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2688A - 차동 장치,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차동 장치,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2688A
KR20210062688A KR1020217012472A KR20217012472A KR20210062688A KR 20210062688 A KR20210062688 A KR 20210062688A KR 1020217012472 A KR1020217012472 A KR 1020217012472A KR 20217012472 A KR20217012472 A KR 20217012472A KR 20210062688 A KR20210062688 A KR 20210062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haft
gear
motor
rotating
differenti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쭈린 푸
윈칭 한
팡전 정
후이 장
Original Assignee
광둥 미디어 화이트 홈 어플라이언스 테크놀로지 이노베이션 센터 컴퍼니 리미티드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둥 미디어 화이트 홈 어플라이언스 테크놀로지 이노베이션 센터 컴퍼니 리미티드,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광둥 미디어 화이트 홈 어플라이언스 테크놀로지 이노베이션 센터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62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6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36Differential gearings characterised by intentionally generating speed difference between outp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6Apparatus having rotary means, other than rotatable nozzles, for atomising the cleaning liquid
    • B01D50/0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6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6/00 and B01D4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38Constructional details
    • F16H48/40Constructional detail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rotating c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9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aling the gearboxes, e.g. to improve airtightn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7Gearboxes for accommodating differential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38Constructional details
    • F16H48/40Constructional detail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rotating cases
    • F16H2048/405Constructional detail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rotating cas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bearing of the rotating c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차동 장치(100), 공기 정화 장치(1000) 및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차동 장치(100)는 모터(10), 내부 출력 샤프트(20) 및 외부 출력 샤프트(30)를 포함하고, 모터(10)는 모터 샤프트(11)를 구비하며, 내부 출력 샤프트(20)는 모터(10)의 모터 샤프트(11)에 연결되고, 내부 출력 샤프트(20)와 모터 샤프트(11)는 동축 및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며, 외부 출력 샤프트(30)는 전달 부재를 통해 내부 출력 샤프트(20)와 연결되어, 내부 출력 샤프트(20)의 회전 속도와 외부 출력 샤프트(30)의 회전 속도가 다르게 되며, 외부 출력 샤프트(30)는 중앙홀을 구비하고, 외부 출력 샤프트(30)는 내부 출력 샤프트(20)에 씌워진다.

Description

차동 장치,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청정기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출원 번호가 201811536587.2이고 출원일이 2018년 12월 14일인 중국 특허 출원을 기반으로 하며, 해당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해당 중국 특허 출원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써 본 출원(본 개시)에 결합된다.
[기술분야]
본 출원은 정화 장비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동 장치,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정화 장비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여과망과 같은 필터를 사용하므로, 정화 효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일정 기간 사용하면 정화 효율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필터를 자주 교체해야 한다. 필터를 정기적으로 교체하는 횟수가 많으면 사용이 불편해지며, 추후 교체 및 유지 보수 비용이 많이 든다.
본 출원은 관련 기술에 존재하는 기술적 문제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출원에서는 차동 구동을 구현할 수 있는 차동 장치를 개시한다.
본 출원은 또한 상기 차동 장치를 구비한 공기 정화 장치를 개시하며,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사용이 편리하고 원가가 저렴하다.
본 출원은 또한 상기 공기 정화 장치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를 개시하며,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사용이 편리하고 원가가 저렴하다.
본 출원의 제 1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차동 장치는, 모터 샤프트를 갖는 모터; 상기 모터의 모터 샤프트에 연결되고 동축 및 동속으로 회전하는 내부 출력 샤프트; 전달 부재를 통해 상기 내부 출력 샤프트에 연결되어 회전 속도가 상기 내부 출력 샤프트의 회전 속도와 다르며, 중앙홀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출력 샤프트에 씌움 설치되는 외부 출력 샤프트를 포함한다.
본 출원 실시예의 차동 장치에 따르면, 전달 부재를 통해 외부 출력 샤프트와 내부 출력 샤프트를 연결함으로써, 외부 출력 샤프트와 내부 출력 샤프트의 회전 속도가 다르게 되어, 외부 출력 샤프트와 내부 출력 샤프트의 차동 회전을 구현하며, 해당 회전 부재를 구동하여 상이한 회전 속도로 회전시켜 기계 전체(예: 공기 정화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달 부재는 기어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 세트는, 상기 내부 출력 샤프트에 씌워지고 상기 내부 출력 샤프트와 동기 회전하는 제 1 기어; 상기 제 1 기어와 맞물려 구동되는 제 2 기어; 상기 제 2 기어와 동축으로 배치되며 동기 회전하는 제 3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출력 샤프트에는 기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3 기어와 상기 외부 출력 샤프트의 기어부는 맞물려져 구동된다.
본 출원의 선택적인 예시에 따르면, 상기 차동 장치는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수용 캐비티를 한정하며,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 출력 샤프트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상기 수용 캐비티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연장된다.
본 출원의 다른 선택적인 예시에 따르면, 상기 차동 장치는 상기 내부 출력 샤프트와 외부 출력 샤프트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 출력 샤프트와 외부 출력 샤프트를 지지하여 회전되게 하는 베어링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선택적 예시에 따르면, 상기 베어링 어셈블리는 제 1 베어링과 제 2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부의 상기 모터를 향하는 일측에는 수용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베어링은 상기 내부 출력 샤프트에 씌워지고 상기 수용홈 내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 출력 샤프트의 회전을 지지하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 바닥벽에는 장착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베어링은 상기 장착홈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베어링은 상기 외부 출력 샤프트의 회전을 지지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선택적 예시에 따르면, 상기 차동 장치는 모터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 커버는 모터 캐비티를 한정하고, 상기 모터는 모터 캐비티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기어의 상기 기어부로부터 멀어진 일단은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모터 캐비티 내로 진입한다.
