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1912A - 운동 관련 정보를 트래킹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운동 관련 정보를 트래킹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1912A
KR20210061912A KR1020200050643A KR20200050643A KR20210061912A KR 20210061912 A KR20210061912 A KR 20210061912A KR 1020200050643 A KR1020200050643 A KR 1020200050643A KR 20200050643 A KR20200050643 A KR 20200050643A KR 20210061912 A KR20210061912 A KR 20210061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agnetic
attached
guide member
tra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규
김소정
홍성진
강민기
유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몰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CN202010152018.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2825270A/zh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몰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몰래
Priority to CN202010875864.3A priority patent/CN112823824A/zh
Priority to CN202010864374.3A priority patent/CN112823823A/zh
Priority to KR1020200109931A priority patent/KR20210061920A/ko
Priority to KR1020200109930A priority patent/KR20210061919A/ko
Publication of KR20210061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9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6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 A63B21/0628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for vertical array of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63B2024/0012Comparing movements or motion sequences with a registered refere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63B2024/0071Distinction between different activities, movements, or kind of sports perform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63B2024/0093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the load of the exercise apparatus being controlled by performance parameters, e.g. distance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A63B2220/44Angular accel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63B2225/54Transponders, e.g. RF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Toy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킹 시스템은, 핀홀이 형성되어 있는 웨이트 판을 복수 개 포함하는 웨이트 리프팅 머신에 대한 운동 관련 정보를 트래킹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트래커; 및 상기 복수 개의 웨이트 판 각각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트래커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핀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핀홀의 일부와 중첩된다.

Description

운동 관련 정보를 트래킹하는 시스템{System for tracking exercise information}
본 명세서는 웨이트 리프팅 머신에 대한 운동 관련 정보를 트래킹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운동과 IT기술을 결합한 피트니스 테크 시장은 전세계적 성장 추세이다.
예를 들어, 달리기(Running)나 싸이클링(Cycling)과 같은 유산소 운동의 경우, 스마트 폰이나 스마트 워치를 이용하여 이동 경로, 이동 속도, 운동 시간 등 운동 내역을 자동으로 트래킹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양한 개인별 맞춤형 피트니스가 제공된다.
하지만, 웨이트 트레이닝(Weight Training)의 경우, 그 운동 내역을 자동으로 트래킹할 수 있는 시스템이나 서비스가 없다. 웨이트 트레이닝의 경우, 어떤 운동 기구로, 어떤 신체 부위를 운동 했고, 몇 kg의 중량으로, 몇 번 반복 운동했으며, 몇 세트를 운동했는지 등의 운동 내역이 중요한 요소가 되는데, 종래의 웨이트 트레이닝에 대한 시스템이나 서비스 중에는 이러한 요소들을 자동으로 트래킹할 수 있는 것이 없다(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66432호 참조)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트래킹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배경 기술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웨이트 리프팅 머신 및 이에 사용되는 무게 설정 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웨이트 리프팅 머신(70)은 사용자가 소정 무게를 가지는 웨이트 판(22)을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림으로써 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기구이다.
웨이트 리프팅 머신(70)에는 웨이트 판(22)이 복수 개 중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각 웨이트 판(22)은 소정 무게(예를 들어, 5kg)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각 웨이트 판이 동일한 무게를 가지거나 서로 다른 무게를 가질 수 있다. 각 웨이트 판(22)에는 무게 표시 스티커(33, 34)가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첩된 웨이트 판 중에서 최상부의 웨이트 판(20)에는 5kg가 기재된 무게 표시 스티커(33)가 부착될 수 있고, 바로 아래의 웨이트 판(22)에는 웨이트 판 2개의 무게인 10kg가 기재된 무게 표시 스티커(34)가 부착될 수 있다. 즉, 어느 웨이트 판에는 가장 위부터의 누적 무게가 기재된 무게 표시 스티커가 부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무게 설정 핀(weight selector pin)(15)을 이용하여 자신이 들어올리길 원하는 웨이트 판(20, 22)의 개수 또는 웨이트 스택(weight stack)(30)의 무게를 설정할 수 있다. 웨이트 스택(30)은 무게 설정 핀(15)에 의해 설정되는 소정 개수의 웨이트 판의 덩어리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웨이트 판(20, 22) 중에서 상하로 이웃하는 웨이트 판 사이에 무게 설정 핀(15)을 삽입함으로써 자신이 들어올리길 원하는 웨이트 판(20, 22)의 개수 또는 웨이트 스택의 무게를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웨이트 판에 형성된 핀홀에 무게 설정 핀을 삽입함으로써 사용자가 들어올리길 원하는 웨이트 판의 개수 또는 웨이트 스택의 무게를 설정할 수 있다.
