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2905A - 옥외 광고물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측정기기 - Google Patents

옥외 광고물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측정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2905A
KR20210062905A KR1020190151119A KR20190151119A KR20210062905A KR 20210062905 A KR20210062905 A KR 20210062905A KR 1020190151119 A KR1020190151119 A KR 1020190151119A KR 20190151119 A KR20190151119 A KR 20190151119A KR 20210062905 A KR20210062905 A KR 20210062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application
measuring device
advertisements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7122B1 (ko
Inventor
김창관
설동철
Original Assignee
(주)에스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유지 filed Critical (주)에스유지
Priority to KR1020190151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122B1/ko
Publication of KR20210062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K9/0062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10Terrestrial scenes
    • G06V20/17Terrestrial scenes taken from planes or by dr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10Terrestrial scenes
    • G06V20/176Urban or other man-mad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광고물을 AI가 데이터화하여 분석하는 어플리케이션(10)이 설치된 측정기기(100)는, 상기 측정기기(100)는 5G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200) 및 광고물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300)를 포함하고, GPS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측정기기(100)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10)은, 상기 카메라(300)가 촬영한 사진에서 가게명, 가게 전화번호, 간판 규격, 해당 매장 소재지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정보를 광고물 저장 DB에 전송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옥외 광고물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측정기기 {Device which is installed application for advertising analysis using AI based on 5G}
본 발명은 5G를 기반으로한 옥외 광고물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측정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고를 소비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매개수단으로서 광고매체가 사용되고 있다. 광고매체는 제품 판매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광고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그 중요성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유형으로는 크게 인쇄광고, 전파광고, 옥외광고, 교통광고 및 온라인광고 등으로 다양하다.
이러한 다양한 유형의 광고매체는 그 자체만으로 소비자의 시선을 이끄는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근래에는 광고매체를 대중화된 스포츠에 접목한 광고 마케팅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포츠 종목에 따라 경기장 안의 펜스, 플로어 또는 스코어보드를 광고매체로 사용하거나, 더 나아가서는 스포츠 용품을 광고매체로 사용한 마케팅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간판의 경우 도시 미관 및 안전을 고려하여 건물에 대해 설치할 수 있는 개수, 위치 및 크기를 규제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간판 설치 규제안을 무시하고, 불법으로 시설된 간판이 많이 있고, 이를 단속하기 위해서는 단속자가 관할 구역을 수시로 돌아다니면서 등록 여부를 간판 등록 대장과 일일이 비교하면서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관리 및 규제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국내 공개특허 제2006-0013342호에는 RFID태그를 이용한 간판 정보 관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간판정보 관리시스템은 단속자가 간판에 부착되어 있는 RFID태그에 근접되게 단말기를 갖다 대야만 등록 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간판마다 일일이 단말기를 근접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특히 단속자의 키보다 높게 설치된 간판의 경우 RFID태그에 단말기를 현실적으로 근접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RFID태그를 이용하여 등록 여부를 확인한다 하더라도, 개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등록된 규격과 실제 현장에 설치된 간판의 규격이 일치하는 지를 검사하여야 하는데 간판이 지상으로부터 높게 설치되어 줄자 등을 이용해서는 규격측정이 불가능한 경우 변조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옥외 광고물을 분석하는 기술인 국내 등록특허 제10-0755431호에는 '피디에이를 이용한 옥외광고물 전수조사 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은 피디에이를 이용한 옥외광고물 전수조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피디에이에 새주소의 건물번호를 입력하여 입력된 건물번호에 따른 사업자정보와 옥외광고물관리정보를 동시에 검색하여 표시함으로 한번에 건물번호에 해당하는 허가 또는 신고된 간판과 무허가 불법간판을 식별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광고물에 대한 전수조사를 소수의 인력으로 신속하고 투명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세외수입증대는 물론 인건비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광고물의 주소정보, 사업자 정보를 수집하는 것에 불과하며 광고물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수집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단순히 시스템의 통합으로 구성된 것으로 실시간으로 정보를 받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KR 10-1047378 B1 KR 10-0755431 B1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마트 폰으로 옥외 광고물을 촬영 시, 촬영된 사진 속 광고물을 AI가 데이터화 하여 5G 통신을 통해 광고물 분석 시스템의 DB에 자동으로 실시간 입력하여, 딥러닝을 통해 AI가 인식하여 실시간으로 옥외 광고물 분석 정보를 받을 수 있는 5G를 기반으로한 옥외 