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1394A - 폐기물 처리 장치 및 필름 분배 카세트 - Google Patents

폐기물 처리 장치 및 필름 분배 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1394A
KR20210061394A KR1020217011403A KR20217011403A KR20210061394A KR 20210061394 A KR20210061394 A KR 20210061394A KR 1020217011403 A KR1020217011403 A KR 1020217011403A KR 20217011403 A KR20217011403 A KR 20217011403A KR 20210061394 A KR20210061394 A KR 20210061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assette
door
bag
do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1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쉘 모랑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널 리필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널 리필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인터내셔널 리필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61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3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05Dispensers, i.e. machines for unwinding only parts of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65F1/062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having means for storing or dispensing spare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46Lids or covers provided with means for mounting on receptacles, e.g.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2Supporting web roll
    • B65H16/06Supporting web roll both-ends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07Lids or covers with filling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Pedal-operat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65F2001/1676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relating to means for sealing the lid or cover, e.g. against escaping od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32Di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65H2301/4134Both ends type arrangement
    • B65H2301/41342Both ends type arrangement shaft transversing the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4Housings
    • B65H2402/443Housings with openings for delivering material, e.g. for dispens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Bags, sachets and pouch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폐기물 처리 장치는 정상 단부에서 개구를 갖는 용기를 포함하고, 이 용기는 개구를 통해 접근 가능한 내부 공동부를 규정한다. 개구에 있는 백(bag) 인터페이스가 용기의 개구에서 개방되는 백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백의 폐쇄 단부가 내부 공동부 안에서 연장되어 있다. 한쌍이 도어가 개구를 통한 접근을 개폐하기 위해 용기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도어 사이를 통과하는 백의 일부분을 폐쇄하도록 되어 있으며, 도어는 도어가 만나서 상기 개구를 통한 접근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부터, 도어가 내부 공동부로부터 멀어지게 회전되는 제 1 회전 위치로 회전 가능하며, 양 도어 중의 하나는 내부 공동부 쪽으로 가는 제 2 회전 위치로 회전 가능하다. 도어 중의 적어도 하나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그 도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폐쇄 위치로 편향시키는 작동 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폐기물 처리 장치 및 필름 분배 카세트
본 출원은 폐기물 처리 장치에 사용되는 종류의 필름 분배 카세트, 특히, 하지만 비배타적으로, 기저귀 및 쓰레기와 같은 냄새나는 폐기물의 처리를 위한 필름 분배 카세트 및 폐기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필름 분배 카세트를 갖는 냄새 숨김 시스템을 갖는 폐기물 처리 장치가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폐기물 처리 장치는, 백 내의 냄새를 숨기기 위해, 전형적으로 주어진 기구에 의해 폐쇄되는 백을 포함한다. Mauffette 등의 미국 특허 6,817,164 및 Morand의 미국 특허 7,406,814에는 그러한 냄새 숨김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구조가 간단하고 페달에 의해 열리는 옵션을 가질 수 있는 폐기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요망된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일 목적은 신규한 폐기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일 목적은 폐기물 처리 장치를 위한 신규한 필름 분배 카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추가 목적은 필름 분배 카세트와 폐기물 처리 장치의 신규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폐기물 처리 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정상 단부에서 개구를 가지며, 이 개구를 통해 접근 가능한 내부 공동부를 규정하는 용기(개구에 있는 백(bag) 인터페이스가 용기의 개구에서 개방되는 백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백의 폐쇄 단부가 상기 내부 공동부 안에서 연장되어 있음); 개구를 통한 접근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용기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도어 사이를 통과하는 백의 일부분을 폐쇄하도록 되어 있는 한쌍의 도어(도어는 도어가 만나서 상기 개구를 통한 접근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부터, 도어가 내부 공동부로부터 멀어지게 회전되는 제 1 회전 위치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도어 중의 적어도 하나는 내부 공동부 쪽으로 가는 제 2 회전 위치로 회전 가능함): 및 상기 도어 중의 적어도 하나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그 도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폐쇄 위치로 편향시키는 작동 기구를 포함한다.
추가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예컨대, 뚜껑이 도어를 노출시키거나 숨기기 위해 상기 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 추가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예컨대, 작동 기구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 가능헌 페달을 가지며, 작동 기구는, 상기 페달과 상호 작용 연결되고 상기 뚜껑을 개폐하기 위해 뚜껑에 연결되어 있는 링크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또 추가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예컨대,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페달이 눌릴 때 상기 도어 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 1 회전 위치로 회전하는 것을 막는다.
또 추가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예컨대,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내부 공동부 안에서 대략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는 제 1 링크를 가지며, 제 1 링크는, 상기 뚜껑을 변위시켜 개구에의 접근을 개방하기 위해 뚜껑과 접촉하는 정상 밀기 단부를 갖는다.
또 추가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예컨대, 제 1 링크는 상기 페달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 추가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예컨대, 제 2 링크가 회전 자유도와 병진 운동 자유도를 제공하는 조인트에 의해 제 1 링크에 연결되어 있고, 제 2 링크는 상기 도어 중의 하나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또 추가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예컨대, 조인트는 적어도 한 세트의 종동자와 안내 슬롯이다.
또 추가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예컨대, 제 1 링크는 상기 뚜껑과 접촉하는 2-갈래형 단부를 갖는다.
또 추가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편향 유닛이 상기 도어를 폐쇄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링크 어셈블리를 최하측 위치로 편향시킨다.
또 추가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예컨대, 용기는 정상부와 기부를 포함하고, 정상부는 용기의 내부 공동부에의 접근을 위해 상기 기부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또 추가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예컨대, 기부는 백의 롤을 분배하는 카세트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세트 격실을 규정한다.
또 추가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예컨대, 카세트 중의 적어가 존재한다.
또 추가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예컨대, 기부는 격실 내의 카세트를 위한 해제 가능한 연결부를 갖는다.
또 추가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예컨대, 개구의 주변은 도어 중의 하나가 상기 제 2 회전 위치로 움직이는 것을 막는 접촉부를 가지고 있다.
또 추가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예컨대, 편향 부재가 도어 중의 하나를 상기 제 1 회전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편향시킬 수 있다.
또 추가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예컨대,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칼라(collar)이다.
또 추가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훅크가 적어도 하나의 칼라에 있고 바깥쪽을 향해 있다.
또 추가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예컨대, 2개의 칼라가 개구의 상호 반대 측에 존재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필름을 분배하기 위한 카세트가 제공되며, 이 카세트는, 개구, 플레인 베어링 지지부 및 상기 개구의 반대편에 있는 변형 가능한 벽을 갖는 케이싱; 상기 플레인 베어링 지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 및 상기 축 상에 감겨 있는 필름 롤(roll)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 롤의 자유 단부는 상기 개구를 통해 분배 가능하며, 상기 축, 플레인 베어링 지지부 및 변형 가능한 벽은 상기 카세트에 굴곡 강성을 제공하는 버팀부를 동시에 형성하며, 상기 필름 롤이 축에서 분배될 때 축이 분리되거나 붕괴되어 카세트의 굴곡 강성이 줄어든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필름 분배 카세트 및 폐기물 처리 장치의 어셈블리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인열막을 갖는 도 1의 필름 분배 카세트의 조립도이다.
도 3은 인열막이 제거되어 있는 도 2의 필름 분배 카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필름이 밖으로 돌출해 있는 도 2의 필름 분배 카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백 교체 구성으로 있는, 도 1의 폐기물 처리 장치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폐기물 처리 구성으로 있는, 도 1의 폐기물 처리 장치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다른 방향에서 본 도 6의 폐기물 처리 장치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8a은 폐기물 처리 단계를 더 따른, 도 6의 폐기물 처리 장치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에서와 같은 폐기물 처리 장치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폐기물 처리 장치의 작동 기구의 분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폐기물 처리 장치 안으로 삽입되는 필름 분배 카세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폐기물 처리 장치 안에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필름 분배 카세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와 같은 폐기물 처리 장치 안에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필름 분배 카세트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폐기물 처리 장치의 용기의 정상 벽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의 폐기물 처리 장치의 뚜껑 어셈블리를 갖는 용기의 정상 벽을 나타낸다.
도 1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필름 분배 카세트 및 폐기물 처리 장치의 어셈블리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필름 분배 카세트의 종단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어를 갖는 도 16의 필름 분배 카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어가 제거되어 있는 도 16의 필름 분배 카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필름이 밖으로 돌출해 있는 도 16의 필름 분배 카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백 교체 구성으로 있는, 도 15의 어셈블리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어 차단 구성으로 있는, 도 15의 어셈블리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22는 폐기물 처리 구성으로 있는, 도 15의 어셈블리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23은 다른 방향에서 본 도 22의 어셈블리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폐기물 처리 장치의 페달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전방 페달 부재가 후방 페달 부재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도 24의 페달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의 카세트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도 24의 페달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카세트가 페달에 결합되어 있는, 도 24의 페달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카세트가 비워져 있을 때
전방 페달 부재가 후방 페달 부재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도 24의 페달의 사시도이다.
도면,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폐기물 처리 장치(이하, "장치"라고 함)가 전체적으로 참조 번호 "10"으로 나타나 있다. 이 장치(10)는 쓰레기통, 원통형 용기(pail), 쓰레기 원통형 용기, 폐기물 통 등으로 알려져 있을 수 있다. 장치(10)는, 기저귀, 더러운 쓰레기, 음식물 등을 포함하여 어떤 적절한 종류의 폐기물에도 사용될 수 있다. 장치(10)는 관형 백(도 2)을 형성할 수 있는 필름을 분배하는 필름 분배 카세트(20)(이하, "카세트"(20))를 사용하는 종류이다. 다른 적절한 종류의 백 분배기도 장치(10)에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카세트라는 표현은 특히 카트리지, 리필(refill) 등을 포함하는 다른 표현을 갖는 물품(20)을 말하는 것이다. 장치(10)는 용기(30), 뚜껑 어셈블리(40) 및 작동 기구(50)를 포함한다.
용기(30)는 장치(10)의 구조체를 형성하고, 폐기물을 담는 관형 백을 수용하여 숨기게 된다. 용기(30)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적절한 기하학적 구조라도 고려된다.
뚜껑 어셈블리(40)는 용기(30)의 정상 개구를 개폐하며, 그 정상 개구를 통해 폐기물이 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백 안으로 투입된다.
