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2820A - 중공 형성부가 포함된 풍도슬래브 유닛 및 이를 이용하여 풍도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중공 형성부가 포함된 풍도슬래브 유닛 및 이를 이용하여 풍도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2820A
KR20210062820A KR1020190150949A KR20190150949A KR20210062820A KR 20210062820 A KR20210062820 A KR 20210062820A KR 1020190150949 A KR1020190150949 A KR 1020190150949A KR 20190150949 A KR20190150949 A KR 20190150949A KR 20210062820 A KR20210062820 A KR 20210062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slab unit
slab
lower flan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0598B1 (ko
Inventor
신명규
김도학
박종헌
노정휘
이경근
김동석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0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598B1/ko
Publication of KR20210062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4Air 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08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preformed concrete sl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 플랜지(110), 하부 플랜지(120) 및 상기 상부 플랜지(110)와 상기 하부 플랜지(120)를 연결하는 웹(130)을 포함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랜지(110)는 이웃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의 상부 프랜지(110a)와 밀착되며, 상기 하부 플랜지(120)는 이웃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의 하부 플랜지(120a)와 밀착되되, 상기 상부 플랜지(110)와 상기 하부 플랜지(120) 사이에는 중공 형성부(140)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 형성부(140)는 이웃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의 중공 형성부(140a)와 결합되어 중공부(20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풍도슬래브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고, 시공된 슬래브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중공 형성부가 포함된 풍도슬래브 유닛 및 이를 이용하여 풍도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 {Wind duct slab unit including a hollow forming unit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wind duct slab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시공되는 풍도슬래브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풍도슬래브를 형성하는 개별 유닛에 중공 형성부를 형성하여, 결합된 풍도슬래브에 중공부를 형성하여 시공의 용이성을 확보하고 슬래브의 자중을 감소시켜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함을 물론, 터널 내의 소음이 중공부로 유입될 수 있는 소음 유입공을 포함하여, 터널 내를 운행하는 차량 등에 의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중공 형성부가 포함된 풍도슬래브 유닛 및 이를 이용하여 풍도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굴착에 의해 건설되는 터널 구조물은 터널 내의 매연이나 먼지 및 화재 등의 위급 상황으로부터 발생되는 유해물질로부터 터널이용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교통량과 터널길이에 따라 효율성을 고려한 터널 환기설비이 갖추어져 있다.
특히 터널 내부를 주행하는 자동차들로 부터 발생되는 배출가스는 터널 통행자 및 운전자의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환기설비가 구성된다.
기계를 이용한 터널 내의 환기설비방식은 종류식(Longitudinal), 반횡류식(Semi-Transverse System), 횡류식(Transverse System)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종류식 환기시스템은 터널의 상부에 대형 팬을 설치하여 터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공기 흐름을 만듬으로써 터널 내의 공기가 정체되지 않도록 하여 환기를 유도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와 비교하여 횡류 환기방식은 터널 상부에 슬래브를 형성하고 터널 내의 공기를 슬래브 상부로 인입시켜 슬래브 상부의 환기 시스템에 의해 터널 내의 환기를 이루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횡류 환기방식은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 구조물에 대하여 라이닝을 설치후, 터널 라이닝의 중 상단에 풍도를 형성하는 콘키리트 바닥 패널(슬라브)을 설치하고, 바닥 패널의 중간에는 일정 거리를 두고 지지용 행거를 설치하여 바닥 패널을 천장부에 연결함과 아울러 콘크리트 패널의 양단은 터널 라이닝의 양측 내벽으로부터 돌출 설치된 고정 브라켓 걸리도록 지지되게 하여, 환기용 풍도를 구성하고 있다.
종류식 환기시스템은 시공이 편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터널 공간 내에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방식이므로 화재 등의 비상 사태에 발생되는 유해물질의 제거에 있어 터널 이용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곤란하고, 터널 단부에 거주지역이 형성된 경우 터널 내의 좋지 않은 공기가 그대로 거주지역으로 배출되므로 선택하기 어려운 환기 시스템에 해당된다.
