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1212A -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유상 베이스 조성물 - Google Patents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유상 베이스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1212A
KR20210061212A KR1020190149144A KR20190149144A KR20210061212A KR 20210061212 A KR20210061212 A KR 20210061212A KR 1020190149144 A KR1020190149144 A KR 1020190149144A KR 20190149144 A KR20190149144 A KR 20190149144A KR 20210061212 A KR20210061212 A KR 20210061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smetic composition
ceramide
oi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2242B1 (ko
Inventor
류근석
김성은
백정현
김지환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90149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242B1/ko
Publication of KR20210061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상 베이스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유상 베이스 조성물, 및 이를 기초로 한 맞춤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유상 베이스 조성물{liposome cosmetic composition, oil bas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상 베이스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유상 베이스 조성물, 및 이를 기초로 한 맞춤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라마이드는 각질 세포간 지질에 가장 중요한 지질로서 이의 농도가 감소하게 되면 각질층의 보호장벽기능이 감소되고, 여러 가지 피부과적 증상, 예컨대, 아토피 피부염 및 건선 증상 등이 나타난다고 보고되어 있다. 이를 위해 세라마이드를 화장품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세라마이드는 지용성 또는 난용성으로서 물에 녹지 않아 스킨과 같이 물로만 이루어지는 수상 제형의 화장료에는 사용이 불가하며, 세라마이드 성분을 가용화 혹은 리포좀화 하기 위한 기술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개발된 세라마이드 리포좀(이하 '세라좀'으로 명칭함) 기술은 그 자체로는 안정할 수 있으나, 스킨과 같은 수용성 화장료에 혼합 시 리포좀 내에 포접된 세라마이드의 석출 현상이 나타나며, 이를 안정화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또한 세라좀 내에 세라마이드 뿐만 아니라 오일을 다량 함유 시 스킨과 같은 수용성 화장료에 적용하여 피부에 보습감 및 유연감을 증가시켜 기존 스킨과는 차별화된 영양감 있는 사용감과 보습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그러나 리포좀 내 세라마이드 뿐만 아니라 오일을 다량 함유하여 리포좀을 제조하는 것은 내상의 hydrophobicity를 증가시켜 W/O로 전상(phase inversion)되는 현상 등 안정성 저해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포좀 내에 세라마이드 오일을 다량 함유한 리포좀의 피부에 보습감 및 유연감을 증가시키면서 리포좀 내에 존재하는 세라마이드 및 오일의 방출을 막고, 리포좀 입자 간 합일을 막아 안정성을 향상시킨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피부 타입에 따라 사용자에 맞춤하여 화장품을 제조하는 맞춤형 화장료 조성물의 유상 베이스로서 오일을 다량 함유하면서도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맞춤형 화장료 조성물의 유상 베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라마이드; 오일; 화학식 1의 계면활성제; 유기 용매;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물;을 포함하는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이고,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오일은 전체 조성물의 20중량%~60중량%을 포함하고,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화학식 2, 화학식 3, 및 화학식 4의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A는 알킬사슬로서, n은 12~18의 정수이다. B는 M이 1족 금속인 염이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A는 알킬사슬로서, n은 12~18의 정수이다.
B는 M이 1족 금속인 염이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4
A는 알킬사슬로서, n은 12~18의 정수이다.
B는 M이 1족 금속인 염이다.