작동 기구(50)는 수동으로(예컨대, 발로) 작동되어, 뚜껑 어셈블리(40)를 개폐하고, 또한 백을 폐쇄하여 그 백 안의 냄새를 밀봉하는 한쌍의 죠오와 상호 작용한다. 죠오는 뚜껑 어셈블리(40)의 뚜껑이 폐쇄되면 백이 폐쇄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카세트(20)가 더 상세히 나타나 있고, 그 카세트의 부품들이 20대의 숫자로 함께 나타나 있다. 카세트(20)는 기다란 형상을 갖는 케이싱(21) 또는 본체를 갖는다. 케이싱(21)은 서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케이싱(21)은 커버(22) 및 수용부(23)를 갖는다. 커버(22)는 일반적으로 여기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사용될 때 카세트(20)의 정상 부분이고, 수용부(23)는 사용될 때 카세트(20)의 바닥 부분이다. 그러나, 선반에서 보관될 때, 카세트(20)는 뒤집어 놓일 수 있는데, 즉 커버(22)가 바닥에 있을 수 있고, 수용부(23)는 정상부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커버(22)는 한쌍의 패널(22A, 22B)로 만들어진다. 패널(22A, 22B)은 평평할 수 있지만, 이는 선택적인 것이다. 도 3 및 1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패널(22B)은 외부로부터 오목하여 내향 접촉 포메이션(formation)을 규정한다. 이 내향 접촉 포메이션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필름이 카세트(20) 밖으로 끌어 당겨지면 롤(25)을 잡는 가장자리를 규정할 수 있다. 한쌍의 패널(22A, 22B)이 존재하면, 막이 케이싱(21)의 내부로부터 빠져나가기 위한 슬릿(22C)(채널, 기다란 개구라고도 함)이 그 패널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사람의 손가락이 필름(25)의 자유 단부를 잡을 수 있게 하기에 충분히 큰 개구(22D)가 패널(22A, 22B) 사이에 형성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커버(22)는, 패널(22A, 22B)을 갖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단일체일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패널(22A, 22B)은, 활 힌지(living hinge)가 패널(22A, 22B)과 수용부(23) 사이의 이음부에 형성되도록 수용부(23)와 몰딩된다. 이리하여, 예컨대 롤(roll) 형태의 필름이 케이싱(21)의 내부 공동부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런 다음에 패널(22A, 22B)은 도 2의 배치로 폐쇄되고 수용부(23)에 고정된다(활 힌지에서의 운동을 막기 위해). 초음파 용접, 접착, 용접, 납땜이 패널(22A, 22B)을 수용부(23)에 고정시키는 선택 방안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필름(35)은 슬릿(22C)을 통과할 수 있지만, 대신에 개구(22D)만 통과할 수도 있다. 카세트(20)는 슬릿(22C)과 개구(22D) 둘 모두를 갖지 않고 그 중의 하나만 가질 수 있다. 필름(25)을 잡기 위한 개구(22D)가 없으면, 그 필름의 자유 단부는 슬릿(22C)을 통해 케이싱(21) 밖으로 돌출해 있도록 사전 배치될 수 있다.
계속 도 2 - 4를 참조하면, 수용부(23)는 그의 중공 형상으로 케이싱(21)의 내부 공동부를 형성한다. 수용부(23)는, 커버(22)와 함께 카세트(20)의 노출된 주변 표면의 대부분을 형성하는 벽(23A)을 갖는다. 수용부(23)는 플레인 저널 베어링(plain journal bearing)(나타나 있지 않음)을 규정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백 또는 필름(25)의 롤을 지지하는 축(24)이 케이싱(21) 내부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축(24)을 코어라고도 할 수 있다. 축(24)은 적절한 단면을 갖는 중공 관 또는 로드일 수 있다. 예컨대, 축(24)은 플라스틱, 판지 등으로 만들어진다. 다른 실시 실시 형태에서, 필름(24)은 축(24) 없이 자체에 말린다. 필름, 힌지, 관 등의 표현은 롤(25)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롤(25)은 끝과 끝이 연결되는 관형 막으로 만들어진 백을 가지며, 롤(25)의 자유 단부는 백의 개방 단부로 규정된다. 이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세트(20)는 롤(25)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되어 유지되는 상태에서 장치(10)의 바닥에 위치될 수 있고, 롤(25)의 필름은 장치(10)의 정상부까지 위쪽으로 당겨져 개방된 상태로 매달려 있다. 롤(25)의 다른 단부는 축(24)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롤(25)의 다른 단부가 축(24)에 부착되기 위한 유지 수단, 예컨대, 접착제, 테이프, 또는 축(24)에 있는 슬릿 또는 그립퍼가 존재할 수 있다. 카세트(20)에는 백의 롤(25)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고, 사용자가 케이싱(21)을 열어 백의 교체 롤(25)을 삽입하게 된다.
도 2 - 4를 참조하면, 카세트(20)는 림(rim)(26)을 가질 수 있다. 이 림(26)은, 카세트(20)가 사용될 때, 카세트(20)의 주변부, 예컨대, 정상 주변부에 형성된다. 림(26)은 수용부(23)를 넘어 연장되어 있는 커버(22)의 일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림(26)은 커버(22)를 넘어 연장되어 있는 수용부(23)의 플랜지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내지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림(26)은 커버(22)의 일부분과 수용부(23)의 바닥에 있는 플랜지 둘 다의 조합일 수 있다. 림(26)은 케이싱(21) 주위에 있는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인 많은 세그먼트(연속적인 것으로 나타나 있음)를 가질 수 있다. 림(26)은 또한 어깨부(들), 플랜지, 립, 스트립 등으로도 알려져 있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카세트(20)는 개구(22D)를 보호하는 커버 플랩(27)을 가질 수 있다. 이 커버 플랩(27)은 커버(22) 및/또는 랩핑(wrapping)으로 규정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커버 플랩(27)의 일부분은 커버(22)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찢겨져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인열선(27A)이 커버(22)의 나머지 부분(예컨대, 패널(22A, 22B) 중의 하나)에 대한 플랩(27)의 경계를 이룰 수 있다. 인열선은, 플랩(27)의 분리를 용이하게 해주는, 커버(22)의 벽에 있는 더 얇은 웨브이거나, 또는 일련의 천공부일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가 플랩(27)을 잡기 위한 창(window)이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도어가 없고, 커버(22)의 벽은 단순히 개구(22D)에서 개방되어 있다. 라벨, 플라스틱 필름, 랩핑 등과 같은 다른 요소가 (예컨대, 도어가 없는 경우에) 개구를 일시적으로 폐쇄하기 위해 대안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내부 몰드 라벨링(IML) 재료가 케이싱(21)을 감싸고, 개구(22D)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는 플랩(27)을 형성한다. IML 재료(27)는, 개구(22D)와 정합되는 미리 정해진 인열 스트립(27A)을 가질 수 있으며, 이 스트립이 찢어져 떨어지면 필름(25)에의 접근이 허용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커버(22)와 수용부(23)는 플랩(27)(존재한다면)을 포함하는 일체적으로 형성된 단일체일 수 있다. IML 재료는 그 단일체와 함께 몰딩될 수 있고, 또는, IML 재료가 커버(22) 및 수용부(23)와 일체적임에 따라, 단일체적인 특성에 기여한다고 생각될 수 있다.
카세트(20)를 설명했기 때문에, 카세트(20)로부터의 필름의 전개를 설명한다. 카세트(20)가 도 2에서 처럼 개구(22D)를 덮는 플랩(27) 또는 랩핑 또는 유사한 막(예컨대, IML 재료)과 함깨 주어지면, 그 랩핑 또는 필름을 제거하여, 카세트(20)의 내부, 특히 필름(25)을 노출시킨다. 필름(25)의 자유 단부는, 이 필름(25)의 자유 단부가 끌어 당겨지도록 플랩(27), 랩핑 또는 막에 연결될 수 있다(예컨대, 테이프로). 그런 다음에 필름(25)의 자유 단부는 도 4에 나타나 있는 방식으로 슬릿(22C) 및/또는 개구(22D)를 통해 케이싱(21) 밖으로 나올 수 있으며, 그래서 필름(25)의 나머지 부분이 케이싱(21) 안에 유지된 상태에서, 그 필름을 케이싱(21) 밖으로 끌어 당길 수 있다.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필름(25)은 필름의 접힌 롤일 수 있고, 두 접음선이 예로서 존재한다. 필름(25)의 자유 단부는 개방 단부이다.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카세트(20)는 내향 접촉 포메이션이 필름(25)의 출구 방향의 반대가 되도록 배향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2에서, 필름(25)은 (두 카세트(20) 사이의) 더 중심의 위치로부터 끌어 당겨진다. 따라서, 롤(2)은 끌어 당겨질 때 내향 접촉 포메이션에 가압될 수 있다. 내향 접촉 포메이션은 편향기로서 작용하여, 필름이 슬릿(22C)을 통해 나가기 전에 필름을 롤(25)로부터 강제로 인출시킬 수 있다.
도 1 및 10 - 12를 참조하면, 용기(30)는 기부(31) 및 정상부(32)를 가질 수 있고, 이들 기부와 정상부는 용기(30) 내부에의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분리 가능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장치(10)가 사용될 때 기부(31)는 지상 또는 바닥에 놓이게 된다. 개구(31A)가 기부(31)의 외측 표면에 위치될 수 있고, 그래서 작동 기구(50)의 페달이 그 개구(31A) 밖으로 돌출할 수 있다. 개구(31A)는, 작동 기구(50)의 페달을 자동적으로 수용하는 공동부(31B) 안으로 개방되어 있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페달이 피봇식으로 지지되도록, 기부(31)는 피봇 지지부(31C)를 가질 수 있다(하나만 나타나 있지만, 일 실시 형태에서 기부(31)는 피봇 지지부를 통과하는 대칭면을 가짐). 그래서, 한 가능한 실시 형태로서, 경상(mirrored) 피봇 지지부가 존재할 수 있어, 피봇 지지부(31C)는 플레인 베어링으로서 작용한다. 피봇 지지부(31C)는 카세트(20)와 페달을 수용하는 마운트(31D)의 일부분일 수 있다. 기부(31A)의 다양한 구성품들이 단일 요소로 일체적으로 몰딩될 수 있거나 많은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기부(31)는 또한 카세트(20)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격실(31D)(2개가 나타나 있음)을 포함할 수 있다. 격실(31D)은 카세트(들)(20)를 수용하고 해제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레임(31F)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외팔보형 아암(31E)이 림(26)을 통해 카세트를 유지시키는 스냅 끼워맞춤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아암(31E)에 대한 수동 압력이 카세트(20)를 기부(31)로부터 해제시키는 데에 충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그러한 아암(31E)이 존재할 수 있다. 격실(31D)은 기부(31)의 저부측을 통해 접근 가능하고(도 10), 필름이 용기(30)의 내부 안으로 배치될 수 있게 해주는 창(31G)이 존재한다(도 11). 카세트(20)들은 나란할 수 있고, 또한 카세트(20)들은 평행하다(예컨대, 롤(25)의 회전 축선).