이와 비교하여 횡류식 환기시스템은 환기 공간과 터널 이용자들의 이용공간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환기 효율이 좋고 화재 등의 비상사태에 효율적이다.
다만, 횡류식 환기시스템은 종류식과 비교할 때 시공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더 높은 공사비가 요구된다. 또한 터널 내의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슬라브 내부의 긴장재 또는 철근의 좌굴에 의해 슬라브가 붕괴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풍도슬래브 시공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이 용이하고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중공 형성부가 포함된 풍도슬래브 유닛 및 이를 이용하여 풍도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널 내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중공 형성부가 포함된 풍도슬래브 유닛 및 이를 이용하여 풍도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널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슬라브 내부의 긴장재 또는 철근에 화재의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슬래브 붕괴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중공 형성부가 포함된 풍도슬래브 유닛 및 이를 이용하여 풍도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래브 유닛 내부에 내화판넬을 매립하여 내화판넬이 결합된 슬래브 유닛의 제조의 편의성을 확보한 중공 형성부가 포함된 풍도슬래브 유닛 및 이를 이용하여 풍도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화판넬이 외장재로 쓰이는 경우보다 더 나은 미적 외관을 갖음과 아울러 유지 보수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중공 형성부가 포함된 풍도슬래브 유닛 및 이를 이용하여 풍도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부 플랜지(110), 하부 플랜지(120) 및 상기 상부 플랜지(110)와 상기 하부 플랜지(120)를 연결하는 웹(130)을 포함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랜지(110)는 이웃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의 상부 프랜지(110a)와 밀착되며, 상기 하부 플랜지(120)는 이웃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의 하부 플랜지(120a)와 밀착되되, 상기 상부 플랜지(110)와 상기 하부 플랜지(120) 사이에는 중공 형성부(140)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 형성부(140)는 이웃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의 중공 형성부(140a)와 결합되어 중공부(20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이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웹(130) 또는 상기 하부 플랜지(120)에는 휨 방지부재(300)가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휨 방지부재(300)는 프리텐션 방식의 강연선(3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휨 방지부재(300)는 철근(3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휨 방지부재(300) 하부에는 내화재(600)이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플랜지(120)의 단부에는 소음 유입공 형성부(150)가 블록 아웃되어 형성되되, 상기 소음 유입공 형성부(150)는 이웃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의 소음 유입공 형성부(150a)와 결합되어 소음 유입공(400)을 형성하며, 상기 소음 유입공(400)은 상기 중공부(200)와 외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플랜지(120)에는 상기 중공부(200)와 외부를 연결하는 소음 유입공(4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플랜지(110)의 단부에는 상기 이웃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의 상부 프랜지(110a)에 형성된 결합돌기(112a)가 삽입되는 결합홈(1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웹(130)의 종단면 상의 폭(A)은 중심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부(200)의 내벽에는 흡음재(500)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풍도슬래브 유닛을 이용하여 풍도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터널 상부에 브라켓(10)을 시공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풍도슬래브 유닛을 리프팅하여 상기 브라켓(10) 상부에 거치시키는 제2 단계(S200); 및 상기 제2 단계(S200)를 반복하여 실시하되, 상기 상부 플랜지(110)와 상기 이웃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의 상부 프랜지(110a)를 밀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하부 플랜지(120)와 상기 이웃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의 하부 플랜지(120a)를 밀착시키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풍도슬래브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고, 시공된 슬래브의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널 내의 소음을 저감시켜 터널 주행자 및 터널 근방의 거주자들에 대한 소음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널 내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슬라브 내부의 긴장재 또는 철근에 화재의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슬래브 붕괴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래브 유닛 내부에 내화판넬을 매립하여 내화판넬이 결합된 슬래브 유닛의 제조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풍도슬래브 유닛은 내화판넬이 외장재로 쓰이는 경우보다 더 나은 미적 외관을 갖음과 아울러 보수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도슬래브가 시공된 터널의 단면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도슬래브 유닛.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풍도슬래브 유닛.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풍도슬래브 유닛.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도슬래브 유닛의 하부 프랜지에 형성된 소음 유입공의 표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도슬래브 유닛의 하부 플랜지에 형성된 소음 유입공의 종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도슬래브의 저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도슬래브의 종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중공 형성부가 포함된 풍도슬래브 유닛 및 이를 이용하여 풍도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적용 사례 중의 일부를 설명하는 것이므로 실시예의 구성에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횡류식 환기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한 풍도슬래브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1)에 따르면 풍도슬래브 유닛은 상부 플랜지(110), 하부 플랜지(120) 및 상부 플랜지(110)와 하부 플랜지(120)를 연결하는 웹(130)의 구성을 포함한다(도 2 내지 도4).