상기 화학식 2 내지 4의 화합물에서 M은 나트륨, 칼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오일이 상기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의 30중량%~5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오일이 식물 기원의 트리글리세라이드 기반 오일인 올리브 오일, 포도씨 오일, 콘 오일, 마카다미아 오일, 메도폼 오일 그리고 C8-C30 지방산과 게르베 알코올의 에스테르로서, 특히 옥틸도데칸올 및 옥틸도데칸올 에스테르 예컨대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합성 에스테르 및 에테르, 특히 지방산 및/또는 지방 알코올의 에스테르 및 에테르, 예를 들어 화학식 R1COOR2 및 R1OR2의 오일 (식 중, R1CO 은 지방산 잔기를 나타내거나, R1은 탄소수 8 내지 29 의 지방 알코올 잔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3 내지 30 의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탄화수소-기반 사슬을 나타냄), 예를 들어 2-옥틸도데실 스테아레이트, 2-옥틸도데실 에루케이트 또는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히드록시화에스테르, 예를 들어 이소스테아릴 락테이트, 옥틸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실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트리이소세틸 시트레이트, 및 지방 알코올 헵타노에이트, 옥타노에이트 및 데카노에이트; 폴리올 에스테르, 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리콜 디옥타노에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헵타노에이트 및 디에틸렌 글리콜 디이소노나노에이트; 및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예를 들어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세라마이드가 세라마이드 EOP(Ceramide EOP), 세라마이드 NS(Ceramide NS), 세라마이드 NP(Ceramide NP), 세라마이드 AS(Ceramide AS) 및 세라마이드 AP(Ceramide A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기 용매가 글리세린, 1,3-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화학식 1의 계면활성제가 글리세린 인산기를 포함하고 있는 인지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화학식 2 내지 4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상기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의 0.1중량%~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유상 베이스 조성물의 총 중량의 0 ~ 7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상 베이스 조성물이 맞춤형 화장료 조성물의 베이스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은 세라마이드뿐만 아니라 다량의 오일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보습감 및 유연감을 증가시키면서도 수용성 화장료에 적용하여도 세라마이드 및 오일의 방출을 막고 리포좀 입자 간의 합일을 막을 수 있어 세라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은 다량의 오일을 함유하고 있으면서도 수상과의 혼합이 용이하고 안정성이 높아, 소비자 피부 타입에 따라 맞춤형 화장료를 제조할 때 유상 베이스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1은 실시예 1의 입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의 Zeta Potential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비교예 2의 입도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비교예 2의 Zeta Potential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세라마이드; 오일; 화학식 1의 계면활성제; 유기 용매;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물;을 포함하는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이고,
[화학식 1]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1의 계면활성제는 글리세린 인산기를 포함하는 인지질이다.
상기 오일은 전체 조성물의 20중량%~60중량%을 포함하고,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화학식 2, 화학식 3, 및 화학식 4의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6
A는 알킬사슬로서, n은 12~18의 정수이다.B는 M이 1족 금속인 염이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7
A는 알킬사슬로서, n은 12~18의 정수이다.
B는 M이 1족 금속인 염이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8
A는 알킬사슬로서, n은 12~18의 정수이다.
B는 M이 1족 금속인 염이다.
상기 화학식 2 내지 4의 화합물에서 M은 나트륨, 칼륨이 바람직하다.
세라마이드
세라마이드는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스핑고리피드(sphingolipid)계 화합물로서, 각각의 성질에 근거하여 sphingosine(S), phytosphingosine (PS) 또는 6-hydroxysphingosine (HS)라는 3가지 주요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이 sphingosine base에서 아마이드 결합(amide bond)을 통하여 long-chain non-hydroxy(N) 또는 α-hydroxy(A) 지방산에 붙어있는 acyl chain의 차이에 의해 화학적으로 다른 특성을 갖게 된다. 세라마이드는 주로 세포막 구성 인지질의 일종인 스핑고마이엘린(sphingomyelin:SM)으로부터 스핑고마이엘리나제 (sphingomyelinase: SMase)라는 효소의 가수분해 작용에 의해 생성되며, 피부 각질층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는 각질층의 주요 극성 지질 성분으로서, 수분과 함께 지질 2중막을 형성하여 항습 및 장벽기능을 갖게 하는 성분이다.
