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1783A - 질병 검출용 직조물 및 이를 이용한 생리용품 - Google Patents

질병 검출용 직조물 및 이를 이용한 생리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1783A
KR20210061783A KR1020190149734A KR20190149734A KR20210061783A KR 20210061783 A KR20210061783 A KR 20210061783A KR 1020190149734 A KR1020190149734 A KR 1020190149734A KR 20190149734 A KR20190149734 A KR 20190149734A KR 20210061783 A KR20210061783 A KR 20210061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sheet
woven
endothelium
re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0084B1 (ko
Inventor
김유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로드
Priority to KR1020190149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084B1/ko
Publication of KR20210061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omprising an additive, e.g. lotion or odour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68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chemical or electrochemical methods, e.g. by polarographic means
    • A61B5/1477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chemical or electrochemical methods, e.g. by polarographic means non-inva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8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61F13/2002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use
    • A61F13/202Catamenial tamp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03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including means for analysis by an unskilled person
    • A61B2010/0006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including means for analysis by an unskilled person involving a colour cha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73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for diagnostic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 검출용 직조물은, 내피; 끝단이 상기 내피의 끝단과 결합된 외피; 상기 내피 및 외피의 사이에 위치하고, 시약이 물든 반응 실로 직조된 반응 시트; 및 상기 반응 시트와 접촉하고, 상기 내피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엮여, 접촉된 피검출물을 상기 반응 시트로 전이시키는 전이 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질병 검출용 직조물 및 이를 이용한 생리용품{WAVING MATERIAL FOR DETECTING OF SANITARY PA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질병 검출용 직조물 및 이를 이용한 생리용품에 관한 것으로, 시약이 물든 반응 실(reaction thread)들로 직조된 반응 시트를 포함하여, 피검출물과 시약이 반응하면 색이 변하는 질병 검출용 직조물 및 이를 이용한 생리용품에 관한 것이다.
생리대는 여자가 월경을 할 때, 헝겊 따위로 기저귀처럼 만들어 샅에 차는 것을 말하는데 옛날에는 무명으로 만든 천으로 생리대를 만들어 썼으나, 요즘에는 약국이나 슈퍼마켓에서 쉽게 살 수 있는 일회용 생리대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즉, 통상 대부분의 여성들이 생리시 팬티 내측에 부착하여 생리혈을 흡수하도록 천연소재의 압축솜과 고형물질 및 이를 포함하면서 흡수율의 보강 및 샘방지 기능을 갖는 부직포 표면으로 이루어져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패드타입의 생리대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생리대는 단순히 생리혈을 흡수할 뿐, 질병 인자를 검출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질병 인자를 검출할 수 있는 직조물 및 이를 이용한 생리용품을 통해서, 피검출물에 포함된 질병 인자들을 간편하게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1)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0482호: 이중패드를 구비한 면 생리대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시약이 물든 반응 실(reaction thread)들로 직조된 반응 시트를 포함하여, 전이 실(transfer thread)을 통해 전이된 피검출물과 시약이 반응하면 색이 변하는 질병 검출용 직조물 및 이를 이용한 생리용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 검출용 직조물은, 내피; 끝단이 상기 내피의 끝단과 결합된 외피; 상기 내피 및 외피의 사이에 위치하고, 시약이 물든 반응 실로 직조된 반응 시트; 및 상기 반응 시트와 접촉하고, 상기 내피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엮여, 접촉된 피검출물을 상기 반응 시트로 전이시키는 전이 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응 시트는, 상기 반응 실에 물든 시약과 상기 전이된 피검출물이 반응하는 경우, 색이 변할 수 있다.
상기 외피는, 상기 반응 시트의 색이 변한 경우, 상기 변한 반응 시트의 색으로 물들 수 있다.
상기 전이 실은, 상기 반응 실과 엮여 상기 반응 시트와 접촉되고, 상기 내피의 외면에 돌출되게 엮인 부분에서 상기 피검출물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반응 시트는, 복수 개의 반응 실들로 직조될 수 있다.
상기 반응 실들은, 상이한 질병을 검출하기 위하여 각각이 상이한 시약들로 물들 수 있다.
상기 반응 실들은, 각각에 물든 시약이 상기 피검출물과 반응하면, 서로 다른 색으로 물들 수 있다.