광고물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측정기기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고물을 AI가 데이터화하여 분석하는 어플리케이션(10)이 설치된 측정기기(100)는, 상기 측정기기(100)는 5G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200) 및 광고물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300)를 포함하고, GPS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측정기기(100)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10)은, 상기 카메라(300)가 촬영한 사진에서 가게명, 가게 전화번호, 간판 규격, 해당 매장 소재지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정보를 광고물 저장 DB에 전송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드론과 측정기기의 서버 통신을 통해 드론에 장착된 카메라에 보이는 화면을 측정기기로 보며 촬영 버튼을 클릭하여 드론에 장착된 카메라가 촬영하도록 하여 고층 건물과 같이 광고물이 촬영되기 힘든 곳에 있는 경우에도 광고물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증강 현실(AR)을 이용한 딥러닝을 통하여 AI가 광고물을 인식하여 광고물로 판단되는 물체에 태그가 생기고 그 태그를 클릭 시 광고물에 관한 데이터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며 잘못 측정된 데이터를 사용자가 따로 수정하거나 잘못 측정된 데이터가 없을 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바로 저장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옥외 광고물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측정기기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옥외 광고물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측정기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옥외 광고물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옥외 광고물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측정기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는 다수의 양태 및 실시양태가 기술되며, 이들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를 읽은 후에, 숙련자는 다른 양태 및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양태의 상세 사항을 다루기 전에, 몇몇 용어를 정의하거나 또는 명확히 하기로 한다
AI는 artificial intelligence의 약자로 혹은 machine intelligence라고도 불리며, 인공지능이라 한다. AI는 일반적으로 시스템에 의해 만들어지며 기계를 지능적으로 만드며, 기계가 환경을 파악하고 예측하여 적절하게 기능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AR은 augmented reality의 약자로 증강현실이라고 불린다. AR은 가상현실(VR)의 한 분야로 실제로 존재하는 환경에 가상의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마치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이다. 디지털 미디어에서 빈번하게 사용된다.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은 카메라나 스캐너 등의 영상 입출력 매체를 통하여 입력 받은 이미지나 영상에서 물체 (Object), 전경 (Foreground), 배경 (Background) 등 물체와 주변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유의미한 정보를 생성하는 기술로, Image Processing을 통하여 필요한 정보를 생성합니다. 즉, 컴퓨터의 시각적인 능력에 판단 능력을 부여하여 데이터 (이미지, 동영상)를 가공 및 해석하는데 사용된다.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은 카메라나 스캐너 등의 영상 입출력 매체를 통하여 입력 받은 이미지나 영상에서 물체 (Object), 전경 (Foreground), 배경 (Background) 등 물체와 주변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유의미한 정보를 생성하는 기술로, Image Processing을 통하여 필요한 정보를 생성합니다. 즉, 컴퓨터의 시각적인 능력에 판단 능력을 부여하여 데이터 (이미지, 동영상)를 가공 및 해석하는데 사용된다.
DEC란 광고를 접하는 사람수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옥외 광고물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측정기기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옥외 광고물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측정기기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옥외 광고물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화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옥외 광고물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측정기기의 동작 흐름도이다.
다음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옥외 광고물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측정기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한다.
광고물을 AI가 데이터화하여 분석하는 어플리케이션(10)이 설치된 측정기기(100)는, 상기 측정기기(100)는 5G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200) 및 광고물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300)를 포함하고, GPS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측정기기(100)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10)은, 상기 카메라(300)가 촬영한 사진에서 가게명, 가게 전화번호, 간판 규격, 해당 매장 소재지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정보를 광고물 저장 DB에 전송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10)은 상기 추출한 정보를 사용자가 수정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10)은 상기 추출한 정보를 상기 측정기기(100)의 저장공간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기기(100)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옥외 광고물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측정기기는 5G를 기반으로하여 광고물을 AI가 데이터화하여 분석하는 광고물 분석 시스템과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고물 분석 시스템은, 상기 측정기기(100)가 상기 카메라(300)로부터 전송받은 광고물 사진을 분석하는 광고물 분석 AI(400) 및 상기 광고물 분석 AI(400)가 분석한 광고물 정보를 저장하는 광고물 저장 DB(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기기(100)는 카메라를 포함한 드론과 연동하여 상기 드론이 촬영한 영상과 사진으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10)이 가게명, 가게 전화번호, 간판 규격, 해당 매장 소재지에 관한 정보를 추출이 가능하다.