사람의 피부의 표면은 기저층으로부터 분화되어 성숙된 각질 형성 세포(keratinocytes)가 퇴화된 각질세포(corneocytes)로 보호되어 있으며, 이들 각질 세포들은 각질층에 다량 존재하는 세라마이드의 이중 사슬 라멜라 구조에 의하여 피부표면에 결합되어 있어서 피부가 탄력성을 유지하게 된다. 즉, 세라마이드가 층상구조로 나란히 배열되고, 그 사이에 수분이 충진되어 유지됨으로써 이 층상 구조가 전체적인 장벽기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고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피부 중의 세라마이드 수준을 높게 유지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세라마이드를 외부에서 보충함으로써 피부의 라멜라 구조를 회복시켜 피부를 정상상태로 회복시킬 수 있고, 세라마이드는 피부에 수분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피부의 수분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는 보습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으며, 손상된 피부 장벽의 회복을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세라마이드는 천연 세라마이드 및 유사 세라마이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세라마이드는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의 1.0 ~ 5.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라마이드는 sphingosine과 fatty acid로 구성되며 하기 화학식 5 로 대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며, 피부 각질층 내 존재하는 다양한 세라마이드인 화학식 6 내지 14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화학식 5]
Figure pat00009
(상기 식에서, R은 탄소수 12 내지 47의 직쇄 알킬기이며, 이중결합 및 에스터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pat00010
[화학식 7]
Figure pat00011
[화학식 8]
Figure pat00012
[화학식 9]
Figure pat00013
[화학식 10]
Figure pat00014
[화학식 11]
Figure pat00015
[화학식 12]
Figure pat00016
[화학식 13]
Figure pat00017
[화학식 14]
Figure pat00018
본 발명에서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세라마이드는 화학식 8로 표기되는 Ceramide 3 [NP]이고 이는 피부 각질층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는 Ceramide이기 때문이다.
오일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오일은 식물 기원의 트리글리세라이드 기반 오일인 올리브 오일, 포도씨 오일, 콘 오일, 마카다미아 오일, 메도폼 오일 그리고 합성 에스테르 및 에테르, 특히 지방산 및/또는 지방 알코올의 에스테르 및 에테르, 예를 들어 화학식 R1COOR2 및 R1OR2의 오일 (식 중, R1CO 은 지방산 잔기를 나타내거나, R1은 탄소수 8 내지 29 의 지방 알코올 잔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3 내지 30 의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탄화수소-기반 사슬을 나타냄), 예를 들어 2-옥틸도데실 스테아레이트, 2-옥틸도데실 에루케이트 또는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히드록시화에스테르, 예를 들어 이소스테아릴 락테이트, 옥틸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실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트리이소세틸 시트레이트, 및 지방 알코올 헵타노에이트, 옥타노에이트 및 데카노에이트; 폴리올 에스테르, 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리콜 디옥타노에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헵타노에이트 및 디에틸렌 글리콜 디이소노나노에이트; 및 펜타에리트리톨 에스테르, 예를 들어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적어도 6 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6 내지 26 개의 탄소 원자, 보다 더욱 6 내지 20 개의 탄소 원자, 심지어 보다 더욱 6 내지 16 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지방산, 및 1 내지 17 개의 탄소 원자, 보다 더욱 3 내지 15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알코올의 반응으로부터 유래된 에스테르; 특히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2-에틸헥실 카프레이트/카프릴레이트(또는 옥틸 카프레이트/카프릴레이트), 2-에틸헥실 팔미테이트, 이소스테아릴 네오펜타노에이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탄소수 12 또는 13 의 지방 알코올의 락트산 에스테르, 및 디카프릴릴 카르보네이트;
6 내지 20 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 개의 탄소 원자,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0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 알코올 에테르;
탄소수 6 내지 12 의 글리세롤 에테르, 예를 들어 글리세롤의 2-에틸헥실 에테르 (INCI 명칭: 에틸헥실 글리세롤);
카프릴산/카프르산 및 C12-C18 지방 알코올의 에스테르의 혼합물 예컨대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C8-C30 지방산과 게르베 알코올의 에스테르로서, 특히 옥틸도데칸올 및 옥틸도데칸올 에스테르 예컨대 옥틸도데실 미리스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오일은 이 중에서도 C8-C30 지방산과 게르베 알코올의 에스테르 및 지방산 및/또는 지방 알코올의 에스테르 및 에테르이며, 이는 난용성인 세라마이드 3[NP]의 용해도를 높여 리포좀 제조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리포좀 내 세라마이드의 석출을 막는 안정화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상기 오일은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의 20 내지 6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5중량%~45중량%가 바람직하다.