또한, 상기 제 1 기어는 기어 본체와 샤프트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슬리브는 상기 기어 본체와 동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어 본체는 상기 제 2 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샤프트 슬리브는 상기 모터 내부로 진입하고 상기 모터 샤프트와 연결되어 동축 동속으로 회전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차동 장치는 상기 외부 출력 샤프트와 상기 케이싱 사이, 상기 제 1 기어와 상기 케이싱 사이에 연결되는 밀폐링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제 2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는, 공기 유입구와 공기 배출구를 갖고,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공기 배출구의 회전 캐비티를 한정하는 하우징; 회전 가능하게 상기 회전 캐비티 내에 배치되는 회전 디스크; 상기 회전 캐비티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 디스크의 상류에 배치되는 회전 드럼; 상기 회전 캐비티 바닥부의 물을 상측으로 흐르도록 가이드하여, 상기 회전 드럼을 향해 물을 분배하는 물 분배기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실시예에 따른 차동 장치는 상기 회전 디스크의 하류에 배치되고, 상기 차동 장치의 내부 출력 샤프트는 상기 회전 디스크와 상기 회전 드럼 중 하나와 연결되며, 상기 차동 장치의 외부 출력 샤프트는 상기 회전 디스크와 상기 회전 드럼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회전 디스크와 상기 회전 드럼이 다른 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본 출원 실시예의 공기 정화 장치에 따르면, 외부 출력 샤프트가 전달 부재를 통해 내부 출력 샤프트와 연결됨으로써, 외부 출력 샤프트와 내부 출력 샤프트의 회전 속도가 다르게 되어, 외부 출력 샤프트와 내부 출력 샤프트의 차동 회전을 구현하고, 상응한 회전 부재를 구동하여 상이한 속도로 회전시켜 공기 정화 장치의 성능을 최대한 발휘함으로써, 공기 정화 장치의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필터의 정기 교체 횟수가 매우 적고 심지어 교체하지 않아도 되며,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유지 보수 비용을 줄이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일부 선택적 예시에서,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내부 출력 샤프트와 상기 회전 드럼을 연결시키는 제 1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커넥터는 제 1 연결 블록과 제 1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연결 블록은 제 1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출력 샤프트는 상기 제 1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 1 커넥터의 하측 표면을 지나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 1 연결 블록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출력 샤프트를 둘러싸는 방향에서 상기 내부 출력 샤프트와 상기 회전 드럼 사이를 채운다.
일부 선택적인 예시에서,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외부 출력 샤프트와 상기 회전 드럼을 연결시키는 제 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제 2 연결 블록과 제 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연결 블록은 제 2 관통홀을 구비하고 바닥부에는 오목홈이 설치되며, 상기 외부 출력 샤프트의 하단에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 출력 샤프트는 상기 제 2 관통홀을 통과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오목홈 내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제 2 연결 블록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 출력 샤프트를 둘러싸는 방향에서 상기 외부 출력 샤프트와 상기 회전 드럼 사이를 채우며,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회전 디스크의 상측 표면을 지나서 상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공기 정화 장치는 상기 제 2 커넥터의 상기 모터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출력 샤프트에 씌워져 상기 내부 출력 샤프트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 3 베어링을 더 포함한다.
본 출원의 제 3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공기 청정기에 따르면, 외부 출력 샤프트와 내부 출력 샤프트를 전달 부재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외부 출력 샤프트와 내부 출력 샤프트의 회전 속도가 다르게 되어, 외부 출력 샤프트와 내부 출력 샤프트의 차동 회전을 구현하며, 상응한 회전 부재를 구동하여 상이한 속도로 회전시켜 공기 정화 장치의 성능을 최대한 발휘함으로써, 공기 정화 장치의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필터의 정기 교체 횟수가 매우 적고 심지어 교체하지 않아도 되며,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유지 보수 비용을 줄이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부가적인 양태 및 장점은 이하의 설명에서 부분적으로 제공될 것이며, 일부는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거나 본 출원의 실행을 통해 이해될 것이다.
본 출원의 상기 및/또는 부가적인 양태 및 장점은 다음 도면과 함께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고 이해하기 쉬워질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차동 장치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단지 본 출원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출원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될 수 없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제 1 양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동 장치(100)를 설명할 것이며, 차동 장치(100)는 공기 정화 장치(100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동 장치(100)는 모터(10), 내부 출력 샤프트(20) 및 외부 출력 샤프트(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모터(10)는 모터 샤프트(11)를 구비하며, 내부 출력 샤프트(20)는 모터(10)의 모터 샤프트(11)에 연결되고, 내부 출력 샤프트(20)와 모터 샤프트(11)는 동축 및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며, 외부 출력 샤프트(30)는 전달 부재를 통해 내부 출력 샤프트(20)와 연결되어, 내부 출력 샤프트(20)의 회전 속도와 외부 출력 샤프트(30)의 회전 속도가 다르게 된다. 더 나아가, 외부 출력 샤프트(30)는 중앙홀을 구비하며, 외부 출력 샤프트(30)는 내부 출력 샤프트(20)에 씌워진다.
따라서, 모터 샤프트(11)와 내부 출력 샤프트(20)는 동축 동속으로 회전하도록 설정되고, 외부 출력 샤프트(30)는 내부 출력 샤프트(20)에 씌워지며, 외부 출력 샤프트(30)는 전달 부재를 통해 내부 출력 샤프트(20)에 연결됨으로써, 내부 출력 샤프트(20)와 외부 출력 샤프트(30)는 서로 다른 회전 속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내부 출력 샤프트(20)와 외부 출력 샤프트(30)에 의해 구동되는 부재의 회전 속도도 다르기 때문에, 내부 출력 샤프트(20)와 외부 출력 샤프트(30)의 회전 속도가 동일함으로 인해 최적의 성능을 구현할 수 없는 현상을 방지하여 기계 전체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켰다.