다음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옥외 광고물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광고물을 촬영할 시, 촬영한 사진 속 광고물을 광고물 분석 AI(400)가 데이터화하여 5G 통신을 통해 광고물 저장 DB(500)에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한다.
상기 광고물 분석 AI(400)가 데이터화하여 상기 광고물 저장 DB(500)에 저장하는 광고물 정보는 크게 가게명, 가게 전화번호, 간판 규격, 간판 해당 매장 소재지(GPS), 간판 사진 등이 된다. 가게명, 가게 전화번호 등은 AI의 텍스트 분석 기능을 활용하여 읽어오며, 영어나 숫자에 비해 한글의 경우 인식이 잘 안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수정이 가능하게끔 수정 항목을 따로 두는 것을 권장한다. 간판 규격은 AR기능을 이용하여 화면상에 들어온 간판의 거리를 인지하여 간판의 가로, 세로, 두께를 측정한다. 가게 소재지 정보는 촬영 당시 스마트폰의 GPS위치를 상기 광고물 저장 DB(500)에 저장한다.
고층이라 광고물이 잘 찍히지 않는 곳에 있는 경우 드론과 측정기기(100)를 연동하여 드론에 장착된 카메라에 보이는 화면을 실시간으로 측정기기(100)를 통해 보며 촬영 버튼을 클릭하여 드론에 장착된 카메라가 촬영하게 되고 그때 찍힌 사진과 드론의 GPS 정보를 통신을 통해 IoT 플랫폼에 전달되고 IoT 플랫폼을 이용하여 스마트 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 광고물을 데이터화 시킨 후 어플리케이션에서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광고물 저장 DB(500)에 저장하도록 한다.
도 3과 같이 광고물 분석 AI(400)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내의 변수에 저장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한 번 확인 시켜준 후 상기 광고물 분석 AI(400)에 의해 추출된 데이터에 오류가 있을 시(오탈자 등) 수정 버튼을 눌러 사용자가 직접 수정할 수 있으며, 오류가 없는 경우 저장 버튼을 눌러 광고물 저장 DB(500)에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 스마트폰의 GPS기능을 이용하여 데이터화된 광고물의 위치가 어디인지를 데이터화하여 광고물 저장 DB(50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촬영 위치는 건물의 높이, 위치, 주변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GPS 저장 시 그 광고물이 존재하는 도로명을 GPS 데이터로 불러오도록 한다. 정확한 건물위치 필요 시 사용자가 수정 버튼을 눌러 입력되어 있는 도로명 뒤에 건물번호, 건물이름, 층수 등을 자세히 기술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광고물 분석 AI(400)를 딥러닝을 통해 간판의 형태(일반 간판, 네온 간판, 애드벌룬 등)를 학습시킨 후 간판의 형태를 구분 짓는 데이터도 광고물 저장 DB(500)에 저장한다. 일반간판, 네온간판, 애드벌룬 등의 이미지 데이터들을 대량으로 학습시켜 각각의 특징을 구분 지을 수 있게끔 한다.
또한, AR(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측정기기(100)로부터 광고물까지의 거리를 광고물 분석 AI(400)가 인식한 후 거리에 비례하여 화면상에 보이는 광고물 앞면의 세로, 가로 길이, 광고물의 두께를 측정하여 데이터화하여 광고물 저장 DB(500)에 저장한다.
다음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옥외 광고물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측정기기의 동작 흐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측정기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S100), 카메라로 광고물을 촬영하면(S200), 광고물 분석 AI(400)가 광고물에 대해 분석하고(S300), 분석 결과물을 어플리케이션(10)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S400). 이후 분석 결과물을 광고물 저장 DB로 전송한다(S500). 상기 단계(S200) 대신 측정기기(100)의 저장공간에 미리 저장된 사진을 불러와 광고물을 분석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5G 기반 AI 옥외 광고물 분석 시스템의 광고물 분석 AI(400)에 적용할 수 있는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동시적 위치추정과 지도작성) 기술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SLAM 기술은 VIO(Visual Inertial Odometry, 시각적 관성 거리계)를 기반으로 하며, VIO의 구현에 있어서는 칼만 필터 기반의 방식으로 하는 것을 권장한다. 이는 카메라(300)로부터 들어오는 영상을 광고물 분석 AI(400)가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특징점을 찾고, 이를 칼만 필터에서 활용하여 오차를 보정한다. 이를 통해 공간상의 특정한 점에 가상 물체를 놓을 수 있는 앵커링 기능이 가능한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옥외 광고물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분하는 광고물 유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광고물 유형은 크게 가로형 간판, 세로형 간판, 돌출 간판, 공연 간판, 옥상 간판, 창문 광고물, 현수막, 지주 이용 광고물, 공공시설물 이용 광고물로 구분한다.