상기 내피와 반응 시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내피가 상기 반응 실에 물든 시약으로 물드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염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이 실은, 상기 반응 시트와 접촉하고, 상기 방염 시트를 관통하여 상기 내피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엮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질병 검출용 직조물을 이용한 생리용품은 질병 검출용 직조물로 형성되며, 생리혈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패드와, 상기 흡수패드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착용하는 속옷의 내면에 부착되거나 상기 사용자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구비한다.
상기 전이 실은 사용자의 생리혈이 접촉되면, 상기 접촉된 생리혈을 상기 반응 시트로 전이시키고, 상기 반응 시트는 상기 반응 실에 물든 시약과 상기 전이된 생리혈이 반응하는 경우, 색이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질병 검출용 직조물을 이용한 생리용품은생리혈을 흡수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질에 삽입되는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에 연결되며, 상기 흡수체에 흡수된 생리혈을 전이시키는 전이 실과, 상기 전이 실에 연결되며, 상기 전이 실을 통해 전이된 생리혈에 검출대상 피검출물이 포함될 경우, 해당 피검출물을 검출하기 위한 시약이 함침된 반응 실을 구비한다.
상기 반응 실은 함침된 시약과 상기 피검출물이 반응하는 경우, 색이 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 검출용 직조물 및 이를 이용한 생리용품에 따르면, 시약이 물든 반응 실로 직조된 반응 시트 및 모세관 현상을 통해 피검출물을 반응 시트로 전이시키는 전이 실을 이용하여, 피검출물에 질병 인자가 포함되었는지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약과 인체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전하게 직조물 또는 생리용품을 이용하고, 간편하게 피검출물에 포함된 질병 인자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시약들 각각이 물든 반응 실들을 이용하여 질병 검출용 직조물을 직조하여, 한 번의 검사로 복수 개의 질병 인자들을 동시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 검출용 직조물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 검출용 직조물을 이용한 생리용품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 검출용 직조물을 이용한 생리용품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즉, 구성요소들을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라는 표현으로 언급되는 구성요소, 특징, 및 단계는 해당 구성요소, 특징 및 단계가 존재함을 의미하며,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특징, 단계 및 이와 동등한 것을 배제하고자 함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으로 특정되어 언급되지 아니하는 한, 복수의 형태를 포함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구성요소 등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등의 존재나 추가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즉,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질병 검출용 직조물 및 이를 이용한 생리용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 검출용 직조물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 검출용 직조물(10)은 내피(100), 외피(200), 반응 시트(300) 및 전이 실(400)을 포함할 수 있다.
내피(100) 및 외피(200)는 면, 모 또는 실크 등 섬유 소재로 직조되어 끝단이 결합될 수 있다.
반응 시트(300)는 내피(100)와 외피(200) 사이에 위치하고, 시약이 물든 반응 실(301)로 직조될 수 있다.
반응 시트(300)는 반응 실(301)에 물든 시약으로 피검출물에 포함된 질병 인자를 검출하는 것으로서, 시약과 피검출물이 반응하면 색이 변할 수 있다. 반응 시트(300)의 색이 변하는 경우, 외피(200)는 변한 반응 시트(300)의 색으로 함께 물들 수 있다.
즉, 피검출물에 시약으로 검출 가능한 질병 인자가 포함된 경우, 외피(200) 및 반응 시트(300)의 색이 변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질병 검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반응 시트(300)는 단일 시약으로 물든 반응 실(301)로 직조되거나, 복수 개의 시약들로 각각 물든 반응 실(301)들로 직조될 수 있다. 단일 시약으로 물든 반응 실(301)을 이용하여 반응 시트(300)가 직조될 경우 한 종류의 질병 인자만을 검출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시약들로 각각 물든 반응 실(301)들로 반응 시트(300)가 직조될 경우 2이상의 질병 인자들을 검출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시약들이 각각 물든 반응 실(301)들은 각각이 피검출물과 반응할 때 서로 상이한 색으로 변하므로, 사용자는 외피(200) 및 반응 시트(300)의 색 변화를 통해서 검출 가능한 질병 인자들 중 어떤 질병 인자가 검출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질병 인자를 검출할 수 있는 시약은 인체에 유해하기 때문에, 시약과 인체가 접촉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 검출용 직조물(10)은 시약이 물든 반응 실(301)로 직조된 반응 시트(300)를 내피(100)와 외피(200) 사이에 위치시켜, 반응 시트(300)와 인체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 검출용 직조물(10)은 내피(100)가 반응 시트(300)를 이루는 반응 실(301)에 물든 시약으로 물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응 시트(300)와 내피(100) 사이에 하나 이상의 방염 시트(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이 실(400)은 시약이 물들지 않은 실로, 반응 시트(300)와 접촉하고, 내피(100)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엮일 수 있다. 즉, 전이 실(400)에 피검출물이 접촉되면, 피검출물은 전이 실(400)을 통해 반응 시트(300)로 전이될 수 있다. 전이 실(300)을 통해 반응 시트(300)까지 전달된 피검출물은 반응 실(301)과 반응할 수 있다.