여기서, 외부 출력 샤프트(30)와 내부 출력 샤프트(20) 사이의 전달 부재는 마찰 휠 전달기구, 스크류 전달기구, 기어 세트, 벨트 전달 부재, 체인 전달 부재 등일 수 있고, 외부 출력 샤프트(30)와 내부 출력 샤프트(20)의 차동 전달을 실현할 수 있는 부재이면 어떤 것도 가능하며, 본 출원에서는 이에 대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공기 정화 장치(1000)에 차동 장치(100)를 적용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며, 공기 정화 장치(1000)는 회전 드럼(80)과 회전 디스크(70)를 포함한다. 정화 분리 분야에서, 공기 정화 장치(1000)가 작동할 때, 수액은 중앙에 위치한 물 분배기의 작은 구멍 또는 분무 노즐에서 분사되고, 물방울은 고속 회전되는 회전 드럼(80)에 분사되며, 물방울은 액체막 액체로 파쇄되어 회전 드럼(80)과 하우징 내벽 사이의 기류와 혼합되어 기류를 정화하는 역할을 하고, 회전 디스크(70)는 기류 포위 부분의 물방울이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기액 분리의 작용을 한다.
관련 기술에서 공기 정화 장치의 회전 드럼과 회전 디스크는 일체로 구동되는바, 즉 회전 드럼과 회전 디스크는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며, 회전 드럼의 회전 속도의 크기는 물 파쇄 효과에 영향을 주어 정화 효율에도 영향을 미치며, 회전 디스크의 속도는 물방울의 포집 성능에 영향을 주어 정화 효율에도 영향을 미친다. 대부분의 경우에, 회전 디스크와 회전 드럼이 같은 속도로 회전하면 최적의 정화 기능을 얻을 수 없으며, 더 강한 물 파쇄 효과를 얻기 위해 회전 드럼이 고속으로 회전해야 할 경우, 회전 디스크의 속도가 증가하면 압력 손실을 증가시키게 된다. 회전 디스크의 물방울 포집 성능에 대한 요구가 높으나, 회전 드럼의 물 파쇄 효과에 대한 요구가 낮은 경우, 회전 드럼의 속도를 높이면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회전 드럼과 회전 디스크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기술의 회전 드럼과 회전 디스크가 각각 2개의 모터로 구동되는 경우, 즉 하나의 모터가 회전 드럼을 구동하고 다른 하나의 모터가 회전 디스크를 구동하면, 회전 드럼과 회전 디스크가 상이한 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으나, 비용을 증가시키고 에너지 효율을 감소시키게 된다.
그러나, 본 출원 실시예의 차동 장치(100)의 내부 출력 샤프트(20)와 외부 출력 샤프트(30)는 회전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내부 출력 샤프트(20)와 외부 출력 샤프트(30)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 부재의 속도도 다르다. 예를 들면 내부 출력 샤프트(20)는 공기 정화 장치(1000)의 회전 드럼(80)에 연결되고, 외부 출력 샤프트(30)는 공기 정화 장치(1000)의 회전 디스크(70)에 연결되므로, 내부 출력 샤프트(20)는 회전 드럼(80)을 구동하여 회전시키고, 외부 출력 샤프트(30)는 회전 디스크(70)를 구동하여 회전시키므로 회전 드럼(80)과 회전 디스크(70)의 회전 속도가 다르며, 회전 디스크(70)가 고속으로 회전해야 할 경우, 회전 드럼(80)은 저속으로 회전할 수 있고, 회전 드럼(80)이 고속으로 회전해야 할 경우, 회전 디스크(70)는 저속으로 회전할 수 있어,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방지하여 최적의 정화 성능을 구현하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하나의 모터(10)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기에 비용이 증가하지 않고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상기 내용을 요약하면, 회전 디스크(70)와 회전 드럼(80)은 회전 속도에 대한 요구 사항이 서로 다르며, 회전 디스크(70)와 회전 드럼(80)의 요구 사항이 충족되어야만 전체 기계(예: 공기 정화 장치 1000)가 최적의 성능에 도달할 수 있기에, 본 출원 실시예의 차동 장치(100)를 공기 정화 장치(1000)에 적용하면 정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 실시예의 차동 장치(100)에 따르면, 외부 출력 샤프트(30)와 내부 출력 샤프트(20)를 전달 부재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외부 출력 샤프트(30)와 내부 출력 샤프트(20)의 회전 속도가 다르게 되어 외부 출력 샤프트(30)와 내부 출력 샤프트(20)의 차동 회전을 구현할 수 있으며, 상응한 회전 부재를 상이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전체 기계(예: 공기 정화 장치(1000))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에너지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 부재는 기어 세트를 포함하고, 기어 세트는 제 1 기어(41), 제 2 기어(42) 및 제 3 기어(4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 1 기어(41)는 내부 출력 샤프트(20)에 씌워지며, 제 1 기어(41)와 내부 출력 샤프트(20)는 동기 회전을 유지하며, 제 2 기어(42)와 제 1 기어(41)는 서로 맞물려 구동되는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기어(42)는 제 1 기어(41)의 좌측에 위치하고, 제 1 기어(41)와 동일한 축방향 높이에 위치한다. 제 1 기어(41)와 내부 출력 샤프트(20)은 동속으로 회전하며, 제 1 기어(41)는 제 2 기어(42)와 치합되는 형태로 제 2 기어(42)의 회전을 구동한다.
