용의 의류 건조 설비만을 구비하고 있어, 이용에 불편함을 느끼게 하거나 위생 관리에 문제가 존재하여 출장을 자주하는 사람에게는 휴대에 편리한 의류 건조 설비가 매우 필요하다.
종래의 휴대용 의류 관리기는, 일반적으로 상부 케이싱, 하부 케이싱 및 상하부 케이싱 간의 지지 로드를 구비하며, 지지 로드는 신축식 또는 분리식을 채용하거 있다.
그러므로, 휴대용 의류 관리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신축 또는 분리되고, 전체 높이가 낮고, 체적이 작아, 사용하기 편리하다. 사용 시에는, 지지 로드를 연장 또는 장착하고, 상부 케이싱과 하부 케이싱의 사이 공간의 주위에 방수 커버를 설치하여, 의류를 상부 케이싱과 하부 케이싱 사이의 건조 챔버 내에 걸어 둔다.
일반 의류는 행거에서 건조를 진행하므로, 건조 챔버의 길이와 폭은 행거의 크기 보다 크게 된다.
즉, 건조 챔버의 체적이 건조를 필요로 하는 의류의 체적보다 휠씬 커야 되고, 건조에 필요한 시간이 길게 되므로 건조 효율이 낮다.
또한, 건조 후 의복의 평평도가 높지 않아, 건조 후 다림질도 필요하게 된다.
국내 등록 특허공보 제10-2013537호(등록일자 2019년08월16일) 국내 등록 특허공보 제10-0564737호(등록일자2006년03월21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특히 장치에 필요한 각종 구조물들을 내부에 수납하여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하도록 된 휴대용 의류 관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정은 물론 여행지에서도 간단히 설치하여 각종 의류를 효과적으로 건조할 수 있어 편리함과 상품성을 갖춘 휴대용 의류 관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조 과정에서 의류를 계속 흔들어서 구김을 펴지게 할 수 있고, 소비자가 원하는 향기를 보유할 수 있어 건조후 상쾌하게 의류를 바로 착용할 수 있도록 된 휴대용 의류 관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이 트여지고 속이 빈 사각 함체 형상으로 격벽(11)(12)들에 의해 수납실(13)(14)이 마련되어 있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트여진 개구부를 향해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송풍팬(20)과,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는 가이더(18)의 안내로 하우징(10)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고정구멍(31)이 뚫어지는 작동바(30)와,
상기 작동바(30)의 일측으로 연결된 링크(41)를 선회하여 작동바(30)를 좌우로 슬라이드 되도록 구동시키는 모터(40)와,
상기 작동바(30)의 고정구멍(31)으로 체결되도록 돌기(51)가 마련되며 끝단에 후크(52)가 구비되는 연결편(50)과,
상기 연결편(50)의 후크(52)에 끼워 걸려지도록 걸림구멍(61)이 파여지며, 힌지(62)에 의해 펼침과 절첩이 이루어지는 행거(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로는 핀(71)에 의해 체결 고정되어 걸이봉(1)에 걸어지도록 하는 밴드부재(7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수납실(13)에 수납되며, 인출하여 하우징(10)에 뚫어지는 홀(17)에 끼워 걸지도록 걸림턱(81)이 마련되고, 도어(2)의 상단에 걸어진 상태에서 유동을 방지하도록 가압볼트(82)가 마련되어 있는 걸이부재(8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송풍팬(20)의 중앙에는 포켓공간(21)을 마련하여 방향제(22)가 수납된 상태에서 방향홀(24)이 뚫어진 덮개(23)를 조립하여 건조 과정에서 방향제 성분이 포함되도록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에는 나사홀(16)이 뚫어지는 지지봉(15)을 구비하고, 하우징(10)의 트여진 개구부를 커버(90)로 막혀지게 체결볼트(91)로 조여서 조립된다.
상기 행거(60)에는 옷걸이가 걸려지는 걸림고리(63)와 수개의 걸림홈(64)들이 성형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장치에 필요한 각종 구조물들을 하우징 내부에 수납하여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하다.