도 2는 후술되는 소음 유입공(400)이 형성된 위치(A-A)에서의 풍도슬래브 유닛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소음 유입공(400)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B-B)에서의 풍도슬래브 유닛의 종단면도이다(도 1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도슬래브 유닛의 상부 플랜지(110)는 이웃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의 상부 프랜지(110a)와 밀착되며, 하부 플랜지(120)는 이웃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의 하부 플랜지(120a)와 밀착되어 설치된다.
더하여 풍도슬래브 유닛의 상부 플랜지(110)와 하부 플랜지(120) 사이에는 중공 형성부(140)가 형성되고, 중공 형성부(140)는 이웃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의 중공 형성부(140a)와 결합되어 중공부(200)를 형성하는 특징이 있다(도 17).
중공부(200)는 풍도슬래브의 자중을 낮추어 구조적 안전성과 시공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한편, 후술되는 소음 유입공(400)을 통해 유입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작용을 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이에 따라 중공부(200)의 내벽에는 흡음재(500)가 설치될 수 있다(도 19). 이 경우 터널 내의 소음 저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도슬래브 유닛은 풍도슬래브의 단부에 설치되는 단부 슬래브 유닛을 포함한다(도 5, 도 9, 도 12).
단부 슬래브 유닛은 터널 측면에 설치되는 구성이므로 터널 측면으로부터의 습기, 이물질 등이 중공부(200)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풍도슬래브 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부(200)의 양 단부를 폐쇄하는 격벽(160)의 구성을 더 포함한다.
더하여 풍도슬래브 시공시 터널 벽과 풍도슬래브 사이 공간의 현장 타설에 있어 별도의 거푸집의 설치 없이 그라우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도슬래브 유닛의 웹(130) 또는 하부 플랜지(120)에는 휨 방지부재(300)가 매립될 수 있다(도 2, 도 3).
휨 방지부재(300)는 프리텐션 방식의 강연선(310)이거나 철근(32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휨 방지부재(300)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수량이나 설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휨 방지부재(300)가 소정의 위치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으며 도 6 내지 도 10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휨 방지부재(300)가 2단으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풍도슬래브 유닛의 하부에 설치된 휨 방지부재는 슬래브 유닛의 처짐에 대한 저항부재로 활용된다.
다만, 터널 내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에 의한 열이 휨 방지부재(300)에 전달되어 강연선(310)이나 철근(320)의 좌굴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휨 방지부재(300)의 좌굴은 풍도슬래브의 구조적 안전성을 해하며, 이에 따라 풍도슬래브의 붕귀 등으로 인해 터널 운행자들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실시예 3)에 따른 풍도 슬래브 유닛은 휨 방지부재(300) 하부에 내화재(600)을 매립하여 화재에 의한 열이 휨 방지부재(300)로 전달되는 것을 막는 구조를 취한다(도 10 내지 도 12).
내화재(600)은 ALC 내화판넬과 같은 판상의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풍도슬래브 유닛에는 내화재(600)이 슬래브 유닛 하부에 매립되어 있으므로 휨 방지부재(300)에 대한 내화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제작의 편의성 및 유지 관리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더하여 미적 외관의 측면에 있어서도 내화재(600)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형태적 일체성 및 구조적 단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도슬래브 유닛의 하부 플랜지(120)의 단부에는 소음 유입공 형성부(150)가 블록 아웃되어 형성될 수 있다(도 4).