웨이트 스택(30)의 무게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무게 설정 핀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무게 설정 핀(15)은 헤드 및 핀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헤드부와 핀부의 형태는 여러 가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 설정 핀(15)은 하나의 봉형상의 핀과 핀의 단분에 위치한 헤드부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 설정 핀(35)은 납작한 형상의 핀이 두개가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나의 봉형상을 가지는 무게 설정 핀(15)은 웨이트 판에 형성된 핀홀에 삽입됨으로써 웨이트 스택의 무게를 설정할 수 있고, 납작한 형상의 핀이 두개가 있는 무게 설정 핀(15)은 상하로 이웃하는 웨이트 판(20, 22)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웨이트 스택(30)의 무게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웨이트 리프팅 머신에 대한 운동 관련 정보를 트래킹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킹 시스템은 핀홀이 형성되어 있는 웨이트 판을 복수 개 포함하는 웨이트 리프팅 머신에 대한 운동 관련 정보를 트래킹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트래커; 및 상기 복수 개의 웨이트 판 각각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트래커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핀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핀홀의 일부와 중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래커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센서 모듈, 통신 모듈,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상기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핀을 삽입하면,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감지된 감지값을 수신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감지값 또는 상기 감지값으로부터 생성되는 운동 관련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웨이트 판 각각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자력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모듈은 복수 개의 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핀을 삽입하면, 상기 복수 개의 홀 센서로부터 감지된 자력값을 수신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자력값 또는 상기 자력값으로부터 생성되는 운동 관련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자력 부재가 복수 개 부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자력 부재가 부착된 웨이트 판에 형성된 핀홀과 상기 부착된 복수 개의 자력 부재는 동일 선상에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홀 센서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핀과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자력 부재가 복수 개 부착되며, 상기 부착된 복수 개의 자력 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자력 부재가 부착된 웨이트 판에 형성된 핀홀을 중심으로 대칭 위치에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핀이 상기 핀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복수 개의 홀 센서와 상기 핀이 삽입된 웨이트 판에 부착된 복수 개의 자력 부재가 중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자력 부재가 배치될 수 있는 자력 부재 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력 부재는 상기 자력 부재 배치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와 함께 상기 웨이트 판에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력 부재 배치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웨이트 판과 부착되는 후면에 형성된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웃한 자력 부재 배치부에는 상기 자력 부재가 배치되거나 상기 이웃한 자력 부재 배치부 모두에 상기 자력 부재가 배치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웨이트 판에는 0 내지 n개의 자력 부재가 부착되고,상기 센서 모듈은 n개의 홀 센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자력값이 2 이상의 범위 중 어느 범위에 포함되는지 식별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운동 관련 정보는 웨이트 스택의 무게를 포함하고, 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자력값을 2 이상의 범위 중 어느 범위에 포함되는지 식별하여 상기 웨이트 스택의 무게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복수 개의 홀 센서에 의해 감지 가능한 자력 부재의 배열에 따른 웨이트 스택의 무게값 테이블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게값 테이블에서 감지된 자력 부재의 배열에 매칭되는 무게값을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모듈은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고,상기 프로세서는상기 사용자가 상기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핀을 삽입하고 운동을 시작하면,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감지된 가속도값을 수신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가속도값 또는 상기 가속도값으로부터 생성되는 운동 관련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속도 센서는 중력 가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중력 가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값 또는 상기 감지값으로부터 생성되는 운동 관련 정보를 보정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보정된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중력 가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트래커가 상기 핀홀에 꽃혀진 방향을 식별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래커의 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자력 부재의 배열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킹 시스템은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운동 관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웨이트 리프팅 머신 및 이에 사용되는 무게 설정 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킹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와 웨이트 판이 결합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트래커의 핀의 형상과 핀홀과 가이드 부재에 의해 형성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웨이트 판과 가이드 부재의 수직 방향의 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트래커가 웨이트 판에 꽂혀 있을 때, 트래커, 가이드 부재 및 웨이트 판의 평면도이다.
도 10a내지 도 10f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커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판에 부착된 자력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력값을 감지하는 홀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홀 센서와 자력 부재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가이드 부재에 형성된 자력 부재 배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 언급되는 기능을 고려하여 현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로 기재되었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다양한 다른 용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용어의 명칭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이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를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특히, 특허 청구 범위에서)에서 사용된 “상기” 및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는 단계들의 순서를 명백하게 지정하는 기재가 없다면, 기재된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기재된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개시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곳에 등장하는 "일부 실시예에서" 또는 "일 실시예에서" 등의 어구는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킹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찹조하면, 트래킹 시스템은 가이드 부재(100) 및 트래커(200)를 포함한다.
트래킹 시스템은 핀홀(320)이 형성되어 있는 웨이트 판(310)을 복수 개 포함하는 웨이트 리프팅 머신(300)에 대한 운동 관련 정보를 트래킹한다. 트래킹 시스템은 사용자가 웨이트 리프팅 머신(300)을 이용하는 동안 웨이트 스택의 무게, 운동 횟수, 운동 속도 또는 운동 강도 등의 운동 관련 정보를 트래킹한다.
트래커(200)는 웨이트 스택의 무게를 식별할 수 있다. 트래커(200)는 웨이트 판(310)에 삽입된다. 사용자는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 어느 하나의 웨이트 판(310)에 형성된 핀홀(320)에 트래커(200)의 핀(220)을 삽입한 후, 웨이트 스택을 들어올릴 수 있다. 웨이트 스택은 하나 이상의 웨이트 판을 나타내며, 사용자가 트래커(200)를 어느 웨이트 판(310)에 삽입하는지에 따라 웨이트 스택이 결정된다. 사용자가 트래커(200)를 웨이트 판(310)에 삽입하면, 트래킹 시스템은 트래커(200)가 몇 번째 웨이트 판(310)에 삽입되었는지를 식별하여, 사용자가 들어올릴 웨이트 스택의 무게를 식별할 수 있다.
트래커(200)는 웨이트 스택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트래커(200)의 핀(220)은 웨이트 판(310)의 핀홀(320)에 결합되므로, 트래커(200)와 웨이트 판(310)은 함께 움직인다. 따라서, 사용자가 웨이트 스택을 올리거나 내리면, 웨이트 스택과 함게 트래커(200)가 함께 올라가거나 내려간다. 트래커(200)는 내부에 센서 모듈을 포함하여, 센서 모듈은 트래커(20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가이드 부재(100)는 웨이트 리프팅 머신(300)의 웨이트 판(310)에 부착된다. 하나의 웨이트 판(310)에는 하나의 가이드 부재(100)가 부착된다. 다만, 경우에 따라, 가이드 부재(100)가 부착되지 않은 웨이트 판(310)이 존재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부재(100)에 자력 부재가 부착될 수 있고, 트래커(200)는 자력 부재의 자력값을 식별하여 웨이트 스택을 식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와 웨이트 판이 결합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웨이트 판(310)에 가이드 부재(100)가 결합되고, 가이드 부재(100)는 핀홀(320)의 일부와 중첩된다.