용기(30)는 또한 단일 관형 유닛일 수 있다. 다른 구성물, 예컨대, 구조 비임 위에 있는 직물 또는 패널링의 관 또는 슬리브도 고려된다. 개구(33)는 용기(30)의 정상부에 있다. 개구(33)는 예컨대 백 내의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 용기(30) 내부에의 접근을 제공한다.
도 5, 13 및 14를 참조하면, 상측 칼라(들)(34)가 개구(33)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고, 뚜껑 어셈블리(40)와 용기(30) 사이의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다. 칼라(34)가 나타나 있지만, 단일 U 칼라 또는 환형 칼라와 같은 다른 구성도 고려된다. 백 훅크(34A)가 개구(33)의 근처에서 상측 칼라(34)의 외향 표면에(즉, 개구(33) 반대쪽의 측면에) 위치될 수 있고, 카세트(20)에 의해 분배되는 백을 위한 부착물로서 역할한다. 그 실시 형태에서, 백 훅크(34A) 중의 4개가 용기(30)에 있지만(2개를 볼 수 있음), 하나 이상의 칼라(34)를 위해 더 많거나 더 적은 백 훅크가 있을 수 있다. 4개의 백 훅크(34A)는 개구(33)의 코너에 있을 수 있고, 그 개구는 스쿼클(squircle)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을 갖는다. 개구(33)가 둥글면, 백 훅크(34A)는 많은 다른 예들 중에서도 특히 0/90/180/270도 또는 0/120/240도로 분산될 수 있다. 일 예로, 서로 정반대쪽에 있는 2개의 기다란 백 훅크(34A)가 있을 수 있다. 백 훅크에 대한 대안으로서, 용기(30)는 백의 부착을 위해 그의 칼라(들)(34)에 의존할 수 있고, 백의 정상부는 칼라(들)(34) 위에 접히고 마찰로 유지된다. 훅크(34A)는 립 또는 플랜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백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칼라(34) 및/또는 훅크(34A)로 나타나 있지만, 백을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는 핀, 그립, 플라이어(plier), 보어(bore), 핀-보어 스텝, 단일 칼라 등을 포함한다.
도 5, 13 및 14를 참조하면, 상측 칼라(34)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U-형 포메이션(이들 포메이션 사이에 개구(33)가 형성되어 있음)을 갖는 벽(35)의 정상부에 있을 수 있다. 벽(35)은 예컨대 정상부(32)의 일부분으로서 몰딩된 단일체 부품일 수 있고, 아래에서 설명하는 많은 구성품을 위한 기능적 지지부로서 작용하는 많은 특징적 부분들을 갖는다. 힌지식 도어 지지부(35A)가 개구(33)에 인접하여 벽(35)에 형성될 수 있고, 이 지지부는, 백 안으로의 냄새를 밀봉하도록 백을 폐쇄시키면서, 개구(33)로부터 용기(30) 내부에의 접근을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도어를 힌지식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힌지식 도어 지지부(35A)는 피봇 수용부로서 나타나 있지만, 피봇(들) 및/또는 피봇 구멍(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벽(35)에는, 또한 접촉부 또는 스탑으로서 작용하고 도어 중의 하나가 아래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막는 어깨부(들)(35B)가 개구(33)의 주변에 형성되어 있다.
힌지식 뚜껑 지지부(35C)가 용기(30)의 외부 표면에 인접하여 정상부(32)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지지부는 또한 개구(33)로부터 용기(30) 내부에의 접근을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뚜껑 어셈블리(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힌지식 뚜껑 지지부(35C)는 일 예로서 피봇 부재를 갖는 포스트 또는 칼럼의 형태일 수 있다. 뚜껑 어셈블리(40)가 회전되면, 장치(10)의 다양한 구성품들이 노출될 수 있다. 힌지식 뚜껑 지지부(35C)는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피봇(들) 및/또는 피봇 구멍(들)을 포함할 수 있다.
뚜껑 어셈블리(40)를 도 1의 폐쇄부에 해제 가능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 부재(35D)가 정상부(32)에서 힌지식 뚜껑 지지부(35c)의 반대측에 제공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멈춤쇠 기구가 유지 핑거(35D)와 협력하여 뚜껑 어셈블리(40)를 폐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유지 부재(35D)는 외팔보형일 수 있고, 힌지식 뚜껑 지지부(35C)를 탄성 변형 편향으로 유지한다. 아암(35E)(도 5)이 벽(35)과 같은 용기(30)의 정상부(32)로부터 용기(30)의 내부 공동부 안으로 돌출하도록 제공될 수 있고,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도어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 및 6 - 9를 참조하면, 뚜껑 어셈블리(40)는 환형 기부(41)를 갖는다. 이 환형 기부(41)의 기하학적 구조는 칼라(34)를 포함하여 용기(30)의 정상부(32)의 상단부에 상보적이다. 따라서, 뚜껑 어셈블리(40)의 환형 기부(41)는 용기(30)의 상단부에, 예컨대 벽(35)에 안착된다. 환형 기부(41)는 또한 칼라(34)를 그의 하향 개방 환형 공동부 안에 숨겨 덮는 도 1에서와 같은 스커트형 본체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환형 기부(41)는 예컨대 도 1의 폐쇄 배향으로부터 도 6의 개방 배향으로 회전하도록 힌지식 뚜껑 지지부(35C)에 연결되어 있다. 환형 기부(41)는 피봇 구멍, 피봇 등과 같은 상보적인 힌지 조인트 부품(들)(41A)을 갖는다.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을 갖는 멈춤쇠(41B)가 존재하여 유지 부재(35D)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된다. 압입 끼워맞춤, 신속 연결 시스템, 나사 결합 등과 같은 다른 상호 연결 구성이 고려된다. 환형 기부(41)는 예컨대 도 6의 개방 배향으로 회전되어 백을 칼라(34)에 부착하거나 그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더욱이, 돌출부(41C)(도 5)가 훅크(34A)의 반대편에서 그에 근접하여 위치되어 필름이 돌출부와 훅크 사이에 유지된다. 돌출부(41C)는 벽의 쌍일 수 있다. 도 7, 8a 및 8b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형 기부(41)는 깔대기 부분(41D)을 가질 수 있다. 이 깔대기 부분(41D)은, 폐기물이 개구(33) 쪽으로 향하는 것을 보장해 준다. 더욱이, 깔대기 부분(41D)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일부 부품을 폐쇄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파형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뚜껑(42)이 힌지 부재(43)에 의해 용기(30)의 정상부(32)에 또는 환형 기부(41)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힌지 부재(43)는 힌지식 뚜껑 지지부(35C)에도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뚜겅(42)은 도 5 -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개방 위치와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폐쇄 위치에서, 뚜껑(42)은 개구(33)를 차단한다. 개방 위치에서, 개구(33)가 노출되어, 사용자가 폐기물을 장치(10) 내의 백 안으로 넣을 수 있다. 뚜껑(42)은 환형 기부(41)의 나머지 부분과는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환형 기부(41)와 뚜껑(42) 모두가 힌지식 뚜껑 지지부(35C)에 피봇식으로 연결됨에 따라, 뚜껑(42)의 회전 축선과 환형 기부(41)의 회전 축선은 동축이다.
도 1 및 5 - 9를 참조하면, 작동 기구(50)는 사용자에 의해 페달(51)과 상호 작용 연결되는 링크 기구(즉, 링크 및 조인트)로 이루어진다. 페달(51)은 한 가능한 구성(별도의 다른 피봇)으로서 피봇 포메이션(51A)을 통해 용기(30)의 기부(31)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페달(51)의 전방부는 용기(30)의 전방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고 지상에 가까워, 사용자가 페달(51)의 노출된 부분을 간단히 누르면 장치(10)의 뚜껑(42)을 열 수 있다. 장치(10)에는 손 레버 등과 같은 대안적인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작동 기구(50)는, 뚜껑(42)을 개방시키고 아래에서 설명하는 도어에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링크 및 이 링크 사이의 조인트를 갖는 링크 어셈블리를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링크(52)가 용기(30)의 내부에서 페달(51)의 후방부에 연결된다. 연결부는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피봇 연결부일 수 있지만, 병진 조인트도 사용될 수 있다. 제 1 링크(52)는, 병진 운동(즉, 상하 운동)에 제한되도록, 기부(31)와 정상부(32)에 있는 개구와 같은 용기(30) 내의 구조적 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페달(51)의 전방부를 아래로 누르면, 제 1 링크(52)가 위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다음에 페달(51)을 놓아주면, 제 1 링크(52)가 예컨대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제 1 링크(52)를 아래쪽으로 당기는 스프링(52')(도 7)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1 링크(52)는 예컨대 짝이룸 연결로 조립될 수 있는 단일 세그먼트 또는 복수의 세그먼트(2개가 나타나 있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계속 도 1 및 6 - 9를 참조하면, 제 1 링크(52)는 뚜껑 밀기 단부(53A)를 갖는다. 이 뚜껑 밀기 단부(52A)는 뚜껑의 회전 축선에 인접해서 뚜껑(42)에 접촉한다. 단부(52A)는 단부(52A)를 규정하는 캠 표면을 갖는 2-갈래형 포크의 일부분일 수 있지만, 단일 단부(52A)도 존재할 수 있다. 단부(52A)는 벽(35)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 밖으로 돌출할 수 있고, 그 개구는, 단부(52A)가 병진적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보장해 준다. 2-갈래형 포크는 한 가능한 구성이다. 다른 실시 형태도 고려된다.