또한, 제 3 기어(43)와 제 2 기어(42)는 동축으로 배치되어 동기 회전하고, 수직축은 제 2 기어(42)와 제 3 기어(43)를 통과하며, 수직축과 내부 출력 샤프트(20)는 평행되게 배치(도 1에 도시된 수직축은 내부 출력 샤프트(20)의 좌측에 위치함)되고, 수직축은 제 2 기어(42) 및 제 3 기어(43)와 고정 연결되며, 제 2 기어(42)와 제 3 기어(43)는 수직축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고, 제 2 기어(42)는 수직축을 회전시켜 제 3 기어(43)를 회전시키며, 제 2 기어(42)와 제 3 기어(43)는 동축 동속으로 회전을 유지한다.
또한, 외부 출력 샤프트(30)에는 기어부(31)가 구비되고, 제 3 기어(43)와 외부 출력 샤프트(30)의 기어부(31)는 맞물려 구동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부(31)는 제 1 기어(41)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여 제 3 기어(43)와 맞물리고, 제 3 기어(43)는 기어부(31)를 회전시켜 외부 출력 샤프트(30)를 구동하여 회전시키며, 외부 출력 샤프트(30)와 내부 출력 샤프트(20) 사이에서 기어 세트의 연결 작용을 통해 모터(10) 하나의 구동 작용으로 내부 출력 샤프트(20)와 외부 출력 샤프트(30)의 차동 전달이 실현될 수 있어, 내부 출력 샤프트(20)와 외부 출력 샤프트(30)가 동일한 속도로 구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해당 차동 장치(100)를 기계 전체(예를 들어, 공기 정화 장치(1000))에 적용하면, 에너지 소모를 절감하고 최적의 작업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선택적 예시에 따르면, 차동 장치(100)는 케이싱(50)을 포함하고, 케이싱(50) 내부에 수용 캐비티(50a)가 한정되며, 전달 부재는 수용 캐비티(50a) 내에 위치하는바, 예를 들면
기어 세트는 수용 캐비티(50a) 내에 위치하고 케이싱(50)은 전달 부재에 대한 보호작용을 하며, 내부 출력 샤프트(2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수용 캐비티(50a)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연장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출력 샤프트(20)의 상단은 모터(10)의 모터 샤프트(11)에 연결되며, 내부 출력 샤프트(20)의 하단은 케이싱(50)을 관통하여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응한 회전 부재와 연결된다.
본 출원의 다른 선택적인 예시에 따르면, 차동 장치(100)는 베어링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베어링 어셈블리는 내부 출력 샤프트(20)와 외부 출력 샤프트(30)에 배치되어 내부 출력 샤프트(20)와 외부 출력 샤프트(30)의 회전을 지지함으로써, 내부 출력 샤프트(20)와 외부 출력 샤프트(30)의 운동 과정에서의 마찰 계수를 감소시켜 회전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선택적 예시에 따르면, 베어링 어셈블리는 제 1 베어링(61) 및 제 2 베어링(62)을 포함하고, 기어부(31)의 모터(10)를 향하는 일측에는 수용홈이 구비된다. 즉, 기어부(31)의 상단에는 수용홈이 배치되어 제 1 베어링(61)이 내부 출력 샤프트(20)에 씌워지고, 제 1 베어링(61)은 수용홈 내에 결합되어 내부 출력 샤프트(20)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으며, 내부 출력 샤프트(20)가 회전할 때의 마찰 계수를 감소시키고 내부 출력 샤프트(20)의 회전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케이싱(50)의 내측 바닥벽에는 장착홈이 구비되고, 제 2 베어링(62)은 장착홈 내에 결합되며, 제 2 베어링(62)은 외부 출력 샤프트(30)에 씌워져 외부 출력 샤프트(30)의 회전을 지지함으로써 외부 출력 샤프트(30)가 회전할 때의 마찰 계수를 감소시키고 외부 출력 샤프트(30)의 회전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또 다른 선택적인 예시에 따르면, 차동 장치(100)는 모터 커버(63)를 더 포함하고, 모터 커버(63) 내부에 모터 캐비티가 한정되며, 모터(10)는 모터 캐비티 내에 위치하고, 제 1 기어(41)가 기어부(31)의 일단(즉, 제 1 기어(41)의 상단)에서 멀어져 축 방향을 따라 모터 캐비티로 연장되어, 제 1 기어(41)와 내부 출력 샤프트(20) 및 모터 샤프트(11)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며, 내부 출력 샤프트(20)가 제 1 기어(41)를 회전시키도록 보장함으로써 제 1 기어(41)와 내부 출력 샤프트(20) 사이의 연결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제 1 기어(41)는 기어 본체(411)와 샤프트 슬리브(412)를 포함하고, 샤프트 슬리브(412)와 기어 본체(411)는 동축으로 연결되며, 샤프트 슬리브(412)와 기어 본체(411)는 일체로 성형되고, 기어 본체(411)와 제 2 기어(42)는 맞물려 연결되며, 샤프트 슬리브(412)는 모터 캐비티 내부로 연장되어 모터 샤프트(11)에 연결되고, 샤프트 슬리브(412)와 모터 샤프트(11)는 동축 동속으로 회전하며, 샤프트 슬리브(412)는 모터 샤프트(11)에 씌워지고, 모터 샤프트(11)는 샤프트 슬리브(412) 및 기어 본체(411)를 구동하여 회전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제 2 기어(42)가 맞물려 회전되도록 한다. 이로써, 제 1 기어(41)와 모터 샤프트(11) 및 내부 출력 샤프트(20)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차동 장치(100)는 밀폐링을 포함하고, 밀폐링은 외부 출력 샤프트(30)와 케이싱(50) 사이에 연결되며, 밀폐링은 제 1 기어(41)와 케이싱(50) 사이에 연결되어 외부 출력 샤프트(30)와 케이싱(50) 사이, 제 1 기어(41)와 케이싱(50) 사이의 긴밀한 연결을 구현하여 케이싱(50) 내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고, 외부 출력 샤프트(30)와 케이싱(50) 사이, 제 1 기어(41)와 케이싱(5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케이싱(50) 내부에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시스템 방수를 구현하고 전달부재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 2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1000)는 하우징, 회전 디스크(70), 회전 드럼(80), 물 분배기 및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차동 장치(100)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공기 흡입구와 공기 배출구를 구비하고, 회전 캐비티를 한정하며, 회전 캐비티는 공기 흡입구 및 공기 배출구와 연통되며, 회전 디스크(70)는 회전 가능하게 회전 캐비티 내에 배치되고, 회전 드럼(80)은 회전 가능하게 회전 캐비티 내에 배치되며, 회전 드럼(80)은 회전 디스크(70)의 상류에 위치하는바, 회전 디스크(70)의 상류는 도 1에서 기류를 따라 아래서 위로 향하는 방향에서 회전 디스크(70) 아래의 영역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드럼(80)은 회전 디스크(70)의 하부에 위치한다.