가이드 부재(100)는 웨이트 판(310)에 부착된다. 하나의 가이드 부재(100)는 하나의 웨이트 판(310)에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모든 웨이트 판(310)에 가이드 부재(100)가 부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일부 웨이트 판(310)에는 가이드 부재(100)가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위에 위치한 웨이트 판(310) 또는 가장 아래 위치한 웨이트 판(310) 중 하나는 가이드 부재(100)가 부착되지 않을 수 있다.
가이드 부재(100)는 핀홀(320)의 일부와 중첩된다. 가이드 부재(100)가 핀홀(320)의 일부와 중첩된다는 것은 핀홀(320)의 일부가 가이드 부재(100)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나타내거나, 삽입 가능한 핀홀(320)의 면적이 감소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100)가 핀홀(320)의 일부와 중첩된다는 것은 핀홀(320)에 삽입 가능한 핀(220)의 형태가 가이드 부재(100)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핀홀(320)과 가이드 부재(100)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핀홀(320)과 가이드 부재(100)는 원형, 타원, 직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부재(100)의 중심부는 직사각형으로 뚫린 형태일 수 있다. 가이드 부재(100)가 웨이트 판(310)에 부착되면, 원형인 핀홀(320)이 가이드 부재(100)와 중첩된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핀홀(320)의 상부와 하부의 일부가 중첩된다.
도 4는 트래커의 핀의 형상과 핀홀과 가이드 부재에 의해 형성된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핀홀(320)은 점선으로 표시되었고, 핀홀(320)에서 빗금으로 표시된 영역(330)은 핀홀(320)에서 핀홀(320)과 가이드 부재(100)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나타낸다. 점선으로 표시된 핀홀(320)에서 빗금으로 표시된 영역(330)을 제외한 영역은 핀홀(320)과 가이드 부재(100)가 중첩된 영역을 나타낸다.
트래커(200)는 하우징(210)과 핀(220)을 포함한다. 핀(220)은 하우징(210)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하우징(210)은 센서 모듈, 프로세서, 메모리 및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한다.
하우징(210)은 트래커(20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운동 관련 정보를 저장, 생성 또는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트래커(200)의 핀(220)은 핀홀(320)에서 가이드 부재(100)와 중첩되는 영역 외 영역(330)에 삽입된다. 핀홀(320)에서 가이드 부재(100)와 중첩되는 영역은 가이드 부재(100)에 의해 가려져서 핀(220)이 삽입될 수 없다.
트래커(200)의 핀(220)은 핀홀(320)에서 가이드 부재(100)와 중첩되는 영역 외 영역(330)과 동일한 단면을 갖는다. 다시 말해서, 핀홀(320)과 가이드 부재(100)에 의해 형성된 빗금친 영역(330)과 트래커(200)의 핀(220)의 단면은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트래커(200)의 핀(220)의 형상과 빗금친 영역(330)이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는 것은 트래커(200)의 핀(220)의 단면과 빗금친 영역(330)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를 갖는 경우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핀홀(320)과 가이드 부재(100)가 중첩되면, 핀홀(320)에 결합되는 트래커(200)의 핀(220)의 형태가 제한된다. 핀홀(320)과 가이드 부재(100)가 중첩되지 않으면, 트래커(200)의 핀(220)은 핀홀(320)과 동일한 형태일 수 있지만, 핀홀(320)과 가이드 부재(100)가 중첩되면, 중첩되는 부분의 형태에 따라 트래커(200)의 핀(220)의 형태가 변경되어야 트래커(200)의 핀(220)이 핀홀(32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삽입 방향은 트래커(200)가 웨이트 판(310)에 결합하기 위해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트래커(200)의 핀(220)은 웨이트 판(310)의 핀홀(320)에 삽입된다. 트래커(200)는 웨이트 판(310)의 핀홀(320)을 향하여 이동을 하고, 트래커(200)가 이동하는 방향은 삽입 방향으로 표시되었다.
트래커(200)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트래커(200)의 축은 핀(220)의 장축 방향을 나타낸다. 회전각도는 트래커(200)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의 각도를 나타낸다.
가이드 부재(100)는 핀(220)이 삽입될 때, 핀(220)의 축방향 회전각도를 제한한다. 회전각도는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로 제한된다. 다시 말해서, 가이드 부재(100)는 트래커(200)의 핀(220)이 웨이트 판(310)의 핀홀(320)에 삽입될 때, 회전각도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각도의 범위가 -5도 내지 +5도로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임의의 회전각도로 트래커(200)를 웨이트 판(310)에 삽입하려고 할 때, 가이드 부재(100)에 의해 트래커(200)가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가이드 부재(100)는 설정된 회전각도 내에서 트래커(200)가 삽입될 때만 트래커(200)와 웨이트 판(310)이 겹합하게 한다.
가이드 부재(100)는 핀(220)이 핀홀(320)에 삽입된 후, 핀(220)이 회전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00)는 핀(220)이 핀홀(320)에 삽입된 후, 트래커(200)를 고정시켜 트래커(200)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예를 들어, 가이드 부재(100)와 핀홀(320)이 중첩되는 부분이 직선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래커(200)의 핀(220)의 단면도 직선 구간을 포함하여, 트래커(200)가 핀홀(320)에 삽입된 후 트래커(20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웨이트 판과 가이드 부재의 수직방향의 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웨이트 판(310)에 가이드 부재(100)가 부착되었을 때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웨이트 판(310)에 가이드 부재(100)가 부착되었을 때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3개의 웨이트 판(310)에 각각 가이드 부재(100)가 부착된 예를 도시한다. 웨이트 판(310)의 수직방향의 폭은 h1으로 표시되었고, 가이드 부재(100)의 수직방향의 폭은 h2로 표기되었다.