따라서 2-갈래형 포크는 공동부를 규정한다. 안내 슬롯(52B)이 2-갈래형 포크의 공동부 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링크(52)가 위쪽으로 움직이면, 뚜껑(42)에 대한 단부(52A)의 밀기 작용에 의해 뚜껑(42)이 열린다. 유사하게, 제 1 링크(52)가 아래쪽으로 움직이면, 단부(52A)의 후퇴 운동에 의해 뚜껑(42)이 폐쇄 위치 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페달(51)의 운동을 뚜껑(42)에 전달하는 것에 추가로, 작동 기구(50)는 백을 폐쇄 상태로 밀봉하는 작용 효과를 문(53A, 53B)에 줄 수 있다. 도어(53A, 53B)는은 또한 플랩, 트랩, 죠오 등으로도 알려져 있다. 도어(53A, 53B)는 상보적인 피봇 조인트 요소(예컨대, 피봇(들) 및/또는 피봇 구멍(들))에 의해 힌지식 도어 지지부(35A)에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스프링과 같은 편향 부재(53A')가 존재하여 도어(53A)를 편향시킬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향 부재(53A')는 도어(53A)를 도 5의 회전 위치로 편향시킬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편향 부재(53A')는 대안적으로 도어(53A)를 도 1의 폐쇄 위치로 편향시킬 수 있다. 장치(10)가 바닥 상에 있을 때 도어(53A, 53B)의 회전 축선은 대략적으로 수평일 수 있다(예컨대, ±10도이지만, 더 클 수도 있음). 도어(53A, 53B)의 회전 축선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더욱이, 선택적인 특징으로서, 문(53A)은 어깨부(35B)에 접촉할 수 있어 이 어깨부(35B)를 넘어 아래쪽으로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도어(53A, 53B)는 서로 접촉하여 개구를 통과하는 백을 차단하도록 크기 결정된다(예컨대, 칼라(34)에 부착됨).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한 가능한 구성으로, 도어(53B)의 가장자리 부분을 수용하는 홈이 도어(53A)에 있다.
제 2 링크(54)가 제 1 링크(52)를 도어(53B)에 연결한다. 제 2 링크(54)는 그의 한 단부에서 피봇(54A)을 가지며 또한 다른 단부에서는 종동자(54B)를 갖는다. 피봇(54A)은 도어(53B)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어, 피봇 연결부를 형성한다. 이 피봇 연결부는 도어(53B)와 벽(35) 사이의 피봇 연결부에 인접해 있을 수 있다. 제 2 링크(54)는 제 1 링크(52)의 2-갈래형 포크에 위치될 수 있고, 종동자(54B)는 안내 슬롯(52B)에 수용된다. 그러므로 종동자(54B)는 안내 슬롯(52B)에서 회전 및/또는 병진 운동할 수 있다. 나타나 있는 쌍 대신에 한 세트의 안내 슬롯(52B)과 종동자(54B)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지금부터, 제 1 링크(52), 도어(53B) 및 제 2 링크(54) 사이의 작동적인 상호 작용을 설명한다. 출발점으로서, 도어(53A, 53B)는 서로에 접촉에 있어 그들 사이의 백을 폐쇄하고, 일체화된 피봇부(한 가능한 구성임)를 통해 벽(35)에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쓰레기를 백 안에 버리기 위해 페달(51)을 누를 수 있다. 따라서,제 1 링크(52)가 위쪽으로 움직인다. 뚜껑 밀기 단부(들)(52A)가 뚜껑(42)에 압력을 가하게 되며, 그 뚜껑은 도 6 및 7에 나타나 있는 위치로 위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때, 종동자(54B)는 링크(52)의 안내 슬롯(52B)의 바닥에 있다. 스프링(55) 또는 유사한 편향 요소(예컨대, 중력)에 의해, 도어(53B)가 도 6에서와 같은 폐쇄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예컨대, 폐기물이 도어(53B)의 정상 표면에 떨어짐으로써 압력이 아래쪽으로 도어(53B) 상에 가해지면, 이 도어(53B)가 아래쪽으로 회전하여, 폐기물이 예컨대 스프링(55)(존재한다면)의 작용에 저항하면서 용기(30) 내의 백의 바닥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도어(53B)가 아래쪽으로 회전할 때 도어(53A)는 움직이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종동자(54B)는 안내 슬롯(52B)에서 위쪽으로 움직일 것이다. 도 8a는 종동자(54B)와 안내 슬롯(52B)의 정상부의 접촉을 나타내며, 이러한 경우에 그 슬롯(52B)은 접촉 스탑으로서 작용한다. 페달(51)에 대한 압력이 해제되면, 제 2 링크(54)와 제 1 링크(52) 사이의 스프링(55)이 도어(53B)를 다시 도 1의 위치로 편향시켜, 백을 도어(53A)와 도어(53B) 사이에 폐쇄시키며, 그래서 냄새가 백에서 나가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페달(51)에 대한 압력이 해제되면, 제 1 링크(52)가 아래쪽으로 움직여 뚜껑(42)이 닫히게 된다. 작동 기구(50)를 사용하여 폐기물을 처리하는 단계들 전체에 걸쳐 도어(53A)는 그의 위치에 유지된다.
페달(51)이 아래쪽으로 눌리면, 뚜껑(42)이 상승되어,개구(33) 및 도어(53A, 53B)가 노출되고, 도어(53A, 53B)는 폐쇄 위치에 있다(하지만, 폐쇄 배향이라는 표현도 사용될 수 있음). 스프링(52')은, 도어(53A, 53B)가 서로에 접촉하도록, 도어(53A, 53B)에 대한 작동 기구(50)의 편향을 일으킬 수 있다. 종동자(54A)는 슬롯(52A)의 단부에 의해 눌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대상물을 버릴 수 있다. 그 대상물의 중량은 스프링(들)(55) 또는 유사한 편향 기구의 편향 작용 보다 클 수 있어, 도어(53B)가 일시적으로 열려 그 대상물(들)이 통과할 수 있다. 이를 회전 위치라고 부를 수 있다(하지만, 회전 배향이라는 표현도 사용될 수 있음). 일단 대상물이 도어(53)를 넘어 백 안으로 들어가면, 도어(53B)는 도어(53A)와 접촉하는 폐쇄 위치(도 1)로 복귀하고 백을 그 도어들 사이에 압착한다. 페달(51)이 놓아지면, 제 2 링크(54)가 스프링(55)에 의해 당기면서 아래쪽으로 움직여 도어(53B)에 압력을 가해하게 되며, 그래서 이 도어가 도 1에 나타나 있는 방식으로 도어(53B)에 강제 접촉되는 것이 보장된다.
백이 채워지고 교체가 필요하면, 페달(51)을 누르지 않고 전체 뚜껑 어셈블리(40)가 도 5에서 처럼 멀어지게 회전된다. 이리하여, 훅크(34A)에 부착되어 있는 백의 정상 단부가 노출된다. 백의 정상 단부는 훅크(34A)로부터 분리되고, 위쪽으로 당겨질 수 있다. 깔대기 부분(41D)이 더 이상 그것을 누르지 않음에 따라, 도어(53A)는 도 5의 회전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도어(53B)에 대해서는, 종동자(54B)는 슬롯(52B)의 정상부에 있고, 아래쪽으로 자유롭게 갈 수 있다(도어(53B)가 위쪽으로 회전하는 동안에). 따라서, 백이 위쪽으로 당기면, 도어(53A, 53B)가 도 5에서 처럼 위쪽으로 회전하여 다른 회전 위치에 있게 된다(하지만, 회전 배향이라는 표현도 사용될 수 있음). 일 실시 형태에서, 도어(53A, 53B)가 도 5에서 처럼 공동부로부터 멀어지게 회전되기 위해, 링크(52, 54) 사이의 협력이 스탑퍼로서 작용할 수 있음에 따라, 페달(51)을 놓아야 한다. 그러므로 백은 위쪽 당김으로 용기(3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백은 부착되는 백의 롤(25) 또는 유사한 시퀀스의 일부분임에 따라, 다음 백이 칼라(34)의 높이까지 동시에 당겨진다. 일단 전체 백이 롤(25)로부터 분리되면, 롤(25)에 있는 다음 빈 백이 칼라(34)에 부착될 수 있다.
도어(53A, 53B)를 폐쇄할 때, 일단 다른 백이 백 인터페이스(예컨대, 칼라(34))에 부착되면, 도어(53A)가 어깨부(35B)와의 접촉에 의해 용기(30)의 공동부의 안쪽으로 회전하지 않으면, 도어(53B)가 도어(53A) 아래에 있도록 일련의 조치가 일어날 것이다. 도어(53B)는 스프링(55) 및 중력의 작용에 의해 또한 선택적으로 환형 기부(41)의 접촉에 의해 아래쪽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 일이 일어나는 동안, 도어(53A)는 스프링(53A')에 의해 세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그런 다음에, 깔대기 부분(41D)이 도어(53A)와 접촉하고 이 도어를 폐쇄 위치로 회전시킨다. 일 실시 형태에서, 폐쇄 위치에서, 도 8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어(53A)는 어깨부(35B)와 깔대기 부분(41D)의 가장자리 사이에 개재되어 폐쇄 위치에 유지된다.
그러므로, 작동 기구(50)는 2개 이상의 상호 연결 링크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페달(51)과 제 1 링크(52)는 적어도 하나의 자유도(DOF)를 제공하는 조인트로 연결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그 조인트는 회전 DOF를 제공한다. 제 1 링크(52)는 뚜껑(42)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고, 대신에 뚜껑(42)이 그 링크의 단부(들)(52A) 상에 부유할 수 있다. 제 1 링크(52) 및 제 2 링크(54)는 2개 이상의 DOF를 갖는 조인트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2개의 DOF는 회전 DOF 및 병진 운동 DOF 이다. 병진 운동 DOF는 스프링(55)에 의해 편향될 수 있다. 제 2 링크(54) 및 도어(53B)는 회전 DOF 또는 더 많은 자유도를 갖는 조인트로 연결될 수 있다. 회전 DOF 조인트는 도어(53B)와 벽(35) 사이의 피봇 연결부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도어(53A, 53B) 각각은 회전 DOF 조인트로 벽(35)에 연결될 수 있다.