회전 캐비티의 바닥부에는 물 저장 공간이 한정되며, 물 분배기는 회전 캐비티 바닥부의 물을 위쪽으로 흐르게 가이드할 수 있으며, 물 분배기의 상단을 통해 회전 드럼(80) 내부를 향해 물을 분배할 수 있고, 공기 흡입구는 하우징의 측벽에 위치하며, 공기 흡입구는 정화 어셈블리의 아래에 위치하며, 물 분배기는 회전 드럼(80) 내부를 향하여 물을 분배한다. 수액이 회전 드럼(80) 내에 분사된 후, 고속 회전하는 회전 드럼(80)은 수액을 미세하게 작은 액체 방울로 파쇄하며, 원심력의 작용하에 작은 액체 방울은 회전 캐비티의 내벽으로 던져짐과 동시에 기류 중의 불순물 입자를 포획할 수 있다. 먼지를 포획한 액체 방울 중 일부는 회전 캐비티의 내벽에 던져지고, 회전 디스크(70)에 의해 포획된 기류중의 액체 방울도 회전 캐비티의 내벽에 던져지며, 물방울은 회전 캐비티의 내벽에 축적되어 아래로 미끄러져 내린다.
또한, 차동 장치(100)는 회전 디스크(70)의 하류에 배치된다. 즉, 회전 디스크(70)의 하류는 도 1에서 기류를 따라 아래로부터 위로의 방향에서 회전 디스크(70) 상측의 영역을 의미하며, 도 1에 도시된 차동 장치(100)는 회전 디스크(70)의 상측에 위치한다. 또한, 차동 장치(100)의 내부 출력 샤프트(20)는 회전 디스크(70)와 회전 드럼(80) 중 하나에 연결되고, 차동 장치(100)의 외부 출력 샤프트(30)는 회전 디스크(70)와 회전 드럼(80)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내부 출력 샤프트(20)는 회전 드럼(80)에 연결되고, 외부 출력 샤프트(30)는 회전 디스크(70)에 연결되어, 회전 디스크(70)와 회전 드럼(80)이 다른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공기 정화 장치의 회전 디스크와 회전 드럼이 일체로 구동되고 동기 회전됨에 비해, 최적의 정화 성능을 구현하고 에너지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디스크(70)는 다단으로써, 회전 드럼(80)은 다단 회전 디스크(70)의 상류 측에 위치하며, 다단 회전 디스크(70)에서 서로 인접된 2개의 회전 디스크(70) 사이에는 각각 스페이서(71)가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디스크(70)는 2단으로써, 2개의 회전 디스크(70) 사이에는 스페이서(71)가 연결되고, 스페이서(71)의 외주벽은 원통면이며, 즉 회전 디스크(70)의 외주 벽이 폐쇄된 벽면으로 형성되고, 스페이서(71)의 내부는 스페이서(71)의 외부와 연통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71)는 밀폐되고 수밀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71)와 하우징의 측벽은 이격되게 배치되어, 공기는 스페이서(71)와 하우징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페이서(71)는 제 1 단 회전 디스크(70)의 하류에 위치하며, 제 1 단 회전 디스크(70), 스페이서(71) 및 제 2 단 회전 디스크(70)는 동기적으로 회전하며, 스페이서(71)와 하우징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이격 공간은 공기가 통과하기에 적합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 1 단 회전 디스크(70)에 의해 정화된 공기는 이격 공간을 통과하여 고속 회전하는 스페이서(71)를 통해 이격 공간을 지나가는 공기의 원심 운동을 강화하여, 공기 중 유입된 물방울이 하우징의 내벽면에 던져지기 유리하게 되며, 기체와 액체의 분리가 용이하고 정화 효과가 향상된다.
예를 들면, 차동 장치(100)의 내부 출력 샤프트(20)와 회전 드럼(80)을 연결함으로써, 외부 출력 샤프트(30)와 다단 회전 디스크(70)가 연결되고, 내부 출력 샤프트(20)와 외부 출력 샤프트(30)의 차동 회전을 통해, 회전 드럼(80)과 다단 회전 디스크(70)가 상이한 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구현하여, 회전 드럼(80)과 다단 회전 디스크(70) 사이의 양호한 결합 상태를 달성하고 공기 정화 장치(1000)의 최적의 정화 성능을 구현하고 에너지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다단"은 2단 또는 2단 이상을 의미한다.