또, 가정은 물론 여행지에서도 간단히 설치하여 각종 의류를 효과적으로 건조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 과정에서 의류를 계속 흔들어서 구김을 펴지게 할 수 있고, 소비자가 원하는 향기를 보유할 수 있어 건조후 상쾌하게 의류를 바로 착용할 수 있어 편리함과 상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도어에 설치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요부 확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하우징 내부로 수납되는 상태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각 부품들을 수납한 상태에서 하우징의 개구부를 커버로 밀폐시키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9는 방향제 카트리지가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0은 행거와 연결편의 조립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이 옷걸이봉에 설치되는 사용상태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행거를 절첩시키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5는 행거가 절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가정이나 여행지에 마련되어 있는 걸이봉(1) 내지 도어(2)의 상단부에 간단히 설치하여 의류를 좌우로 흔들면서 향기와 같이 바람을 송출하여 구김없이 쾌적하게 의류를 건조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상기 하우징(10)은 케이스를 겸하여 각종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내부에 수납되거나 설치될 수 있도록 일측이 트여지고 속이 빈 사각 함체 형상으로 성형된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서로 다른 위치로 일체로 세워 성형되는 격벽(11)(12)들에 의해 수납실(13)(14)이 마련되어 있다.
이 수납실(13)에는 행거(60)를 약 1/2로 절첩한 상태로 보관시키는 용도로 사용되고, 그 일측에 마련되는 또 다른 수납실(14)에는 걸이부재(80) 및 연결편(50)을 주로 수납시키게 된다.(도 5)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대략 중앙부에는 트여진 개구부를 향해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송풍팬(20)이 구비되어 있다.
송풍팬(20)은 도시하지 않은 전원선을 통해 외부 전원이 연결되어 구동되며, 스위치(도시없음)으로 온/오프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가이더(18)의 안내로 횡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드 작동되는 작동바(30)가 설치되고, 이 작동바(30)에 연결편(50)을 통해 옷걸이가 걸어질 수 있도록 된 행거(60)를 연결시키게 된다.
가이더(18)는 하우징(10)에 일체로 내벽면과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작동바(30)가 좌우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하게 되며, 작동바(30)의 중간 위치에는 연결편(50)을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구멍(31)이 뚫어져 있다.(도 11)
그리고, 연결편(50)에는 작동바(30)의 고정구멍(31)으로 체결되도록 절결부의 위치에서 내측을 향해 돌기(51)가 돌출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연결편(50)의 절결부를 통해 작동바(30)의 고정구멍(31) 위치로 강제로 끼워 조립하게 되면, 돌기(51)가 고정구멍(31)과 일치되는 위치에서 '딸칵' 소리와 함께 결합되어 작동바(30)와 연결편(50)을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고정구멍(31)에 걸려져 있던 돌기(51)가 이탈되어 분해시킬 수도 있다.
또한, 이 연결편(50)의 끝단에는 후크(52)가 일체로 구비되어 행거(60)에 뚫어지는 걸림구멍(61)에 끼워진 후 걸려지는 것에 의해 작동바(30)와 행거(60)가 연결편(50)을 통해 연결된 상태로, 모터(40)를 저속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작동바(30)와 연결편(50) 및 행거(60)가 좌우로 슬라이드를 반복 수행할 수가 있게 된다.
모터(40)의 회전으로 모터축과 작동바(30)의 일측으로 연결된 링크(41)의 회전에 따른 굴절 작동에 의해 작동바(30)와 행거(60)를 좌우로 슬라이드 반복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행거(60)에 옷걸이들을 통해 옷들이 걸려진 상태에서 저속으로 좌우 흔들림을 반복하여 구겨진 옷을 펼쳐지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편(50)의 끝단에 형성된 후크(52)는 탄력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행거(60)에 뚫어진 걸림구멍(61)에 강제로 끼우게 되면 후크(52)가 벌려지면서 걸림을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며, 분해시에는 후크(52) 양쪽을 내부를 향해 누르게 되면 걸림이 해제되어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행거(60)는 2개로 분할되게 성형되고, 중앙 위치에 마련된 힌지(62)에 의해 펼침과 절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양쪽 끝부분에는 옷걸이가 걸려지는 걸림고리(63)들이 마련되어 있다.