이제 도 10 - 12를 참조하면, 한쌍의 카세트(2))가 기부(31)에 수용될 수 있다. 장치(10)는 단일 카세트(20)로 작동할 수 있지만, 2개의 카세트(20)가 존재하면, 어셈블리의 용량이 두배로 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제 1 카세트(20)는 제 2 카세트(20)가 사용되기 전에 비워진다. 기부(31)는, 나타는 있는 방식으로, 즉 내향 접촉 포메이션이 중심을 향하도록 카세트(20)가 배향되는 것을 보장해 주는 내향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하는데, 즉 도어(53)를 위한 다른 형상이 가능하고, 도어(53) 둘 다는 아래쪽으로 움직일 수 있고, 단일 도어(53)가 존재하며, 관형 필름(25)을 위해 EVOH가 사용되며, 카세트(20)가 없고 대신에 단일의 백을 갖는 장치(10)가 사용되며, 카세트(20)의 일부분이 아닌 백 롤을 갖는 장치(10)가 사용되며, 다른 종류의 장치(10), 예컨대, 도어와 작동 기구(50)가 없는 원통형 용기에 카세트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작동 기구(50)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평형 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개방 백(25)이 칼라(들)(34)에 부착되고 용기(30) 안으로 연장되어 있다. 평형 상태에서, 도어(53A, 53B)는 폐쇄 위치에서 서로에 접촉하고, 백은 도어(53A, 53B) 사이에서 폐쇄된다. 스프링(52', 55)을 포함하는 작동 기구(50)의 다양한 스프링이, 도어(53B)가 폐쇄 위치에서 도어(53A)와 접촉하여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스프링(53A')이 또한 이 평형 상태에 기여를 할 수 있다. 더욱이, 링크(52)에 대한 중력이 도어(53B)에 당김력을 가할 수 있다. 슬롯(52B)의 정상부가 종동자(54A)를 누름으로써, 도어(53A, 53B)는 그들 사이에서 백을 압착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카세트(20)는 오랜 기간 동안 충분한 필름을 제공하며, 그래서 더 적은 교체 카세트가 필요할 수 있다.
작동 기구(50)의 페달(51)이 눌리면, 뚜껑(42)이 위로 열리고, 예컨대 제 1 링크(52)와 제 2 링크(54)를 포함하는 링크 어셈블리는 도어(53B)가 스프링(55)의 작용이 아닌 다른 작용으로 아래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더 이상 억제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어(53B)에 대한 폐기물의 중량 및/또는 손의 압력에 의해, 도어(53B)가 용기(30) 내측의 회전 위치로 쉽게 회전될 수 있다. 더욱이,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개방 회전 위치로 회전 가능한 양 도어(53A, 53B)를 가짐으로써, 부피를 갖는 백은 개구(33)의 이 무시하지 못할 면적 또는 단면에 의해 용기 밖으로 당겨질 수 있다. 이리하여, 사용자는 위쪽에서 장치(10)를 비울 수 있다.
도면, 특히 도 15 - 2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폐기물 처리 장치(이하, "장치"라고 함)가 전체적으로 참조 번호 "110"으로 나타나 있다. 이 장치(110)는 필름 분배 카세트(120)(이하 "카세트"(120)라고 함)를 사용하는 종류이다. 다른 적절한 종류의 백 분배기도 장치(110)에 사용될 수 있다. 장치(110)는 용기(130), 뚜껑 어셈블리(140) 및 작동 기구(150)를 포함한다.
용기(130)는 장치(110)의 구조체를 형성하고, 폐기물을 담는 관형 백을 수용하여 숨기게 된다. 용기(130)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적절한 기하학적 구조라도 고려된다.
뚜껑 어셈블리(140)는 용기(130)의 정상 개구를 개폐하며, 그 정상 개구를 통해 폐기물이 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백 안으로 투입된다.
작동 기구(150)는 수동으로 작동되어, 뚜껑 어셈블리(140)를 개폐하고, 또한 백을 폐쇄하여 그 백 안의 냄새를 밀봉하는 한쌍의 죠오와 상호 작용한다. 그 죠오는 뚜껑 어셈블리(130)의 뚜껑이 폐쇄되면 백이 폐쇄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6 - 19를 참조하면, 카세트(120)가 더 상세히 나타나 있고, 그 카세트의 부품들이 120대의 숫자로 함께 나타나 있다. 카세트(120)의 내부가 도 16에 나타나 있다. 카세트(120)는 기다란 형상을 갖는 케이싱(121) 또는 본체를 갖는다. 케이싱(121)은 서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케이싱(121)은 판(122) 및 커버(123)를 갖는다. 판(122)은 여기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사용될 때 일반적으로 카세트(120)의 바닥 부분이다. 판(122)은 대략적으로 평평한 부분(122A)을 가지며, 그래서 그의 하측 표면은 평면형 슬라이딩 표면을 형성한다. 한쌍의 지지부(122B)가 평평한 부분(122A)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다. 지지부(122B)는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플레인 저널 베어링을 규정할 수 있다. 지지부(122B) 중의 하나 또는 둘 모두는 홈(122C)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판(122)은 평평한 부분(122A), 지지부(122B) 및 홈(122C)을 포함하는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단일체일 수 있다. 판(122)은 비교적 얇고 폴리머, 판지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음에 따라, 변형 능력을 가질 수 있는데, 즉 도 16의 평평한 상태로부터 벗어나 휘어질 수 있다. 휨은 양호한 운동 범위에 대해 탄성 변형일 수 있다.
계속 도 16을 참조하면, 커버(123)는 그의 중공 형상으로 공동부를 형성한다. 커버(123)는, 판(122)의 평평한 부분(122A)과 함께, 카세트(120)의 노출된 주변 표면의 대부분을 형성하는 벽(123A)을 갖는다. 지지부(123B)는 벽(123A)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해 있고, 판(122)의 지지부(122B)와 대향하여 짝을 이루도록 위치된다. 각 쌍의 한 지지부(122B) 및 한 지지부(123B)는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플레인 저널 베어링을 규정하며, 그래서 축이 자체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플레인 저널 베어링 사이에 있는 벽(123A)의 일부분은, 벽(123A)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찢어져 떨어질 수 있는 도어(123C)일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인열선(123D)이 벽(123A)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도어(123C)의 경계를 이룰 수 있다. 인열선(123D)은, 도어(123C)의 분리를 용이하게 해주는, 벽(123A)에 있는 더 얇은 웨브 또는 일련의 천공부일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 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어(123C)를 잡기 위한 개구(123E)가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도어가 없고, 벽(123A)은 단순히 선(123D)에서 개방된다. 라벨, 플라스틱 필름, 랩핑 등과 같은 다른 요소가 (예컨대, 도어가 없는 경우에) 개구를 일시적으로 폐쇄하기 위해 대안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도 18 및 19는 일단 도어(123C)(존재하면)가 제거되면 개구(123E)의 크기의 정도를 나타낸다. 개구(123E)는 판(122) 또는 그 근처까지 연장되어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벽(123A)의 작은 웨브가 남아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커버(123)는 벽(123), 지지부(123B) 및 도어(123C)(존재한다면)를 포함하는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단일체일 수 있는데, 하지만 다른 구성도 고려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백 또는 필름(125)의 롤을 지지하는 축(124)이 플레인 저널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고, 그래서 축(124)은 자체로 구를 수 있다. 축(124)은 그의 단부 근처에서 한쌍의 플랜지(124A)를 가질 수 있다. 축(124)은 상보적인 인터페이스 부재(124B)로 서로 연결되는 2개의 축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플랜지(125A)와 인터페이스 부재(124B)를 포함하는 2개의 축 부분은 동일하고, 그리하여 축(124)은 2개의 동일한 요소로 만들어진다. 요소는 몰딩될 수 있고 또는 다른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인터페이스 부재(124B)는 서로 접촉하는 훅크 표면(124C)을 갖는 훅크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훅크 표면(124C)의 각도는, 인터페이스 부재(124B) 사이의 상호 연결을 향상시키도록 주어진 범위 내에 있다. 각도 범위는 축(124)의 길이 방향 축선(X) 및 이 길이 방향 축선(X)이 수직인 평면에 대해 표현될 수 있다. 평면은 도 16에서 Y로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각도(도 16에서 θ로 나타나 있음)는 일 실시 형태에서 0도 내지 45도이다. 그 각도(θ)는 또한 45도 보다 클 수 있다. 인터페이스 부재(124B)의 구성의 결과로, 축(124)의 두 부분은 엄격히 길이 방향 축선(X)을 따르는 당김력으로부터 서로 멀어지게 당겨지지 않을 수 있지만, 축(124)의 어떤 부분에 작용하는 반경 방향 힘으로 인해 축(124)이 두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
조립된 축(124)에 있는 플랜지(124A)에서 플랜지(124A)까지의 길이는, 플랜지(124A)가 플레인 저널 베어링의 원위 면에 있고 유격이 거의 또는 전혀 없어 축(124)이 그의 길이 방향 축선(X)을 따라 움직일 수 없거나 최소한으로 움직이도록 정해진다. 더욱이, 한 플랜지(124A)는 홈(122C)에 수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4-점 직사각형 구조 또는 버팀부가 축(124), 지지 쌍(122B/122C)의 플레인 저널 베어링 및 평평한 부분(122A)에 의해 형성된다. 축(124)의 두 축 부분이 도 15에 나타나 있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면, 결과적인 버팀부가 평평한 부분(122A)의 변형을 막게 된다.
필름의 롤(125)은 조립된 축(124) 상에 있고, 그래서 축(124)을 코어라고 할 수 있다. 필름, 백, 관 등의 표현은 롤(125)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롤(125)은 끝과 끝이 연결되는 관형 필름으로 만들어진 백을 가지며, 롤(125)의 자유 단부는 백의 개방 단부로 규정된다. 이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세트(120)는 롤(125)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되어 유지되는 상태에서 장치(110)의 바닥에 위치될 수 있고, 롤(125)의 필름은 장치(110)의 정상부까지 위쪽으로 당겨져 개방된 상태로 매달려 있다. 롤(125)의 다른 단부는 축(124) 상에 감길 수 이다. 롤(125)의 다른 단부는 축(124)에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롤(125)의 다른 단부가 축(124)에 부착되기 위한 유지 수단, 예컨대, 접착제, 테이프, 또는 축(124)에 있는 슬릿 또는 그립퍼가 존재할 수 있다. 롤(125)을 축(124) 상에 감음으로써, 축(124)의 두 부분이 인터페이스 부재(124b)에 연결되어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롤(125)의 감음은, 축(124)의 두 부분 사이에 반경 방향 유격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게 하기에 충분히 타이트하다. 카세트(120)에는 백의 롤(125)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고, 사용자가 케이싱(121)을 열어 백의 교체 롤(125)을 삽입하게 된다.