다음은 광고물 유형에 따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가로형 간판은 문자·도형 등을 목재·아크릴·금속재 등의 판에 표시하거나 입체형으로 제작되어 건물의 벽면에 가로로 길게 붙이거나 벽면 등에 직접 도료로 표시하는 광고물을 의미한다. 또한, 주유소나 가스충전소 등의 주유기나 충전기시설의 차양면에 상호, 정유사 등의 명칭을 표시하거나 상호를 현수식으로 표시하는 광고물을 뜻한다.
세로형 간판은 문자·도형 등을 목재·아크릴·금속재 등의 판에 표시하거나 입체형으로 제작되어 건물의 벽면 또는 기둥에 세로로 길게 붙이거나 벽면 등에 직접 도료로 표시하는 광고물을 의미한다.
돌출 간판은 문자, 도형 등을 목재, 아크릴, 금속재 등의 판이나 이용업소, 미용업소의 표지와 같이 건물의 벽면에 튀어나오게 붙이는 광고물을 의미한다.
공연 간판은 공연, 영화를 알리기 위한 문자, 그림 등을 목재, 아크릴, 금속재 등의 판에 표시하거나 실물의 모형 등을 제작하여 해당 공연 건물의 벽면에 표시하는 광고물을 의미한다.
옥상 간판은 건물의 옥상에 따로 삼각형·사각형 또는 원형 등의 게시시설을 설치하여 문자·도형 등을 표시하거나 승강기탑·계단탑·망루·장식탑·옥탑 등 건물의 옥상구조물에 문자·도형 등을 직접 표시하는 광고물을 의미한다.
창문 이용 광고물은 천·종이·비닐 등에 문자·도형 등을 표시하여 창문 또는 출입문에 직접 붙이거나 문자·도형 등을 목재·아크릴·금속재 등의 판이나 입체형으로 제작하여 창문 또는 출입문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광고물을 의미한다.
현수막은 천·종이·비닐 등에 문자·도형 등을 표시하여 건물 등의 벽면, 지주, 게시시설 또는 그 밖의 시설물 등에 매달아 표시하는 광고물을 의미한다.
지주 이용 광고물은 문자·도형 등을 표시한 목재·아크릴·금속재 등의 판을 지면에 따로 설치한 지주에 붙이거나, 문자·도형 등을 따로 설치한 삼각기둥·사각기둥·원기둥 등의 게시시설 기둥면에 직접 표시하거나, 군사시설, 철도의 주요 경계시설, 공사 현장 등을 가리기 위하여 지주에 표시하는 광고물을 의미한다.
공공시설물 이용광고물은 공공의 목적을 위하여 설치하는 인공구조물 또는 편익시설물에 표시하는 광고물을 의미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옥외 광고물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는 옥외광고 효과측정 모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옥외광고를 크게 야립광고와 옥상광고로 구분하여 그에 따른 효과측정 모델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야립광고 효과측정 모델은 야립광고물의 효과분석을 위해 야립광고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본원적 요인으로 DEC를 규정하였다. 야립광고의 DEC1는 야립광고물의 설치지역을 중심으로 해당지역을 통과하는 교통량만을 측정하도록 한다.
DEC는 야립광고물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1일 통행량을 기준으로 측정하며, 시간을 아침, 오전, 오후, 저녁, 시간대별로 측정하며, 교통수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버스에는 15의 가중치를 자동차의 경우 1.3의 가중치를 적용하도록 한다.
야립광고의 실제적 노출을 고려한 항목으로 가시각도와 노출시간, 차량정체도(평균주행속도)가 포함되며, 또한 DEC 측정 지수를 통해 야립광고의 매체효율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로서 하기 수학식과 같이 CPM1을 도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1. 야립광고 총 노출량에 관한 식>
Figure pat00002
<수학식2. 야립광고 DEC에 관한 식>
Figure pat00003
<수학식3. 야립광고의 CPM에 관한 식>
Y1은 야립광고 총 노출량을 의미하며, DEC1은 야립광고 모델에서 차량유동인구를 의미한다.