이는 보습감 및 유연감을 높이면서도, 추후 맞춤형 화장료 조성물의 유성 베이스로 사용하기 위하여, 20중량% 이상 포함되어야 하며, 60중량%보다 과량 포함되면, 세라마이드 등과 같은 유용성 성분의 함량이 줄어들어 피부 기능성 보강이 약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화학식 1의 계면활성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계면활성제 즉 글리세린 인산을 포함하고 있는 인지질을 포함하여야 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19
화학식 1의 글리세린 인산을 포함하고 있는 인지질은 생체 이중막을 구성하는 필수 구성 성분이며 우수한 생분해성, 무자극성, 무독성을 띠는 성분이다. 친수성을 띠는 head 그룹과 친유성을 띠는 두 개의 tail 그룹의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리포좀을 형성하는데 유리한 구조이다. 화학식 1의 글리세린 인산기를 포함하는 인지질 계면활성제의 X는 Phosphatidylcholine, Phosphatidylethanolamine, Phosphatidylinositol, Phosphatidylserine을 포함하고, R1, R2는 C12-C22의 지방산을 포함한다.
상기 인지질의 음이온은 특정의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음이온과 서로 반발하여 리포좀 계면의 전위차를 발생시켜 리포좀 내에 포접된 세라마이드와 오일의 방출을 막고, 리포좀 입자간 합일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인지질로는 글리세린 인산염을 포함하는 R1, R2가 C16~C18의 지방산을 가진 하이드로제네티드 인지질 등이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계면활성제는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의 2.0중량%~ 7.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용매
상기 용매는 주계면활성제인 글리세린 인산염을 포함하는 인지질이 용해될 수 있는 용매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며, 그 예로서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디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 이상의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리포좀 조성물의 20.00중량% ~ 40.0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음이온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4의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화학식 2]
Figure pat00020
A는 알킬사슬로서, n은 12~18의 정수이다.B는 M이 1족 금속인 염이다.
[화학식 3]
Figure pat00021
A는 알킬사슬로서, n은 12~18의 정수이다.
B는 M이 1족 금속인 염이다.
[화학식 4]
Figure pat00022
A는 알킬사슬로서, n은 12~18의 정수이다.
B는 M이 1족 금속인 염이다.
상기 화학식 2 내지 4의 화합물에서 M은 나트륨, 칼륨이 바람직하다.
이는 인지질 내 글리세린 인산염의 음이온과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음이온 간 반발력으로 인해 리포좀 계면 내 전위차가 발생되어 리포좀 내 세라마이드와 오일의 석출을 막고, 리포좀 간의 합일을 막아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에 의한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음이온 계면활성제 구조 중 B 부분의 에스테르기는 분자량이 다소 큰 bulky한 구조인 Glutamate, Sulfosuccinate, Sarcosinate 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C부분의 alkyl chain은 탄소수 14개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또한, 유기 용매, 오일, 세라마이드, 화학식 1의 계면활성제, 및 화학식 2,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의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균일하게 혼합하면서 70~90℃까지 가온하는 단계; 물(정제수)를 별도로 상기 혼합물의 가온 온도까지 가온시키는 단계; 유기 성분 혼합물과 물을 혼하면서 5~10분간 유화시키는 단계; 상기 유화된 조성물을 고압 유화기에서 압력 1000~2000bar의 조건에서 연속 2회로 통과시켜 리포좀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라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라좀을 포함하는 유상 베이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유상 베이스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시 유분이 다량 포함되어야 하는 화장료의 기초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피부 타입에 따라 유분이 과량 포함되어야 하는 기초 화장료, 에센스 조성물 등의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의 베이스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라좀 조성물은 특히 사용자의 피부타입에 맞추어 섬세하게 조정되어 제조되는 맞춤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시 유상 베이스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의 세라좀 조성물은 기존 유상 베이스 조성물과 달리 세라마이드와 오일을 2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의 