또, 행거(60)의 상부면에는 수개의 걸림홈(64)들이 오목하게 성형되어 옷걸이가 걸려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하우징(10)은 가정이나 여행지에 봉 형상의 걸이봉(1)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 밴드부재(70)를 통해 걸이봉(1)에 걸어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도 12)
밴드부재(70)는 고무재와 같이 유연성이 양호한 재질로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로 핀(71)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또, 걸이봉(1)이 마련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실내에 마련된 수개의 도어(2)들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여 그 상단부에 걸이부재(80)가 걸려져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도 1 및 도 2)
이 걸이부재(80)는 고리형상으로 절곡되어 단부에는 하우징(10)에 뚫어지는 홀(17)에 끼워 걸지도록 걸림턱(81)이 마련되어 있는데, 걸림턱(81)을 홀(17)의 위치에 강제로 삽입하면 탄성에 의해 끼워진 후 걸려지게 되며, 분해하고자 할 때는 걸림턱(81)의 양쪽을 잡고 오므라지게 하면 걸림이 해제되어 분해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어(2)에 설치된 상태에서 걸이부재(80)가 유동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가압볼트(82)를 조여서 끝단부가 도어(2)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하면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도 3)
이 걸이부재(80)의 사용이 불필요 한 경우는 하우징(10)에 마련된 수납실(13)에 수납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송풍팬(20)의 중앙에는 포켓공간(21)을 마련하여 방향제(22)를 수납하여 의류 건조를 위해 송풍팬(20)이 빠르게 회전하여 송풍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방향제(22)의 향기가 의류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방향제(22)를 포켓공간(21)에 수납된 상태에서 방향홀(24)이 뚫어진 덮개(23)를 나사식 또는 걸림돌기 구조로 조립하여 방향제(24)의 교체나 점검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건조가 완성된 의류에 쾌적한 향기가 은근하게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12에서와 같이 하우징(10)의 트여진 개구부가 하부를 향하도록 하고, 젖은 의류를 옷걸이에 걸어서 행거(60)에 장착하여 송풍팬(20)과 모터(40)에 전원을 연결하게 되면 좌우로 흔들리면서 자연 건조보다는 신속하게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장치를 보관 및 휴대를 위해서는 도 5에서와 같이 수납실(13)(14) 및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으로 각 부품들을 절첩하여 수납한 후 커버(90)를 통해 하우징(10)의 개구부를 밀폐시키게 된다.
커버(90)가 개구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에는 나사홀(16)이 뚫어지는 지지봉(15)을 구비하고, 커버(90)의 외측에서 체결볼트(91)를 나사 체결하여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도 6)
송풍팬(20)과 모터(40)의 작동을 위해 전원선을 이용해 호텔 등에 마련된 전기 전원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하우징(10)의 내부 일측에 충전식 건전지를 구비하여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장소에서는 건전지 전원을 이용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가정은 물론, 여행지에서 간단히 설치하여 빠르고 쾌적하게 의류들을 건조시킬 수 있으며, 건조와 동시에 펼침이 이루어져 다림질이 불필요 하여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걸이봉 2 - 도어
10 - 하우징 11,12 - 격벽
13,14 - 수납실 20 - 송풍팬
22 - 방향제 30 - 작동바
31 - 고정구멍 40 - 모터
41 - 링크 50 - 연결편
51 - 돌기 52 - 후크
60 - 행거 61 - 걸림구멍
62 - 힌지 70 - 밴드부재
80 - 걸이부재 82 - 가압볼트
90 - 커버

Claims (6)

  1. 일측이 트여지고 속이 빈 사각 함체 형상으로 격벽(11)(12)들에 의해 수납실(13)(14)이 마련되어 있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트여진 개구부를 향해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송풍팬(20)과,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는 가이더(18)의 안내로 하우징(10)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고정구멍(31)이 뚫어지는 작동바(30)와,
    상기 작동바(30)의 일측으로 연결된 링크(41)를 선회하여 작동바(30)를 좌우로 슬라이드 되도록 구동시키는 모터(40)와,
    상기 작동바(30)의 고정구멍(31)으로 체결되도록 돌기(51)가 마련되며 끝단에 후크(52)가 구비되는 연결편(50)과,