소음 유입공 형성부(150)는 이웃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의 소음 유입공 형성부(150a)와 결합되어 소음 유입공(400)을 형성한다(도 17, 도 18).
소음 유입공(400)은 중공부(200)와 외부(터널의 차량 주행 공간)를 연결하며, 터널 내에서 발생된 소음을 중공부(200)로 유입시키는 통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실시예 4)에 따르면 하부 플랜지(120)에는 중공부(200)와 외부를 연결하는 소음 유입공(400)이 형성될 수 있다(도 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도슬래브 유닛의 상부 플랜지(110)의 단부에는 이웃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의 상부 프랜지(110a)에 형성된 결합돌기(112a)가 삽입되는 결합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도 2).
이에 따라 풍도슬래브 유닛이 시공된 경우 풍도 슬래브 유닛과 이웃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의 상부 프랜지(110, 110a) 간의 연결의 긴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풍도슬래브 유닛의 웹(130)의 종단면 상의 폭(A)은 중심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특징이 있다(도 2).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란 풍도슬래브 유닛은 상부 슬래브(110)의 지지를 위한 최소한의 웹(130)의 폭을 확보하면서도 넓은 중공부(200)를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도슬래브 유닛을 이용하여 풍도슬래브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도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은 터널 상부에 브라켓(10)을 시공하는 제1 단계(S100), 풍도슬래브 유닛을 리프팅하여 브라켓(10) 상부에 거치시키는 제2 단계(S200) 및 제2 단계(S200)를 반복하여 실시하되 상부 플랜지(110)와 이웃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의 상부 프랜지(110a)를 밀착시킴과 아울러, 하부 플랜지(120)와 이웃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의 하부 플랜지(120a)를 밀착시키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10 : 상부 플랜지
120 : 하부 플랜지
130 : 웹
140 : 중공 형성부
150 : 소음 유입공 형성부
200 : 중공부
300 : 휨 방지부재
400 : 소음 유입공
500 : 흡음재
600 : 내화재

Claims (11)

  1. 상부 플랜지(110), 하부 플랜지(120) 및 상기 상부 플랜지(110)와 상기 하부 플랜지(120)를 연결하는 웹(130)을 포함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랜지(110)는 이웃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의 상부 프랜지(110a)와 밀착되며,
    상기 하부 플랜지(120)는 이웃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의 하부 플랜지(120a)와 밀착되되,
    상기 상부 플랜지(110)와 상기 하부 플랜지(120) 사이에는 중공 형성부(140)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 형성부(140)는 이웃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의 중공 형성부(140a)와 결합되어 중공부(20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슬래브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130) 또는 상기 하부 플랜지(120)에는 휨 방지부재(300)가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슬래브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휨 방지부재(300)는 프리텐션 방식의 강연선(3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슬래브 유닛.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휨 방지부재(300)는 철근(3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슬래브 유닛.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휨 방지부재(300) 하부에는 내화재(600)가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슬래브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랜지(120)의 단부에는 소음 유입공 형성부(150)가 블록 아웃되어 형성되되,
    상기 소음 유입공 형성부(150)는 이웃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의 소음 유입공 형성부(150a)와 결합되어 소음 유입공(400)을 형성하며,
    상기 소음 유입공(400)은 상기 중공부(200)와 외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슬래브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랜지(120)에는 상기 중공부(200)와 외부를 연결하는 소음 유입공(40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슬래브 유닛.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랜지(110)의 단부에는 상기 이웃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의 상부 프랜지(110a)에 형성된 결합돌기(112a)가 삽입되는 결합홈(1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슬래브 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웹(130)의 종단면 상의 폭(A)은 중심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슬래브 유닛.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200)의 내벽에는 흡음재(500)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슬래브 유닛.