본 출원 실시예의 공기 정화 장치(1000)에 따르면, 외부 출력 샤프트(30)가 전달 부재를 통해 내부 출력 샤프트(20)와 연결됨으로써, 외부 출력 샤프트(30)와 내부 출력 샤프트(20)의 회전 속도가 다르게 되어, 외부 출력 샤프트(30)와 내부 출력 샤프트(20)의 차동 회전을 구현하고, 상응한 회전 부재를 구동하여 상이한 속도로 회전시켜 공기 정화 장치(1000)의 성능을 최대한 발휘함으로써, 공기 정화 장치(1000)의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필터의 정기 교체 횟수가 매우 적고 심지어 교체하지 않아도 되며,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유지 보수 비용을 줄이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일부 선택적 예시에서, 공기 정화 장치(1000)는 제 1 커넥터(81)를 포함하고, 내부 출력 샤프트(20)는 제 1 커넥터(81)를 통해 회전 드럼(80)에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회전 드럼(80)과 내부 출력 샤프트(20)의 동기식 회전을 유지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 1 커넥터(81)는 제 1 연결 블록(811)과 제 1 돌출부(812)를 포함하고, 제 1 연결 블록(811)은 제 1 관통홀을 구비하며, 내부 출력 샤프트(20)는 제 1 연결 블록을 통과하고 제 1 커넥터(81)의 하측 표면을 지나 하측으로 연장되며, 제 1 돌출부(812)는 제 1 연결 블록(811)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 1 돌출부(812)가 내부 출력 샤프트(20)를 둘러싸는 방향에서 내부 출력 샤프트(20)와 회전 드럼(80) 사이를 채우게 되며, 제 1 커넥터(81)가 내부 출력 샤프트(20) 및 회전 드럼(80) 사이의 접촉면적을 각각 증가시켜, 내부 출력 샤프트(20)와 회전 드럼(80) 사이의 연결이 안정적이고 항상 동기 회전을 유지할 수 있다.
일부 선택적인 예시에서, 공기 정화 장치(1000)는 제 2 커넥터를 포함하고, 외부 출력 샤프트(30)는 제 2 커넥터를 통해 회전 디스크(70)에 고정 연결되어 회전 디스크(70)와 외부 출력 샤프트(30)가 동기 회전할 수 있다. 즉, 회전 디스크(70)와 외부 출력 샤프트(30)는 동일한 속도를 유지한다.
또한, 제 2 커넥터는 제 2 연결 블록(711)과 제 2 돌출부(712)를 포함하고, 제 2 연결 블록(711)은 제 2 관통홀을 가지며, 외부 출력 샤프트(30)의 하단에는 결합부(32)가 형성되고, 제 2 연결 블록(711)의 바닥부에는 상응한 오목홈이 형성되며, 외부 출력 샤프트(30)는 제 2 관통홀을 통과하고, 결합부(32)는 오목홈 내에 결합되어 외부 출력 샤프트(30)와 제 2 연결 블록(711)이 확실하게 결합되도록 하며, 제 2 돌출부(712)는 제 2 연결 블록(711)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 2 돌출부(712)가 외부 출력 샤프트(30)를 둘러싸는 방향에서 외부 출력 샤프트(30)와 회전 디스크(70) 사이에 채워지며, 제 2 돌출부(712)는 회전 디스크(70)의 상측 표면을 지나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제 2 커넥터와 외부 출력 샤프트(30) 및 회전 디스크(70) 사이의 접촉 면적을 각각 증가시켜, 외부 출력 샤프트(30)와 회전 디스크(70)가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며, 양자는 항상 동기 회전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정화 장치(1000)는 제 3 베어링(90)을 더 포함하고, 제 3 베어링(9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커넥터가 모터(10)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에 위치하며, 제 3 베어링(90)은 제 2 커넥터의 하단에 배치된다. 제 3 베어링(90)은 내부 출력 샤프트(20)에 씌워져, 내부 출력 샤프트(20)의 회전을 지지하고, 내부 출력 샤프트(20)가 회전할 때의 마찰 계수를 더욱 감소시키며, 내부 출력 샤프트(20)의 회전 정밀도를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제 3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1000)와 여과 장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필터 장치는 공기 정화 장치(1000)의 상방에 위치하여, 공기 중에 남아있는 미립자를 더욱 정화한다.
본 출원 실시예의 공기 청정기에 따르면, 외부 출력 샤프트(30)는 전달 부재를 통해 내부 출력 샤프트(20)와 연결되어 외부 출력 샤프트(30)와 내부 출력 샤프트(20)의 회전 속도가 상이하게 됨으로써, 외부 출력 샤프트(30)와 내부 출력 샤프트(20)의 차동 회전을 구현하며, 상응한 회전 부재를 상이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동시켜 공기 정화 장치(1000)의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고 공기청정기의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정화 장치에 비해, 본 출원 실시예의 공기 청정기는 먼저 물을 사용하여 공기를 정화하기 때문에, 소위 수세 정화는 본 출원 실시예의 공기 청정기에서 수액 포집, 공기 중의 오염 물질 흡착에 의해 기액 분리를 구현하는 정화 방법을 말하며, 그 다음 필터와 같은 여과 장치를 통해 수세 정화된 공기를 추가로 정화한다. 예를 들면, 공기중의 잔여 미립자를 여과할 수 있어, 공기 정화의 청정도를 보장하고 여과 장치를 정기적으로 교체하는 횟수를 줄이며, 심지어 필터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정기적으로 물을 교체하기만 하면 되기에 매우 편리하고, 추후의 교체, 유지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어 좋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설명에서, 용어 "중앙", "상", "하", "좌", "우", "수직", "수평", "위", "아래", "내", "외", "축 방향", "반경 방향", "원주 방향" 등으로 표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 표시된 방향 또는 위치 관계를 기반으로 하며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지, 언급된 장치 또는 요소가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하고, 특정 방향으로 구성 및 작동되어야 함을 나타내거나 암시하지 않기에, 본 출원에 대한 제한으로 이해할 수 없다.