전이 실(400)은 반응 실(301)과 엮여서 반응 시트(300)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전이 실(400)은 내피(100)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엮여있는데, 돌출된 전이 실(400)의 배열 구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 검출용 직조물(10)이 이용되는 경우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질병 검출용 직조물(10)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방염 시트가 포함된 경우, 전이 실(400)은 반응 시트(300)의 반응 실(301)과 엮이고, 방염 시트를 관통하여 내피(100)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엮일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호 상이한 시약이 물든 복수의 반응 실(301)이 직조되어 반응시트(3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이 실(400)은 복수의 반응 실(301)과 엮일 수 있다. 전이 실(400)은 내피의 외면에 돌출되게 엮여, 접촉된 피검출물을 모세관 현상에 의해 복수의 반응 실(301)로 전이시킬 수 있다.
피검출물과 반응 실(301)들 중 하나와 접촉하여 반응하면, 피검출물과 접촉한 반응 실(301)의 색이 변화하여 반응 시트(300)의 색이 변하고, 반응 시트(300)의 변한 색으로 외피(200)가 물들어, 사용자는 피검출물에 검출하고자 하는 질병 인자가 포함된 것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병 검출용 직조물을 이용한 생리용품(2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질병 검출용 직조물을 이용한 생리용품(20)는 질병 검출용 직조물(10)로 형성되며, 생리혈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패드(21)와, 상기 흡수패드(21)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착용하는 속옷의 내면에 부착되는 장착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22)는 상면에 흡수패드(21)가 고정되어 있으며, 하면에는 사용자의 속옷에 선택적으로 접착될 수 있도록 점착제가 도포된 점착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장착부(22)가 사용자의 속옷에 부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장착부(22)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에 장착될 수 있도록 팬티와 같은 사용자의 속옷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흡수패드(21)는 사용자가 착용시 사용자의 회음부 측에 대응되는 위치의 장착부(22)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수패드(21)는 내피(100)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도록 내피(100)가 상측을 향하도록 장착부(22)의 상면에 고정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흡수패드(21)의 반응시트(300)는 상호 상이한 시약이 물든 복수의 반응 실(30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응 실(301)들은 상호 교차하도록 반응시트(300) 내에 배치된다. 흡수패드(21)는 사용자가 착용시 사용자에 의해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반응 실(301)들이 상호 교차점에서 마찰되어 각 반응실들에 함침된 시약이 혼합될 수 있다. 이때, 반응 실(301)은 시약들이 상호 혼합되어 보다 다양한 종류의 피검출물을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생리용품(20)를 착용하는 중에, 사용자의 생리혈이 내피(100)의 외면에 돌출되게 엮인 전이 실(400)에 접촉되면, 사용자의 생리혈은 전이 실(400)을 통해 반응 시트(300)로 전이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흡수패드(21)의 내부에는 반응 시트(300)와 내피(100) 사이에 방염 시트(미도시)들이 포함되어, 내피(100)가 반응 실(301)에 물든 시약으로 물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이 실(400)은 반응 시트(300)의 반응 실(301)과 엮이고, 방염 시트를 관통하여 내피(100)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엮일 수 있다.
반응 시트(300)로 전이된 사용자의 생리혈에, 반응 실(301)에 물든 시약이 검출할 수 있는 질병 인자가 포함된 경우, 반응 실(301)은 생리혈과 반응하여 색이 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반응 실(301)과 생리혈이 반응하여 반응 시트(300)의 색이 변하고, 외피(200)가 반응 시트(300)의 변한 색으로 물들어 사용자는 별도의 검사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자신의 생리혈에 질병 인자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생리용품(41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생리용품(410)은 사용자의 질에 삽입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생리혈을 흡수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질에 삽입되는 흡수체(411)와, 상기 흡수체(411)에 연결되며, 상기 흡수체(411)에 흡수된 생리혈을 전이시키는 전이 실(400)과, 상기 전이 실(400)에 연결되며, 상기 전이 실(400)을 통해 전이된 생리혈에 검출대상 피검출물이 포함될 경우, 해당 피검출물을 검출하기 위한 시약이 함침된 반응 실(301)을 구비한다.