오일을 포함하고 있어, 맞춤형 화장료 조성물의 베이스로 사용되었을 때, 다른 성분들과 혼합되어, 전체 맞춤형 화장료 조성물의 20중량% 미만으로 포함되어도 세라좀 자체에 오일이 충분히 포함되어 있어, 충분한 유분감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수상 베이스와 혼합이 용이하고, 그 안정성은 우수하여, 맞춤형 화장료의 베이스로 사용하기 위하여 장기 보관하여도 세라마이드나 오일이 유출되지 않고 세라좀 형태로 유지되어 매장에서 즉석으로 맞춤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에 용이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상 베이스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상 베이스 조성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보습제 1~10 중량%, 점증제 0.1~0.5 중량% 를 포함하는 투명 가용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상기 보습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올, 당류, 아미노산, 발효추출물이 바람직할 수 있고, 상기 폴리올은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부틸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카프릴릴글라이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에틸헥실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1,2-헥산디올, 1,2-옥탄디올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당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베타글루칸, 바이오사카라이드검, 소르비톨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 발효추출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조류추출물, 락토바실러스/조류추출발효물, 효모/모근발효추출물, 효모/겨우살이발효추출물, 락토바실러스/콩발효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 리포좀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의 구성에 따라 제조하였다. 유기 용매, 화학식 1의 계면활성제, 세라마이드, 오일 및 화학식 2,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의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균일하게 분산기(Homogenizing Disper, Model 2.5, Primix)를 이용하여 혼합하면서 80℃까지 가온하였다. 그리고 정제수를 80℃까지 가온하였다. 80℃에서 균일-혼합기 (Homogenizing Mixer, MarkII, Model 2.5, Primix)를 이용하여 5분간 유화 공정을 진행하였다. 1차 유화된 조성물을 고압 유화기에서 1,000 bar로 연속 2회 통과시켜 세라마이드 및 오일을 포접하는 리포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유기용매 글리세린 30 30 30 30 30 30 30
오일 옥틸도데칸올 40 40 55 40 15 40 40
계면활성제 화학식 1에 속하는 계면활성제 5 5 5 5 5 5 -
화학식 1에 속하지 않는 계면활성제로서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 - - - - - 5
세라마이드 세라마이드 NP 5 - 5 5 5 5 -
화학식 8의 유사세라마이드 - 5 - - - - -
음이온
계면활성제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2 2 2 - - - 2

폴리소르베이트 60
- - - - - 2 -
정제수 To 100
합계 `100
<실험예 1>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실험 결과 비교
각 조성물의 중량비는 상기 표 1에 나타내었고,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종류, 세라마이드의 종류,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 오일의 함량 등을 상이하게 제조하여 비교하였다.
별도의 용기에 유기 용매, 오일, 세라마이드, 화학식 1의 계면활성제 또는 화학식 1에 속하지 않는 계면활성제 그리고 화학식 2, 3, 4에 속하지 않는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균일하게 혼합하면서 70~90℃까지 가온하였다. 별도의 다른 용기에 물(정제수)을 상기 혼합물의 가온 온도까지 가온하였다. 혼합물과 물을 혼합하면서 5~10분간 유화시킨 후, 상기 유화된 조성물을 고압 유화기에서 압력 1000~2000bar 조건하에서 연속 2회 통과시켜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화학식 1의 계면활성제로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친을 사용하였으며, 화학식 1에 속하지 않는 계면활성제로는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소듐 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를 사용하였으며, 화학식 2 내지 4에 속하지 않는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소르베이트 60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의 경우, 외관상 안정한 리포좀이 제조되었으며, 평균 입자 크기는 115.7nm(St Deviation 55.08, Zetasizer, Marven) 제타전위값은 -68.6mV (St Deviation 13.4mV, Zetasizer, Marven) 였다. (도 1, 도 2)
비교예 1의 경우, 80℃에서 1차 유화 제조 과정 중 전상(phase inversion)이 일어나 리포좀 제조가 불가하였다.