  11. 제8항의 풍도슬래브 유닛을 이용하여 풍도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터널 상부에 브라켓(10)을 시공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풍도슬래브 유닛을 리프팅하여 상기 브라켓(10) 상부에 거치시키는 제2 단계(S200); 및
    상기 제2 단계(S200)를 반복하여 실시하되, 상기 상부 플랜지(110)와 상기 이웃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의 상부 프랜지(110a)를 밀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하부 플랜지(120)와 상기 이웃하는 풍도슬래브 유닛의 하부 플랜지(120a)를 밀착시키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도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

KR1020190150949A 2019-11-22 2019-11-22 중공 형성부가 포함된 풍도슬래브 유닛 및 이를 이용하여 풍도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 KR102300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949A KR102300598B1 (ko) 2019-11-22 2019-11-22 중공 형성부가 포함된 풍도슬래브 유닛 및 이를 이용하여 풍도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949A KR102300598B1 (ko) 2019-11-22 2019-11-22 중공 형성부가 포함된 풍도슬래브 유닛 및 이를 이용하여 풍도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820A true KR20210062820A (ko) 2021-06-01
KR102300598B1 KR102300598B1 (ko) 2021-09-08

Family

ID=76375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949A KR102300598B1 (ko) 2019-11-22 2019-11-22 중공 형성부가 포함된 풍도슬래브 유닛 및 이를 이용하여 풍도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5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2653B1 (ko) 2022-03-02 2022-08-17 (주)유진기업 터널용 내화 풍도슬래브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140B1 (ko) * 2007-05-31 2009-03-16 주식회사 이산 조립식 중공 슬래브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KR20170096392A (ko) * 2016-02-16 2017-08-24 (주)나우기술 터널 내 설치가 용이한 분절형 풍도슬래브의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140B1 (ko) * 2007-05-31 2009-03-16 주식회사 이산 조립식 중공 슬래브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KR20170096392A (ko) * 2016-02-16 2017-08-24 (주)나우기술 터널 내 설치가 용이한 분절형 풍도슬래브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2653B1 (ko) 2022-03-02 2022-08-17 (주)유진기업 터널용 내화 풍도슬래브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598B1 (ko) 202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29568C (zh) 电梯顶棚的通风腔
KR102300598B1 (ko) 중공 형성부가 포함된 풍도슬래브 유닛 및 이를 이용하여 풍도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
KR20140074601A (ko) 터널 라이닝에 고정된 풍도슬래브
CN101566002B (zh) 一种共用排气管道
KR20160094649A (ko) 터널 환기용 풍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US6752563B2 (en) Covered highway structure with means for easy and quick access to tunnel interior
KR20060117499A (ko) 터널용 제트 팬
KR20110133370A (ko) 비상대피공간을 갖는 지중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20170051652A (ko) 방음 터널
JP3594824B2 (ja) トンネル工事における防音扉構造
JP3411974B2 (ja) トンネル換気装置
CN111720151B (zh) 一种横断面为矩形的隧道结构
KR101421787B1 (ko) 경사진 풍도 슬래브에 급배기 덕트 면적확보를 위한 터널의 중앙 풍도 격벽 및 그 시공방법
JP3710736B2 (ja) 階段室を利用した消音ダクト
CN212716708U (zh) 隧道通风系统
JPH0791727A (ja) 消音チャンバー
KR100875087B1 (ko) 터널 내벽 구조물
CN218563948U (zh) 一种用于地铁配线车站轨行区的射流风机布置结构
KR100763026B1 (ko) 단선 병렬터널의 격벽형 갱구 구조물
JP3843389B2 (ja) 吸音構造体
CN220434373U (zh) 跃层车库及建筑物
FI127401B (fi) Rakennuksen ulkovaipan saneerausjärjestely
KR101536475B1 (ko) 세라믹 화이버 블랭킷을 활용한 건식벽체시스템
JP3492984B2 (ja) 防音機能付き換気装置
KR102542083B1 (ko) 철도 터널과 연결된 갱 풍도의 출구에 배치되는 폭발음 저감 소음기 및 소음 저감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