본 출원 실시예에 따른 차동 장치(100), 공기 정화 장치(1000) 및 공기 청정기의 다른 구성 및 동작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참조 용어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적인 실시예", "예시", "특정 예시" 또는 "일부 예시" 등 표현은 해당 실시예 또는 예시와 결합되어 설명된 특정된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실시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의 개략적 표현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설명된 특정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은 임의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합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원리 및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 이들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수정, 대체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한정된다.
1000: 공기 정화 장치
100: 차동 장치
10: 모터 11: 모터 샤프트
20: 내부 출력 샤프트
30: 외부 출력 샤프트
31: 기어부 32: 결합부
41: 제 1 기어 411: 기어 본체
412: 샤프트 슬리브 42: 제 2 기어
43: 제 3 기어 50: 케이싱
50a: 수용 캐비티 61: 제 1 베어링
62: 제 2 베어링 63: 모터 커버
70: 회전 디스크 711: 제 2 연결 블록
712: 제 2 돌출부71: 스페이서
80: 회전 드럼 81: 제 1 커넥터
811: 제 1 연결 블록, 812: 제 1 돌출부
90: 제 3 베어링

Claims (13)

  1. 차동 장치로서,
    모터 샤프트를 갖는 모터;
    상기 모터의 모터 샤프트에 연결되고 동축 및 동속으로 회전하는 내부 출력 샤프트;
    전달 부재를 통해 상기 내부 출력 샤프트에 연결되어 회전 속도가 상기 내부 출력 샤프트의 회전 속도와 다른 외부 출력 샤프트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출력 샤프트는 중앙홀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출력 샤프트에 씌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부재는 기어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 세트는,
    상기 내부 출력 샤프트에 씌워지고 상기 내부 출력 샤프트와 동기 회전하는 제 1 기어;
    상기 제 1 기어와 맞물려 구동되는 제 2 기어; 및
    상기 제 2 기어와 동축으로 배치되며 동기 회전하는 제 3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출력 샤프트에는 기어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 3 기어와 상기 외부 출력 샤프트의 기어부는 맞물려져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장치는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수용 캐비티를 한정하며, 상기 전달 부재는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 출력 샤프트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상기 수용 캐비티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출력 샤프트와 외부 출력 샤프트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 출력 샤프트와 외부 출력 샤프트를 지지하여 회전되게 하는 베어링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어셈블리는 제 1 베어링과 제 2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부의 상기 모터를 향하는 일측에는 수용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베어링은 상기 내부 출력 샤프트에 씌워지고 상기 수용홈 내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 출력 샤프트의 회전을 지지하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 바닥벽에는 장착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베어링은 상기 장착홈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베어링은 상기 외부 출력 샤프트의 회전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장치는 모터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 커버는 모터 캐비티를 한정하고, 상기 모터는 모터 캐비티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기어의 상기 기어부로부터 멀어진 일단은 축 방향을 따라 상기 모터 캐비티 내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어는 기어 본체와 샤프트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슬리브는 상기 기어 본체와 동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어 본체는 상기 제 2 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샤프트 슬리브는 상기 모터 내부로 진입하고 상기 모터 샤프트와 연결되어 동축 동속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 샤프트와 상기 케이싱 사이, 상기 제 1 기어와 상기 케이싱 사이에 연결되는 밀폐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장치.
  9. 공기 정화 장치로서,
    공기 유입구와 공기 배출구를 갖고, 상기 공기 유입구와 상기 공기 배출구의 회전 캐비티를 한정하는 하우징;
    회전 가능하게 상기 회전 캐비티 내에 배치되는 회전 디스크;
    상기 회전 캐비티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 디스크의 상류에 배치되는 회전 드럼;
    상기 회전 캐비티 바닥부의 물을 상측으로 흐르도록 가이드하여, 상기 회전 드럼을 향해 물을 분배하는 물 분배기; 및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동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차동 장치는 상기 회전 디스크의 하류에 배치되고, 상기 차동 장치의 내부 출력 샤프트는 상기 회전 디스크와 상기 회전 드럼 중 하나와 연결되며, 상기 차동 장치의 외부 출력 샤프트는 상기 회전 디스크와 상기 회전 드럼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회전 디스크와 상기 회전 드럼이 다른 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출력 샤프트와 상기 회전 드럼을 연결시키는 제 1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커넥터는 제 1 연결 블록과 제 1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연결 블록은 제 1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출력 샤프트는 상기 제 1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 1 커넥터의 하측 표면을 지나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 1 연결 블록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내부 출력 샤프트를 둘러싸는 방향에서 상기 내부 출력 샤프트와 상기 회전 드럼 사이를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출력 샤프트와 상기 회전 드럼을 연결시키는 제 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제 2 연결 블록과 제 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연결 블록은 제 2 관통홀을 구비하고 바닥부에는 오목홈이 설치되며, 상기 외부 출력 샤프트의 하단에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 출력 샤프트는 상기 제 2 관통홀을 통과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오목홈 내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제 2 연결 블록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 출력 샤프트를 둘러싸는 방향에서 상기 외부 출력 샤프트와 상기 회전 드럼 사이를 채우며,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회전 디스크의 상측 표면을 지나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의 상기 모터로부터 멀어지는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출력 샤프트에 씌워져 상기 내부 출력 샤프트의 회전을 지지하는 제 3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 장치.