비교예 2의 경우, 외관상 안정한 리포좀이 제조되었으며, 평균 입자 크기는 206.5nm(St Deviation 130.4, Zetasizer, Marven) 제타전위값은 -60.5mV (St Deviation 13.4mV, Zetasizer, Marven) 였다. (도 3 및 도 4)
실시예 1과 비교예 1, 2의 결과를 토대로 세라마이드 및 오일이 다량 함유된 리포좀 제조 시, 특정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게 되면 제조 과정 중 발생되는 W/O로의 전상 (phase inversion)을 막고, 오일의 함량이 3배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형성되는 평균 입자 크기가 약 절반 가량 감소되며, 제타 전위값이 커지는 것으로 보아 음이온 계면활성제 사용 시 세라좀의 안정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타전위 값으로 추청하는 안정성 평가 기준은 -60.5mV의 경우, '보통-안정' 으로 판단하고, -68.6mV의 경우, '매우 안정'으로 판단한다.
비교예 3의 경우, 평균 입자가 280nm(St Deviation 145.8, Zetasizer, Marven)인 비교적 사이즈가 큰 안정한 리포좀이 제조되었다. 그러나 아래 온도별 안정성 평가 결과 1개월 평가 시 고온(43℃, 50℃)에서 오일이 석출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비교예 4의 경우, 평균 입자가 130.8nm(St Deviation 85.10, Zetasizer, Marven)인 안정한 리포좀이 제조되었다. 하지만, 아래 온도별 안정성 평가 결과 1개월 평가 시 고온(43℃, 50℃)에서 유화 입자가 합일되어 상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비교예 3 및 4와 실시예 1을 비교하면, 특정의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화학식 1의 계면활성제가 사용되어야만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계면활성제가 다른 것으로 사용되면, 안정성이 매우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실시예과 비교예의 온도 안정성 평가 결과
화장품 기준, 실시예과 비교예의 안정성 평과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각 온도 별 평가기기(chamber) 에서의 안정 혹은 불안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온도별 안정성 기준으로는 FT(Freezing-Thaw, 냉동 후 해동) 3회 반복, 냉장(0℃~4℃) 3개월, 25도 6개월, 43도 3개월, 50℃ 1개월, 저온 사이클(5℃~10℃, 1회/1일 반복) 6개월, 고온 사이클(-10℃~45℃, 1회/1일 반복) 3개월 이며, 온도별 안정성 기준은 조금씩 다를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는 위의 기준을 따른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경우, 리포좀 조성물의 안정성 평가 결과는 양호하였다.
Figure pat00023
<실험예 3> 실시예와 비교예 적용 수상 제형 제조 및 안정성 평가 결과
수상 제형 내 실시예 1과 비교예 2의 안정성 평가를 진행하기 위해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조성물을 활용하여 표 3과 같이 수상 제형 (스킨)을 제조하였다. 정제수,트리소듐이디티에이, 1,2-헥산디올,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코폴리머를 상온에서 아지-혼합기 (Agi-mixer)를 이용하여 20분 이상 잘 혼합한 후, 실시예 1, 2, 3와 비교예 2, 3, 4를 각각 투입하여 아지-혼합기 (Agi-mixer)를 이용하여 낮은 전단력으로 10분 이상 혼합하여 실시예 스킨과 비교예 스킨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to 100
트리소듐이디티에이(Trisodium EDTA) 0.01
1,2-헥산디올(1,2-hexanediol) 2.00
암모늄아클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0.20
실시예 1의 조성물 20.00
실시예 2의 조성물
실시예 3의 조성물
비교예 2의 조성물
비교예 3의 조성물
비교예 4의 조성물
합계 100.00
실시예 스킨과 비교예 스킨의 안정성 평과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각 온도별 챔버에서의 안정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온도별 안정성 평가 기준은 실험예 3에서 언급한 것과 동일하다. 비교예 2 스킨의 경우, 고온에서 2주 정도 경과 시 불안정한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불안정의 구체적인 현상으로는 스킨 제형 내 띠두름과 같은 세라마이드의 석출, 오일 석출 등과 같은 현상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온도 스킨 안정성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냉동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냉장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25℃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43℃ 안정 안정 안정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50℃ 안정 안정 안정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저온사이클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고온사이클 안정 안정 안정 불안정 불안정 불안정