가이드 부재(100)의 수직방향의 수직방향의 폭(h2)은 가이드 부재(100)가 부착된 웨이트 판(310)의 수직방향의 수직방향의 폭(h1)과 동일하다. 가이드 부재(100)의 수직방향의 폭(h2)과 웨이트 판(h2)의 수직방향의 폭이 동일하면, 가이드 부재(100)의 일면이 이웃한 가이드 부재(100)의 대향면과 접촉한다.
2개의 면이 접촉한다는 것은 2개의 면이 완전이 붙어 있는 경우와 2개의 면 사이에 미세틈이 존재하여 살짝 떨어져 있는 정도를 포함한다. 가이드 부재(100)의 위치가 고정되는 효과를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2개의 가이드 부재(100)의 대향면들 사이에는 미세틈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00)의 위치가 고정된다는 것은 가이드 부재(100)의 위치가 변동이 없는 것과 위치의 변동이 제한된 범위 내인 경우를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1 내지 제3 웨이트 판(301, 302, 303)에는 제1 내지 제3 가이드 부재(101, 102, 103)이 부착된다. 이때, 제1 가이드 부재(101)의 아랫면은 제2 가이드 부재(102)의 윗면과 접촉한다. 제2 가이드 부재(102)의 아랫면은 제3 가이드 부재(103)의 윗면과 접촉한다.
2 이상의 이웃한 가이드 부재(100)가 서로 접촉함으로써, 외부의 힘에 의한 가이드 부재(100)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10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부재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가이드 부재(100)에서 핀홀(320)의 주변 영역은 핀홀(320)을 향하여 경사진다. 다시 말해서, 가이드 부재(100)의 두께가 일부 영역에서 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핀홀(320)의 주변 영역 외 영역에서 가이드 부재(100)의 두께는 일정하지만, 핀홀(320)의 주변 영역에서 가이드 부재(100)의 두께는 줄어들수 있다.
가이드 부재(100)에서 경사진 영역은 사용자가 트래커(200)를 핀홀(320)에 결합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사용자가 핀홀(320)에 정확하게 트래커(200)의 핀을 꽂지 않더라도, 핀(220)은 경사진 영역을 통해 미끄러지며 핀홀(320)로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00)의 전면과 후면을 살펴보면, 가이드 부재(100)의 전면에서 뚫려 있는 영역(111)은 후면에서 뚫려 있는 영역(112)보다 넓다. 다시 말해서, 가이드 부재(100)에서 뚫려 있는 영역의 단면은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전면은 트래커와 접촉하는 부분이고, 후면은 웨이트 판(310)에 부착되는 부분이다.
일 예에서, 가이드 부재(100)에서 핀홀(320)의 주변 영역은 핀홀(320)과 가까운 영역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가이드 부재(100)에서 핀홀(320)의 주변 영역은 가이드 부재(100)와 핀홀(320)이 중첩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가이드 부재(100)에서 핀홀(320)의 주변 영역은 가이드 부재(100)에서 뚫려 있는 공간의 주변 영역일 수 있다.
도 9는 트래커가 웨이트 판에 꽂혀 있을 때, 트래커, 가이드 부재 및 웨이트 판의 평면도이다. 도 9는 트래커(200), 가이드 부재(100) 및 웨이트 판(310)을 위에서 내려다 본 도면이다.
트래커(200)는 가이드 부재(100)에 닿아 있고, 트래커(200)의 핀(220)은 핀홀(320)에 꽂혀 있다.
가이드 부재(100)는 핀홀(320)을 향하여 경사지고, 경사진 가이드 부재(100)는 사용자가 트래커(200)의 핀(220)을 핀홀(320)에 꽂기 용이하게 한다.
도 9에서 가이드 부재(100)의 경사진 면은 직선으로 도시되었으나, 경사진 면은 원, 타원, 곡선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도 10a내지 도 10f은 다양한 형태의 가이드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는 아랫쪽이 뚫려 있는 ㄷ자 형태의 가이드 부재(100)를 도시한다. 가이드 부재(100)와 핀홀(320)은 핀홀(320)의 윗면에서 중첩된다. 따라서, 정면에서 바라볼 때, 핀홀(320)이 반달 형태만 노출된다.
도 10b는 2개 부분으로 분리된 형태의 가이드 부재(100)를 도시한다. 가이드 부재(100)와 핀홀(320)은 핀홀(320)의 좌, 우측면에서 중첩된다. 따라서, 정면에서 바라볼 때, 핀홀(320)이 위 아래로 길쭉한 형태의 타원만 노출된다.
도 10c는 2개의 부분으로 분리된 형태의 가이드 부재(100)를 도시한다. 가이드 부재(100)와 핀홀(320)은 핀홀(320)의 상, 하측면에서 중첩된다. 따라서, 정면에서 바라볼 때, 핀홀(320)이 좌우로 길쭉한 형태의 타원만 노출된다.
도 10d는 중앙에 반달 모양의 구멍이 형성된 가이드 부재(100)를 도시한다. 도 10d의 경우, 핀홀(320)보다 가이드 부재(100)의 구멍이 더 작으므로, 핀홀(320)은 점선으로 표시되었다. 도 10d에서는 아랫쪽 방향으로 반달 모양을 형성하고 있는 가이드 부재(100)를 도시하였으나, 반달 모양은 위, 아래, 왼쪽, 오른쪽 방향을 향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00)의 구멍이 반달 모양이므로, 트래커(200)의 핀(220)도 반달 모양일 수 있다. 트래커(200)의 핀(220)이 핀홀(320)에 삽입될 때, 핀(220)이 가이드 부재(100)의 반달 모양의 구멍을 통과하도록 트래커(200)의 회전각도가 제한된다.