상기 흡수체(411)는 사용자의 질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연장된다. 여기서, 흡수체(411)는 다량의 생리혈을 흡수하기 위해 종래의 탐폰에 사용되는 흡수체(411)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전이 실(400)은 일부가 흡수체(411) 외부로 노출되도록 흡수체(411)를 감사도록 설치된다. 또한, 전이 실(400)은 단부가 흡수체(411) 외부로 돌출되도록 세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실(301)은 전이 실(400)의 단부에 연결되며, 흡수체(411)가 사용자의 질에 삽입되더라도 단부가 사용자의 신체 외부로 노출되도록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반응 실(301)은 상술된 바와 같이 함침된 시약과 상기 피검출물이 반응하는 경우, 색이 변한다.
흡수체(411)에 생리혈이 흡수되는 경우, 생리혈 중 일부는 전이 실(400)를 통해 반응 실(301)로 전이된다. 전이 실(400)을 통해 전이된 생리혈에 검출대상 피검출물이 포함될 경우, 해당 피검출물은 반응 실(301)에 함침된 시약과 반응하여 반응 실(301)의 색상이 변하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비록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은 예시적인 몇 가지 양상으로 나타났지만, 다양한 수정이나 변경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범주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인 보호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질병 검출용 직조물
100 : 내피
200 : 외피
300 : 반응 시트
400 : 전이 실
500 : 귀걸이 끈

Claims (11)

  1. 내피;
    끝단이 상기 내피의 끝단과 결합된 외피;
    상기 내피 및 외피의 사이에 위치하고, 시약이 물든 반응 실이 포함된 반응 시트; 및
    상기 반응 시트와 접촉하고, 상기 내피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엮여, 접촉된 피검출물을 상기 반응 시트로 전이시키는 전이 실을 포함하는,
    질병 검출용 직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시트는,
    상기 반응 실에 물든 시약과 상기 전이된 피검출물이 반응하는 경우, 색이 변하는,
    질병 검출용 직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상기 반응 시트의 색이 변한 경우, 상기 변한 반응 시트의 색으로 물드는,
    질병 검출용 직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실은,
    상기 반응 실과 엮여 상기 반응 시트와 접촉되고,
    상기 내피의 외면에 돌출되게 엮인 부분에서 상기 피검출물과 접촉되는,
    질병 검출용 직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시트는, 복수 개의 반응 실들로 직조되고,
    상기 반응 실들은, 상이한 질병을 검출하기 위하여 각각이 상이한 시약들로 물든,
    질병 검출용 직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실들은,
    각각에 물든 시약이 상기 피검출물과 반응하면, 서로 다른 색으로 물드는,
    질병 검출용 직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와 반응 시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내피가 상기 반응 실에 물든 시약으로 물드는 것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염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이 실은,
    상기 반응 시트와 접촉하고, 상기 방염 시트를 관통하여 상기 내피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엮인,
    질병 검출용 직조물.
  8. 내피와, 끝단이 상기 내피의 끝단과 결합된 외피와, 상기 내피 및 외피의 사이에 위치하고, 시약이 물든 반응 실이 포함된 반응 시트와, 상기 반응 시트와 접촉하고, 상기 내피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엮여, 접촉된 생리혈을 상기 반응 시트로 전이시키는 전이 실을 구비한 질병 검출용 직조물로 이루어진 흡수패드; 및
    상기 흡수패드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착용하는 속옷의 내면에 부착되거나 상기 사용자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구비하는,
    질병 검출용 직조물을 이용한 생리용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실은
    사용자의 생리혈이 접촉되면, 상기 접촉된 생리혈을 상기 반응 시트로 전이시키고,
    상기 반응 시트는
    상기 반응 실에 물든 시약과 상기 전이된 생리혈이 반응하는 경우, 색이 변하는,
    질병 검출용 직조물을 이용한 생리용품.