    상기 연결편(50)의 후크(52)에 끼워 걸려지도록 걸림구멍(61)이 파여지며, 힌지(62)에 의해 펼침과 절첩이 이루어지는 행거(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 관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10)의 상부로는 핀(71)에 의해 체결 고정되어 걸이봉(1)에 걸어지도록 하는 밴드부재(70)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 관리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13)에 수납되며, 인출하여 하우징(10)에 뚫어지는 홀(17)에 끼워 걸지도록 걸림턱(81)이 마련되고, 도어(2)의 상단에 걸어진 상태에서 유동을 방지하도록 가압볼트(82)가 마련되어 있는 걸이부재(8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 관리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20)의 중앙에는 포켓공간(21)을 마련하여 방향제(22)가 수납된 상태에서 방향홀(24)이 뚫어진 덮개(23)를 조립하여 건조 과정에서 방향제 성분이 포함되도록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 관리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에는 나사홀(16)이 뚫어지는 지지봉(15)을 구비하고, 하우징(10)의 트여진 개구부를 커버(90)로 막혀지게 체결볼트(91)로 조여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 관리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행거(60)에는 옷걸이가 걸려지는 걸림고리(63)와 수개의 걸림홈(64)들이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의류 관리기.
KR1020190151478A 2019-11-22 2019-11-22 휴대용 의류 관리기 KR202100630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478A KR20210063043A (ko) 2019-11-22 2019-11-22 휴대용 의류 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478A KR20210063043A (ko) 2019-11-22 2019-11-22 휴대용 의류 관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043A true KR20210063043A (ko) 2021-06-01

Family

ID=76376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478A KR20210063043A (ko) 2019-11-22 2019-11-22 휴대용 의류 관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30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2550A1 (ko) * 2022-03-24 2023-09-28 주식회사 케이블러썸 옷장용 관리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737B1 (ko) 2003-11-21 2006-03-27 김성운 휴대용 부탄가스를 사용하는 의류건조기
KR102013537B1 (ko) 2015-09-30 2019-08-22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휴대용 의류 건조기 및 그 의류 건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737B1 (ko) 2003-11-21 2006-03-27 김성운 휴대용 부탄가스를 사용하는 의류건조기
KR102013537B1 (ko) 2015-09-30 2019-08-22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휴대용 의류 건조기 및 그 의류 건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2550A1 (ko) * 2022-03-24 2023-09-28 주식회사 케이블러썸 옷장용 관리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0006A (en) Garment de-wrinkler
US7941936B2 (en) Garment drying apparatus
KR20210063043A (ko) 휴대용 의류 관리기
US6363627B1 (en) Clothes dryer
KR101847767B1 (ko) 가구용 환기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구
JP4938818B2 (ja) 洗濯物乾燥用熱風乾燥装置
JP6920770B2 (ja) 携帯用送風装置
CN207693218U (zh) 一种智能家居用衣柜
JPH02116397A (ja) 乾燥装置
KR101613554B1 (ko) 제습 장치
JP3427096B2 (ja) サニタリ換気乾燥システム
JPH08173690A (ja) 乾燥設備
KR100200899B1 (ko) 의류보관함
JP2899859B2 (ja) ドライヤー
CN215906434U (zh) 一种吹风晾衣架和送风机构
CN210738885U (zh) 吹干机
CN220665753U (zh) 衣架及衣物护理机
JPS5816691Y2 (ja) 無臭洋ダンス
KR100200897B1 (ko) 의류보관함
KR200353513Y1 (ko) 실내 환기/가습 기능을 겸한 건조장치
JP2023165601A (ja) ロッカー換気装置
JPH1057691A (ja) 物干し装置
JP2503576Y2 (ja) 物掛け装置
US20170335854A1 (en) External Dryer Vent Lint Blower
JP2008104606A (ja) 乾燥装置及びそれを設置した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