도 10e는 중앙에 삼각형 모양의 구멍이 형성된 가이드 부재(100)를 도시한다. 10e의 경우, 핀홀(320)보다 가이드 부재(100)의 구멍이 더 작으므로, 핀홀(320)은 점선으로 표시되었다.
가이드 부재(100)의 구멍이 삼각형 모양이므로, 트래커(200)의 핀(220)도 삼각형 모양일 수 있다. 트래커(200)의 핀(220)이 핀홀(320)에 삽입될 때, 핀(220)이 가이드 부재(100)의 삼각형 모양의 구멍을 통과하도록 트래커(200)의 회전각도가 제한된다.
도 10f는 중앙에 ㅗ자 모양의 구멍이 형성된 가이드 부재(100)를 도시한다. 10f의 경우, 핀홀(320)보다 가이드 부재(100)의 구멍이 더 작으므로, 핀홀(320)은 점선으로 표시되었다.
가이드 부재(100)의 구멍이 ㅗ자 모양이므로, 트래커(200)의 핀(220)도 ㅗ자 모양일 수 있다. 트래커(200)의 핀(220)이 핀홀(320)에 삽입될 때, 핀(220)이 가이드 부재(100)의 ㅗ자 모양의 구멍을 통과하도록 트래커(200)의 회전각도가 제한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래커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핀(220)은 하우징(210)에 고정된다. 핀(220)과 하우징(210)은 분리될 수 있다. 핀(220)은 웨이트 판(310)의 핀홀(320)에 삽입된다.
핀(220)은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핀홀(320) 또는 가이드 부재(100)의 형태에 따라 핀(220)의 형태가 결정된다.
하우징(210)은 센서 모듈(211), 프로세서(212), 통신 모듈(213) 및 메모리(214)를 포함한다.
센서 모듈(211)은 홀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211)은 감지값을 프로세서(212)로 전송한다. 감지값은 자력값, 가속도값 등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 가능한 값을 모두 포함한다.
홀 센서는 자력값을 센싱한다. 웨이트 판(310)에는 자력 부재가 부착될 수 있으며, 홀 센서는 웨이트 판(310)에 부착된 자력 부재로부터 자력값을 센싱한다. 홀 센서는 자력값을 프로세서(212)로 전송한다.
가속도 센서는 가속도값을 센싱한다. 트래커(200)는 핀홀(320)에 꽂힌 후, 사용자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는 트래커(200)가 이동 시 가속도값을 센싱한다. 가속도 센서는 가속도값을 프로세서(212)로 전송한다.
프로세서(212)는 통신 모듈(213)을 통해 감지값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거나, 감지값으로부터 생성되는 운동 관련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운동 관련 정보는 웨이트 스택의 무게 또는 트래커(200)의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일 수 있다.
프로세서(212)는 감지값을 이용하여 트래커(200)가 현재 꽂혀 있는 웨이트 판(310)을 식별할 수 있고, 감지값을 이용하여 웨이트 스택의 무게를 계산할 수 있다. 프로세서(212)는 식별된 웨이트 판(310) 또는 웨이트 스택의 무게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통신 모듈(213)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판에 부착된 자력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복수 개의 웨이트 판(311 내지 314)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자력 부재(400)가 복수 개 부착된다. 도 12에서는 3개의 웨이트 판(312, 313, 314)에 복수 개의 자력 부재(400)가 부착된 예를 도시한다. 제1 웨이트 판(311)에는 자력 부재(400)가 부착되지 않으며, 제2 웨이트 판(312)에는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2개의 자력 부재(400)가 부착되었다. 제3 웨이트 판(313)에는 오른쪽에 2개의 자력 부재(400)가 부착되었고, 제4 웨이트 판(314)에는 왼쪽에 2개의 자력 부재(400)가 부착되었다.
도 1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4개의 웨이트 판(313 내지 314)을 도시하고 있으나, 웨이트 판의 개수는 4개 이상일 수 있고, 자력 부재(400)도 도 12와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웨이트 판(311 내지 314) 각각에 복수 개의 자력 부재(400)가 부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웨이트 판(313 내지 314) 각각에 4개의 자력 부재(400)가 부착될 수 있다.
부착된 복수 개의 자력 부재(400)는 복수 개의 자력 부재(400)가 부착된 웨이트 판(312)에 형성된 핀홀(320)을 중심으로 대칭 위치에 부착된다. 제2 웨이트 판(312)에 부착된 4개의 자력 부재(400)는 핀홀(320)을 중심으로 왼쪽에 2개의 자력 부재(400)가 부착되고, 오른쪽에 2개의 자력 부재(400)가 부착되어, 핀홀(320)을 중심으로 4개의 자력 부재(400)가 대칭을 이룬다. 자력 부재(400)를 감지하기 위한 홀 센서도 트래커(200)의 핀(220)을 중심으로 대칭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트래커(200)가 거꾸로 핀홀(320)에 삽입되더라도 홀 센서와 자력 부재(400)는 중첩되고, 홀 센서는 자력값을 감지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자력 부재(400)가 부착된 웨이트 판(313 내지 314)에 형성된 핀홀(320)과 부착된 복수 개의 자력 부재(400)는 동일 선상에 부착된다. 일 예에서, 동일 선상에 부착된다는 것은 정면에서 웨이트 판(313 내지 314)를 보았을 때, 핀홀(320)의 중심의 높이와 자력 부재(400)의 중심의 높이가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력값을 감지하는 홀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복수 개의 홀 센서(230)는 하우징(210) 내부에 배치되고, 핀(220)과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트래커(200)가 거꾸로 핀홀(320)에 삽입되더라도 홀 센서와 자력 부재(400)는 중첩되고, 홀 센서(230)는 자력값을 감지할 수 있다.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는 것은 정면에서 트래커(200)를 보았을 때, 핀(220)의 중심의 높이와 홀 센서(230)의 중심의 높이가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212)는 사용자가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 어느 하나에 핀(220)을 삽입하면, 복수 개의 홀 센서(230)로부터 감지된 자력값을 수신하고, 통신 모듈(213)을 제어하여 자력값 또는 자력값으로부터 생성되는 운동 관련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일 예에서, 프로세서(212)는 감지된 자력값을 2 이상의 범위 중 어느 범위에 포함되는지 식별하여 극성의 배열을 결정하고, 극성의 배열에 따라 웨이트 스택의 무게를 결정하고, 결정된 웨이트 스택의 무게를 통신 모듈(213)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는 감지된 자력값이 N극인지 S극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2)는 자력값이 1~400이면 S극, 600~1024이면 N극으로 식별할 수 있다. 만약 자력값이 400~600이면, 프로세서(212)는 홀 센서(230)가 자력값을 다시 센싱하도로 홀 센서(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4개의 자력 부재(400)를 이용하면, 프로세서(212)는 2^4=16개의 웨이트 판(310)을 식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프로세서(212)는 감지된 자력값이 2 이상의 범위 중 어느 범위에 포함되는지 식별하여 중간값 또는 극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일 예에서, 프로세서(212)는 자력값이 1~380이면 S극으로 식별하고, 자력값이 380~450이면 극성이 없는 것으로 식별하고 X로 표시하고, 자력값이 450~1024이면 N극으로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2)가 자력값으로부터 생성하는 데이터를 표 1을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표 1은 극성에 따른 중간값과 웨이트 스택의 무게값을 나타내는 표이다.