  10. 생리혈을 흡수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질에 삽입되는 흡수체;
    상기 흡수체에 연결되며, 상기 흡수체에 흡수된 생리혈을 전이시키는 전이 실; 및
    상기 전이 실에 연결되며, 상기 전이 실을 통해 전이된 생리혈에 검출대상 피검출물이 포함될 경우, 해당 피검출물을 검출하기 위한 시약이 함침된 반응 실;을 구비하는,
    질병 검출용 직조물을 이용한 생리용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실은 함침된 시약과 상기 피검출물이 반응하는 경우, 색이 변하는,
    질병 검출용 직조물을 이용한 생리용품.
KR1020190149734A 2019-11-20 2019-11-20 질병 검출용 직조물 및 이를 이용한 생리용품 KR102300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734A KR102300084B1 (ko) 2019-11-20 2019-11-20 질병 검출용 직조물 및 이를 이용한 생리용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734A KR102300084B1 (ko) 2019-11-20 2019-11-20 질병 검출용 직조물 및 이를 이용한 생리용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783A true KR20210061783A (ko) 2021-05-28
KR102300084B1 KR102300084B1 (ko) 2021-09-08

Family

ID=76140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734A KR102300084B1 (ko) 2019-11-20 2019-11-20 질병 검출용 직조물 및 이를 이용한 생리용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08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6672A (ko) * 1993-12-29 1995-07-20 최근선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별하는 일회용 흡수제품
JP2002372527A (ja) * 2001-06-13 2002-12-26 Fujirebio Inc 経血又は膣分泌物採取器具、キット及び方法
JP2003517584A (ja) * 1999-04-26 2003-05-27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女性の健康のための多重診断装置
KR200360482Y1 (ko) 2004-05-17 2004-08-30 옥은정 이중패드를 구비한 면 생리대
JP2005152264A (ja) * 2003-11-25 2005-06-16 Uni Charm Corp 健康インジケーター付きおむつ
KR20130009502A (ko) * 2011-07-15 2013-01-23 심영복 채액 분석용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생리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6672A (ko) * 1993-12-29 1995-07-20 최근선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별하는 일회용 흡수제품
JP2003517584A (ja) * 1999-04-26 2003-05-27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女性の健康のための多重診断装置
JP2002372527A (ja) * 2001-06-13 2002-12-26 Fujirebio Inc 経血又は膣分泌物採取器具、キット及び方法
JP2005152264A (ja) * 2003-11-25 2005-06-16 Uni Charm Corp 健康インジケーター付きおむつ
KR200360482Y1 (ko) 2004-05-17 2004-08-30 옥은정 이중패드를 구비한 면 생리대
KR20130009502A (ko) * 2011-07-15 2013-01-23 심영복 채액 분석용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생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084B1 (ko) 202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0378B2 (ja) 二重コアを有する吸収性物品
US5545155A (en) Absorbent article with plates
US4425130A (en) Compound sanitary napkin
US20170239108A1 (en) Absorbent article including superabsorbent yarn
AU656043B2 (en) An absorbent article
AU2009329149B2 (en) Article with fluid-activated barriers
US3635221A (en) Flushable fabric
US8708988B2 (en) Absorbent article configured for controlled deformation
CZ340095A3 (en) Disposable napkin
KR19990078107A (ko) 측부 누출 방지용 흡수성 물품
KR20150020680A (ko) 흡수 용품
CZ288257B6 (en) Absorption article
JP2010531195A (ja) パンティライナー
US20140066874A1 (en) Absorbent Article With Highlighted Active Barrier
KR102300084B1 (ko) 질병 검출용 직조물 및 이를 이용한 생리용품
PL187874B1 (pl) Struktura chłonna do użycia w wyrobie chłonnym
CN215347089U (zh) 用于孕妇阴道流液检测的内裤
KR102487429B1 (ko) 여성용 위생 팬티
KR200365236Y1 (ko) 위생용 흡수체
KR101960285B1 (ko) 분리형 날개 점착면 커버를 포함하는 패드 및 그의 제조 방법
JP6204143B2 (ja) 吸収性物品
KR19990010658U (ko) 생리대
KR100629844B1 (ko) 위생용 흡수체
KR200296984Y1 (ko) 스탠딩 차단 커프가 부착된 일회용 의류
IT201900012675A1 (it) Struttura assorbente e articolo igienico assorbe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