<실험예 4> 실시예 스킨 및 비교예 스킨의 소비자 패널 보습력 및 감성품질 평가 결과
실시예 1 내지 3 스킨의 경우, 비교예 2 내지 4 스킨과 비교 시 높은 오일 함량으로 인해 유연감 및 보습감이 우수할 것으로 판단되어 소비자 패널 113명을 대상(표 5)으로 보습력 및 감성 품질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날짜: 2019. 3월) 보습력 평가는 Janus III (PIE 사) 수분 측정기를 이용하였으고, 감성 품질 평가는 설문을 이용하였으며, 평가 척도는 5점 만점으로 1점(매우 불만족), 2점(불만족), 3점(보통), 4점(만족), 5점(매우 만족)을 배점으로 하였다.
표 6의 보습력 평가 결과, 실시예 1 내지 3 스킨의 경우 비교예 2 스킨에 비해 도포 전, 도포 8시간 후 모두 피부 수분력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감성 품질 평가는 사용 시 피부 보습감, 부드러움, 사용 후 피부결 상태 3가지 항목에 대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시예 1 스킨의 경우, 표 7에서 보듯이, 모든 항목에서 더 뛰어난 감성 품질 평가를 받을 수 있었다
나이대 패널 인원수 피부 타입별 패널 인원수
20대 18명 건성 46명
30대 18명 복합성 31명
40대 63명 중성 17명
50대 14명 지성 19명
113명 113명
스킨 실시예 비교예
1 2 3 2
도포 직전 35 34 36 35
도포 직후 60 61 72 42
도포 2시간 후 52 53 70 38
도포 4시간 후 50 53 70 37
도포 6시간 후 51 50 68 35
도포 8시간 후 48 47 66 32
스킨 실시예 비교예
1 2 3 2
보습감 4.6 4.5 4.7 3.5
부드러움 4.2 4.1 4.5 4.0
피부결 상태 4.5 4.3 4.7 3.2

Claims (11)

  1. 본 발명은 세라마이드; 오일; 화학식 1의 계면활성제; 유기 용매;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물;을 포함하는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이고,
    [화학식 1]
    Figure pat00024

    상기 화학식 1의 계면활성제는 글리세린 인산기를 포함하는 인지질이고,
    상기 오일은 전체 조성물의 20중량%~60중량%을 포함하고,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화학식 2, 화학식 3, 및 화학식 4의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25

    (A는 알킬사슬로서, n은 12~18의 정수이다.B는 M이 1족 금속인 염이다.)
    [화학식 3]
    Figure pat00026

    ( A는 알킬사슬로서, n은 12~18의 정수이다. B는 M이 1족 금속인 염이다.)
    [화학식 4]
    Figure pat00027

    (A는 알킬사슬로서, n은 12~18의 정수이다. B는 M이 1족 금속인 염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이 상기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의 55중량%~8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이 올리브 오일, 포도씨 오일, 콘 오일, 마카다미아 오일 및 메도폼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천연 오일; 합성 에스테르, 합성 에테르, 지방산 또는 지방 알코올의 에스테르, 지방산 또는 지방 알코올의 에테르, 또는 12 내지 20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알코올의 반응으로부터 유래된 에스테르; 및 12 내지 20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 알코올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가 세라마이드 EOP(Ceramide EOP), 세라마이드 NS(Ceramide NS), 세라마이드NP(Ceramide NP), 세라마이드 AS(Ceramide AS) 및 세라마이드 AP(Ceramide A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가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디글리세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계면활성제가 글리세린 인산을 포함하고 있는 인지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상기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의 0.01~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상 베이스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폴리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상 베이스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유상 베이스 조성물의 총 중량의 0 ~70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상 베이스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 베이스 조성물이 맞춤형 화장료 조성물의 베이스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상 베이스 조성물.