중간값 극성의 배열 무게값(kg)
0 SSSS 5
1 SSSN 10
2 SSNS 15
3 SSNN 20
4 SNSS 25
5 SNSN 30
6 SNNS 35
7 SNNN 40
8 NSSS 45
9 NSSN 50
10 NSNS 55
11 NSNN 60
12 NNSS 65
13 NNSN 70
14 NNNS 75
15 NNNN 80
16 XXSS 85
17 XXSN 90
18 XXNS 95
19 XXNN 100
20 SSXX 105
21 SNXX 110
22 NSXX 115
23 NNXX 120
중간값은 극성의 시퀀스에 대응하는 숫자이고, 극성의 배열은 프로세서(212)가 자력값으로부터 결정한 극성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이다. 무게값은 극성의 배열에 대응하는 웨이트 스택의 무게를 나타낸다.
X는 자력 부재(40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기 때문에, 주변의 자력 부재(400)에 의해 홀 센서(230)가 잘못된 자력값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자력 부재(400)가 부착하지 않는 경우, 이웃한 위치에도 자력 부재(400)가 부착되지 않는다. 표 1에서 중간값 16 내지 23을 살펴보면, X는 1개만 단독으로 배열되지 않는다. 따라서 핀홀(320)을 중심으로 왼쪽의 극성이 모두 XX이거나, 오른쪽의 극성이 모두 XX이다.
프로세서(212)는 통신 모듈(213)을 제어하여 중간값, 자력값 또는 극성의 배열, 웨이트 스택의 무게값을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중간값, 자력값 또는 극성의 배열을 수신하면, 사용자가 사용하는 웨이트 리프팅 머신의 종류를 식별하고, 식별된 웨이트 리프팅 머신에 대한 웨이트 스택의 무게값 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현재 들어올리고 있는 웨이트 스택의 무게값을 결정한다.
웨이트 리프팅 머신의 종류에 따라 동일한 중간값 또는 극성의 배열이라고 하더라도 서로 다른 스택의 무게값과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트래커(200)는 웨이트 스택의 무게값을 직접 결정하지 않고, 트래커(200)가 삽입된 웨이트 판을 식별하여 외부 장치로 식별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메모리(214)는 복수 개의 홀 센서(230)에 의해 감지 가능한 자력 부재의 배열에 따른 웨이트 스택의 무게값 테이블을 저장한다. 메모리(214)는 표 1과 같이 웨이트 스택의 무게값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212)는 표 1을 이용하여 웨이트 스택의 무게값을 계산하고, 웨이트 스택의 무게값을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4는 홀 센서와 자력 부재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트래커(200)의 핀(220)이 핀홀(320)에 삽입되었을 때, 복수 개의 홀 센서(230)와 핀(220)이 삽입된 웨이트 판(310)에 부착된 복수 개의 자력 부재(400)가 중첩된다. 하나의 홀 센서(230)는 하나의 자력 부재(400)의 자력값을 감지하기 때문에, 도 14와 같이 4개의 자력 부재(400)의 자력값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4개의 홀 센서(230) 각각이 자력 부재(400) 각각에 중첩되어야 한다.
도 14는 가이드 부재(100)에 자력 부재(400)가 배치되고, 자력 부재(400)가 가이드 부재(100)와 함께 웨이트 판(310)에 부착된 예를 도시한다.
또 다른 예에서는 가이드 부재(100)없이 자력 부재(400)가 직접 웨이트 판(310)에 부착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00)없이 자력 부재(400)가 직접 웨이트 판(310)에 부착되는 경우, 자력 부재(400)가 돌출될 수 있으므로, 자력 부재(400)가 돌출되는 만큼 트래커(200)의 하우징(210)은 함몰될 수 있다.
하나의 웨이트 판에는 0 내지 n개의 자력 부재가 부착되고, 센서 모듈(211)은 n개의 홀 센서(23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홀 센서(230)의 수는 하나의 웨이트 판에 부착된 자력 부재의 최대 개수와 동일하다. 하나의 웨이트 판에는 0 내지 n개의 자력 부재(400)가 부착될 수 있지만, 트래커(200)는 어느 웨이트 판에 삽입될지 모르기 때문에, 자력 부재의 최대 개수와 동일한 수의 홀 센서(230)를 포함해야 한다.