다음은 옥상광고 효과측정 모델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모델은 옥상광고물의 효과분석을 위해 옥상광고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본원적 요인으로 DEC를 규정하였다. 옥상광고의 DEC는 옥상광고물의 설치지역을 중심으로 해당지역을 통과하는 교통량(차량유동인구)과 도보유동인구를 측정하도록 한다.
DEC는 옥상광고물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1일 차량통행량을 기준으로 측정시간을 아침, 오전, 오후, 저녁, 시간대별로 측정하며, 교통수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버스에는 15의 가중치를 자동차의 경우 1.3의 가중치를 적용한다.
도보유동인구의 경우, 옥상광고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지하철 출구와 버스승하차장을 고려하여 측정지점이 각각의 유입인구를 포함시킬 수 있도록 유의하여, 하차이후 보행자 이동선이 옥외광고를 향하고 있는 곳을 중심으로 측정지점을 선정하여 측정하며, 옥상광고의 실제적 노출을 고려한 항목으로 가시각도, 가시거리, 차량정체도(평균주행속도) 등이 포함된다. 또한 CPM을 도출하는 방법은 야립광고 모델과 같다.
Figure pat00004
<수학식4. 옥상광고 총 노출량에 관한 식>
Figure pat00005
<수학식5. 옥상광고 DEC에 관한 식>
Figure pat00006
<수학식6. 옥상광고의 CPM에 관한 식>
Y2은 옥상광고 총 노출량을 의미하며, DEC2은 옥상광고 모델에서 차량유동인구를 의미한다.
또한, 야립광고, 옥상광고 효과측정 모델에서 공통적으로, 가시각도란 광고물이 식별 가능한 영역을 말하는 것으로 광고물의 위치에 따라 노출될 수 있는 영역(각도)이 넓거나 좁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반영하여 노출될 가능성에 대한 가중치를 주기 위한 것이다.
노출시간은 광고물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시간을 말하는 것으로, 주변 환경에 방해받지 않고 지속적으로 노출될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한다.
차량정체도는 광고지점의 허용속도와 평균속도의 비를 통하여 쉽게 도출해낼 수 있고, 이를 가중치로 부여함. 예를 들어 허용속도가 70km/h 인 지점에서의 평균속도가 35km/h 라면 70/35=2 즉, 200%의 가중치를 부여할수 있는 것이다.
가시각도와 노출시간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른 단위를 쓰면 된다. 예를 들면 도(°), 초(second)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옥외 광고물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측정기기와 옥외 광고물 분석 시스템을 함께 적용한다면, 사용자가 간편하게 사용자의 스마트폰 카메라(혹은 측정기기(100))를 통해 화면에 담긴 영상에서 바로 광고물에 대한 정보를 처리해주기 때문에 사진을 따로 찍을 필요 없이 스마트폰이나 측정기기(100)의 용량에 지장을 주지도 않으며 실시간으로 광고물 분석 AI(400)가 인식 가능한 광고물인지 아닌지를 확인 가능하므로, 일일이 사진을 찍어 광고물 분석 AI(400)가 그 광고물을 인식하는지 하지 않는 지를 바로 알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증대되었다고 볼 수 있다. 종래의 방식들(PDA 등을 이용한 방식)은 사진을 찍어서 일일이 저장한 후 데이터화 작업을 거쳐야만 했으므로 그에 비하면 본 발명에 따른 5G 기반 AI 옥외 광고물 분석 시스템은 쉽고 간편하게 누구나 본인의 스마트폰을 통해 바로 광고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 : 어플리케이션
100 : 측정기기
200 : 통신부
300 : 카메라
400 : 광고물 분석 AI
500 : 광고물 저장 DB

Claims (4)

  1. 광고물을 AI가 데이터화하여 분석하는 어플리케이션(10)이 설치된 측정기기(100)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기(100)는 5G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200) 및 광고물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300)를 포함하고, GPS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측정기기(100)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10)은,
    상기 카메라(300)가 촬영한 사진에서 가게명, 가게 전화번호, 간판 규격, 해당 매장 소재지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정보를 광고물 저장 DB에 전송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광고물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측정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10)은,
    상기 추출한 정보를 사용자가 수정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광고물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측정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10)은,
    상기 추출한 정보를 상기 측정기기(100)의 저장공간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광고물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측정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기(100)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 광고물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측정기기.