KR1020190149144A 2019-11-19 2019-11-19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유상 베이스 조성물 KR102272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144A KR102272242B1 (ko) 2019-11-19 2019-11-19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유상 베이스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144A KR102272242B1 (ko) 2019-11-19 2019-11-19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유상 베이스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212A true KR20210061212A (ko) 2021-05-27
KR102272242B1 KR102272242B1 (ko) 2021-07-05

Family

ID=76135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144A KR102272242B1 (ko) 2019-11-19 2019-11-19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유상 베이스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24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198B1 (ko) * 2013-04-12 2014-12-16 코스맥스 주식회사 투명 세라마이드 에멀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50126624A1 (en) * 2012-05-16 2015-05-07 Archer Daniels Midland Company Emulsifier for solubilizing polar solvents in oils and polyols
JP2016160242A (ja) * 2015-03-04 2016-09-05 杏林製薬株式会社 セラミド類含有リポソーム分散液
KR101754741B1 (ko) * 2016-12-28 2017-07-06 이경화학 주식회사 세라마이드 에멀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41035B1 (ko) * 2017-03-27 2019-01-22 (주) 에이치엔에이파마켐 영여자 추출물 및 층상 이중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0697A (ko) * 2018-09-03 2019-05-13 주식회사 엔에프씨 혼합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26624A1 (en) * 2012-05-16 2015-05-07 Archer Daniels Midland Company Emulsifier for solubilizing polar solvents in oils and polyols
KR101473198B1 (ko) * 2013-04-12 2014-12-16 코스맥스 주식회사 투명 세라마이드 에멀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6160242A (ja) * 2015-03-04 2016-09-05 杏林製薬株式会社 セラミド類含有リポソーム分散液
KR101754741B1 (ko) * 2016-12-28 2017-07-06 이경화학 주식회사 세라마이드 에멀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41035B1 (ko) * 2017-03-27 2019-01-22 (주) 에이치엔에이파마켐 영여자 추출물 및 층상 이중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50697A (ko) * 2018-09-03 2019-05-13 주식회사 엔에프씨 혼합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2242B1 (ko) 2021-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13952B (zh) 水包油型乳化组合物及其制造方法
TWI451877B (zh) Emulsion composition
EP2857000B1 (en) 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TWI618546B (zh) Emulsified composition
JP5342736B2 (ja) 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HUT71381A (en) Cosmetic composition for the simultaneous treatment of the surface and deep layers of the skin, its use
BRPI0813092B1 (pt) composição de emulsão óleo em água e método para produzir a mesma.
KR20130055069A (ko) 재결정 입자를 갖는 수중유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2174646B1 (en) Reverse vesicle
KR101577874B1 (ko) 당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유사 지질 조성을 갖는 액정상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11800A (ko) 피부 유사 지질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9124432A (ja) 液晶型エマルションの製造方法および該製造方法によって得られる液晶型エマルション組成物
KR101176523B1 (ko) 성상 변화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00905B1 (ko) 천연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반투명 제형의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
KR20210059277A (ko) 자가조합형 지질 베시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4778256B2 (ja) 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100202A (ko) 세포간 지질 성분의 마이셀을 함유하는 가용화 제형
JP4717171B2 (ja) セラミド類を含有する透明分散液の製造方法
JP6606833B2 (ja) セラミド類含有リポソーム分散液
KR102272242B1 (ko)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유상 베이스 조성물
KR101841204B1 (ko) 발효 오일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JP2006199598A (ja) 皮膚化粧料、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822152B1 (ko) 헵타소듐헥사카복시메틸다이펩타이드­12를 포함하는 나노베지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838983B1 (ko) 식초를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리포좀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071500A (ko) 유성성분을 함유한 안정화된 나노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투명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