센서 모듈(212)은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212)는 사용자가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 어느 하나에 핀(220)을 삽입하고 운동을 시작하면, 가속도 센서로부터 감지된 가속도값을 수신하고, 통신 모듈(213)을 제어하여 가속도값 또는 가속도값으로부터 생성되는 운동 관련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프로세서(212)는 가속도값으로부터 사용자의 운동 속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하고, 운동 속도로부터 트래커(200)의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는 중력 가속도를 감지하고, 프로세서(212)는 감지된 중력 가속도를 이용하여 감지값 또는 감지값으로부터 생성되는 운동 관련 정보를 보정한다. 프로세서(212)는 통신 모듈(213)을 제어하여 보정된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프로세서(212)는 트래커(200)의 방향을 이용하여 자력 부재의 배열(또는 극성의 배열)을 보정한다. 트래커(200)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웨이트 판과 결합할 수 있을 때, 프로세서(212)는 중력 가속도를 이용하여 트래커(200)가 어느 방향으로 웨이트 판과 결합하였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트래커(200)가 제1 방향으로 웨이트 판과 결합하였을 때, 자력 부재의 배열과 제2 방향으로 웨이트 판과 결합하였을 때, 자력 부재의 배열은 순서가 서로 반대이다. 예를 들어, 트래커(200)가 제1 방향으로 웨이트 판과 결합하였을 때, 자력 부재의 배열이 NNSS 라면, 제2 방향으로 웨이트 판과 결합하였을 때, 자력 부재의 배열은 SSNN이다. 따라서, 트래커(200)가 어느 방향으로 결합하느냐에 따라 자력 부재의 배열이 달라진다. 프로세서(212)는 중력 가속도를 감지하면, 트래커(200)가 어느 방향으로 웨이트 판에 꽂혀 있는지 식별할 수 있으므로, 트래커(200)의 방향에 따라 자력 부재(400)의 배열을 보정할 수 있다.
도 15는 가이드 부재에 형성된 자력 부재 배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가이드 부재(100)는 자력 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는 자력 부재 배치부(130)를 포함하고, 자력 부재(400)는 자력 부재 배치부(130)의 내부에 배치되고, 가이드 부재(100)와 함께 웨이트 판(310)에 부착된다. 자력 부재 배치부(130)가 가이드 부재(100)에 형성되면, 자력 부재(400)의 위치가 일정하게 고정된다. 다시 말해서, 웨이트 판(310)에 자력 부재(400)를 직접 부착하는 경우에는, 자력 부재(400)와 홀 센서(230)가 중첩되는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부착해야 한다. 하지만, 가이드 부재(100)에 자력 부재 배치부(130)가 존재하는 경우, 자력 부재 배치부(130)에 자력 부재(400)를 부착하면, 자력 부재(400)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다.
일 예에서, 자력 부재 배치부(130)는 가이드 부재(100)가 웨이트 판(310)과 부착되는 후면에 형성된 홈일 수 있다. 도 15에서는 가이드 부재(100)의 후면에 함몰된 원형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으나, 자력 부재 배치부(130)는 원형, 타원, 직사격형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홈 형태로 자력 부재 배치부(130)가 형성되는 경우, 가이드 부재(100)의 후면에서는 자력 부재 배치부(130)가 노출되지만, 가이드 부재(100)의 전면에서는 자력 부재 배치부(130)가 노출되지 않는다.
이웃한 자력 부재 배치부(130)에는 자력 부재(400)가 배치되거나 이웃한 자력 부재 배치부(130) 모두에 자력 부재(400)가 배치되지 않는다. 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웃한 자력 부재 배치부(130)는 자력이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자력 부재 배치부(130)에 자력 부재(400)가 배치되는 경우, 이웃한 자력 부재 배치부(130)에도 자력 부재(400)가 배치되어야 한다. 이웃한 자력 부재 배치부(130)는 핀홀(320)을 중심으로 한쪽 방향에 위치한 모든 자력 부재 배치부(130)를 나타낸다.
앞서 말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이고, 이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는 데 사용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는 변경 및 변형을 할 수 있고, 그러므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보호 범위 내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100: 가이드 부재
200: 트래커
300: 웨이트 리프팅 머신

Claims (18)

  1. 핀홀이 형성되어 있는 웨이트 판을 복수 개 포함하는 웨이트 리프팅 머신에 대한 운동 관련 정보를 트래킹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트래커; 및
    상기 복수 개의 웨이트 판 각각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트래커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핀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핀홀의 일부와 중첩되는 트래킹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커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센서 모듈, 통신 모듈,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상기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핀을 삽입하면,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감지된 감지값을 수신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감지값 또는 상기 감지값으로부터 생성되는 운동 관련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트래킹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웨이트 판 각각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자력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모듈은 복수 개의 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핀을 삽입하면, 상기 복수 개의 홀 센서로부터 감지된 자력값을 수신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자력값 또는 상기 자력값으로부터 생성되는 운동 관련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트래킹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자력 부재가 복수 개 부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자력 부재가 부착된 웨이트 판에 형성된 핀홀과 상기 부착된 복수 개의 자력 부재는 동일 선상에 부착되는 트래킹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홀 센서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핀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트래킹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자력 부재가 복수 개 부착되며,
    상기 부착된 복수 개의 자력 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자력 부재가 부착된 웨이트 판에 형성된 핀홀을 중심으로 대칭 위치에 부착되는 트래킹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핀이 상기 핀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복수 개의 홀 센서와 상기 핀이 삽입된 웨이트 판에 부착된 복수 개의 자력 부재가 중첩되는 트래킹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자력 부재가 배치될 수 있는 자력 부재 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력 부재는 상기 자력 부재 배치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와 함께 상기 웨이트 판에 부착되는 트래킹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 부재 배치부는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웨이트 판과 부착되는 후면에 형성된 홈인 트래킹 시스템.