KR1020190151119A 2019-11-22 2019-11-22 옥외 광고물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측정기기 KR102377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119A KR102377122B1 (ko) 2019-11-22 2019-11-22 옥외 광고물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측정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119A KR102377122B1 (ko) 2019-11-22 2019-11-22 옥외 광고물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측정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905A true KR20210062905A (ko) 2021-06-01
KR102377122B1 KR102377122B1 (ko) 2022-03-22

Family

ID=76376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119A KR102377122B1 (ko) 2019-11-22 2019-11-22 옥외 광고물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측정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12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431B1 (ko) 2007-02-12 2007-09-04 주식회사 명진 아이앤씨 피디에이를 이용한 옥외광고물 전수조사 시스템
KR101047378B1 (ko) 2009-05-13 2011-07-07 문추연 옥외광고물 측정시스템
KR20140146884A (ko) * 2013-06-18 2014-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을 편집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장치
KR20160034754A (ko) * 2014-09-22 2016-03-30 임근원 스마트폰을 이용한 옥외간판 전수조사 및 그 옥외광고물 관리방법
KR20170132414A (ko) * 2016-05-24 2017-12-04 네이버 주식회사 지역 사진 및 거리뷰의 간판 이미지를 활용한 지역 정보 검출 및 보정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431B1 (ko) 2007-02-12 2007-09-04 주식회사 명진 아이앤씨 피디에이를 이용한 옥외광고물 전수조사 시스템
KR101047378B1 (ko) 2009-05-13 2011-07-07 문추연 옥외광고물 측정시스템
KR20140146884A (ko) * 2013-06-18 2014-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을 편집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장치
KR20160034754A (ko) * 2014-09-22 2016-03-30 임근원 스마트폰을 이용한 옥외간판 전수조사 및 그 옥외광고물 관리방법
KR20170132414A (ko) * 2016-05-24 2017-12-04 네이버 주식회사 지역 사진 및 거리뷰의 간판 이미지를 활용한 지역 정보 검출 및 보정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122B1 (ko)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5673B2 (en) Crime risk assessment system
EP3343443B1 (en) Object detection for video camera self-calibration
US8218943B2 (en) CV tag video image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layer generating and selection functions
US20100256981A1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documenting and reporting events via time-elapsed geo-referenced electronic drawings
CN116227834A (zh) 一种基于三维点云模型的智能景区数字化平台
JP6653361B2 (ja) 路面標示画像処理装置、路面標示画像処理方法及び路面標示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2308193B1 (ko) Ocr기술을 활용한 옥외광고물 측정기기 및 그와 연동되는 운영시스템
WO2020048116A1 (zh) 经济地理要素后处理分析与挖掘方法及系统
KR102230352B1 (ko) Ar 및 gps를 적용한 옥외광고물 측정기기
CN114358660A (zh) 一种城市街道品质评估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13066182A (zh) 一种信息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329623B1 (ko) 5g 기반 ai 옥외 광고물 분석 시스템
US20190362432A1 (en) Compliance Aware Crime Risk Avoidance System
KR20210062905A (ko) 옥외 광고물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측정기기
CN115512084A (zh) 基于ar的店铺分析方法、装置、终端设备及服务器
KR102528808B1 (ko) 다중 렌즈를 사용한 전수조사용 옥외광고물 측정기기
KR102639240B1 (ko) 다중 영상을 사용한 옥외광고물 측정기기
WO2021079828A1 (ja) 情報共有装置、イベント支援システム、情報共有方法、及びイベント支援システムの生産方法
CN113378845A (zh) 一种场景分割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7180827B2 (ja) 一般物体認識システム
Naqvi et al. Street mapping, object detection and traffic load assessment from SVIs and field data using YOLOv3, machine learning and GIS
KR20010078123A (ko)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정보 안내시스템 및위치정보 안내방법
Mots' oehli et al. Public Parking Spot Detection And Geo-localization Using Transfer Learning
KR102467862B1 (ko) 기록매체에 저장된 부동산 관리용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부동산 관리 시스템
JP2002183764A (ja) 三次元都市データベースのメンテナンス方法及びそのための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