  13.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기 정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KR1020217012472A 2018-12-14 2019-12-06 차동 장치,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청정기 KR202100626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536587.2A CN111318113B (zh) 2018-12-14 2018-12-14 差速装置、空气净化装置和空气净化器
CN201811536587.2 2018-12-14
PCT/CN2019/123716 WO2020119602A1 (zh) 2018-12-14 2019-12-06 差速装置、空气净化装置和空气净化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688A true KR20210062688A (ko) 2021-05-31

Family

ID=71077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472A KR20210062688A (ko) 2018-12-14 2019-12-06 차동 장치,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10388891A1 (ko)
EP (1) EP3855047A1 (ko)
KR (1) KR20210062688A (ko)
CN (1) CN111318113B (ko)
AU (1) AU2019397288A1 (ko)
BR (1) BR112021008722A2 (ko)
CA (1) CA3116565A1 (ko)
WO (1) WO20201196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35357B (zh) * 2022-05-27 2024-01-23 大庆蓝星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含油泥砂高效分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4084A (en) * 1968-09-16 1970-12-01 Lawrence Macrow Drum for intimately contacting gas and liquid
US3538657A (en) * 1968-12-26 1970-11-10 Lawrence Macrow Gas-liquid contact apparatus
US3792568A (en) * 1972-08-15 1974-02-19 Jmj Ind Inc Air scrubber
US4397794A (en) * 1980-12-11 1983-08-09 Pilo Claes W Rotary gas washers
DE3703759C2 (de) * 1986-02-27 1996-07-25 Volkswagen Ag Antriebsanordnung
SE505993C2 (sv) * 1994-06-29 1997-10-27 Volvo Ab Drivaggregat för ett motorfordon
US6217637B1 (en) * 1999-03-10 2001-04-17 Jerry L. Toney Multiple stage high efficiency rotary filter system
JP2002119844A (ja) * 2000-10-13 2002-04-23 Matsushita Seiko Co Ltd 負イオン発生装置
CN2516753Y (zh) * 2001-12-10 2002-10-16 高巍 一种钻井液离心机差速器
EP1827653A1 (en) * 2004-11-08 2007-09-05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Wet type air cleaner
US7886634B2 (en) * 2007-09-12 2011-02-15 Walters Manufacturing, Inc. Automatic transmission arrangement for a motorcycle
CN101259355B (zh) * 2008-04-24 2010-06-09 郭峰 湿式除尘风机
CN102138543A (zh) * 2011-04-20 2011-08-03 佛山市顺德区金顺达机器有限公司 增氧机
CN105297344B (zh) * 2014-07-31 2019-06-2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减速离合器及洗衣机
CN104436939B (zh) * 2014-11-18 2017-10-20 赵龙 甩液装置
CN105833638B (zh) * 2015-01-08 2018-06-22 邹岳明 气体净化器及其工作方法
CN105716154B (zh) * 2015-07-01 2018-09-14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移动式空气净化装置
CN105145469A (zh) * 2015-09-21 2015-12-16 金湖县杰达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曝气涌浪一体双速增氧机
CN205248975U (zh) * 2015-12-16 2016-05-18 深圳市正品元电子有限公司 一种同轴心双轴双速电机
CN107197814B (zh) * 2016-03-17 2020-06-16 浙江富地机械有限公司 一种扬水涌浪式增氧机
CN206549440U (zh) * 2017-03-07 2017-10-13 张西珍 气水分离式双压脱硫塔及环形移动式砖瓦窑
CN207975755U (zh) * 2018-02-06 2018-10-16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除甲醛空气净化器
CN110871007B (zh) * 2018-08-31 2020-10-02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用于空气净化的净化装置和具有其的空气净化器
CN110873375B (zh) * 2018-08-31 2020-11-24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用于空气净化的截获装置、净化装置及空气净化器
CN110871003A (zh) * 2018-08-31 2020-03-10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用于空气净化的净化装置和具有其的空气净化器
CN111318115B (zh) * 2018-12-14 2021-09-21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空气净化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18113B (zh) 2021-10-29
BR112021008722A2 (pt) 2021-08-03
WO2020119602A1 (zh) 2020-06-18
AU2019397288A1 (en) 2021-05-20
CA3116565A1 (en) 2020-06-18
US20210388891A1 (en) 2021-12-16
EP3855047A1 (en) 2021-07-28
CN111318113A (zh)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33197B2 (ja) 濾過および遠心分離によって流体を処理するためのアセンブリ
EP3795234A1 (en) Purification device for air purification and air purifier having same
CN101829448A (zh) 一种旋转式陶瓷净水器
WO2020042454A1 (zh) 用于空气净化的截获装置、净化装置及空气净化器
KR20210062688A (ko) 차동 장치, 공기 정화 장치 및 공기 청정기
CN107285499A (zh) 一种生活污水除油滤渣装置
EP3797852A1 (en) Purification device for purifying air, and air purifier having same
CN206375706U (zh) 一种自旋转叠片式超滤膜、mbr膜装置
WO2005097289A1 (en) Self cleaning fluid filter
CN220159518U (zh) 一种自清洁空气过滤器
CN207076211U (zh) 一种便于清理的y型过滤器
CN204745808U (zh) 自洁净水器
CN214654388U (zh) 一种用于地下水污泥过滤设备
CN213231884U (zh) 一种使液体物料快速除去杂质的过滤机
CN216038925U (zh) 一种聚丙烯和压缩活性炭复合净水滤芯
CN212594322U (zh) 自清式过滤器
CN214260994U (zh) 一种全自动多介质中高速过滤器用滤料捕捉器
CN212142043U (zh) 可连续脱除工业气体中粉尘及油污的净化装置
CN217594221U (zh) 一种氧化钙生产用高效除尘装置
CN208757067U (zh) 一种有效减轻堵塞的水处理用自清洗过滤器
CN213012233U (zh) 一种用于净水器中的过滤芯
CN203002080U (zh) 污水过滤器
CN214913892U (zh) 液体净化装置
CN210751855U (zh) 一种可净化烟气的电站锅炉用除尘设备
CN210934279U (zh) 一种粉体过筛除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