  10. 제3항에 있어서,
    이웃한 자력 부재 배치부에는 상기 자력 부재가 배치되거나 상기 이웃한 자력 부재 배치부 모두에 상기 자력 부재가 배치되지 않는 트래킹 시스템.
  11. 제3항에 있어서,
    하나의 웨이트 판에는 0 내지 n개의 자력 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센서 모듈은 n개의 홀 센서를 포함하는 트래킹 시스템.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자력값이 2 이상의 범위 중 어느 범위에 포함되는지 식별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트래킹 시스템.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관련 정보는 웨이트 스택의 무게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자력값을 2 이상의 범위 중 어느 범위에 포함되는지 식별하여 상기 웨이트 스택의 무게를 결정하는 트래킹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복수 개의 홀 센서에 의해 감지 가능한 자력 부재의 배열에 따른 웨이트 스택의 무게값 테이블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무게값 테이블에서 감지된 자력 부재의 배열에 매칭되는 무게값을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트래킹 시스템.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복수 개의 웨이트 판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핀을 삽입하고 운동을 시작하면, 상기 가속도 센서로부터 감지된 가속도값을 수신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가속도값 또는 상기 가속도값으로부터 생성되는 운동 관련 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트래킹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는
    중력 가속도를 감지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중력 가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값 또는 상기 감지값으로부터 생성되는 운동 관련 정보를 보정하고,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보정된 정보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트래킹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중력 가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트래커가 상기 핀홀에 꽃혀진 방향을 식별하는 트래킹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트래커의 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자력 부재의 배열을 결정하는 트래킹 시스템.


KR1020200050643A 2019-01-30 2020-04-27 운동 관련 정보를 트래킹하는 시스템 KR2021006191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152018.9A CN112825270A (zh) 2019-11-20 2020-03-06 利用霍尔传感器的重量追踪装置及方法
CN202010875864.3A CN112823824A (zh) 2019-11-20 2020-08-25 追踪运动相关信息的系统
CN202010864374.3A CN112823823A (zh) 2019-11-20 2020-08-25 追踪运动相关信息的系统
KR1020200109931A KR20210061920A (ko) 2019-11-20 2020-08-31 운동 관련 정보를 트래킹하는 시스템
KR1020200109930A KR20210061919A (ko) 2019-11-20 2020-08-31 운동 관련 정보를 트래킹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11837 2019-01-30
KR20190011943 2019-01-30
KR1020190149966 2019-11-20
KR1020190149966A KR20200094623A (ko) 2019-01-30 2019-11-20 홀 센서를 이용한 무게 트래킹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912A true KR20210061912A (ko) 2021-05-28

Family

ID=72050026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966A KR20200094623A (ko) 2019-01-30 2019-11-20 홀 센서를 이용한 무게 트래킹 장치 및 방법
KR1020200050643A KR20210061912A (ko) 2019-01-30 2020-04-27 운동 관련 정보를 트래킹하는 시스템
KR1020200050637A KR20210061911A (ko) 2019-01-30 2020-04-27 운동 관련 정보를 트래킹하는 시스템
KR1020200127813A KR20200116890A (ko) 2019-01-30 2020-10-05 홀 센서를 이용한 무게 트래킹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966A KR20200094623A (ko) 2019-01-30 2019-11-20 홀 센서를 이용한 무게 트래킹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637A KR20210061911A (ko) 2019-01-30 2020-04-27 운동 관련 정보를 트래킹하는 시스템
KR1020200127813A KR20200116890A (ko) 2019-01-30 2020-10-05 홀 센서를 이용한 무게 트래킹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20009462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0825A (ko) * 2020-11-23 2022-05-31 이동하 자동 수평설정 기능을 갖는 스마트블록핀
KR102490681B1 (ko) * 2020-12-29 2023-01-20 이리오넷 주식회사 운동량측정이 가능한 개인형 스마트 블록핀
CN114191773B (zh) * 2021-12-29 2022-11-11 南京越度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健身设备用配重选择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6432A (ko) 2009-12-11 2011-06-17 김정호 무인 운동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890A (ko) 2020-10-13
KR20210061911A (ko) 2021-05-28
KR20200094623A (ko) 2020-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61912A (ko) 운동 관련 정보를 트래킹하는 시스템
US11235201B2 (en) Weight machine sensor
ES2787249T3 (es) Rastreador de ejercicios
EP018239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coring a dart game
US828220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and/or training near and far visual abilities
KR100671751B1 (ko) 퍼팅 연습기
US11449007B2 (en) Wearable device with bezel ring to enable motion in multiple degrees of freedom
EP3421106B1 (en) Exercise management device using hula hoop having device for measuring spinning direction and exercise amount
CN102809873B (zh) 自动对焦照相机及附带照相机的移动终端
KR20190099555A (ko) 웨이트 운동기구 및 운동 피드백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210061920A (ko) 운동 관련 정보를 트래킹하는 시스템
EP3370032A1 (en) A calibration method for a camera which monitors a target board
KR101963106B1 (ko) 회전각 검출 장치
CN109341537A (zh) 基于双目视觉的尺寸测量方法和装置
EP4205820A1 (en) Sensor module and weight exercis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200265746A1 (en) An exercise device including an optically readable code
WO2018093216A1 (ko) 운동 유형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2053578B1 (ko) 위치 트래킹 장치 및 방법
KR102564658B1 (ko)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용 센서 모듈
KR20170138687A (ko) 골프 클럽 종류를 자동적으로 인식하는 골프 스윙 분석기
KR20160136954A (ko) 사용자 맞춤형 트레이닝 장치 및 방법
CN108513629A (zh) 测试元件组的定位方法和测试元件组
KR20190099556A (ko) 웨이트 운동기구 및 운동 피드백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640905B1 (ko) 스마트 점프 로프
WO2017061005A1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