도 4 내지 19를 참조하면, 카세트(120)는 림(rim)(126)을 가질 수 있다. 이 림(126)은, 카세트(120)의 바닥에 형성된다. 림(126)은 커버(123)를 넘어 연장되어 있는 판(122)의 일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림(126)은 판(122)을 넘어 연장되어 있는 커버(123)의 플랜지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내지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림(126)은 판(212)의 일부분과 커버(123)의 바닥에 있는 플랜지 둘 다의 조합일 수 있다. 림(126)은 케이싱(121) 주위에 있는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인 많은 세그먼트를 가질 수 있다. 림(126)은 서로 평행한 대략적으로 곧은 2개의 세그먼트를 가질 수 있고, 한 세그먼트가 도 17 - 19에 "126A"로 나타나 있다. 세그먼트(126A)는, 카세트(20)와 장치(10) 사이에서 병진 운동/슬라이딩 조인트의 일부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음에 따라 병진 운동 조인트 부재(슬라이딩 조인트 부재, 슬라이더 등이라고도 함)로서 설명될 수 있다. 림(126)은 어깨부(들), 플랜지, 립, 스트립 등이라고도 할 수 있다.
도 16 - 19를 참조하면, 카세트(120)는 케이싱(121)의 일 단부에서 헤드(127)를 가질 수 있다. 이 헤드(127)는 판(122) 및/또는 커버(123)에 의해 규정될 수 있고, 하지만, 헤드는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대개 커버(123)의 일부분으로 나타나 있다. 헤드(127)는 커버(123) 보다 큰 단면 치수를 갖는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테에서, 헤드(127)는 역 U 윤곽을 갖지만, 다른 형상도 고려된다.
카세트(210)를 설명했기 때문에, 카세트(120)로부터의 필름의 전개를 설명한다. 카세트(120)가 도 17에서 처럼 개구(123E)를 덮는 도어(123C) 또는 랩핑 또는 유사한 막과 함께 주어지면, 도어(123C), 랩핑 또는 막을 도 18에 나타나 있는 방식으로 멀어지게 당겨, 카세트(120)의 내부, 특히 롤(125)을 노출시킨다. 롤(125)의 자유 단부는, 이 롤(125)의 자유 단부가 끌어 당겨지도록 도어(123C), 랩핑 또는 막에 연결될 수 있다(예컨대, 테이프로). 그런 다음에 롤(125)의 자유 단부는 도 19에 나타나 있는 방식으로 개구(123E)를 통해 케이싱(121) 밖으로 나올 수 있으며, 그래서, 롤(125)이 케이싱(21) 안에 유지된 상태에서, 그 필름을 케이싱(121) 밖으로 끌어 당길 수 있다. 롤(125) 상의 필름의 단부에 도달하면, 축(124)은 더 이상 필름 랩핑에 의해 일체형으로 유지되지 않으며, 그라하여 축(124)은 인터페이스 부재(124B)에서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롤(125) 상의 필름의 단부가 축에 부착되는 경우(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은 접착제로), 필름에 대한 당김이 축(124)을 2개의 부분으로 분리시키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는데, 하지만 축(124)을 2개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데에는 중력으로 충분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축(124)은 단일 부분으로 만들어지지만, 붕괴 가능한 재료(예컨대, 판지 축 또는 코어)로 만들어 진다. 이러한 경우에, 축(124)에 부착되어 있는 필름을 위쪽으로 당기면, 축(124)이 붕괴될 수 있다. 축(124)이 두 부분으로 분리될 때, 또는 축(124)이 붕괴될 때, 축(124)이 기여한 버팀이 단절되며, 그리하여 카세트(120)가 어느 정도의 구조적 무결성 및 굴곡 강성을 상실하게 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용기(130)는 기부(131) 및 정상부(132)를 가질 수 있고, 이들 기부와 정상부는 용기(130) 내부에의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분리 가능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장치(10)가 사용될 때 기부(131)는 지상 또는 바닥에 놓이게 된다. 기부(131)는 용기(130) 내의 백을 위한 안내부로서 역할할 수 있는 단부 개방형 바스켓(131A)을 가질 수 있다. 카세트(120)를 용기(130) 내부에 삽입하기 위한 개구(131B)가 기부(131)의 외측 표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개구(131B)의 상측 부분은, 도 15, 20 및 2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장치(110)에서 카세트(120)의 어셈블리의 상보적인 연속적인 마무리를 위해, 카세트(120)의 헤드(127)의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작동 기구(150)의 페달이 또한 개구(131B) 밖으로 돌출할 수 있다. 페달이 피봇식으로 지지되도록, 기부(131)는 한 가능한 실시 형태로서 플레인 베어링으로서 작용하는 피봇 지지부(131C)를 가질 수 있다. 피봇 지지부(131C)는, 정상 개구를 가지며 카세트(120)와 페달을 수용하는 마운트(131D)의 일부분일 수 있다. 기부(131A)의 다양한 구성품들이 단일 요소로 일체적으로 몰딩될 수 있거나 많은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용기(130)는 또한 단일 관형 유닛일 수 있지만, 다른 구성물, 예컨대, 구조 비임 위에 있는 직물 또는 패널링의 관 또는 슬리브도 고려된다. 개구(133)는 용기(130)의 정상부에 있다. 개구(133)는 백 내의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 용기(130)의 내부에의 접근을 제공한다.
상측 환형 칼라(134)가 개구(133)를 둘러싸고, 뚜껑 어셈블리(140)와 용기(130)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상측 환형 칼라(134)는 U-형 단면을 갖는 스커트(134A)의 정상부에 있을 수 있어, 아래쪽으로 향하는 환형 공동부를 형성한다. 백 훅크(135)가 개구(133)의 근처에 위치될 수 있고, 카세트(120)에 의해 분배되는 백을 위한 부착물로서 역할한다. 백 훅크(135) 중의 4개가 용기(130)에 있지만(2개를 볼 수 있음), 더 많거나 더 적은 백 훅크가 있을 수 있다. 4개의 백 훅크(135)는 개구(133)의 코너에 있을 수 있고, 그 개구는 스쿼클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을 갖는다. 개구(133)가 둥글면, 백 훅크(135)는 많은 다른 예들 중에서도 특히 0/90/180/270도 또는 0/120/240도로 분산될 수 있다. 일 예로, 서로 정반대쪽에 있는 2개의 기다란 백 훅크(135)가 있을 수 있다. 백 훅크에 대한 대안으로서, 용기(130)는 백의 부착을 위해 그의 칼라(134)에 의존할 수 있고, 백의 정상부는 칼라(134) 위에 접히고 마찰로 유지된다.
힌지식 도어 지지부(136)가 개구(133)에 인접하여 스커트(134A)에 형성될 수 있고, 이 힌지식 도어 지지부는, 백 내의 냄새를 밀봉하도록 백을 폐쇄시키면서, 개구(133)로부터 용기(130) 내부에의 접근을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도어를 힌지식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힌지식 도어 지지부(136)는 피봇(들) 및/또는 피봇 구멍(들)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식 뚜껑 지지부(137)가 용기(130)의 외부 표면에 인접하여 정상부(132)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 뚜껑 지지부는 또한 개구(133)로부터 용기(130) 내부에의 접근을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뚜껑 어셈블리(1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뚜껑 어셈블리(140)가 회전되면, 장치(110)의 다양한 구성품들이 노출될 수 있다. 힌지식 뚜껑 지지부(137)는 피봇(들) 및/또는 피봇 구멍(들)을 포함할 수 있다.
뚜껑 어셈블리(40)를 도 15의 폐쇄부에 해제 가능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 핑거(138)가 정상부(132)에서 힌지식 뚜껑 지지부(137)의 반대측에 제공될 수 있다. 유지 핑거(138)는 외팔보형일 수 있어, 힌지식 뚜껑 지지부(137)를 탄성 변형 편향으로 유지한다.
안내 아암(139)이 용기(130)의 정상부(132)로부터 용기(130)의 내부 공동부 안으로 돌출하도록 제공될 수 있고,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작동 기구(150)의 구성품을 슬라이딩식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5 및 20을 참조하면, 뚜껑 어셈블리(140)는 환형 기부(141)를 갖는다. 이 환형 기부(141)의 기하학적 구조는, 상측 환형 칼라(134)를 포함하여 용기(130)의 정상부(132)의 상단부에 상보적이다. 따라서, 뚜껑 어셈블리(140)의 환형 기부(141)는 용기(130)의 상단부에 안착된다. 환형 기부(141)는 또한 칼라(134)를 그의 하향 개방 환형 공동부 안에 숨겨 덮는, 도 15에서와 같은 스커트형 본체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환형 기부(141)는 예컨대 도 15의 폐쇄 배향으로부터 도 20의 개방 배향으로 회전하도록 힌지식 뚜껑 지지부(137)에 연결되어 있다. 환형 기부(141)는 피봇 구멍, 피봇 등과 같은 상보적인 힌지 조인트 부품(들)(141A)을 갖는다. 유지 핑거(138)가 탭(tab)(141B)과 협력하여 환형 기부(141)를 도 15의 폐쇄 배향으로 유지시킨다. 멈춤쇠가 존재하여 유지 핑거(138)와 탭(141B) 사이의 상호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환형 기부(141)를 당기면, 유지 핑거(138)와 탭(141B) 사이의 결합을 해제시키는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압입 끼워맞춤, 신속 연결 시스템, 나사 결합 등과 같은 다른 상호 연결 구성이 고려된다. 환형 기부(141)는 예컨대 도 20의 개방 배향으로 회전되어 백을 칼라(134)에 부착하거나 그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뚜껑(142)이 힌지(143)에 의해 환형 기부(141)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뚜겅(142)은 도 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개방 위치와 도 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폐쇄 위치에서, 뚜껑(42)은 개구(133)를 차단한다. 개방 위치에서, 개구(133)는 노출되어, 사용자가 폐기물을 장치(10) 내의 백 안으로 넣을 수 있다.
도 15 및 20 - 23을 참조하면, 작동 기구(150)는 사용자에 의해 페달(151)과 상호 작용 연결되는 링크 기구(즉, 링크 및 조인트)로 이루어진다. 페달(151)은 용기(130)의 기부(131)에 피봇식으로 연결된다. 페달(151)의 전방부는 용기(130)의 전방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고 지상에 가까우며, 그래서 사용자가 페달(151)의 노출된 부분을 간단히 눌러 장치(110)의 뚜껑(142)을 열 수 있다. 장치(110)에는 손 레버 등과 같은 대안적인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페달(151)과 카세트(120) 사이의 특정한 상호 작용이 있을 수 있는데, 이는 도 24를 참조하여 뒤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 1 링크(152)가 용기(130)의 내부에서 페달(151)의 후방부에 연결된다. 제 1 링크(152)는, 병진 운동(즉, 상하 운동)에 제한되도록, 기부(131)와 정상부(132)에 있는 개구와 같은 용기(130) 내의 구조적 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2 및 2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페달(151)의 전방부를 아래로 누르면, 제 1 링크(152)가 위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다음에 페달(151)을 놓아주면, 제 1 링크(152)가 예컨대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계속 도 15 및 20 - 23을 참조하면, 제 1 링크(152)는 뚜껑 밀기 단부(152A)를 갖는다. 이 뚜껑 밀기 단부(152A)는 힌지(132)에 인접해서 뚜껑(142)에 접촉한다. 따라서, 제 1 링크(152)의 단부(152A)가 위쪽으로 움직이면, 뚜껑(142)에 대한 단부(152A)의 밀기 작용에 의해 뚜겅(142)이 열리게 된다. 유사하게, 제 1 링크(152)가 아래쪽으로 움직이면, 단부(152A)의 후퇴 운동에 의해 뚜껑(142)이 폐쇄 위치 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페달(151)의 운동을 뚜껑(142)에 전달하는 것에 추가로, 작동 기구(150)는 백을 폐쇄 상태로 밀봉하는 도어(153)를 도와줄 수 있다. 도어(153)는 상보적인 피봇 조인트 부품(예컨대, 피봇(들) 및/또는 피봇 구멍(들))에 의해 힌지식 도어 지지부(136)에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편향 부재가 존재하여 도어(153)를 도 15의 통상적인 폐쇄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도어(153)들은 서로 접촉하여 백이 개구를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크기 결정되어 있다(예컨대, 칼라(34)에 부착됨). 도어(53) 각각은 그의 일체적인 부분이거나 그에 강성적으로 연결되는 아암(153A) 또는 아암들(153A)을 가질 수 있어, 아암(153A)은 도어(153)와 동시에 움직이게 된다. 아암(153A)은 스커트(134A)의 환형 공동부 내에 숨겨지도록 도의 아치 향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링크(154)가 예컨대 포크(154A) 및 피봇을 통해 용기(130) 내부에서 페달(130)의 전방부에 연결된다. 제 2 링크(154)는, 병진 운동(즉, 상하 운동)에 한정되도록, 제 2 링크(154)의 정상부에 있는 슬롯(154B)에 수용되는 정상부(132)의 안내 아암(139)과 같은 용기(130) 내의 구조적 요소에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2 및 2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페달(151)의 전방부를 아래로 누르면, 제 2 링크(1542)가 아래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다음에 페달(151)을 놓아주면, 뚜껑(142)이 제 1 링크(152)에 반력을 일으킴에 따라, 제 2 링크(154)가 예컨대 중력에 의해 위쪽으로 움직이게 된다.
계속 도 15 및 20 - 23을 참조하면, 제 2 링크(154)는 도어 밀기 단부(154C)를 갖는다. 이 도어 밀기 단부(154C)는 주어진 경우에 아암(153)과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5에서 처럼, 페달(151)을 누르지 않으면, 도어 밀기 단부(154C)가 아암(153A)과 접촉하여, 백이 도어들 사이에 폐쇄되어 차단된 상태에서, 도어(153)들이 서로에 눌리는 것을 보장하며, 그래서 냄새가 백에서 나가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도 22 및 23에서 처럼 페달(151)이 아래쪽으로 눌리면, 도어 밀기 단부(154C)가 하강되어, 도어(153)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페달(151)이 아래쪽으로 눌리면, 뚜껑(142)이 상승되어, 개구(133) 및 도어(153)가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대상물을 버릴 수 있다. 그 대상물의 중량은 스프링(들) 또는 유사한 편향 기구의 편향 작용 보다 클 수 있어, 도어(153)가 일시적으로 열려 대상물(들)이 통과할 수 있다. 일단 대상물이 도어(153)를 넘어 백 안으로 들어가면, 도어(153)는 폐쇄 위치로 복귀하고 백을 그들 사이에 압착한다. 그러므로, 페달(151)이 하강되면, 도어 밀기 단부(154C)는 아암(153A) 또는 도어(153)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페달(151)을 놓아주면, 제 2 링크(154)가 위쪽으로 움직여, 도어 밀기 단부(154C)가 도어(153)를 눌러, 도어가 도 15에 나타나 있는 방식으로 서로에 강제 접촉하게 된다.
도 21을 참조하면, 예컨대 새로운 카세트(120)가 장치(110)에 삽입될 때 가끔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도어 차단 구성이 나타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페달(151)은 아래쪽으로 눌리며, 그래서 뚜껑(142)이 개방 또는 상승된 배향으로 있다. 페달(151)이 아래쪽으로 눌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 밀기 단부(154C)가 하강된다. 사용자는 도 21의 방식으로 도어(153)를 안쪽으로 밀 수 있다. 이때, 아암(153A)은 도어 밀기 단부(154C)에 의해 스냅될 것이며, 도 15의 폐쇄 위치로 복귀하는 것이 차단될 것이다. 도어(153)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백이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개구(133)를 통해 용기(30) 내부에 도달하여 백 롤(125)의 자유 단부를 카세트(120) 밖으로 위쪽으로 끌어 당겨 그 자유 단부를 훅크(135)에 부착할 수 있다. 일단 그렇게 되면, 페달(151)에 대한 압력을 해제하면, 환형 기부(141)와 뚜껑(142)이 하강될 것이다. 제 2 링크(152)는 위쪽으로 움직여, 도어 밀기 단부(54C)는 더 이상 아암(153A)을 막지 않는다. 도어(153)는, 도어 사이에 백이 압착된 상태에서, 도 15의 폐쇄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백이 채워져서 교체가 필요하면, 페달(151)을 누르지 않고 전체 뚜껑 어셈블리(140)가 도 20에서 처럼 멀어지게 회전된다. 그래서, 훅크(135)에 부착되어 있는 백의 정상 단부가 노출된다. 백의 정상 단부는 훅크(135)로부터 분리되고, 위쪽으로 당겨질 수 있다. 도 20에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어(153)에 대한 유일한 구속 조건은 편향 작용이다. 따라서, 백에 대한 양호한 위쪽 당김에 의해 도어(153)가 도 20에서 처럼 위쪽으로 회전된다. 그러므로 백은 위쪽 당김에 의해 용기(13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백은 롤(125)의 일부분이기 때문에, 다음 백이 칼라(134)의 높이까지 동시에 당겨지게 된다. 가득찬 백이 롤(125)로부터 분리되면, 롤(125)에 있는 다음 빈 백이 칼라(134)에 부착될 수 있다.
이제 도 24 - 28을 참조하면, 장치(110)의 일부분이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는 페달(151)의 실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페달(151)은 도 22 및 23에 있는 기부(131) 중의 하나와 유사하지 않을 수 있는 피봇(510) 및 지지부에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도 10 - 14를 페달(151)의 구성에 집중시키기 위해 피봇(510) 및 지지부는 단순화될 수 있다.
페달(151)은 전방 페달 부재(511) 및 후방 페달 부재(512)를 갖는다. 전방 패달 부재(511)는, 발에 의해 눌리도록 용기(130) 밖으로 돌출하는 페달(151)의 일부분이다. 후방 페달 부재(512)는 용기(130) 내부에 숨겨지고, 제 1 링크(152)에 연결되어 있어 페달(151)의 운동을 전술한 바와 같은 뚜껑(142)에 전달하게 된다. 전방 페달 부재(511) 및 후방 페달 부재(512)는 피봇(510)에 독립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도 2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방 페달 부재(511)를 누르면, 전방 페달 부재(511)만 회전할 수 있고, 후방 페달 부재(512)는 움직이지 않는다.
전방 페달 부재(511) 및 후방 페달 부재(512)는 카세트 수용 표면(513)을 동시에 규정할 수 있다. 카세트 수용 표면(513)은 카세트(120)의 바닥 표면에 따라 성형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 형태에서, 카세트 수용 표면(513)은 대략적으로 평평하지만, 레일, 채널 등이 카세트(120)의 바닥 표면에 존재할 수 있고 상보적으로 성형된다. 브라켓(514)이 카세트 수용 표면(513)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고, 역 L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브라켓(514)들이 서로 거리를 두고 있어 카세트(120)를 위한 안내로를 형성한다. 더 구체적으로, 브라켓(514)은 카세트의 림(126)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도 17). 일 실시 형태에서, 림(126)은 브라켓(514)에 수용될 수 있는 한쌍의 곧은 평행한 세그먼트를 갖는다. 그러므로 카세트(120)는 슬라이딩하여 페달(151)과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카세트(120)의 바닥 표면은 카세트 수용 표면(1513)에 접촉해 있고, 림(126)의 곧은 세그먼트는 선두 브라켓(514A) 안으로 삽입되고, 이 선두 브라켓은 후방 페달 부재(512) 쪽으로 테이퍼져 있는 더 큰 입구 높이를 갖거나 갖지 않을 수 있다. 후방 페달 부재(512)의 선두 브라켓(514)이 또한 그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4 - 28에서, 선두 브라켓(514)은 다음 테이퍼를 갖는 더 큰 입구 높이를 갖는다. 따라서, 슬라이딩 조인트(병진 조인트라고도 함)가 카세트(120)와 페달(151) 사이에 제공된다. 슬라이딩 조인트는 필요치 않을 수 있지만, 일 실시 형태에서 카세트(20)는 적절한 커넥터, 클팸프에 의해 페달(151)에 강성적으로 연결된다. 예컨대, 카세트(1120)는 전방 페달 부재(511) 및 후방 페달 부재(512)에 볼트 결합되거나 클램핑되거나 체결될 수 있어, 강성적인 어셈블리가 형성된다. 도 22 및 2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카세트(120)와 페달(151) 사이의 연결은, 전방 페달 부재(511) 및 후방 페달 부재(512)가 동시에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접촉부(515)가 후방 페달 부재(512)에 형성되어 페달(151) 상의 카세트(20)의 위치를 구속한다. 접촉부(515)는 후방 페달 부재(512)에 있을 수 있고, 도에서 처럼 스프링을 가질 수 있고 또는 전방 페달 부재(511)(존재한다면)에 있을 수 있다. 카세트(20)의 헤드(127)가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카세트(20)의 내향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외팔보형 설부(516)가 전방 페달 부재(511)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여, 카세트(120)를 페달(151) 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외팔보형 설부(516)는 카세트(120)를 제거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7에 나타나 있는 방식으로 카세트(120)가 페달(151)에 있으면, 전방 페달 부재(511) 및 후방 페달 부재(512)는 동시에 움직인다. 페달(151)은 전방 페달 부재(511) 및 후방 페달 부재(512)가 함께 움직이도록 카세트(120)의 버팀에 의존한다. 그러나, 축(124)이 전술한 바와 같이 분할되거나 붕괴되면, 축이 필름 밖으로 나옴에 따라, 카세트(120)는 그의 구조적 힘을 잃고 휘어질 수 있다. 이는 도 28에 나타나 있는데, 이 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카세트의 개구(123E)는 전방 페달 부재(511)와 후방 페달 부재(512) 사이의 분리부와 겹친다. 카세트(120)의 더 약한 부분이 분리부 위에 있음에 따라, 전방 페달 부재(511)가 회전될 때 카세트(120)가 휘어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한 페달의 작동에도 불구하고, 뚜껑(142)은 움직이지 못한다. 이는, 장치(110) 내의 카세트(120)에서 필름/백이 다 소진됨에 따라 사용자가 카세트(120)를 교환해야 함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설부(516)를 눌러 빈 카세트(120)를 밖으로 당길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은 점을 포함한다: 도어(153)를 위한 상이한 형상; 도어(153) 중의 하나가 움직일 수 있음; 단일 도어(153)가 존재함; 롤(125)의 관형 필름을 위한 EVOH의 사용; 카세트(120)가 없고 대신에 단일 백을 갖는 장치(110)의 사용; 카세트(120)의 일부분이 아닌 백 롤을 갖는 장치(110)의 사용; 다른 종류의 장치(110), 예컨대, 도어와 작동 기구(150)가 없는 원통형 용기에 카세트가 사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폐기물 처리 장치로서,
    정상 단부에서 개구를 가지며, 이 개구를 통해 접근 가능한 내부 공동부를 규정하는 용기 - 상기 개구에 있는 백(bag) 인터페이스가 용기의 개구에서 개방되는 백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백의 폐쇄 단부가 상기 내부 공동부 안에서 연장되어 있음 -;
    상기 개구를 통한 접근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용기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도어 사이를 통과하는 백의 일부분을 폐쇄하도록 되어 있는 한쌍의 도어 - 도어는 도어가 만나서 상기 개구를 통한 접근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부터, 도어가 내부 공동부로부터 멀어지게 회전되는 제 1 회전 위치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도어 중의 적어도 하나는 내부 공동부 쪽으로 가는 제 2 회전 위치로 회전 가능함 -: 및
    상기 도어 중의 적어도 하나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그 도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폐쇄 위치로 편향시키는 작동 기구를 포함하는 폐기물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노출시키거나 숨기기 위해 상기 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뚜껑을 더 포함하는 폐기물 처리 장치.
  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기구는 사용자에 의해 작동 가능한 페달을 가지며, 작동 기구는, 상기 페달과 상호 작용 연결되고 상기 뚜껑을 개폐하기 위해 뚜껑에 연결되어 있는 링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폐기물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페달이 눌릴 때 상기 도어 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 1 회전 위치로 회전하는 것을 막는, 폐기물 처리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내부 공동부 안에서 대략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병진 운동하는 제 1 링크를 가지며, 제 1 링크는, 상기 뚜껑을 변위시켜 개구에의 접근을 개방하기 위해 뚜껑과 접촉하는 정상 밀기 단부를 갖는, 폐기물 처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는 상기 페달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폐기물 처리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회전 자유도와 병진 운동 자유도를 제공하는 조인트에 의해 제 2 링크가 상기 제 1 링크에 연결되어 있고, 제 2 링크는 상기 도어 중의 하나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폐기물 처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적어도 한 세트의 종동자와 안내 슬롯인, 폐기물 처리 장치.
  9.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는 상기 뚜껑과 접촉하는 2-갈래형 단부를 갖는, 폐기물 처리 장치.
  10. 제 3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폐쇄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링크 어셈블리를 최하측 위치로 편향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편향 유닛을 포함하는 폐기물 처리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정상부와 기부를 포함하고, 정상부는 용기의 내부 공동부에의 접근을 위해 상기 기부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폐기물 처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백의 롤을 분배하는 카세트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세트 격실을 규정하는, 폐기물 처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중의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폐기물 처리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상기 격실 내의 카세트를 위한 해제 가능한 연결부를 갖는, 폐기물 처리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주변은 도어 중의 하나가 상기 제 2 회전 위치로 움직이는 것을 막는 접촉부를 가지고 있는, 폐기물 처리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중의 하나를 상기 제 1 회전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편향시키는 편향 부재를 더 포함하는 폐기물 처리 장치.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칼라(collar)인, 폐기물 처리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칼라에 있고 바깥쪽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훅크를 포함하는 폐기물 처리 장치.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상호 반대 측에서 2개의 칼라를 포함하는 폐기물 처리 장치.
  20. 필름을 분배하기 위한 카세트로서,
    개구, 플레인 베어링 지지부 및 상기 개구의 반대편에 있는 변형 가능한 벽을 갖는 케이싱;
    상기 플레인 베어링 지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 및
    상기 축 상에 감겨 있는 필름 롤(roll)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 롤의 자유 단부는 상기 개구를 통해 분배 가능하며,
    상기 축, 플레인 베어링 지지부 및 변형 가능한 벽은 상기 카세트에 굴곡 강성을 제공하는 버팀부를 동시에 형성하며,
    상기 필름 롤이 축에서 분배될 때 축이 분리되거나 붕괴되어 카세트의 굴곡 강성이 줄어드는, 필름을 분배하기 위한 카세트.
KR1020217011403A 2018-09-20 2019-09-20 폐기물 처리 장치 및 필름 분배 카세트 KR202100613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34008P 2018-09-20 2018-09-20
US62/734,008 2018-09-20
PCT/CA2019/051346 WO2020056523A1 (en) 2018-09-20 2019-09-20 Waste disposal device and film dispensing casset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394A true KR20210061394A (ko) 2021-05-27

Family

ID=69886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403A KR20210061394A (ko) 2018-09-20 2019-09-20 폐기물 처리 장치 및 필름 분배 카세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10354912A1 (ko)
EP (1) EP3853153B1 (ko)
JP (1) JP7482114B2 (ko)
KR (1) KR20210061394A (ko)
CN (1) CN113348138B (ko)
AU (1) AU2019342090A1 (ko)
CA (1) CA3113367A1 (ko)
MX (1) MX2021003208A (ko)
WO (1) WO20200565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16514S1 (en) 2021-10-05 2024-03-05 Angelcare Canada Inc. Dispenser
WO2023180930A1 (en) 2022-03-22 2023-09-28 Castelao Soares Marco Antonio A computational method and system for the reliable blocklisting of a domain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3513Y2 (ko) * 1972-02-10 1976-06-16
BE795343A (fr) * 1972-02-22 1973-05-29 Pennsylvania Res Ass Inc Machine d'entrainement, de separation et d'empilage de feuilles
JPH0761503A (ja) * 1993-03-10 1995-03-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ごみ収納庫
US5322179A (en) 1993-06-17 1994-06-21 Ting Chi En Garbage can with garbage bags automatically deposited without manual handling
US5295607A (en) * 1993-07-29 1994-03-22 Chin-Chiao Chou Trash tank
US5505334A (en) 1994-11-16 1996-04-09 Modern Technological Systems, Inc. Trash container liner dispensing system
US5738239A (en) * 1996-11-04 1998-04-14 Innovative Product Development Corp. Trash container liner dispensing system
US6199714B1 (en) 1998-09-18 2001-03-13 Charlotte Annette Vaughn Thompson Waste receptacle with swept debris pick up and features to maximize convenient use of receptacle liners
US6981606B2 (en) * 2002-04-24 2006-01-03 Simplehuman Llc Trash can assembly
CA2412431A1 (en) 2002-11-20 2004-05-20 Louis Lefebvre Apparatus for packing objects into an elongated tube
US7168591B1 (en) * 2004-08-06 2007-01-30 Miller Christopher J Trash bag dispenser
US7406814B2 (en) 2005-04-25 2008-08-05 International Refills Company Ltd. Apparatus for packing disposable objects into an elongated tube of flexible material
CN2908409Y (zh) 2006-05-25 2007-06-06 戚程朋 方便垃圾桶
US20090126320A1 (en) 2007-11-16 2009-05-21 Playtex Products, Inc. Waste disposal devices and methods
WO2011011895A1 (en) * 2009-07-31 2011-02-03 International Refills Company Ltd. Waste disposal device
US9598207B2 (en) * 2012-03-05 2017-03-21 International Refills Company Ltd Waste-disposal device
US8978917B2 (en) * 2013-06-30 2015-03-17 1908 Brands, Inc. Waste containment receptacle
CN107207155A (zh) * 2014-12-11 2017-09-26 满趣健公司 用于收纳多种柔性袋组件的容器
CN205602493U (zh) * 2016-04-22 2016-09-28 广州市振兴实业有限公司 一种垃圾桶
WO2018107179A1 (en) 2016-12-09 2018-06-14 Mcconnell Thomas E System and apparatus for waste disposal and changing infant-toddler behavior
CN206345286U (zh) * 2016-12-13 2017-07-21 桂林电子科技大学 多功能智能垃圾桶
CN107380837A (zh) * 2017-08-23 2017-11-24 查尔斯·G·怀特 一种垃圾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53153A1 (en) 2021-07-28
JP7482114B2 (ja) 2024-05-13
US20210354912A1 (en) 2021-11-18
EP3853153A4 (en) 2022-05-25
WO2020056523A1 (en) 2020-03-26
EP3853153B1 (en) 2023-12-13
CA3113367A1 (en) 2020-03-26
EP3853153C0 (en) 2023-12-13
JP2022501288A (ja) 2022-01-06
AU2019342090A1 (en) 2021-05-20
MX2021003208A (es) 2021-06-23
CN113348138B (zh) 2023-12-01
CN113348138A (zh) 2021-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29656B1 (en) Wet tissue dispenser
US6206221B1 (en) Covering device
AU2010200585B2 (en) Wipes dispenser with anti-roping and anti-fallback features
US5810204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liquid soap or other liquids
KR20210061394A (ko) 폐기물 처리 장치 및 필름 분배 카세트
US20050077309A1 (en) Dispenser for sheet material
US20180141748A1 (en) Waste Disposal Device
EP2903491A1 (en) Dispensing system
RU278074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ления отходов и кассета для выдачи пленки
JP3875376B2 (ja) 蓋装置
JP3967432B2 (ja) 蓋装置
WO1998024989A1 (en) Dispensing device
JP4377461B2 (ja) 開閉自在容器
JP4408459B2 (ja) 蓋装置
JP3962131B2 (ja) 蓋装置
JP4500381B2 (ja) 開閉自在容器
JPH1179214A (ja) 蓋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